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573Y1 - 두유 여과기 - Google Patents

두유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73Y1
KR200179573Y1 KR2019970044822U KR19970044822U KR200179573Y1 KR 200179573 Y1 KR200179573 Y1 KR 200179573Y1 KR 2019970044822 U KR2019970044822 U KR 2019970044822U KR 19970044822 U KR19970044822 U KR 19970044822U KR 200179573 Y1 KR200179573 Y1 KR 200179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oymilk
motor
busy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070U (ko
Inventor
정숭기
Original Assignee
정숭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숭기 filed Critical 정숭기
Priority to KR2019970044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5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6Separation devices for industrial food processing or agr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콩의 분쇄물인 생두유즙을 여과할 때 생두유와 생비지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여과기를 구동시킬 때 분쇄기도 함께 구동시킬 수 있는 두유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기대본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팔모양으로 된 타공망체와 그물망체가 조립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의 내부에 생두유즙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으로 생두유즙을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을 기준하여 구획하는 격판의 양측에 두유 수집실과 비지 배출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두유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에서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돌출부와,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을 개방시키는 격판에 상기 환형돌출부와 같이 돌출되는 고정돌출부와, 상기 고정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출부에 대하여 외향을 향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환형테 및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에 결착되며, 상기 환형돌출부와 고정돌출부 및 환형테를 감싸주는 유입방지구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여과기를 회전시키는 직교형 기어박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연동축을 이용하여 상기 기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분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두유 여과기
본 고안은 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콩의 분쇄물인 생두유즙을 여과할 때 생두유와 생비지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여과기를 구동시킬 때 분쇄기도 함께 구동시킬 수 있는 두유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의 제조과정은 물에 불린콩을 맷돌로 갈아서 가마솥에 끓인 다음 보자기를 이용하여 비지를 걸러낸 후 적당량의 간수(응고제)로서 순두부를 응고시키고 이를 목판 등의 형틀에서 압착하는 방법으로 두부를 제조하고 있다.
그리고 요즈음에는 분쇄기에서 분쇄된 생두유즙을 끓이기 전에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생두유즙에서 생비지를 여과한 다음 순수한 생 두유만을 끓이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국내 실용신안공보에 공고된 공고번호 제 86-855 호 및 제 97-10539 호가 소개된 바 있다.
전자의 경우는 제3도의 도시예와 같이 모터(100)의 출력축에 나팔모양으로 된 여과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여과기는 타공망체(101)와 그물망체(102)가 이중으로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배출공(103)이 다수 형성된 원통관(104)속으로 생두유즙을 공급하는 공급관(105)을 배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부를 기준하여 두유 수집실(106)과 생비지 배출실(107)로 분리하기 위하여 격판(108)으로서 구획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여과기로 생두유즙을 여과하여 두유와 생비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두유 수집실(106)로 생비지가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여과기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과 그 주연단을 기준하여 두유 수집실(106)과 생비지 배출실(107)을 구획하는 격판(108)은 접촉될 수 없고 어느 정도 공간을 형성시켜야만 여과기가 고속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생두유즙을 원심분리하는 여과기의 고속회전작용에 의해 여과기의 타공망체(101)의 주변에는 감압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그 감압현상은 여과기의 개방단 주위 즉, 격판(108)에 인접한 두유 수집실(106)에도 나타나게 되므로서 그물망체(102)의 경사를 따라 생비지 배출실(107)로 배출될 때 여과기의 개방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두유 수집실(106)에서의 감압작용에 의해 생비지가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과 격판(108) 사이에 생긴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 두유에 생비지가 혼입되는 상태가 되며, 이같이 두유에 생비지가 혼입되면 두부의 맛과 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나팔모양의 여과기를 양쪽에 대설하는 이른바 제1 여과기와 제2 여과기로 구성하였을 경우 제1 여과기는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생두유즙을 여과하고, 제2 여과기는 제1 여과기에서 걸러낸 생비지를 재차 여과하는 과정에서도 제2 여과기에서 걸러지는 생비지가 제2의 두유수집실로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후자의 경우 역시 나팔모양의 여과기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두유 수집실측에 감압현상이 나타나 생비지 배출실로 배출되는 생비지가 두유 수집실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후자의 것은 여과기와 분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큰 것도 단점으로 지적 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생두유즙을 두유와 생비지로 분리 및 여과하는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 단으로 생비지가 두유 수집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며, 또한 동력원인 하나의 모터로서 여과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과 동시 불린콩을 분쇄하는 분쇄기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불린콩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와 생두유즙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의 구성을 간소하고 함과 동시 전력소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대본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팔모양으로 된 타공망체와 그물망체가 조립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의 내부에 생두유즙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으로 생두유즙을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을 기준하여 구획하는 격판의 양측에 두유 수집실과 비지 배출실을 형성하여서 되는 두유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에서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돌출부와;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뚫어진 격판의 개방공 둘레에 상기 환형돌출부와 같이 돌출되는 고정돌출부와;
상기 고정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출부에 대하여 외향을 향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환형테와; 및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에 보울트로 결착되면서 상기 비지 배출실측으로 돌출된 여과기의 환형돌출부와 격판의 고정돌출부 및 환형테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여과기의 주연단과 격판의 개방공 사이를 통해 두유 수집실로 생비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지 유입방지구;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여과기를 회전시키는 직교형 기어박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연동축을 이용하여 상기 기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분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구성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본체 2 : 모터
3,3a : 여과기 4 : 직교형 기어박스
5a,5b : 제1 및 제2 회전축 6a : 두유 수집실
6b : 비지 배출실 7 : 격판
8 : 비지 유입방지구 2 : 모터
11 : 고정지지틀 4 : 직교형 기어박스
31 : 타공망체 6a : 두유 수집실
6b : 비지 배출실 7 : 격판
8 : 비지 유입방지구 9 : 분쇄기
11 : 고정지지틀 21 : 구동풀리
31 : 타공망체 32 : 그물망체
33 : 배출공 34 : 원통관
35 : 주연단 36 : 환형돌출부
41 : 구동축 42 : 구동용 베벨기어
43 : 연동용 베벨기어 44 : 연동축
51 : 베어링 하우징 52 : 연동풀리
71 : 고정돌출부 72 : 환형테
91 : 구동축 92 : 하부 분쇄석
93 : 나선형 임펠러 94 : 호퍼
95 : 상부 부쇄석 96 : 배출구
97 : 공급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기대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기대본체(1) 내측의 고정 지지틀(11)에는 동력원인 모터(2)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여과기(3)를 회전시키는 직교형 기어박스(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 일측에 커플링(부호 생략) 등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축(5a)은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된 두유 수집실(6a)에 설치되는 여과기(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 타측(도면상 우측)에도 커플링(부호생략)등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축(5b)은 베어링 하우징(51)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길게 연장하여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2차 여과기(3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2)는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 타측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5b)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한 제2 회전축을 없애고 모터(2)의 출력축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모터(2)의 출력측에 축설된 구동풀리(21)와 제2 회전축(5b)에 축설된 연동풀리(52)를 벨트로서 연결하므로서 모터(2)의 회전동력을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제1도 참조), 이와 같은 실시예가 바람직한 구조이다.
상기 제1 회전축(5a)에 연결된 여과기(3)는 나팔모양으로 된 타공망체(31)와, 그 내측에 설치되는 그물망체(32)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여과기(3)의 내부 중심부에는 다수의 배출공(33)이 형성된 원통관(34)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기(3)의 개방된 주연단(35)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돌출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3)의 개방된 주연단(35)을 기준하여 두유 수집실(6a)과 비지 배출실(6b)을 구성하는데, 상기한 두유 수집실과 비지 배출실은 격판(7)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이며, 상기 격판(7)은 상기 여과기(3)의 주연단(35)에 인접하여 그 주연단(5)을 감싸는 개방공(73)을 형성하여 상기 여과기(3)의 그물망체(32)와 타공망체(31)에서 여과된 생두유는 두유 수집실(6a)에 수집되게 하고 그물망체(32) 및 타공망체(31)에 의해 걸러진 생비지는 비지 배출실(6b)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기(3)의 주연단(35)와 상기 격판(7)의 개방공(73) 각각에는 상기 비지 배출실(6b)를 향해 돌출되는 환형돌출부(36)와 고정돌출부(71)들은 틈새를 형성한 채 서로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의 고정돌출부(71)의 끝단에는 외향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된 환형테(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지 배출실(6b) 측에서 상기 여과기(3)의 주연단(35)에 보울트 등으로 조립되는 비지 유입방지구(8)는 평탄한 부착부(81)가 상기한 주연단(5)에 밀착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기(3)의 환형돌출부(36)와 격판(7)의 고정돌출부(71) 및 환형테(72)를 감싸주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3)와 함께 회전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비지 유입방지구(8)는 상기 여과기(3)에서 걸러진 생비지가 비지 배출실(6b)로 배출될 때 두유 수집실(6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지 배출실(6b)로 배출된 생비지의 배출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비지 배출실(6b) 상부에서 물을 살포할 경우에도 그 살포되는 물과 비지가 두유 수집실(6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에 축설된 구동용 베벨기어(42)에 치합되는 연동용 베벨기어(43)의 연동축(44)은 기대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분쇄기(9)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기(9)의 구동력은, 직교형 기어박스(4)의 연동축(44)에 커플링 등으로 연결되는 종동축(91)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축(91)은 하부 분쇄석(92)과 나선형 임펠러(93)를 회전시키므로서 호퍼(94)에 저장되는 불린콩을 상부 분쇄석(95)과 하부 분쇄석(92) 사이로 강제 투입시키게 되며, 상기 상,하부 분쇄석(95)(92)에 의해 분쇄된 생두유즙은 배출구(96)에 직접 연결된 공급관(97)을 통해 여과기(3)의 원통관(34) 안쪽으로 배출되며, 이렇게 원통관(34)으로 공급되는 생두유즙은 배출공(33)으로 통해 여과기(3)의 내측으로 배출되면서 원심분리작용으로 두유와 생비지가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의 실시예는 기대본체(1)의 양측에 두 개의 여과기(3)를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는 직교형 기어박스(4)에 연결된 제2 회전축(5b)을 길게 연장하고, 그 연장된 부분에 분쇄기(9)에서 분쇄된 생두유즙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여과기(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또 하나의 2차 여과기(3a)를 설치한 것이며 , 상기 2차 여과기(3a)는 1차 여과기(3)에서 여과된 생비지를 펌핑하여 재차 여과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모터(2)를 구동시켜 직교형 기어박스(4)의 구동축(41)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용 베벨기어(42)에 치합된 연동용 베벨기어(43)측의 종동축(91)과 상기 구동축(41)에 직선적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5a)이 동시에 회전작동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분쇄기(9)와 여과기(3)가 동시에 작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분쇄기(9)에서 분쇄된 생두유즙은 배출구(96)로 배출되는 즉시로 공급관(97)을 통해 여과기(3)의 원통관(34)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원통관(34)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된 생두유즙을 배출공(33)을 배출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여과기(3)로 공급되는 생두유즙은 안쪽에서부터 원심분리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두유와 생비지의 원심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기(3)의 내부에 공급된 후 원심분리작용을 거치는 생두유즙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두유는 그물망체(32)와 타공망체(31)에서 여과되어 두유 수집실(6a)로 수집된 다음 공정인 증숙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그물망체(32)에서 걸러진 생비지는 여과기(3)의 개방된 주연단(35)을 통해 비지 배출실(6b)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여과기(s)에서 배출되는 생비지는 비지 유입방지구(8)에 의하여 두유 수집실(6a)로 혼입되지 않고 전량 비지 배출실(6b)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여과기(3)의 주연단(35)에 결착된 비지 유입방지구(8)는 여과기(3) 주연단(35)의 환형돌출부(36)와 격판(7)의 고정돌출부(71), 환형테(72)를 완전히 감싼 상태이므로 두유 수집실(6a)에서 나타나는 감압작용이 비지 배출실(6b)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태가 됨과 더불어 여과기(3)에서 배출되는 생비지는 비지 유입방지구(8)를 타고 넘어가는 상태로 배출되므로서 생비지가 두유 수집실(6a)로 유입되는 현상이 없게 된다. 또한 생비지의 배출작용을 원활하게 하고자 비지 배출실(6b)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여 줄 때 격판(7)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과 생비지가 비지 유입방지구(8)를 통과하여 고정돌출부(71)까지 유입되더라도 상기 고정돌출부(7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환형테(72)가 그 흐름을 막아주게 되어 물과 생비지는 절대 두유 수집실(6a)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맛과 질이 우수한 두부를 제조하는데 기여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이 기대본체(1) 내부 양측에 두 개의 여과기 (3)(3a)를 설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분쇄기(9)에서 분쇄된 생두유즙을 여과하는 1차 여과기(3)의 비지 배출실(6b)로 걸러낸 생비지를 2차 여과기(3a)로 보내어 재차 여과하게 되면 두유의 수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생두유즙을 두유와 생비질로 분리하는 여과기에 있어 그 여기의 개방된 주연단에 결착되는 비지 유입방지구가 여과기의 주연단과 격판의 개방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하도록하는 수단으로 생비지 여과시 생비지가 두유 수집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막아주는 효과와 함께 생비지의 배출을 돕기 위해 분사되는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비지가 섞이지 않고 맛과 질이 우수한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과, 또한 직교형 기어박스의 사용으로 여과기를 회전작동시키는 하나의 모터 동력으로서 생두유와 생비지를 여과 및 분리시키는 여과기와 함께 불린콩을 갈아주는 분쇄기도 작동시킬 수 있어 분쇄기와 여과기의 설치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비의 절감을 가져다 줌과 동시 전력소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기대본체(1)에 설치된 모터(2)와, 상기 모터 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팔모양으로 된 타공망체(31)와 그물망체(32)로 조립되는 여과기(3)와, 상기 여과기의 내부에 생두유즙을 배출하는 배출공(33)이 다수 형성된 원통관(34)과, 상기 원통관으로 생두유즙을 공급하는 공급관(97) 및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주연단(35)을 기준하여 구획하는 격판(7)의 양측에 두유 수집실(6a)과 비지 배출실(6b)을 형성하여서 되는 두유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3)의 개방된 주연단(35)에서 비지 배출실(6b)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돌출부(36)와;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35)측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뚫어진 격판(7)의 개방공(73)둘레에 상기 환형돌출부(36)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71)와; 상기 고정돌출부(7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출부(71)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환형테(72)와; 및 상기 여과기(3)의 주연단에 보울트로 결착되면서 상기 비지 배출실(6b)측으로 돌출된 여과기(3)의 환형돌출부(36)와 격판(7)의 고정돌출부(71) 및 환형테(7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의 주연단과 격판의 개방공 사이를 통해 두유 수집실로 생비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지 유입방지구(8);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의 동력을 전달받아 여과기(3)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회전축(5a)(5b)을 연결시키는 구동축(41)상에 설치되는 직교형 기어박스(4)와, 상기 직교형 기어박스내에서 구동축(41)에 축착된 구동용 베벨기어(42)와 치합되는 연동용 베벨기어(43)가 일단에 축착되고 타단은 상기 직교형 기어박스(4)의 상부를 통해 기대본체(1)의 상방을 향해 수직상으로 돌출되는 연동축(44)과, 상기 연동축과 연결되어 기대본체(1) 상부에 설치된 분쇄기(9)를 작동시키는 종동축(91)을 부가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여과기(3)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모터(2)를 이용하여 분쇄기(9)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여과기.
KR2019970044822U 1997-12-31 1997-12-31 두유 여과기 KR200179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22U KR200179573Y1 (ko) 1997-12-31 1997-12-31 두유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22U KR200179573Y1 (ko) 1997-12-31 1997-12-31 두유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70U KR19990032070U (ko) 1999-07-26
KR200179573Y1 true KR200179573Y1 (ko) 2000-05-01

Family

ID=1952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822U KR200179573Y1 (ko) 1997-12-31 1997-12-31 두유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5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06B1 (ko) * 2009-12-23 2012-01-02 황금봉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70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996889U (zh) 一种大豆磨浆机
KR200179573Y1 (ko) 두유 여과기
KR101211580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
CN211384022U (zh) 养殖污水预处理装置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20110072547A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100187509B1 (ko) 콩 마쇄기
CN214763904U (zh) 一种全自动料液分离豆沙制洗机
KR200162761Y1 (ko) 두유제조기
CN211066282U (zh) 浆渣分离的豆浆机
CN208320938U (zh) 一种用于螺蛳粉米粉制作的研磨装置
KR200266757Y1 (ko) 두유 여과기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KR200266745Y1 (ko)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CN216225835U (zh) 一种米粉原料自动浸泡装置
CN217408582U (zh) 破壁机
KR100282130B1 (ko) 전분 자동 추출장치
CN219092213U (zh) 一种豆制品加工用的研磨装置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CN114916844B (zh) 一种快速制备低渣豆浆装置
KR19990037683U (ko)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KR200218794Y1 (ko) 두부 제조장치
KR200170530Y1 (ko) 두유원액 제조장치
KR200341676Y1 (ko) 불순물이 없는 두부원액 공급장치
JPH1118710A (ja) 固液混合物の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