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910B1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910B1
KR101263910B1 KR1020120104668A KR20120104668A KR101263910B1 KR 101263910 B1 KR101263910 B1 KR 101263910B1 KR 1020120104668 A KR1020120104668 A KR 1020120104668A KR 20120104668 A KR20120104668 A KR 20120104668A KR 101263910 B1 KR101263910 B1 KR 10126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container
main body
juic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용
Original Assignee
(주)현대가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가전업 filed Critical (주)현대가전업
Priority to KR102012010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착즙 통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와 찌꺼기를 담는 수거 용기가 수납되는 제 2 수납부가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 사이의 본체에 착즙 통을 승강시키는 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착즙 통이 제 1 수납부의 천장면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어 회전 동력의 연결 및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가 제 2 수납부의 수거 용기로 수거되어 착즙기의 이동에도 안정적으로 찌꺼기를 수거할 수 있고, 착즙기 주변이 정돈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정면에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에 각각 착즙 통과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 사이에 레버 링이 설치되어 상기 레버 링의 조작에 따라 착즙 통이 승강하여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는 제 2 수납부의 수거 용기로 떨어져 수거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 등을 착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착즙기는 스크류가 수평으로 놓이는 수평형 착즙기와 스크류가 수직으로 놓이는 수직형 착즙기로 구분된다.
수평형 착즙기는 수평으로 배열된 스크류의 일단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결합하게 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크류의 타단에는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처짐 현상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는 동안 스크류의 타단에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착즙시 떨림 및 소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착즙 대상물이 고르게 착즙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수평형 착즙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형 착즙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수직형 착즙기는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져 그 하단에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의 하중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집중되어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착즙기는 수평형 착즙기에 비해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수직형 착즙기의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0-0755440호 및 제10-0966607호가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특허등록번호 제10-0755440호(선행기술 1이라 함)의 착즙주스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상기 착즙주스기는 상부 일측에 투입구(110)가 관통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회전축공(120)이 형성되는 뚜껑(100)과, 상기 뚜껑(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안내턱(550)이 형성되고, 외부 하단부에는 찌꺼기 배출구(570)와 즙 배출구(560)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중앙 하단부에 관통공(520)이 있는 방수원통(530)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원통(530)의 하부 둘레에 압력배출로(580)가 형성된 하우징(500)과, 상부에는 상기 회전축공(1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회전축(21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스크류 나선(220)이 다수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의 압력배출로(58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스크류 기어(280)가 형성된 내부링(250)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부링(250) 안쪽으로 상기 방수원통(530)이 삽입되는 하부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중심에는 각형축공(230)이 형성된 하부회전축(240)을 구비한 스크류(200)와, 외벽은 상기 즙 배출구(560)로 즙을 배출하기 위해 망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벽면날(31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턱(55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망드럼(300)과,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망드럼(300)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망드럼(300)과 상기 하우징(500)을 지속적으로 쓸어내는 브러시를 장착한 브러시홀더(430)를 구비한 회전브러시(400) 및 상기 방수원통(530)의 관통공(520)을 통해 상기 각형축공(230)에 삽입되는 각형축(610)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20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60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착즙주스기는 스크류(2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이 상기 구동부(600)의 상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투입구(110)로 삽입된 재료를 압착 및 분쇄하여 착즙하면서 찌꺼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착즙주스기는 각형축(610)의 상부로 스크류(200)가 직접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500)에 착즙 대상물을 많이 넣게 되면 스크류(200)가 하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회전시 각형축(610)(모터축)의 상부로 들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해 이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500)과 뚜껑(100)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뚜껑(100) 천장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공(120)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모에 강한 별도의 소재를 사용하여 뚜껑(100)을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각형축(610)에 결합되는 스크류(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상부로 들려 올라가는 부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각형축(610)과 하부회전축(240)에 형성된 각형축공(230)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렇게 감소된 접촉 면적에 각형축(610)의 회전력이 집중하게 됨으로써, 각형축공(230)의 마모가 조기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형축공(230)의 마모가 조기에 발생하게 되면, 각형축공(230) 내에서 각형축(610)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해 스크류(200)를 회전시킬 수 없어 원활한 착즙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특허등록번호 제10-0966607호(선행기술 2라 함)의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주서통(10)과, 상기 주서통(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재료 투입구(24)가 형성된 뚜껑(20)과, 상기 주서통(10) 내부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망드럼(40) 및 상기 망드럼(40)의 내벽을 향하는 나선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분쇄부가 마련된 스크류(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30)는 가이드 회전부(34)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20)에는 상기 가이드 회전부(34)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2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망드럼(40)의 외주부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시(50)가 설치되어 망드럼(40)과 주서통(10)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내벽면에 붙은 재료 또는 재료 찌꺼기를 떼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0)의 하단에는 상기 주서통(10)의 바닥면(101)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3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32)은 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 상부의 구동축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서 모듈 역시 착즙 대상물이 주서통(10)에 과도하게 투입되면 스크류(30)가 들려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착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회전축(32)과 구동축이 연결되는 부분이 조기에 마모되어 결국 구동축의 회전력이 회전축(32)에 전달되지 않아 스크류(30)를 회전시킬 수 없어 착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착즙주스기와 주서 모듈은 모두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모터를 하부에 마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각형축(610) 내지 구동축 상부에 스크류(200)(30)가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크류(200)(30)의 둘레를 감싸고 착즙 대상물을 넣는 하우징(500) 또는 주서통(10)이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종래의 착즙주스기와 주서 모듈은 모두 구동모터가 구비된 구동부(600) 또는 본체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600) 또는 본체의 상부에 하우징(500) 내지 주서통(10)을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하우징(500) 내지 주서통(10)이 설치된 후에는 그 내부에 브러시(400)(50)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400)(50)의 내부에 스크류(200)(30)를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된 각형축(610) 내지 구동축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착즙주스기와 주서 모듈은 구동모터를 기초로 하우징(500)(10), 브러시(300)(50), 망드럼(300)(40), 스크류(200)(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착즙주스기와 주서 모듈의 높이가 길어지게 되어 사용중 착즙주스기 내지 주서 모듈이 전도될 우려가 있다.
이와 함께, 착즙을 마친 착즙주스기와 주서 모듈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의 상부에 조립되었던 하우징(500) 내지 주서통(10), 브러시(300)(50), 망드럼(300)(40), 스크류(200)(30)를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세척한 후 역순으로 구동모터의 상부에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을 위한 분해와 조립이 불편하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 1과 2는 착즙 시 발생하는 착즙 액과 찌꺼기를 분리하기 위한 배출구가 하우징(500) 또는 주서통(10)의 하부에서 양방향으로 갈라져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배출구에 즙받이 용기와 찌꺼기 수거 용기를 배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착즙기 둘레로 용기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위치하는 찌꺼기 수거 용기가 임의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착즙기가 이동하여 찌꺼기 수거 용기의 상부에 배출구가 위치되지 않게 되면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가 수거 용기에 수거되지 않고 착즙기 주변의 바닥으로 곧장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러한 오염을 치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등록번호 0755440호 특허등록번호 09666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정면에 착즙 통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사이에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레버 링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즙기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착즙 통의 내부에 조립되는 회전 브러시, 여과 망, 스크류와 같은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착즙 통을 포함한 부품의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의 하부로 수거 용기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착즙 통의 아래에 위치한 수거 용기로 찌꺼기가 떨어져 착즙기의 이동에도 안정적으로 찌꺼기를 수거할 수 있고, 착즙기 주변이 정돈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본체(1100)의 상부 전면에 뚜껑(1400)의 투입구(1430)가 끼워지는 조립 홈(1160)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구동모터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부(1000)와;
상기 구동부(1000)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를 매개체로 구동되는 구동부(10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1700)를 회전시켜 착즙할 수 있도록 된 착즙통(120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부(1112)와;
상기 제 1 수납부(1112) 바닥에 위치하며 제 1 수납부(1112)에 수용된 착즙통(1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블록(1900)과;
상기 승강블록(190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레버(1320)와;
상기 착즙통(1200)에서 발생된 찌꺼기를 하부에서 받을 수 있도록 승강블록(1900) 저부의 본체(1100) 하단에 수거용기(2000)가 수납되도록 형성된 제 2 수납부(1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즙통(1200)은 외경 하단에 즙 배출구(1210)가 형성되고, 저면에 찌꺼기 배출구(1280)가 형성되어 상부를 통해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스크류(1700)의 회전으로 압착해 즙과 찌꺼기를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블록(1900)은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 홀(1180)에 설치되며, 상기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가 통과하는 통과 유로(1920)가 형성되고 하단에 경사진 가이드부(19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1320)는 승강 블록(1900)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어 레버(1320)의 이동에 따라 레버 링(1300)이 회전되어 승강 블록(19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착즙 통(1200)에 내설된 스크류(1700)의 상단을 구동모터의 구동축(1120) 단부에 연결시키거나 단락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910)는,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링(1300)에 설치된 롤러(1310)와 접촉하는 제 1 가이드면(1912)과, 상기 제 1 가이드면(1912)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본체(110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제 2 가이드면(191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1914)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3 가이드면(19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910)는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 둘레를 따라 120도의 간격으로 3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 링(1300)은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가 중공된 링 몸체(1330)와, 상기 링 몸체(133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본체(1100)의 정면을 형성하는 측벽에 형성된 슬롯(1140)을 관통하여 본체(1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레버(1320) 및 상기 링 몸체(133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부(1910)의 경사면을 따라 구륜하는 다수의 롤러(1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수납부(1114)는 상기 제 2 수납부(111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116)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16)에 안내된 상태로 활주하여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되는 수거 용기(20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1200)의 저면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는 제 2 수납부(1114)를 향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즙 통(1200)은 상기 착즙 통(1200)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융기부(1290)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1700)와, 상기 스크류(1700)와 착즙 통(1200) 사이에 설치되어 착즙시 발생하는 즙을 배출하는 미세 홀(1510)이 형성된 여과 망(1500)과, 상기 여과 망(1500)과 착즙 통(1200) 사이에 설치되어 스크류(17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여과 망(1500)의 외면과 착즙 통(1200)의 내면에 부착된 미세찌꺼기를 탈락시키는 회전 브러시(1600) 및 상기 착즙 통(1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1120)이 관통하는 관통 홀(1410)이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30)가 형성된 뚜껑(1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1700)의 외경 하부와 회전 브러시(1600)의 내경 하부에 각각 기어톱니(1750)와 링 기어(161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톱니(1750)와 링 기어(1610)가 맞물리는 평 기어(1214)가 착즙 통(120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되어 스크류(1700)의 회전 동력을 회전 브러시(160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 망(1500)은 그 내측 바닥에 스크류(1700)의 회전에 의해 찌꺼기가 밀려 배출되는 배출 홀(15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홀(1520)은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에 의하면, 본체의 정면에 착즙 통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와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를 수납하는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착즙 통의 아래에 위치한 수거 용기로 찌꺼기가 떨어져 수거되기 때문에 착즙기의 이동에도 안정적으로 찌꺼기를 수거할 수 있고, 착즙기 주변이 정돈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레버 링의 회전 조작만으로 스크류에 회전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착즙 통을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동력 전달의 연결 및 차단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레버 링의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착즙 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을 마친 착즙 통, 회전 브러시, 여과 망, 스크류, 뚜껑의 세척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착즙 통을 구동모터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수납시켜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아래로 전달하여 스크류 및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많은 양의 착즙 대상물이 여과 망에 투입되어도 스크류가 들려 올려지지 않아 착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착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본체를 정면의 아래에서 위를 향해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착즙 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레버 링과 승강 블록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여과 망과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회전 브러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에서 착즙 통이 본체의 제 1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에서 본체의 제 1 수납부에 수납된 착즙 통이 레버 링의 조작에 따라 축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의 본체에 형성된 제 2 수납부와 수거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는 크게 본체(1100)의 상부 전면에 뚜껑(1400)의 투입구(1430)가 끼워지는 조립 홈(1160)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구동모터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부(1000)와, 상기 구동부(1000)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를 매개체로 구동되는 구동부(10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1700)를 회전시켜 착즙할 수 있도록 된 착즙통(120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부(1112)와, 상기 제 1 수납부(1112) 바닥에 위치하며 제 1 수납부(1112)에 수용된 착즙통(1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블록(1900)과, 상기 승강블록(190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레버(1320)와, 상기 착즙통(1200)에서 발생된 찌꺼기를 하부에서 받을 수 있도록 승강블록(1900) 저부의 본체(1100) 하단에 수거용기(2000)가 수납되도록 형성된 제 2 수납부(11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1200)에는 상기 착즙 통(1200)의 상부를 덮고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30)가 형성된 뚜껑(1400)과, 상기 착즙 통(1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착즙 대상물로부터 나온 즙을 착즙 통(1200)의 즙 배출구(1210)로 배출시키는 여과 망(1500)과 상기 여과 망(1500)과 착즙 통(1200)의 사이에 회전토록 설치되어 여과 망(1500)과 착즙 통(1200)의 외면에 달라붙은 찌꺼기를 탈락시키는 회전 브러시(1600) 및 상기 여과 망(15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착즙 대상물을 으깨 압착하는 스크류(1700)가 장착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1100)는 대략 바닥면은 지면에 안정적 본체(1100)가 놓일 수 있게 평평한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양 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면은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0)의 상면에는 양 측단이 본체(1100)의 양측면과 힌지 결합된 이송 손잡이(1150)가 구비되어 본체(1100)를 들고 운반하기 편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0)의 배면에는 본체(110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마련되며, 본체(1100)의 측면에는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단속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1170)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본체(1100)의 정면에는 착즙 통(120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부(1112)와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담는 수거 용기(2000)가 수납되는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된다. 이를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본체를 정면의 아래에서 위를 향해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0)의 정면에는 착즙 통(120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부(1112)가 형성되고, 제 1 수납부(1112)의 하부에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2000)가 수납되는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를 중심으로 본체(1100)의 상부 내측에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제 1 수납부(1112)의 하부에는 제 1 수납부(1112)에 수납된 착즙 통(1200)을 승강시키는 승강 블록(1900) 및 레버 링(130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레버 링(1300)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착즙 통(1200)이 제 1 수납부(1112) 내에서 상승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축(1120)과 연결되거나 하강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축(1120)과 연결이 끊기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블록(1900) 및 레버 링(1300)의 하부에는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2000)가 수납되는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되어, 본체(1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본체(1100)의 최상부 내측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순차적으로 제 1 수납부(1112), 승강 블록(1900) 및 레버 링(1300),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 1 수납부(1112)는 본체(110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구조를 갖고 그 폭이 착즙 통(1200)의 폭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되어 착즙 통(1200)이 제 1 수납부(1112)에 원활하게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0)의 정면 상부로부터 제 1 수납부(1112)를 향해 조립 홈(1160)이 형성되어 착즙 통(1200)이 제 1 수납부(1112)에 수납되었을 때 착즙 통(1200)의 상부를 덮는 뚜껑(1400)에 형성된 투입구(1430)가 상기 조립 홈(1160)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 수납부(1112)의 천장면은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120)이 노출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축(1120)의 끝단에는 원동 클러치(1121)가 형성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스크류(1700)의 상단에 형성된 종동 클러치(172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0)의 제 1 수납부(1112)에 수납되는 착즙 통(120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용기의 형상을 갖으며, 외경 하단에 즙 배출구(1210)와 외경 상단에 손잡이(1220)가 형성되고, 저면에 찌꺼기 배출구(1280)가 형성되어 착즙 통(1200)의 상부로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스크류(1700)의 회전으로 압착해 즙과 찌꺼리를 분리시켜 배출하게 된다. 이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착즙 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착즙 통(120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의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되, 착즙 통(1200)의 지름이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외경 하단에 착즙 통(1200)을 관통하는 즙 배출구(1210)가 형성되어 착즙 대상물의 착즙 시 발생하는 즙을 즙 배출구(1210)를 통해 착즙 통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즙 배출구(1210)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착즙 통(1200) 저면에 찌꺼기 배출구(1280)가 형성되어 즙이 짜진 착즙 대상물의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구(1280)를 통해 착즙 통(120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1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220)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20)를 사용자가 감싸쥔 상태에서 착즙 통(1200)을 운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즙 통(1200)의 상부 내경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뚜껑(1400)이 안착되어 착즙 통(1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계단 형상을 갖는 어깨부(1260)가 형성되어 상기 어깨부(1260)에 뚜껑(1400)의 저면이 안치된다.
이때, 상기 착즙 통(1200)의 어깨부(1260)보다 높은 지점의 상부 내경에 착즙 통(1200)의 내부를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 제 1 결착 돌기(127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착 돌기(1270)와 대응하는 뚜껑(1400)의 외경에 제 1 결착 홈(1450)이 형성되어 뚜껑(1400)이 착즙 통(1200)의 상부에 덮히게 될 때 상기 제 1 결착 돌기(1270)가 제 1 결착 홈(1450)에 끼워져 착즙 통(1200) 상부에서의 뚜껑(1400)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착즙 통(1200)의 외경 하단에 형성된 즙 배출구(1210)의 내경에는 착즙 통(1200)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유입 방지구(121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 방지구(1212)는 즙 배출구(1210)의 내경에 십자모양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어린아이가 즙 배출구(1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손가락 등을 넣었을 때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즙 배출구(1210)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착즙 통(1200) 저면에 찌꺼기 배출구(1280)가 형성되는데, 상기 찌꺼기 배출구(1280)의 하부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배출패킹(1282)이 설치되어 찌꺼기의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의 하부에는 착즙 통(1200)을 승강시키는 승강 블록(1900) 및 레버 링(1300)이 설치된다. 이를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레버 링과 승강 블록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의 하부에는 승강 블록(19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 블록(1900)은 제 1 수납부(1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 홀(1180)에 관통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 블록(19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 통과 유로(1920)를 형성한 원통 기둥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안내 홀(1180)은 승강 블록(1900)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승강 블록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레버 링(1300)에 설치된 롤러(1310)와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부(19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910)는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레버 링(1300)에 설치된 롤러(1310)와 접촉하는 제 1 가이드면(1912)과 상기 제 1 가이드면(1912)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본체(110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제 2 가이드면(191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1914)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3 가이드면(191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면(1912)과 제 3 가이드면(1916)은 제 2 가이드면(1914)에 의해 높이 차를 형성함으로써, 제 1 가이드면(1912)에 비해 제 3 가이드면(1916)이 아래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910)의 제 1 가이드면(19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레버 링(1300)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1310)가 안치되어 상기 레버 링(1300)의 회전에 따라 롤러(1310)가 제 1 가이드면(1912)에서 제 2 가이드면(1914)을 타고 이동하여 제 3 가이드면(1916)에 안치됨으로써 승강 블록(19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승강 블록(1900)이 상승되면 승강 블록(1900)의 상면에 안치된 착즙 통(1200)이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1910)는 레버 링(13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1310) 개수와 대응하여 형성토록 함으로써, 레버 링(1300)이 회전될 때 각각의 롤러(1310)가 제 1 가이드면(1912)에서 제 2 가이드면(1914)을 타고 이동하여 제 3 가이드면(1916)에 안치됨으로써 승강 블록(1900)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 링(1300)은 전체적으로 링의 형상을 갖고 승강 블록(190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레버 링(1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13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 링(1300)에는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롤러(13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1310)는 레버 링(1300)에 120도의 간격으로 3곳에 설치된다.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레버(1320)는 본체(1100)의 정면을 형성하는 전면을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1100)의 전면에는 레버 링(1300)의 레버(1320)가 관통하는 슬롯(1140)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140)은 레버 링(1300)의 회전 반경에 준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버 링(1300)은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를 중심으로 본체(1100)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1100)의 내측에는 레버 링(1300)을 지지하는 안치부(1190)가 형성되어 상기 안치부(1190)의 상면에 레버 링(1300)이 안치된다.
이러한 본체(1100)의 내측에 형성된 안치부(11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링(1300)의 둘레를 감싸는 하부가 폐쇄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1100)의 정면으로 돌출된 레버(1320)를 사용자가 좌우측으로 회전 조작하게 될 때 안치부(1190)가 레버 링(130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치부(1190)의 상면은 통과 유로(1920)와 연통되도록 관통 공(1192)이 형성되어 승강 블록(1900)에 안치된 착즙 통(1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가 승강 블록(1900)의 통과 유로(1920)와 안치부(1190)의 관통 공(1192)을 통해 제 2 수납부(1114)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0)의 정면으로 돌출된 레버(1320)를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레버 링(1300)의 롤러(1310)가 승강 블록(1900)의 가이드부(1910)를 따라 구름하여 승강 블록(1900) 자체를 승강시켜 착즙 통(1200)을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부(1910) 중 제 1 가이드면(1912)에 레버 링(1300)의 롤러(1310)가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 링(130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가이드면(1912)에 위치한 롤러(1310)가 제 3 가이드면(1916)으로 이동하게 되어 승강 블록(19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 블록(190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승강 블록(1900)의 상면에 안치된 착즙 통(1200)이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되어 제 1 수납부(1112)의 천장으로 노출된 구동축(1120)의 끝단에 마련된 원동 클러치(1121)를 스크류(1700)의 상단에 설치된 종동 클러치(1720)와 연결시켜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을 스크류(17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0)에 설치된 승강 블록(1900) 및 레버 링(1300)의 하부에는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수납부(1114)에는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20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스크류(1700)의 회전에 따라 착즙 통(1200) 내에서 착즙 후 발생하는 찌꺼기는 착즙 통(1200)의 저면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를 통해 배출되어 승강 블록(1900)에 형성된 통과 유로(1920)와 레버 링(1300)의 링 몸체(1330) 및 안치부(1190)의 관통 공(1192)을 지나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된 수거 용기(2000)에 담기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0)를 아래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수납부(1114)와 제 1 수납부(1112)가 연통되며, 상기 착즙 통(1200)의 저면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는 제 2 수납부(1114)를 향해 형성됨으로써, 제 1 수납부(1112)에 착즙 통(12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가 찌꺼기 배출구(1280)를 통해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된 수거 용기(2000)로 떨어져 수거된다.
이렇게, 본체(1100)의 정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수납부(1114)는 본체(110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구조를 갖고 그 폭이 수거 용기(2000)의 폭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되어 수거 용기(2000)가 제 2 수납부(1114)에 원활하게 수납된다.
이때, 상기 제 2 수납부(1114)는 도 3 내지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제 2 수납부(1114)에 수거 용기(2000)가 수납된 상태에서 본체(1100)를 상부로 들어올렸을 때 수거 용기(2000)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수납부(1114)와 수거 용기(2000)가 서랍과 같은 슬라이딩 인출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납부(1114)의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1116)이 설치되고, 상기 수거 용기(2000)의 양측면에 가이드 레일(1116)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21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1116)을 따라 수거 용기(2000)가 슬라이딩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 2 수납부(1114)와 수거 용기(2000)에 가이드 레일(1116)과 가이드 홈(2100)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인출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수거 용기(2000)를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시킨 상태로 본체(1100)를 운반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거 용기(2000)가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가 착즙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에 수납되는 착즙 통(1200)의 상부는 착즙 대상물을 착즙 통(1200)으로 안내하는 뚜껑(1400)이 설치된다. 이를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뚜껑(1400)은 착즙 통(1200)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100)로부터 연장된 본체(1100)에 설치된 구동모터에서 연장되는 구동축(1120)이 관통하는 관통 홀(1410)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1400)의 상면 연부로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3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430)는 뚜껑(1400)의 상면 연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기둥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착즙 대상물이 낙하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투입구(1430)는 착즙 통(1200)의 상부에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100)의 수납부(1110)에 착즙 통(1200)이 수납되면 투입구(1430)의 배면 및 측면 일부가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조립 홈(1160)에 끼워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여과 망과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여과 망(1500)은 착즙 통(1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어 착즙 시 발생하는 즙을 여과 망(15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미세 홀(1510)이 여과 망(15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 망(1500)의 내측 바닥에는 스크류(1700)의 회전에 의해 찌꺼기가 밀려 배출되는 배출 홀(15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 홀(1520)은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여과 망(1500)의 내측 바닥에는 배출 홀(15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홀(1520)은 여과 망(1500)의 내측 바닥에서 하부를 향해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여과 망(1500)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1200)의 저면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는 여과 망(15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 홀(15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여과 망(1500)이 착즙 통(12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여과 망(1500)의 배출 홀(1520)이 착즙 통(1200)의 찌꺼기 배출구(128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여과 망(1500)의 배출 홀(1520)과 착즙 통(1200)의 찌꺼기 배출구(1280)가 연통된다.
이에 따라서,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는 여과 망(1500)의 배출 홀(1520)을 통해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내측 바닥에 배출 홀(1520)이 형성된 여과 망(15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의 지름이 작아지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벽면 둘레를 따라 미세 홀(1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 망(1500)의 저면에는 제 2 결착 홈(15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착 홈(1560)과 대응하는 착즙 통(1200)의 바닥면에 제 2 결착 돌기(1250)(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 망(1500)을 착즙 통(1200)의 내부에 위치시켜 제 2 결착 돌기(1250)를 제 2 결착 홈(1560)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여과 망(1500)을 착즙 통(120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1700)는 여과 망(15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축(112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착즙 대상물을 여과 망(150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여과 망(1500)의 내경과 가까워지는 날개(17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1700)의 상단에는 원동 클러치(1121)와 맞물리는 종동 클러치(1720)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1700)의 하단 중심에는 함몰부(1740)가 형성되고, 상기 착즙 통(1200)의 내측 바닥면의 중심에서 상부로 돌출된 융기부(1290)가 형성되어 착즙 통(1200)의 융기부(1290)가 스크류(1700)의 함몰부(1740)에 끼워져 스크류(1700)를 축받이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즙 통(1200)의 저면에는 스크류(1700)가 회전될 때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구(1280)로 이동시키는 배출 유로(1292)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 유로(1292)와 대응하는 스크류(1700)의 저면에 배출 턱(1730)이 형성된다.
상기 착즙 통(1200)에 형성된 배출 유로(1292)는 찌꺼기 배출구(1280)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게 되어 스크류(1700)의 회전 시 배출 턱(1730)이 배출 유로(1550)를 따라 회전하면서 배출 유로(1292)에 위치한 찌꺼기를 찌꺼기 배출구(1280)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1700) 하단 외경을 따라 기어톱니(175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톱니(1750)와 맞물리는 평 기어(1214)가 착즙 통(1200)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1700)의 회전에 따라 기어톱니(1750)와 맞물린 평 기어(1214)가 회전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 브러시(16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 중 회전 브러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 브러시(1600)는 착즙 통(1200)과 여과 망(150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크류(17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착즙 통(1200)과 여과 망(1500)의 외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탈락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 브러시(1600)의 하부 내경에는 링 기어(1610)가 형성되어, 상기 착즙 통(1200)의 바닥에 설치된 평 기어(1214)와 맞물려 스크류(1700)의 회전력을 평 기어(1214)를 통해 회전 브러시(160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16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고무와 같은 유연하고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6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브러시(1600)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1620)가 착즙 통(1200)의 내측면과 여과 망(150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착즙 통(1200)과 여과 망(1500)의 외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탈락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착즙기의 사용을 도 13 및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에서 착즙 통이 본체의 제 1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에서 본체의 제 1 수납부에 수납된 착즙 통이 레버 링의 조작에 따라 축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착즙을 위해 먼저 착즙 통(1200)의 내부에 회전 브러시(1600)를 위치시키고, 회전 브러시(1600)의 내부에 여과 망(1500)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 망(1500)이 착즙 통(1200)에 장착된 후에는 스크류(1700)를 여과 망(1500)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착즙 통(120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융기부(1290)를 스크류(1700)의 하단에 형성된 함몰부(1740)에 삽입시켜 회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즙 통(1200)의 내부에 회전 브러시(1600), 여과 망(1500), 스크류(1700)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후에는 착즙 통(1200)의 상면을 뚜껑(1400)으로 덮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즙 통(1200)과 뚜껑이 결합되면 상기 착즙 통(1200)을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수납부(1110)에 수납시켜 착즙 통(1200)을 승강 블록(1900)의 상면에 안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회전 브러시(1600), 여과 망(1500), 스크류(1700), 뚜껑(1400)이 조립된 착즙 통(1200)을 본체(1100)의 수납부(1110)에 수납시켜 착즙 통(1200)을 승강 블록(1900)의 상면에 안치시킨 후에는 사용자가 본체(1100)의 전면으로 돌출된 레버 링(1300)의 레버(1320)를 회전 조작하여 승강 블록(1900)을 상승시켜 착즙 통(1200)을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레버 링(1300)의 레버(1320)를 사용자가 일측으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레버 링(1300)이 본체(1100) 하부 내측에 형성된 안치부(1190)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레버 링(1300)에 구비된 각각의 롤러(1310)는 승강 블록(1900)의 가이드부 제 1 가이드면(1912)에서 제 2 가이드면(1914)을 타고 이동하여 제 3 가이드면(1916)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레버 링(1300)의 롤러(1310)가 제 1 가이드면(1912)에서 순차적으로 제 3 가이드면(1916)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승강 블록(1900)은 수납부(1110)의 천정면을 향해 상승하게 되어 착즙 통(1200)을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착즙 통(1200)이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되면 착즙 통(1200)의 상면에 결합된 뚜껑(1400)의 제 1 관통 홀(1410)을 통해 스크류(1700)의 상단에 형성된 종동 클러치(1720)가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설치된 원동 클러치(1121)와 축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스크류(170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렇게, 스크류(1700)가 착즙 통(1200) 내에서 회전하게 될 때 스크류(1700)의 기어톱니(1750)와 맞물린 평 기어(121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평 기어(1214)의 회전에 따라 회전 브러시(1600)가 착즙 통(1200)과 여과 망(1500)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1700)와 회전 브러시(1600)가 회전하는 중에 뚜껑(1400)의 투입구(1430)로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게 되면 착즙 대상물이 스크류(1700)와 여과 망(1500) 사이로 유입되면서 압착되어 으깨지며 즙을 내게 된다.
이렇게 착즙 대상물로부터 배출된 즙은 여과 망(1500)의 미세 홀(1510)을 통과하여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즙 배출구(1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즙 배출구(1210)의 하부에 마련된 컵에 즙이 담기게 된다.
특히, 스크류(1700)의 날개(1710)가 여과 망(1500)의 하부로 갈수록 여과 망(1500)의 내경과 가까워지는 간극을 형성하기 때문에 착즙 대상물이 여과 망(1500)의 하부로 갈수록 압착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착즙 대상물로부터 치밀하게 즙을 짜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착즙 대상물의 착즙 시 착즙 대상물 중 그 일부가 여과 망(1500)의 미세 홀(1510)을 빠져나가 여과 망(1500)의 외면 내지 착즙 통(1200)의 내면에 부착된 경우 회전 브러시(1600)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1620)가 여과 망(1500)의 외면 내지 착즙 통(1200)의 내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쓸며 지나가기 때문에 찌꺼기가 하부로 탈락되어 즙 배출구(1210)를 통해 착즙 통(1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착즙을 다한 착즙 대상물의 으깨진 찌꺼기 덩어리는 여과 망(1500)의 바닥면으로 모이게 되고, 이렇게 여과 망(1500)의 바닥면에 모인 찌꺼기는 배출 홀(1520)을 통해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1280)를 통해 착즙 통(1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착즙 통(1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찌꺼기는 승강 블록(1900)에 형성된 통과 유로(1920)로 떨어져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된 수거 용기(2000)에 담기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착즙이 완료되어 착즙 통(1200)을 본체(1100)의 수납부(11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사용자가 레버 링(1300)의 레버(1320)를 타측으로 회전 조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승강 블록(1900)의 제 3 가이드면(1916)에 위치한 롤러(1310)가 제 2 가이드면(1914)과 제 1 가이드면(1912)으로 이동하여 승강 블록(1900)이 하강하게 되어 수납부(1110)의 천장면에 밀착된 착즙 통(1200)을 하부로 이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착즙 통(1200)이 하강하여 수납부(1110)의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는 착즙 통(1200)에 형성된 손잡이(1220)를 감싸쥔 상태로 착즙 통(1200)을 수납부(11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1100)의 정면에 착즙 통(1200)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1112)와 착즙 시 발생하는 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 용기(2000)를 수납하는 제 2 수납부(1114)가 형성되어 착즙 통(1200)의 아래에 위치한 수거 용기(2000)로 찌꺼기가 떨어져 착즙기의 이동에도 안정적으로 찌꺼기를 수거할 수 있고, 착즙기 주변이 정돈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1100)에 설치된 레버 링(1300)의 조작으로 스크류(1700)에 회전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착즙 통(1200)을 제 1 수납부(1112) 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동력 전달의 연결 및 차단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즙 통(1200)을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에 수납시키거나 분리시키게 됨으로써, 착즙 통(1200)의 탈착이 간편하여 착즙 통(1200)에 장착되는 회전 브러시(1600), 여과 망(1500), 스크류(1700)의 세척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에 착즙 통(1200)을 구동모터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수납시켜 본체(1100)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아래로 전달하여 스크류(1700) 및 회전 브러시(160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많은 양의 착즙 대상물이 여과 망(1500)에 투입되어도 스크류(1700)가 들려 올려지지 않아 착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블록(1900)이 승강하게 될 때 회전 없이 수직하게 승강할 수 있게 상기 승강 블록(1900)의 외주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블록(1900)에 의해 관통되는 본체(1100)의 정면에 형성된 수납부(1110)의 안내 홀(1180)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승강 블록(190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홈에 안내되어 승강 블록(1900)을 수직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1000 : 구동부
1100 : 본체 1112 : 제 1 수납부
1114 : 제 2 수납부 1116 : 가이드 레일
1120 : 구동축 1121 : 원동 클러치
1140 : 슬롯 1150 : 이송 손잡이
1160 : 조립 홈 1170 : 작동 스위치
1180 : 안내 홀 1190 : 안치부
1192 : 관통 공 1200 : 착즙 통
1210 : 즙 배출구 1214 : 평 기어
1212 : 유입 방지구 1220 : 손잡이
1250 : 제 2 결착 돌기 1260 : 어깨부
1270 : 제 1 결착 돌기 1280 : 찌꺼기 배출구
1282 : 배출패킹 1290 : 융기부
1292 : 배출 유로 1300 : 레버 링
1310 : 롤러 1320 : 레버
1330 : 링 몸체 1400 : 뚜껑
1410 : 관통 홀 1430 : 투입구
1450 : 제 1 결착 홈 1500 : 여과 망
1510 : 미세 홀 1520 : 배출 홀
1560 : 제 2 결착 홈 1600 : 회전 브러시
1610 : 링 기어 1620 : 블레이드
1700 : 스크류 1710 : 날개
1720 : 종동 클러치 1730 : 배출 턱
1740 : 함몰부 1750 : 기어톱니
1900 : 승강 블록 1910 : 가이드부
1912 : 제 1 가이드면 1914 : 제 2 가이드면
1916 : 제 3 가이드면 1920 : 통과 유로
2000 : 수거 용기 2100 : 가이드 홈

Claims (12)

  1. 본체(1100)의 상부 전면에 뚜껑(1400)의 투입구(1430)가 끼워지는 조립 홈(1160)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구동모터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구동부(1000)와; 상기 구동부(1000)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를 매개체로 구동되는 구동부(10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1700)를 회전시켜 착즙할 수 있도록 된 착즙통(1200)이 수납되는 제 1 수납부(1112)와; 상기 제 1 수납부(1112) 바닥에 위치하며 제 1 수납부(1112)에 수용된 착즙통(1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블록(1900)과; 상기 승강블록(190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레버(1320)와; 상기 착즙통(1200)에서 발생된 찌꺼기를 하부에서 받을 수 있도록 승강블록(1900) 저부의 본체(1100) 하단에 수거용기(2000)가 수납되도록 형성된 제 2 수납부(1114)로 구성된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블록(1900)은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 수납부(1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 홀(1180)에 설치되며, 상기 착즙 통(12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가 통과하는 통과 유로(1920)가 형성되고 하단에 경사진 가이드부(19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910)는,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레버 링(1300)에 설치된 롤러(1310)와 접촉하는 제 1 가이드면(1912)와; 상기 제 1 가이드면(1912)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본체(110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제 2 가이드면(1914); 및 상기 제 2 가이드면(1914)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3 가이드면(1916)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1320)는 승강 블록(1900)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어 레버(1320)의 이동에 따라 레버 링(1300)이 회전되어 승강 블록(190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착즙 통(1200)에 내설된 스크류(1700)의 상단을 구동모터의 구동축(1120) 단부에 연결시키거나 단락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910)는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 끝단 둘레를 따라 120도의 간격으로 3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링(1300)은,
    상기 승강 블록(190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가 중공된 링 몸체(1330);
    상기 링 몸체(133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본체(1100)의 정면을 형성하는 측벽에 형성된 슬롯(1140)을 관통하여 본체(1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레버(1320); 및
    상기 링 몸체(133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가이드부(1910)의 경사면을 따라 구륜하는 다수의 롤러(1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1114)는,
    상기 제 2 수납부(111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116);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16)에 안내된 상태로 활주하여 제 2 수납부(1114)에 수납되는 수거 용기(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04668A 2012-09-20 2012-09-20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KR10126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668A KR101263910B1 (ko) 2012-09-20 2012-09-20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668A KR101263910B1 (ko) 2012-09-20 2012-09-20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910B1 true KR101263910B1 (ko) 2013-05-13

Family

ID=486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668A KR101263910B1 (ko) 2012-09-20 2012-09-20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20Y1 (ko) 2013-07-17 2015-02-12 이유구 착즙기
KR20150117434A (ko) * 2014-04-10 2015-10-20 김재원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KR101565870B1 (ko)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의 본체 탑재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65869B1 (ko) *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EP2949243A1 (fr) * 2014-05-28 2015-12-02 Santos Appareil électrique de pré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US9750278B2 (en) 2014-05-12 2017-09-05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KR20180118573A (ko) * 2015-12-22 2018-10-31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109222609A (zh) * 2018-10-22 2019-01-18 刘素侠 一种多功能智能水果压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4B1 (ko) * 2012-02-17 2012-07-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4B1 (ko) * 2012-02-17 2012-07-2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20Y1 (ko) 2013-07-17 2015-02-12 이유구 착즙기
KR20150117434A (ko) * 2014-04-10 2015-10-20 김재원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KR101597631B1 (ko) 2014-04-10 2016-02-25 김재원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KR101565870B1 (ko)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의 본체 탑재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65869B1 (ko) *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US9750278B2 (en) 2014-05-12 2017-09-05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EP2949243A1 (fr) * 2014-05-28 2015-12-02 Santos Appareil électrique de pré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FR3021514A1 (fr) * 2014-05-28 2015-12-04 Santos Appareil electrique de pre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US9949502B2 (en) 2014-05-28 2018-04-24 Santos Electric appliance for preparing juice by pressing food
KR20180118573A (ko) * 2015-12-22 2018-10-31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102102324B1 (ko) * 2015-12-22 2020-04-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109222609A (zh) * 2018-10-22 2019-01-18 刘素侠 一种多功能智能水果压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910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KR101311995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KR101257441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KR101167274B1 (ko) 착즙기
KR101389959B1 (ko) 착즙기의 동력전달 구조
RU2492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жимания сока
JP5876619B2 (ja) 果汁搾り装置
RU2581357C2 (ru) Экстрактор для соков
CN102362778A (zh) 榨汁机
RU2009114725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фруктового сока из цитрусовых с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облегчающими очистку
CN104545706B (zh) 地面清洁机器人及其接水装置
KR101408891B1 (ko) 착즙기
WO2016119662A1 (zh) 带自动清洗拖头的地面清洁机器人及拖头清洗组件
CN201353133Y (zh) 清洁设备和组件
KR200470356Y1 (ko) 거름망 찌꺼기 제거기능을 갖는 착즙기
KR101310822B1 (ko) 측면에서 착즙 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본체를 갖는 착즙기
KR200439863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녹즙찌꺼기 분리장치
KR101257442B1 (ko) 착즙기의 세척 브러시
GB2041727A (en) Juice extractor
KR20150134052A (ko)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02341735U (zh) 榨汁机
EP3005909A1 (en) Convertible juicer
TW202214164A (zh) 吸塵器停靠站
CN204520537U (zh) 地面清洁机器人及其接水装置
CN214128450U (zh) 一种用于拖地设备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