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976B1 -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976B1
KR101127976B1 KR1020090045288A KR20090045288A KR101127976B1 KR 101127976 B1 KR101127976 B1 KR 101127976B1 KR 1020090045288 A KR1020090045288 A KR 1020090045288A KR 20090045288 A KR20090045288 A KR 20090045288A KR 101127976 B1 KR101127976 B1 KR 10112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gulant
beans
tofu
washing
soy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884A (ko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원두원 식품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두원 식품기계(주) filed Critical 원두원 식품기계(주)
Priority to KR102009004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976B1/ko
Priority to CN201080022992.8A priority patent/CN102448325B/zh
Priority to PCT/KR2010/003257 priority patent/WO2010137835A2/ko
Publication of KR2010012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4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한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른 콩을 세척, 석발(石拔), 불리지 않고 직접 장치에 투입하여 연속 자동으로 두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콩 투입 호퍼(1)에 마른 콩을 투입하고 기계 가동을 시작하면 콩정량투입기(3)를 통해 가변모터(2)의 지정된 회전을 통하여 콩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두유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콩이 투입되어 세척기(5) 내부로 투입되면 세척 모터(4)가 회전하며, 자동밸브(10)가 열리고 물통(14)으로부터 세척수와 헹굼수가 투입되어 스크류의 회전으로 돌은 세척기(5)하부의 석발통으로 모이고 콩은 스크류를 타고 이송되어 두유용급수와 만나 크럇사(19)내부로 투입되어 잘게 부숴진 후 자동밸브(15)가 오픈되면서 물통(14)으로부터의 물이 펌프(16)와 자동밸브(15)를 통하여 크럇사(19)로 투입되어 잘게 부숴진 콩물과 함께 자연낙하되며, 자연낙하된 콩이 제1멧돌(20), 제2멧돌(22)로 이송되어 미세하게 분쇄된 후 원심분리기(23)를 통해 두유와 비지로 분리되며, 두유가 증기보일러(30)에 의한 증기로 끓여지면서 응고제통(37)으로부터의 응고제와 함께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에 유입되어 두부가 순간적으로 만들어진다.
두부, 연속, 제조, 세척, 석발, 불림, 투입, 연속, 원심분리기, 응고제

Description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A bean curd prouction device}
본 발명은 두부를 연속으로 제조하기 위한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른 콩을 세척, 석발(石拔), 불리지 않고 직접 투입하여 연속 자동으로 두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두부를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 마른콩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마른 콩을 물로 여러번 세척하여 이물질 등을 깨끗이 제거하고, 다음에 마른 콩에 섞여 있는 돌을 제거하기 위한 석발과정을 거쳐야 했으며, 이렇게 세척 및 석발 과정을 거친 콩을 물에 일정시간 불린 후에야 이를 사용하여 두부를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일정 시간이 걸리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마른 콩을 세척하거나 석발하거나 물에 불리는 등의 일련의 준비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마른 콩을 직접 기계에 투입하여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른콩을 정량씩 투입하고 이를 세척하기 위한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 상기 세척된 콩을 멧돌 등으로 분쇄하기 위한 콩분쇄부; 상기 콩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콩을 원심분리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에 의해 분쇄된 콩을 설정온도로 끓이기 위한 끓임부; 상기 끓임부에 의해 끓여진 콩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투입하는 응고제 정량 투입부; 상기 응고제가 투입된 콩을 교반하여 두부를 만들기 위한 교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는 마른콩을 정량씩 투입하고 이를 세척하기 위한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와, 상기 세척된 콩을 멧돌로 분쇄하기 위한 콩분쇄부(B)와, 상기 콩분쇄부(B)에 의해 분쇄된 콩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부(F)와, 상기 원심분리부(F)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된 콩을 설정온도로 끓이기 위한 끓임부(C)와, 상기 끓임부(C)에 의해 끓여진 콩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투입하는 응고제 정량 투입부(D)와, 응고제가 투입된 콩을 교반하여 두부를 만들기 위한 교반부(E)를 포함하고, 상기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는 마른콩을 투입하여 정량 주입시키는 호퍼(1); 상기 마른콩의 주입속도를 조정하는 가변 모터(2); 상기 마른콩을 석발과 세척하고 헹구는 세척기(5); 상기 세척기(5)를 구동시키는 세척모터(4); 상기 세척기(5)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물통(14) 및 상기 물통(14)의 출구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자동밸브(10)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부(F)는 상기 콩분쇄부(B)가 분쇄한 콩을 비지와 두유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23) 및 상기 비지를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24)를 포함하고, 상기 끓임부(C)는 상기 원심분리부(F)로부터 출력되는 두유를 모으는 두유모음통(25); 상기 두유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두유이송량 조절밸브(27); 상기 두유를 이송하는 이송펌프(28); 상기 이송펌프(28)의 출구에 연결되는 두유이송끓임배관(29); 상기 두유이송끓임배관(29)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30); 상기 증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자동밸브(31) 및 상기 두유이송끓임배관(29)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동밸브(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장치(34)를 포함하며, 상기 응고제 정량 투입부(D)는 응고제가 들어 있는 응고제통(37); 상기 응고제의 레벨을 감지하는 응고제 유무 레벨(43); 상기 응고제통(37) 내의 상기 응고제를 교반하는 응고제 교반 실린더(38); 상기 응고제통(37)의 상기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39); 상기 응고제 투입자동밸브(39)가 공급하는 상기 응고제를 주입하는 응고제 주입장치(42); 상기 응고제 주입장치(42)를 구동시키는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41) 및 상기 응고제 주입장치(42)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4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E)는 상기 끓임부(C)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두유와 상기 응고제 정량투입부(D)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응고제로 두부를 만드는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상기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7) 및 상기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내의 두유와 응고제를 혼합시키는 교반용 에어 실린더(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콩분쇄부(B)는 상기 물통(1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세척기(5)를 통하여 세척된 마른콩이 유입되는 크럇사(19)와, 상기 크럇사(19)를 통한 상기 마른콩을 수차례 분쇄하는 1차,2차멧돌(20)(22)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14)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크럇사(19) 내부로 투입하는 펌프(16); 상기 펌프(16)와 크럇사(1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공급을 개폐 제어하는 자동밸브(15) 및 상기 1차 맷돌(20)이 부순 콩을 상기 2차 맷돌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마른 콩을 세척하거나 석발하거나 물에 불리는 등의 일련의 준비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마른 콩을 직접 기계에 투입하여 두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두부는 물론 순두부와 비지 또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마른콩을 정량씩 투입하고 이를 세척하기 위한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와, 상기 세척된 콩을 멧돌 등으로 분쇄하기 위한 콩분쇄부(B)와, 상기 콩분쇄부(B)에 의해 분쇄된 콩을 원심분리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는 원심분리부(F)와, 상기 원심분리부(F)에 의해 분쇄된 콩을 설정온도로 끓이기 위한 끓임부(C)와, 상기 끓임부(C)에 의해 끓여진 콩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투입하는 응고제 정량 투입부(D)와, 응고제가 투입된 콩을 교반하여 두부를 만들기 위한 교반부(E)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는 마른콩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5), 상기 세척기(5)를 구동시키기 위한 세척모터(4), 마른콩을 정량 주입하기 위한 호퍼(1), 마른콩 주입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변 모터(2), 상기 세척기(5)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통(14) 및 상기 물통(14)의 출구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자동밸브(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콩분쇄부(B)는. 상기 세척기(5)로부터의 콩이 유입되는 크럇사(19), 물통(14)으로부터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6), 상기 펌프(16)와 크럇사(19)사이에 설치되어 물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밸브(15), 상기 크럇사(19)로부터 출력되는 콩을 1차 분쇄하기 위한 1차멧돌(20), 상기 1차멧돌(20)에 의해 분쇄된 콩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펌프(21), 상기 이송펌프(21)를 통해 이송되는 콩을 2차 분쇄하기 위한 2차멧돌(22)로 구성된다. 한편, 원심분리부(F)는 상기 2차멧돌(22)을 통한 콩을 비지와 두유로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23), 상기 원심분리기(23)를 통하여 나오는 비지를 배출하기 위한 비지 배출구(24)로 구성된다.
상기 끓임부(C)는, 원심분리기(23)로부터 출력되는 두유를 모으기 위한 두유모음통(25), 두유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두유이송량 조절밸브(27), 두유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28), 이송펌프(28)의 출구에 연결되는 두유이송끓임배관(29), 증기를 두유이송끓임배관(29)으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보일러(30), 상기 증기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밸브(31),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장치(34)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은 두유이송량 조절밸브이다
상기 응고제 정량 투입부(D)는, 응고제가 들어있는 응고제통(37), 응고제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응고제 유무레벨(43), 상기 응고제통(37)내의 응고제를 교반하기 위한 응고제교반 실린더(38), 상기 응고제통(37)의 응고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응고제 투입자동밸브(39), 응고제를 주입하기 위한 응고제주입장치(42), 상기 응고제 주입장치(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41), 응고제주입장치(42)의 출구에 설치되어 응고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40)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E)는, 상기 끓임부(C)와 응고제 정량 투입부(D)로부터 유입되는 콩 및 응고제를 통해 두부를 만들기 위한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와, 상기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내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47)와, 교반용 에어 실린더(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9는, 응고제 혼합 교반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른콩 정량 투입 및 세척부(A)의 콩 투입 호퍼(1)에 마른 콩을 투입하고 기계 가동을 시작하면 콩정량투입기(3)를 통해 가변모터(2)의 지정된 회전을 통하여 콩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두유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콩이 투입되어 세척기(5) 내부로 투입되면 세척 모터(4)가 회전하며, 자동밸브(10)가 열려 물통(14)으로부터 세척수와 헹굼수가 투입되면 스크류의 회전으로 돌은 세척기(5)하부의 석발통으로 모이고 콩은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어 두유용급수와 만나 콩분쇄부(B)의 크럇사(19)로 투입되어 잘게 부숴지게 된다.
이때, 자동밸브(15)가 오픈되면서 펌프(16)에 의해 펌핑된 물이 크럇사(19)내부로 투입되어 잘게 부숴진 콩물과 함께 제1멧돌(20)로 자연 낙하된다.
또한, 제1멧돌(20)로 자연낙하된 콩은 더욱 잘게 부숴지며, 이송펌프(21)를 통하여 제2멧돌(22)로 강제 이송되어 다시 한번 미세하게 분쇄된 후 원심분리부(F)의 원심분리기(23)내부로 자연낙하된다.
이때, 비지는 생콩비지 상태로 비지배출구(24)를 통하여 분리 배출되고, 콩국물은 끓임부(C)의 두유모음통(25)에 모이는데 두유상하레벨센서의 상위레벨이 작동할때까지 두유가 모이며, 이송펌프(28)가 강제 이송을 시작하며 온도감지장치(34)의 지정온도에 의하여 자동밸브(31)가 열려 증기보일러(30)내부에 저장된 증기가 스팀 용량 조절수동밸브가 조절되어 열려진 틈을 통하여 두유이송끓임배관(29)내부에서 증기가 혼합되어 두유가 100℃로 끓게 된다.
또한, 미세온도조절용 스팀 포지셔너에 의하여 온도감지장치(34)에서 지시하는 온도 편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증기량을 가감하여 지정된 온도인 100℃로 조절하게 되며, 끓여진 두유가 모이면 계속 생산되는 시간동안에 증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계속하여 두유가 교반부(E)의 두유및 순두부 응고통(44)으로 투입되어 두유량 제어용 볼레벨이 떠올라서 봉의 끝이 근접감지센서(47)에 닿으면 가변모터(2)와 세척모터(4)가 정지되어 콩투입이 정지된다.
한편, 콩과 콩물이 배관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더 가동되게 함으로써 마른 콩이 물과 혼합되어 계속 불려져 배관을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후에 기계 가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두유모음통(25)내의 두유상하감지레벨의 콩물이 다음 단계로 이송되어 줄어들게 되면, 이송펌프(28), 자동밸브(31)가 정지되며, 두유이송끓임배관(29)내부에 증기보일러(30)로부터의 증기만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팀이 손실되고 가상의 두유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반복하여 콩물을 계속 끓임과 동시에 계속 이송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내부에 지정된 량의 두유가 모이고 기계의 작동이 자동정지되면, 응고제투입자동밸브(39)가 열려 응고제통(37)으로부터 응고제가 응고제투입자동밸브(39)를 통해 두유및 순두부 응고통(44)으로 유입되며, 응고제주입장치(42)상단의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41)가 상승하여 응고제주입장치(42)내부에 일정량의 응고제가 흡입되고, 이에 따라 응고제 투입자동밸브(39)가 잠김과 동시에 응고제 투입자동밸브(40)는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41)가 하강하여 응고제가 두유 및 순두부응고통(44)내부에 투입되면, 두유 및 순두부응고통(44)에 연결된 교반용 에어 실린더(48)가 지정된 횟수로 상승/하강하여 두유와 응고제를 혼합하여 순두부가 순간적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순두부가 완성되면,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을 탈착 이동하고 다시 새로운 통을 교환하여 반복적으로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상세구성도
<부호의 설명>
A:마른콩정량투입 및 세척부 B:콩분쇄부
C:끓임부 D:응고제정량 투입부
E:교반부 F:원심분리부

Claims (2)

  1. 마른콩을 정량씩 투입하고 이를 세척하기 위한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와, 상기 세척된 콩을 멧돌로 분쇄하기 위한 콩분쇄부(B)와, 상기 콩분쇄부(B)에 의해 분쇄된 콩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부(F)와, 상기 원심분리부(F)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된 콩을 설정온도로 끓이기 위한 끓임부(C)와, 상기 끓임부(C)에 의해 끓여진 콩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투입하는 응고제 정량 투입부(D)와, 응고제가 투입된 콩을 교반하여 두부를 만들기 위한 교반부(E)를 포함하고,
    상기 마른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A)는,
    마른콩을 투입하여 정량 주입시키는 호퍼(1);
    상기 마른콩의 주입속도를 조정하는 가변 모터(2);
    상기 마른콩을 석발과 세척하고 헹구는 세척기(5);
    상기 세척기(5)를 구동시키는 세척모터(4);
    상기 세척기(5)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물통(14); 및
    상기 물통(14)의 출구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자동밸브(10)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부(F)는,
    상기 콩분쇄부(B)가 분쇄한 콩을 비지와 두유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23); 및
    상기 비지를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24)를 포함하고,
    상기 끓임부(C)는,
    상기 원심분리부(F)로부터 출력되는 두유를 모으는 두유모음통(25);
    상기 두유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두유이송량 조절밸브(27);
    상기 두유를 이송하는 이송펌프(28);
    상기 이송펌프(28)의 출구에 연결되는 두유이송끓임배관(29);
    상기 두유이송끓임배관(29)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30);
    상기 증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자동밸브(31); 및
    상기 두유이송끓임배관(29)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동밸브(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장치(34); 를 포함하며,
    상기 응고제 정량 투입부(D)는,
    응고제가 들어 있는 응고제통(37);
    상기 응고제의 레벨을 감지하는 응고제 유무 레벨(43);
    상기 응고제통(37) 내의 상기 응고제를 교반하는 응고제 교반 실린더(38);
    상기 응고제통(37)의 상기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39);
    상기 응고제 투입자동밸브(39)가 공급하는 상기 응고제를 주입하는 응고제 주입장치(42);
    상기 응고제 주입장치(42)를 구동시키는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41); 및
    상기 응고제 주입장치(42)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4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E)는,
    상기 끓임부(C)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두유와 상기 응고제 정량투입부(D)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응고제로 두부를 만드는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상기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7); 및
    상기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44) 내의 두유와 응고제를 혼합시키는 교반용 에어 실린더(48);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분쇄부(B)는,
    상기 물통(1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세척기(5)를 통하여 세척된 마른콩이 유입되는 크럇사(19)와,
    상기 크럇사(19)를 통한 상기 마른콩을 수차례 분쇄하는 1차,2차멧돌(20)(22)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14)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크럇사(19) 내부로 투입하는 펌프(16);
    상기 펌프(16)와 크럇사(1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공급을 개폐 제어하는 자동밸브(15); 및
    상기 1차 맷돌(20)이 부순 콩을 상기 2차 맷돌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21);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20090045288A 2009-05-25 2009-05-25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112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8A KR101127976B1 (ko) 2009-05-25 2009-05-25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CN201080022992.8A CN102448325B (zh) 2009-05-25 2010-05-24 豆腐自动连续制造装置
PCT/KR2010/003257 WO2010137835A2 (ko) 2009-05-25 2010-05-24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8A KR101127976B1 (ko) 2009-05-25 2009-05-25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84A KR20100126884A (ko) 2010-12-03
KR101127976B1 true KR101127976B1 (ko) 2012-03-19

Family

ID=4350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288A KR101127976B1 (ko) 2009-05-25 2009-05-25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9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42B1 (ko) * 2013-05-01 2014-12-23 문인술 물레방아와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장치
KR20150114270A (ko) 2014-04-01 2015-10-12 나리텍 주식회사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19458B1 (ko) 2016-08-11 2017-03-23 손종은 연속 순환식 두유 끓임장치
KR101753311B1 (ko) 2014-10-16 2017-07-19 주식회사 우성식품기계 순두부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946B1 (ko) * 1994-06-10 1998-04-14 류재연 두부 자동제조장치
KR100282842B1 (ko) * 1998-06-25 2001-03-02 김영식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KR20030015362A (ko) * 2003-02-05 2003-02-20 이민수 두부의 제조방법 및 콩의 파쇄장치 및 간수 첨가물 공급장치
KR100664914B1 (ko) * 2005-04-27 2007-01-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콩 정량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946B1 (ko) * 1994-06-10 1998-04-14 류재연 두부 자동제조장치
KR100282842B1 (ko) * 1998-06-25 2001-03-02 김영식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KR20030015362A (ko) * 2003-02-05 2003-02-20 이민수 두부의 제조방법 및 콩의 파쇄장치 및 간수 첨가물 공급장치
KR100664914B1 (ko) * 2005-04-27 2007-01-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콩 정량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42B1 (ko) * 2013-05-01 2014-12-23 문인술 물레방아와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장치
KR20150114270A (ko) 2014-04-01 2015-10-12 나리텍 주식회사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53311B1 (ko) 2014-10-16 2017-07-19 주식회사 우성식품기계 순두부 제조장치
KR101719458B1 (ko) 2016-08-11 2017-03-23 손종은 연속 순환식 두유 끓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84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324C (zh) 一种豆浆制品的制作装置
KR101127976B1 (ko)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WO2010137835A2 (ko)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0758561B1 (ko) 두부 제조 장치
KR20110048971A (ko) 두부제조용 콩물가열장치
CN107668218B (zh) 一种豆腐生产线
CN107981026A (zh) 一种大豆蛋白的萃取处理装置和方法
CN101697791A (zh) 一种豆浆机
TW201436752A (zh) 自動化豆腐製造機
KR100282842B1 (ko)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KR200464107Y1 (ko) 청소가 용이한 두부제조기용 두유응고장치
KR101127979B1 (ko) 두부제조장치
CN101861897B (zh) 豆浆机及其豆浆制作方法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DK2022341T3 (en) Process for milling soybeans
KR200464108Y1 (ko)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WO2013008139A1 (en) Device separating testas and embryos of beans and soymilk machine comprising the same
CN110339930A (zh) 一种匀浆分离装置和植物饮料匀浆分离方法
CN114213975B (zh) 一种全类型松脂溶解与分离工艺测控及自动生产系统
KR200477416Y1 (ko) 스팀의 유입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생두부 제조장치
CN208095908U (zh) 一种具有多口味豆浆选择功能的商业豆浆机
KR101127977B1 (ko) 두부제조용 응고제 자동 정량 투입장치
CN208740009U (zh) 一种豆浆豆渣分离装置
CN112998543B (zh) 一种商用豆浆机制浆方法
KR100500297B1 (ko)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원료자동세척 및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