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671B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671B1
KR102360671B1 KR1020197036248A KR20197036248A KR102360671B1 KR 102360671 B1 KR102360671 B1 KR 102360671B1 KR 1020197036248 A KR1020197036248 A KR 1020197036248A KR 20197036248 A KR20197036248 A KR 20197036248A KR 102360671 B1 KR102360671 B1 KR 10236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juice
juicer
li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626A (ko
Inventor
김영기
김태진
정성하
장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ublication of KR2020000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35/53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착즙 대상을 압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상기 착즙 드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호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대상을 절단 및 교반하여 착즙 드럼으로 안내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착즙 드럼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망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착즙드럼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착즙 드럼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호퍼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착즙 대상은 호퍼 내로 투입되고, 호퍼는 착즙 대상을 수용하고 착즙 드럼으로 안내한다.
호퍼의 크기에 따라 착즙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양이 달라지게 된다. 호퍼의 크기가 작다면, 망드럼 내에서 착즙 대상이 압착 및 분쇄될 때까지 많은 양의 착즙 대상이 호퍼 내에 남게 된다. 이에 따라, 호퍼 내에 착즙 대상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길 때까지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호퍼의 크기를 단순히 크게 하는 것은 심미감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즙 대상을 지속적으로 절단 및 교반하여 재료 투입이 원활하게 하고 착즙 드럼으로 안내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착즙 대상을 압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상기 착즙 드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호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호퍼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착즙 대상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중앙에 상기 절단부가 장착되는 호퍼 하우징; 및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중앙과 하부 가장자리 사이에는 착즙 대상을 상기 착즙 드럼으로 투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면 내부에 판 형태의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하측이 상기 스크류의 상부와 체결되고, 상측이 상기 뚜껑부의 하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 내부에 수용된 착즙 대상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다각 기둥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착즙 대상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는 내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절단 블레이드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교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호퍼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뚜껑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감지수단은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부와 상기 호퍼 하우징 결합 시 위치가 하강하는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온(ON)/오프(OFF)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호퍼 하우징; 상측이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착즙 드럼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앙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홈이 형성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 벽; 및 상기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착즙 드럼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호퍼 하우징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는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본체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뚜껑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의 바닥면에 판 형태의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는 일측에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개폐부; 일측에 상기 제1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걸림홈가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의 중앙에는 장착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뚜껑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홀 수용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절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본체부의 감속기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감속기 수용부의 하부에 찌꺼기 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찌꺼기 컵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컵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대상을 호퍼 내에서 절단 및 교반하면서 착즙 드럼에 제공하므로, 착즙 드럼에 투입되는 착즙 대상의 크기와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에 착즙 대상을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하지 않고, 한번에 많은 양의 착즙 대상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착즙 시간 동안 사용자는 다른 일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호퍼의 뚜껑이 개방된 경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중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드럼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가 호퍼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퍼 하우징 내부에 보강판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드럼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변형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뚜껑부가 호퍼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는 도 12의 뚜껑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 드럼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가 호퍼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부(1a), 호퍼(100a), 착즙 드럼(200a), 스크류(300a), 망드럼(400a), 및 브러시(500a)를 포함한다. 착즙 드럼(200a)의 내부에 스크류(300a), 망드럼(400a), 및 브러시(500a)가 배치되고, 호퍼(100a)는 착즙 드럼(20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즙 드럼(200a)은 본체부(1a)의 감속기 수용부(4a)에 안착된다. 착즙 드럼(200a)이 감속기 수용부(4a)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5a)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6a)의 동력이 스크류(300a)에 전달될 수 있다.
본체부(1a)는 상측 지지부(2a), 하측 지지부(3a), 및 감속기 수용부(4a)를 포함한다. 본체부(1a)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5a) 및 상기 구동력을 구동축(6a)으로 전달하는 감속기(7a)가 배치된다.
구동 모터(5a)는 진동을 억제하고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본체부(1a)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감속기(7a)는 구동 모터(5a)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5a)의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감속기(7a)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구동축(6a)이 배치된다. 구동축(6a)은 스크류(300a)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기(7a)는 구동 모터(5a)로부터 구동축(6a)까지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어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2a)는 착즙 드럼(200a)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착즙 드럼(200a)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3a)는 본체부(1a)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3a) 상에 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찌꺼기 컵(8a)이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 수용부(4a)는 본체부(1a)의 중앙에서 구동 모터(5a)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감속기(7a)가 배치되어 있다. 감속기 수용부(4a)의 상면은 착즙 드럼(200a)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착즙 드럼(200a)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컵(8a)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1a)가 형성되고, 감속기 수용부(4a)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81a)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컵 수용홈(73a)이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가 배출될 때, 찌꺼기 컵(8a)이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찌꺼기 컵(8a)을 하측 지지부(3a) 상에 배치하면 상기 돌출부(81a)가 상기 컵 수용홈(73a)에 삽입됨으로써,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 컵(8a)이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호퍼(100a)는 착즙 대상(예를 들어, 야채, 곡물, 과일 등)을 수용한 후 착즙 드럼(200a)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대상이 호퍼(100a) 내에서 절단, 교반된 후 착즙 드럼(200a) 내에서 압착 또는 분쇄되므로 효율적으로 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호퍼(100a)는 호퍼 하우징(10a), 절단부(30a), 뚜껑부(40a), 및 손잡이부(50a)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은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착즙 대상이 투입된다. 호퍼 하우징(10a)의 내부에는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측 결합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상측 결합 돌기(11a)와 뚜껑부(40a)의 뚜껑 돌기(44a)를 통해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30a)가 스크류축(330a)에 연결되었을 때, 내측 돌기(12a)는 절단부(30a)의 절단 블레이드(31a)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내측 돌기(12a)가 없다면 절단 블레이드(31a)가 회전할 때 착즙 대상이 절단 블레이드(31a) 또는 절단부(30a)에 붙어서 함께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내측 돌기(1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재료가 절단 블레이드(31a)에 붙어서 회전하더라도 내측 돌기(12a)에 걸리게 되어 재료의 고착, 정체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재료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호퍼 하우징(10a)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교반 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호퍼 하우징(10a)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네 개의 교반 돌기(13a)가 형성될 수 있다. 교반 돌기(13a)가 형성됨으로써 호퍼 하우징(10a)의 강성이 높아져 외력에 의한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즙 대상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내주면에 물기를 머금은 착즙 대상이 눌러 붙는 경우, 절단 블레이드(31a)가 회전할 때 교반 돌기(13a)가 눌러 붙은 착즙 대상을 떼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돌기(13a)는 상기 내측 돌기(12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 중앙에는 연결홀(11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홀(111a)에는 스크류축(330a)이 삽입되고, 스크류축(330a)은 연결홀(111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절단부(30a)와 연결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112a)이 형성되어 있다. 착즙 대상은 배출홀(112a)을 통과하여 착즙 드럼(200a)으로 인입된다. 배출홀(112a)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에는 배출홀(112a)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113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3a)과 배출홀(112a)이 접하는 부분의 높이가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 상면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착즙 대상이 배출홀(112a)로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사면(113a)이 형성됨으로써,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 상면과 절단부(30a)의 절단 블레이드(31a) 사이에 고착 또는 정체될 수 있는 착즙 대상이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13a)이 형성됨으로써, 절단 블레이드(31a)와 스크류(300a)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면 내부에 판 형태의 보강판(117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 작업이 진행되면 착즙 드럼(200a)에 장착된 스크류(300a)의 부하가 증가하면서 스크류(300a)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호퍼 하우징(10a)의 바닥면에 보강판(117a)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류(300a)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판(117a)은 금속 재질로 형성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측 결합 돌기(114a)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측 결합 돌기(114a)와 착즙 드럼(200a)의 드럼 결합 돌기(210a)를 통해 호퍼 하우징(10a)과 착즙 드럼(200a)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절단부(30a)는 호퍼 하우징(10a)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며, 호퍼 하우징(10a)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착즙 대상을 절단 및 교반한다. 절단부(30a)는 스크류축(33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절단부(3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블레이드(31a) 및 회전축(32a)을 포함한다.
절단 블레이드(31a)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32a)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축(32a)의 회전에 따라 착즙 대상을 1차적으로 절단한다. 절단 블레이드(31a)의 개수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31a)의 개수가 적을수록 구동 모터(5a)의 부하를 줄일 수 있지만, 설계 의도에 따라 절단 블레이드(31a)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절단부(30a)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레이드(3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33a)는 착즙 대상을 호퍼 하우징(10a)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동시킨다. 보조 블레이드(33a)의 개수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개수로 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33a)는 바람직하게는 절단 블레이드(31a)보다 상측에 장착되고, 그 길이가 절단 블레이드(31a)보다 더 짧을 수도 있다.
회전축(32a)은 스크류축(330a)에 연결되어 스크류(300a)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축(32a)의 하부에는 스크류축(330a)이 삽입되는 축홀(34a)이 형성되어 있다. 축홀(34a)의 내주면의 형상은 스크류축(330a)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6a)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300a)가 회전할 때 회전축(32a)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32a)의 상부에는 축돌기(35a)가 형성되어 있다. 축돌기(35a)가 뚜껑부(40a)의 뚜껑홀(43a)에 삽입되어, 회전축(32a)의 상부가 뚜껑부(40a)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32a)은 막대 형태, 다각 기둥 형태 또는 나선 형태(도 9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2a)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비틀린 나선 형태를 가지는 경우 착즙 대상(예를 들어, 잎채소 등)이 뭉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회전축(32a)의 하부에 작용하는 착즙 대상에 의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연결홀(111a)에 절단부(30a)의 하부를 배치하고, 뚜껑부(40a)를 호퍼 하우징(10a)에 결합시키면 절단부(30a)의 상부 및 하부가 지지되어 하나의 호퍼 조립물이 되고 조립된 호퍼 하우징(10a)을 착즙 드럼(200a)의 상부에 얹게 되면 스크류축(330a)이 절단부(30a)의 축홀(34a)에 삽입되어 절단부(30a)의 회전축(32a)과 스크류축(330a)이 연결된다.
절단부(30a)가 스크류축(330a)과 뚜껑홀(4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단부(30a)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절단부(30a)가 스크류축(330a)에 고정된다면 분리가 안되어 세척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a)는 착탈이 용이하므로, 착즙기의 세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뚜껑부(40a)는 호퍼 하우징(10a)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뚜껑부(40a)는 제1 뚜껑 손잡이(41a) 및 제2 뚜껑 손잡이(42a)를 포함한다.
제1 뚜껑 손잡이(41a)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호퍼 하우징(10a)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뚜껑 손잡이(41a)는 뚜껑부(40a)의 상부 두 부분이 하측을 향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뚜껑 손잡이(42a)는 상기 제1 뚜껑 손잡이(41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뚜껑부(40a)의 하부 중앙에는 뚜껑홀(43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32a)의 축돌기(35a)가 뚜껑부(40a)의 뚜껑홀(43a)에 삽입되어, 회전축(32a)이 뚜껑부(40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뚜껑부(40a)의 하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뚜껑 돌기(44a)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40a)의 뚜껑 돌기(44a)와 호퍼 하우징(10a)의 상측 결합 돌기(11a)에 의해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 돌기(44a)가 상측 결합 돌기(11a)에 끼워질 수 있다.
손잡이부(50a)는 호퍼 하우징(10a)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a)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호퍼(100a)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a)는 상부 마개(51a) 및 하부 마개(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마개(51a)는 손잡이부(50a)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마개(52a)는 손잡이부(50a)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마개(51a) 및 하부 마개(52a)는 일체형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100a)는 상기 뚜껑부(40a)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수단(60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감지수단(60a)은 제1 자석(61a), 제2 자석(62a) 및 스위치(63a)(도 5 참고)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석(61a)은 상기 제2 뚜껑 손잡이(42a)에 형성된 자석 수용홈(45a)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자석(62a)은 뚜껑부(40a)와 호퍼 하우징(10a) 결합 시, 상기 제1 자석(61a)과 대응되는 호퍼(100a)의 일측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50a)의 상부 마개(51a)의 상부홀(53a)에 배치하였다.
상기 제2 자석(62a)은 제1 자석(61a)과 동일한 극성을 가져, 뚜껑부(40a)의 결합에 따라 제1 자석(61a)이 인접하게 배치되면 그 위치가 하강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자석(62a)의 하부에 막대 형태의 자석 가이드(64a) 및 스프링(65a)을 배치하여 상기 제2 자석(62a)의 동작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였다.
상기 스위치(63a)는 제2 자석(62a)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온(ON)/오프(OFF) 신호를 발생시켜 본체부(1a) 내부에 배치된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개폐 감지수단(60a)은 상기 손잡이부(50a)의 하부에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한 쌍의 감지자석 즉, 제3 자석(66a) 및 제4 자석(67a)을 더 포함한다. 제3 자석(66a)은 하부 마개(52a)의 하부홀(54a)에 배치되고, 제4 자석(67a)은 본체부(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에 결합되면, 제1 자석(61a)과 제2 자석(62a)의 서로 동일한 극성에 의해 자석 가이드(64a)가 하강하고 스프링(65a)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제2 자석(62a)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3, 4 자석(66a, 67a)의 위치가 변화하고 스위치(63a)가 구동하여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에 결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으로부터 탈착되면, 스프링(65a)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자석(62a)이 상승하게 되어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으로부터 탈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부(40a)가 호퍼 하우징(10a)으로부터 탈착되면, 구동 모터(5a)의 구동을 중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착즙 드럼(200a)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크류(300a), 망드럼(400a), 및 브러시(500a)가 배치된다.
착즙 드럼(200a)의 상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럼 결합 돌기(210a)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a)의 하측 결합 돌기(114a)와 착즙 드럼(200a)의 드럼 결합 돌기(210a)를 통해 호퍼 하우징(10a)과 착즙 드럼(200a)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a)의 하부에는 즙 배출로(220a) 및 찌꺼기 배출로(230a)가 형성된다. 즙 배출로(220a)는 즙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로(230a)는 찌꺼기가 직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즙 배출로(220a)는 즙 개폐기구(240a)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찌꺼기 배출로(230a)는 찌꺼기 개폐기구(250a)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a)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7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홀(270a)에는 동력 연결부(272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연결부(272a)의 상부는 상기 착즘 드럼(200a)의 내부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272a) 상부는 스크류(300a)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홀(320a)에 삽입되어 스크류(300a)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272a) 중앙 하면에는 동력 전달홀(274a)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6a)은 상기 동력 전달홀(274a)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 연결부(272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홀(274a)의 내주면은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축(6a)에 대응하는 형상, 즉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부(272a)의 외주면에는 씰링(275a)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씰링(275a)은 동력 연결부(272a)와 드럼홀 (270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구동축(6a)이 동력 연결부(272a)를 통하여 스크류(300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축(6a)이 스크류홀(320a)에 삽입되어 직접 회전력을 스크류(300a)에 전달할 수도 있다(도 11 참고).
착즙 드럼(200a)의 하부 내측에는 기어(260a)가 배치된다. 기어(260a)의 회전축(265a)은 착즙 드럼(200a)의 하부를 관통하여 감속기 수용부(4a) 내부의 기어(7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수용부(4a) 내부의 기어(71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구동 모터(5a)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모터(5a)의 구동력은 구동축(6a) 및 기어(260a)에 동시에 전달되게 된다. 즉, 구동축(6a)이 회전하면, 기어(260a)와 스크류(300a)가 모두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300a)는 구동축(6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스크류(300a)에는 망드럼(400a)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선(310a)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a)에 의해 스크류(300a)와 망드럼(400a)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하측으로 이송된다.
스크류(300a)의 내부 중앙에는 스크류축(330a)이 배치된다. 스크류축(330a)의상부는 스크류(300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스크류축(330a)의 상부는 연결홀(111a)을 관통하며, 절단부(30a)의 회전축(32a)의 축홀(3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축(330a)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2a)이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축(330a)의 하부 중앙에는 구동축(6a)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크류홀(320a)이 형성되어 있다. 동력 연결부(272a)의 상부는 스크류홀(320a)에 삽입되어 구동축(6a)의 회전력을 스크류(300a)에 전달한다. 상기 동력 연결부(272a)의 상부 및 스크류홀(320a)의 내주면은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다각 형상 등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망드럼(400a)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스크류(300a)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망드럼(400a)은 스크류(300a)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착즙 드럼(200a) 또는 호퍼(100a)에 고정된다.
망드럼(400a)의 측면에는 스크류(300a)에 의해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a)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망공(hole)이 형성되어 있다. 망드럼(400a)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는 하부로 밀려 내려와 찌꺼기 배출로(23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망드럼(400a)은 분쇄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측면에 망공이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료 투입 시 망드럼(400a)과 스크류(300a)에 의해 재료는 압착 또는 분쇄되지만 즙과 찌꺼기가 분리되지 않고, 분쇄물은 망드럼(400a)의 하부로 배출된다. 분쇄용 망드럼은 얼린 과일이나 초콜릿, 빙과, 얼음, 유제품, 음료 등의 재료를 함께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 셔벗(sherbet)과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러시(500a)는 착즙 드럼(200a)과 망드럼(400a) 사이에 배치되며, 착즙 드럼(200a)과 망드럼(400a)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착즙 드럼(200a)의 내주면과 망드럼(400a)의 외주면에 흡착된 즙을 쓸어 내린다.
브러시(500a)의 하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브러시 기어(510a)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기어(510a)는 망드럼(400a)의 하부 내측에 배치된 기어(260a)와 맞물려 기어(260a)의 회전에 따라 브러시(500a)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구동축(6a)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300a)가 회전하며, 서로 맞물린 기어(260a) 및 브러시 기어(510a)를 통하여 브러시(500a)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브러시(500a)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은 상기 감속기 수용부(4a) 내부에 구비된 기어들의 개수 및 기어비를 통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경우 본체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본체부와 유사하므로 본체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착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부(1a)(도 1 참고), 호퍼(100b), 착즙 드럼(200b), 스크류(300b), 망드럼(400b), 및 브러시(500b)를 포함한다. 착즙 드럼(200b)의 내부에 스크류(300b), 망드럼(400b), 및 브러시(500b)가 배치되고, 호퍼(100b)는 착즙 드럼(2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즙 드럼(200b)은 본체부(1a)의 감속기 수용부(4a)에 안착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b)이 감속기 수용부(4a)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5a)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6a)의 동력이 스크류(300b)에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착즙 드럼(200b)이 구동 모터(5a)를 구비한 본체부(1a)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5a)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6a)의 동력이 스크류(300b)에 전달될 수 있다.
호퍼(100b)는 착즙 대상(예를 들어, 야채, 곡물, 과일 등)을 수용한 후 착즙 드럼(200b)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대상이 호퍼(100b) 내에서 분쇄된 후 착즙 드럼(200b) 내에서 압착 및 분쇄되므로 효율적으로 즙을 생성할 수 있다.
호퍼(100b)는 호퍼 하우징(10b), 연결부(20b), 절단부(30b), 뚜껑부(40b), 및 손잡이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b)은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착즙 대상이 투입된다. 호퍼 하우징(10b)의 내부에는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b)의 상부 일측에는 본체 힌지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힌지부(14b)는 뚜껑부(40b)의 뚜껑 힌지부(47b)와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뚜껑부(40b)가 본체 힌지부(14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호퍼 하우징(10b)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b)의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 결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호퍼 하우징(10b)의 상부 타측에 두 개의 본체 결합부(15b)가 형성되고, 호퍼 하우징(10b)의 하부 타측에 두 개의 본체 결합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15b)가 손잡이부(50b)의 손잡이 결합홀(55b)에 삽입되어 손잡이부(50b)가 호퍼 하우징(10b)에 결합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b)의 하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6b)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호퍼 하우징(10b)의 하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네 개의 결합 돌기(16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6b)가 연결부(20b)의 결합홈(121b)에 삽입되어 호퍼 하우징(10b)이 연결부(2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b)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기(17b)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돌기(17b)는 연결부(20b)의 안착홈(116b)에 안착되어 안착홈(116b)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결부(20b)는 호퍼 하우징(10b)과 착즙 드럼(200b)을 연결한다. 연결부(20b)의 상부에는 호퍼 하우징(10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착즙 드럼(200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20b)는 중앙부(110b), 제1 벽(120b), 및 제2 벽(130b)을 포함한다.
중앙부(110b)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연결홀(111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홀(111b)에는 스크류축(330b)가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축(330b)은 중앙부(110b)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절단부(30b)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부(110b)의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배출홀(112b)이 형성되어 있다. 착즙 대상은 배출홀(112b)을 통과하여 착즙 드럼(200b)으로 안내된다.
중앙부(110b)의 상면에는 배출홀(112b)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113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3b)과 배출홀(112b)이 접하는 부분의 높이가 중앙부(110b)의 상면의 다른 부분의 높이 보다 낮으므로, 착즙 대상이 배출홀(112b)로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중앙부(110b)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115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15b)은 배출홀(112b)의 일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착즙 대상을 배출홀(112b)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110b)의 바닥면에 판 형태의 보강판(117a)(도 7 참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 작업이 진행되면 착즙 드럼(200b)에 장착된 스크류(300b)의 부하가 증가하면서 스크류(300b)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중앙부(110b)의 바닥면에 보강판(117a)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류(300b)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판(117a)은 금속 재질로 형성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벽(120b)은 중앙부(110b)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1b)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120b)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16b)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홈(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21b)에는 호퍼 하우징(10b)이 연결부(2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22b)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110b)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기(17b)가 안착되는 안착홈(116b)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116b)의 길이는 하측 돌기(17b)의 길이 보다 크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16b)가 결합홈(121b)에 삽입되고 하측 돌기(17b)가 안착홈(116b)에 안착된 후, 호퍼 하우징(10b)이 원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호퍼 하우징(10b)이 연결부(2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벽(130b)은 중앙부(110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측 결합 돌기(1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벽(130b)의 하측 결합 돌기(114b)와 착즙 드럼(200b)의 드럼 결합 돌기(210b)를 통해 연결부(20b)와 착즙 드럼(200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절단부(30b)는 호퍼 하우징(10b)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착즙 대상을 절단 및 교반한다. 절단부(30b)는 스크류축(330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절단부(30b)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31b) 및 회전축(32b)을 포함한다.
절단 블레이드(31b)는 회전축(32b)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축(32b)의 회전에 따라 착즙 대상을 1차적으로 절단한다. 절단 블레이드(31b)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30b)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레이드(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33b)는 착즙 대상을 호퍼 하우징(10b)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동시킨다. 보조 블레이드(33b)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33b)는 절단 블레이드(31b) 보다 상측에 장착되고, 그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회전축(32b)은 스크류축(330b)에 연결되어 스크류(300a)와 연동되어 회전한다. 회전축(32b)의 하부에는 스크류축(330b)이 삽입되는 축홀(34b)이 형성되어 있다. 축홀(34b)의 내주면의 형상은 스크류축(330b)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2b)의 상부에는 축돌기(35b)가 형성되어 있다. 축돌기(35b)가 뚜껑부(40b)의 뚜껑홀(43b)에 삽입되어, 회전축(32b)의 상부가 뚜껑부(40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32b)은 다각 기둥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2b)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비틀린 나선 형태를 가지는 경우 착즙 대상(예를 들어, 잎채소 등)이 뭉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회전축(32b)의 하부에 작용하는 착즙 대상에 의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뚜껑부(40b)는 호퍼 하우징(10b)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뚜껑부(40b)는 뚜껑 손잡이(41b) 및 후크부(46b)를 포함한다.
뚜껑 손잡이(41b)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호퍼 하우징(10b)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뚜껑 손잡이(41b)는 뚜껑부(40b)의 상부 두 부분이 하측을 향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46b)는 손잡이부(50b)의 걸림홈(56b)에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후크부(46b)가 걸림홈(56b)에 걸림으로써 뚜껑부(40b)가 호퍼 하우징(10b)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뚜껑부(40b)의 일측에는 뚜껑 힌지부(47b)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힌지부(47b)는 본체 힌지부(14b)와 힌지 결합된다.
뚜껑부(40b)의 하부 중앙에는 뚜껑홀(43b)이 형성되어 있다. 축돌기(35b)가 뚜껑부(40b)의 뚜껑홀(43b)에 삽입되어, 회전축(32b)의 상부가 뚜껑부(40b)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손잡이부(50b)는 호퍼 하우징(10b)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손잡이부(50b)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호퍼(100b)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b)에는 본체 결합부(15b)가 삽입되는 결합홀(55b)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체 결합부(15b)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홀(55b)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b)의 상부에는 뚜껑부(40b)의 후크부(46b)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56b)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100b)는 상기 뚜껑부(40b)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수단(6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감지수단(60b)은 제1 자석(61b) 및 제2 자석(62b)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40b)가 호퍼 하우징(10b)에 결합되면, 제1 자석(61b)과 제2 자석(62b)의 서로 동일한 극성에 의해 자석 가이드(64b)가 하강하고, 제2 자석(62b)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3 자석(66b)의 위치가 변화하고 본체부(1a) 내부의 스위치(미도시)가 구동하여 뚜껑부(40b)가 호퍼 하우징(10b)에 결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착즙 드럼(200b)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크류(300b), 망드럼(400b), 및 브러시(500b)가 배치된다.
착즙 드럼(200b)의 상부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럼 결합 돌기(210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벽(130b)의 하측 결합 돌기(114b)와 착즙 드럼(200b)의 드럼 결합 돌기(210b)를 통해 연결부(20b)와 착즙 드럼(200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b)의 하부에는 즙 배출로(220b) 및 찌꺼기 배출로(230b)가 형성된다. 즙 배출로(220b) 및 찌꺼기 배출로(230b)는 즙 및 찌꺼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로(230b)는 찌꺼기가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즙 배출로(220b)는 즙 개폐기구(240b)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찌꺼기 배출로(230b)는 찌꺼기 개폐기구(250b)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b)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70b)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축(330b)의 하부는 드럼홀(270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구동축(6a)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330b)의 하부에는 스크류홀(3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6a)은 상기 스크류홀(320b)에 삽입되어 스크류(300b)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스크류홀(320b)의 내주면은 상기 구동축(6a)에 대응하는 형상, 즉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드럼홀(270b)의 가장자리에는 씰링(275b)이 장착되어 스크류축(330b)과 드럼홀(270b)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구동축(6a)이 스크류홀(320b)에 삽입되어 직접 회전력을 스크류(300b)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축(6a)이 동력 연결부(272a)(도 4 참고)를 통하여 스크류(300b)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스크류(300b)는 구동축(6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스크류(300b)에는 망드럼(400b)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선(310b)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b)에 의해 스크류(300b)와 망드럼(400b)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하측으로 이송된다.
스크류(300b)의 내부 중앙에는 스크류축(330b)이 배치된다. 스크류축(330b)은 스크류(300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스크류축(330b)의 상부는 연결홀(111b)을 관통하며, 절단부(30b)의 회전축(32b)의 축홀(34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축(330b)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2b)이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축(330b)의 하부 중앙에는 구동축(6a)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크류홀(320b)이 형성되어 있다.
망드럼(400b)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스크류(300b)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망드럼(400b)은 스크류(300b)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착즙 드럼(200b) 또는 호퍼(100b)에 고정된다.
망드럼(400b)의 측면에는 스크류(300b)에 의해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b)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망공이 형성되어 있다. 망드럼(400b)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는 하부로 밀려 내려와 찌꺼기 배출로(23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브러시(500b)는 착즙 드럼(200b)과 망드럼(400b) 사이에 배치되며, 착즙 드럼(200b)과 망드럼(400b)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착즙 드럼(200b)의 내주면과 망드럼(400b)의 외주면에 흡착된 즙을 쓸어내린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변형예이고, 도 13은 도 12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뚜껑부가 호퍼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12의 뚜껑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호퍼(100c)는 호퍼 하우징(10c), 절단부(30c), 뚜껑부(40c), 및 손잡이부(50c)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10c)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측 결합 돌기(11c)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 하우징(10c)의 상측 결합 돌기(11c)와 뚜껑부(40c)의 뚜껑 돌기(44c)를 통해 뚜껑부(40c)가 호퍼 하우징(10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뚜껑부(40c)는 호퍼 하우징(10c)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뚜껑부(40c)는 개폐부(410c) 및 장착부(420c)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10c)는 제1 뚜껑 손잡이(41c) 및 제2 뚜껑 손잡이(42c)를 포함한다.
제1 뚜껑 손잡이(41c)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호퍼 하우징(10c)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뚜껑 손잡이(41c)는 뚜껑부(40c)의 상부 두 부분이 하측을 향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10c)의 일측에는 제1 힌지부(41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힌지부(411c)는 장착부(420c)의 제2 힌지부(421c)와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뚜껑 손잡이(42c)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제1 힌지부(411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호퍼 하우징(10c)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410c)의 타측 하부에는 자석 수용홈(45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자석(61a)(도 3 참고)이 자석 수용홈(45c)에 배치되고, 손잡이부(50c) 내부에 배치된 제2 자석(62a)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개폐부(410c)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개폐부(410c)의 타측 하부에는 장착부(420c)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47c)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47c)이 장착부(420c)의 걸림홈(422c)에 걸리는 경우 개폐부(410c)가 장착부(420c)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장착부(420c)는 대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부(420c)의 일측에는 제2 힌지부(42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힌지부(421c)는 개폐부(410c)의 제1 힌지부(411c)와 힌지 결합된다.
장착부(420c)의 타측에는 걸림턱(47c)이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홈(422c)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20c)의 중앙에는 뚜껑홀 수용부(423c)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홀 수용부(423c)는 장착부(420c)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홀 수용부(423c)의 하부 중앙에는 뚜껑홀(43c)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30c)의 축돌기(35c)가 뚜껑홀(43c)에 삽입되어, 절단부(30c)의 상부가 뚜껑부(40c)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뚜껑홀 수용부(423c)가 장착부(420c)의 양 끝단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서, 뚜껑홀 수용부(423c)의 양 측에 투입홀(424c)이 형성된다. 절단부(30c)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개폐부(410c)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부(410c)의 자석 수용홈(45c)에 배치된 제1 자석(61a)과 손잡이부(50c) 내부에 배치된 제2 자석(62a)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개폐부(410c)의 개방이 감지되어 절단부(30c)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투입홀(424c)을 통해 착즙 대상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착즙 대상을 투입하기 위해 장착부(420c)를 회전시켜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대상을 호퍼 내에서 절단 및 교반하면서 착즙 드럼에 제공하므로, 착즙 드럼에 투입되는 착즙 대상의 크기와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에 착즙 대상을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하지 않고, 한번에 많은 양의 착즙 대상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착즙 시간 동안 사용자는 다른 일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호퍼의 뚜껑이 개방된 경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중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착즙 대상을 지속적으로 절단 및 교반함으로써 다량의 재료를 착즙 드럼 내로 원활하게 투입할 수 있는 착즙기를 제공한다.

Claims (23)

  1. 착즙 대상을 압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및
    상기 착즙 드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에 의해 내부에 상기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호퍼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호퍼의 중앙에서 회전하며 상기 착즙 대상이 수용되는 공간 내에서 상기 착즙 대상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상기 바닥면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상기 절단부가 장착되는 호퍼 하우징; 및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의 스크류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하우징의 바닥면 하부 중앙과 하부 가장자리 사이에는 착즙 대상을 상기 착즙 드럼으로 투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는 내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절단 블레이드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교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면 내부에 판 형태의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하측이 상기 스크류의 상부와 체결되고, 상측이 상기 뚜껑부의 하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 내부에 수용된 착즙 대상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착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다각 기둥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착즙 대상을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호퍼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착즙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뚜껑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착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감지수단은,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부와 상기 호퍼 하우징 결합 시 위치가 하강하는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온(ON)/오프(OFF)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착즙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측이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착즙 드럼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착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앙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홈이 형성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 벽; 및
    상기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착즙 드럼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벽;을 포함하는 착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하우징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호퍼 하우징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착즙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착즙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는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본체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뚜껑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착즙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바닥면에 판 형태의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일측에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개폐부;
    일측에 상기 제1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착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중앙에는 장착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뚜껑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홀 수용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절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드럼은 본체부의 감속기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감속기 수용부의 하부에 찌꺼기 컵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찌꺼기 컵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컵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1020197036248A 2017-06-07 2018-06-05 착즙기 KR102360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1003 2017-06-07
KR1020170071003 2017-06-07
PCT/KR2018/006391 WO2018226008A1 (ko) 2017-06-07 2018-06-05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626A KR20200005626A (ko) 2020-01-15
KR102360671B1 true KR102360671B1 (ko) 2022-02-10

Family

ID=6456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248A KR102360671B1 (ko) 2017-06-07 2018-06-05 착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60671B1 (ko)
CN (1) CN212234077U (ko)
WO (1) WO2018226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20000284U1 (de) * 2019-10-22 2020-12-09 Hurom Co., Ltd. Entsafter
KR200497316Y1 (ko) * 2019-10-22 2023-10-12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21080055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00000717U (ko) * 2019-10-22 2020-04-07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21162151A1 (ko) * 2020-02-14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CN112933659B (zh) * 2021-01-31 2022-08-23 六安益普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植物有效成分提取的减压萃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35928B1 (ko) * 2022-01-26 2023-05-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78B1 (ko) * 2008-12-02 2012-03-21 씨알케이(주) 원두커피 자동분쇄기
KR101195620B1 (ko) * 2010-04-12 2012-10-30 오봉석 분유 가열믹싱장치
FR2982471B1 (fr) * 2011-11-14 2013-12-20 Seb Sa Appareil d'extraction de jus alimentaire
KR20130059611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착즙기
KR101343599B1 (ko) *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KR102221753B1 (ko) * 2014-02-10 2021-03-02 코웨이 주식회사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926379B1 (ko) * 2015-05-18 2018-12-07 주식회사 휴롬 교반분쇄식 자동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234077U (zh) 2020-12-29
WO2018226008A1 (ko) 2018-12-13
KR20200005626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671B1 (ko) 착즙기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EP2510842B1 (en) Combined smoothie maker and juicer
KR101343599B1 (ko)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KR101159177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2102324B1 (ko) 착즙기
KR101809533B1 (ko) 과채류 분쇄기
KR20200000717U (ko) 착즙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CN112545330B (zh) 一种破壁机
KR200497316Y1 (ko) 착즙기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KR20200000718U (ko) 착즙기
KR20210000250U (ko) 착즙기
CN115209768B (en) Semi-automatic machine for comminuting and then collecting external frozen food products for subsequent use
KR102364079B1 (ko) 착즙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