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270A -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270A
KR20150114270A KR1020140038705A KR20140038705A KR20150114270A KR 20150114270 A KR20150114270 A KR 20150114270A KR 1020140038705 A KR1020140038705 A KR 1020140038705A KR 20140038705 A KR20140038705 A KR 20140038705A KR 20150114270 A KR20150114270 A KR 20150114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additive
bar
soybean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810B1 (ko
Inventor
강용석
이동열
Original Assignee
나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81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바로 포장하도록 한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기 공급부가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하나씩 공급해 주며; 두유 공급부가 두유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며; 첨가제 공급부가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며; 포장부가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위로 공급하여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하며,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하며; 절단부가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주며; 숙성부가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주며; 용기 이송부가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한 용기를 두유 공급부 및 첨가제 공급부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키며, 두유와 첨가제가 투여된 후에 용기를 포장부로 이송시키며, 용기가 포장된 후에 용기를 절단부로 이송시키며, 포장지가 커팅된 후에 용기를 숙성부로 이송시키며; 제어 장치부가 용기 공급부, 용기 이송부, 두유 공급부, 첨가제 공급부, 포장부, 절단부, 숙성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bean curd}
본 발명은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바로 포장하도록 한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일반적으로 콩을 분쇄 및 가열하여 두유로 만드는 두유 생산 공정과, 두유 생산 공정에 의한 두유에 간수 등의 응고제를 넣고 혼합하여 응고시키는 간수 공정과, 간수 공정에 의한 응고물을 틀에 넣고 탈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을 통해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두부의 제조 공정 중에서 간수 공정은 두유와 응고제를 골고루 혼합하기 위하여 응고제 투입량과 휘젓는 작업을 잘 해야 양호한 품질의 두부가 생산되므로, 두유와 응고제를 기계식으로 교반할 수 있는 두부 제조용 교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두부 제조용 교반장치는, 교반 용기와, 교반 용기의 일 측으로 두유가 유입되는 유입관,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두유에 응고제를 공급하는 간수기와, 두유와 응고제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섞기 위한 혼합장치와, 응고제와 혼합된 두유가 배출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0478호(3002.09.13 등록)는 두부제조용 교반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프레임과,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용기와, 용기 내부로 두유를 공급하고, 한쪽 끝부분에는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두유토출관이 설치되며,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두유공급부와, 용기 내부로 액체상태의 응고제를 공급하고, 한쪽 끝부분에는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응고제토출관이 설치되며,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액상공급부와, 용기 내부로 상하 이동되고, 아래쪽 끝부분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수평판이 고정되는 교반봉이 설치되어 두유와 액체상태의 응고제를 골고루 혼합하며, 프레임에 설치되는 혼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교반용기의 이동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교반용기 내에 응고물이 고착되어 두유를 저장하는 공간이 축소될 염려가 없으며, 이에 두유에 응고제가 혼합되는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항상 일정한 품질의 두부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일정하게 설정된 혼합비로 응고제를 두유에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숙련공이 필요 없고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력이 절감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한자리에서 모든 교반공정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이고 설치면적이 감소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7976호(2012.03.12 등록)는 마른 콩을 세척, 석발(石拔), 불리지 않고 직접 투입하여 연속 자동으로 두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두부 자동 연속 제조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마른 콩을 정량씩 투입하고 이를 세척하기 위한 마른 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와, 세척된 콩을 맷돌로 분쇄하기 위한 콩분쇄부와, 콩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콩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부와, 원심분리부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된 콩을 설정온도로 끓이기 위한 끓임부와, 끓임부에 의해 끓여진 콩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제를 투입하는 응고제 정량 투입부와, 응고제가 투입된 콩을 교반하여 두부를 만들기 위한 교반부를 포함하고, 마른 콩 정량투입 및 세척부는, 마른 콩을 투입하여 정량 주입시키는 호퍼; 마른 콩의 주입속도를 조정하는 가변 모터; 마른 콩을 석발과 세척하고 헹구는 세척기; 세척기를 구동시키는 세척 모터; 세척기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물통; 및 물통의 출구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자동밸브를 포함하고, 원심분리부는, 콩분쇄부가 분쇄한 콩을 비지와 두유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및 비지를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를 포함하고, 끓임부는, 원심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두유를 모으는 두유모음통; 두유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두유 이송량 조절밸브; 두유를 이송하는 이송펌프; 이송펌프의 출구에 연결되는 두유이송끓임배관; 두유이송끓임배관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 증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자동밸브; 및 두유이송끓임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응고제 정량 투입부는, 응고제가 들어 있는 응고제통; 응고제의 레벨을 감지하는 응고제 유무 레벨; 응고제통 내의 응고제를 교반하는 응고제 교반 실린더; 응고제통의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 응고제 투입자동밸브가 공급하는 응고제를 주입하는 응고제 주입장치; 응고제 주입장치를 구동시키는 응고제 계량용 에어실린더; 및 응고제 주입장치의 출구에 설치되어 응고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응고제 투입 자동밸브를 포함하고, 교반부는, 끓임부로부터 유입되는 두유와 응고제 정량투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응고제로 두부를 만드는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 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두유 및 순두부 응고통 내의 두유와 응고제를 혼합시키는 교반용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두부 제조 장치는, 세척, 불림, 분쇄, 끓임, 여과, 응고, 압착, 냉각 등과 같이 가공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가공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공 공정이나 가공 시간을 감소시키면 두부의 고유 맛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두부 제조 장치는, 보관통에 두유를 보관하였다가 응고제와 섞을 때에 배출하므로, 보관통에 오랫동안 보관되어 있는 두유의 경우에 신선도가 떨어지고, 특히 날씨가 더운 날에는 두유가 상하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047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2797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에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바로 포장하도록 한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하나씩 공급해 주기 위한 용기 공급부; 두유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두유 공급부;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공급부;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위로 공급하여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하며,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하기 위한 포장부;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주기 위한 절단부;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주기 위한 숙성부; 상기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한 용기를 상기 두유 공급부 및 상기 첨가제 공급부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키며, 두유와 첨가제가 투여된 후에 용기를 상기 포장부로 이송시키며, 용기가 포장된 후에 용기를 상기 절단부로 이송시키며, 포장지가 커팅된 후에 용기를 상기 숙성부로 이송시키는 용기 이송부; 및 상기 용기 공급부, 상기 용기 이송부, 상기 두유 공급부, 상기 첨가제 공급부, 상기 포장부, 상기 절단부, 상기 숙성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는 두부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장치부는, 상기 두유 공급부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의 두유를 용기에 투여할 때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의 첨가제를 용기에 동시에 함께 투여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일정 온도 30 ~ 5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 동안 일차적으로 숙성시킨 후에, 일정 온도 80 ~ 10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 동안 스팀으로 이차 숙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두부 제조 장치는, 상기 숙석부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를 냉각통으로 이동시켜, 살수 노즐로 냉각수를 용기에 분사하여 고온의 열기를 제거하기 위한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 공급부는, 다수 개의 용기를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적재함; 상기 적재함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전진 운동하여 하나의 용기를 아래에 위치한 용기 이송부로 떨어뜨려 주기 위한 용기 배출기; 및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용기 배출기를 전진 운동시켜 주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 배출기는, 서로 단차를 가지는 제1 바와 제2 바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에 단차 홈을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 바가 상기 제2 바보다 낮도록 형성하여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상기 실린더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며, 상기 실린더의 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바도 전진하여, 하나의 용기를 상기 단차 홈을 통해 상기 제2 바의 아래로 내려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다른 용기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바 위로 내려오게 되며, 상기 실린더의 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바 및 상기 제1 바가 후진하여, 다른 용기들을 상기 제1 바 위에 올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 이송부는, 용기 형태의 용기 삽입홀을 가지며, 상기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용기를 하나씩 용기 삽입홀에 올려놓기 위한 다수 개의 용기 장착체;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체를 구비시켜 상기 용기 장착제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치합 회전에 의해 상기 용기 장착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체인; 상기 체인과 치합 설치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씩 상기 체인을 치합 회전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회동체; 및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회동체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동체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두유 공급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두유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통; 상기 보관통 내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보관통 내의 두유를 교반하기 위한 회전날개; 상기 보관통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날개 회전모터; 상기 제1 보관통과 상기 제2 보관통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보관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배관;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를 상기 냉각 배관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두유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정량 조절하기 위한 정량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정량조절 실린더에서 정량 조절된 두유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첨가제 공급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첨가제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통; 상기 보관통 내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보관통 내의 첨가제를 교반하기 위한 회전날개; 상기 보관통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날개 회전모터; 상기 제1 보관통과 상기 제2 보관통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보관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배관;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를 상기 냉각 배관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첨가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정량 조절하기 위한 정량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정량조절 실린더에서 정량 조절된 첨가제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단부는, 하부 면의 테두리 부분에 원형으로 배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모양의 다수 개의 칼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두유를 두유 공급부에 공급해 줌과 동시에 첨가제를 첨가제 공급부에 공급하는 단계; 용기 공급부가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하나씩 용기 이송부로 공급해 주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두유 공급부 및 첨가제 공급부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키면, 상기 두유 공급부가 두유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가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함께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포장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포장부가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위로 공급하여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절단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절단부가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키며, 상기 포장부가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숙성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숙성부가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용기에 두부 내용물인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투여한 후에 바로 비닐 덮개를 씌워 제품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두부의 고유 맛을 유지하면서도 기존보다 가공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가공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가 흐르는 이중 구조의 보관통에 두유를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날씨가 더운 경우에도 두유를 항상 신선하게 보관하여 두유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용기 이송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두유 공급부 또는 첨가제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절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부 제조 장치(A)는, 제어 장치부(100), 용기 공급부(200), 용기 이송부(300), 두유 공급부(400), 첨가제 공급부(500), 포장부(600), 절단부(700), 숙성부(800)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부(100)는, 두부 제조 구동을 수행하기 위해 기 설정해 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해 두며, 해당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두부 제조 장치(A)에 구비된 각 구성 요소(즉, 용기 공급부(200), 용기 이송부(300), 두유 공급부(400), 첨가제 공급부(500), 포장부(600), 절단부(700), 숙성부(80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며, 각 구성 요소의 구동 제어 및 상태 등을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부(100)는, 두유 공급부(400)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의 두유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투여할 때에, 첨가제 공급부(500)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의 첨가제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동시에 함께 투여하도록 두유 공급부(400) 및 첨가제 공급부(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용기 공급부(200)는,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담기 위해 정해진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적재된 용기를 하나씩 용기 이송부(300)로 공급해 준다.
용기 이송부(3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두유 공급부(400) 및 첨가제 공급부(500)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켜 주며, 두유와 첨가제가 용기에 투여된 후에 해당 용기를 포장부(600)로 이송시켜 주며, 용기가 포장지로 포장된 후에 해당 포장된 용기를 절단부(700)로 이송시켜 주며,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이 커팅된 후에 해당 포장된 용기를 숙성부(800)로 이송시켜 준다.
두유 공급부(400)는, 두유를 보관하다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보관된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두유 공급부(4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첨가제 공급부(500)가 첨가제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바람직하게는, 50g)을 용기에 투여할 때에, 이와 동시에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바람직하게는, 400g)을 함께 용기에 투여해 줌으로써, 두유와 첨가제의 투여 시에 용기에서 두유와 첨가제가 잘 섞이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두유는, 콩을 미세하게 갈아 가루로 만든 콩가루와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콩가루를 10 ~ 40(%) 부피비가 되도록 하고 물을 60 ~ 90(%) 부피비가 되도록 하여 혼합할 수 있다.
첨가제 공급부(500)는,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보관된 첨가제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 공급부(5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두유 공급부(400)가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바람직하게는, 400g)을 용기에 투여할 때에, 이와 동시에 첨가제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바람직하게는, 50g)을 함께 용기에 투여해 줌으로써, 두유와 첨가제의 투여 시에 용기에서 두유와 첨가제가 잘 섞이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는, 오미자, 호박, 맥문동, 황기 및 인삼 각각 50 ∼ 200g에 증류수 1000 ∼ 3000mL를 첨가하여 일정 시간 동안 약탕기로 추출한 다음에 가제로 1차 여과하며, 5000 ∼ 8000ㅧg에서 10 ∼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응고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첨가제 공급부(500)는,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대비 5 ∼ 30%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는, 농축한 오미자 엑기스 여과액의 유기 응고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첨가제 공급부(500)는,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대비 5 ∼ 10%의 오미자 엑기스 여과액을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는, 델타 락톤 글루코네이트와 같은 응고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는, 매실식초와 해조류를 혼합하여 응고제로 제조될 수 있는데, 매실식초 20ℓ당 홍조류 분말(김, 우뭇가사리, 꼬시레기, 국수나물, 보라털, 지누아리, 돌가사리, 비단풀 및 홍조녹말을 혼합함) 400 ~ 500g(바람직하게는, 500g)을 투입하여 10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간 중탕 가열하거나, 물 20ℓ에 홍조류 분말 500g을 섞은 뒤에 100℃에서 30분간 중탕 가열하여 제조한 천연 응고제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첨가제 공급부(500)는,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대비 1 ∼ 2%의 천연 응고제를 첨가할 수 있다.
포장부(600)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보관된 포장지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 위로 공급해 줌과 동시에, 공급된 포장지를 용기 위에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지로 포장해 주며, 절단부(700)에 의해서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해 준다.
절단부(7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준다.
숙성부(8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된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숙성부(800)는, 두부 제조 장치(A)와는 별도로 구비시켜 포장된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숙성부(800)는, 찜통 등과 같은 숙성기로서, 일정 온도 30 ~ 50도(바람직하게는, 4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바람직하게는, 40분) 동안 일차적으로 숙성시킨 후에, 일정 온도 80 ~ 100도(바람직하게는, 9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바람직하게는, 40분) 동안 스팀으로 이차 숙성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두부 제조 장치(A)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두유 공급부(400)와 첨가제 공급부(500)가 두부 내용물인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정해진 용기에 투여한 후에, 포장부(600)가 바로 비닐 덮개를 씌워 제품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두부의 고유 맛을 유지하면서도 기존보다 가공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가공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두부 제조 장치(A)는, 초음파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숙성부(800)에서 숙성되어 완료된 두부를 포장한 용기를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용기를 초음파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두부 제조 장치(A)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숙석부(800)에서 숙성되어 완료된 두부를 포장한 용기를 살균통으로 이동시켜, 살균통 내부에서 고온의 스팀으로 해당 이동된 용기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두부 제조 장치(A)는, 살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숙석부(800)에서 숙성되어 완료된 두부를 포장한 용기를 냉각통으로 이동시켜, 살수 노즐로 냉각수를 해당 이동된 용기에 분사하여 고온의 열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공급부(200)는, 적재함(210), 용기 배출기(220), 실린더(230)를 포함한다.
적재함(210)은, 다수 개의 용기를 적재 보관한다. 이때, 적재함(210)은, 용기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용기가 원형인 경우에 용기의 테두리 부분이 용기 배출기(220) 상에 올려 놓이게 적재되도록 형성하거나, 용기가 다각형인 경우에 용기의 꼭짓점 부분이 용기 배출기(230) 상에 올려 놓이게 적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배출기(220)는, 적재함(210)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여 하나의 용기를 아래에 위치한 용기 이송부(300)(즉, 도 3에 도시된 용기 장착체(310)의 용기 삽입홀(311))로 떨어뜨려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 배출기(220)는, 서로 단차를 가지는 제1 바(221)와 제2 바(222)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며, 이때 제1 바(221)와 제2 바(222) 사이에 단차 홈(22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221)는 제2 바(222)보다 높이가 낮도록 형성하여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게 되며, 이때 제2 바(222)도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에 하나의 용기가 단차 홈(223)을 통해 제2 바(222)의 아래로 내려가 아래로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용기들은 자중에 의해 제2 바(222) 위로 내려오게 되며, 이때 제2 바(222)는 다른 용기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실린더(230)의 후진 운동에 의해 후진하게 되며, 이때 제1 바(221)도 실린더(230)의 후진 운동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이에 다른 용기들은 처음과 같이 제1 바(221) 위에 올려지게 될 수 있다.
실린더(230)는, 용기 배출기(2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배출기(220)를 왕복 운동시켜 주는데, 전진 운동 시에 적재된 용기들 중 하나를 아래로 떨어뜨리도록 용기 배출기(220)를 전진시켜 주고 후진 운동 시에 적재된 용기들을 올려놓도록 용기 배출기(220)를 후진시켜 준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용기 이송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이송부(300)는, 다수 개의 용기 장착체(310), 체인(320), 두 개의 회동체(330), 회동체 회전모터(340)를 포함한다.
용기 장착체(3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특정 부분(즉, 테두리 가운데 부분)이 체인(320)(즉, 고정체(321))의 위에 고정 설치되고 용기 형태의 용기 삽입홀(311)을 가지며, 이에 체인(3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용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하나씩 용기 삽입홀(311)에 올려놓는다.
체인(320)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체(321)를 구비시켜 각 고정체(321)를 통해 다수 개의 용기 장착제(310)를 고정 설치해 두며, 두 개의 회동체(330) 사이에 치합 설치되어, 회동체(330)의 회전에 따라 치합 회전하여 용기 장착제(310)를 이동시켜 준다.
회동체(330)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체인(320)과 치합 설치되며, 회전축이 회동체 회전모터(340)의 축과 연결 설치되어, 회동체 회전모터(34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치합 회전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씩 체인(320)을 회전 이동시켜 준다.
회동체 회전모터(340)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 등으로서,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회동체(330)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준다. 이에 따라, 용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가 하나씩 용기 장착체(310)의 용기 삽입홀(311)에 정확하게 올려 놓이게 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두유 공급부 또는 첨가제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유 공급부(400)(또는, 첨가제 공급부(500))는, 보관통(410), 회전날개(420), 날개 회전모터(430), 냉각 배관(440), 냉각수 공급기(450), 정량조절 실린더(460), 배출관(470)을 포함한다.
보관통(410)은,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411)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41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냉각 배관(440)을 설치하며, 내부에 두유(또는, 첨가제)를 보관하였다가, 두유(또는, 첨가제)를 정량조절 실린더(460)로 공급해 준다.
회전날개(420)는, 보관통(410) 내부에 다수 개(바람직하게는, 2개)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날개 회전모터(430)의 축과 연결 설치되어,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또는, 첨가제)를 교반(내지는, 믹싱)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날개(420)는, 와류 발생용 날개로서,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른 회전에 의해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또는, 첨가제)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해당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또는, 첨가제)가 잘 교반(내지는, 믹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통(410) 바닥으로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날개 회전모터(430)는, 보관통(410)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회전날개(420)를 회전시켜 준다.
냉각 배관(440)은, 보관통(410) 내(즉,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 공급기(45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관통(410)을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켜 줌으로써,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또는, 첨가제)를 신선하게 유지시켜 준다.
냉각수 공급기(450)는, 보관통(4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를 냉각 배관(440)에 공급해 준다.
정량조절 실린더(460)는, 보관통(410)으로부터 두유(또는, 첨가제)를 공급받아,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공급받은 두유(또는, 첨가제)를 정량 조절하여 기 설정된 일정량만큼 배출관(470)으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량조절 실린더(460)는, 두유를 공급받는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바람직하게는, 400g)의 두유를 배출관(470)으로 공급해 주며, 또한 첨가제를 공급받는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바람직하게는, 50g)의 첨가제를 배출관(470)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배출관(470)은,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 위에 배출 부분을 설치시켜 두어, 정량조절 실린더(460)를 통해 공급되는 두유(또는, 첨가제)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배출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두유 공급부(400) 및 첨가제 공급부(500))는, 각각 정량조절 실린더(460)를 구비하여, 각 정량조절 실린더(460)에 의해 두유 및 첨가제 각각을 기 설정된 량만큼 정확하게 용기에 배출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냉각 배관(440)을 통해 냉각수가 흐르는 이중 구조의 보관통(410)에 두유(또는, 첨가제)를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날씨가 더운 경우에도 두유(또는, 첨가제)를 항상 신선하게 보관하여 두유(또는, 첨가제)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절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절단부(700)는, 하부 면의 테두리 부분에 원형으로 배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모양의 다수 개의 칼날(710)을 구비하여,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칼날(710)을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로 하강시켜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준다. 이때, 칼날(710)의 뾰족한 부분(즉, 첨두부)이 포장지에 구멍을 뚫고 칼날(710)의 첨두부 주변 부분이 해당 뚫린 구멍을 확장해 나감으로써, 포장지를 커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혼합기, 이송장치 등을 이용하여 10 ~ 40(%)의 콩가루와 60 ~ 90(%)의 물이 혼합된 두유를 두유 공급부(400)에 공급해 줌과 동시에, 첨가제를 첨가제 공급부(500)에 공급해 주게 된다(S601).
두유 공급부(400)는, 상술한 단계 S601에서 공급해 주는 두유를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411)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41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냉각 배관(440)을 설치하고 있는 두유 공급부(400)의 보관통(410)이, 내부에 두유를 보관하게 된다.
보관통(410) 하부에 연결 형성된 날개 회전모터(43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다수 개(바람직하게는, 2개)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날개(420)를 회전시켜 준다. 이에, 회전축이 날개 회전모터(430)의 축과 연결 설치되어 있는 회전날개(420)는,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를 교반(내지는, 믹싱)시켜 준다.
예를 들어, 회전날개(420)가 와류 발생용 날개인 경우에, 회전날개(420)는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에 와류를 발생시켜 주며, 이에 해당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가 잘 교반(내지는, 믹싱)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보관통(410) 바닥으로 침전물(즉, 콩가루)이 쌓여 굳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두유 공급부(400)의 냉각수 공급기(45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보관통(410) 내(즉,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설치된 냉각 배관(440)에 냉각수를 공급해 줌으로써, 보관통(4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냉각 배관(440)은, 냉각수 공급기(45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관통(410)을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두유를 신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첨가제 공급부(500)는, 상술한 단계 S601에서 공급해 주는 첨가제를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411)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41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냉각 배관(440)을 설치하고 있는 첨가제 공급부(500)의 보관통(410)이, 내부에 첨가제를 보관하게 된다.
보관통(410) 하부에 연결 형성된 날개 회전모터(43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다수 개(바람직하게는, 2개)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날개(420)를 회전시켜 준다. 이에, 회전축이 날개 회전모터(430)의 축과 연결 설치되어 있는 회전날개(420)는,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를 교반(내지는, 믹싱)시켜 준다.
예를 들어, 회전날개(420)가 와류 발생용 날개인 경우에, 회전날개(420)는 날개 회전모터(4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에 와류를 발생시켜 주며, 이에 해당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가 잘 교반(내지는, 믹싱)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보관통(410) 바닥으로 침전물(즉, 첨가제)이 쌓여 굳게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두유 공급부(400)의 냉각수 공급기(45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보관통(410) 내(즉, 제1 보관통(411)과 제2 보관통(412) 사이)에 설치된 냉각 배관(440)에 냉각수를 공급해 줌으로써, 보관통(4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냉각 배관(440)은, 냉각수 공급기(45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보관통(410)을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통(4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를 신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두유 및 첨가제를 공급한 다음에, 보관통(410)의 바닥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두유 및 첨가제를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한 상태에서, 두유와 첨가제를 동시에 담기 위해 정해진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용기를 적재하고 있는 용기 공급부(2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적재된 용기를 하나씩 용기 이송부(300)로 공급해 준다(S602).
상술한 단계 S602에 있어서, 용기 공급부(200)의 적재함(210)은, 다수 개의 용기를 적재 보관하게 된다. 이때, 적재함(2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 배출기(220)는,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게 된다.
용기 배출기(2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23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배출기(220)를 왕복 운동시켜 주는데, 우선 전진 운동 시에 적재된 용기들 중 하나를 아래로 떨어뜨리도록 용기 배출기(220)를 전진시켜 주게 된다. 이때, 용기 배출기(220)는,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여 하나의 용기를 아래에 위치한 용기 이송부(300)(즉, 도 3에 도시된 용기 장착체(310)의 용기 삽입홀(311))로 떨어뜨려 준다. 그런 후에, 실린더(23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배출기(220)를 후진시켜 주게 된다. 이때, 용기 배출기(220)는, 실린더(230)의 후진 운동에 의해 후진되어 적재된 용기들을 올려놓도록 해 준다.
예를 들어, 서로 단차를 가지는 제1 바(221)와 제2 바(222)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용기 배출기(220)의 경우에, 제1 바(221)는 제2 바(222)보다 높이가 낮도록 형성하여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게 되며, 또한 제2 바(222)도 실린더(230)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에, 하나의 용기가 단차 홈(223)을 통해 제2 바(222)의 아래로 내려가 아래로 떨어지게 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용기들은 자중에 의해 제2 바(222) 위로 내려오게 된다. 그런 다음에, 제2 바(222)는 다른 용기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실린더(230)의 후진 운동에 의해 후진하게 되며, 또한 제1 바(221)도 실린더(230)의 후진 운동에 의해 후진하게 된다. 이에, 다른 용기들은 처음과 같이 제1 바(221) 위에 올려지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용기를 공급한 다음에, 용기 이송부(3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두유 공급부(400) 및 첨가제 공급부(500)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이에, 두유 공급부(4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술한 단계 S601에서 보관된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공급해 줌과 동시에, 또한 첨가제 공급부(5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술한 단계 S601에서 보관된 첨가제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함께 공급해 준다(S603).
상술한 단계 S603에 있어서, 두유 공급부(400) 또는 첨가제 공급부(500)의 정량조절 실린더(460)는, 보관통(410)으로부터 두유 또는 첨가제를 공급받아,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공급받은 두유 또는 첨가제를 정량 조절하여, 기 설정된 일정량만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 위에 배출 부분이 설치된 배출관(470)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이때, 배출관(470)은, 정량조절 실린더(460)를 통해 공급되는 두유 또는 첨가제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배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유 공급부(400)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두유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바람직하게는, 400g)을 함께 용기에 투여할 때에, 이와 동시에 첨가제 공급부(500)가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첨가제의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바람직하게는, 50g)을 용기에 투여해 줌으로써, 두유와 첨가제의 투여 시에 용기에서 두유와 첨가제가 잘 섞이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두유 및 첨가제를 기 설정된 일정량만큼 용기에 배출한 다음에, 용기 이송부(3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두유와 첨가제가 투여된 용기를 포장부(600)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이에,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를 보관하고 있는 포장부(6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보관된 포장지의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 위로 공급해 줌과 동시에, 공급된 포장지를 용기 위에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지로 포장해 주게 된다(S604).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용기를 포장한 다음에, 용기 이송부(3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포장된 용기를 절단부(700)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이에, 절단부(7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준다(S605).
상술한 단계 S605에 있어서, 절단부(700)의 하부 면의 테두리 부분에 원형으로 배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모양의 다수 개의 칼날(710)이,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용기로 하강되어,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주게 된다. 이때, 칼날(710)의 뾰족한 부분(즉, 첨두부)이 포장지에 구멍을 뚫게 되며, 그 다음으로 칼날(710)의 첨두부 주변 부분이 해당 뚫린 구멍을 확장해 나감으로써, 포장지를 커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단계 S605에서 포장지를 커팅한 다음에, 용기 이송부(3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포장지가 커팅된 용기를 숙성부(800)로 이송시켜 준다. 이때, 포장부(6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절단부(700)에 의해서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해 준다.
숙성부(800)는, 제어 장치부(10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된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준다(S606).
예를 들어, 숙성부(800)는, 찜통 등과 같은 숙성기로서, 일정 온도 30 ~ 50도(바람직하게는, 4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바람직하게는, 40분) 동안 일차적으로 숙성시킨 후에, 일정 온도 80 ~ 100도(바람직하게는, 9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바람직하게는, 40분) 동안 스팀으로 이차 숙성시켜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두부 제조 장치
100: 제어 장치부
200: 용기 공급부
210: 적재함
220: 용기 배출기
221: 제1 바
222: 제2 바
223: 단차 홈
230: 실린더
300: 용기 이송부
310: 용기 장착체
311: 용기 삽입홀
320: 체인
330: 회동체
340: 회동체 회전모터
400: 두유 공급부
410: 보관통
420: 회전날개
430: 날개 회전모터
440: 냉각 배관
450: 냉각수 공급기
460: 정량조절 실린더
470: 배출관
500: 첨가제 공급부
600: 포장부
700: 절단부
710: 칼날
800: 숙성부

Claims (10)

  1.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하나씩 공급해 주기 위한 용기 공급부;
    두유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두유 공급부;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공급부;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위로 공급하여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하며,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하기 위한 포장부;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켜 주기 위한 절단부;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켜 주기 위한 숙성부;
    상기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한 용기를 상기 두유 공급부 및 상기 첨가제 공급부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키며, 두유와 첨가제가 투여된 후에 용기를 상기 포장부로 이송시키며, 용기가 포장된 후에 용기를 상기 절단부로 이송시키며, 포장지가 커팅된 후에 용기를 상기 숙성부로 이송시키는 용기 이송부; 및
    상기 용기 공급부, 상기 용기 이송부, 상기 두유 공급부, 상기 첨가제 공급부, 상기 포장부, 상기 절단부, 상기 숙성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부를 포함하는 두부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부는,
    상기 두유 공급부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0 ~ 350g의 두유를 용기에 투여할 때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가 기 설정된 일정량 25 ~ 75g의 첨가제를 용기에 동시에 함께 투여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일정 온도 30 ~ 5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 동안 일차적으로 숙성시킨 후에, 일정 온도 80 ~ 100도에서 일정 시간 30 ~ 50분 동안 스팀으로 이차 숙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석부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용기를 냉각통으로 이동시켜, 살수 노즐로 냉각수를 용기에 분사하여 고온의 열기를 제거하기 위한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는,
    다수 개의 용기를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적재함;
    상기 적재함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전진 운동하여 하나의 용기를 아래에 위치한 용기 이송부로 떨어뜨려 주기 위한 용기 배출기; 및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용기 배출기를 전진 운동시켜 주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기는,
    서로 단차를 가지는 제1 바와 제2 바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에 단차 홈을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 바가 상기 제2 바보다 낮도록 형성하여 다수 개의 용기를 올려놓고 있다가 상기 실린더의 전진 운동에 의해 전진하며, 상기 실린더의 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바도 전진하여, 하나의 용기를 상기 단차 홈을 통해 상기 제2 바의 아래로 내려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다른 용기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바 위로 내려오게 되며, 상기 실린더의 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바 및 상기 제1 바가 후진하여, 다른 용기들을 상기 제1 바 위에 올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송부는,
    용기 형태의 용기 삽입홀을 가지며, 상기 용기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용기를 하나씩 용기 삽입홀에 올려놓기 위한 다수 개의 용기 장착체;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체를 구비시켜 상기 용기 장착제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치합 회전에 의해 상기 용기 장착제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체인;
    상기 체인과 치합 설치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씩 상기 체인을 치합 회전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회동체; 및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회동체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동체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유 공급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두유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통;
    상기 보관통 내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보관통 내의 두유를 교반하기 위한 회전날개;
    상기 보관통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날개 회전모터;
    상기 제1 보관통과 상기 제2 보관통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보관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배관;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를 상기 냉각 배관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두유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정량 조절하기 위한 정량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정량조절 실린더에서 정량 조절된 두유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공급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보관통과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보관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첨가제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통;
    상기 보관통 내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며,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보관통 내의 첨가제를 교반하기 위한 회전날개;
    상기 보관통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날개 회전모터;
    상기 제1 보관통과 상기 제2 보관통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보관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배관;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를 상기 냉각 배관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
    상기 보관통으로부터 첨가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 장치부의 구동 제어에 따라 정량 조절하기 위한 정량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정량조절 실린더에서 정량 조절된 첨가제를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
  10. 두유를 두유 공급부에 공급해 줌과 동시에 첨가제를 첨가제 공급부에 공급하는 단계;
    용기 공급부가 용기를 적재하고 있다가 하나씩 용기 이송부로 공급해 주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두유 공급부 및 첨가제 공급부의 배출 부분으로 이송시키면, 상기 두유 공급부가 두유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가 첨가제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배출 부분을 통해 용기에 함께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포장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포장부가 포장지를 보관하다가 기 설정된 일정량을 용기 위로 공급하여 가열 압착시켜 용기를 포장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절단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절단부가 용기에 포장된 포장지 외의 부분을 커팅시키며, 상기 포장부가 커팅된 포장지를 회수하는 단계;
    상기 용기 이송부가 용기를 숙성부로 이송시키면, 상기 숙성부가 용기를 공급받아 기 설정해 둔 온도 및 시간으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방법.
KR1020140038705A 2014-04-01 2014-04-01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8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05A KR101589810B1 (ko) 2014-04-01 2014-04-01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05A KR101589810B1 (ko) 2014-04-01 2014-04-01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270A true KR20150114270A (ko) 2015-10-12
KR101589810B1 KR101589810B1 (ko) 2016-02-01

Family

ID=5434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705A KR101589810B1 (ko) 2014-04-01 2014-04-01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52A (ko) 2018-05-25 2019-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테이블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9Y1 (ko) * 2002-06-12 2002-08-30 김건우 전두부 제조장치
KR200290478Y1 (ko) 2002-07-08 2002-09-28 이거학 두부제조용 교반장치
KR100456007B1 (ko) * 2003-01-28 2004-11-08 황부성 비지 발생이 없는 자판식 두부 자동제조 시스템
KR20080100104A (ko) * 2007-05-11 2008-11-14 (주) 세민디에프엠 전두부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127976B1 (ko)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1162297B1 (ko) * 2011-10-26 2012-07-04 홍성혁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9Y1 (ko) * 2002-06-12 2002-08-30 김건우 전두부 제조장치
KR200290478Y1 (ko) 2002-07-08 2002-09-28 이거학 두부제조용 교반장치
KR100456007B1 (ko) * 2003-01-28 2004-11-08 황부성 비지 발생이 없는 자판식 두부 자동제조 시스템
KR20080100104A (ko) * 2007-05-11 2008-11-14 (주) 세민디에프엠 전두부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127976B1 (ko)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1162297B1 (ko) * 2011-10-26 2012-07-04 홍성혁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52A (ko) 2018-05-25 2019-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테이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810B1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59471B2 (e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with movable mixing chamber
CN101600378B (zh) 由可溶配料和稀释剂生产泡沫液体的装置和方法
CN101790337A (zh) 饮料制备机的冲泡单元
KR101162297B1 (ko)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N1328970C (zh) 装备有预制品供料装置的用于成份地制造冰淇淋的机器
JP2020507433A (ja) 飲料調製及び注入システム
KR101589810B1 (ko)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5307544A (zh) 用于生产饮料的混合室
KR101658220B1 (ko) 순대 제조 장치
CN109090265A (zh) 一种环保型全自动豆腐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113907121A (zh) 含专用无磷保水剂的预油炸鸡肉腌料的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207803384U (zh) 饵块生产成型装置
CN214876161U (zh) 一种凝胶剂类药品生产用密封装置
CN210492387U (zh) 一种罐头食品生产用斩拌机
KR101983356B1 (ko) 미꾸라지 균일분포된 추어두부 성형제조장치
CA3203246C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CN218741422U (zh) 一种液体原料混合设备
CN212306708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蒸熟装置
KR101983581B1 (ko) 기능성 두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03905B1 (ko)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CN218688685U (zh) 一种制作发酵饲料用搅拌装置
CN215531413U (zh) 人工智能豆腐脑机
US20220192222A1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CN106666434A (zh) 用于鸡爪的拌料方法
JPS62296865A (ja) 固液混合食品の混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