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66U -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66U
KR20200002766U KR2020190002406U KR20190002406U KR20200002766U KR 20200002766 U KR20200002766 U KR 20200002766U KR 2020190002406 U KR2020190002406 U KR 2020190002406U KR 20190002406 U KR20190002406 U KR 20190002406U KR 20200002766 U KR20200002766 U KR 202000027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uicer
screw thread
jui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19000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766U/ko
Priority to PCT/KR2019/018018 priority patent/WO2020251125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66U/ko
Priority to KR2020210000456U priority patent/KR2004946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스크류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 몸체의 가장 상측으로 나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 나사산은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스크류 나사산 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SCREW FOR JUICING AND JUICER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등을 압착 및 분쇄시켜 착즙 주스를 생성하는 착즙기에 사용되는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위하여 녹즙이나 주스를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단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기기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에 주스기는 재료를 유입구에 넣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에 의해 파쇄하여 원심분리방식으로 주스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스기는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서 재료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가 있고, 줄기나 잎으로 된 야채로는 녹즙을 만들기가 어려웠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 주스를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콩으로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에서는 망드럼과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사이에서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마치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하여 두유로 만들고 토마토, 키위, 딸기와 같이 점도가 높은 과일 등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작용효과가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 주스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었다.
근래에는 착즙기의 착즙 효율을 개선하고자 착즙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품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스크류는 착즙 대상을 직접적으로 분쇄 및 압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착즙기의 착즙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의 구조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를 도시하고 있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는 스크류 몸체의 상단에 상면(10)이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그 측면으로 스크류 나사산(12)이 하측으로 경사를 가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위 각각의 스크류 나사산 사이로 착즙 대상이 투입, 이송된다. 위와 같이 투입된 착즙 대상은 경사를 가진 스크류 나사산 면을 타고 스크류 하부로 안내되면서 압착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스크류 상면이 차지하는 면적 때문에 스크류 상부로부터 직경이 큰 재료를 투입시키는 경우 절삭 또는 분쇄되지 않고 스크류의 상부에 머무르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유입구에 재료를 넣기 전에 사전에 미리 재료를 잘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상면은 착즙 재료를 하부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데 장애로 작용하여 착즙 처리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유입구에 재료를 넣기 전에 사전에 미리 재료를 절단할 필요가 없는 대구경 착즙기가 개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1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착즙기는 유입구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파쇄부와 파쇄가공부에 의해 크기가 큰 재료를 미리 파쇄시켜 스크류 상부의 편심된 일측으로 파쇄된 재료를 공급시키도록 하여 스크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크기가 큰 재료를 착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재료의 유입구가 스크류의 상부가 아닌 스크류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즙 주스기의 형태가 커지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스크류의 일측으로 투입된 재료를 파쇄시키는 파쇄부의 형성으로 스크류의 상하 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140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류 몸체의 가장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 나사산에 대하여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진 스크류 나사산 날을 형성하여, 스크류 상부로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를 키우고 착즙 대상을 스크류 하부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착즙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어서, 대용량의 착즙기에 사용될 수 있는 착즙기용 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가 사용되는 대용량의 착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스크류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몸체의 가장 상측으로 나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스크류 나사산 날을 형성하는 착즙기용 스크류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상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볼록한 호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일직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호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몸체의 상단부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몸체의 최장 반경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본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착즙 재료로부터 착즙된 즙을 배출하는 즙 배출구 및 나머지 찌꺼기를 배출하는 찌꺼기 배출구가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즙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망공이 형성된 망드럼; 상기 망드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하여 회전하는 전술한 착즙기용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고, 상기 착즙 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은 상기 스크류의 상단부를 덮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의 상부 회전축과 결합하는 축결합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덮개부의 편심된 일측에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의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반경 바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즙 재료가 이동하는 투입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망드럼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수용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은 아래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원주 방향 단부는 내측면의 돌출 길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망드럼의 내측면과 부드럽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 바깥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의 형상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에 따르면 스크류의 상단에 상면을 형성하지 않고 스크류 나사산 날을 형성하도록 하여 스크류 상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여 유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재료의 소분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의 반경 방향 및 스크류 나사산이 아래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착즙 대상을 하부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서 착즙 처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소분 사이즈가 큰 재료를 스크류의 편심된 일측으로 투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의 상부로부터 투입시킬 수가 있으므로 스크류의 상하 길이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스크류 상측에서 개방된 유입구를 통해 스크류의 반경보다 크기가 큰 재료를 투입하게 함으로써, 전체 착즙기의 형상을 더욱 컴팩트하고 간단한 형태로 제작할 수가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체 부분을 제외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고, 하우징 하부의 브러쉬 회전수단을 분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찌꺼기 개폐기구를 동작을 설명하는 하우징 하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망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의 (a)와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망드럼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도 2에서의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A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B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4 내지 도 18의 변형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4 내지 도 18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상측', '상부', '상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며, '하측', '하부', '하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의 반대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본체 부분을 제외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고, 하우징 하부의 브러쉬 회전수단을 분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찌꺼기 개폐기구를 동작을 설명하는 하우징 하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망드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3의 (a)와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망드럼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도 2에서의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A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B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4 내지 도 18의 변형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4 내지 도 18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뚜껑(100), 하우징(200), 망드럼(300), 스크류(400) 및 본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회전브러쉬(60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체(500)의 상부에 하우징(200)이 결착되고, 하우징(200) 내부에 회전브러쉬(600), 망드럼(300) 및 스크류(400)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00)을 덮는 뚜껑(100)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가 조립되고, 상기의 역순으로 각 구성요소들은 분리될 수가 있다.
뚜껑(100)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체결되어 하우징(200)의 상부를 덮고, 내부로 야채, 과일 등과 같은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부재이다. 상기 뚜껑(100)은 덮개부(110) 및 투입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덮개부(110)는 후술하는 스크류(400)의 상단부를 덮고, 내측 중앙에는 스크류(400)의 상부 회전축(440)과 결합하는 축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400)의 상부 회전축(440)이 양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덮개부(110)에 형성되는 축결합부(112)는 상부 회전축(440)이 삽입되는 음각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나, 음각과 양각의 구성이 스크류(400)의 상부 회전축(440)과 덮개부(110) 사이에 각각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덮개부(110)의 내측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400)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의 형상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스크류(400)에 관한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덮개부(110)의 편심된 일측에는 스크류(400)의 상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유입구(114)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114)는 상기 축결합부(112)의 일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직사각에 가까운 형태의 개구로 형성되어 있으나, 유입구(11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반경 방향 외측의 유입구(114) 면은 뚜껑(100) 및 망드럼(300) 상단 가장자리의 형상에 따라 원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14)는 스크류(400)의 상부에 형성되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입구(114)의 단면 폭 방향은 스크류(4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유입구(114)의 폭은 스크류(400)의 반경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가 있다. 즉, 스크류(400)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스크류(400)의 반경보다 더 큰 착즙 재료가 스크류(400)의 상부로 투입될 수가 있다. 이때, 유입구(114)의 바로 아래에서 후술하는 스크류(400)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이 회전을 하며 유입구(114)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키게 된다.
덮개부(110)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결착턱(116)이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232)와 함께 뚜껑(100)을 하우징(200) 상부에 체결시킬 수가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덮개부(110)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턱(118)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망드럼(300)의 상단면을 가압하여 망드럼(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원주 방향 중 유입구(114)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단턱(118)이 형성되지 않는데, 단턱(118)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망드럼(300)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05)의 상단이 위치하게 된다.
투입부(130)는 유입구(114)와 관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단의 재료투입구(142, 144)를 통해 투입된 착즙 재료를 투입 채널(135)을 통과시켜 투입 채널(135) 하단의 유입구(114)를 통해 공급시킨다.
상기 투입부(130)는 투입 채널(135) 및 호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투입 채널(135)은 덮개부(110)에 형성된 유입구(114)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재료가 관통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착즙 재료가 스크류(400)의 측면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400)의 상측에서 공급되므로 상기 투입 채널(135)을 유입구(114)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투입 채널(135)을 포함하는 뚜껑(100)이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투입 채널(135)의 상단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호퍼부(140)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덮개부(110)의 수직 방향 상측에 호퍼부(140)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투입 채널(135)이 덮개부(110)의 일측에 형성됨에 따라서 투입 채널(135) 상단의 개구(136)도 호퍼부(140)의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부(140)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위치에 따라서 경사 각도가 다를 수가 있다. 호퍼부(140)의 상단에는 개방된 상면의 일부를 덮는 재료투입구 형성면(1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재료투입구 형성면(141)에는 원형의 제 1 재료투입구(142)가 형성된다. 이때, 호퍼부(140)의 상단에는 재료투입구 형성면(141)이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개구 부분인 제 2 재료투입구(144)가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재료투입구(142)는 투입 채널(135)의 관통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투입 채널(135)의 수직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제 1 재료투입구(142)를 통해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착즙 재료를 투입시키도록 하여, 수직 아래의 투입 채널(135)을 통해 스크류(400) 상부의 유입구(114)로 착즙 재료를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재료투입구(144)는 제 1 재료투입구(14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착즙 재료를 제 2 재료투입구(144)를 통해 투입시키면 호퍼부(140) 내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재료투입구 형성면(141)과 투입 채널(135) 사이의 측면 개구(145)를 통해 투입 채널(135)로 유입되어 스크류(400) 상부의 유입구(114)로 착즙 재료를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재료투입구(142)를 통해 크기가 작은 착즙 재료를 넣고, 제 2 재료투입구(144)를 통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착즙 재료를 분리하여 넣을 수가 있다.
하우징(2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용기 형상을 가지고 착즙에 의해 분리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하우징(200)은 본체(500) 상부에 결착되며, 내부에는 망드럼(300) 및 스크류(400)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부에는 뚜껑(100)이 체결될 수가 있다. 또한, 회전브러쉬(600)도 내부에 장착시킬 수가 있다.
하우징(200)의 상단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결착돌기(232)가 형성되는데, 결착돌기(232) 사이에 전술한 뚜껑(100)의 결착턱(116)을 위치시키고 뚜껑(100)을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착돌기(232) 아래에 결착턱(116)을 체결하여 뚜껑(100)을 하우징(200)에 결합시킬 수가 있다. 이때, 결착돌기(232)의 일측 아래에는 돌출된 회전 방지턱(234)이 형성된다. 뚜껑(100)을 가압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200)에 체결시킬 때 결착턱(116)이 결착돌기(232) 아래에 위치하여 상하 체결되었을 때 회전 방지턱(234)이 결착턱(116)의 측면과 접촉하여 추가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뚜껑(100)의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00)의 저면 중앙에는 관통공(242)이 형성된 방수원통(240)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42)을 통해 후술하는 스크류(4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본체(500)의 구동축(510)과 결합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0) 하단부에 브러쉬 회전수단이 형성되어, 본체(500)의 구동축(510)과 결합되는 브러쉬 회전수단의 제 1 축기어(252)가 관통공(242) 상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축기어(252)에 스크류(400)의 하부 회전축(450)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동축(510)과 결합된다. 즉, 브러쉬 회전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축(510)과 관통공(242)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400)의 하부 회전축(450)이 직접 결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모터의 구동축(510)과 스크류(400)의 하부 회전축(450) 사이에 브러쉬 회전수단의 제 1 축기어(252)가 사이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원통(240)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공(242)을 통하여 즙이 본체(5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242) 가장자리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패킹링(244)이 삽입되어, 즙이 본체(5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하우징(200)의 하단부 외측에는 즙이 배출되는 즙배출구(210)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배출구(220)가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파이프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즙배출구(210)의 단부에는 즙배출캡(212)이 형성되어 즙배출캡(212)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즙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즙을 하우징(200) 내부에 저장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즙배출캡(212)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에 의해 단부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나, 즙배출캡(212)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망드럼(300) 내부에서 착즙된 즙은 망드럼면에 형성된 망공(302)을 통해 망드럼(300) 바깥으로 유출되어 하우징(200) 저면으로 흘러내려 저면과 연통되는 즙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망드럼(300) 내부에서 착즙에 의해 분리된 찌꺼기는 망드럼(300)의 하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망드럼(300)의 망드럼배출공(312) 및 하우징(200) 저면 일측에 형성된 찌꺼기배출공(202)을 통과하여 찌꺼기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즙배출구(210)와 찌꺼기배출구(220)를 통해 즙과 찌꺼기가 서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망드럼(300)은 하우징(200)에서 즙배출구(210) 및 찌꺼기배출구(220)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하우징(200)에서, 상기 망드럼(300)의 외측 부분을 구성하는 공간은 즙배출구(210)와 연통되며, 상기 망드럼(300)의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공간은 상기 찌꺼기배출구(220)와 연통된다.
하우징(200)과 망드럼(300) 사이에는 회전브러쉬(6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회전브러쉬(600)는 하우징(200)과 망드럼(300) 사이에서 회전 구동되면서 하우징(200)의 내주면과 망드럼(300)의 외주면을 지속적으로 쓸어내도록 한다. 따라서 망드럼(300)의 망공(302) 및 하우징(200) 외주면에 맺힌 즙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하우징(200) 바닥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회전브러쉬(600)는 세척을 위한 경우에 세척을 위한 수단으로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망드럼(300) 및 하우징(200)에는 즙 내지는 찌꺼기 등이 끼여있거나 들러붙게 되는데, 세척을 위하여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의 회전은 찌꺼기 등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용 브러쉬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전브러쉬(600)는 상부의 링 형태의 상부링 프레임(602), 하부의 링 형태의 하부링 프레임(604), 상부링 프레임(602)과 하부링 프레임(604)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606) 및 연결 프레임(606) 상에 고정되는 제 1 브러쉬 부재(610) 및 제 2 브러쉬 부재(612)로 구성될 수가 있다.
회전브러쉬(600)의 가장자리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하우징(200)의 내주면을 지속적으로 쓸어내는 제 1 브러쉬 부재(610)가 구비되고 회전브러쉬(600)의 가장자리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망드럼(300)의 외주면을 지속적으로 쓸어내는 제 2 브러쉬 부재(612)가 구비된다. 하우징(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1 브러쉬 부재(610)의 외측 단부의 형상은 하우징(20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반면에, 망드럼(3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 2 브러쉬 부재(612)는 상하부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데, 제 2 브러쉬 부재(612)는 망드럼(300) 외주면의 망공(302)을 쓸어내기 위한 것으로 망드럼(300)의 외주면 형상 및 망공(302)의 위치에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형성될 수가 있다.
제 1 브러쉬 부재(610) 및 제 2 브러쉬 부재(612)는 하우징(200)의 내주면과 망드럼(300)의 외주면을 부드럽게 쓸어낼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연질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브러쉬(600)의 하부링 프레임(60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브러쉬링기어(605)가 형성되는데, 브러쉬링기어(605)는 하우징(200) 바닥면의 외측 일측에 형성되는 연동기어(270)에 외접 또는 내접되어 연결됨에 따라 회전브러쉬(600)가 연동기어(27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브러쉬 회전수단이 구비되는데, 브러쉬 회전수단은 본체(500) 구동축(51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스크류(400)와 회전브러쉬(600)를 함께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브러쉬 회전수단은 본체(500) 구동축(510)과 하우징(200) 바닥면에 장착된 연동기어(270) 사이를 전동 연결하는 기어모듈로 형성될 수가 있다. 브러쉬 회전수단은 본체(500) 구동축(510)과 스크류(400)의 하부 회전축(450)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510)에 의해 스크류(400)와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브러쉬 회전수단은 외주면에는 제 1 기어부(253)가 형성되는 제 1 축기어(252)와, 상단은 연동기어(270)의 중심축에 결합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제 1 기어부(253)와 기어 결합되는 제 2 기어부(256)가 형성되는 제 2 축기어(25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 1 축기어(252)의 상단부는 하우징(200) 저면의 관통공(242)을 통해 삽입되어 스크류(400)의 하부 회전축(450)과 결합한다. 또한, 브러쉬 회전수단은 제 1 축기어(252)의 제 1 기어부(253)와 제 2 축기어(255)의 제 2 기어부(256)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기어(25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브러쉬 회전수단이 설치된 하우징(200)의 하부면에는 브러쉬 회전수단용 커버(275)가 결합될 수 있다. 브러쉬 회전수단용 커버는 전술한 브러쉬 회전수단의 하부를 덮어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패킹과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200)의 하부면에 방수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브러쉬(600)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면, 제 1 및 제 2 축기어(252, 255)와 전동기어(258)를 포함하는 브러쉬 회전수단이 본체(500)의 구동축(510)과 하우징(200) 바닥면의 연동기어(27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본체(500)의 구동축(5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제 1 기어부(253)를 포함하는 제 1 축기어(252)도 구동축(51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기어부(253)와 제 2 기어부(256)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기어(25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기어부(256)를 포함하는 제 2 축기어(25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 2 축기어(25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연동기어(2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연동기어(270)에 외접하며 기어 결합되는 브러쉬링기어(605)에 의해 회전브러쉬(600)가 최종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브러쉬(600)는 본체(500)의 구동축(510)에 따른 스크류(4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찌꺼기가 배출되는 경로상에는 찌꺼기개폐기구(2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찌꺼기개폐기구(280)는 망드럼(300) 저면에 형성된 망드럼배출공(312)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망드럼(30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200)의 찌꺼기배출공(20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망드럼배출공(312)이 형성된다. 즉, 망드럼(300) 내부에서 분리된 찌꺼기가 망드럼(300)의 망드럼배출공(312) 및 찌꺼기배출공(20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찌꺼기배출구(220)로 빠져나가도록 이루어진다.
도 1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망드럼배출공(312)에는 경로를 차단하는,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찌꺼기패킹(314)이 개재될 수도 있다. 찌꺼기패킹(314)은 일측만 고정되어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망드럼배출공(312)을 폐쇄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특히, 상측에서 하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망드럼배출공(312)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찌꺼기개폐기구(280)는 찌꺼기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망드럼배출공(312)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개폐기구(280)는 상기 망드럼배출공(312)의 하단에 밀착하여 망드럼배출공(312)을 개폐할 수 있고, 찌꺼기패킹(314)이 구비되는 경우 찌꺼기패킹(31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망드럼배출공(312)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찌꺼기개폐기구(280)는 회동레버(282)와, 회동레버(282)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망드럼배출공(312)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회동패널(284)로 이루어진다. 망드럼배출공(312)에 찌꺼기패킹(314)이 구비되는 경우 회동패널(284)을 상기 찌꺼기패킹(314)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동레버(282)는 하우징(20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회동레버(282)의 단부가 하우징(200)의 측벽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회동레버(282)의 조작에 의해 회동패널(284)이 이동하면서 망드럼배출공(312)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회동패널(284)은, 기본적으로 상기 찌꺼기의 이동경로를 밀폐하거나 찌꺼기패킹(314)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레버(282)의 조작에 따라서 망드럼배출공(312) 또는 찌꺼기패킹(314)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적량의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찌꺼기개폐기구(280)는 찌꺼기가 충분히 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즙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찌꺼기패킹(314)이 구비된 경우에는 배출되는 찌꺼기의 1차적인 저지는 찌꺼기패킹(314)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2차적인 저지는 찌꺼기개폐기구(280)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망드럼(300)은 하우징(200) 내부에 결착되며 내부에 스크류(400)를 수용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망드럼(300)과 하우징(200) 사이에는 회전브러쉬(600)가 형성될 수가 있다. 뚜껑(100)의 유입구(114)로부터 투입된 착즙 재료는 스크류(400)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되어 하부로 이송되어 망드럼(300)과 스크류(4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망드럼(300)과 스크류(400)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는 스크류(400)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압착 및 분쇄되고 이 과정에서 착즙된 즙은 망드럼(3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망공(302)을 통해 망드럼(300) 외부로 배출된다.
망드럼(30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 또는 전체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망드럼(300)의 하단에는 스크류(400)의 하부링(412)을 감싸도록 삽입공(311)이 형성된 바닥링(310)이 형성되어 망드럼(300)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바닥링(3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스크류(400)의 회전방향으로 깊이가 점점 깊어지는 원호 형태의 배출경사면(316)이 형성되고, 배출경사면(316)의 끝단에는 착즙을 마친 찌꺼기를 망드럼(300) 외부로 배출시키는 망드럼배출공(312)이 형성된다. 망드럼배출공(312)은 하우징(200)의 찌꺼기 배출구(220)와 연결되어 찌꺼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망드럼(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망드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하는 망공(302)이 형성된다.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재료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즙이 아닌 재료가 망공(302)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망공(302)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망공(302)은 반경 방향으로는 망공(302)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여 망공(302) 내의 즙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망공(302)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제작하거나, 망공(302)의 중간에 단턱을 형성하여 망드럼(300) 내측면의 망공(302)보다 망드럼(300) 외측면의 망공(302)이 커지게 형성할 수가 있다.
제 1 리브턱(320)은 망드럼(300)의 내측면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스크류(400)와 함께 스크류(400)와 망드럼(300)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를 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재료가 스크류(4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400)를 따라 하부로 이송됨에 따라서 더욱 잘게 분쇄될 수 있도록 제 1 리브턱(320)의 돌출 높이는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장착되는 스크류(400)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 제 1 리브턱(320)의 중간에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크류(400)의 상부와 제 1 리브턱(320)의 상호 작용으로 재료가 분쇄 및 압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즙이 망공(302)을 통해 망드럼(300) 외부로 배출된다.
상하부의 망공(302)이 형성되는 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밀폐구조로 망드럼(300)의 강성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또한, 이 부위에서 재료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시키므로 망구조가 아닌 밀폐구조로 형성하여 분쇄되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망공(302)으로 빠져나가면서 망에 끼이거나 즙 내부에 썩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깨끗한 즙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리브턱(330)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재료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제 1 리브턱(320)은 망드럼(300)의 내측면 상하단을 걸쳐서 길게 형성되나, 제 2 리브턱(330)은 망드럼(300) 중간에 형성되어 제 1 리브턱(320)과 비교하여 그 길이가 짧다. 또한, 상기 제 1 리브턱(320)은 망드럼(300)의 원주 방향으로 1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상기 제 2 리브턱(330)은 원주 방향으로 제 1 리브턱(320) 보다 그 개수가 훨씬 많게 형성하여 재료를 잘게 분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 리브턱(330)도 제 1 리브턱(320)과 마찬가지로 하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리브턱(3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망공면은 스크류(400)와의 거리가 가장 근접하며 스크류(400)의 회전에 따른 강한 압력으로 재료를 더욱 잘게 분쇄시키며 압착에 의해 즙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망드럼(300)의 상단 개구부가 전술한 뚜껑(100)의 유입구(114)를 수용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망드럼(300)의 상단부 일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05)가 형성될 수가 있다. 즉,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망드럼(300)의 상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유입구(114)의 반경방향 가장자리와 망드럼(300)의 돌출부(305)를 상하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부(305)를 포함하는 망드럼(300)의 상단 개구부가 유입구(114)를 수용하도록 한다. 돌출부(305)의 내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유입구(114)의 단면 폭 방향은 스크류(4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돌출부(305)를 통해 유입구(114)와 망드럼(300)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시킴으로써 유입구(114)에서 스크류(400) 상단을 향하는 스크류 나사산 날(425)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된 재료가 망드럼(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망드럼(300)과 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유입구(114) 및 돌출부(305)의 구성에 의해 스크류(400)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스크류(400)의 상부에서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단면적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망드럼(300) 상단면은 뚜껑(100)의 덮개부(110) 내측면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118)에 의해 가압될 수가 있다. 원주 방향 중 유입구(114)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단턱(118)이 형성되지 않는데, 상기 단턱(118)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망드럼(300)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05)의 상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305)의 내측면은 망드럼(300)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스크류(400)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에 의에 분쇄 및 압착되어 돌출부(305)로 유입된 착즙 재료가 자중에 의해 망드럼(30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305)의 원주 방향 단부에는 내측면의 돌출 길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가이드부(306)가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즉, 돌출부(306)의 원주 방향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306)가 형성되지 않은 망드럼(300)의 내측면 부분과 원주 방향으로 부드럽게 연장 연결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306)가 형성되지 않으면 돌출부(305) 가장자리와 망드럼(300) 내측면이 형성하는 단턱에 착즙 재료가 끼어서 착즙 재료가 원활하게 아래로 이송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부(306)에 의해 돌출부(305)가 형성하는 내측면과 망드럼의 내측면을 자연스럽게 연장되도록 하여 스크류(300)의 회전과 함께 착즙 재료가 회전하며 아래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가 있다. 상기 가이드부(306)는 돌출부(305)의 양측 단부 중 스크류(400)의 회전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305)는 유입구(114)의 반경 방향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유입구(114)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부(306)는 유입구(114)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구(114)로부터 아래로 유입되는 착즙 재료에 대하여 가이드부(306)가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400)는 망드럼(30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500)의 구동축(5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며 망드럼(300)과 스크류(400)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를 하부로 이동시키며 망드럼(300)과의 상호 작용으로 압착 및 분쇄에 의해 착즙을 수행한다.
스크류(4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몸체(410) 및 스크류 몸체(410)의 외주면에 나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사산(4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류 몸체(410)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410)의 반경이 가장 큰 부분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질 수가 있다. 스크류 몸체(41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아래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착즙에 의해 분리된 찌꺼기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가 있다. 하지만, 스크류 몸체(410)의 하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경의 변화 없이 아래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 몸체(410)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410)의 하부에 비해서 높이 변화에 따른 반경의 변화 폭이 크다. 따라서, 스크류 몸체(410)의 최선단은 반경이 가장 작고 아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형상에 따라 크기가 큰 재료가 압착 및 분쇄에 의해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서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스크류 몸체(410) 상부의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스크류 나사산(420)과 함께 스크류 몸체(410)가 형성하는 재료가 이송하는 공간의 크기는 재료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즉, 스크류(400)의 회전에 의해 재료는 압착 및 분쇄되어 그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서 하향하는 스크류 나사산(420)을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이송 공간을 따라 스크류(400) 아래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스크류 몸체(410)의 하부는 하우징(200) 바닥면의 방수원통(2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데, 내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구동축(510)과 결합하는 하부 회전축(450)이 형성된다. 하부 회전축(450)은 각형의 축공(452)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회전축(450)의 축공(452)이 각형의 구동축(510)에 삽입되어 직접 결합될 수가 있고, 회전브러쉬(6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우징(200)의 하부에 브러쉬 회전수단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부 회전축(450)의 축공(452)이 브러쉬 회전수단의 제 1 기어 축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가 있다.
스크류 몸체(410)의 상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상부 회전축(440)이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상부 회전축(4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100)의 덮개부(110) 내측면에 형성된 축결합부(1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가 있다.
스크류 나사산(420)은 스크류 몸체(410)의 외주면에 나선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스크류 나사산(420)에 의해 스크류(400)와 망드럼(30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하측으로 이송을 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 나사산(420)은 망드럼(300)과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 몸체(410)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므로 스크류 몸체(410)의 상부로 갈수록 스크류 나사산(420)의 돌출 높이는 커지게 형성된다. 이때, 스크류 몸체(4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나사산(420)은 스크류 몸체(410)의 최장 반경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류 나사산(420)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본 고안에서 어느 하나의 나사산은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나선의 형태로 스크류 몸체(410)의 상단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410) 상단으로 연장되는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은 스크류 몸체(4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두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400)의 형상이 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스크류(400)가 회전할 때 회전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때, 스크류 몸체(410)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스크류 나사산을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 및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이라고 칭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과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은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이 상부로 연장될 때 스크류 나사산(420-1, 420-2) 연장 방향으로 일단에 스크류 나사산 날(425)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400) 상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상면(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10)과 스크류 나사산(12)이 연결되었기 때문에 스크류 나사산(12)의 연장 방향으로는 스크류 나사산 날이 형성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 및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은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이 돌출되는 돌출 방향뿐만 아니라 스크류 나사산(420-1, 420-2) 상단에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의 연장 방향으로도 스크류 나사산 날(425)을 형성한다. 상기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이 나선의 형태로 상부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서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축 방향으로 상향의 경사진 날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 및 제 2 스크류 나사산(420-1)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425)이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전술한 뚜껑(100)의 덮개부(110) 내측면도 스크류(400)의 상단부 형상에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덮개부(110)의 내측면은 스크류 나사산 날(425)과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스크류(400) 상단에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의 연장 방향으로 스크류 나사산 날(425)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입구(114)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425)의 회전에 의해 분쇄시킬 수가 있으며, 종래에 스크류 상단에 수평의 상면(10)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크류(400) 상측으로 유입구(114)를 통해 착즙 재료가 유입되는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크류(400)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착즙 재료의 크기가 커질 수가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14)를 스크류(4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함에 따라서 이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과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은 나선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하향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 및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400) 상단 부분의 스크류 나사산면은 반경 방향으로도 하향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425)에 의해 더욱 작은 크기로 분쇄 및 압착된 착즙 재료가 스크류 나사산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아래로 이송시킬 수가 있다. 즉, 스크류(400) 상단의 스크류 나사산면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는 스크류 몸체(410) 쪽에 집중되지 않고, 반경 방향으로도 넓게 분산되어 스크류 나사산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될 수가 있다. 따라서, 착즙 재료를 스크류(400) 하부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가 있어서 착즙 처리속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때,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로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호의 형태를 가질 수가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일직선 형태일 수가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스크류 나사산(420-1, 420-2)이 연장되는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호의 형태를 가질 수가 있다. 도 19 및 도 20의 경우에도 스크류 나사산 날(425)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410)의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나선으로 형성되는 제 3 스크류 나사산(420-3)이 제 1 스크류 나사산(420-1)과 제 2 스크류 나사산(420-2) 사이에 복수 개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크류 몸체(410)에 형성되는 이웃하는 스크류 나사산(420) 사이의 폭은 스크류 몸체(410)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스크류 몸체(410)의 하부에서는 다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420)에 의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류(400)의 상부측에서는 크기가 큰 착즙 대상을 분쇄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스크류(400)의 하부측에서는 분쇄 및 압착하여 착즙 기능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몸체(410)의 하단부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414)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가 있다. 찌꺼기 안내턱(414)은 스크류(400)가 회전할 때 착즙에 의해 분리되어 망드럼(300) 아래로 이송된 찌꺼기들을 하측으로 쓸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400) 하단부 반경 외주면에 형성된 찌꺼기 안내턱(414)에 의해 망드럼(300) 아래에 걸린 찌꺼기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찌꺼기 안내턱(414)이 형성되는 스크류(400)의 하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찌꺼기를 밀어내는 압력이 작거나 찌꺼기의 일부가 스크류 나사산(420)의 골에 걸리게 되면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스크류(400)에 높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전체 착즙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류(400)의 하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스크류(400) 하단부까지 안내된 찌꺼기가 위 단차진 부분에서 착즙 압력을 받으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400) 하단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414)에 의해 스크류(400)의 하단부로 압송된 찌꺼기들을 그 하측으로 쓸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본체(500)는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며 상부에는 전술하는 하우징(200)이 결착된다.
본체(500)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502)가 형성되는데, 하우징(200) 하면에는 상기 고정돌기(502)의 대응 위치에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돌기(502)에 고정홈을 끼우는 방식으로 본체(500)와 하우징(200) 사이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가 있다.
본체(500) 내부에 스크류(4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가 있다.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될 수가 있으나, 감속기 없이 저속 모터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재료를 미세하게 파쇄시키는 종래 믹서기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스크류(400)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여 착즙을 수행하는 착즙 주스기와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스크류(400)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본체(500)의 상면으로부터 모터의 구동축(510)이 돌출되는데, 구동축(510)은 스크류(400)와 직접 결합하거나 전술한 제 1 축기어(252)와 결합하여 스크류(40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뚜껑 110: 덮개부
112: 축결합부 114: 유입구
116: 결착턱 118: 단턱
130: 투입부 135: 투입 채널
136: 개구 140: 호퍼부
141: 재료투입구 형성면 142: 제 1 재료투입구
144: 제 2 재료투입구 145: 개구
200: 하우징 202: 찌꺼기배출공
210: 즙배출구 212: 즙배출캡
220: 찌꺼기배출구 232: 결착돌기
234: 회전 방지턱 240: 방수원통
242: 관통공 244: 패킹링
252: 제 1 축기어 253: 제 1 기어부
255: 제 2 축기어 256: 제 2 기어부
258: 전동기어 270: 연동기어
275: 커버 280: 찌꺼기개폐기구
282: 회동레버 284: 회동패널
300: 망드럼 302: 망공
305: 돌출부 310: 바닥링
311: 삽입공 312: 망드럼배출공
314: 찌꺼기패킹 316: 배출경사면
320: 제 1 리브턱 330: 제 2 리브턱
400: 스크류 410: 스크류 몸체
412: 하부링 414: 찌꺼기 안내턱
420: 스크류 나사산 425: 스크류 나사산 날
440: 상부 회전축 450: 하부 회전축
452: 축공 500: 본체
502: 고정돌기 510: 구동축
600: 회전브러쉬 602: 상부링 프레임
604: 하부링 프레임 605: 브러쉬링기어
606: 연결 프레임 610: 제 1 브러쉬 부재
612: 제 2 브러쉬 부재

Claims (20)

  1. 스크류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몸체의 가장 상측으로 나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스크류 나사산 날을 형성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착즙기용 스크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두 개 형성되는 착즙기용 스크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착즙기용 스크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으로 볼록한 호의 형태인 착즙기용 스크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일직선 형태인 착즙기용 스크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호의 형태인 착즙기용 스크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몸체의 상단부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착즙기용 스크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몸체의 최장 반경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착즙기용 스크류.
  10.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본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착즙 재료로부터 착즙된 즙을 배출하는 즙 배출구 및 나머지 찌꺼기를 배출하는 찌꺼기 배출구가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즙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망공이 형성된 망드럼;
    상기 망드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고, 상기 착즙 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착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스크류의 상단부를 덮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의 상부 회전축과 결합하는 축결합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덮개부의 편심된 일측에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형성되는 착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반경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착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즙 재료가 이동하는 투입 채널이 형성되는 착즙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수용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착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은 아래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착즙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원주 방향 단부는 내측면의 돌출 길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착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망드럼의 내측면과 부드럽게 연장 형성되는 착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착즙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 바깥에 형성되는 착즙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은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은 상기 스크류 나사산 날의 형상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착즙기.
KR2020190002406U 2019-06-13 2019-06-13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200002766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06U KR20200002766U (ko) 2019-06-13 2019-06-13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PCT/KR2019/018018 WO2020251125A1 (ko) 2019-06-13 2019-12-18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20210000456U KR200494673Y1 (ko) 2019-06-13 2021-02-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06U KR20200002766U (ko) 2019-06-13 2019-06-13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56U Division KR200494673Y1 (ko) 2019-06-13 2021-02-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66U true KR20200002766U (ko) 2020-12-23

Family

ID=7378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06U KR20200002766U (ko) 2019-06-13 2019-06-13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2766U (ko)
WO (1) WO2020251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777178U (zh) * 2021-05-31 2022-02-11 中山市瑞米智能科技有限公司 榨汁组件和榨汁机
CN113662202B (zh) * 2021-08-02 2023-02-07 浙江科技学院 一种新型枇杷专用打浆去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101270140B1 (ko)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51188U (zh) * 2012-07-16 2013-02-27 孔刘坤 螺旋推进器
KR101858127B1 (ko) * 2013-09-05 2018-05-16 코웨이 주식회사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640129B1 (ko) * 2013-11-27 2016-07-18 김영기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8006608A1 (zh) * 2016-07-06 2018-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旋头、碾碎组件及食物料理机
KR200491517Y1 (ko) * 2017-0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101270140B1 (ko)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125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811B2 (en) Juicer module and vertical screw juicer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74820A (ko) 착즙기
KR200490466Y1 (ko) 착즙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20032955A (ko) 일체화 가능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2619253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KR20120012038A (ko)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RU2448633C1 (ru) Модуль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шнеком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213757715U (zh) 榨汁机
KR20210000250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