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068A -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068A
KR20210074068A KR1020190165066A KR20190165066A KR20210074068A KR 20210074068 A KR20210074068 A KR 20210074068A KR 1020190165066 A KR1020190165066 A KR 1020190165066A KR 20190165066 A KR20190165066 A KR 20190165066A KR 20210074068 A KR20210074068 A KR 2021007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foreign material
inlet
material remo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449B1 (ko
Inventor
박회만
박종률
이정현
유선일
박광집
박소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6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보리 등의 건조한 곡물을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건식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ON THE GRAIN SURFACE}
본 발명은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보리 등의 건조한 곡물을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일례로, 쌀의 경우 도정 후에도 표면에 미강 등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어 밥을 지을 때 물로 쌀을 깨끗이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쌀을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제분하면 쌀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쌀가루에 포함되어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쌀 표면 이물질은 대부분 미강으로 지방성분이 많다. 참고로, 미강(米糠, rice bran)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고운 속겨를 말한다.
상기 미강의 지방성분은 7일 이상 경과 시 산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산패는 유지를 공기 속에 오래 방치해 두었을 때 산성이 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고, 맛이 나빠지거나 빛깔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산패는 식품의 변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쇄용 쌀은 물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없다. 즉 쌀을 물로 세척하면 분쇄 공정 전에 별도의 건조공정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쌀을 분쇄하기 전에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건식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8167호(공고일: 2018.12.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쌀, 보리 등의 건조한 곡물을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건식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는 곡물을 휘저어 비벼주는 회전로터가 구비되어 상기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주는 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통해 곡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투입구 통로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 내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투입량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 내로 투입되는 곡물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해주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해주는 미스트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이물질 제거 대상 곡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해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로 형성되는 중공의 스크린망; 및 상기 스크린망의 중심축 선상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회전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는, 상기 투입구 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스크류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는, 외부의 송풍팬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로터의 배출구 측 외주면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스크린망 내에 방사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과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해주는 흡입팬; 및 상기 연결관을 통해 흡입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해주는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해주는 댐퍼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조절판과, 상기 배출구 상부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판에 나사 결합되어 배출조절판의 개폐 정도를 조절해주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배출량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되는 곡물의 배출방향을 유도하거나, 또는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는, 쌀, 보리 등의 건조한 곡물을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건식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이물질이 제거된 분쇄원료용 쌀 등의 곡물을 제공할 수 있어 고품질의 쌀가루 제조가 가능하다.
특히, 이물질이 제거된 쌀은 세척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분쇄 원료, 누룽지 제조 원료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척에 따른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이에 따라 폐수 정화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및 배출량 조절유닛을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분사부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망 내부에 회전로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로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유닛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본체부(110), 이물질제거부(120), 집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주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부(110)는 상부에 이물질 제거 대상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111)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113)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되는 곡물의 배출방향을 유도하거나, 또는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해주는 배출량 조절유닛(119)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량 조절유닛(119)은 힌지(119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조절판(119b)과, 고정프레임(119c)과 배출조절판(119b)에 나사 결합되어 배출조절판(119b)의 개폐 정도를 조절해주는 조작핸들(119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구(111)의 하부에는 후술할 이물질제거부(120) 내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투입량 조절유닛(115)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량 조절유닛(115)은 투입구(111) 통로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판(115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115a)을 이용한 통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해가며 이물질제거부(120)로 공급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판(115a)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구(111)의 하부에는 이물질제거부(120)로 투입되는 곡물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해주는 분사노즐(117a)를 포함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해주는 미스트 분사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 분사부(117)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사되는 시점과 분사되는 미스트의 양을 조절해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물질제거부(120)는 투입구(111)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는 곡물을 휘저어 비벼주면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이물질제거부(120)는 투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이물질 제거 대상 곡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하우징(121)과, 수용공간(S) 내에 고정 설치되어 투입구(111)와 배출구(113)를 연결해주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로 형성되는 중공의 스크린망(123)과, 스크린망(123)의 중심축 선상에 모터(124)(도 2 참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배출구(113)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회전로터(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로터(125)는 투입구(111) 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을 배출구(113)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스크류날개(125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125) 외부에 설치된 송풍팬(127)을 통해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27)은 하우징(121)의 일측의 투입공(127a)을 통해 에어를 공급해줄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그리고 회전로터(125)의 배출구(113) 측 외주면에는 송풍팬(127)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스크린망(123) 내에 방사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125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127)은 하우징(121) 내에 소정 세기의 에어를 분사해줌으로써 곡물(G)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쉽게 떨어뜨릴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집진부(130)는 이물질제거부(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제거부(120)를 통해 곡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부(130)는 하우징(121)의 수용공간(S)과 연결관(131)을 매개로 연결되어 수용공간(S)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해주는 흡입팬(133)과, 상기 연결관(131)(도 1 참조)을 통해 흡입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통(136)에 저장해주는 사이클론(1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팬(133)은 하우징(121) 하부에 구비된 연결관(131)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빠른 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음압을 형성해줄 수 있다.
이 경우 흡입팬(133)은 하우징(121) 내의 배출구(113) 측에 구비된 연결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1) 내에 투입된 곡물(G)의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D)이 연결관(131)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부(130)는 연결관(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 즉 이물질이 배출되는 풍량을 조절해주는 댐퍼유닛(13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유닛(137)은 연결관(131)의 개구(131a)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날개(137a)와, 상기 댐퍼날개(137a)를 조작해주는 손잡이부재(137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유닛(137)은 이물질제거부(120) 내에 곡물(G) 투입 시 하우징(121) 내부의 압력이 차기 전에 풍량을 조절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풍압에 의해 미리 빨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유닛(137)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댐퍼유닛(137)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먼저 투입구(111)를 통해 이물질 제거 대상 곡물(G)을 투입해주게 되고, 투입되는 곡물(G)은 투입구(111) 하부의 공급관을 통해 이물질제거부(1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투입구(111) 하부에 구비된 미스트 분사부(117)에서는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곡물(G)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분사노즐(117a)을 통해 분사되는 미스트를 통해 곡물(G)에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줌에 따라, 이물질제거부(120)의 내주면에 곡물(G)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과정을 거처 이물질제거부(120)의 수용공간(S) 내에 곡물(G)이 투입되면, 수용공간(S) 내에 설치된 회전로터(125)가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곡물(G)을 휘저어줌과 아울러 서로 비벼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곡물(G)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D)을 제거해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터(125)의 분사공(125b)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수용공간(S)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G)을 향해 분사됨에 따라 곡물 표면의 이물질(D) 제거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아울러 집진부(130)에서는 흡입팬(133)이 작동되면서 이물질제거부(120)의 수용공간(S)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D)을 연결관(131)을 통해 흡입해주게 된다. 흡입된 이물질은 연결관(131)을 통해 이동하면서 일측의 사이클론(135)(도 2 참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사이클론(135)에 저장된 이물질(D)은 정기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쌀, 보리 등의 건조한 곡물을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 전에 곡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건식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이물질이 제거된 분쇄원료용 쌀 등의 곡물을 제공할 수 있어 고품질의 쌀가루 제조가 가능하다.
특히, 이물질이 제거된 쌀은 세척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분쇄 원료, 누룽지 제조 원료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척에 따른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이에 따라 폐수 정화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110 : 본체부
111: 투입구 113 : 배출구
115 : 투입량 조절유닛 115a : 조절판
117 : 미스트 분사부 117a : 분사노즐
119 : 배출량 조절유닛 120 : 이물질제거부
121 : 하우징 S : 수용공간
123 : 스크린망 125 : 회전로터
125a : 스크류날개 125b : 분사공
127 : 송풍팬 130 : 집진부
131 : 연결관 133 : 흡입팬
135 : 사이클론 137 : 댐퍼유닛
137a : 댐퍼날개 137b : 손잡이부재

Claims (10)

  1.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는 곡물을 휘저어 비벼주는 회전로터가 구비되어 상기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주는 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통해 곡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투입구 통로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 내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투입량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 내로 투입되는 곡물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해주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해주는 미스트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이물질 제거 대상 곡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해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메쉬로 형성되는 중공의 스크린망; 및
    상기 스크린망의 중심축 선상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곡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회전로터;를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터는,
    상기 투입구 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스크류날개;를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터는,
    외부의 송풍팬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로터의 배출구 측 외주면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스크린망 내에 방사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과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해주는 흡입팬; 및
    상기 연결관을 통해 흡입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해주는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해주는 댐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조절판과, 상기 배출구 상부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판에 나사 결합되어 배출조절판의 개폐 정도를 조절해주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배출량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되는 곡물의 배출방향을 유도하거나, 또는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한 것인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190165066A 2019-12-11 2019-12-11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8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66A KR102384449B1 (ko) 2019-12-11 2019-12-11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66A KR102384449B1 (ko) 2019-12-11 2019-12-11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68A true KR20210074068A (ko) 2021-06-21
KR102384449B1 KR102384449B1 (ko) 2022-04-08

Family

ID=7659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066A KR102384449B1 (ko) 2019-12-11 2019-12-11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649A (zh) * 2021-11-24 2022-02-25 吉安智企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大米精加工设备及其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435A (ja) * 1998-02-12 1999-08-24 Marumasu Kikai Kk 精米機制御装置
KR200170951Y1 (ko) * 1998-01-16 2000-03-02 이진구 기립형 정미기
KR100488167B1 (ko) 2003-01-07 2005-05-17 노재열 복무 압박감이 없는 건강증진용 속옷 및 속옷 제작방법
KR101102508B1 (ko) * 2010-08-24 2012-01-03 김진수 세라믹 정미기
KR20170040006A (ko) * 2015-10-02 2017-04-12 (주) 성산기업 현미 및 왕겨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951Y1 (ko) * 1998-01-16 2000-03-02 이진구 기립형 정미기
JPH11226435A (ja) * 1998-02-12 1999-08-24 Marumasu Kikai Kk 精米機制御装置
KR100488167B1 (ko) 2003-01-07 2005-05-17 노재열 복무 압박감이 없는 건강증진용 속옷 및 속옷 제작방법
KR101102508B1 (ko) * 2010-08-24 2012-01-03 김진수 세라믹 정미기
KR20170040006A (ko) * 2015-10-02 2017-04-12 (주) 성산기업 현미 및 왕겨 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649A (zh) * 2021-11-24 2022-02-25 吉安智企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大米精加工设备及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449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8828B (zh) 一种玉米加工用高效磨粉设备
CN207342751U (zh) 一种新型大米抛光装置
CN101347751B (zh) 一种卧式谷物及豆类脱皮机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EP0810031B1 (en)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KR20150074870A (ko) 곡물 세척 및 숙성장치
CN210187229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磨米装置
CN208449407U (zh) 一种可控温碾米机
CN111389509A (zh) 一种环保型面粉加工生产流水设备及其操作方法
CN113275097A (zh) 一种中草药加工用智能粉碎设备及中草药加工工艺
KR102384449B1 (ko)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CN210675402U (zh) 饲料粉碎装置
CN205613376U (zh) 带有搅拌过滤干燥功能的上料机
CN216800137U (zh) 灵芝提取物制备粉碎装置
JP4392642B2 (ja) とうもろこしの胚芽除去装置
CN216137294U (zh) 一种全自动型清理磨粉机
CN211026446U (zh) 具有稻壳吸附机构的大米加工用去壳装置
CN109156858B (zh) 一种一体式颗粒饲料加工设备
CN209287458U (zh) 一种玉米芯粉碎过滤装置
JP2000000555A (ja) 廃棄食品等の固体残渣の乾燥処理装置
WO2019019336A1 (zh) 木糠筛选装置
CN220609687U (zh) 一种除尘装置
CN209866811U (zh) 一种大米清洗烘干装置
CN113117783A (zh) 一种适用于大米生产的碾米装置
CN208612641U (zh) 一种具有自洁功能的食品加工用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