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043A -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043A
KR20000003043A KR1019980024133A KR19980024133A KR20000003043A KR 20000003043 A KR20000003043 A KR 20000003043A KR 1019980024133 A KR1019980024133 A KR 1019980024133A KR 19980024133 A KR19980024133 A KR 19980024133A KR 20000003043 A KR20000003043 A KR 2000000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y
lead screw
soymilk
bean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이강운
주식회사 엔. 이. 피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운, 주식회사 엔. 이. 피 시스템 filed Critical 이강운
Priority to KR101998002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043A/ko
Publication of KR2000000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0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콩을 미세하게 마쇄한 상태에서 콩물로부터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하게 마쇄된 콩물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착하여 콩물로부터 보다 많은 두유를 위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9) 그리고 두유 취출구(10) 및 비지 취출구(11)가 형성된 하우징(8)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피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콩물을 압송하는 리드스크류(14)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15)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에 위치되어 비지를 걸러내는 걸름망(16)으로 구성되어 있어 콩물로부터 두유의 추출량을 극대화하므로 두부의 생산량이 증대됨은 물론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위생적인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본 발명은 불리지 않은 생콩을 이용하여 두부를 생산하는 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생콩을 미세하게 마쇄한 상태에서 콩물로부터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두부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을 승강기(Bucket Elevator)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저장탱크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계량기 등을 이용하여 계량하여 일정량씩 석발기 및 세척기를 차례로 통과시키므로써 콩에 포함된 돌이나 기타 불순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깨끗하게 세척된다.(L1)
그 후, 세척된 콩을 수작업 또는 펌프 등으로 콩불림 탱크내에 공급하여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두면 상기 콩불림 탱크내에 담겨진 콩이 물에 침적되어 불게된다.(L2)
이와 같이 콩이 콩불림 탱크내에서 충분히 불게되면 분쇄기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콩물을 만들게 된다.(L3)
이 때, 콩물은 입자가 고운 것으로 하여야만 두부의 제조시 냄새를 없애고 맛이 고소하면서도 탄력이 양호한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공정으로 콩물이 얻어지면 원심분리기 등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얻게 되는데, 비지는 별도로 모아 사료 등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L4)
이렇게 얻어진 여과된 두유는 증숙기로 운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온도(대략 95 - 100℃ 정도)에서 휘저어가면서 가열한 후 응고통에서 응고제(간수)를 투입하여 응고시켜 순두부를 얻게 된다.(L5)
상기한 공정에 의해 순두부가 얻어지면 상기 순두부를 일정량씩 성형틀내에 넣고 압착하여 탈수시키므로써 원하는 크기의 두부를 얻게 된다.(L6, L7)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얻어진 콩물에는 수용성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시 수용성 단백질이 필터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망의 눈금을 매우게 되므로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필터망에 달라 붙은 비지를 제거한 다음 두유 추출작업을 진행하여야 되었다.
만약, 주기적으로 필터망에 달라 붙은 비지를 제거하지 않으면 콩물에 포함된 두유가 필터망을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비지내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두유 추출작업이 완료되고 난 비지를 작업자가 별도의 망에 담아 인위적으로 짜주게 되므로 두유의 추출량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이에 따라 두부의 생산량이 떨어지게 되었음은 물론 수작업을 병행하므로 인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미세하게 마쇄된 콩물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착하여 콩물로부터 보다 많은 두유를 위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 그리고 두유 취출구 및 비지 취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피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콩물을 압송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에 위치되어 비지를 걸러내는 걸름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두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두부제조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부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두유 추출부 8 : 하우징
9 : 투입구 10 : 두유 추출구
11 : 비지 취출구 14 : 리드스크류
16 : 걸름망 18 : 비지 취출돌기
20 : 토출팁 23 : 두유 저장통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두부제조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두부제조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체를 이루는 본체(1)와, 생콩을 물과 함께 담아 세척하는 세척부(2)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생콩이 강제 이송됨에 따라 잘게 분쇄하는 분쇄부(3)와, 상기 분쇄부에서 잘게 분쇄되어 불린진 후 강제 이송됨에 따라 미세하게 마쇄하는 마쇄부(4)와, 상기 마쇄부에서 미세 마쇄된 콩물이 공급됨에 따라 두유와 비지로 분리하는 두유 추출부(5)와, 상기 두유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두유를 설정된 온도로 증숙하는 증숙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증숙부에서 증숙되어 이송되는 두유의 이송경로상에 간수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간수 투입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간수의 투입으로 순두부가 만들어짐에 따라 이를 성형하는 성형부(6)와, 각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두부 제조기에서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두유 추출부(5)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8)의 상측에 미쇄하게 마쇄된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9)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콩물로부터 분리된 두유(13)가 추출되는 두유 취출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구(9) 및 두유 추출구(10)의 직각 방향으로는 콩물로부터 분리된 찌꺼기인 비지(12)가 취출되는 비지 취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8)의 내부에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피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콩물을 압송하는 리드스크류(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8)의 일측에는 리드스크류(14)를 구동시키는 모터(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4)의 외주면에는 압착된 비지가 두유 추출구(10)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고 비지 취출구(11)측으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걸름망(16)이 설치되어 있고 리드스크류(14)의 축부에는 리드스크류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싱(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콩물로부터 두유와 비지를 추출하는 리드 스크류(14)의 선단에는 리드스크류(14)의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된 복수개의 비지 취출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콩물로부터 분리된 비지를 비지 취출구(11)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징(8)에 형성된 비지 취출구(11)측에는 토출관(1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관(19)의 선단에는 토출팁(20)이 캡(21)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는, 추출된 비지(12)에 토출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비지가 보다 원활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8)의 투입구(9)에는 마쇄 공정에서 미쇄하게 마쇄된 콩물이 강제 압송됨에 따라 담겨지는 호퍼(22)가 설치되어 있고 두유 추출구(10)의 직하방에는 콩물로부터 추출된 두유가 담겨지는 두유 저장통(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지 취출구(11)의 직하방에는 비지가 담겨지는 비지 보관통(2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5)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마쇄 공정에서 미쇄하게 마쇄된 콩물이 강제 이송수단에 의해 호퍼(22)내에 담겨지면 상기 콩물은 자중에 의해 투입구(9)를 통해 하우징(8)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8)의 내부로 유입된 콩물내의 수분, 즉 두유는 걸름망(16)을 통해 두유 추출구(10)측으로 빠져 나가 두유 저장통(23)내에 담겨지게 되므로 콩물은 걸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쭉한 상태의 콩물은 리드스크류(14)가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상의 돌기를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리드스크류의 피치는 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그 피치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되어 콩물로부터 두유(13)를 추출하게 된다.
계속되는 리드스크류(14)의 회전으로 리드스크류(14)와 걸름망(16)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므로 인해 콩물내에 포함된 두유가 완전히 분리되어 순수한 비지만이 남게 되면 상기 비지는 리드스크류(14)의 선단에 형성된 비지 취출돌기(18)에 의해 비지 취출구(11)측으로 빠져 나가게 되는데, 상기 비지 취출돌기(18)는 리드스크류(14)의 중심축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걸름망(16)사이에 존재하는 비지를 용이하게 비지 취출구(11)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14)에 형성된 비지 취출돌기(18)에 의해 콩물로부터 분리된 비지가 비지 취출구(11)측으로 강제로 밀려 나오면 상기 비지 취출구에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토출팁(20)이 캡(21)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토출압력이 상승되므로 비지가 비지 취출구(11)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 나오게 된다.
이렇게 취출된 비지는 하측에 위치된 비지 보관통(24)내에 담겨져 별도의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리드스크류(14)의 회전으로 콩물로부터 분리되어 두유 저장통(23)에 담겨진 두유는 후 공정인 증숙부로 일정량씩 동시에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로 증숙된 다음 후공정을 거치면서 순두부로 변하게 되므로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드스크류(14)의 회전으로 콩물을 압착하여 두유(13)와 비지(12)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어 콩물로부터 두유의 추출량을 극대화하므로 두부의 생산량이 증대됨은 물론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위생적인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 그리고 두유 취출구 및 비지 취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피치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콩물을 압송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에 위치되어 비지를 걸러내는 걸름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의 선단측에 리드스크류의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된 복수개의 비지 취출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지 취출구측에 토출관을 설치하고 상기 토출관의 선단에는 토출팁을 캡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KR1019980024133A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KR20000003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33A KR20000003043A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33A KR20000003043A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43A true KR20000003043A (ko) 2000-01-15

Family

ID=1954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133A KR20000003043A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91B1 (ko) 2018-07-24 2019-10-23 강병록 압착부의 교체가 용이한 콩물과 콩비지 동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91B1 (ko) 2018-07-24 2019-10-23 강병록 압착부의 교체가 용이한 콩물과 콩비지 동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9411A1 (en) A soymilk machine/juicer with grinding function
KR100758561B1 (ko) 두부 제조 장치
KR100282842B1 (ko)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WO2010137835A2 (ko)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20000003043A (ko)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CN116391829A (zh) 一种便于分离豆渣的研磨装置
KR101127976B1 (ko)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CN108499667A (zh) 用于自动分块的加工装置
CN209334344U (zh) 一种用于中药材的加工的浸润装置
KR200464108Y1 (ko)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20110009393A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102035491B1 (ko) 압착부의 교체가 용이한 콩물과 콩비지 동시 제조장치
KR100664914B1 (ko) 콩 정량 공급 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WO2013008139A1 (en) Device separating testas and embryos of beans and soymilk machine comprising the same
CN113907368A (zh) 一种瓜籽分离的西瓜榨汁系统
CN109907667A (zh) 一种家用多功能豆浆机
KR200199255Y1 (ko) 자동두부제조기
KR200170530Y1 (ko) 두유원액 제조장치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100269857B1 (ko) 두부 자동제조장치
CN217796502U (zh) 一种用于茶干加工的磨浆装置
KR960000059A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16906Y1 (ko) 다기능 두부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