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763B1 -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763B1
KR102526763B1 KR1020220026360A KR20220026360A KR102526763B1 KR 102526763 B1 KR102526763 B1 KR 102526763B1 KR 1020220026360 A KR1020220026360 A KR 1020220026360A KR 20220026360 A KR20220026360 A KR 20220026360A KR 102526763 B1 KR102526763 B1 KR 102526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pening
control
oil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오현중
윤성호
김재승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2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Abstract

다양한 식재료를 다기능으로 착즙 및 채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 상으로 연통되는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를 갖춘 본체(10); 상기 전방몸체(11)에 이송스크류(22)를 수용하고, 식재료를 이송하며 가압하는 가압부재(20); 상기 전방몸체(11) 상에 수집개구(12)와 연통되는 가공링(31)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가공부재(30); 상기 후방몸체(15)에 탄성체(48)를 개재하여 밸브체(46)를 수용하고, 설정된 압력에서 배출개구(16)의 개폐를 유발하는 배출부재(40); 및 상기 식재료의 착즙과 채유 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마련하여, 채소, 과일, 곡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에 물리적 힘을 작용하여 원하는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동시에 액체와 고형분의 조건을 조절하므로 실질적으로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and oil}
본 발명은 착즙 채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식재료에 물리적 힘을 작용하여 원하는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 과일, 곡물 등의 식재료는 특정한 성분만 추출하여 직접 섭취하거나 양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정한 성분은 주로 즙이나 오일과 같은 액체이지만 일부에는 파쇄된 고형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 가정은 물론 소규모로 자영업을 영위하는 소비자는 식재료의 물성과 용도에 맞추어 모든 장치를 갖추기가 용이하지 않다. 향후 안심하고 즐기는 먹거리에 대한 욕구가 높아질수록 장치에 대한 다기능화가 절실하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76996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58333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이송부와 파쇄부 및 압착부를 가지는 다기능 스크루를 그물망이 형성된 압착 실린더에 내입하고, 압착 실린더의 외측으로 진동자와 분쇄통을 결합하여, 작은 구동 동력으로도 쉽게 파쇄물이 파쇄 및 압착이 되도록 한다. 이에, 초음파를 사용하므로 착유 및 착즙 속도가 향상되면서 착유 및 착즙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몸체 상측으로 형성된 투입구로 분쇄 롤러와 착즙 롤러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분쇄 롤러와 착즙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형성하여, 구동하는 분쇄 롤러와 착즙 롤러를 이용하여 재료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름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분쇄와 착즙의 순차적 진행으로 투입된 재료의 수분을 신속하게 추출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다양한 식재료에 대응하는 구성이 미흡하여 활용성을 높이기에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76996호 "다기능 스크루를 결합한 착유기" (공개일자 : 2005.11.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58333호 "대용량 착즙기" (공개일자 : 2008.03.3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소, 과일, 곡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에 물리적 힘을 작용하여 원하는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동시에 액체와 고형분의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식재료를 다기능으로 착즙 및 채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공부 상으로 연통되는 수집개구와 배출개구를 갖춘 본체; 상기 전방몸체에 이송스크류를 수용하고, 식재료를 이송하며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전방몸체 상에 수집개구와 연통되는 가공링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가공부재; 상기 후방몸체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밸브체를 수용하고, 설정된 압력에서 배출개구의 개폐를 유발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식재료의 착즙과 채유 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힌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공부재는 가공링의 원주상으로 각각의 간극 크기가 상이한 멀티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출부재(40)는 중공부에 연통되는 배출슬릿에 인접하여 이송스크류의 단부를 지지하는 원추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수단은 탄성체의 외단에 접촉하도록 후방몸체에 수용되는 조절판, 후방몸체의 외단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조절판에 연결되는 조절축, 조절축의 외단에 연결되는 조절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채소, 과일, 곡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에 물리적 힘을 작용하여 원하는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동시에 액체와 고형분의 조건을 조절하므로 실질적으로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몸체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몸체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식재료를 다기능으로 착즙 및 채유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채소, 과일, 곡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에 물리적 힘을 작용하여 착즙ㆍ채유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착즙은 채소와 과일에서 액체 또는 고형분까지 포함하여 추출하는 작용으로 정의한다. 채유는 곡물, 씨앗 등에서 액체 성분만 추출하는 작용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중공부 상으로 연통되는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를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중공부에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가 나타난다. 본체(10)의 중공부는 호퍼(13)로 투입되는 식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가압하는 영역이다. 전방몸체(11)의 중공부는 원형 단면이지만 후방몸체(15)의 중공부는 각형 단면도 가능하다. 식재료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중공부의 상류에 수집개구(12)가 중공부의 하류에 배출개구(16)가 배치된다.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는 본체(10)의 저면에서 일정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힌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체(10)를 구성하는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가 나타난다. 전방몸체(11)는 수집개구(12)를 갖춘 부분이고, 후방몸체(15)는 배출개구(16)를 갖춘 부분이다.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는 단면의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다. 다만 전방몸체(11)에서 수집개구(12)가 위치하는 영역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한다.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의 연결에는 힌지 방식이 개폐의 용이성 측면에서 선호된다. 이 경우 힌지의 반대측에는 매미고리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를 지닌 로크/언로크 자재를 설치한다.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의 개폐 구조는 조립, 점검, 교체, 세척의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몸체(11)에 이송스크류(22)를 수용하는 가압부재(20)가 식재료를 이송하며 가압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재(20)를 구성하는 이송스크류(22), 원추헤드(24), 감속모터(26) 등이 나타난다. 이송스크류(22)는 상류단에서 감속모터(26)에 연결되고 하류단에 원추헤드(24)를 구비한다. 이송스크류(22)는 착즙ㆍ채유에 견디도록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산성과 더불어 내유성을 요구한다. 원추헤드(24)는 요동이 없는 안정적 회전을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감속모터(26)는 저회전수로 높은 토크를 발생하며, 속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부재(30)가 상기 전방몸체(11) 상에 수집개구(12)와 연통되는 가공링(31)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가공부재(30)를 구성하는 가공링(31)이 전방몸체(11)의 원형 단면 영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가공링(31)은 전방몸체(11)에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식재료는 이송스크류(22)에 의해 하류로 이송되면서 고압으로 가압되고 그 액상(고형분)이 가공링(31)을 통하여 수집개구(12)로 낙하된다. 전방몸체(11)와 가공링(31)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복수의 실링재(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실링재는 고무, 수지, 또는 그 복합재의 패킹이지만 메카니칼씰과 같은 고압용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공부재(30)는 가공링(31)의 원주상으로 각각의 간극 크기가 상이한 멀티슬릿(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가공링(31)을 구성하는 멀티슬릿(32)이 다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시한 것처럼 멀티슬릿(32)을 전개시키면 슬릿의 간극 크기가 상이한 4개의 영역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멀티슬릿(32)의 각각의 영역은 전방몸체(11)의 수집개구(1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가장 작은 간극을 지닌 영역은 깨, 쌀, 콩, 조와 같은 곡물에서 기름만 추출하는 크기이다. 가장 큰 간극을 지닌 영역은 사고, 배, 오렌지 등에서 과즙과 과립을 동시에 추출하는 크기이다. 사용자는 가공링(31)을 돌려서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전방몸체(11)의 수집개구(12)에 맞출 수 있다. 물론 가공링(31)의 각각의 영역에는 밀봉을 위한 대략 4각형의 실링재(도시 생략)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도 3처럼 전방몸체(11)와 가공링(31)의 사이에 볼플란저(35)를 개재시키는 것이 좋다. 볼플란저(35)는 전방몸체(11)에사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에 설치된다. 가공링(31)은 멀티슬릿(32)의 영역수와 동일한 복수의 위치에 반구홈부(33)를 갖춘다. 즉 도시처럼 가공링(31)의 멀티슬릿(32)이 4개의 영역을 갖는다면 반구홈부(33)도 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사용자가 가공링(31)을 돌릴 때 각각의 영역에서 반구홈부(33)과 볼플란저(35)가 맞물리므로 조작하기 편리면서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방몸체(11)에는 가공링(31)을 부분적으로 은폐하기 위한 커버(18)가 설치된다. 커버(18)는 개폐 가능한 접철 구조로 설치하며, 가공링(31)에서 수집개구(12)와 연통하는 하단 부분만 노출시킨다.
그리고, 전방몸체(11)의 수집개구(12)의 하측으로 과즙(과립)이나 기름을 받기 위한 수집통(37)을 설치한다. 전술한 커버(18)는 수집통(3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방몸체(15)에 탄성체(48)를 개재하여 밸브체(46)를 수용하는 배출부재(40)가 설정된 압력에서 배출개구(16)의 개폐를 유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배출부재(40)를 구성하는 밸브체(46), 탄성체(48) 등이 나타난다. 배출부재(40)는 전방몸체(11)에서 식재료의 과즙(과립)이나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배출개구(16)로 낙하시킨다. 밸브체(46)는 후방몸체(15)의 중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긴밀하게 수용되고, 밸브체(46)의 위치가 변동함에 따라 중공부에 연통된 배출개구(16)의 개도량이 변동된다. 탄성체(48)는 중공부에서 밸브체(46)의 하류측에 수용되고 밸브체(46)를 상류측으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출부재(40)는 중공부에 연통되는 배출슬릿(42)에 인접하여 이송스크류(22)의 단부를 지지하는 원추요홈(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배출부재(40)를 구성하는 배출슬릿(42)과 원추요홈(44)이 나타난다. 배출슬릿(42)은 후방몸체(15)의 상류측 단부에 대략 원호형으로 절개된 부분으로서 상류와 하류의 중공부를 연통시킨다. 배출슬릿(42)은 하나가 아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방몸체(15)에서 배출슬릿(42)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원추요홈(44)은 이송스크류(22)의 원추헤드(24)를 긴밀하게 지지한다. 물론 후방몸체(15)가 전방몸체(11)에서 분리(개방)되면 원추헤드(24)의 지지도 해제된다.
작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공링(31)을 회전시켜 원하는 멀티슬릿(32)을 수집개구(12)에 맞춘 후에 호퍼(13)로 식재료를 투입하면,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는 밸브체(46)가 배출슬릿(42)을 막은 상태이므로 가압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생성된 과즙(과립)이나 기름이 가공링(31)의 멀티슬릿(32)을 거쳐 수집통(37)에 낙하되고, 탄성체(48)에 설정된 압력에서 밸브체(46)가 후진하면서 배출슬릿(42)과 배출개구(16)를 거쳐 찌꺼기가 낙하된다.
한편, 도 4(a)는 밸브체(46)가 배출개구(16)를 차단한 상태이고, 도 4(b)는 밸브체(46)가 배출개구(16)를 개방하는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수단(50)이 상기 식재료의 착즙과 채유 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후방몸체(15)에 조절수단(5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조절수단(50)은 밸브체(46)의 후진으로 배출개구(16)를 개폐시키는 과정의 설정 압력을 변동한다. 밸브체(46)의 설정 압력이 낮으면 과즙을 생성하기 적합하고 설정 압력이 낮으면 기름을 생성하기 적합하다. 조절수단(50)은 후술하는 기계적인 방식이 선호되지만 모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적인 방식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수단(50)은 탄성체(48)의 외단에 접촉하도록 후방몸체(15)에 수용되는 조절판(52), 후방몸체(15)의 외단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조절판(52)에 연결되는 조절축(54), 조절축(54)의 외단에 연결되는 조절휠(5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조절판(52), 조절축(54), 조절휠(56)이 나타난다. 조절판(52)은 중공부에서 탄성체(48)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류측의 밸브체(46)에 대한 탄성력 변동을 유발한다. 조절축(54)은 후방몸체(15)의 후단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내부에서 조절판(52)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린다. 조절휠(56)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구조로서 조절축(54)의 외단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사용에 있어서, 식재료의 가공 과정에서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의 생성물 상태를 관찰하여 탄성체(48)의 탄성력을 높이거나 낮추려면 조절휠(56)을 돌려서 조절한다. 일예로, 호퍼(13)에 곡물을 투입하여 기름을 추출하는 작업에서 배출개구(16)의 찌꺼기에 기름이 많이 포함된다면 조절휠(56)을 돌려 조절판(52)을 상류측으로 이동시켜 탄성체(48)의 탄성력을 높인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전방몸체
12: 수집개구 13: 호퍼
15: 후방몸체 16: 배출개구
18: 커버 20: 가압부재
22: 이송스크류 24: 원추헤드
26: 감속모터 30: 가공부재
31: 가공링 32: 멀티슬릿
33: 반구홈부 35: 볼플란저
37: 수집통 40: 배출부재
42: 배출슬릿 44: 원추요홈
46: 밸브체 48: 탄성체
50: 조절수단 52: 조절판
54: 조절축 56: 조절휠

Claims (5)

  1. 다양한 식재료를 다기능으로 착즙 및 채유하는 장치에 있어서:
    힌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전방몸체(11)와 후방몸체(15)를 구비하고, 중공부 상으로 연통되는 수집개구(12)와 배출개구(16)를 갖춘 본체(10);
    상기 전방몸체(11)에 이송스크류(22)를 수용하고, 식재료를 이송하며 가압하는 가압부재(20);
    상기 전방몸체(11) 상에 수집개구(12)와 연통되는 가공링(31)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가공부재(30);
    상기 후방몸체(15)에 탄성체(48)를 개재하여 밸브체(46)를 수용하고, 설정된 압력에서 배출개구(16)의 개폐를 유발하는 배출부재(40); 및
    상기 식재료의 착즙과 채유 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부재(30)는 가공링(31)의 원주상으로 각각의 간극 크기가 상이한 멀티슬릿(32)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재(40)는 중공부에 연통되는 배출슬릿(42)에 인접하여 이송스크류(22)의 단부를 지지하는 원추요홈(44)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50)은 탄성체(48)의 외단에 접촉하도록 후방몸체(15)에 수용되는 조절판(52), 후방몸체(15)의 외단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조절판(52)에 연결되는 조절축(54), 조절축(54)의 외단에 연결되는 조절휠(5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26360A 2022-02-28 2022-02-28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KR10252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360A KR102526763B1 (ko) 2022-02-28 2022-02-28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360A KR102526763B1 (ko) 2022-02-28 2022-02-28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763B1 true KR102526763B1 (ko) 2023-04-28

Family

ID=8614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360A KR102526763B1 (ko) 2022-02-28 2022-02-28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7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77U (ko) * 1994-06-09 1996-01-22 엘지반도체주식회사 저압 화학 기상 증착 장치용 웨이퍼 보트
KR100576996B1 (ko) 2004-05-12 2006-05-10 문 현 이 다기능 스크루를 결합한 착유기
KR100858333B1 (ko)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KR101225232B1 (ko) * 2012-07-13 2013-01-22 권익삼 과일즙 제조기
KR101485401B1 (ko) * 2014-07-25 2015-01-26 주식회사 경은 착즙기
KR20200051964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경은 청소가 용이한 착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077U (ko) * 1994-06-09 1996-01-22 엘지반도체주식회사 저압 화학 기상 증착 장치용 웨이퍼 보트
KR100576996B1 (ko) 2004-05-12 2006-05-10 문 현 이 다기능 스크루를 결합한 착유기
KR100858333B1 (ko)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KR101225232B1 (ko) * 2012-07-13 2013-01-22 권익삼 과일즙 제조기
KR101485401B1 (ko) * 2014-07-25 2015-01-26 주식회사 경은 착즙기
KR20200051964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경은 청소가 용이한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650A (en) Juice extractor
JP5625111B2 (ja) 磨り潰す機能を有する豆乳メーカー・ジューサー
EP3005911B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JP5826922B2 (ja) 搾汁機
US20080237380A1 (en) Spice mill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3519665B (zh) 易清洗的冰淇淋榨汁一体机
CN103082865A (zh) 具有二次研磨功能的豆浆/榨汁机
KR20130006742U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2526763B1 (ko) 다기능 착즙 채유 장치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JP3098005B2 (ja)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19990034670U (ko) 착즙 겸용 분쇄기
TWM515364U (zh) 食物料理機
KR20080003745U (ko) 착즙기용 스크류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10004943A (ko)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KR102052860B1 (ko) 고추가루용 쇳가루 분리수거장치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CN207202680U (zh) 一种多功能的立式螺杆榨汁机
KR100744895B1 (ko)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4410381B (zh) 一种植物的提取设备及其提取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