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079B1 - 원액기용 착즙모듈 - Google Patents

원액기용 착즙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079B1
KR101373079B1 KR1020130034357A KR20130034357A KR101373079B1 KR 101373079 B1 KR101373079 B1 KR 101373079B1 KR 1020130034357 A KR1020130034357 A KR 1020130034357A KR 20130034357 A KR20130034357 A KR 20130034357A KR 101373079 B1 KR101373079 B1 KR 10137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juice
shredding
scre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3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7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NZ627419A priority patent/NZ627419A/en
Priority to CA2869646A priority patent/CA2869646C/en
Priority to MX2014008440A priority patent/MX345107B/es
Priority to PE2019001930A priority patent/PE20191564A1/es
Priority to PCT/KR2013/009696 priority patent/WO2014073816A1/ko
Priority to SG11201404037QA priority patent/SG11201404037QA/en
Priority to PE2015000606A priority patent/PE20151723A1/es
Priority to AU2013342295A priority patent/AU2013342295B2/en
Priority to BR112014017131-9A priority patent/BR112014017131B1/pt
Priority to RU2014127677/12A priority patent/RU2549661C1/ru
Priority to MYPI2014701931A priority patent/MY154892A/en
Priority to IN4715CHN2014 priority patent/IN2014CN04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79B1/ko
Priority to ZA2014/05048A priority patent/ZA201405048B/en
Priority to PH12014501617A priority patent/PH12014501617B1/en
Priority to CO14151368A priority patent/CO7101204A2/es
Priority to SA515360100A priority patent/SA515360100B1/ar
Priority to IL237509A priority patent/IL237509A/en
Priority to CL2015000663A priority patent/CL2015000663A1/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즙배출구(101)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된 뚜껑(400)을 포함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원액기용 착즙모듈은, 상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스크루(300)의 상단에 형성되고, 파쇄날(510)이 형성된 파쇄부(500)와;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내면은 상기 투입구(410)로부터 연속되게 이어지되 상기 파쇄부(500)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의 측면이 상기 파쇄날(510)에 의해서 분쇄가 시작되도록 보조하여 안내하는 재료안내면(620)을 포함하여, 상기 파쇄날(510)이 상기 파쇄가공부(600) 내에서 재료를 미리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Description

원액기용 착즙모듈{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본 발명은 원액기용 착즙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재료 투입 전에 미리 재료를 절단해야 했던 불편함을 없앤 개선된 구조의 원액기용 착즙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액기는 몸체와, 몸체 상에 탑재되는 착즙모듈을 포함한다. 착즙모듈은 착즙 공간을 갖는 용기와, 용기 내로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춘 뚜껑과, 용기 내에서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를 포함한다.
몸체는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구동모터의 축은 착즙모듈 내 스크루에 접속된다. 종래의 원액기는 스크루가 착즙 가능한 크기로 재료가 절단되어야 한다.
한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0793852호는 스크루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상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스크루 날에 의해서 재료를 절단 또는 절삭하도록 구성된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스크루 날의 길이보다 큰 재료의 경우, 투입 전에 스크루 날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미리 절단해야 한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0966607호는 스크루 상부면 전체에 강판을 설치하여 착즙 직전에 재료를 파쇄하는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강판을 이용한 파쇄는 원액기 고유의 저속이 아닌 고속에 의해서 이루어져야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강판의 고속에 의해서 재료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여 재료를 강판에 압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원액기는 재료를 절삭한 후 착즙과정에서 절삭된 덩어리가 망체에 압착되면서 분쇄되는바, 그 절삭된 덩어리의 압착에 의해서 망체가 순간적으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망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사출물을 파괴시키거나, 사출물과 망체와의 결속력을 저하시켜, 사출물과 망체 사이에 찌꺼기의 유출 및 착즙율 저하를 야기하는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즙배출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로서,
상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 형성되고, 파쇄날이 형성된 파쇄부; 및
상기 투입구와 연결되되, 상기 파쇄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뚜껑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쇄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가공부의 내면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연속되게 이어지되 상기 파쇄부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의 측면이 상기 파쇄날에 의해서 분쇄가 시작되도록 보조하여 안내하는 재료안내면을 포함하여, 상기 파쇄날이 상기 파쇄가공부 내에서 재료를 미리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종래 원액기에 있어서, 스크루 날의 길이 증가는 스크루 전체 외경을 증가시켜 망체와 용기 및 뚜껑을 스크루에 맞게 크게 제작해야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뒤따랐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루 날의 길이보다 더 큰 지름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뚜껑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쇄가공부와 상기 파쇄가공부에 수용된 채 상기 파쇄가공부와 협력하는 파쇄부에 의해, 스크루의 외경 증가 없이도, 착즙에 적합한 크기로 재료를 파쇄할 수 있다.
이는 재료 투입 전에 재료를 절단해야 하는데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애줄 뿐만 아니라, 재료안내면을 통하여 재료가 파쇄날에 의해서 정확하게 파쇄되도록하여 연속적인 파쇄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착즙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착즙모듈의 일부로서 파쇄부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착즙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착즙모듈의 일부로서 파쇄부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모듈은, 내부에 착즙 공간을 포함하고 외부면 일측 및 타측에 즙배출구(101) 및 찌꺼끼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착즙시 발생한 재료 찌꺼기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설치되어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설치되되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된 뚜껑(40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착즙모듈은 상기 용기(100)의 즙배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개폐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으로는 코크밸브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코크밸브는 상기 즙배출구(101)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그 밸브체의 선단이 상기 즙배출구(101)를 향해 배향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크밸브는 밸브체에 의해 상기 즙배출구(101)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즙 배출 꼭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즙배출구(101)를 개폐하는 수단은 위 구조 외에도 다양한 것들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루(300)의 상단에는 상부를 향해 좁아지지는 형태로 파쇄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파쇄부(500)에는 파쇄날(510)이 더 형성되며, 상기 파쇄날(510)은 상부를 향해,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부(500)의 상단 정점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가지면서 나선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파쇄부(500) 상단 정점에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400)은 상기 파쇄부(500)를 수용하도록 용기(100)와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형성된 파쇄가공부(600)를 하부면에 포함한다.
상기 파쇄가공부(600)는 상기 파쇄부(500)에 대응되게 상단 정점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상단 정점에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가공부(600)는, 상기 투입구(410)와 연결된 채, 상기 파쇄부(500)와 협력하여, 상기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재료를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쇄가공부(600) 내에 상기 파쇄날(510)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파쇄날(510)은 상기 파쇄가공부(600) 내부면의 특정 형상과 협력하여 재료를 파쇄한다.
상기 투입구(410)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쳐져 있음과 동시에, 사과 등 큰 크기의 재료가 절단됨 없이 투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큰 하단 폭(W; 또는 내경)을 가져야 한다.
망체(200)는 상단에서 가장 큰 내경을 가지며, 따라서 망체(200) 상단에서, 스크루(300)의 중심축선에서 망체(200)에 이르는 거리가 가장 크게 정해진다.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 폭은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선에서 망체(200) 상단 내주면에 이르는 최단거리보다 크게 정해진다.
따라서 위에서 볼 때, 상기 투입구(410)의 영역은 상기 망체(200)의 상단 영역과 일부 중첩되면서 상기 망체(200) 상단 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벗어나 있다.
기존 원액기의 투입구가 전체적으로 망체의 영역 안쪽에 위치하도록 작은 크기를 갖는 것과는 큰 차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파쇄가공부(600)는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높이에서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 전체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더 나아가, 투입구(41)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직경에 상응하는 원 영역 내에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310)을 지나는 선에 의해 분할된 일측 반원 영역 내에 치우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내면, 특히, 안쪽의 파쇄가공면(610)은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파쇄날(5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파쇄부(500)의 파쇄날(510)과 점점 더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재료가 파쇄날(510)에 의해서 외부로 밀려날 때에, 재료는 파쇄가공부(600)의 내면에 의해서 저지되어, 그 파쇄날(510)에 의해서 재료의 측면이 파쇄되면서 그 파쇄부의 회전에 따라서 점점 말려들어간다.
이는 사용자가 투입구로 투입한 재료를 또 다시 눌러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파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파쇄부(500)에는 상기 파쇄날(510)을 도와 재료를 더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보조 파쇄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쇄날(510)이 1차로 재료를 파쇄하되, 보조 파쇄날이 재료를 더 잘게 파쇄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재료가 파쇄가공부에 말려들어감에 따라서 스크루를 하부로 압박하는 힘이 발생하여, 재료의 찌꺼기가 스크루의 하부면과 용기의 바닥면 사이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스크루의 상부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410)의 일부가 상기 망체(200)의 상단 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벗어나 확장된 구조를 갖는 바, 상기 투입구(410)로 투입되는 재료가 상기 망체(20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쇄가공부(600)의 내면에는 재료안내면(620)이 제공된다.
달리 말해, 절단하지 않은 통사과를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외곽으로 확장된 투입구(410)와 망체(200)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 재료안내면(62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재료안내면(620)은 상기 투입구(410)와 중첩된 채로 상기 투입구(410)로부터 연속되게 이어지되, 상기 파쇄부(500)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의 측면이 파쇄날(510)에 의해서 분쇄가 시작되도록 해준다.
파쇄 가공성을 더욱 좋게 하도록, 상기 파쇄가공면(610)에는 하나 이상의 분쇄날(6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분쇄날(630)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파쇄가공면(6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연장된 채, 분쇄날(630)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상기 파쇄날(510)과 점점 더 인접한다.
상기 파쇄부(500)가 상기 용기(100) 및 상기 망체(200)의 상단을 넘어 상기 뚜껑(400) 측에 위치한 상기 파쇄가공부(600)에 수용되어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410)을 통해 투입된 재료를 상기 파쇄부(500)와 상기 파쇄가공부(600)가 협력하여 충분히 파쇄함으로써, 사용자가 재료를 사전에 절삭하지 않고도 재료의 원활한 착즙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파쇄된 충분히 재료들이 상기 망체(200) 내에서 착즙됨으로써, 상기 망체(20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날(510)에 의해서 재료의 측면이 가공되는 것으로, 재료의 높이에 적합한 길이로 파쇄부(500)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재료 자체를 절삭하기 위해서 스크루 날의 돌출된 길이를 늘이지 않아도 되게 해준다.
또한,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하단에는 망체(200)의 상단이 거의 꼭 맞게 삽입되는 망체 삽입턱(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안내면(620)은 끝단에서 상기 망체 삽입턱(420)과 단차지게 만나며, 이때, 재료안내면(620)의 끝단이 망체(200))의 상단 안쪽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쇄가공부(600)를 거쳐 파쇄된 재료는 상기 재료안내면(620)을 따라 상기 망체(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100: 용기
200: 망체
300: 스크루
400: 뚜껑
500: 파쇄부
600: 파쇄가공부

Claims (3)

  1. 즙배출구(101)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된 뚜껑(400)을 포함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로서,
    상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스크루(300)의 상단에 형성되고, 파쇄날(510)이 형성된 파쇄부(500); 및
    상기 투입구(410)와 연결되되, 상기 파쇄부(500)를 수용하도록 상기 뚜껑(400)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쇄가공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내면은 상기 투입구(410)로부터 연속되게 이어지되 상기 파쇄부(500)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의 측면이 상기 파쇄날(510)에 의해서 분쇄가 시작되도록 보조하여 안내하는 재료안내면(620)을 포함하여, 상기 파쇄날(510)이 상기 파쇄가공부(600) 내에서 재료를 미리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안내면(620)의 끝단은 상기 망체(200)의 안쪽 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510)은 상기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재료의 측면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파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내면은 상기 파쇄날(510)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는 재료를 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파쇄날(510)과 상기 파쇄가공부(600)의 내면 사이에서 재료가 파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20130034357A 2012-11-09 2013-03-29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57A KR101373079B1 (ko) 2013-03-29 2013-03-29 원액기용 착즙모듈
RU2014127677/12A RU2549661C1 (ru) 2012-11-09 2013-10-30 Модуль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сока для соковыжималки
MX2014008440A MX345107B (es) 2012-11-09 2013-10-30 Módulo de extracción de jugo para exprimidor.
PE2019001930A PE20191564A1 (es) 2012-11-09 2013-10-30 Modulo de extraccion de jugo para exprimidor
PCT/KR2013/009696 WO2014073816A1 (ko) 2012-11-09 2013-10-30 원액기용 착즙 모듈
SG11201404037QA SG11201404037QA (en) 2012-11-09 2013-10-3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PE2015000606A PE20151723A1 (es) 2012-11-09 2013-10-30 Modulo de extraccion de jugo para exprimidor
AU2013342295A AU2013342295B2 (en) 2012-11-09 2013-10-3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NZ627419A NZ627419A (en) 2012-11-09 2013-10-3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CA2869646A CA2869646C (en) 2012-11-09 2013-10-3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MYPI2014701931A MY154892A (en) 2012-11-09 2013-10-3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IN4715CHN2014 IN2014CN04715A (ko) 2012-11-09 2013-10-30
BR112014017131-9A BR112014017131B1 (pt) 2012-11-09 2013-10-30 módulo de extração de suco para espremedor
ZA2014/05048A ZA201405048B (en) 2012-11-09 2014-07-10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PH12014501617A PH12014501617B1 (en) 2012-11-09 2014-07-14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CO14151368A CO7101204A2 (es) 2012-11-09 2014-07-14 Módulo de extracción de jugo para exprimidor
SA515360100A SA515360100B1 (ar) 2012-11-09 2015-03-02 وحدة نمطية لاستخراج العصير
IL237509A IL237509A (en) 2012-11-09 2015-03-02 Juice extractor module for juicer
CL2015000663A CL2015000663A1 (es) 2012-11-09 2015-03-17 Módulo de extracción de jugo para exprimi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57A KR101373079B1 (ko) 2013-03-29 2013-03-29 원액기용 착즙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079B1 true KR101373079B1 (ko) 2014-03-11

Family

ID=5064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357A KR101373079B1 (ko) 2012-11-09 2013-03-29 원액기용 착즙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0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61A (ko) * 1999-05-19 2000-12-15 김성수 과일 착즙기
KR200322266Y1 (ko) * 2003-05-20 2003-08-09 김영기 착즙 분쇄기
KR200376615Y1 (ko) * 2004-12-02 2005-03-11 조해준 식품 분쇄기
KR20050101127A (ko) * 2005-09-07 2005-10-20 김형수 다기능 녹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61A (ko) * 1999-05-19 2000-12-15 김성수 과일 착즙기
KR200322266Y1 (ko) * 2003-05-20 2003-08-09 김영기 착즙 분쇄기
KR200376615Y1 (ko) * 2004-12-02 2005-03-11 조해준 식품 분쇄기
KR20050101127A (ko) * 2005-09-07 2005-10-20 김형수 다기능 녹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140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AU2018100086B4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20140031095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73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87A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101373079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93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CA2869646C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101373048B1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20140031090A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