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206B1 -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206B1
KR102376206B1 KR1020177004068A KR20177004068A KR102376206B1 KR 102376206 B1 KR102376206 B1 KR 102376206B1 KR 1020177004068 A KR1020177004068 A KR 1020177004068A KR 20177004068 A KR20177004068 A KR 20177004068A KR 102376206 B1 KR102376206 B1 KR 102376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ood
cooking apparatus
food cooking
lead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628A (ko
Inventor
그랑 올리비에 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7003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용 슈트(40) 및, 회전축(15) 둘레로 회전하도록 설계되며 일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와 함께 압착용 오거(auger, 20)를 형성하는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용 슈트(40)는 회전축(15) 둘레로 개방된 하부(42)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스 추출 도구(10)는 적어도 하나의 보링 스레드(31)와 함께 보링 오거(30)를 형성하는 제1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레드(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링 스레드(31)와 별개이며, 주스 추출 도구(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링 스레드(3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레드(2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FOOD PREPARATION DEVICE FOR EXTRACTING JUICES BY PRESSING}
본 발명은 압착용 스크루에 의하여 압착함으로써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전술한 유형의 음식물 조리 장치를 형성하는 탈부착 가능한 부품을 장착한 전동 케이싱을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 기기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유형의 탈부착 가능한 부품들에 관한 것이다.
압착용 스크루를 갖는 주스 추출용 기기들이 종래기술, 특히, 문헌 WO2014000335A1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유형의 기기는 특히, 압착할 음식물이 압착용 스크루에 의해 처리되도록 사용자가 그 음식물 상으로 상당한 척력을 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압착할 음식물은 압착용 스크루가 점유한 공급용 슈트(feed chute) 하부의 작동 공간 내로 투입되기 위하여, 그리고 그 후 필터를 향하여 밀려 들어가기 위하여 잘게 절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히 압착할 음식물이, 예를 들어 사과 등과 같이 단단할 경우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한다.
그 결과 과일들을 통째로 처리하는데 방해가 되는 사용상 제약이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주스 추출용 기기로 투입하기 이전에 해당 과일들을 미리 절단해야 하는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해결하고, 특히 최우선적으로, 통과일 또는 현저한 역학적 저항력이 있는 과일들을, 사용자에 의한 상당한 척력을 요구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주스 추출용 음식물 조리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음식물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인데, 그 음식물 조리 장치는:
- 공급용 슈트, 및
-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와 함께 압착용 스크루를 형성하는 일부분이 있는 주스 추출용 도구로서,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는 압착용 스크루 표면상에 형성되고, 압착할 음식물을 주스 추출용 도구의 제1 부분으로부터 그 주스 추출용 도구의 제2 부분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주스 추출용 도구,
를 포함하고,
공급용 슈트는 회전축 둘레로 개방되는 하부를 가지며,
주스 추출용 도구는, 그 주스 추출용 도구의 제1 부분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와 함께 천공용 스크루를 형성하는 제1 층을 포함하고, 그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는 천공용 스크루 표면에 형성되고, 공급용 슈트로부터 유입된 음식물을 천공하고 분해하고 그 음식물을 공급용 슈트로부터 압착용 스크루를 향하여 인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와는 별개의 것이고, 그 주스 추출용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를 포함함으로써 그 목적에 부합된다.
전술한 실시에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는, 압착용 스크루뿐만 아니라 그 압착용 스크루의 상부에, 공급용 슈트가 그 상부에서 개방되는 천공용 스크루도 갖는 주스 추출용 도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단 에지 또는 다수의 선단 에지 중 하나의 선단 에지에 의해 자유로이 남은 통로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는 압착할 음식물은 천공용 스크루에 의해 그 측면 및/또는 하부 면에서 1차 절단된다. 현저한 크기의 음식물, 특히 그 단면적이 공급용 슈트의 단면적과 근사한 음식물은 천공용 스크루에 의해 잘게 절단된 하부 중앙부를 가지며, 천공용 스크루는 또한 그 하부가 점차 분열되는 데 기여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선단 에지는 그 후 탈착된, 또는 부분적으로 탈착된, 예를 들어 껍질부분에 아직 부착된 조각들을 절단 및/또는 포획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수득된 조각들은 그 후 압착용 스크루에 의해 압착된다. 공급용 슈트는 회전축 상으로 개방되는데, 이는 다시 말하자면 회전축이 주스 추출용 도구 상으로 개방되는 공급용 슈트의 말단 단면을 통과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해야 하는 힘은 압착용 스크루 내로 직접 투입하는 것에 비하여 감소된다. 압착할 음식물이 대형 조각들로 분해되었을 때, 주스 추출용 도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기기가 제공해야 하는 회전 토크는 한정된다는 점도 추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의 특이성은 (주스 추출용 도구의)별개의 부분들을 형성하며 각각의 고유 기능(천공용 스크루는 압착할 음식물을 천공하고 분해하는 기능, 압착용 스크루는 압착하는 기능)을 위하여 고안된 각각의 고유 스크루 스레드를 갖는 천공용 스크루 및 압착용 스크루가 있는 주스 추출용 도구를 제안한다는 점으로서, 이는 압착할 음식물에 대한 2가지 별개의 작업을 가할 수 있게 하고, 공급용 슈트 내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가해야 하는 힘을 한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음식물 조리 장치는 음식물 압착 전용의 음식물 조리용 가전기기에 통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갖는 기기를 위한 탈부착 가능한 부품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그 기기는 세척이 용이할 수 있도록 기기의 전동 케이싱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천공용 스크루의 주연부에서 연장된다. 그 구성은 주스 추출용 도구의 디자인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천공용 스크루에서 파생된다. 보완으로서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압착용 스크루에서 파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천공용 스크루의 하반부의 주연부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천공용 스크루의 하부 3분의 1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그 구성으로써, 음식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에 도달하기 전에 천공용 스크루가 그 음식물 상에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와 별개이다. 그 구성은 주스 추출용 도구의 디자인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 상으로 개방된다. 그 구성은 음식물 조리 장치의 디자인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압착용 스크루의 상부에서 연장된다. 그 구성은 주스 추출용 도구의 디자인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주스 추출용 도구의 회전축은 천공용 스크루의 축 및/또는 압착용 스크루의 축이다.
유리하게는, 천공용 스크루는 공급용 슈트와 마주하는 선단 자유 단부를 갖는다. 그 선단 자유 단부는, 천공 드릴의 단부와 유사하며, 공급용 슈트와 마주하는데, 이는 압착할 음식물이 천공용 스크루에 의해 효과적이고 직접적으로 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실제로, 공급용 슈트는 선단 자유 단부 상으로 직접 통하는 압착할 음식물의 통로 단면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주스 추출용 도구의 회전축은 천공용 스크루의 선단 자유 단부를 통과한다. 그 실시는 압착할 음식물이 편심된 부분에 의해 인도되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기기상에 가해지는 힘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천공용 스크루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의 말단부에서의 외경은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의 시작부에서의 압착용 스크루의 외경보다 작다. 그 구성은 압착용 스크루에 의한 음식물 또는 음식물 조각들의 이동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천공용 스크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는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공급용 슈트의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천공용 스크루는 공급용 슈트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현저한 크기의 압착할 음식물은 천공용 스크루가 그 음식물을 천공 및/또는 분해하도록 천공용 스크루와 필수적으로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로부터 불연속적이다. 따라서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와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는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며 불연속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까지 연장된다. 그 실시에 따르면, 압착할 음식물의 조각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에 의해 신속히 포획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의 말단부에서 연장된다. 그 구성은 압착할 음식물이 주스 추출용 도구의 하부를 향하여, 즉 압착용 스크루를 향하여 전진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주스 추출용 도구는 2개의 선단 에지 및 그 2개의 선단 에지 중 하나까지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 각각은 선단 에지들 중 하나를 연장한다. 그 실시에 따르면, 통과일을 공급용 슈트 내로 투입하기 위하여 가하는 힘과 그 통과일을 절단하기 위하여 가하는 힘이 단 하나의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구성에 비하여 감소된다. 그 구성은 또한, 선단 에지 하부를 통과한 음식물 조각들이 주스 추출용 도구의 제2 부분을 향하여 운반되는 것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선단 에지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 있다. 그 구성에 따르면, 하부 선단 에지(압착용 스크루 측)는 지지 면으로 사용되고, 상부 선단 에지(슈트 측)는 압착할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선단 에지들은 공급용 슈트 측에 배치된 상승된 상부 선단 에지 및 압착용 스크루 측에 배치된 하부 선단 에지를 포함한다. 그 실시에 따른 주스 추출용 도구는 통과일들을 분해하기 위하여 가해야 하는 힘들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작업 중인 과일들을 점진적으로 토막내거나 슬라이스하기보다는 분해하거나 산산조각으로 분열시킬 수 있다. 서로 어긋난 선단 에지들과 상승된 상부 선단 에지가 있는 그 실시는 가해야 할 힘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압착할 음식물이 상부 선단 에지에 의해 조각들로 산산이 분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저한 크기의 음식물은, 그 후 압착용 스크루에 의해 압착되도록, 더 적은 힘으로써 더욱 신속히 분쇄된다. 본 실시에 따르면, 상부 선단 에지는 천공용 스크루에 더 근접한 선단 에지를 의미하고, 하부 선단 에지는 압착용 스크루에 더 근접한 선단 에지를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하부 선단 에지는 평평한 상부면을 갖는다. 그 구성으로써 압착용 스크루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조각들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 전체에 마주하여 주스 추출용 도구를 향하는 하부 개방부를 갖는다. 그 실시에 따르면 공급용 슈트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선단 에지 전체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출구 개방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선단 에지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외부 반경을 가진다면, 공급용 슈트는 선단 에지 반경의 2배인 지름과 동등한 지름(적어도 통로의 말단부에서), 즉 해당하는 소정의 반경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지름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천공용 스크루를 에워싸는 팽창부를 갖는다. 그러한 팽창부 또한, 사용자가 가해야 할 힘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팽창부에 비하여 작은 입구 단면적을 갖는 공급용 슈트를 사용함으로써, 압착용 스크루에 의해 포획되기 이전에 천공용 스크루에 의해 분해된 과일의 대형 조각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팽창부에 의해 마련되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공급용 슈트 내에, 특히 팽창부 위치에 투입된 음식물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정지 수단들을 포함한다. 회전 정지 수단들은 압착의 분쇄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대형 조각들이 하나 또는 다수의 선단 에지에 의하여 회전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회전이 저지된 조각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선단 에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회전 정지 수단들은 공급용 슈트의 내부 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특히 공급용 슈트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리브를 고려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회전 정지 수단들은 팽창부 내로 적어도 일부분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사과와 같은 통과일들을 수용하고 인도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공급용 슈트는 70mm 이상 9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mm 이상 85mm 이하의 지름을 갖는 유도관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압착용 스크루는 공급용 슈트와 동축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스 추출용 도구는 공급용 슈트와 동축이다.
유리하게는, 음식물 조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와 적어도 마주하여 펼쳐지는 필터를 포함하고 압착용 스크루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에 의해 압착용 스크루의 제1 부분에서 압착용 스크루의 제2 부분으로 이동된 압착할 음식물을 필터에 대향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서, 압착용 스크루는 특히 필터링 부분이 없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필터 및/또는 케이스는 압착용 스크루의 하나 또는 다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또는 내부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천공용 스크루 및 압착용 스크루는 몰딩에 의해 제조된 단일 부품으로써 주스 추출용 도구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천공용 스크루 및 압착용 스크루는 주스 추출용 도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되고 서로 고정된 2개의 부품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음식물 조리 장치는 공급용 슈트 내로 압착할 음식물을 밀어 넣도록 배치된 태핏(tappet)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태핏은 압착할 음식물이 공급용 슈트 내에 있을 때 그 음식물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 하부면을 포함하고, 그 하부면은 피코(picot)와 같은 회전방지용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음식물 조리용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가전기기는:
- 작업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케이싱,
- 그 케이싱 상에 장착되는, 전술한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
- 회전축 둘레로 주스 추출용 도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상부 위에 배치된 구동축,
- 구동축을 구동하기 위하여 배치된 전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축은 작업 면과 수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절대로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숙지함으로써 더 명확히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의 실시예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조리 장치의 주스 추출용 도구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스 추출용 도구의 등측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상부 부분도이다. 주스 추출용 헤드는 전향장치(60)로 둘러싸이고 공급용 슈트(40)를 포함하는 뚜껑(45)에 의해 폐쇄되는 필터(50)로 한정되는 작동 공간 내에 포함되는 주스 추출용 도구(10)로 구성된다. 수집기(65)는 필터(50) 및 전향장치(60) 하부에 배치된다. 수집기(6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동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수직 회전축(15), 즉 주스 추출용 기기가 상부에 놓이는 작동 평면과 현저히 수직인 회전축(15)의 둘레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공급용 슈트(40)는 회전축(15) 둘레로 개방되는 하부(42)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축(15)은 공급용 슈트(40)를 완전히 관통한다.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기기의 케이싱(80)에서 나오는 구동축(70)에 결합되고, 회전축(15) 둘레로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에 연결된다. 구동축(70)은 케이싱(80)의 상부 상에 배치된다. 기기의 하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수집기(65), 전향장치(60), 필터(50) 및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케이싱(80)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와 함께 천공용 스크루(30)를 형성하는 제1 층을 포함한다. 천공용 스크루(30)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와 함께 압착용 스크루(20)를 형성하는 제2 층이 있다. 천공용 스크루(30)는 공급용 슈트(40) 내로 투입된 압착할 음식물, 특히 사과 등의 통과일들을 천공하고 분해하도록 구성된다. 압착용 스크루(20)는 이어서 주스를 추출하기 위하여 압착할 음식물을 필터(50)를 향하여 인도하고 그곳에서 압착하도록 구성된다.
천공용 스크루(30)와 압착용 스크루(20) 사이에 서로에 대하여 높이가 어긋나있는 2개의 선단 에지(32a, 32b)가 있다. 그 선단 에지(32a, 32b)들은 공급용 슈트(40) 내에 투입된 과일들의 분열을 촉진한다. 실제로, 제1 선단 에지(32a)(공급용 슈트(40) 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어긋나 있음)는 상승되어 있고 과일들을 분열하는 반면, 나머지 선단 에지(32b)(압착용 스크루 측에서 하부를 향하여 어긋나 있음)는 과일들을 받치도록 사용된다.
압착에 선행되는 천공 및 분해는 주스 추출용 도구(10)와 직접 마주하고 동축을 이루는 공급용 슈트(4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상으로 사용자가 가해야 할 힘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와 주스 추출용 도구(10) 사이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태핏(44)을 사용할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공급용 슈트(40)는 예를 들어 사과 등의 통과일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목적으로 지름은 75mm 내지 85mm이다.
천공용 스크루(30)는 원추형이고 그 상부에 공급용 슈트(40)와 마주하는 선단 자유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공급용 슈트(40)로 투입되는 모든 압착할 음식물은 천공용 스크루 및 그것의 선단 자유 단부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압착에 선행하는 천공 및 분해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천공용 스크루(30)는 부분적으로 공급용 슈트(40) 내로 들어간다. 그 위치에서, 압착할 과일이 분해되어 생긴 대형 조각들 또는 대형 음식물이 압착용 스크루(20)에 의해 포획되기 전에 머무를 공간을 두기 위한 공급용 슈트(40)의 하부에 있는 팽창부(43)를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용 슈트(40)의 팽창부(43)에 의해 자리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대형 조각들을 압착용 스크루(20)로 보내기 위하여 추가로 척력을 가할 필요가 없다.
역시 그 척력을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음식물 또는 대형조각들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천공용 스크루(30)의 힘으로 그 음식물 또는 대형조각들이 축방향으로 압착용 스크루(20)를 향하여 직접 인도될 수 있도록, 도시된 리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1)를 공급용 슈트(40) 또는 그것의 팽창부(43)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도시한다. 천공용 스크루(30)는 3개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를 포함하고, 압착용 스크루(20)는 복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를 포함한다.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의 말단부에 선단 에지(32a, 32b)가 마련된다. 압착용 스크루(20)는 선단 에지들(32a, 32b) 까지 연장되는 2개의 메인(main)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메인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는 선단 에지들(32a, 32b) 중 하나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선단 에지(32a)는 상승되어 있고, 이로써, 천공용 스크루(30)에 의해 직전에 천공되고 따라서 대형 조각으로 분해된 압착할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승된 선단 에지(32a)가 압착할 과일을 절단하는 동안 그 압착할 과일의 하부 둘레를 지지하기 위하여, 평평한 선단 에지(32b)를 설치할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 에지들(32a, 32b)은 천공용 스크루(30)의 주연부에서 연장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단 에지들(32a, 32b)은 천공용 스크루(30)의 하반부 주연부에, 바람직하게는 천공용 스크루(30)의 하부 3분의 1 주연부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 에지들(32a, 32b)은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들(31)과 별개이다.
도 1에서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급용 슈트(40)는 선단 에지들(32a, 32b) 상으로 개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 에지들(32a, 32b)은 압착용 스크루(20) 상부에서 연장된다.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일체형임이 확인되며, 그것은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천공용 스크루(30)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압착용 스크루(20)를 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부품을 제조하고, 그 후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 2개의 별개의 부품을 서로 고정할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사시도이다. 상승된 상부 선단 에지(32a)는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의 말단부에서 명백히 보이며, 하부 선단 에지(32b)는 천공용 스크루(30)의 후면에서 명백히 보인다. 하부 선단 에지(32b)는 상부 선단 에지(32a)에 의해 천공되고 있고 절단/분해되고 있는 과일에 대하여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거의 평평하다.
또한, 천공용 스크루(30)는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가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와 연속되지 않으므로, 압착용 스크루(20)의 지름보다 확연히 작은 지름을 갖는다. 그 2개의 기능(천공 및 압착)은 각각 최적화되기 위하여,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명백히 구분된 부분에 의해 실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음식물 조리 장치는 이하 방법으로 작동하고 사용된다.
공급용 슈트(40) 내에 투입된 음식물은 태핏(44)에 의해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천공용 스크루(30)와 공급용 슈트(40) 사이에 마련된 통로 및 선단 에지들(32a, 32b)에 의해 마련된 통로들보다 작은 단면적 게이지를 갖는 음식물은 압착용 스크루(20)에 직접 도달할 수 있다. 더 큰 게이지의 음식물, 특히 통사과들은 그 하부를 쪼개고 분열시키려는 천공용 스크루(30)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에 의해 그 하부에서 타격된다. 상승된 선단 에지(32a)는 돌출부(41)에 의해 고정된 음식물 조각을 절단할 수 있게 하고, 그동안 평평한 나머지 선단 에지(32b)는 상기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음식물은 압착용 스크루(20)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조각으로 신속히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는 조각으로 사전 절단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한정된 척력으로 상당한 게이지의 음식물을 압착할 수 있게 한다.
변형으로서, 상부 선단 에지(32a)는 필수적으로 상승되지는 않고/또는 하부 선단 에지(32b)는 필수적으로 평평하지는 않다.
변형으로서, 선단 에지들(32a, 32b)은 필수적으로 회전축(15)에 대하여 서로 높이가 어긋나지는 않는다.
변형으로서,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필수적으로 2개의 선단 에지(32a, 32b)를 포함하지는 않으나, 천공용 스크루(30)와 압착용 스크루(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 상으로 개방된다.
변형으로서, 압착용 스크루(20)는 필수적으로 2개의 메인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를 포함하지는 않으나,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메인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 또는 메인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선단 에지(32a, 32b) 또는 선단 에지들(32a, 32b) 중 하나의 선단 에지까지 연장된다.
변형으로서, 압착용 스크루(20)는 필수적으로 필터(50) 내에 배치되지는 않는다. 압착용 스크루(20)는 필터링 부분들이 없는 케이스 내에 특히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및/또는 케이스는 압착용 스크루의 하나 또는 다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또는 내부 리브를 가질 수 있다.
변형으로서, 뚜껑(45)은 필수적으로 필터(50) 상에서 또는 케이스 상에서 잠기지는 않는다. 뚜껑(45)은 필터(50) 또는 케이스를 수용하는 보울(bowl) 상에서 특히 잠길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형 및/또는 개선을,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여러 다른 실시예에 가져올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0)

  1. 음식물 조리 장치로서,
    - 공급용 슈트(40), 및
    -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와 함께 압착용 스크루(20)를 형성하는 일부분이 있는, 회전축(15)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주스 추출용 도구(10)로서, 상기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는 상기 압착용 스크루(20) 표면에 형성되고, 압착할 음식물을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제2 부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주스 추출용 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회전축(15) 둘레로 개방되는 하부(42)를 갖는, 음식물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제1 부분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와 함께 천공용 스크루(30)를 형성하는 제1 층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용 슈트(40)로부터 유입된 음식물을 천공 및 분해하고 상기 압착용 스크루(20)를 향하여 그 음식물을 인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와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주연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하반부 주연부에, 또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하부 3분의 1 주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와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 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압착용 스크루(20)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의 회전축은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선단 자유 단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의 말단부에서의 외경은 상기 압착용 스크루(20)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의 시작부에서의 외경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스크루(3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는 적어도 그 높이의 일부분에서 상기 공급용 슈트(40)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로부터 연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용 스크루 스레드(31)의 말단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공급용 슈트(40) 측에 배치된 상승된 상부 선단 에지(32a), 및 상기 압착용 스크루(20) 측에 배치된 하부 선단 에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단 에지(32b)는 평평한 상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는:
    - 2개의 선단 에지(32a, 32b), 및
    - 상기 2개의 선단 에지(32a, 32b) 중 하나의 선단 에지까지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회전축(15)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에지(32a, 32b)는 상기 공급용 슈트(40) 측에 배치된 상승된 상부 선단 에지(32a), 및 상기 압착용 스크루(20) 측에 배치된 하부 선단 에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단 에지(32b)는 평평한 상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단 에지(32a, 32b) 전체를 마주하여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향하는 하부 개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를 둘러싸는 팽창부(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공급용 슈트(40) 내로 투입된 음식물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배치된 회전 정지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를 둘러싸는 팽창부(43)를 가지며, 상기 회전 정지 수단들은 상기 팽창부(43)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 수단들은 상기 공급용 슈트(40)의 내부 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상기 천공용 스크루(30)를 둘러싸는 팽창부(43)를 가지며, 상기 회전 정지 수단들은 상기 팽창부(43)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 슈트(40)는 지름이 70mm 이상 90mm 이하, 또는 75mm 이상 85mm 이하인 유도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스크루(20)는 상기 공급용 슈트(40)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와 적어도 마주하여 펼쳐지는 필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착용 스크루(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착용 스크루 스레드(21)에 의해 상기 압착용 스크루(20)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압착용 스크루(20)의 제2 부분으로 이동되는 압착할 음식물을 필터(50)에 대향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스크루(30) 및 상기 압착용 스크루(20)는, 몰딩에 의해 제조된, 단일 부품의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스크루(30) 및 상기 압착용 스크루(20)는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되고 서로 고정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 장치는 상기 공급용 슈트(40) 내에 압착할 음식물을 밀어넣도록 구성된 태핏(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장치.
  30. 음식물 조리용 가전기기로서,
    - 작업 평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케이싱(80),
    - 상기 케이싱(80) 상에 장착된, 제1항에 따른 음식물 조리 장치,
    - 상기 주스 추출용 도구(10)를 상기 회전축(15) 둘레로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80)의 상부 상에 배치된 구동축(70), 및
    - 상기 구동축(70)을 구동하기 위하여 배치된 전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전기기.
KR1020177004068A 2014-07-18 2015-07-17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KR102376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6992A FR3023696B1 (fr) 2014-07-18 2014-07-18 Dispositif de preparation d’aliments pour extraire des jus par pressage
FR1456992 2014-07-18
PCT/FR2015/051980 WO2016009164A1 (fr) 2014-07-18 2015-07-17 Dispositif de préparation d'aliments pour extraire des jus par pre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628A KR20170030628A (ko) 2017-03-17
KR102376206B1 true KR102376206B1 (ko) 2022-03-21

Family

ID=5151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068A KR102376206B1 (ko) 2014-07-18 2015-07-17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69197B1 (ko)
KR (1) KR102376206B1 (ko)
CN (1) CN106535718B (ko)
FR (1) FR3023696B1 (ko)
WO (1) WO2016009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891B (zh) * 2016-07-01 2019-04-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进料的大口径螺杆挤压榨汁机
CN109938576B (zh) * 2017-12-20 2022-02-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FR3075744B1 (fr) 2017-12-27 2020-12-04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Vendome Colonne de dir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429B1 (ko) * 2011-07-28 2011-12-27 범진아이엔디(주) 원액기
CN202739657U (zh) * 2012-06-26 2013-02-20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头和具有该榨汁头的低速榨汁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51496U (zh) * 2010-12-16 2011-11-30 严胜新 一种果蔬提汁机的螺杆
CN102429566B (zh) * 2011-10-28 2014-04-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螺杆挤压式榨汁机
FR2982472B1 (fr) * 2011-11-14 2014-12-26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CN103202653B (zh) * 2012-01-17 2015-07-15 唐锋机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202723518U (zh) * 2012-08-27 2013-02-13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立式榨汁机的螺杆榨汁组件
FR2997278B1 (fr) * 2012-10-30 2014-12-26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guidee axialement
CN103908146A (zh) * 2014-04-23 2014-07-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原汁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429B1 (ko) * 2011-07-28 2011-12-27 범진아이엔디(주) 원액기
CN202739657U (zh) * 2012-06-26 2013-02-20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头和具有该榨汁头的低速榨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628A (ko) 2017-03-17
WO2016009164A1 (fr) 2016-01-21
CN106535718A (zh) 2017-03-22
FR3023696A1 (fr) 2016-01-22
CN106535718B (zh) 2019-04-19
EP3169197B1 (fr) 2019-04-03
EP3169197A1 (fr) 2017-05-24
FR3023696B1 (fr)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579B2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2376206B1 (ko)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WO2014048097A1 (zh) 榨汁机
US10470485B2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hollow juice extraction screw
KR20140097344A (ko) 음료용 주스의 추출용 디바이스
AU2017202583B2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WO2020239031A1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CA2869646C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20050100273A (ko) 다목적 녹즙기
KR101373073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US20220279955A1 (en) Juicer
KR200362354Y1 (ko) 음식물 분쇄기
KR101373079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93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CN110799068A (zh) 榨汁设备和榨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