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631B1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7631B1 KR101597631B1 KR1020140042888A KR20140042888A KR101597631B1 KR 101597631 B1 KR101597631 B1 KR 101597631B1 KR 1020140042888 A KR1020140042888 A KR 1020140042888A KR 20140042888 A KR20140042888 A KR 20140042888A KR 101597631 B1 KR101597631 B1 KR 101597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juice
- main body
- screw
- juice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을 포함하고,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고, 본체에 결합시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는 착즙드럼; 착즙드럼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착즙드럼을 본체의 상부 측방에 위치하도록 착즙드럼을 지지하는 드럼받침; 및 드럼받침은 착즙드럼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하로 승강되되, 착즙드럼의 스크류가 구동축과 밀착되도록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체결되는 구조를 개선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야채나 과일 등의 재료를 간편하게 즙을 내는 장치로 착즙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즙주스기'가 있다. 이는 콩을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토마토, 딸기와 같은 과일이나 채소를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착즙주스기의 본체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본체 상부로 구동축이 돌출된다. 그리고 하우징(착즙드럼) 내에는 스크류와 스크류를 둘러 싸는 망드럼이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본체 상측에 수직으로 조립되어 스크류 하부가 구동축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 바닥면에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관통공을 통하여 구동축에 스크류 하부가 결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재료를 눌러 짜 착즙이 되고, 스크류 외면에 구비되는 망드럼을 통해 찌꺼기가 분리되며 즙이 빠져나가 주스를 만든다.
본 발명은 착즙드럼 내에 구비되는 스크류가 착즙드럼 상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착즙드럼은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며, 결합시 착즙드럼이 상승하여 구동축과 스크류가 연결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는,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을 포함하고,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고,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는 착즙드럼; 착즙드럼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착즙드럼을 본체의 상부 측방에 위치하도록 착즙드럼을 지지하는 드럼받침; 및 드럼받침은 착즙드럼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하로 승강되되, 착즙드럼의 스크류가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드럼받침은 일측에 힌지부를 구비하고, 힌지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가압부재에 의해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재는 지지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재는 지지부를 상방으로 인양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이 결합되는 본체의 측면에는 작동돌기가 구비되고, 작동돌기를 본체 외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드럼받침에 구비되고, 드럼받침이 하강시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본체에 구비된 단턱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받침의 상승이 억제되고, 착즙드럼이 본체에 결합시 작동돌기가 탄성부재를 단턱에서 해제시켜 드럼받침이 상승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이 안착되는 드럼받침의 안착부에는 착즙드럼의 삽입방향으로 가이드 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착즙드럼의 하부면에는 이와 대응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은 일측에 즙이 배출되는 즙배출구를 구비하고, 즙배출구가 형성된 착즙드럼의 타측 하부면은 테이퍼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드럼받침의 안착부에는 착즙드럼의 삽입방향에 수직으로 결합턱이 구비되고, 착즙드럼의 하부면에는 결합턱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결합턱을 중심으로 착즙드럼은 드럼받침에서 회동가능하게 안착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의 상부에는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된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호퍼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착즙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하부와 대응되는 찌꺼기배출공이 구비되고,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즙배출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은 내부에 스크류 외면을 둘러싸고, 상하가 개방된 망드럼을 포함하고, 망드럼의 하면 일측에는 찌꺼기하강공이 구비되고, 망드럼이 안착되는 착즙드럼의 하면에는 찌꺼기하강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공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찌꺼기배출공은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망드럼이 안착되는 영역 밖으로 찌꺼기 배출구와 이격되어 즙배출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즙배출구는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즙배출구에는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찌꺼기 하강공 또는 찌꺼기 배출공에는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는 패킹 또는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는 착즙드럼을 본체에 결합할 때 자동으로 구동축과 스크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본체에 착즙드럼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착즙드럼이 상방으로 항상 가압되어 착즙기 작동시 안정적으로 구동축과 스크류의 연결을 유지하며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즙드럼의 상측에서 구동축이 연결됨에 따라, 종래에는 스크류 하부에서 구동축이 연결되는 경우 스크류 하부로 즙이 새거나 그 즙이 구동축을 타고 들어가 모터 고장을 일으키고, 또한, 찌꺼기가 측면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찌꺼기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스크류 직하부로 착즙된 재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착즙은 물론 아이스크림 제조 기능이나 재료 분쇄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착즙된 즙과 찌꺼기가 분리 후 착즙드럼 하부로 배출되는 경우 착즙드럼 하부에서 모두 수거가 가능해지도록, 착즙드럼 하부공간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된다.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에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에 착즙드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드럼받침에 착즙드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A-A방향에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에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에 착즙드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드럼받침에 착즙드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의 착즙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A-A방향에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100), 착즙드럼(200), 뚜껑(300), 망드럼(400), 스크류(500) 및 드럼받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상부바디(112)와, 이 상부바디(112)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바디(114)를 포함한다. 상부바디(112)의 일측에는 착즙드럼(200)이 본체(100)의 측방에서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바디(112)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드럼연결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바디(112) 하부에는 착즙드럼(200)이 안착되는 드럼받침(600)이 구비된다. 드럼연결부(116)에는 결합되는 착즙드럼(200)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구동축(150)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스크류(5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수단으로 구동모터(120)가 상부바디(112)에 구비되고, 구동모터(120) 상부에 구비되는 감속기(140)를 통해 구동축(150)이 구동모터(120)와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모터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이면, 착즙드럼의 직하부 공간을 제외한 착즙드럼의 측부, 측하부, 측상부, 상부 등 본체 내부 어디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상부바디(112)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바디(114)는 본체(110)의 상부바디(112) 측방에 결합되는 착즙드럼(200)의 하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바디(114)는 구동모터(120)가 상부바디(112) 측에 구비되는 경우, 착즙기 작동에 필요한 제어기 등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그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의 안정적인 스탠딩을 위해서 하부바디(114)의 하단에는 착즙드럼(200)이 결합되는 공간 측으로 연장되는 다리(115)를 구비할 수 있다.
착즙드럼(200)은 본체(100)의 측방에서 결합되고, 드럼받침(600)에 의해 지지되며, 그 하부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착즙드럼(20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망드럼(400)과 스크류(500)를 수용한다. 착즙드럼(200)의 일측에는 즙배출구(220)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즙배출구(220)가 착즙드럼(2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고, 본체(100)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편에서 하향 경사지며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즙배출구(220)에는 즙의 배출을 제어하는 즙개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착즙드럼(200)의 바닥면에는 중앙에 찌꺼기 배출공(230)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찌꺼기 배출공(230)은 스크류(500)의 하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착즙드럼(200) 내부로 투입된 재료들이 스크류(500)와 망드럼(400)에 의해 착즙되고 남은 잔여물이 스크류(500)의 직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틈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재료가 착즙되어 이동하는 방향과 착즙드럼에서 잔여물로 배출되는 방향이 일치하여 잔여물의 배출이 원활해지고, 기기 내부에 잔류량이 줄게 되어 착즙 효율도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하부 영역 전체가 잔여물의 배출구로 기능하게 되므로, 아이스크림의 제조가 가능해지고, 투입되는 재료를 분쇄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착즙드럼(200)의 상면을 덮는 뚜껑(300)은 커버부재(310)와 호퍼(32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310)는 착즙드럼(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그 하부가 착즙드럼(2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면 일측에는 착즙드럼(200) 내부로, 보다 상세히는 망드럼(400) 내부로, 재료를 넣을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커버부재(310)의 개방된 하면까지 관통형성되는 호퍼(320)가 구비된다. 이러한 호퍼(320)는 본체 외측으로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퍼를 통해 착즙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는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를 따라 자연스럽게 착즙드럼 내부로 미끄러지며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입되는 재료가 착즙드럼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착즙드럼의 직상부가 아닌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다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310) 중앙에는 관통공(330)이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공(330)을 통해 본체(100)의 드럼연결부(116)로부터 하방 돌출된 구동축(150)과 착즙드럼(200)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500)가 연결되어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스크류(50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500) 상부에는 상부축(510)이 형성되고, 상부축(510)에는 육각형상의 축공(5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드럼연결부(116)로부터 돌출된 구동축(150)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 축공(512)에 삽입되어 맞물리며 구동축(150)의 구동력이 스크류(5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500)의 상부축(510) 외부면은 뚜껑(300)의 관통공(330)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통공(330)과 스크류(500)의 상부축(510) 사이를 통해 이물질 등이 쉽게 착즙드럼(200) 내로 삽입될 수 없도록 한다. 스크류(500)는 저속으로 회전하지만, 더욱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스크류(500) 회전시 상부축(510)과 관통공(330) 사이의 마찰이 크지 않도록 관통공(330) 내부면은 마찰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재로 마감되는 것이 좋다.
한편 착즙드럼(200)의 내부에는 망드럼(400)이 안착된다. 망드럼(400)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상광하협의 형태이다. 망드럼(400)은 뚜껑(300)의 호퍼(320)로부터 투입된 재료가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500)와 망드럼(400) 사이에서 압축, 압착 또는 분쇄되면서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의 측벽을 통과하여 망드럼(4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망공(410)이 형성된 망구조로 이루어진 측벽을 구비한다. 망드럼(400)은 스크류(500) 회전시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예컨대 착즙드럼(200) 또는 뚜껑(30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망드럼(400) 내부에는 스크류(500)가 배치된다. 스크류(500)의 몸체는 하부가 볼록한 물방울 형상 또는 항아리 형상이고, 몸체 외측면에는 망드럼(400)의 내부와 접하는 복수의 스크류 나선이 형성된다. 스크류(500)는 상부 중심에 상부축(510)을 구비하고, 상부축(510)은 본체(10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구동축(150)과 연결된다. 이렇게 스크류의 상측에서 구동축이 연결됨에 따라, 기존에 스크류 하부에서 구동축이 연결되는 경우 스크류 하부로 새는 즙이 구동축을 타고 들어가 모터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크류(500)와 망드럼(400)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개방된 상면이 뚜껑(300)으로 덮인 착즙드럼(200)은 본체의 중간에 구비되는 드럼받침(600)에 의해 착즙드럼(200)의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지지될 수 있다. 착즙드럼(200)의 하부에는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미도시) 등이 놓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드럼받침(600)의 일측에는 착즙드럼(200)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610)가 구비된다. 안착부(610)의 중앙에는 개구부(612)를 구비하고, 착즙드럼(200)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된 찌거기배출공(230)으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가 이 개구부(612)를 통과하여 수거통(미도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안착부(610)에는 가이드(641, 6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641, 642)는 착즙드럼(2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착즙드럼(200)의 삽입을 안내한다. 그리고 착즙드럼(200)이 안착되었을 때에는 작동시 착즙드럼(200)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641, 642)는 안착부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착즙드럼(200)의 안착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는 가이드(641, 64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41, 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41, 242)의 입구는 테이퍼져 확장됨으로써 가이드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망드럼(400)과 스크류(500)가 내부에 포함된 착즙드럼(200)은 착즙기 이용 전후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세척 등을 위해서는 본체(100)에서 수시로 분리되고,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동축(150)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구동축(150)이 착즙드럼(200)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500)와 연결되어야 구동력이 전달되어 착즙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착즙드럼(200)을 본체(100)의 측방에서 단순히 밀어 넣기에는 돌출되어 있는 구동축(150)이 방해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는 착즙드럼(200)을 본체(10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착즙드럼(200)이 안착되는 드럼받침(600)을 하강시켜 스크류(500)와 구동축(150)이 서로 분리되는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이 본체(10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착즙을 위해 착즙드럼(200)을 본체(100)에 결합시 착즙드럼(200)이 안착되는 드럼받침(600)을 상승시켜 스크류(500)가 구동축(150)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2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스크류(500)로 전달되어 착즙드럼(200)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를 착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드럼받침(600)은 상, 하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체(100)에 착즙드럼(200)이 결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체에서 착즙드럼(200)이 분리되어 있고, 드럼받침(600)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4를 참조하면, 작동돌기(166)는 그 후방이 탄성핀(164)의 일측에 의해 본체(100) 외방으로 가압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핀(164)의 타측은 절곡되어 드럼받침(600)에 고정된다. 즉 탄성핀(164)은 압축된 탄성력으로 작동 돌기(166)의 후방을 가압하여 작동돌기(166)가 본체(100) 밖을 향해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드럼받침(600)의 하부에는 에어실린더(1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실린더(160)는 드럼받침(600)의 지지부(630)에 연결되어 드럼받침(600)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에어실린더(160)를 예시하였지만, 드럼받침(600)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에어실린더(160) 이외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드럼받침(600)에 고정된 탄성핀(164)의 일단은 작동 돌기(166) 후방 상단에 위치하는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단턱(168)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받침(600)의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이로써 드럼받침(600)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착즙드럼(200)이 본체(100)에 구비되는 구동축(150)을 피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도 5는 드럼받침(600)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즙드럼(600)이 안착부(6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착즙드럼(600)의 하면에 구비된 가이드 홈(241, 242)으로 안착부(610)에 구비된 가이드(641, 642)가 삽입되면서, 용이하게 안착부(610)에 착즙드럼(200)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610)에는 착즙드럼(200)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결합턱(650)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턱은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착즙드럼(200)의 하면에는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250)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50)과 결합턱(650)이 결합되도록 착즙드럼(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착즙드럼(200)은 본체(100)에서 돌출된 작동돌기(166)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
도 6은 드럼받침(600)이 본체(100)에서 하강한 상태이고, 착즙드럼(200)이 안착부(6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100)측으로 기울어져 접근한 상태를 도시한다. 착즙드럼(200)의 하면 후방(260)은 테이퍼져 안착부(610) 상면과는 본체(100)측으로 갈수록 일정 거리 더 이격되게 구비된다. 위 도 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을 본체(100)측으로 더욱 밀어 기울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드럼(200) 하면의 결합홈(250)에 삽입된 결합턱(650)을 중심으로 착즙드럼(20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일정각도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착즙드럼(200)은 본체(100)로부터 돌출된 작동돌기(166)와 접하며 작동돌기(166)를 누르게 된다. 그 다음 작동 돌기(166) 후방을 지지하던 탄성부재인 탄성핀(164)의 일방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뒤로 밀리며 탄성핀(164)을 지지하고 있던 단턱(168)을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드럼받침(600)의 지지부(630)를 가압하고 있던 에어실린더(160)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드럼받침(600)이 상승된다. 드럼받침(600)이 상승하면, 여기에 안착되어 있던 착즙드럼(200)이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드럼받침(600)에 구비된 탄성핀(164)도 동시에 상승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드럼연결부(116)로부터 착즙드럼(200)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축(150)이 착즙드럼(200)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500)의 상부축(510)과 결합된다. 즉 구동축(150)이 스크류(500)의 상부축공(512)에 삽입되며, 구동축(150)과 스크류(500)가 연결되어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드럼받침(600)에서 안착부(610)와 반대편에 힌지부(620)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에는 힌지축(162)을 구비하여 힌지부(620)가 힌지축(162)에 연결되어 힌지부(6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지부(630)가 에어실린더(160)에 의해 가압지지된 상태에서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드럼받침(600)이 회동하며 안착부(610) 부분이 승강함에 따라 착즙드럼(200)이 승강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회동하지 않고, 드럼받침 전체가 승강하도록 구비되어질 수도 있다.
착즙드럼(2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된 착즙드럼(200)의 결합 과정이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은 착즙드럼(200)이 본체(100)의 구동축(150)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향 이동시킨다. 즉, 예컨대 착즙드럼(200)을 하방으로 누르면 드럼받침(600)과 함께 하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핀(164)의 일단이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단턱(168)에 걸리게 될 때까지 드럼받침(600)이 하강되면, 에어실린더(160)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드럼받침(600)의 상승이 저지되어 일시적으로 정지 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150)이 착즙드럼(200) 내부의 스크류(500)와 분리되고, 착즙드럼(200)와 본체(100)와는 간격이 발생한다. 그리고 작동돌기(166)는 탄성핀(164)에 의해 그 후방이 가압되어 다시 본체(100)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즙드럼(200)은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착즙드럼 상부로 구동축이 연결되어 착즙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본체로부터 착즙드럼의 분리도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착즙기는 즙과 찌꺼기가 착즙드럼으로부터 직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모두 착즙드럼 하면에 구비되는 착즙드럼을 제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착즙드럼과 망드럼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드럼(200')은 그 내부에 스크류(500)와 망드럼(400')을 수용한다. 여기서 망드럼(400')은 스크류(5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광하협의 형태이다. 이러한 망드럼(400')은 뚜껑(300)의 호퍼(320)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를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라 압축, 압착 또는 분쇄하면서 생성된 즙이 망드럼(400') 외부로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다. 망드럼(400') 하단은 링형태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면 일측에는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찌꺼기하강공(420)을 구비한다.
이러한 망드럼(400')이 안착되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는 즙배출구(220')와 찌꺼기 배출공(230')이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찌꺼기 배출공(230')은 망드럼(400')에 구비된 찌꺼기하강공(420)과 연통되도록 찌꺼기하강공(42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착즙드럼(200')의 하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찌꺼기 하강공(420) 또는 찌꺼기 배출공(230')에는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는 패킹이나 개폐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찌꺼기하강공(420)은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되어 개방된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즙배출구(220')는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찌꺼기 배출공(23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즙배출구(220')는 착즙드럼(200') 하면에서 망드럼(400')이 안착되는 영역의 밖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즙배출구(220')는 호퍼(320)를 통해 착즙드럼(200') 내부로 투입된 재료가 착즙된 후 망드럼(400') 밖으로 빠져나온 즙이 배출될 수 있도록 착즙드럼(200')의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관통되어 개방된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드럼받침(600)에 구비되는 개구부(612)는 드럼받침(600)이 착즙드럼(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즙배출구(220') 또는 찌꺼기배출공(230')으로부터 즙 또는 찌꺼기가 낙하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구비되거나, 원형이 아닌 아령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즙배출구에는 즙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즙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착즙드럼(200')의 직하방으로 즙배출구(220')와 찌꺼기배출공(230')이 구비되어 즙과 찌꺼기가 모두 착즙드럼(20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 인해, 착즙드럼(200')의 하부공간에 즙수거통(700)과 찌꺼기 수거통(710)을 구비하여 착즙드럼 하부공간의 공간활용도가 증대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착즙기 작동 중에도 찌꺼기 수거통이나 즙 수거통이 착즙드럼 하부에 배치되어 외관상으로도 사용자에게 정렬된 인상과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2 상부바디
114 하부바디 115 다리
116 드럼연결부 120 구동모터
140 감속기 160 에어실린더
162 힌지축 200, 200'착즙드럼
220, 220'즙배출구 230, 230'찌꺼기 배출공
241, 242 가이드홈 250 결합홈
300 뚜껑 310 커버 부재
320 호퍼 330 관통공
400, 400'망드럼 410 망공
420 찌꺼기하강공 500 스크류
510 상부축 512 축공
600 드럼받침 610 안착부
612 개구부 620 힌지부
630 지지부 641, 642 가이드
650 결합턱 700 즙수거통
710 찌꺼기수거통
114 하부바디 115 다리
116 드럼연결부 120 구동모터
140 감속기 160 에어실린더
162 힌지축 200, 200'착즙드럼
220, 220'즙배출구 230, 230'찌꺼기 배출공
241, 242 가이드홈 250 결합홈
300 뚜껑 310 커버 부재
320 호퍼 330 관통공
400, 400'망드럼 410 망공
420 찌꺼기하강공 500 스크류
510 상부축 512 축공
600 드럼받침 610 안착부
612 개구부 620 힌지부
630 지지부 641, 642 가이드
650 결합턱 700 즙수거통
710 찌꺼기수거통
Claims (16)
-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는 착즙드럼;
상기 착즙드럼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착즙드럼을 상기 본체의 상부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착즙드럼을 지지하는 드럼받침; 및
상기 드럼받침은 상기 착즙드럼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하로 승강되되, 상기 착즙드럼의 상기 스크류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상기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받침은 일측에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는 착즙드럼;
상기 착즙드럼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착즙드럼을 상기 본체의 상부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착즙드럼을 지지하는 드럼받침; 및
상기 드럼받침은 상기 착즙드럼의 결합 또는 분리시 상하로 승강되되, 상기 착즙드럼의 상기 스크류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상기 드럼받침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드럼이 결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작동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돌기를 본체 외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드럼받침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받침이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본체에 구비된 단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럼받침의 상승이 억제되고, 상기 착즙드럼이 상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단턱에서 해제시켜 상기 드럼받침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상방으로 인양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이 결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작동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돌기를 본체 외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드럼받침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받침이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본체에 구비된 단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럼받침의 상승이 억제되고, 상기 착즙드럼이 상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단턱에서 해제시켜 상기 드럼받침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이 안착되는 상기 드럼받침의 안착부에는 상기 착즙드럼의 삽입방향으로 가이드 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착즙드럼의 하부면에는 이와 대응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은 일측에 즙이 배출되는 즙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즙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착즙드럼의 타측 하부면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받침의 상기 착즙드럼이 놓이는 안착부에는 상기 착즙드럼의 삽입방향에 수직으로 결합턱이 구비되고, 상기 착즙드럼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턱을 중심으로 상기 착즙드럼은 상기 드럼받침에서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상부에는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된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호퍼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착즙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하부와 대응되는 찌꺼기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즙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은 내부에 스크류 외면을 둘러싸고 상하가 개방된 망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망드럼의 하면 일측에는 찌꺼기하강공이 구비되고, 상기 망드럼이 안착되는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찌꺼기하강공과 연통되는 찌꺼기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배출공은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상기 망드럼이 안착되는 영역 밖에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이격되어 즙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는 상기 착즙드럼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에는 상기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즙개폐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하강공 또는 찌꺼기 배출공에는 찌꺼기 배출을 제어하는 패킹 또는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888A KR101597631B1 (ko) | 2014-04-10 | 2014-04-10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TW103135954A TW201538087A (zh) | 2014-04-10 | 2014-10-17 | 帶有果汁壓榨滾筒的改良緊固結構的果汁壓榨萃取器 |
TW103218451U TWM507180U (zh) | 2014-04-10 | 2014-10-17 | 帶有果汁壓榨滾筒的改良緊固結構的果汁壓榨萃取器 |
PCT/KR2015/002011 WO2015156502A1 (ko) | 2014-04-10 | 2015-03-03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CN201510127706.9A CN104720549B (zh) | 2014-04-10 | 2015-03-23 | 具有改进型榨汁筒紧固结构的榨汁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888A KR101597631B1 (ko) | 2014-04-10 | 2014-04-10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7434A KR20150117434A (ko) | 2015-10-20 |
KR101597631B1 true KR101597631B1 (ko) | 2016-02-25 |
Family
ID=5344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2888A KR101597631B1 (ko) | 2014-04-10 | 2014-04-10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631B1 (ko) |
CN (1) | CN104720549B (ko) |
TW (2) | TWM507180U (ko) |
WO (1) | WO20151565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95209A4 (en) * | 2015-12-22 | 2019-07-17 | Young Ki Kim | JUICE PRESS |
KR102707706B1 (ko) * | 2017-10-31 | 2024-09-20 | 주식회사 휴롬 |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
CN109793435B (zh) * | 2019-01-03 | 2023-12-15 | 廊坊宏冠塑胶制品有限公司 | 一种家用电动石磨豆浆机 |
CN109832973A (zh) * | 2019-01-28 | 2019-06-04 | 宁波宏一电器有限公司 | 一种真空破壁机 |
US20230081848A1 (en) * | 2019-12-31 | 2023-03-16 | Ad Maiora S.R.L. | Semi-automatic machine for crushing and for collecting outside frozen food substances for a subsequent food use of said food substances |
CN113862077B (zh) * | 2021-09-26 | 2023-07-04 | 河南农业大学 | 一种油脂榨取装置和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7441B1 (ko) | 2012-05-30 | 2013-04-23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KR101263910B1 (ko) | 2012-09-20 | 2013-05-13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KR101311995B1 (ko) * | 2012-05-30 | 2013-09-27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440B1 (ko) * | 2006-06-21 | 2007-09-05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KR20130028762A (ko) * | 2013-01-22 | 2013-03-19 | 김영기 |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
CN203207768U (zh) * | 2013-05-06 | 2013-09-25 |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 由电机座齿轮驱动滤网筒旋转的榨汁机构 |
CN203328494U (zh) * | 2013-07-09 | 2013-12-11 | 余姚市菲尔浦电器有限公司 | 螺旋挤压榨汁机 |
CN203468276U (zh) * | 2013-08-16 | 2014-03-12 | 卜凡武 | 一种水果榨汁机 |
CN103417096B (zh) * | 2013-08-23 | 2016-06-01 | 杭州富阳正易工贸有限公司 | 滤网机构及其使用该滤网机构的果蔬榨磨机 |
-
2014
- 2014-04-10 KR KR1020140042888A patent/KR10159763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0-17 TW TW103218451U patent/TWM507180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10-17 TW TW103135954A patent/TW201538087A/zh unknown
-
2015
- 2015-03-03 WO PCT/KR2015/002011 patent/WO201515650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23 CN CN201510127706.9A patent/CN10472054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7441B1 (ko) | 2012-05-30 | 2013-04-23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KR101311995B1 (ko) * | 2012-05-30 | 2013-09-27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KR101263910B1 (ko) | 2012-09-20 | 2013-05-13 | (주)현대가전업 |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20549A (zh) | 2015-06-24 |
CN104720549B (zh) | 2019-05-31 |
KR20150117434A (ko) | 2015-10-20 |
TWM507180U (zh) | 2015-08-21 |
WO2015156502A1 (ko) | 2015-10-15 |
TW201538087A (zh) | 2015-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7631B1 (ko)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
KR101159176B1 (ko)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KR101373608B1 (ko) |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JP2008543410A (ja) | 自動絞り機 | |
KR20060101848A (ko) | 착즙주스기 | |
US20160095461A1 (en) |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 |
TW201545688A (zh) |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 |
KR101102902B1 (ko) |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 |
TWI581741B (zh) | 上動力型果汁壓榨萃取器 | |
US9210950B2 (en) |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 |
US11357253B2 (en) | Citrus juicer comprising a membrane | |
KR101640129B1 (ko)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CN1742657A (zh) | 翻盖型整果榨汁机 | |
KR20120054572A (ko) |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 |
KR20190002091U (ko) |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 |
KR102369159B1 (ko) |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 |
KR20190002097U (ko) | 착즙기 | |
WO2009044104A1 (en) | Domestic appliance | |
US20090092722A1 (en) | Juice extractor | |
KR102257330B1 (ko) |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 |
KR102261629B1 (ko) |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 |
WO2009044103A1 (en) | Domestic appliance | |
KR101469913B1 (ko) | 착즙 주서기 | |
CN217592522U (zh) | 一种橙汁机 | |
KR102358627B1 (ko) |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