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28B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28B1
KR102535928B1 KR1020220011234A KR20220011234A KR102535928B1 KR 102535928 B1 KR102535928 B1 KR 102535928B1 KR 1020220011234 A KR1020220011234 A KR 1020220011234A KR 20220011234 A KR20220011234 A KR 20220011234A KR 102535928 B1 KR102535928 B1 KR 102535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juicer
upper blade
inner protrusion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2001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928B1/ko
Priority to PCT/KR2023/000299 priority patent/WO2023146155A1/ko
Priority to AU2023211884A priority patent/AU2023211884A1/en
Priority to EP24156981.3A priority patent/EP4342348A3/en
Priority to EP23153009.8A priority patent/EP4218502B1/en
Priority to US18/159,609 priority patent/US2023023301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압착하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드럼; 착즙드럼에 결합되며, 내부에 착즙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정의하며, 내측면의 일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호퍼 내측돌기를 포함하는 호퍼; 및 호퍼에 결합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착즙대상물이 스크류에 이르기 전에 절삭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칼날부는, 호퍼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하부칼날부; 및 호퍼 내측돌기를 위에서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상부칼날부를 포함하되, 상부칼날부는, 호퍼 내측돌기와 상호작용하며 착즙대상물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개시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착즙기는 착즙대상물을 호퍼에 투입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을 파쇄함으로써 주스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착즙기는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서 착즙대상물의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가 있으며, 착즙대상물이 야채인 경우 줄기나 잎은 즙을 만들기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점도가 높은 망고 등의 과일로 주스를 만드는 것도 어려우며, 콩을 두유로 만드는 것도 불가능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망체와 망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즙대상물을 분쇄하는 착즙기가 출시되었고, 이러한 저속 착즙기는 점도가 높은 과일이나, 콩을 두유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속 착즙기는 스크류의 크기에 따라 적정 크기의 착즙대상물을 요구하였고, 이를 위해 착즙대상물을 투입구에 투입하기 전에 적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즙드럼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 내부에 상부칼날부와 하부칼날부로 나뉘어 형성되는 칼날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착즙대상물을 별도로 절삭하지 않고 호퍼에 투입하더라도 상부칼날부와 하부칼날부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이 스크류에 도달하기 전에 절삭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칼날부가 회전할 때, 호퍼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호퍼 내측돌기와 연계되어 착즙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절삭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가 하방으로 경사지는 빗면을 포함함으로써,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내측돌기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압착하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드럼; 착즙드럼에 결합되며, 내부에 착즙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정의하며, 내측면의 일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호퍼 내측돌기를 포함하는 호퍼; 및 호퍼에 결합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착즙대상물이 스크류에 이르기 전에 절삭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칼날부는, 호퍼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하부칼날부; 및 호퍼 내측돌기를 위에서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상부칼날부를 포함하되, 상부칼날부는, 호퍼 내측돌기와 상호작용하며 착즙대상물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로 착즙대상물을 별도로 절삭하지 않고 호퍼에 투입하더라도 상부칼날부와 하부칼날부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이 스크류에 도달하기 전에 절삭된 후 스크류와 망체에 의하여 착즙됨으로써 착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칼날부가 회전할 때, 호퍼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호퍼 내측돌기와 연계되어 착즙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절삭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내측돌기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바닥면과 망체가 결합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바닥면을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과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의 내측면 하단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는 칼날부(100), 호퍼(200), 착즙드럼(300) 및 본체(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칼날부(100)는 상부칼날부(110), 하부칼날부(120) 및 칼날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칼날부(100)는 칼날 고정부재(130)에 의하여 호퍼(20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중심축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이다. 칼날부(100)는 호퍼(200)의 투입구(220)로 투입된 착즙대상물이 스크류(320)에 이르기 전에 절삭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은 크기로 절삭하지 않은 착즙대상물을 투입구에 투입하더라도, 스크류(320)에 이르기 전에 칼날부(1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절삭되므로 사용자는 착즙대상물을 가공함에 있어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상부칼날부(110)는 제1 상부칼날(112)과 제2 상부칼날(114)을 포함한다.
제1 상부칼날(112)은 호퍼(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칼날(112)은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상부칼날(114)이 호퍼 내측돌기(250)의 상단을 감싸며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상부칼날(112)은 중심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여기서 일정거리는, 제2 상부칼날(114)이 호퍼 내측돌기(250)와 연계되어 착즙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상부칼날(112)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호퍼 내측돌기(25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제1 상부칼날(112)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호퍼 내측돌기(25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즉,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 상부칼날(112)이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부칼날부(110)가 호퍼 내측돌기(250)와 연계되어 착즙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제1 상부칼날(112)은 호퍼(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되,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며 형성되거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 상부칼날(11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상부칼날(112)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형성될 때, 제1 상부칼날(112)은 호퍼 내측돌기(250)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즉, 제1 상부칼날(112)은 일단이 호퍼(200)의 바바닥면에 형성되고, 타단이 호퍼 내측돌기(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결국, 제1 상부칼날(112)의 타단이 형성되는 높이는 호퍼 내측돌기(250)에 대응되는 높이이다.
제2 상부칼날(114)은 제1 상부칼날(112)의 타단으로부터 호퍼(2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2 상부칼날(114)은 호퍼 내측돌기(250)를 위에서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상부칼날(114)이 호퍼 내측돌기(250)에 직접 접촉하기보다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는 칼날부(100)의 상부칼날부(110)가 회전하며 호퍼 내측돌기(250)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이 1차적으로 절단이 되고, 절단된 즙대상물은 하부칼날부(120)에 의하여 한번 더 절삭된다. 여기서, 상부칼날부(110)의 제2 상부칼날(114)이 호퍼 내측돌기의 상단을 통과하며 착즙대상물을 절삭하기 때문에,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제2 상부칼날(114)은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며, 호퍼 내측돌기(250)도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제2 상부칼날(114)과 호퍼 내측돌기(250)가 중심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착즙대상물이 외부로 밀려나지 않고 중심으로 모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2 상부칼날(114)은 외형이 점차적으로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는 호퍼 내측돌기(250)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은 이유인데, 제2 상부칼날(114)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호퍼 내측돌기(250)와 상부칼날부(110)가 더욱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착즙대상물이 더욱 잘 절삭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제2 상부칼날(114)과 호퍼 내측돌기(250)가 서로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착즙 대상물이 더욱 잘 절삭된다.
또한, 제2 상부칼날(114)의 아랫면, 즉, 호퍼(20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은 V자 형상의 칼날이 형성된다. 즉, V 자형상의 뾰족한 칼날이 절삭효율을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호퍼 내측돌기의 윗면도 뾰족한 형상이고, 제2 상부칼날(114)의 아랫면도 V자 형상으로 뾰족하기 때문에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제2 상부칼날(114) 또는 호퍼 내측돌기(250)에 잔존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2 상부칼날(114)의 아랫면이 날 형상을 이루며 좁아지기 때문에 착즙대상물은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호퍼 내측돌기(250)에 잔존하는 착즙대상물도 호퍼 내측돌기(250)를 따라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즉, 호퍼 내측돌기(250)는 제2 상부칼날(114)에 대응되도록 빗면(252)을 형성하기 때문에 호퍼 내측돌기(250)는 상부로 갈수록 접촉면이 좁아지며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250)는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축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칼날부(110)와 하부칼날부(12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호퍼(2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연통구(240)로 떨어지며 망체(310)로 이동한다.
하부칼날부(120)는 호퍼(200)의 바닥면과 밀착하여 회전한다. 하부칼날부(120)는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을 한번 더 절삭함과 동시에 착즙대상물을 연통구(240)로 이동시킨다.
하부칼날부(120)는 호퍼(2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칼날부(120)는 상부로 갈수록 점점 뾰족하게 형성되며, 날을 형성한다.
칼날 고정부재(130)는 상부칼날부(110)와 하부칼날부(120)를 중심축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부칼날부(110)와 하부칼날부(120)는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빠르게 회전한다.
호퍼(200)는 뚜껑(210), 투입구(220), 손잡이(230), 연통구(240), 호퍼 내측돌기(250) 및 호퍼 보조내측돌기(2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호퍼(200)는 착즙드럼(300)의 상단에 설치된다. 호퍼(200)는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공간임과 동시에, 투입된 착즙대상물을 절단하여 스크류(320)에 이르도록 유도한다.
뚜껑(210)은 호퍼의 상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힌지에 의하여 고정된다.
투입구(220)는 뚜껑(210)의 중심에 형성되며, 착즙대상물이 호퍼(200)의 내부로 투입되는 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220)를 통과할 정도의 착즙대상물을 투입구(220)에 투입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을 착즙기(10)에 의하여 절삭 및 착즙할 수 있다.
손잡이(230)는 호퍼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호퍼(200)를 분리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연통구(240)는 호퍼(200)의 내측에 형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2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연통구(240)는 바닥면의 일부가 부채꼴 형상으로 뚫린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부칼날부(110) 또는 하부칼날부(12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연통구(240)를 통과함으로써 스크류(320)에 도달 수 있다.
연통구(240)는 칼날부(10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착즙드럼(300)으로 낙하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 내측돌기(250)가 연통구(240)의 연직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연통구(240)로 낙하하게 된다.
호퍼 내측돌기(250)는 칼날부(100)와 상호작용으로 착즙대상물을 절삭 및 분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 내측돌기(250)는 상부칼날부(110)와 상호작용하며 착즙대상물을 절삭한다.
호퍼 내측돌기(250)는 호퍼(200)의 내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칼날(112)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길이는 제1 상부칼날(112)이 중심축으로 이격된 거리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제1 상부칼날(112)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호퍼 내측돌기(25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즉, 호퍼 내측돌기(250)의 길이는 제1 상부칼날(112)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와 반비례한다.
한편, 호퍼 내측돌기(250)는 제2 상부칼날(11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절삭된 착즙대상물은 호퍼 내측돌기(250)의 빗면(252)을 타고 아래로 떨어진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250)는 중심축 방향으로도 뾰족하게 형성되며, 바닥면 방향으로도 뾰족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 내측돌기(250)는 착즙대상물의 절삭 및 낙하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호퍼 내측돌기(250)의 각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250)는 호퍼(200)의 내측면에 적어도 1 개 형성될 수 있다. 호퍼 내측돌기(250)가 복수개로 형성되면 착즙대상물의 절삭은 더욱 효율적일 수 있으나, 착즙대상물이 호퍼 내측돌기(250)에 잔존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적정한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호퍼 내측돌기(250)는 제2 상부칼날(114)의 하단에 형성되므로, 제2 상부칼날(114)은 호퍼 내측돌기(250)를 감싸며 회전한다. 호퍼 내측돌기(250)가 칼날부(100)의 제2 상부칼날(114)의 상단에 형성되면,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바닥면으로 떨어질 때 가장 효율적이다.
만약, 호퍼 내측돌기(250)가 제2 상부칼날(114)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면, 착즙대상물은 투입구(220)로부터 낙하하며 칼날부(100)에 먼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호퍼 내측돌기(250)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호퍼 내측돌기(250)의 하단에서 회전하는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삭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착즙대상물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절삭된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는 호퍼 내측돌기(250)가 제2 상부칼날(114)의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즙대상물의 절삭이 극대화되고, 뿐만 아니라,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호퍼(200)의 바닥면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렇듯, 착즙대상물이 회전하는 상부칼날부(110)와 먼저 마주한 후, 착즙대상물은 호퍼 내측돌기(250)와 상부칼날부(11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절삭되고, 제2 상부칼날(114)의 아랫면과 호퍼 내측돌기(250)의 빗면(252)에 의하여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빗면(252)의 끝단에는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면(254)이 형성되고, 빗면(252)을 타고 내려온 착즙대상물은 수직면(254)을 마주함으로써 호퍼(200)의 바닥면으로 낙하한다.
호퍼 보조내측돌기(260)는 호퍼(200)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며, 하부칼날부(120)와 상호작용하며 착즙대상물을 절삭한다.
호퍼 보조내측돌기(260)는 하부칼날부(12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호퍼 보조내측돌기(260)의 길이는 하부칼날부(120)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하부칼날부(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 호퍼 보조내측돌기(26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반면, 하부칼날부(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면, 호퍼 보조내측돌기(26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칼날부(120)는 호퍼 보조내측돌기(260)와 상호작용하며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을 2차적으로 한번 더 절삭한 후 망체(310)로 가이드한다.
호퍼 내측돌출부(270)는 호퍼(200)의 내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호퍼 내측돌기(250)의 상단에 위치한다. 즉, 호퍼 내측돌출부(270)의 하단, 즉, 끝단에 호퍼 내측돌기(250)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 내측돌출부(270)는 호퍼 내측돌기(250)와 연결된다.
호퍼 내측돌출부(270)는 호퍼 내측돌기(25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호퍼(20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착즙대상물이 호퍼 내측돌출부(270)와 마주하면, 착즙대상물은 호퍼 내측돌출부(270)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칼날부(110)에 의하여 절단된다.
호퍼 내측돌출부(27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중심축을 향하여 호퍼 내측돌기(250)가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호퍼(200)의 내측면에 호퍼 내측돌출부(270)가 형성되면, 호퍼 내측돌출부(270)가 회전하는 착즙대상물을 저지시킴으로써, 호퍼 내측돌기(250)와 상부칼날부(100)의 절삭효과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당근이나 샐러리와 같이 길이가 긴 착즙대상물은 호퍼(200)의 상단에서 비스듬하게 뉘여지며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호퍼(200)의 내측면에 호퍼 내측돌출부(270)가 형성되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안전감지봉(280)은 호퍼(200)의 원주면에 위치하며,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이다. 안전감지봉(280)은 호퍼 내측돌출부(270)가 형성되는 원주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 내측돌출부(270)가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호퍼 내측돌출부(270) 내부에는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안전감지봉(280)은 그 공간에 삽입된다.
안전감지봉(280)은 뚜껑(210)의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부(215)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강하도록 형성된다. 안전감지봉(280)이 하강하면, 하단에 위치한 안전스위치(미도시)가 본체(400)의 구동모터를 차단한다.
뚜껑(210)이 열린상태에서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사용자의 손이 호퍼(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나, 뚜껑(210)이 열린 상태에서 하강하는 안전감지봉(280)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210)이 열리면 누름부(215)는 안전감지봉(280)이 하강하도록 가압하고, 뚜껑(210)이 닫히면 누름부(215)는 더 이상 안전감지봉(280)을 가압하지 않는다. 결국, 안전감지봉(280)의 뚜껑(210)의 개폐상태와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연동함으로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는 뚜껑(210)이 열린 경우 안전감지봉(280)이 칼날부(100)와 연동된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착즙드럼(300)은 망체(310), 스크류(320), 찌꺼기 배출구(330) 및 즙 배출구(340)를 포함한다.
착즙드럼(300)은 본체(4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착즙드럼(300)은 일측에 찌꺼기 배출구(3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즙 배출구(340)가 형성된다.
찌꺼기 배출구(330)는 착즙드럼(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하부베이스로 형성된다. 즉, 찌꺼기 배출구(330)의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는 슬라이딩 결합되어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착즙액 배출구(340)는 망체(310)와 스크류(320)에 의하여 착즙된 착즙액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착즙액 배출구(340)는 일단에 착즙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거나 또는 착즙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착즙액 개폐구(도면부호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400)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착즙드럼(300)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삭제

Claims (19)

  1.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압착하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드럼;
    상기 착즙드럼에 결합되며, 내부에 착즙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정의하며, 내측면의 일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호퍼 내측돌기를 포함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착즙대상물이 상기 스크류에 이르기 전에 절삭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호퍼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하부칼날부; 및
    상기 호퍼 내측돌기를 위에서 감싸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상부칼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칼날부는, 상기 호퍼 내측돌기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착즙대상물을 분쇄하며;
    상기 상부칼날부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는 제1 상부칼날;
    상기 제1 상부칼날로부터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상부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제1 상부칼날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상부칼날은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가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제2 상부칼날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제2 상부칼날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칼날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착즙대상물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좌우측에 상기 제2 상부칼날에 대응되는 빗면을 형성하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빗면의 끝단에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접촉면이 좁아지며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외형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칼날부에 의하여 절삭된 착즙대상물이 상기 착즙드럼으로 낙하하도록 바닥면에 연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연통구의 연직상단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칼날은, 아랫면에 V자 형상의 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칼날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내측면 하단에 호퍼 보조내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 보조내측돌기는, 상기 하부칼날부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착즙대상물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보조내측돌기는, 상기 하부칼날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보조내측돌기의 길이는 상기 하부칼날부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내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호퍼 내측돌기와 연결되는 호퍼 내측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측돌기는, 상기 호퍼 내측돌출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단에 위치하며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개폐상태와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안전감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감지봉은,
    상기 뚜껑이 열린 경우 상기 칼날부와 연동된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뚜껑이 닫힌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뚜껑이 열린 경우 상기 안전감지봉이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1020220011234A 2022-01-26 2022-01-26 착즙기 KR102535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34A KR102535928B1 (ko) 2022-01-26 2022-01-26 착즙기
PCT/KR2023/000299 WO2023146155A1 (ko) 2022-01-26 2023-01-06 착즙기
AU2023211884A AU2023211884A1 (en) 2022-01-26 2023-01-06 Juice extractor
EP24156981.3A EP4342348A3 (en) 2022-01-26 2023-01-24 Juicer
EP23153009.8A EP4218502B1 (en) 2022-01-26 2023-01-24 Juicer
US18/159,609 US20230233011A1 (en) 2022-01-26 2023-01-25 Jui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34A KR102535928B1 (ko) 2022-01-26 2022-01-26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928B1 true KR102535928B1 (ko) 2023-05-26

Family

ID=8507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234A KR102535928B1 (ko) 2022-01-26 2022-01-26 착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33011A1 (ko)
EP (2) EP4342348A3 (ko)
KR (1) KR102535928B1 (ko)
AU (1) AU2023211884A1 (ko)
WO (1) WO202314615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626A (ko) * 2017-06-07 2020-01-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10000946U (ko) *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38B1 (ko) * 2004-12-29 2005-06-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방법
KR101343599B1 (ko) *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KR102221753B1 (ko) * 2014-02-10 2021-03-02 코웨이 주식회사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2358628B1 (ko) * 2015-03-17 2022-02-04 코웨이 주식회사 안전 센서를 구비한 주서기
EP4289316A1 (en) * 2019-10-22 2023-12-13 Hurom Co., Ltd. Jui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626A (ko) * 2017-06-07 2020-01-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10000946U (ko) *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3011A1 (en) 2023-07-27
EP4342348A2 (en) 2024-03-27
EP4218502B1 (en) 2024-03-20
WO2023146155A1 (ko) 2023-08-03
EP4218502A1 (en) 2023-08-02
AU2023211884A1 (en) 2024-06-13
EP4218502C0 (en) 2024-03-20
EP4342348A3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100883B4 (en) Improved Juicer with Feedtube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948370B1 (ko) 음료용 주스의 추출용 디바이스
US20090064875A1 (en) Juicer with alternate cutters
DE2813168A1 (de) Kuechenmaschine mit schnitzelwerk
US20150342244A1 (en) Electric appliance for preparing juice by pressing food
CA2952558A1 (en) Juice squeezing module for juicer
KR102535928B1 (ko) 착즙기
KR20150115259A (ko) 모재 통투입 및 역배출 방지 가능한 착즙 어셈블리
WO2020239031A1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KR102376206B1 (ko)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US20050127086A1 (en) Food processing device
KR200497316Y1 (ko) 착즙기
EP4029414A2 (en) Food cooker
KR200494287Y1 (ko) 착즙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0635807B1 (ko) 다목적 녹즙기
KR102511027B1 (ko)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CN210055607U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KR102554188B1 (ko)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KR102515513B1 (ko) 펄프와 착즙물의 혼합을 방지하는 주서기
KR102287205B1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EP0377111B1 (en) Centrifugal machine with central feed of the kind utilizable particularly on the alimentary field for obtaining fruit or vegetables juices
KR200362354Y1 (ko) 음식물 분쇄기
CN210055606U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