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820A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820A
KR20170074820A KR1020160177016A KR20160177016A KR20170074820A KR 20170074820 A KR20170074820 A KR 20170074820A KR 1020160177016 A KR1020160177016 A KR 1020160177016A KR 20160177016 A KR20160177016 A KR 20160177016A KR 20170074820 A KR20170074820 A KR 20170074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drum
debris
speed reduc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380B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ublication of KR2017007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그 내측에 구동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스크류와 망드럼을 구비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연직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A JUICE SQUEEZING EXTRACTO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착즙드럼의 직하방으로 바로 낙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찌꺼기를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분쇄물 또는 아이스크림 등의 제조물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착즙 드럼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망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터는 착즙 드럼의 하부에 장착되며,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착즙드럼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착즙기 구조는 보통 즙과 찌꺼기가 각각 측면으로 분리 배출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찌꺼기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방식에 의하면 샐러리와 같은 섬유질이 질긴 재료들이 착즙될 때에는 찌꺼기가 압력을 받아 측방향으로 밀고 나가려는 성향을 갖게 되고, 찌꺼기 배출이 원할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찌꺼기가 착즙드럼 내부에서 엉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위와 같이 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커진다.
또한, 구동축이 착즙 드럼을 관통하기 때문에, 구동축과 착즙 드럼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가 손상될 경우, 착즙 드럼 내측의 즙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누출된 즙이 구동축을 타고 모터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한 구동부를 착즙 드럼의 상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동부를 비교적 상부에 배치하게 되면, 구동부와 연결된 구동축은 착즙드럼의 상부에서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 측으로 즙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구동부의 중량이 다른 구성요소보다 비교적 크기 때문에 착즙기가 작동할 때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상부 배치는 착즙기의 무게 중심을 높게 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어렵게 한다. 또한, 이러한 상부 구동형 착즙기는 제조하기가 비교적 어렵고 양산성도 떨어진다. 그리고 구동축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방식이므로, 착즙드럼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이 돌출된 구동축의 간섭을 받게 되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 모터를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하고, 감속기를 하우징의 중앙부로부터 착즙 드럼 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며, 착즙 드럼으로부터 찌꺼기가 연직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그 내측에 구동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스크류와 망드럼을 구비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연직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구는 상기 망드럼의 하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망드럼 배출구와 원주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드럼 배출구와 상기 찌꺼기 배출구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망드럼 배출구와 상기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착즙 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의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지면과 수평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감속기의 타단에는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축이 높이 방향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복수개의 기어 또는 밸트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중앙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된 감속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찌꺼기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는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수용하는 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컵은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에 끼워지는 유입구가 형성된 컵 커버;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이 수용되는 컵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는 높이 방향으로 개구되고 폭 방향으로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감속기가 장착되는 감속기 하우징;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축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축 하우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서 원형의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즙 드럼을 안착하도록 구비되는 안착부; 및 상기 구동축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의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중간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의 다른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다리가 배치되어, 상기 착즙 드럼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찌꺼기가 지면을 향하여 연직하방으로 떨어지게 되어 찌꺼기 배출이 매우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즙 배출로를 폐쇄하거나 망공이 없는 분쇄망을 이용할 경우, 분쇄물이 지면을 향하여 연직하방으로 떨어지게 되어 배출이 매우 원활해진다. 아이스크림 또는 스무디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도, 이러한 효과는 더욱 증폭된다.
또한, 상부에 구동부를 설치한 것에 비하여 무게 중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착즙기의 구동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감속기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감속기와 지면 사이에 공간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기가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축이 하우징에서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감속기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착즙드럼을 탈착할 때 다른 구성요소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그 장착 및 해체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구동모터가 착즙드럼의 측부에 배치되어 착즙드럼으로부터 즙 등이 구동모터 측으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제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컵이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드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드럼 내측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하측 지지부(120)측(도면에서 좌측)은 '일측', '일단', '일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본체부(110)측(도면에서 우측)은 '타측', '타단', '타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지면에 가까운 방향(도면의 하측)은 '하측', '하면', '하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고,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상측)은 '상측', '상면', '상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한편, 도면의 좌측 및 우측은 '폭 방향'으로 지칭하고, 도면의 상측 및 하측은 '높이 방향'으로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컵이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상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착즙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착즙기들 중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착즙기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착즙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내부 구조물과 관련하여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1)는 하우징(100), 착즙드럼(200), 스크류(300), 망드럼(400), 브러시(500), 그리고 커버(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지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하단에서 지면을 따라 연장되는 하측 지지부(120),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착즙드럼(200)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상측 지지부(130), 그리고 본체부(110)의 중앙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속기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스크류(300)로 전달하는 구동부(150)가 구비된다. 구동부(150)는 회전 운동하는 구동 모터(160)와, 구동 모터(1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감속기(170)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60)는, 도 5를 참조하면, 지면의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이 회전축(165)에는 감속기(170)가 연결된다. 구동 모터(160)는 진동을 억제하고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는데, 착즙기(1)의 용도 또는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동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감속기(170)는 본체부(110)의 중앙부로부터 감속기 하우징(140)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감속기(170)는 그 일단은 구동 모터(16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감속기(170)의 타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구동축(180)이 구비되고, 이 구동축(180)에 의하여 스크류(300)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80)은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구동축이 적용될 수 있다.
감속기(170)는 구동 모터(160)로부터 구동축(180)까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기어들은 다양한 기어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평 기어, 베벨 기어, 나사 기어, 그리고 웜 기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170)는 벨트에 의하여 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스크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위 벨트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팬벨트(fan belt), 평벨트, 그리고 V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 모터(160)와 구동축(180) 사이에 감속기(170)를 착즙기(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구동축(180)과 구동 모터(16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착즙드럼(200) 내측의 스크류(300)에 의하여 압착된 즙이 구동축(180)을 따라 구동 모터(16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감속기(170)는 구동 모터(160)의 상단부에 연결되므로, 지면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180)은 감속기(17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즙드럼(200)을 다른 구성요소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착즙드럼(200)을 용이하게 하우징(10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60)가 비교적 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반적으로 착즙기(1)의 무게 중심이 낮아지게 되므로 착즙기(1)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감속기(170)와 지면 사이의 추가적인 하부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위 하부 공간을 착즙된 즙 또는 찌꺼기를 수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위 찌꺼기는 착즙 드럼(200)의 하부 공간을 향하여 떨어질 수 있다. 즉, 찌꺼기는 연속적으로 직하방으로 바로 낙하될 수 있다. 이처럼, 찌꺼끼를 연직 하방으로 떨어뜨리게 되면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모터(160)에 작용하는 부하도 적어지게 되어 착즙기(1)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하고, 진동도 억제된다.
가령, 종래기술에 의하면 찌꺼기 또는 즙의 배출구가 착즙기(1)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구성할 경우 실제로 착즙기(1)를 이용할 때 찌꺼기 또는 즙을 담을 수 있는 찌꺼기 컵 및 즙 컵을 놓을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착즙기(1)의 측방으로 필요하게 된다. 별도의 공간에 착즙기(1)로부터 배출되는 즙 또는 찌꺼기들을 담기 위한 컵들을 놓게 되면, 외관상 정렬되지 못한 인상을 주고, 사용자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찌꺼기가 착즙기(1)의 측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찌꺼기 배출 통로가 폭방향으로 필요하며, 찌꺼기가 연직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보다 찌꺼기 배출이 비효율적이다. 즉, 찌꺼기가 착즙기(1)의 측부로 배출될 때, 찌꺼기가 찌꺼기 배출통로를 밀고 나가려는 경향 때문에 마찰력이 발생하거나, 찌꺼기들 간의 흡착 또는 응집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찌꺼기의 폭방향 흐름이 방해된다. 이렇게 찌꺼기의 이동이 과도하게 둔화되면, 착즙 드럼(200) 내측의 압력은 급격히 상승하며, 구동 모터(160)의 부하가 높아진다. 예컨대, 착즙 대상의 성질이 질긴 섬유질로 구성될 경우, 위 구동 모터(160)에는 더욱 큰 부하가 작용하게 되고, 이 부하에 의하여 착즙기(1)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착즙기(1)의 구동이 저하되는 한편, 그 내구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구동축이 착즙기의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착즙드럼이 구동축을 그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즙드럼(200)을 하우징(10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하측으로 돌출된 구동축(180)의 간섭을 피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속기(170)를 승강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거나, 착즙드럼의 받침부를 하강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감속기(170)에 승강 장치를 구비하거나 받침부의 하강이 가능하더라도, 위 착즙기(1)의 사용자는 착즙드럼(200)을 탈착할 때, 승강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받침부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해야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추가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위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가 구동 모터로부터 더 상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그 높이만큼의 추가적인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한다. 한편, 착즙기(1)의 세척을 고려할 때에도, 위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감속기(170)를 장착하고 감속기(170)의 하부에서 구동축(180)을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적지 않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다른 구성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구동 모터(160) 또는 감속기(170)를 지나치게 상측에 배치하게 되면, 구동 모터(16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착즙기에는 과도한 회전 모멘트가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착즙기(1)에 진동을 초래할 수 있고, 착즙기(1) 자체의 무게 중심이 높아져 구동 모터(160)의 작동 시 불안정해진다. 보다 안정적인 착즙기(1)의 구동을 위해서는, 지면과 맞닿는 하측 지지부(120)의 길이를 증대시켜야 하나, 이것도 원가 증가 또는 심미감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축(180)을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축(180)까지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170)를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착즙되면서 남은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감속기(170)의 하부 공간을 향하여 바로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 없이, 착즙기(1)의 안정적인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
감속기(170)의 높이 방향 위치는 상기 하부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감속기(170)의 하면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착즙된 즙과 찌꺼기를 수거하는 컵의 높이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지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160)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하중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12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측으로 찌꺼기(또는 즙)를 담는 컵(70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측 지지부(120)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상측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그대로 연장되며, 상측 지지부(130)의 지지 곡면(135)으로 착즙 드럼(200)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130)은 착즙 드럼(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그 지지 곡면(135)이 착즙 드럼(2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상측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서 그 폭이 높이 방향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그 단면이 대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130)의 일면에는 위 착즙 드럼(20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착즙 드럼(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지지 곡면(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측 지지부(130)는 착즙 드럼(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되므로, 이를 위해 그 상부의 폭을 좁게 설정하여 원가 및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9 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감속기 하우징(140)은 본체부(110)의 중앙부 측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측으로 감속기(170)가 장착되어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170)는, 예를 들면, 복수 개의 기어들 또는 벨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을 구동축(18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감속기 하우징(140)은 대체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감속기(170)와 연결된 구동축(180)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감속기 하우징(140)의 상면은 착즙 드럼(20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착즙 드럼(200)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착즙 드럼(2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감속기 하우징(14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고정 돌기(141, 142, 143)가 형성될 수 있다.
위 고정 돌기들(141, 142, 143)은 구동축(180)을 중심으로 감속기 하우징(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홈들(221, 222, 223)과 각각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즙 드럼(200)의 안정적인 구동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위 고정 돌기들(141, 142, 143) 중에 하나의 고정 돌기(143)를 상측지지부(130)에 가깝게 배치하고, 비교적 다른 고정돌기들(141, 142)보다 크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즙 드럼(200)의 착탈함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
특히, 위 하나의 고정 돌기(143)의 일측부는 구동축(180)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타측부는 상측지지부(130)와 연결하되, 위 고정 돌기(143)와 대응되는 착즙 드럼(200)의 수용홈(223)은 위 고정 돌기(143)의 측부만 잡아주게 형성함(도 2 참조)으로써, 위 하나의 고정 돌기(143)를 보다 쉽게 착즙 드럼(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감속기 하우징(140)은 본체부(110)의 중앙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감속기 하우징(140)의 폭방향 일측에는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 찌꺼기 배출 통로(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찌꺼기 배출 통로(230)는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26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망드럼(400)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들은 하부로 밀려 내려와 위 찌꺼기 배출구(261) 및 배출 통로(230)를 통하여 착즙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통로(230)는 감속기 하우징(140)의 일측으로부터 구동축(180)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찌꺼기 배출 통로(230)는 감속기 하우징(14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이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700)은 컵 본체(710) 및 컵 커버(720)를 포함한다.
찌꺼기 배출구(261) 및 찌꺼기 배출 통로(2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은 컵(700)에 수용될 수 있다.
컵 커버(720)에는 유입구(721) 및 오목부(723)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721)는 높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이 찌꺼기 배출 통로(2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723)는 감속기 하우징(140)의 하단에 컵 커버(7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컵 본체(71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 커버(720)의 유입구(721)가 찌꺼기 배출 통로(230)에 끼워져 컵(700)이 감속기 하우징(140)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찌꺼기 또는 분쇄물이 유입구(721)를 통하여 유입되어 컵 본체(7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통로(230)는 높이 방향으로 개구되고 폭 방향으로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감속기 하우징(140)의 타단에는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중간부(145)와, 구동축(180)이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구동축 하우징(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위 구동축 하우징(190)을 중심으로 원형의 링 형상의 안착부(210)가 형성된다.
구동축 하우징(190)에는 구동축 관통홀(195)이 그 중심부에 형성되고, 구동축 관통홀(195)에는 구동축(180)이 삽입되어 상측으로 돌출된다.
안착부(210)는 착즙 드럼(20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착즙 드럼(200)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부(210)는 감속기 하우징(14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구동축 하우징(190)과 연결다리(215)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다리(215)는 구동축 하우징(190)과 안착부(210) 사이를 연결한다.
즉, 감속기 하우징(140)의 타단으로부터 중간부(145), 구동축 하우징(190), 그리고 연결다리(215)가 순차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감속기 하우징(140)의 다른 일부로부터 안착부(210)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연장되고 다시 감속기 하우징(140)의 또 다른 일부에 연결된다. 이 때, 연결다리(215)의 일측부와 안착부(210)의 내주부는 서로 연결되고, 안착부(210)는 구동축 하우징(190)과 연결다리(215)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간부(145), 구동축 하우징(190), 그리고 연결다리(215)는 링 형상의 안착부(210)를 직선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이기 때문에, 안착부(210) 내측으로 한 쌍의 안착홀(211, 213)이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안착홀(211, 213)로 찌꺼기(또는 즙)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크림 또는 기타 분쇄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착부(210)의 일단 상면에는 경사홈(225)이 형성되어 있어, 착즙드럼(200)이 안착부(210)에 결합될 때 즙배출로(220)가 경사홈(225)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즙된 즙이 경사진 즙배출로(220)를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드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 드럼 내측의 사시도이다. 즉,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착즙 드럼을 제거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착즙 드럼(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스크류(300)와 망드럼(400), 그리고 브러시(500)가 구비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는 돌기부들(231, 233, 235, 237)이 형성되며, 이들이 한쌍의 안착홀(211, 213)에 결합됨으로써, 착즙 드럼(200)이 안착부(2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예컨대,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한 쌍의 제1, 2돌기(231, 233)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한 쌍의 제3, 4돌기(235, 23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2돌기(231, 233)의 원주방향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중간부(145)가 배치되고, 제3, 4돌기(235, 237)의 원주방향 사이의 공간에는 연결다리(215)가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즙 드럼(200)을 안착부(210)에 장착할 때, 위 돌기들(231, 233, 235, 237)에 의하여 착즙 드럼(2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착즙 드럼(200)이 장착되고 착즙기(1)가 구동될 때, 착즙 드럼(200)의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안착부(210)에 위 돌기부들(231, 233, 235, 237)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홈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착즙 드럼(200)을 안착부(210)에 고정할 수 있다.
착즙 드럼(200)의 하부에는 구동축(180)을 삽입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수용부(240)와, 제1수용부(240)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위 구동축 하우징(190)을 삽입하기 위한 제2수용부(2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위 제1수용부(240)와 제2수용부(250)는 대체적으로 원(호)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180)과 구동축 하우징(19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그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즙 드럼(200)이 안착부(210)에 장착될 때, 제1, 2수용부(240, 250)는 각각 구동축(180)과 구동축 하우징(190)을 수용함으로써, 착즙 드럼(20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동시에, 위 돌기들(231, 233, 235, 237)과 같이 착즙 드럼(200)의 높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진동을 저감하는 한편,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을 스크류(300)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261, 263)가 그 중심을 기준으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261, 263)는 착즙 드럼(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고, 위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261, 263)와 이웃하여 한 쌍의 결합 부재(265, 267)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위 찌꺼기 배출구(261, 263)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망드럼(400)을 설명할 때,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스크류(300)는 구동축(18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 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300)에는 망드럼(400)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선(310)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에 의하여, 스크류(300)와 망드럼(40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그 하측으로 이송된다.
망드럼(400)은 스크류(300)에 의해 생성된 과즙이 망드럼(4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되어 있다. 망드럼(400)은 스크류(300)가 회전 할 때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착즙 드럼(200) 또는 커버(600)에 고정된다.
망드럼(400)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들은 하부로 밀려내려와 배출된다. 망드럼(400)의 하면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을 따라 한 쌍의 망드럼 배출구(4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망드럼 배출구(440)를 한 쌍의 찌꺼기 패킹부(450)가 그 하측에서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찌꺼기 배출구((261, 263)는 망드럼 배출구(440)와 원주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위 한 쌍의 찌꺼기 패킹부(450)는 위 망드럼(400) 하면의 형상을 따라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고정부(451)에 의하여 망드럼(40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위 고정부(451)는 찌꺼기 패킹부(450)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451)를 위 결합부재들(265, 267)이 하측에서 감싸며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망드럼(400)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는 링 형상의 찌꺼기 이동로(미도시)가 형성되고, 망드럼(400) 안쪽에서 하방으로 밀려 내려온 찌꺼기는 착즙 드럼(200)의 찌꺼기 이동로를 따라 회전하다가 하부의 찌꺼기 배출구(261, 263)를 통해 직하방으로 바로 배출된다. 이 경우, 찌꺼기 패킹부(450)는 찌꺼기 배출구(261, 263)를 하측에서 덮도록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찌꺼기 패킹부(450)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찌꺼기 패킹부(450)가 망드럼 배출구(440)를 폐쇄하더라도, 망드럼(400) 내측의 압력 또는 찌꺼기의 이동에 의하여, 찌꺼기 패킹부(450)는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그 틈으로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찌꺼기 패킹부(450)가 망드럼 배출구(440)를 모두 덮도록 설치하게 되면, 망드럼(400) 내측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어 착즙 대상은 더 충분하게 압착되고, 효과적으로 즙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착즙 대상이 파인애플 또는 셀러리 등과 같이 질긴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찌꺼기 배출이 측면 배출방식이 아니라 직하방 배출방식이기 때문에 찌꺼기 배출이 매우 원활해진다.
한편, 위 망드럼 배출구(440)와 찌꺼기 패킹부(450)들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 한 쌍의 패킹부(450)는 착즙 드럼(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망드럼(400) 내측에서 스크류(300)에 압착되어 밀려내려온 찌꺼기는 망드럼(400) 하면에서 180도 회전할 때마다 망드럼 배출구(440)와 만나게 된다. 위와 같이, 망드럼 배출구(440)를 한 쌍으로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한 쌍의 찌꺼기 패킹부(450)를 설치하게 되면, 하나의 망드럼 배출구(440)와 찌꺼기 패킹부(450)를 구비할 때보다 효과적으로 찌꺼기들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즙 드럼(200)의 하면에는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261, 263)가 형성되어 있는데, 찌꺼기 패킹부(450)를 밀고 나온 찌꺼기들은 이 찌꺼기 배출구(261, 263)를 통해 바로 떨어지게 된다. 찌꺼기 패킹부(450)의 하방으로 찌꺼기 배출구(261, 263)를 위치함으로써, 찌꺼기 패킹부(450)를 통과한 찌꺼기들은 그대로 연직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찌꺼기들이 착즙 드럼(200)의 측부로 배출되는 것 보다 더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착즙기(1)는 위 패킹부(450)를 조절하는 찌꺼기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찌꺼기 조절 수단에는 조절 레버가 형성되어 있고, 위 한 쌍의 찌꺼기 패킹부(450)를 구동축(180)을 중심으로 일정각 회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계적으로 찌꺼기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망드럼(400)은 분쇄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측면에 망공이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료 투입 시 망드럼(400)과 스크류(300)에 의해 재료는 압착 및 분쇄되지만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지 않고, 분쇄물은 모두 찌꺼기배출구(261, 263)를 통해 배출된다. 분쇄용 망드럼은 얼린 과일이나 초콜릿, 빙과, 얼음, 유제품, 음료 등의 재료를 함께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 셔벗(sherbet)과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에 망공이 있는 착즙용 망드럼(4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즙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즙개폐기구(410)를 이용하여 즙배출구를 막고 착즙기를 작동하여, 부드러운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와 같은 취식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망드럼(400) 하부의 망공을 통해 착즙된 즙이 즙개폐기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착즙드럼(200)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착즙드럼(200) 내부에서 즙이 차오르게 되면 다시 망드럼(400) 상부의 망공을 통해 망드럼 내부로 즙이 유입되게 되어 즙은 망드럼 내외부를 순환하며 찌꺼기와 계속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찌꺼기배출구(261, 263)를 통해 즙과 찌꺼기가 뒤섞인 소프트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와 같은 형태의 취식물을 얻을 수 있다.
브러시(500)는 착즙드럼(200)과 망드럼(400) 사이에 배치되며, 브러시 프레임(510)과 브러시 날개(520)를 포함한다. 브러시 프레임(510)은 착즙드럼(200)과 망드럼(400)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브러시 날개(520)는 위 홀들의 사이에서 브러시 프레임(510)의 측방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양방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러시(500)가 회전할 때 착즙드럼(200)의 내측면 및 망드럼(400)의 외측면에 흡착된 즙들을 쓸어 내리게 할 수 있다.
커버(600)는 착즙드럼(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그 하부가 착즙드럼(2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600)는 재료를 투입하는 재료투입부(610), 투입된 재료를 착즙드럼(200)으로 안내하는 호퍼(620), 그리고 착즙드럼(200)의 상부를 덮는 연결부(6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투입부(610)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재료투입부(611)와 제2재료투입부(6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재료투입부(611)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일측에 제1재료투입구(612)가 형성되어 재료를 호퍼(620)의 측면으로 넣을 수 있다. 또한, 제2재료투입부(641)은 호퍼(620)의 상측에 형성되며 그 상면에 제2재료투입구(643)가 형성되어 재료를 호퍼(620)의 길이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2재료투입구로 두 개의 통로를 통하여 재료를 섞으면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재료투입부(610)는,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일측에 재료투입구(613)가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호퍼(620)는 위 재료투입구(612, 613, 641)로 유입된 재료를 안내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퍼(620)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재료가 착즙드럼(200) 내부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게 할 수도 있다.
호퍼(620)의 하단은 착즙드럼(200)의 구동축(18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300)가 회전할 때 원활한 재료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재료투입부(610)의 가장자리에서는 높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615)이 형성된다.
연결부(630)는 착즙드럽(200)의 개구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즙드럼(20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연결부(630)는 호퍼(620)로부터 유입된 재료들을 착즙드럼(200) 내측으로 가이드한다.
한편, 즙배출로(220)의 선단에는 즙 개폐기구(410)가 설치될 수 있다. 즙 개폐기구(410)는 즙배출로(220) 선단을 개폐하여, 선택적으로 즙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망공이 없는 분쇄용 망드럼을 이용하면, 분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즙 개폐기구(410)를 이용하여 즙배출로(220)의 선단을 막거나, 또는 망공이 없는 분쇄용 망드럼을 장착한 상태에서 재료를 투입할 경우에도, 분쇄물이 직하방으로 바로 낙하하기 때문에 찌꺼기 배출이 매우 원활해진다. 또한 아이스크림 또는 스무디 같은 취식물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을 착즙기(1)의 전면부로 볼 때, 찌꺼기 배출통로(230)와 즙배출로(220)는 착즙기(1)의 전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컵(700)은 하측 지지부(120)에 놓인다. 따라서 컵(700)이 착즙기(1) 외측 주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고, 즙과 찌꺼기가 모두 착즙기(1) 전면부 같은 위치에서 배출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미관이 향상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3)

  1. 그 내측에 구동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스크류와 망드럼을 구비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연직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구는 상기 망드럼의 하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망드럼 배출구와 원주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드럼 배출구와 상기 찌꺼기 배출구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망드럼 배출구와 상기 한 쌍의 찌꺼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착즙 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의 일단은 상기 구동 모터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지면과 수평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감속기의 타단에는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축이 높이 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복수개의 기어 또는 밸트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중앙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된 감속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찌꺼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는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을 수용하는 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컵은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에 끼워지는 유입구가 형성된 컵 커버;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찌꺼기 또는 분쇄물이 수용되는 컵 본체;
    를 포함하는 착즙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통로는 높이 방향으로 개구되고 폭 방향으로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감속기가 장착되는 감속기 하우징;
    그 일단이 상기 감속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축 하우징;
    을 포함하는 착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축 하우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서 원형의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즙 드럼을 안착하도록 구비되는 안착부; 및
    상기 구동축 하우징과 상기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다리;
    를 더 포함하는 착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드럼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의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중간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 중의 다른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다리가 배치되어, 상기 착즙 드럼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착즙기.
KR1020160177016A 2015-12-22 2016-12-22 착즙기 KR101926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4055 2015-12-22
KR1020150184055 2015-12-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065A Division KR102102324B1 (ko) 2015-12-22 2018-10-22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820A true KR20170074820A (ko) 2017-06-30
KR101926380B1 KR101926380B1 (ko) 2018-12-07

Family

ID=59089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016A KR101926380B1 (ko) 2015-12-22 2016-12-22 착즙기
KR1020180126065A KR102102324B1 (ko) 2015-12-22 2018-10-22 착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065A KR102102324B1 (ko) 2015-12-22 2018-10-22 착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08307A1 (ko)
EP (1) EP3395209A4 (ko)
KR (2) KR101926380B1 (ko)
CN (1) CN108430279A (ko)
WO (1) WO20171115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103A (ko) * 2018-02-06 2020-09-01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푸드 프로세서
KR20210019919A (ko) * 2019-08-12 2021-02-23 주식회사 휴롬 믹서기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착즙 주스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4302A (zh) * 2017-07-19 2017-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原汁机
USD871170S1 (en) * 2018-01-18 2019-12-31 Hurom Co., Ltd. Drum housing for a juice extractor
KR20200074748A (ko) 2018-12-17 2020-06-25 오장섭 착즙기
USD936433S1 (en) * 2019-02-15 2021-11-23 Nuc Electronics Co., Ltd. Body for juice extractor
CN112043144B (zh) * 2019-06-06 2021-05-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简单的榨汁机
KR102417129B1 (ko) * 2020-03-05 2022-07-06 주식회사 엔젤 착즙기
CN113243746B (zh) * 2020-04-26 2023-03-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螺杆挤压原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0157Y (zh) * 1994-01-10 1994-10-26 刘�东 半自动榨汁机
JP2004305375A (ja) * 2003-04-04 2004-11-04 Zojirushi Corp 食材調製器
KR20120032955A (ko) * 2010-09-29 2012-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화 가능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17434A (ko) * 2014-04-10 2015-10-20 김재원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415B1 (fr) * 2008-11-18 2011-01-07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de jus equipe de moyens d'evacuation controlee des residus de pressage
KR101159176B1 (ko) * 2010-09-17 2012-06-22 김영기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2057483A2 (en) * 2010-10-25 2012-05-03 Seung Yong Lee Juicer having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KR101167274B1 (ko) * 2012-02-17 2012-07-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
KR101310822B1 (ko) * 2012-03-02 2013-09-25 (주)현대가전업 측면에서 착즙 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본체를 갖는 착즙기
KR101263910B1 (ko) * 2012-09-20 2013-05-13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CN203016629U (zh) * 2012-11-21 2013-06-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甩汁机
US9675101B2 (en) * 2013-03-15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CN203914465U (zh) * 2014-04-24 2014-11-0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适应多种物料自动进料的螺杆挤压榨汁机
KR101565874B1 (ko) * 2014-05-12 2015-11-13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CN204050364U (zh) * 2014-06-04 2014-12-31 袁厚兵 全自动的果蔬面膜机
CN204743688U (zh) * 2015-07-08 2015-11-11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0157Y (zh) * 1994-01-10 1994-10-26 刘�东 半自动榨汁机
JP2004305375A (ja) * 2003-04-04 2004-11-04 Zojirushi Corp 食材調製器
KR20120032955A (ko) * 2010-09-29 2012-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화 가능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17434A (ko) * 2014-04-10 2015-10-20 김재원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180157(1994.08.17.)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103A (ko) * 2018-02-06 2020-09-01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푸드 프로세서
US11786065B2 (en) 2018-02-06 2023-10-17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Food processor
KR20210019919A (ko) * 2019-08-12 2021-02-23 주식회사 휴롬 믹서기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착즙 주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8307A1 (en) 2019-01-10
EP3395209A1 (en) 2018-10-31
EP3395209A4 (en) 2019-07-17
KR101926380B1 (ko) 2018-12-07
CN108430279A (zh) 2018-08-21
KR20180118573A (ko) 2018-10-31
WO2017111516A1 (ko) 2017-06-29
KR102102324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JP5535335B2 (ja) スムージーメーカー兼用のジューサー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CA2876055C (en) Juicer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159177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200490466Y1 (ko) 착즙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2390736B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2619253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496588Y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102364079B1 (ko) 착즙 드럼
KR102661108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2021000045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150020868A (ko) 맷돌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30002196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