KR101608951B1 -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 Google Patents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51B1
KR101608951B1 KR1020130046378A KR20130046378A KR101608951B1 KR 101608951 B1 KR101608951 B1 KR 101608951B1 KR 1020130046378 A KR1020130046378 A KR 1020130046378A KR 20130046378 A KR20130046378 A KR 20130046378A KR 101608951 B1 KR101608951 B1 KR 10160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stones
stone
grain
mill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696A (ko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102013004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곡물을 가는데 사용되는 맷돌에 관한 것으로서, 윗돌과 아랫돌 사이에 다수의 작은 몽돌을 배치하여 몽돌에 의하여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맛있게 하는 맷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을 흘러 보내는 주입구(20a)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20), 상기 윗돌(20)의 하부에 놓여져 있고 윗돌(20)과의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게 하는 아랫돌(30), 상기 윗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놓여져 있는 다수의 몽돌(40)을 포함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아랫돌(30)의 상부면에는 상기 몽돌(4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몽돌홈(33)들과, 곡물 가루들을 상기 몽돌홈(33)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몽돌홈(33)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랑형태의 유도로(34)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윗돌(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몽돌(40)의 상부와 접촉하는 환형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몽돌(40)들은 윗돌(20)이 회전할 때 각각 아랫돌(30)의 몽돌홈(33)과 윗돌(20)의 환형홈(24)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몽돌홈(33)에 흘러들어오는 곡물가루들을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Millstone using well-rounded small stone}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곡물을 가는데 사용되는 맷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돌과 아랫돌 사이에 다수의 작은 몽돌을 배치하여 몽돌에 의하여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맛있게 하는 맷돌에 관한 것이다.
맷돌은 두개의 원통형상의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콩, 녹두 등의 곡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가정용 분말기이다. 일반적으로 맷돌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윗돌(10), 아랫돌(11), 그리고 윗돌(1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12)로 이루어져 있다. 윗돌(10)에는 분쇄할 곡물을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10a)는 윗돌(10)을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주입구(10a)의 주위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곡물들이 주입구 쪽으로 잘 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윗돌(10)의 측방에는 손잡이(12)가 구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손잡이(12)가 볼트(12a)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대응하는 윗돌(10) 부분에는 암나사부(미도시)를 미리 매입하여 놓는다. 물론 손잡이(12)의 설치구조는 다른 형태로 할 수 있다.
윗돌(10)과 아랫돌(11)의 접촉면은 우산과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아랫돌(11)의 상부면 중심에는 상기 윗돌(10)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되는 중쇠(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윗돌(10)과 아랫돌(11)의 접촉면은 거칠게 하는 것이 곡물들을 잘 갈 수 있기 때문에 현무암과 같이 천연적으로 기공이 많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무암 이외에 화강암, 맥반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맷돌은 물에 불린 곡물을 물과 함께 조금씩 윗돌(10)의 주입구(10a)로 집어넣으면서 손잡이(12)로 윗돌(10)을 돌리는 작업을 계속한다. 그 경우에 부풀러진 곡물은 윗돌(10)과 아랫돌(11) 사이의 접촉면에서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부셔지면서 측방으로 내려오고, 곡물은 외곽으로 흘러가면서 계속하여 분쇄작용이 이루어진다. 갈아진 곡물은 윗돌(10)과 아랫돌(11)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아래의 저장용기에 담겨진다.
상기와 같이 갈아진 곡물을 이용한 음식물로는 콩비지, 순두부, 녹두전 등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맷돌은 단순히 윗돌(10)과 아랫돌(11)의 접촉면에서의 압착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들을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곡물이 거칠게 분쇄되고 그만큼 맛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맷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맛을 보다 고소하게 하는 맷돌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맷돌은 곡물을 흘러 보내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 상기 윗돌의 하부에 놓여져 윗돌과의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게 하는 아랫돌을 포함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윗돌과 아랫돌 사이에 다수의 몽돌들이 놓여져 있으며; 상기 아랫돌의 상부면에는 상기 몽돌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는 몽돌홈과, 곡물 가루들을 상기 몽돌홈으로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윗돌의 하부면에는 상기 몽돌의 상부와 접촉하는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몽돌들은 윗돌이 회전할 때 각각 아랫돌의 몽돌홈과 윗돌의 환형홈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몽돌홈에 흘러들어오는 곡물가루들을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몽돌은 타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윗돌의 저면에 상기 몽돌의 상부와 접촉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몽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마찰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에 다수의 몽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곡물들이 분쇄되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몽돌에 의하여 보다 강하게 분쇄되므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말곡물의 맛을 한층 고소하게 하여 이 분말곡물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물을 보다 맛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 맷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돌(20), 아랫돌(30), 그리고 다수의 몽돌(40)로 구성되어 있다.
윗돌(20)은 높이가 낮은 원통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곡물을 흘러 보내는 주입구(20a)가 관통되어 있다. 주입구(20a)의 상부 주변은 곡물을 용이하게 흘러내리기 위하여 호퍼와 같이 경사져 있으며, 도면에서는 주입구(20a)의 위치가 중앙에서 편심 된 곳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중앙에도 위치시킬 수 있다.
아랫돌(30)은 상기 윗돌(20)의 하부에 놓여져 있고 윗돌(20)과의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게 한다.
상기 윗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다수의 몽돌(40)들이 놓여져 있는데, 이를 위하여 아랫돌(30)의 상면(32)에는 몽돌(4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는 몽돌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돌(20)의 저면(25)에는 몽돌(40)의 상부와 접촉하는 환형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윗돌(20)이 회전할 때 몽돌(40)과 윗돌(20) 사이에는 주로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며 몽돌(40)과 아랫돌(30) 사이에서는 미끄럼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몽돌(40)이 아랫돌(30)의 몽돌홈(33)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몽돌(40)은 타원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球) 형상을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몽돌(40)의 전후 중앙에는 각각 돌기(41)를 형성하여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몽돌홈(33)의 전후 중앙에 각각 상기 돌기(41)의 하부가 놓여지는 축홈(33a)이 형성되어 있다. 몽돌(40)의 길이방향 축선은 아랫돌(30)의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윗돌(20)이 회전함에 따라 그 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아랫돌(30)의 상면에는 또한 곡물 가루들을 상기 몽돌홈(33)으로 유도하는 고랑형태의 유도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로(34)의 하부끝단은 몽돌홈(33)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몽돌홈(33)들은 다수가 균일한 각도로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유도로(34)들은 상기 다수의 몽돌홈(33)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윗돌(20), 아랫돌(30) 및 몽돌(40)은 자연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 화강암, 맥반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윗돌(20)의 저면(25), 즉 환형홈(24)에 상기 몽돌(40)의 상부와 접촉하고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23a)(23b)(23c)(23d)((23e)(23f)를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윗돌(20)의 저면에는 이들 마찰부재들이 삽입할 수 있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부재들은 하부의 몽돌(40)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곳에 고정되며, 몽돌(40)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부로 약간 돌출되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마찰부재들의 저면은 몽돌(40)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굴곡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재들은 탄성을 갖고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류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재(23a)(23b)(23c)(23d)((23e)(23f)의 탄성력은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갖기 다른 탄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은 동일하게 하고 높이에 차이를 두어 몽돌(4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다양하게 할수도 있다.
윗돌(20)의 저면(25)과 아랫돌(30)의 상면(32)은 곡물들을 잘 갈수 있도록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접촉하고 있다.
윗돌(20)의 측방에는 손잡이(22)가 고정볼트(22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아랫돌(30)의 중앙에는 중쇠(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윗돌(20)의 저면에는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22)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윗돌(20)을 회전시켜 작동시키는 형태의 맷돌뿐만 아니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윗돌(20 또는 아랫돌(20)을 회전시키는 형태의 맷돌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콩, 녹두 등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을 물에 넣어 부풀게 한 후, 곡물과 소량의 물을 함께 조금씩 윗돌(20)의 주입구(20a)에 집어넣는다. 한편으론, 손잡이(22)를 돌려 윗돌(20)을 회전시킨다. 윗돌(20)이 회전하면 곡물이 윗돌(20)의 저면(25)과 아랫돌(30)의 상면(32) 사이에서 분쇄되어 서서히 흘러내린다. 곡물은 흘러내리면서 서서히 잘게 되고 유도로(34)를 따라 몽돌홈(33)을 흘러들어간다.
몽돌(40)은 상부에서 윗돌(20)이 주로 구름접촉을 하면서 지나가고 몽돌홈(33)에서 빠져나올 수 없으므로 자체적으로 회전한다. 몽돌(40)이 회전하면서 몽돌(40)과 몽돌홈(33)의 표면에서 마찰력과 압착력이 발생하므로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분쇄된다. 곡물은 몽돌홈(33)내부에서 외곽쪽으로 흐르고 몽돌홈(33)을 차고 넘쳐 외부로 빠져나와 윗돌(20)과 아랫돌(40) 사이 틈새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마찰부재(23a)…(23f)들을 사용할 경우에, 이들은 실리콘, 고무류와 같이 마찰계수가 크고 탄성을 갖는 것이므로 몽돌(40)들이 몽돌홈(33)내부에서 보다 활발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각 마찰부재들의 탄성에 차이를 둘 경우에 몽돌(40)을 아래로 누르는 압착력에 차이가 생겨 다양한 압착력을 곡물들을 분쇄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곡물 조각들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은 윗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다수의 몽돌(40)들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곡물들이 분쇄되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몽돌(40)의 회전에 의하여 보다 강하게 분쇄되므로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말곡물의 맛을 한층 고소하게 하여 이 분말곡물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물을 보다 맛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윗돌 10a : 주입구
11 : 아랫돌 12 : 손잡이
12a : 고정볼트
20 : 윗돌 20a : 주입구
21 : 삽입공 22a : 주입구
23a, 23b, 23c, 23d, 23e, 23f : 마찰부재
24 : 환형홈 25 : 저면
30 : 아랫돌 31 : 중쇠
32 : 상면 33 : 몽돌홈
33a : 축홈
40 : 몽돌 41 : 돌기

Claims (3)

  1. 곡물을 흘러 보내는 주입구(20a)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20), 상기 윗돌(20)의 하부에 놓여져 있고 윗돌(20)과의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게 하는 아랫돌(30), 상기 윗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놓여져 있는 다수의 몽돌(40)을 포함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아랫돌(30)의 상부면에는 상기 몽돌(4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몽돌홈(33)들과, 곡물 가루들을 상기 몽돌홈(33)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몽돌홈(33)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랑형태의 유도로(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윗돌(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몽돌(40)의 상부와 접촉하는 환형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몽돌(40)들은 윗돌(20)이 회전할 때 각각 아랫돌(30)의 몽돌홈(33)과 윗돌(20)의 환형홈(24)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몽돌홈(33)에 흘러들어오는 곡물가루들을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몽돌(40)은 타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돌(20)의 저면(25)에 상기 몽돌(40)의 상부와 접촉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몽돌(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마찰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KR1020130046378A 2013-04-25 2013-04-25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KR10160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378A KR101608951B1 (ko) 2013-04-25 2013-04-25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378A KR101608951B1 (ko) 2013-04-25 2013-04-25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696A KR20140127696A (ko) 2014-11-04
KR101608951B1 true KR101608951B1 (ko) 2016-04-04

Family

ID=5245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378A KR101608951B1 (ko) 2013-04-25 2013-04-25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75B1 (ko) 2016-05-18 2018-03-29 문인술 맷돌
KR101843174B1 (ko) * 2016-05-02 2018-03-29 문인술 즉석조리용 맷돌
KR101844056B1 (ko) * 2016-05-20 2018-03-30 문인술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KR102515901B1 (ko) 2022-11-23 2023-03-30 백성기 전동 맷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74B1 (ko) * 2016-05-02 2018-03-29 문인술 즉석조리용 맷돌
KR101843175B1 (ko) 2016-05-18 2018-03-29 문인술 맷돌
KR101844056B1 (ko) * 2016-05-20 2018-03-30 문인술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KR102515901B1 (ko) 2022-11-23 2023-03-30 백성기 전동 맷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696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951B1 (ko)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EP2767201A1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KR101282313B1 (ko) 착즙기
KR101282315B1 (ko) 착즙기
JP2016519980A (ja) 網ドラム及びこれを含む搾汁ジューサー
KR101282314B1 (ko) 착즙기
KR101844056B1 (ko)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CN207641563U (zh) 一种无渣食品加工机
JP6553724B2 (ja) 三段石臼
DK3081126T3 (da) Kværnværk til en krydderikværn
JP7110358B2 (ja) ひき臼型粉砕機
KR20110109581A (ko) 양념 분쇄용기
JP6624667B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598304B1 (ko) 강판 믹서기
KR101868264B1 (ko) 맷돌
KR101843174B1 (ko) 즉석조리용 맷돌
CN205797401U (zh) 一种药材粉碎机
KR101844057B1 (ko) 3단 맷돌
KR20110116096A (ko) 음식물찌꺼기 분쇄기용 분쇄날
KR101654234B1 (ko) 마찰 충격 및 열을 감소시킨 곡물분쇄기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KR20120002370U (ko) 다용도 분쇄기
CN205963859U (zh) 一种适用于食物料理机的精磨器组件及食物料理机
KR20180000521U (ko) 양념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