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79B1 - 착즙 드럼 - Google Patents

착즙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079B1
KR102364079B1 KR1020207003594A KR20207003594A KR102364079B1 KR 102364079 B1 KR102364079 B1 KR 102364079B1 KR 1020207003594 A KR1020207003594 A KR 1020207003594A KR 20207003594 A KR20207003594 A KR 20207003594A KR 102364079 B1 KR102364079 B1 KR 10236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juic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500A (ko
Inventor
김영기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ublication of KR202000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즙 드럼은 착즙 하우징과, 상기 착즙 하우징에 내장되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반경 외측에 구비되며 착즙된 즙 또는 분쇄물을 배출하는 망드럼과, 상기 망드럼과 상기 착즙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망드럼의 외주면을 쓸어내는 브러시, 및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측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동 기어; 및 상기 연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브러시에 전달하는 중간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 드럼
본 발명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측에 삽입되는 동력 전달축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 가능하고, 브러쉬와 연동되는 연동 기어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한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재료를 지그시 눌러 짜내어 즙을 얻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착즙 대상을 눌러 짜는 기능을 수행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한다.
위 착즙 드럼에는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망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55440호에 의한 착즙기는 착즙 드럼의 내벽 및 망드럼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브러쉬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구동축과 연동하여 기어결합되도록 중간기어가 착즙 드럼의 저면에 고정되고, 이 중간기어는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위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위 등록특허 제0755440호에 의하면, 중간기어는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착즙 드럼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기어를 세척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이 중간기어에 브러쉬가 기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브러쉬 내측에 배치되는 망드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즙 내지 찌꺼기 등이 중간기어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기어에 들러붙은 즙 내지 찌꺼기 등은 중간기어와 브러쉬 사이의 구동력 전달을 방해하는 한편,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 중간 기어를 직접 세척하고자 한다면, 착즙 드럼을 한 손에 파지한 뒤 다른 한 손으로 위 착즙 드럼 내측의 중간 기어를 닦아내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위 중간 기어를 착즙 드럼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중간 기어의 내측까지 완전하게 세척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착즙기는 모터 등으로 구성된 구동축과 중간 기어 사이에 동력 전달축을 개재하여 중간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스크류와 중간 기어에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는, 동력 전달축이 항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즉, 구동축과 동력 전달축이 착즙기 저면과 수직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서로 동축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하면, 구동축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착즙 드럼의 경우, 구동축과 결합하는 동력 전달축에서 상당한 하중을 받게 되어, 구조적인 강성이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구동축의 진동이 그대로 동력 전달축에 전달되어, 동력 전달축이 축방향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세하게 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스크류가 동력 전달축의 축선으로부터 미소삭으로 기울게 되면 스크류가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므로,(이때 스크류는 상부로 갈수록 하부보다 더 크게 수평 방향으로 진동한다.) 스크류와 동력 전달축은 동축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동력 전달축에 스크류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스크류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동력 전달축의 회전력을 브러시로 전달하는 연동 기어를 착즙 드럼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세척이 간편한 착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 전달축의 외측에 부싱을 장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착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착즙 하우징과, 상기 착즙 하우징에 내장되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반경 외측에 구비되며 착즙된 즙 또는 분쇄물을 배출하는 망드럼과, 상기 망드럼과 상기 착즙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망드럼의 외주면을 쓸어내는 브러시, 및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측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동 기어; 및 상기 연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브러시에 전달하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기어는 그 상단에서 브러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상부; 상기 기어 상부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착즙 하우징을 관통하는 기어 중부; 및 상기 기어 중부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연동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하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 하부의 단면은 다각 형상으로 되고 이에 상응하는 형상이 상기 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 기어가 상기 연동 기어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기어 하부가 상기 연동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기어 하부의 연장부는 상기 연동 기어의 하면 또는 상기 착즙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어 덮개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기어는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어 있는 제1연동 기어; 및 상기 제1연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연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하부는 상기 제2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연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동력 전달축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내측면은 상기 동력 전달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력이 상기 브러시에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그 하면이 상기 구동 기어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부싱 플랜지; 및 상기 부싱 플랜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상단 모서리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부싱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 플랜지 및 부싱 보강부의 중앙부에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축의 외주면에는 반경 내측으로 인입된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에는 상기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돌출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그 내측단은 상기 실링홈에 장착되고, 그 외측단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그 상부 모서리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에는 반경 내측으로 인입된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삽입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킹의 내측면은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착즙 하우징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부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조립 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조립 다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연동 기어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조립 다리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눌림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기어가 상기 연동 기어의 내측에 형성된 연동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눌림돌기는 상기 연동 기어의 하단에 지지되어 상기 중간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 일측에 상기 중간기어가 삽입되는 기어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어 삽입홀의 반경 내측에는 링형상의 패킹 지지체가 더 형성되며, 상기 중간기어가 상기 기어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은 상기 패킹 지지체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은 상기 패킹 지지체의 내주면은 미소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킹 지지체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착즙 하우징의 측벽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경방향 연장부; 및 상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 연장부는 상기 착즙 하우징과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 기어를 필요에 따라 착즙 드럼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중간 기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착즙 드럼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간 기어에 들러붙은 즙이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동력 전달 과정에서 중간 기어의 오작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중간 기어로 전달된 회전력을 온전히 브러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축의 외측에서 동력 전달축을 지지하도록 부싱을 장착함으로써, 동력 전달축을 항시 축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 전달축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미세한 떨림을 현저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한 하중이 발생하는 동력 전달축의 하단을 보강함으로써, 그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동력 전달축이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와 브러쉬도 그 기대 성능이 충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바닥면의 상방 사시도와 하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기어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동력 전달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부싱이 동력 전달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하방에 장착된 동력전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동력전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에 기어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기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기어 조립체가 착즙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기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에 따른 착즙 드럼의 중간기어를 탈착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착즙 드럼의 기어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착즙 드럼에 기어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좌측은 '일측', '일단', '일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도면에서 우측은 '타측', '타단', '타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지면에 가까운 방향(도면의 하측)은 '하측', '하면', '하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고,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상측)은 '상측', '상면', '상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착즙 드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착즙 드럼들 중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착즙 드럼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착즙 드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드럼(1)은 착즙 하우징(10), 호퍼(20), 기어 덮개(30), 동력 전달축(40), 스크류(50), 망드럼(60), 브러시(70), 그리고 동력전달모듈(200)을 포함한다.
착즙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벽과 하면을 구성하는 측벽(10a)과 바닥면(10b)을 포함한다.
착즙 하우징(10)의 측벽(10a) 하단부에는 즙 배출구(11)와 찌꺼기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즙 배출구(11)와 찌꺼기 배출구(13)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즙 배출구(11)로 이동되는 통로와 찌꺼기 배출구(13)로 이동되는 통로는 망드럼(60)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즙 배출구(11)는 망드럼(60)의 망공(미도시)을 빠져나와 흘러내린 즙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즙 배출구(11)의 하면은 착즙 하우징(10)의 반경 외측 및 지면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즙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즙 배출구(11)의 선단에는 개폐 수단(12)이 구비될 수 있고, 이 개폐 수단(12)을 통하여 배출되는 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찌꺼기 배출구(13)는 대체로 전면이 개방된 직사각 또는 원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찌꺼기 배출구(13)에는 망드럼(60)의 하측까지 전달된 찌꺼기가 밀려 나오게 된다. 한편, 찌꺼기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에 형성된 찌꺼기배출공(13a; 도12 참조)을 통과하여 찌꺼기 배출구(13)로 이송되는데, 위 찌꺼기배출공(13a)의 면적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찌꺼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레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찌꺼기 배출구(13)를 착즙 하우징(10)의 측벽(10a)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찌꺼기 배출구(13)를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에 형성함으로써, 찌꺼기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위 즙 배출구(11)와 찌꺼기 배출구(13)의 하측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즙 또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용 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착즙 하우징(10)의 측벽(10a) 상부에는 호퍼(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호퍼(20)는 착즙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그 하부가 착즙 하우징(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퍼(20)는 바람직하게는 측면부를 갖는 제1디스크(21), 투입된 재료를 착즙 하우징(10)으로 안내하는 목부(23), 그리고 착즙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는 제2디스크(25)가 일체로 구성된다.
제1디스크(2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일측에 재료투입구(22)가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료투입구(22)는 제1디스크(2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즉 착즙드럼(1)의 동력 전달축(4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50)가 회전하더라도 원활한 재료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제1디스크(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면부는 높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재료의 이탈을 방지한다.
목부(23)는 위 재료투입구(22)로 유입된 재료를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지면과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부(23)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가 착즙 하우징(10) 내부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목부(23)는 손(hand)이 깊숙하게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내부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디스크(25)는 그 하면이 착즙 하우징(10)의 개구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즙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제2디스크(25)는 목부(23)로부터 유입된 재료들을 착즙 하우징(10) 내측으로 가이드한다.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에 대하여는 도 4, 도 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의 중앙부에는 돌출부(15)가 착즙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부(15)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10b)으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15)는 대체로 상부 모서리가 만곡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외주면이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스크류(50)의 하부에는 돌출부(1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부(15)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동일 또는 유사한 내면을 가지고, 스크류(50)의 내면은 상측으로 오목하여 만곡되게 형성된다. 적어도 돌출부(15)의 하단 가장자리는 스크류(50)의 하단과 거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류(50)의 내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돌출부(15)는 스크류(50)의 만곡된 내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돌출부(15)는 위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half sphere)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5)의 반경 내측에는 삽입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홀(17)을 통하여, 동력 전달축(40)이 관통되어 스크류(50)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위 돌출부(15)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스크류(50)의 내측면과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즙 또는 찌꺼기 등이 돌출부(15)와 동력 전달축(40)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돌출부(15)는 그 상부 모서리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즙 또는 찌꺼기 등이 돌출부(15)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다시 바닥면(10b)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찌꺼기 배출구(13)로 배출된다.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 가장자리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어조립체(210)가 삽입되는 기어 삽입홀(20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 삽입홀(209)의 반경 내측에는 패킹 지지체(25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 지지체(250)의 상측으로 패킹(260)이 안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5)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조립 돌기(16)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 돌기(16)는 돌출부(15)의 내측에 장착되는 부싱(100)의 조립 홈(125)(도 8 참조)에 삽입 고정되며, 부싱(100)의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조립 돌기(16)와 부싱(100)은 볼트(111) 또는 나사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12a)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 고정 돌기(12a)는 기어 덮개(30)의 고정 홀(32a)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 중심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후술하게 될 제1연동 기어(20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기어 고정부(202a)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기어 고정부(202a)는 그 외주면이 울퉁불퉁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동 기어(202)가 삽입 장착된다. 예컨대, 기어 고정부(202a)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볼록부(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위 기어 고정부(202a)의 반경 외측에는 기어 삽입홀(209)(도 14 참조)이 위치하고, 이 기어 삽입홀(209)의 반경 내측에 장착된 패킹 지지체(250)의 일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어 덮개(30)는 위 착즙 하우징(1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 착즙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기어 덮개(30)에는 기어 안착부(31), 기어 가이드부(33), 및 구동 기어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안착부(31)는 기어 조립체(210)의 축방향 하단을 지지하며, 기어 조립체(2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착즙 하우징(10)과 기어 덮개(30) 사이에 배치되며, 기어 조립체(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기어(230)를 고정할 수 있다.
기어 가이드부(33)는 기어 덮개(3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동력전달모듈(200)의 양 측부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 동력전달모듈(200)에 외부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 공력에 의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구동 기어 지지부(35)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며, 동력 전달축(40)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41)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축(40)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동 기어(4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축(4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구성 요소이다. 이 동력 전달축(40)의 하면에는 다각 형상의 구동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동홀(43)에 구동축이 삽입되어 동력 전달축(40)이 회전될 수 있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도 구동홀(43)의 다각 형상과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동력 전달축(40)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상단은 다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동력 전달축(40)의 상단은 돌출부(15)의 삽입홀(17)을 관통하여, 스크류 축(53)에 연결되며, 스크류(50)를 회전하게 한다. 스크류 축(53)도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그 내면이 동력 전달축(40)의 상부와 같은 다각형으로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동력 전달축(40)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45)가 형성되고, 이 몸통부(45)의 외주면에는 후술하게 될 부싱(100)이 결합된다.
동력 전달축(40)의 하단에는 구동 기어(41)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41)는 원판(disk)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력 전달축(4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동력 전달축(40)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다. 구동 기어(41)의 외주면 또는 하단에는 치(tooth)와 홈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41)는 회전하면서 동력 전달축(40)의 회전력을 브러시(7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동력 전달축(40)의 몸통부(45) 상측에는 반경 내측으로 파여진 실링홈(46)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실링홈(46)에는 실링 부재(49)가 장착되고, 실링홈(46)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 실링 부재(49)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49)의 내측단은 위 몸통부(45)의 실링홈(46)에 장착되고, 그 외측단은 돌출부(15)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실링 부재(49)의 외측단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져, 즙 또는 수분 등이 동력 전달축(40)의 몸통부(45)와 돌출부(15) 사이에 유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즉, 실링 부재(49)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즙 또는 찌꺼기가 위 실링 부재(49)의 외주면을 타고 돌출부(15)의 외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바닥면(10b)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착즙 드럼(1)에는 동력 전달축(40)의 몸통부(45) 및 하단을 지지하도록 부싱(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 부싱(40)의 몸통부(45) 및 하단을 지지하도록 부싱(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 부싱(100)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로, 더욱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00)은 부싱 플랜지(110)와 부싱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부싱 플랜지(110)와 부싱 보강부(120)의 중앙부에는 장착홀(10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홀(103)을 통하여 동력 전달축(40)이 삽입된다. 부싱 플랜지(110)와 부싱 보강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 플랜지(110)의 하면은 구동 기어(41)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나사홀(115)이 형성된다.
부싱 보강부(120)는 위 부싱 플랜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돌출부(15)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그 상단 모서리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싱 보강부(120)는 돌출부(15)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부싱 보강부(120)에는 조립 홈(125)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이 조립 홈(125)은 바람직하게는 나사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조립 홈(12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 돌출부(15) 내측에 형성된 조립 돌기(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조립 홈(125)에 조립 돌기(16)를 결합한 상태에서, 나사홀(115)에 볼트(111)를 상측으로 체결하게 되면, 부싱(100)은 착즙 하우징(10)의 돌출부(15)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위 부싱(100)은 동력 전달축(4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동력 전달축(40)과 착즙 하우징(10)을 축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축(40)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미세한 떨림이 현저히 차단될 수 있고, 동력 전달축(40)을 항시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유지하게 한다. 나아가, 비교적 강한 하중이 걸리는 동력 전달축(40)의 하단부를 위 부싱(100)으로 보강함으로써, 착즙 드럼(1) 자체의 구조적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류(50)는 동력 전달축(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50)에는 스크류 축(53)이 구비되고, 이 스크류 축(53)은 동력 전달축(40)과 서로 연결된다.
스크류(50)에는 망드럼(60)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선(51)이 형성된다. 이 스크류 나선(51)에 의하여, 스크류(50)와 망드럼(6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그 하측으로 이송된다.
망드럼(60)은 스크류(50)에 의해 생성된 즙이 망드럼(6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될 수 있다. 망드럼(60)은 착즙 드럼(1)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망드럼(60) 내부의 찌꺼기들은 하부로 밀려 내려와 찌꺼기 배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되고, 망공을 통과한 즙은 즙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망드럼(60)은 분쇄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측면에 망공이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망드럼(60)과 스크류(50)에 의하여 착즙 대상은 압착 및 분쇄되지만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지 않고, 분쇄물은 모두 찌꺼기 배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된다. 분쇄용 망드럼은 얼린 과일이나 초콜릿, 빙과, 얼음, 유제품, 음료 등의 재료를 함께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 셔벗(sherbet)과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러시(70)는 착즙 하우징(10)과 망드럼(60) 사이에 배치되며, 동력 전달축(40)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브러시(70)는 브러시 홀더(71)와, 브러시 날개(73)를 포함한다.
브러시 홀더(71)는 상부링(71a)과, 하부링(71b), 그리고 연결 기둥(72)을 포함한다. 상부링(71a)과 하부링(71b)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링(71a)의 반경은 하부링(71b)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부링(71b)의 측면 또는 하단에는 브러시 기어(7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브러시 기어(75)는 동력 전달축(40)으로부터 브러시(7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 기둥(72)은 위 상부링(71a) 및 하부링(71b)과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기둥(72) 사이에는 일정 공간(S)이 형성되어 있어, 브러시 홀더(71)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 연결 기둥(72)에는 브러시 날개(73)가 그 반경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연결 기둥(72)의 반경 내측 또는 반경 외측에 장착된 브러시 날개(73)는 브러시(70)가 회전할 때 망드럼(60)의 반경 외측면 또는 착즙 하우징(10)의 반경 내측면을 쓸어 내릴 수 있으며, 망드럼(60) 및/또는 착즙 하우징(10)에 흡착된 즙을 바닥면(10b)으로 원활하게 쓸어 내리도록 한다.
브러시 날개(73)는 연질의 실리콘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망드럼(60) 또는 착즙 하우징(10)을 부드럽게 쓸어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즙 드럼(1) 내측을 세척하려 할 때, 착즙 드럼(1)에 세척액 또는 물을 투입하고, 브러시(70)를 가동할 수 있다. 이 때, 브러시(70)는 망드럼(60) 또는 착즙 하우징(10)에 들러 붙은 즙 또는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동력 전달축(40)으로부터 브러시(7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모듈(200)이 제공된다. 이 동력전달모듈(200)에 대하여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착즙 드럼(1)의 동력전달모듈(200)은 구동 기어(41)와, 구동 기어(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기어조립체(21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기어(41)와 기어조립체(2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기어(41)와 기어조립체(210) 사이에는 제1, 2연동 기어(202, 230)가 개재될 수 있다.
구동 기어(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축(40)의 하단에 장착되어 동력 전달축(4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어(41)는 제1연동 기어(202)와 치합되어 제2연동 기어(2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제1연동 기어(202)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구동 기어(41)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제1연동 기어(202)의 반경 내측에는 기어 베어링(204)이 삽입되어 있다. 이 기어 베어링(204)의 반경 내측면은 앞서 설명한 기어 고정부(202a)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경 외측면은 매끄러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어 베어링(204)은 기어 고정부(20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기어 베어링(204)은 기어 고정부(202a)에 의하여 원주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반경 외측에 장착된 제1연동 기어(202)는 기어 베어링(204)의 외주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연동 기어(230)는 기어 덮개(30)의 안착부(31)의 상측 및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연동 기어(230)는 제1연동 기어(202)보다 반경 외측에 배치되며, 제1연동 기어(20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기어조립체(210)에 전달한다.
이처럼, 구동 기어(41)와 기어조립체(210)의 반경 방향 사이에 제1, 2연동 기어(202, 230)를 배치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조립체(210)의 중간기어(220)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 중 반경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50)의 하부에 대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이 공간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위 실시 예에서는 착즙 드럼(1)의 동력전달모듈(200)이 복수 개의 평기어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력전달모듈(200)의 기어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베벨 기어, 나사 기어, 그리고 웜 기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기어조립체(210)는 제2연동 기어(230)를 매개로 위 제1연동 기어(20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이 회전력을 브러시(7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기어조립체(210)의 상단은 위 브러시(70)에 형성된 브러시 기어(75)와 외접 또는 내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 조합에서, 기어비(gear ratio)를 조절하면 기어들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브러시(70)에는 동력 전달축(40)의 회전 속도와는 달리 착즙 대상에 따라 알맞은 회전 속도가 부여될 수 있다.
기어조립체(210)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조립체(210)는 중간 기어(220)와, 패킹 지지체(250), 그리고 패킹(260)을 포함한다.
중간 기어(220)는 그 상단이 브러시 기어(75)에 직접 기어 결합되며, 그 하단에 구비된 제2연동 기어(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브러시 기어(75)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중간 기어(220)는 착즙 하우징(10)에 고정된 제2연동 기어(230)에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중간 기어(220)를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어 삽입홀(209)에 삽입하여, 중간 기어(220)를 제2연동 기어(230)에 기어 결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연동 기어(230)와 기어 결합된 중간 기어(220)를 착즙 하우징(10)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중간 기어(220)는 그 상단에서 브러시 기어(75)와 결합하도록 치가 형성된 기어 상부(225)와, 기어 상부(225)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기어 중부(240)와, 위 기어 중부(240)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더 연장되며 제2연동 기어(230) 내측에 삽입되는 기어 하부(247)를 포함한다.
기어 상부(225)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10b)의 상측에 배치되며, 브러시 기어(75)와 직접 기어 결합하여, 브러시 기어(75)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기어 중부(240)는 기어 상부(225)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기어(220)가 착즙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어 중부(240)는 바닥면(10b)의 기어 삽입홀(209)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기어 삽입홀(209)의 반경 내측에는 링 형상의 패킹 지지체(250)가 고정 장착되어 있어, 기어 중부(240)의 외주면(245)은 패킹 지지체(250) 내주면과 마주보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중부(240)의 외주면(245)은 패킹 지지체(250)와 사이에 수용 공간(O)을 형성하도록 미소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중간 기어(220)가 회전할 때, 패킹 지지체(25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된다.
기어 중부(240)의 외주면(245)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패킹(260)이 장착될 수 있다. 패킹(260)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기어 중부(240)는 위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260)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기어 하부(247)는 그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연동 기어(230)의 반경 내측에 삽입되어 제2연동 기어(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기어 하부(247)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반경 내측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중간 기어(220)가 제2연동 기어(230) 내측으로 삽입될 때, 자연스럽게 기어 하부(247)는 제2연동 기어(230)와 맞물릴 수 있다. 기어 하부(247)의 두께(t)(도 14 참조)는 패킹 지지체(250)의 반경 내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O)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중간 기어(220)는 위 수용 공간(O)에 삽입되어, 제2연동 기어(230)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이다.
패킹 지지체(250)는 대체적으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착즙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패킹 지지체(250)에는 경방향 연장부(251)와 축방향 연장부(253)가 형성된다.
경방향 연장부(251)는 패킹 지지체(250)의 측면에서 반경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착즙 하우징(10)의 측벽(10a) 또는 바닥면(10b)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축방향 연장부(253)는 패킹 지지체(25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축방향 연장부(253)는 착즙 하우징(10)과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축방향 연장부(253)의 외주면을 패킹(260)이 감싸면서 밀착된다.
패킹(260)은 대체로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의 실링성과 일정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패킹(260)의 내주면은 중간 기어(220)의 기어 중부(240) 외주면(245)에 밀착되고, 그 외주면은 착즙 하우징(10)에 밀착된다. 이 때, 패킹(260)의 일부는 패킹 지지체(250)의 상부를 밀착함으로써, 중간 기어(220), 패킹 지지체(250), 및 기어 삽입홀(209) 사이에 즙 또는 분쇄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패킹(260)은 제1패킹 디스크(261)와, 제1패킹 링(263), 제2패킹 디스크(265), 그리고 제2패킹 링(267)를 포함한다.
제1패킹 디스크(261)는 그 일단이 기어 중부(240)의 외주면(245)에 밀착되고 그 타단이 반경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패킹 디스크(261)는 기어 상부(225)의 하면과 축방향으로 일정공간 이격되어 있다.
제1패킹 링(263)은 위 제1패킹 디스크(261)의 반경 외측단으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이 기어 상부(225)의 하면에 밀착된다.
중간 기어(220)와, 제1패킹 디스크(261), 그리고 제1패킹 링(263)은 패킹 공간(P)(도 14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이 패킹 공간(P)으로 인하여 패킹(260)와 중간 기어(220)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드래그 토크(drag torque)를 개선할 수 있다.
제2패킹 디스크(265)는 위 제1패킹 링(263)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때 제2패킹 디스크(265)는 기어 상부(225)의 하면과 미세한 간격 이격되어 중간 기어(22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제2패킹 링(267)은 제1패킹 디스크(265)의 반경 외측단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이 패킹 지지체(250)에 접촉되고, 그 외주면은 착즙 하우징(10)에 밀착 고정된다.
이처럼, 제1, 2패킹 디스크(261, 265)와 제1, 2패킹 링(263, 267)을 래버린스(labyrinth)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즙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패킹(260)의 다른 구성에 대한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중간 기어(220)의 드래그 토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킹(260)의 소재는 탄성을 가지므로 패킹(260)이 기어 삽입홀(209)에 삽입될 때 반경 외측으로 일부 눌려 밀착하게 된다. 이 때, 패킹(260)의 내측면은 그 내측에 위치한 패킹 지지체(250)를 압착함으로써, 착즙 하우징(10) 내측의 즙 또는 분쇄물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달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패킹 지지체(250) 및 패킹(2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중간 기어(3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중간 기어(310)는 그 상단에 브러시 기어(75)와 기어 결합되도록 치가 형성된 기어 상부(325)와, 기어 상부(325)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기어 중부(340)와, 위 기어 중부(340)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더 연장되며 제2연동 기어(230)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기어 하부(347)를 포함한다.
기어 상부(325)는 착즙 하우징(10)의 상면에 장착되며, 브러시 기어(75)에 기어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기어 중부(340)는 기어 상부(325)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며,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 중부(34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그 외주면에 장착되는 패킹(260)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어 중부(340)의 외주면에는 패킹홈(345)이 반경 내측으로 파인 형상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패킹홈(345)에 의해서 패킹(360)의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됨으로써, 패킹(360)과 기어 중부(340) 사이의 장착성을 높일 수 있다.
패킹홈(345)의 상단(345a)은 반경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패킹홈(345)의 하단에는 반경 외측 및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면(345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킹(360)은 위 경사면(345b)에 의하여 기어 하부(347)로부터 기어 중부(340)에 형성된 패킹홈(345)에 걸림 없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기어 하부(347)는 그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어 중부(340)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 때, 기어 하부(347)의 외주면은 반경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연동 기어(23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연동 기어(2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16은 착즙 드럼의 중간 기어를 탈착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기어(220, 310)는 착즙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기어(220)에 들러붙은 즙 내지 찌꺼기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착즙 드럼(1)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간 기어(220)가 착즙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기어 조립체(210)의 하단이 제2연동 기어(230)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위 돌출된 기어 조립체(210)의 하단을 상측으로 눌러 주게 되면, 중간 기어(220)의 기어 상부(225)가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기어 상부(225, 325)가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기어 상부(225, 325)를 파지하고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중간 기어(220)를 착즙 하우징(10)으로부터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기어 조립체(410)는 중간 기어(420)와 패킹(460)을 포함한다.
중간 기어(420)는 그 상단에서 브러시 기어(75)와 맞물리도록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기어 상부(425)와, 기어 상부(425)의 중앙부에서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기어 중부(440)와, 위 기어 중부(440)로부터 하측으로 더 연장되며 제2연동 기어(430)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어 하부(450)를 포함한다.
기어 상부(425)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에는 기어 상부(425) 내측으로 착즙 또는 분쇄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격벽(411)이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기어 중부(440)는 기어 상부(425)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고, 대체로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어 중부(440)의 상단에는 패킹(460)이 장착되도록 반경 내측으로 파인 패킹홈(445)이 형성된다. 또한, 기어 중부(44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 그 외주면에 장착되는 패킹(460)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어 하부(450)는 그 단면이 대체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모서리는 만곡되게 형성된다. 기어 하부(450)는 제2연동 기어(430)의 반경 내측에 삽입되어, 제2연동 기어(4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기어 하부(450)에는 한 쌍의 조립 다리(453)가 서로 이격되어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제2연동 기어(430) 내측에 형성된 연동홀(435)에 삽입 되어, 기어 하부(450)와 제2연동 기어(430)를 연결한다. 연동홀(435)은 기어 하부(450)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그 모서리가 만곡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 한 쌍의 조립 다리(453)의 하단에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눌림돌기(45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기어(420)는 제2연동 기어(430)에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제2연동 기어(430)와 함께 회전한다.
중간 기어(420)가 제2연동 기어(430) 내측에 형성된 연동홀(435)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반경 내측 방향, 즉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 다리(453)가 연동홀(435)에 완전히 삽입되면,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반경 외측 방향, 즉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되돌아 가 복원된다. 다시 말하면, 기어 조립체(410)의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탄성 변형되면서, 위 연동홀(435)에 장착된다. 이 때, 눌림돌기(455)는 중간 기어(42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연동 기어(43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위 기어 조립체(410)를 제2연동 기어(430) 및 착즙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눌림돌기(455)를 도 18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반경 내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동시에 중간 기어(420)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조립 다리(45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중간 기어(420)는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올라가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중간 기어(420)를 착즙 드럼(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패킹(460)은 대체로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의 실링성과 일정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패킹(460)의 내주면은 중간 기어(420)의 기어 중부(440)에 형성된 패킹홈(445)에 밀착되고, 그 외주면은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패킹(460)은 중간 기어(4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 및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즙 또는 분쇄물 등이 패킹(460)의 외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착즙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착즙 하우징과, 상기 착즙 하우징에 내장되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반경 외측에 구비되며 착즙된 즙 또는 분쇄물을 배출하는 망드럼과, 상기 망드럼과 상기 착즙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망드럼의 외주면을 쓸어내는 브러시, 및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측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 전달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동 기어; 및
    상기 연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상기 브러시에 전달하는 중간 기어;
    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기어는 그 상단에서 브러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상부;
    상기 기어 상부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착즙 하우징을 관통하는 기어 중부; 및
    상기 기어 중부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연동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하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 하부의 단면은 다각 형상으로 되고 이에 상응하는 형상이 상기 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 기어가 상기 연동 기어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기어 하부가 상기 연동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기어 하부의 연장부는 상기 착즙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어 덮개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기어 덮개의 하면에서 상기 기어 하부의 연장부를 상측으로 눌러 상기 중간 기어가 상기 착즙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어는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어 있는 제1연동 기어; 및
    상기 제1연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연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하부는 상기 제2연동 기어의 중공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연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동력 전달축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내측면은 상기 동력 전달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력이 상기 브러시에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그 하면이 상기 구동 기어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부싱 플랜지; 및
    상기 부싱 플랜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상단 모서리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부싱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 플랜지 및 부싱 보강부의 중앙부에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장착홀을 통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의 외주면에는 반경 내측으로 인입된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에는 상기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돌출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그 내측단은 상기 실링홈에 장착되고, 그 외측단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상부 모서리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에는 반경 내측으로 인입된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삽입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측면은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착즙 하우징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하부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조립 다리;
    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조립 다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연동 기어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조립 다리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눌림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기어가 상기 연동 기어의 내측에 형성된 연동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눌림돌기는 상기 연동 기어의 하단에 지지되어 상기 중간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하우징의 바닥면 일측에 상기 중간기어가 삽입되는 기어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어 삽입홀의 반경 내측에는 링형상의 패킹 지지체가 더 형성되며,
    상기 중간기어가 상기 기어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은 상기 패킹 지지체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중부의 외주면은 상기 패킹 지지체의 내주면은 미소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지지체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착즙 하우징의 측벽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경방향 연장부; 및
    상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장부는 상기 착즙 하우징과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KR1020207003594A 2017-08-18 2017-08-18 착즙 드럼 KR102364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019 WO2019035500A1 (ko) 2017-08-18 2017-08-18 착즙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500A KR20200022500A (ko) 2020-03-03
KR102364079B1 true KR102364079B1 (ko) 2022-02-17

Family

ID=6536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94A KR102364079B1 (ko) 2017-08-18 2017-08-18 착즙 드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64079B1 (ko)
CN (1) CN111050605B (ko)
WO (1) WO20190355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74B1 (ko) 2010-12-27 2011-06-01 (주)현대가전업 착즙장치
CN105658117A (zh) 2013-09-06 2016-06-08 金再垣 榨汁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2038C1 (en) * 1985-09-09 1991-09-12 Braun Ag Kitchen utensil operated by electric motor
KR20000014220U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분리가능한 이단기어
KR200253616Y1 (ko) * 1999-05-14 2001-11-15 이한국 믹서기의 샤프트 조립장치
CN201755124U (zh) * 2010-06-10 2011-03-09 新力康国际有限公司 果汁机的刀具轴承装置
US9066618B2 (en) * 2011-03-07 2015-06-30 Tongyang Magic Inc.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KR200472567Y1 (ko) * 2012-09-03 2014-05-09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착즙기
CN103976633B (zh) * 2014-05-06 2017-03-08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一种螺杆式榨汁机的榨筒组件
KR101611553B1 (ko) * 2014-06-13 2016-04-12 김재원 주스기용 착즙모듈
KR101548910B1 (ko) * 2014-11-25 2015-09-02 최길윤 착즙기
CN205285933U (zh) * 2015-11-30 2016-06-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立式螺杆挤压榨汁机
CN206213783U (zh) * 2016-08-22 2017-06-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衬套及具有其的食物料理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74B1 (ko) 2010-12-27 2011-06-01 (주)현대가전업 착즙장치
CN105658117A (zh) 2013-09-06 2016-06-08 金再垣 榨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500A1 (ko) 2019-02-21
KR20200022500A (ko) 2020-03-03
WO2019035500A9 (ko) 2020-02-20
CN111050605A (zh) 2020-04-21
CN111050605B (zh)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6713C2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EP3005911B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20170127754A (ko) 착즙 드럼
EP2510842B1 (en) Combined smoothie maker and juicer
KR101159177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JP6686010B2 (ja)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78596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2360671B1 (ko) 착즙기
KR101408891B1 (ko) 착즙기
CN113490441B (zh) 用于从水果和/或蔬菜中提取汁液的装置
KR200490466Y1 (ko) 착즙기
KR102364079B1 (ko) 착즙 드럼
KR101278697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RU2448633C1 (ru) Модуль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шнеком
TWI411405B (zh) 榨汁機
KR101278698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20220002601U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