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83U -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 Google Patents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83U
KR19990037683U KR2019980003500U KR19980003500U KR19990037683U KR 19990037683 U KR19990037683 U KR 19990037683U KR 2019980003500 U KR2019980003500 U KR 2019980003500U KR 19980003500 U KR19980003500 U KR 19980003500U KR 19990037683 U KR19990037683 U KR 199900376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illstone
filter
cover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귀섭
Original Assignee
송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귀섭 filed Critical 송귀섭
Priority to KR201998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683U/ko
Publication of KR19990037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83U/ko

Links

Landscapes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지가 여과망으로부터 배출될 때, 케이싱에 수용된 콩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두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여과식 마쇄기는 가동 맷돌에 의하여 마쇄된 콩을 콩물과 비지로 분리하기 위한 여과망이 상부 가장자리에 틈새 덮개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비지 배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와 여과망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틈새 덮개에 의하여 밀폐되어, 비지가 콩물과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본 고안은 두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콩의 마쇄로 만들어지는 비지가 여과망으로부터 원심력에 의하여 비지 저장 탱크로 배출될 때, 케이싱 내에 수용된 콩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틈새 덮개를 여과식 마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에 불린 콩을 맷돌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마쇄(분쇄)하는 공정과, 마쇄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 콩즙으로부터 추출된 두유를 가열하는 공정과, 두유에 황산 칼슘, 염화 칼슘 또는 염화 마그네슘과 같은 응고제를 첨가하여 두유를 응고시킴과 동시에, 응고된 두유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거친다.
실용신안 공고 제 96-7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두부 제조 장치에서, 불린 콩(이하“콩”이라 한다)을 마쇄하기 위한 마쇄기는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가동 및 피동 맷돌의 한 쌍의 맷돌이 사용되며, 피동 맷돌의 상부에 콩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제공되며, 모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맷돌의 하부에는 두유와 비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제공된다. 콩을 마쇄하기 위한 마쇄 스크루는 모터축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2중의 커터날이 마쇄 스크루와 가동 맷돌 사이에 제공된다.
호퍼를 통하여 공급된 콩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가동 및 피동 맷돌의 내부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2중의 커터날 및 한 쌍의 마쇄 스크루에 의하여 마쇄되고, 맷돌을 통과하는 동안 보다 잘게 마쇄되어 콩즙으로 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마쇄기의 하부에 위치된 착즙 장치로 보내진다.
착즙 장치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된 매쇄기의 배출구로부터 마쇄된 콩즙을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를 통하여 공급된 콩즙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 스크루를 포함한다. 압착 스크루에 의하여 콩즙으로부터 분리된 비지가 배출되는 비지 배출공은 케이싱의 한 쪽 단부에 제공되며, 두유를 두유 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두유 이송 도관은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두부 제조 장치에서는 마쇄기와 착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다수의 모터가 사용되어야만 되거나, 하나의 모터에 의하여 마쇄기와 착즙 장치가 구동되는 경우에, 모터로부터 마쇄기와 착즙 장치에 동력을 각각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계통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간단하게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마쇄기와 착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두부 제조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그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두부 제조 장치는 콩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2)가 원통형 케이싱(1)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에 제공된다. 덮개(3)의 내측에는 피동 맷돌(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며, 피동 맷돌과 함께 콩을 마쇄하기 위한 가동 맷돌(4)이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1) 내에 설치된다. 가동 맷돌(4)은 케이싱(1)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5)에 설치된다.
한편, 맷돌에 의하여 마쇄되어 만들어진 콩즙으로부터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기 위한 여과망(6)이 가동 맷돌(4)의 주위에 제공되며, 여과망(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즙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여과망(6)은 대략 80 내지 160 메쉬의 크기를 가지는 망사와(6a), 망사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6b)로 구성된다.
여과망(6)은 가동 맷돌(4)이 설치되는 축(5)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가동 맷돌(4)과 동일하게 축(5)을 통하여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과망(6)이 회전되는 동안, 여과망(6)에 수용된 콩즙으로부터 콩물(두유)과 비지가 분리된다. 즉, 여과망(6)의 회전에 의하여, 여과망(6)에 수용된 콩즙에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원심력에 의하여, 콩물이 여과망(6)의 망사를 통하여 케이싱(1) 내로 배출되며 비지는 여과망(6)을 구성하는 망사(6a)에 걸러지게 된다. 망사(6a)에 걸러진 비지는 원심력에 의하여 여과망(6)의 원추면을 따라서 상승되어, 케이싱(1)의 내측에 제공되는 통로(7)를 따라서 비지 저장 탱크로 배출된다. 이 때, 비지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크면 클수록, 비지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므로, 비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과망(6)은 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2,200RPM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하여 콩물은 여과망(6)의 망사(6a)에 형성된 그물눈을 통하여 케이싱(1)으로 분리되어, 케이싱(1) 내에 설치된 경사판(11)을 따라서 하강하여, 경사판(11)의 하측에 제공되는 콩물 배출 통로(12)로 배출된다. 한편, 콩물이 분리된 비지는 원심력에 의하여 여과망(6)의 원통 형상의 내벽을 따라서 상승된다. 원심력에 의하여 상승된 비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내벽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10)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7)로 배출되고, 통로(7)로 배출된 비지는 여과망(6)의 회전에 의하여 통로(7)를 따라서 이동되고, 이동되는 동안 통로(7)에 설치된 가이드 판(8)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되어, 비지 저장 탱크와 소통하는 배출구(9)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두부 제조 장치의 마쇄기는, 여과망의 상부와 비지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도록 케이싱의 내벽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 사이에, 여과망의 회전을 위하여 일정 간격의 틈새가 존재하는 것에 의하여, 비지가 배출되는 동안 케이싱에 수용된 콩물과 혼합됨으로써, 두부의 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지가 여과망으로부터 배출될 때, 케이싱에 수용된 콩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두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맷돌과 여과망이 동일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두부 제조 장치의 여과식 마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과식 마쇄기와 케이싱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서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와 케이싱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4 : 가동 맷돌
6 : 여과망 6a : 망사
6b : 프레임 7 : 비지 배출 통로
8 : 가이드 판 9 : 비지 배출구
10 : 플랜지 13 : 틈새 덮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콩을 공급하는 호퍼를 가지는 덮개에 의하여 개폐되며, 피동 맷돌이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비지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가 제공되는 케이싱과; 모터에 연결된 축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피동 맷돌과 함께 콩을 마쇄하기 위한 가동 맷돌과; 상기 가동 맷돌의 주위에 위치되어 상기 맷돌로부터 마쇄된 콩즙을 수용하며,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콩즙으로부터 콩물과 비지로 분리하기 위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에 의하여 비지로부터 분리된 콩물을 콩물 저장 탱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틈새 덮개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의 여과식 마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서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와 케이싱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맷돌에 의하여 마쇄된 비지와 두유 혼합물(콩즙)로부터 콩물과 비지를 분리하기 위한 여과망(6)은 본 고안에 따라서 망사 프레임(6b)의 상부 가장자리에 틈새 덮개(13)가 형성되며, 틈새 덮개(13)는 케이싱(1)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플랜지(10)의 상부를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굽혀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과망(6)의 회전을 위하여, 여과망(6)과 플랜지(10) 사이에 형성된 소정 간격의 틈새는 여과망(6)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틈새 덮개(13)에 의하여 밀폐되고, 이러한 틈새의 밀폐에 의하여, 여과망(6)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콩즙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콩즙으로부터 콩물은 망사(6a)를 통하여 케이싱(1)으로 배출되고, 콩물이 분리된 비지는 여과망(6)의 원추면을 따라서 상승되어 통로(7)로 배출될 때, 틈새를 통하여 케이싱(1)에 수용된 콩물로 낙하되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에 의하면, 여과망과, 여과망의 상부 가장자리와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 사이의 틈새가 틈새 덮개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비지가 여과망의 원심력으로 배출될 때, 틈새를 통하여 케이싱에 수용된 콩물과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콩물과 비지의 혼합으로 인한 두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콩을 공급하는 호퍼를 가지는 덮개에 의하여 개폐되며, 피동 맷돌이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비지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가 제공되는 케이싱과;
    모터에 연결된 축에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피동 맷돌과 함께 콩을 마쇄하기 위한 가동 맷돌과;
    상기 가동 맷돌의 주위에 위치되어 상기 맷돌로부터 마쇄된 콩즙을 수용하며,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콩즙으로부터 콩물과 비지로 분리하기 위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에 의하여 비지로부터 분리된 콩물을 콩물 저장 탱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틈새 덮개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 장치의 여과식 마쇄기.
KR2019980003500U 1998-03-11 1998-03-11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KR199900376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00U KR19990037683U (ko) 1998-03-11 1998-03-11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00U KR19990037683U (ko) 1998-03-11 1998-03-11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83U true KR19990037683U (ko) 1999-10-15

Family

ID=6971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500U KR19990037683U (ko) 1998-03-11 1998-03-11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6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45Y1 (ko) * 2001-12-12 2002-03-04 김해용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KR20190124484A (ko) * 2018-04-26 2019-11-05 남중수 두부 제조용 맷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45Y1 (ko) * 2001-12-12 2002-03-04 김해용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KR20190124484A (ko) * 2018-04-26 2019-11-05 남중수 두부 제조용 맷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133A (zh) 磨浆装置
KR19990037683U (ko) 두부 제조 장치의 틈새 덮개를 구비한 여과식 마쇄기
KR101069099B1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101211580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
CN116391829A (zh) 一种便于分离豆渣的研磨装置
CN206371890U (zh) 食物料理机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CN217796502U (zh) 一种用于茶干加工的磨浆装置
KR19990037682U (ko) 두부 제조 장치의 여과식 마쇄기
CN108013788B (zh) 食物料理机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CN108013781B (zh) 食物料理机
CN108013783B (zh) 食物料理机
KR200257774Y1 (ko) 두유 추출장치
KR200172994Y1 (ko) 두부콩 분쇄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CN218074659U (zh) 一种商用豆浆机
CN218690109U (zh) 高粘稠食品物料蒸煮熟化超细制浆装置
CN220318249U (zh) 一种纸浆搅拌粉碎装置
CN214346957U (zh) 一种磨浆机
CN207055389U (zh) 一种高效双转轴豆浆机
CN219364163U (zh) 一种高强度瓦楞纸废纸材料高得率制浆设备
KR200179573Y1 (ko) 두유 여과기
KR970010539B1 (ko) 두부의 두유 제조장치
KR200266745Y1 (ko)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