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461B1 -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461B1
KR100664461B1 KR1020007012975A KR20007012975A KR100664461B1 KR 100664461 B1 KR100664461 B1 KR 100664461B1 KR 1020007012975 A KR1020007012975 A KR 1020007012975A KR 20007012975 A KR20007012975 A KR 20007012975A KR 100664461 B1 KR100664461 B1 KR 10066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ase
film unit
winding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720A (ko
Inventor
게이지 우찌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76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71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76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71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76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72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80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75791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사진필름이 수납되고, 촬영렌즈와 촬영기구가 조립된 필름유닛 본체(3)를, 적어도 요부가 투명한 방수케이스(4)에 방수상태로 수납하고, 방수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 촬영조작이 가능하게 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관한 것이다. 필름유닛 본체의 외면에 장착된 플래쉬 충전버튼(38)을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누르는 조작을 하기 위한 고무재 플래쉬 조작 버튼부(16)는, 방수케이스의 개구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버튼부(16a)와, 그 주위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17)로 구성되고, 이 하부 받침에 형성된 오목부(17a)를 방수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홈(55)에 끼워맞추고, 방수케이스의 내측에서 밑받침을 지지용 리브(42)로 지지하여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METHOD OF ASSEMBLING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본 발명은, 렌즈 부착 필름유닛 본체를, 방수구조로 된 방수케이스에 수납하고, 수중 촬영을 가능하게 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방수성 및 조작성이 우수하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방수케이스의 결합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전에 사진필름이 장착된, 간단한 촬영기구를 갖춘 렌즈 부착 필름유닛은 간편하므로 널리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렌즈 부착 필름유닛은 촬영목적 및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플래쉬 내장형과 필수적인 것들로 기능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순화시킨 플래쉬 비내장형 등이 있다. 또한, 이외에, 렌즈 부착 필름유닛 본체(이하 필름유닛 본체라 칭한다)를 방수형 구조의 방수케이스에 수납하고, 수중 촬영을 가능하게 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도 있다.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서는, 필름유닛 본체의 플래쉬 장치와 셧터기구 등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가 방수케이스에 장착된다. 이들 작동부재는, 방수형이 아닌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장착되는 셧터버튼 등의 각각의 작동부재와 비교했을 때, 더 크고, 또는 방수케이스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수중에서 또는 두꺼운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확실히 조작할 수 있다.
이 조작부재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제 9-347754 호에 나타나듯이, 고무로 형성된 조작버튼이 있다. 이 조작버튼은 방수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방수케이스의 외부에서 일부가 끼워맞춰져서 부착되고, 탄성을 이용하여 누름조작된다. 이렇게 해서, 방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방수케이스의 외측면에서 상기 조작버튼을 지지함으로써,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누름조작과 수압 등을 견딜 수 있다.
이 조작버튼은 고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방수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소수의 부품으로 적은 비용의 제조·조립이 가능한 조작부재이지만, 외측에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제거될 우려가 있어 방수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버튼이 방수케이스의 외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면 운반도중에 가방 내부 등에서 눌리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는, 사진필름 커트리지가, 커트리지 용기로부터 미노광의 사진필름이 사전에 꺼내지고 롤상태로 권취되어 수납되고, 매촬영마다 커트리지 용기의 스풀(spool)에 연결된 권취노브(winding knob)를 회전조작시켜서, 한 프레임씩 촬영할 때마다 사진필름을 커트리지 용기내로 권취시킨다. 셧터기구는 이 권취노브의 한 프레임의 권취 분량의 회전에 연동해서 챠지(charge)된다. 그래서, 필름유닛 본체에는, 사진필름을 커트리지 용기내에 한 프레임 분량만큼 권취시켰을 때, 권취노브의 회전을 잠그는 필름 감김 멈춤기구가 설치된다. 필름 감김 멈춤기구는 사진필름의 이송에 연동하고, 권취노브를 권취방향으로 한 프레임 분량만큼 회전시켰을 때, 권취노브의 외측 치상 돌기(tooth)에 계합하는 방지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권취노브의 외측 치상 돌기에 맞물려서 권취노브가 권취방향과 반대로 회전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 고리도 필름유닛 본체에 구비된다.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경우, 필름유닛 본체의 권취노브와 계합하는 권취다이얼이 방수케이스에 설치된다. 이 권취다이얼은, 수중에서와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권취노브보다도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큰 회전토크(rotational torque)를 얻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권취노브용 역회전방지 고리는 불충분하여서, 권취다이얼의 역회전조작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 5-248448 호 공보에는, 필름유닛 본체의 권취노브에 부하가 가해지거나 회전이 잠겼을 때, 방수케이스의 권취다이얼이 회전조작되더라도, 권취다이얼의 회전력이 권취노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토크제한기를 권취노브와 권취다이얼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기술된다.
그러나, 상기 토크제한기로는 권취다이얼이 무제한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대한 지식이 적은 사용자는 권취노브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는 것도 인식하지 못하여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필름유닛 본체는, 일반적으로, 사진필름이 장착되고 셧터기구 등의 촬영기구가 조합되는 본체기부와 이것을 전후에서 감싸는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로 구성된다. 이들 부품들은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플래쉬 내장형에 사용되는 본체기부에는, 콘덴서·전지·회로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플래쉬 유닛을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되고, 또한 전방커버에는 플래쉬 발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플래쉬용 개구 등이 있다. 한편, 플래쉬 비내장형에는 상기 플래쉬 유닛용 장착부와 플래쉬용 개구는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과 부재를 제거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종류에 따라 각각의 전용부품을 사용하면 그 종류마다 전용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몰드(mold)가 필요하기 때문에,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경우, 플래쉬 내장형 또는 비내장형에 따라 필름유닛 본체뿐만 아니라 방수케이스에도 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증가는 더욱 현저해진다.
또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조립할 경우, 종래에는, 각각의 조작부재를 방수케이스에 방수 상태로 장착한 다음, 필름유닛 본체를 방수케이스에 수납하고, 방수케이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부재를 방수 상태로 끼워맞추는 조립공정이었다.
그러나, 조작부재를 방수 상태로 장착한 후에, 2개의 케이스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면,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가 유출될 수 없기 때문에, 공기가 압축된 상태로 밀봉되어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압이 높아진다. 그래서, 케이스부재 사이의 결합부 분에 부하가 가해져서,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결합이 느슨해져 방수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조시에 케이스부재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 불량품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름조작이나 수압에도 견딜 수 있고, 또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조작버튼을 갖춘 방수형 카메라 또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조작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취다이얼의 역회전을 방지하면서 필름 권취조작을 확실히 이행할 수 있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쉬 비내장형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 공기압 상승에 의한 케이스부재 사이의 결합부 파손·불량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방수조립이 가능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형 카메라는, 압압되어 내부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기구가 설치된 카메라 본체와, 상기 작동부재와 대면하는 곳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위를 감싸듯이 내벽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를 방수 상태로 수납시키는 방수케이스와, 탄성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서 외부로 노출된 버튼부와 상기 방수케이스의 단차부에 끼워맞춰지는 장착부를 가지며 해당 버튼 부가 눌러질 때에 탄성변형하여 상기 조작부재를 압압하는 조작부재와, 상기 방수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단차부에 가압하여 상기 조작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형 카메라에는 제조시에 사전에 사진필름이 장전되어 있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는 필름유닛 본체를 포함한다.
조작버튼을, 방수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로 내측에서 끼워맞춰서 방수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버튼부와, 방수케이스 내벽의 상기 개구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단차부에 끼워맞춰지는 장착부로 구성하고, 이 취부부를 지지부재로 방수케이스 내벽에 끼워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작부재는 압압조작과 수압에 견딜수 있으며 동시에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지지부재를 카메라 본체의 외면측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감소시키며, 안정된 지지부를 제공한다. 버튼부를 방수케이스의 외측에 돌출시키고, 버튼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상기 개구의 주위에, 버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조작부재가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사진필름이 장전된 필름유닛 본체와, 이 필름유닛 본체를 방수 상태로 수납시키는 방수케이스를 갖추고, 상기 필름유닛 본체에는, 촬영렌즈 및 촬영기구와, 촬영을 마친 필름을 한 프레임씩 권취시키기 위해 회전조작되는 권취노브와, 사진필름의 한 프레임 분량을 모두 권취하였을 때 권취노브를 잠그는 감김 멈춤기구와, 권취노브가 필름 권취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방수케이스에는, 상기 권취노브를 방수 케이스의 외측에서 회전조작하기 위해 권취조작부재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권취조작부재와 상기 권취노브가 연결되고, 권취노브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권취조작부재가 회전조작되거나 권취조작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조작되었을 때, 해당 권취조작부재와 권취노브의 연결을 해제하는 토크제한기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조작부재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제 2 역회전 방지수단을 상기 방수케이스에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조작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제 2 역회전 방지수단이 권취조작부재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처음 조작하는 사용자라도 권취조작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감김멈춤기구에 의해 권취노브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권취조작부재를 회전조작시키려고 하면, 토크제한기에 의해 감김조작부재와 권취노브의 계합이 해제되어 권취조작부재가 공회전하기 때문에, 권취기구가 파손되거나 사진필름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또한, 권취조작부재를 무리하게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제 2 역회전 방지수단이 파손되었을 경우라도, 권취조작부재를 다시 역회전조작하려고 하면 권취노브용 역회전 방지수단에 의해 권취노브에 부하가 가해져 토크제한기가 권취조작부재와 권취노브와의 계합을 해제하기 때문에, 권취조작부재는 공회전한다. 이렇게 해서, 권취노브의 역방향 회전이 확실히 저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래쉬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를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방수케이스에 방수 상태로 수납하여,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조작이 가능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이고, 상기 필름유닛 본체가, 사전에 필름이 수납되고 촬영렌즈와 촬영기구가 장착된 본체기부와 해당 본체기부의 전후방을 감싸는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본체기부 및 전방 커버는 플래쉬 장치가 장착되는 플래쉬 내장형의 필름유닛 본체용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에는 상기 플래쉬 장치의 발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플래쉬용 개구가 형성되고, 해당 플래쉬용 개구가 상기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단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쉬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를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방수케이스에 방수 상태로 수납하여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조작이 가능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방법은, 플래쉬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본체기부에 플래쉬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촬영렌즈와 촬영기구를 장착하며, 사진필름을 수납하고, 플래쉬 장치의 발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플래쉬용 개구 및 플래쉬 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버튼이 형성된 전방커버로 본체기부의 전방을 감싸고, 플래쉬용 개구 및 충전버튼이 전방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를, 플래쉬 내장형의 발광부를 노출시키는 플래쉬용 개구가 형성된 전방커버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개구가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개구를 감싸는 차단수단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플래쉬 내장형의 유닛본체와 부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플래쉬 비내장형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플래쉬 비내장형 유닛본체를 플래쉬 내장형 유닛본체와 동일한 형상, 동일한 치수의 동일 부품으로 구성함으 로써, 유닛본체를 수납하는 방수케이스에 있어서도 플래쉬 내장형의 방수케이스를 바탕으로 약간만 변경하여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한층 더 제조비용의 저하를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방법은, 방수케이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케이스부재로 필름유닛 본체 전체를 감싸고, 이 케이스부재를 서로 방수 상태로 결합시킨 후에, 조작부재, 예를 들면 셧터기구, 필름 권취기구, 플래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방수케이스에 대해 방수 상태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부재를 서로 방수 상태로 결합시킬 때에, 조작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에서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압이 높아지지 않는다.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압을 외부 공기압에 일치시키는 압력 조정수단을, 방수케이스를 구성하는 한쌍의 케이스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하면, 조작부재를 상기 한쌍의 케이스부재의 소정 위치에 방수 상태로 장착한 다음, 상기 한쌍의 케이스부재를 서로 방수 상태로 결합해도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압이 높아지지 않는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플래쉬 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방수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방수케이스에 장착된 플래쉬 조작버튼의 수평단면도,
제 5 도는 플래쉬 조작버튼을 갖춘 방수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 6 도는 플래쉬 조작버튼을 갖춘 방수케이스의 또다른 실시예의 수평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방수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 10 도는 제 8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방법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 14 도는 방수케이스 내부 공기압을 높이지 않고 방수 상태로 조립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15 도는 권취다이얼을 바람직하게 조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
제 16 도는 제 15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방수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 17 도는 제 15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필름 권취기구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
제 19 도는 제 17 도의 필름 권취기구의 권취다이얼과 권취노브 사이에 장착된 토크제한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20 도는 제 17 도의 선 B-B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
제 21 도는 제 15 도의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 22 도는 토크제한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 20 도와 동일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2)의 외관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2)은 필름유닛 본체(3)와 이 필름유닛 본체(3)를 수납하는 방수케이스(4)로 구성된다. 제 2 도에 나타나듯이, 방수케이스(4)는, 필름유닛 본체(3)의 전면·측면·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전방 케이스부재(4a)와, 필름유닛 본체(3)의 배면을 감싸고 전방 케이스부재(4a)와 방수 상태로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부재(4b)로 구성된다. 전후방 케이스부재(4a,b)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 방수케이스(4)의 외측면에는, 필름유닛 본체(3)의 조작을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서 할 수 있도록 각종 조작부재가 설치된다. 이 조작부재로는, 상면에, 촬영을 마친 사진필름을 권취시키기 위한 권취다이얼(6), 전면에, 셧터를 해제시키기 위한 셧터레버(5) 및 플래쉬를 충전시키기 위한 플래쉬 조작버튼(16)이 부착된다. 방수케이스(4)에는, 필름유닛 본체(3)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촬영렌즈(7)와 화인더(finder)대물창(8) 등의 전면을 감싸는 투명 촬영창부(9)와, 필름유닛 본체(3)의 플래쉬 발광부(11)의 전면을 감싸는 투명 플래쉬창부(12)가 형성된다. 필름유닛 본체(3)의 상면에는 촬영가능 프레임의 잔여 장수를 표시하는 프레임카운터창(15)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로는, 방수케이스(4) 전체가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내장된 필름유닛 본체(3)를 외부에서 투시하기 때문에, 프레임카운터(15)와 화인더접안창(30, 제 3 도 참조)도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서 보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방수케이스(4) 전체가 투명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촬영창부(9) 및 플래쉬창부(12), 필름유닛 본체(3)의 프레임카운터(15) 및 화인더접안창(30)에 해당하는, 반드시 투명해야 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방수케이스(4)를 착색시키거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방수커버로 덮어도 무관하다.
도 4에 단면이 나타나듯이, 플래쉬 조작버튼(16)은 방수케이스(4)의 내측으로부터 장착되고, 원추형에 근접한 형상의 셧터버튼부(16a)가, 방수케이스(4)에 형 성된 원형개구(18)로, 방수케이스(4)의 외측으로 돌출하듯이 장착된다. 그래서, 수중이나 두꺼운 장갑을 착용한 상태 등의 손의 감각이 둔한 사용자도 버튼부(16a)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다. 이 버튼부(16a)는 원추형에 근접한 형상이 아니어도 무관하고, 예를 들면 원주형이나 반구형에 근접한 형상이라도 무관하다. 개구(18)를 직사각형으로 하고, 버튼부를 사다리꼴로 해도 무관하지만, 개구(18)를 원형에 근접한 형상으로 했을 때, 조작버튼(16)과 방수케이스(4)의 밀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방수성도 높아져 유리하다.
이 개구(18)의 주위를 따라 버튼부(16a)를 반원 정도 감싸도록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 돌출한 리브(rib, 19)가 형성된다. 이 리브(19)의 높이는, 버튼부(16a)가 눌리지 않았을 때, 방수케이스(4) 외벽면에서 돌출해 있는 높이보다도 높게 설치된다(도 4의 h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2)을 가방 등에 넣어 운반할 때, 플래쉬 조작버튼(16a)이 잘못하여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리브(19)를 개구(18) 전체에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2)은 촬영위치가 선정된 상태에서, 방수케이스(4)의 측면방향에서 플래쉬 조작버튼(16)에 손가락이 접촉되기 쉽기 때문에, 오조작이 방지되고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그리고, 리브(19)를 형성시킴으로써, 플래쉬 조작시에 촬영렌즈(7)의 입사각내에 손가락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촬영프레임에 촬영자의 손가락이 촬영되는, 소위 핑거-테이킹(finger-taking)이 방지된다.
필름유닛 본체(3)는, 도 3에 분해도가 나타나듯이, 사진필름 커트리지 용기(21)와 하나의 미노광 사진필름 롤(20)을 각각 장착한 커트리지실(22)과 필름실(23)이 노광개구(25)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본체기부(24) 및 이 본체기부(24)의 노광개구(25)의 전방에 장착되는 노광유닛(26)과, 필름실(23)과 노광개구(25)의 사이에 설치된 장착부(24a)에 장착되는 플래쉬유닛(27), 이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기부(24)의 전면측을 감싸는 전방커버(28)와, 본체기부(24)의 배면측이 차광되도록 감싸는 후방커버(29)로 구성된다. 후방커버(29)에는 화인더접안창(30)이 형성되는 것 외에 하부덮개(29a, 29b)가 형성되어, 이들이 커트리지실(22) 및 필름실(23)의 바닥부를 개폐가 자유롭고,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 필름유닛 본체(3)는, 방수케이스(4)를 사용하지 않는 통상적인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필름유닛 본체와 기본적으로 동일 구조이고, 대부분 동일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저비용화를 실현한다.
노광유닛(26)에는, 촬영렌즈(7), 화인더광학계(31), 셧터기구(32), 필름 감김 방지기구, 프레임 카운터기구 등이 장착되고, 프레임 카운터창(15)과 일체로 형성된 상단 플레이트(plate)에 의해 고정된다. 플래쉬유닛(27)은, 회로패턴이 프린트되고 메인콘덴서 등의 각종 회로소자가 조합되는 회로기판(27a)에, 방전관·반사경·확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래쉬 발광부(11)를 장착한 것이다. 이 플래쉬유닛(27)은 전지(40)로 전기를 공급받는다.
전방커버(28)의 전면에는, 셧터 해제 개구(13)와 화인더대물창(8) 외에, 촬영렌즈(7)용 개구(36), 플래쉬용 개구(37), 플래쉬 충전버튼(38)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권취다이얼용 개구(14) 등이 구비된다. 셧터 해제용 개구(13)는 셧터기 구(32)를 필름유닛 본체(3)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플래쉬용 개구(37)에는 플래쉬 발광부(11)가 삽입된다. 충전버튼(38)은 전방커버(28)의 일부를 컷-아웃(cut-out)시킨 탄성변형 가능한 접편이다.
충전버튼(38)은 플래쉬유닛(27)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로서, 충전버튼(38)을 누르면, 그 후방에 장착된 스위치접편(39)이 눌리고, 이 스위치접편(39)이 회로기판(27a)에 설치된 접점을 단락시킴으로써 플래쉬 충전이 개시된다. 이 충전버튼(38)은, 플래쉬 조작버튼(16)에 의해,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서 누름조작된다. 충전버튼(38)의 주위에는, 지지용 리브(42)가 전방커버(28)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용 리브(42)는, 전방커버(28)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방법 외에, 전방커버(28)에 접착 또는 용접해도 무관하다. 하기된 바와 같이, 이 지지용 리브(42)는 플래쉬 조작버튼(16)을 방수케이스의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이다.
커트리지실(22)의 상부에는 커트리지 용기(21)의 스풀(21a)에 계합하는 권취노브(33)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된다. 이 권취노브(33)의 상면에는, 계합구(34)가 형성되고, 이 계합구(34)는 권취다이얼용 개구(14)에 의해 필름유닛 본체(3)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 외 전방 케이스부재(4a) 상면에는, 권취다이얼용 개구(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보스(boss, 48)가 형성되고, 이 보스(48)에 권취다이얼(6)이 축지된다. 권취다이얼(6)은, 외측에 손가락으로 작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원반형상의 조작부(6a)와 이 조작부(6a)의 회전중심에 형성된 구동축(6b)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축(6b)의 선단은, 보스(48)의 내측 구멍(49)을 통 해 방수케이스(4)내로 관통하고, 권취노브(33)의 계합구(34)에 계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권취다이얼(6)을 권취방향(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권취노브(33)와 스풀(21a)이 회전하고, 사진필름(20)을 커트리지 용기(21a)내로 권취시킨다. 보스(48)내에는 방수 방진용 O-링(50)이 삽입된다. 보스(48)의 전방에는 권취다이얼(6)의 역회전 방지 레버(51)가 장착된다.
또한, 전방케이스 부재(4a)의 전면에는, 셧터레버(5)의 구동축(5a)을 지지하는 보스(43)가 형성되고, 구동축(5a)의 선단은 보스(43)의 내측 구멍(44)을 통해 전방 케이스부재(4a)내에 삽입된다. 이 구동축(5a)의 선단에 해제레버(46)가 고정된다. 해제레버(46)는 셧터 해제용 개구(13)를 통해 셧터기구(32)에 계합한다. 보스(43)내에는 방수 방진용 O-링(45)이 삽입되고, 보스(43)의 외측 둘레에는 코일 용수철(47)이 삽입된다. 이 코일 용수철(47)은, 셧터레버(5)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셧터레버(5)는 제 1 도에 나타나듯이 초기위치에 유지된다. 셧터레버(5)를 반시계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해제레버(46)을 통해 셧터기구가 해제된다. 그 후, 코일 용수철(47)의 가압력으로 셧터레버(5)가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방수케이스(4)의 후방 케이스부재(4b)는, 후방 케이스부재(4b)에 형성된 결합 암(arm, 52)과, 전방 케이스부재(4a)의 내벽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결합 클러(claw)의 결합으로 전방 케이스부재(4a)에 고정된다. 이때, 전방 케이스부재(4a)의 배면 개구 브림(brim, 53)이 후방 케이스부재(4b)의 둘레에 형성된 계합 홈(54)에 방수 상태로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고무재 링 등의 가스켓(gasket)으로 계합 홈(54)과 브림(53) 사이의 간격을 메워서 방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도에 나타나듯이, 플래쉬 조작버튼(16)은, 버튼부(16a)와 버튼부(16a)의 후단측에 장착된 압압부(16b) 및 그 주위에 형성된 장착부(17)로 형성되고, 이것들은 고무 등의 탄성 방수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누름부(16b)의 배후에는, 충전버튼(38)이 위치하고, 버튼부(16a)를 누르면,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플래쉬 조작버튼(16)이 탄성변형하여 누름부(16b)가 충전버튼(38)을 누른다.
장착부(17)에는, 외측에 볼록부(17a)가 형성되고, 플래쉬 조작버튼(16)이 방수케이스(4)의 내측에서 개구(18)에 삽입될 때, 이 볼록부(17a)가 전방 케이스부재(4a)의 내벽에 형성된 홈(55)에 삽입된다. 방수케이스(4)의 내측에서 볼록부(17a)를 고리형 홈(55)에 삽입하여 부착시키고 있으므로, 플래쉬 조작버튼(16)이 쉽게 이탈하지 않고, 방수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볼록부(17a)와 홈(55)의 결합 부착으로 개구(18)를 통해 방수케이스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케이스(4)에 필름유닛 본체(3)를 수납했을 때, 이 장착부(17)의 배후에 상기 지지용 리브(42)가 배치되고, 장착부(17)를 방수케이스(4)의 내측으로 밀어서 고정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버튼부(16a)를 외측에서 눌러도 장착부(17)의 결합이 해제되어 플래쉬 조작버튼(16)이 방수케이스의 내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플래쉬 조작버튼(16)의 내수압성도 확보된다. 이 지지용 리브(42)는 전방커버(28)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특별한 지지부재를 장착할 필요 가 없어 비용상승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지지부재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다. 또한, 리브(19)의 후부(19a)도 장착부(17)에 의해 배후면에서 지지용 리브(42)로 지지된다. 따라서, 외측에 돌출해 있는 리브(19)에 외부압력이 가해져도 지지용 리브(4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리브(19)의 하부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리브(19)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이상,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브(19)가 버튼부(16a)보다도 높게 돌출해 있는데, 리브(19)의 높이는 충전버튼(38)을 ON조작시키는 플래쉬 조작버튼(16)의 누름조작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이 경우에는 버튼부(16a)보다 낮아도 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할 경우,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도에 나타나듯이, 플래쉬 조작버튼(16)의 방수케이스(4)로의 부착은, 장착부(17)에 오목부(17b)를 위치시켜서, 이 오목부(17b)와 대응하도록 방수케이스(4)의 내측에 형성된 볼록부(56)을 끼워맞추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플래쉬 조작버튼(16)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전방커버(28)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용 리브(42)로 했는데, 제 6 도에 나타나듯이, 전방커버(28)와는 별도의 지지부재(57)를 장착하여, 이것으로 플래쉬 조작버튼(16)을 지지하도록 해도 무관하다.
또한, 제 6 도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케이스부재(4a)의 전방에, 탄성을 가지 는 고분자 물질인 엘라스토머(elastomer) 방수커버(4c)가 장착되고, 장착부(17)를 끼워맞추는 홈(58)은 방수커버(4c)와 전방 케이스부재(4a)의 개구(18)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 전방 케이스부재(4a)의 제조공정에서 홈(55)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방 케이스부재(4a)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오작동 방지용 리브(19)를 생략했는데, 이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방수커버(4c)에 리브(19)와 동일한 형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 7 도에 나타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60)과 같이, 플래쉬 조작버튼(16)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셧터조작버튼(61)을 셧터레버(5) 대신 부착해도 무관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수케이스(4)의 내부에 수납되는 필름유닛 본체(3)의 전방커버의 전면에 셧터버튼이 설치된다. 이 셧터버튼은 상기 충전버튼(38)과 같이, 상기 커버의 일부를 컷-아웃시켜서 형성되고, 눌러질 때 셧터기구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이렇게 하면, 셧터레버(5)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O-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확실하게 방수를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카메라와 같은 누름조작으로 셧터조작을 할 수 있다. 물론, 셧터버튼을 상면에 형성시킨 필름유닛 본체를 사용하여 셧터조작버튼(61)을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상면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권취다이얼(6) 대신 권취노브를 회전시키는 조작부재를 방수케이스의 다른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래쉬 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언급하였지만, 동일한 구성을, 플래쉬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작부재, 예를 들면 셧터조작부재 또는 방수형 카메라 등의 방수케이스의 조작부재로써 유리 하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8 도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70)은, 플래쉬유닛이 부착되지 않은 플래쉬 비내장형인데,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나듯이, 본체기부(24), 노광유닛(26), 전방커버(28), 후방커버(29) 등의 필름유닛 본체(3)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은 모두 플래쉬 내장형의 필름유닛 본체의 부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즉, 플래쉬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을 뿐, 그 외의 부품은 외형 치수 및 형상이 동일하며, 전방커버(28)는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스위치(38)가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본체기부(14)의 노광개구(25)와 필름실(24) 사이에, 플래쉬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4a)가 위치하고, 이 장착부(24a)에는 플래쉬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후크(hook, 71)와 위치 결정 핀(positioning pin, 72) 등이 그대로 설치된다.
제 8 도의 실시예에서 방수케이스(4)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각각 형성된 전방케이스(4a)와 후방케이스(4b), 및 탄성을 가지는 불투명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방수커버(4c)로 구성된다. 방수커버(4c)는 전방부재(4a)의 외측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전방 케이스부재(4a)보다 한 사이즈 크고, 동일한 형상이다. 방수케이스(4c)의 전면에는, 촬영창부(9)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구(73)가 형성된다. 또한, 이 개구(73) 둘레의 내측에는 리지(ridge)가 개구 전체에 형성되고, 촬영창부(9)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끼워맞춰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수커버(4c)와 전방 케이스부재(4a) 사이가 방수된다. 또한, 방수커버(4c)의 전면 및 상면에는 전방 케이스부재(4a)의 보스(43, 48)를 삽입시키기 위한 개구(74, 75)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카운터창(15)과 대응하는 위치에 조망창(10)을 형성시키기 위한 개구(76)가 형성된다. 전방 케이스부재(4a)의 거의 대부분을 엘라스토머 방수커버(4c)로 감싸므로, 방수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조작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엘라스토머가 쿠션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70)의 내충격성 등도 양호해진다. 또한, 방수커버(4c)와 전방 케이스부재(4a)는, 본 실시예와 같이 두개로 나뉘어지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2색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방수커버(4c)를 전방 케이스부재(4a)에 씌움으로써 촬영창부(9), 조망창(10) 및 후방 케이스부재(4b)를 제외하고는 방수케이스(4) 내부가 투시되지 않기 때문에,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은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방수케이스(4)의 외측에서는 전방커버(28)가 플래쉬 내장형과 동일한 부품인 것을 확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70)은, 필름유닛 본체(3)의 본체기부(24), 전방커버(28), 후방커버(29) 등의 각각의 부품을 플래쉬 내장형의 각각의 부품과 동일 몰드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을 은폐시키는 수단으로 방수커버(4c)를 이용했는데,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을 은폐시켜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1 도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스위치(38)를 덮기 위해, 대략 직방체형상의 스폰지 접편(77, 78)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스폰지 접편(77, 78)은 각각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커버(28)와 전방 케이스부재(4a)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수커버는 사용되지 않고, 방수케이스(4)의 내부에 수납된 필름유닛 본체(3)의 외관 전체는 외측에서 투시된다. 스폰지 접편(77, 78)은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외형 치수에 대해서는 세밀함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래서, 저비용으로 제조 또는 조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단수단으로서 방수커버(4)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비용으로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을 하나의 스폰지 접편으로 덮어도 된다. 또한, 스폰지 접편의 형상은 원형 등이어도 무관하다. 게다가, 스폰지재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종이재료의 시트나 작은 상자 등으로 플래쉬용 개구(37)와 충전버튼(38) 부분을 덮어도 된다. 이 실시예는 재활용성이 양호하고 장식이 용이해서 유리하다.
또한, 제 12 도에 나타나듯이, 방수케이스(4)에 접착시트(79)를 부착하여 플래쉬용 개구(37) 등을 은폐시켜도 된다. 방수케이스(4)에 접착시트를 부착만 하는 것이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또한, 접착시트(79)에 문양이나 로고 등의 장식을 하는 것으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외관에 용이하게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접착시트(79)는, 방수케이스(4)의 전면, 상면, 하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한 것인데, 물론 측면을 감싸도 무관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층 더 플래쉬용 개구(37)가 외측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방수케이스(4)에는 부착하지 않 고, 필름유닛 본체에 접착시트를 부착해도 무관하다. 이 외에, 전방 케이스부재를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하고, 그 자체를 플래쉬용 개구를 덮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투명성이 불가결한 촬영창부 등은 별개의 개체로 하여, 전방 케이스부재에 장착한다.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름유닛 본체(3)의 각각의 부품의 성형공정에 있어서, 플래쉬 내장형의 각각의 부품과 동일한 몰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된 각각의 부품은,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공정에 있어서, 플래쉬 내장형 필름유닛 본체의 조립라인과 본 발명의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라인으로 나뉘어진다. 플래쉬 내장형 필름유닛 본체와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를 동일 부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측을 외관상 식별하기 어렵고,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를 플래쉬 내장형용 방수케이스에 수납하는 실수가 일어날 우려도 있는데, 양측의 조립라인을 분리시킴으로써 실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비내장형 필름유닛 본체는 플래쉬용 개구(37)에서 플래쉬 발광부(11)가 노출되지 않고, 이 점에서 양측을 명료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 라인에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3 도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먼저 필름유닛 본체(3)를 장착한다. 플래쉬 내장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경우, 본체기부(24)에 노광유닛(26)과 플래쉬유닛(27) 및 권취노브(33)를 부착하고, 전방커버(28)로 덮은 후에, 사진필름(20) 및 커트리지 용기(21)를 장착하여 후방커버(29)로 감싼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래쉬 비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경우, 플래쉬유닛을 장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식으로 필름유닛 본체(3)를 조립한다. 한편, 방수케이스(4)의 조립에서, 방수커버(4c)를 이용하는 유형은, 먼저 전방 케이스부재(4a)의 전면에서 방수커버(4c)를 씌우고 전방 케이스부재(4a)에 셧터레버(5) 등의 셧터조작부재를 방수 상태로 장착한다. 그 후, 필름유닛 본체(3)를 전방 케이스부재(4a)에 삽입하고, 전방 케이스부재(4a)와 후방 케이스부재(4b)를 방수 상태로 결합한다. 여기에 권취다이얼(6)을 방수 상태로 장착하여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권취다이얼(6)을 제일 마지막에 장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4a, 4b)를 결합할 때에, 권취다이얼(6)용 보스(48)의 구멍(49)으로 공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방수케이스(4) 내부 공기가 압축되어 내부 공기압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이렇게 하여, 양측 케이스부재(4a, 4b)를 확실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52)가 내부 공기압 상승에 의해 후크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다이얼(6)의 장착으로 방수케이스(4) 내부는 완전히 방수상태가 되는데, 권취다이얼(6)은 축부분이 전방 케이스부재(4a)에 삽입만 되므로, 전방 케이스부재(4a)에 부착할 때에 방수케이스(4) 내부 공기압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그리고, 케이스부재(4a, 4b)를 결합시킨 후에 장착하는 조작부재는, 전술한 권취다이얼(6)에 국한되지 않고, 구조상 가능하다면, 셧터조작부재나 플래쉬 충전조작부재, 줌 렌즈 조작부재 등도 가능하다. 또한, 방수케이스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유닛 본체를 전후방에서 감싸는 유형 이외에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유형 등이어도 되고, 본 발명은 방수케이스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방수케이스 결합시의 내부 공기압 상승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케이스부재에 압력 조정수단을 설치해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4 도에 나타나듯이, 방수케이스(4)의 측면에 배기용 작은 구멍(81)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전에 전방 케이스부재(4a)에 권취다이얼(6)과 셧터레버(5) 등의 조작부재를 방수 상태로 부착한 후에, 전방 케이스부재에 후방 케이스부재를 방수 상태로 결합시켜도 공기가 작은 구멍(81)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방수케이스의 내부 공기압은 외부 기압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방 케이스부재(4a), 후방 케이스부재(4b)의 결합불량이 발생하지도 않고, 케이스부재(4a, 4b)를 결합시킨 후에는 마개(82)로 작은 구멍(81)을 막는다. 이렇게 하여, 방수케이스 내부의 방수성이 완전히 유지된다.
케이스부재의 계합시에 내부 공기압을 높이지 않는 압력 조정수단으로는, 전술한 것과 같은 작은 구멍과 이것을 막는 마개 또는 캡(cap)이외에도, 케이스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의 방출이 가능하고, 또한, 케이스부재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압판을 설치해도 무관하다.
다음으로, 권취다이얼(6)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90)에 대해서 제 15 도 내지 제 21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 부재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에 관한 요소만 설명한다.
제 15 도에 나타나듯이, 방수케이스(4)의 상면에는 권취다이얼(6) 외측부의 일부를 감싸듯이 보호벽(91)이 설치된다. 권취다이얼(6)은 방수케이스(4)의 배면측에서 엄지손가락 등에 의해 필름권취 방향(W)으로 회전조작되는데, 보호벽(91)은 방수케이스(4)의 배면측에서 볼 경우, 권취다이얼(6)의 권취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그래서, 방수케이스(4)의 배면측에서 권취다이얼(6)을 필름 권취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손가락이 보호벽(91)에 닿아서 권취다이얼(6)을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기 어렵다. 또한, 보호벽(91)때문에 권취다이얼(6)을 상방에서 잡기 어려우므로, 권취다이얼(6)이 필요이상의 강한 힘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나타나듯이, 권취다이얼(6)은, 외측에 손가락으로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원반형상의 조작부(6a), 이 조작부(6a)의 회전중심에서 하방 돌출한 구동축(6b)과, 조작부(6a)의 브림 내측에 형성된 래치트 기어(ratchet gear, 92)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성형부재이다. 보스(48)의 근방에는 회전축(94)이 돌출되고, 이 회전축(94)에는 권취다이얼(6)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역회전 방지 레버(51)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된다. 제 17 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을 도시하는 제 18 도를 참조하면, 역회전 방지 레버(51)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전체가 성형되고, 회전축(94)이 통과하는 구멍(51a)을 감싸는 일단에, 래치트 기어(92)에 끼워맞춰지는 홈(51b)이 있다. 타단에는, 회전축(94)의 근방에 장착된 핀(95)과 접촉하여 홈(51b)을 래치트 기어(92)쪽으로 가압하는 탄성판(51c)이 형성된다. 래치트 기어(92)의 치상 돌기에서, 필름 권취방향(W)측 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역방향을 따르는 면은 급경사이다.
그래서, 권취다이얼(6)을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역회전 방지 레버(51)의 홈(51b)과 래치트 기어(92)의 치상 돌기의 완만한 경사면이 접촉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 레버는, 제 18 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탄성판(51c)을 탄성변형시켜 회전하고, 권취다이얼(6)이 필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반대로, 권취다이얼(6)이 역방향으로 회전조작되었을 때에는, 역회전 방지 레버(51)의 홈(51b)과 래치트 기어(92)의 급경사면이 접촉되어 역회전 방지 레버(51)는 회동이 안되기 때문에, 권취다이얼(6)의 역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제 19 도에 나타나듯이, 권취다이얼(6)의 구동축(6b)에는, 보스(48)의 구멍(49)과 전방커버(28)의 권취다이얼용 개구(14)를 통하여 권취노브(33)의 계합구멍(34)에 계합하는 한쌍의 계합 레그(leg)부(97)와, 방수케이스(4)의 상면 내벽에 계합하여 보스(4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후크(98)가 탄성변형이 자유롭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권취노브(33)의 계합구(34) 내부면(34a)에는, 원주방향의 내측에 돌출한 계합돌기(34b)가 권취노브(33)의 회전중심에 대해 회전대칭으로 형성된다. 계합 레그부(97)는, 제 17 도의 B-B 선을 따라 제 20 도에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유닛 본체(3)의 권취노브(33)의 계합구(34)에 삽입되어 계합돌기(34b)와 끼워맞춰지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에따라, 권취다이얼(6)을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하면, 권취노브(33)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권취노브(33)의 계합축(33b)이, 커트리지실(22) 상측 벽면에 형성된 구멍(22a, 제 17 도 참조)을 통해 커트리지 용기(21)의 스풀(21a)에 계합되기 때문 에, 스풀(21a)은 권취노브(33)와 일체로 회전한다.
권취노브(33)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치상 돌기들(33a)이 형성된다. 치상 돌기(33a)에는 역회전 방지 고리(100)가 계합된다. 역회전 방지 고리(100)는 탄성을 가지는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되고, 제 21 도에 나타나듯이, 커트리지실(22)의 상면에 설치된다. 역회전 방지 고리(100)는, 권취노브(33)가 필름 권취방향(W)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치상 돌기(33a)와 충돌하여 역방향 회전이 저지되고, 권취노브(33)가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되면 탄성변형하면서 그 다음의 치상 돌기(33a)와 맞물려서 "딱딱" 소리를 낸다.
그리고, 권취노브(33)의 근방에는, 노광유닛(26)에 장착되는 필름 권취방지기구의 방지 레버(101)가 배치된다. 방지 레버(101)는 사진필름(20)의 한 프레임분량의 이송에 연동하고, 제 20 도에 나타나는 잠김해제위치에서 제 22 도에 나타나는, 권취노브(33)의 치상 돌기(33a)와 맞물려서 회전을 잠그는 잠김위치로 이동한다. 동시에, 셧터기구(32)의 셧터 구동레버(도시 안됨)가 사진필름(20)의 한 프레임 분량의 이송에 연동하여 챠지된 위치로 이동하고, 잠김위치로 이동한 방지 레버(101)에 의해 챠지된 위치에 유지된다. 방지 레버(101)에는, 필름유닛 본체(3)가 방수케이스(4)내에 수납되었을 때, 전방커버(28)의 셧터개구(13)에서 삽입된 해제레버(46)가 계합된다. 그래서, 셧터레버(5)를 작동시키면, 해제레버(46)에 의해 방지레버(101)가 잠김해제위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셧터 구동레버가 해제되고 셧터 블레이드(blade)를 요동시키면, 동시에 권취노브(33)의 회전잠김이 해제된다.
상기 권취다이얼(6)의 계합 레그부(97)와 권취노브(33)의 계합돌기(34a)의 계합은, 권취노브(33)가 잠겨있지 않은 상태에서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가해지는 회전토크로는 해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권취노브(33)가 잠겨있는 경우에, 권취다이얼(6)이 권취조작되거나 권취다이얼(6)이 역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방지레버(101) 또는 역회전 방지 기구(100)에 의한 권취노브(33)의 부하에 의해 계합 레그부(97)가, 제 22 도에 나타나듯이, 회전중심측으로 탄성변형하고 계합 레그부(97)와 계합돌기(34a)의 계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권취다이얼(6)의 회전력이 권취노브(33)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계합 레그부(97)와 계합돌기(34a)는 토크 제한 구조를 이룬다. 이 토크제한기는, 도면의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이라면 어떤 구조라도 무관하다. 또한, 제 16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유닛 본체(3)의 전방커버(28)로 플래쉬 비내장형용이 사용되는데, 전술과 같이 플래쉬 내장형용 전방커버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권취조작부의 역회전 조작 방지 수단은 플래쉬 내장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9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후방 케이스부재(4b)를 통해 접안측창(30)을 보면서 촬영범위를 확인한다. 촬영범위를 확인한 후, 셧터레버(5)를 내리면, 셧터레버(5)에 부착된 해제레버(46)가 개구(13)내에서 회동하여, 필름유닛 본체(3)의 방지레버(101)에 작용하여 셧터기구의 셧터해제를 유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수케이스(4)의 촬영창부(9)와 촬영렌즈(7)를 투과한 피사체광으로 사진필름이 노광되어 한 프레임이 촬영된다.
촬영후에는, 권취다이얼(6)을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하여, 촬영을 마친 사진필름(20)을 권취시키고 다음 촬영을 위해 셧터-장전(shutter-charging)을 실행한다. 이때, 방수케이스(4)의 후방에서 권취다이얼(6)을 필름 권취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손가락과 보호벽(91)이 접촉하기 때문에, 권취다이얼(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권취다이얼(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권취다이얼(6)의 하부에 있는 역회전 방지 레버(51)의 홈(51b)이 레치트 기어(92)와 맞물려 권취다이얼(6)의 역방향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처음 조작하는 사용자라도 권취다이얼(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셧터해제와 동시에 방지레버(101)에 의한 권취노브(33)의 회전잠김이 해제되기 때문에, 권취다이얼(6)이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되면, 권취다이얼(6)의 계합 레그부(97)와 권취노브(33)의 계합구(34)의 계합으로, 권취노브(33)가 필름 권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권취노브(33)에 연결된 스풀(21a)이 커트리지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촬영을 마친 사진필름(20)은 스풀(21a)로 권취되어 커트리지 용기(21)내에 권취된다. 한 프레임 분량의 사진필름(20) 권취가 완료되면 방지레버(101)가 권취노브(33)의 치상 돌기(33a)에 계합된다. 이렇게 하여, 권취노브(33) 및 권취다이얼(6)의 회전이 잠긴다.
권취노브(33)가 방지레버(101)로 잠겨있는 상태에서 권취다이얼(6)을 다시 필름 권취방향(W)으로 회전조작하면, 제 22 도에 나타나듯이, 권취다이얼(6)의 계 합 레그부(97)가 서로 탄성변형하고, 계합 레그부(97)와 권취노브(33)의 계합구(34)에 위치하는 계합돌기(34b)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권취다이얼(6)은 권취노브(33)에 대해 공회전하기 때문에, 방지레버(101)가 파손되거나 사진필름(20)이 절단되지는 않는다. 또한, 권취다이얼(6)을 무리하게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역회전 방지 레버(51)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역회전 방지 기구(100)가 맞물린 권취노브(33)의 부하로, 계합 레그부(97)가 탄성변형하여 계합돌기(34b)와의 계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권취다이얼(6)의 역방향 회전이 권취노브(33)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역회전 방지 기구(100)나 방지레버(101)가 파손되거나 사진필름(20)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나타나듯이, 전방 케이스부재(96)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방 케이스부재(96a)의 표면에, 촬영창부(9)와 프레임 카운터창(15)용의 조망창(10)을 제외하고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엘라스토머(96b)가 2색 성형으로 씌워진 일체성형부재이다. 후방 케이스부재(4b)의 전면 외측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계합 홈(54)은, 전방 케이스부재(96)의 후면 개구 브림(53)과 고무재 링(99)을 합한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무재 링(99)이 계합 홈(54)내에서 완전히 압축되어 계합 홈(54)의 내벽면에 밀착되므로, 전방 케이스부재(96)와 후방 케이스부재(4b)의 사이는 확실히 방수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과 같이 완전히 투명한 방수케이스를 이용해도 무관하고, 엘라스토머 방수커버를 씌워도 무관하다. 또는, 전방 케이스부재와 후방 케이스부재를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요부만을 투명하게 해도 무관하 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불투명 전방 케이스부재에 촬영렌즈용 개구(36)와 화인더대물창(8)에 대응하는 투명창부를 형성하여 필름유닛 본체의 전방커버를 생략시켜도 무관하다. 그리고, 방수케이스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름유닛 본체를 전후방에서 감싸는 유형 이외에,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유형 등이어도 무관하고, 본 발명은 방수케이스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권취다이얼(6)용의 역회전 방지 수단으로는, 권취다이얼 조작부의 외측에 레치트 기어를 배치하고 여기에 맞물리는 고리부재를 권취다이얼 근방, 예를 들면 방호벽(91)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실시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진필름을 재장전할 수 있는 콤팩트 카메라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방수형에 국한되지 않고, 케이스에 수납되어 케이스의 외측에서 조작가능한 렌즈 부착 필름유닛 내지 카메라의 어떤 유형에라도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사전에 사진필름이 장착되고, 촬영렌즈와 촬영기구가 조합된 필름유닛 본체를, 한 쌍의 케이스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수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유닛 본체 전체를 방수상태로 수납하는 방수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필름유닛 본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장착함에 있어, 상기 한 쌍의 케이스부재로 상기 필름유닛 본체 전체를 감싸고, 이들 케이스부재를 서로 방수되도록 결합시킨 후,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방수케이스에 방수상태로 장착하되,
    상기 조작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상기 케이스부재의 한쪽에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부재 내의 공기가 상기 개구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의 조립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필름유닛 본체에 설치된 셧터기구, 필름 권취기구, 플래쉬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장착부는, 상기 개구에 방수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장착 시, 상기 케이스부재의 한쪽에 형성된 계합 홈은, 상기 케이스부재의 다른쪽에 형성된 계합 홈과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필름유닛을 전측 및 후측에서 각각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필름유닛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방수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방수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물 및 먼지를 막기 위한 O-링이 상기 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법.
KR1020007012975A 1999-03-19 2000-02-22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 KR100664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76071A JP2000267170A (ja) 1999-03-19 1999-03-19 防水型カメラ
JP11/76071 1999-03-19
JP11076069A JP2000267169A (ja) 1999-03-19 1999-03-19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11/76072 1999-03-19
JP11076072A JP2000267230A (ja) 1999-03-19 1999-03-19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11/76069 1999-03-19
JP11/80787 1999-03-25
JP11080787A JP2000275791A (ja) 1999-03-25 1999-03-25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720A KR20010043720A (ko) 2001-05-25
KR100664461B1 true KR100664461B1 (ko) 2007-01-04

Family

ID=2746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975A KR100664461B1 (ko) 1999-03-19 2000-02-22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377751B1 (ko)
EP (1) EP1081539A4 (ko)
KR (1) KR100664461B1 (ko)
CN (3) CN1152284C (ko)
AU (1) AU2576600A (ko)
TW (1) TW460745B (ko)
WO (1) WO2000057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1404B (en) * 1998-11-25 2000-11-11 Fuji Photo Film Co Ltd Film unit with waterproof lens and waterproof ring
US6377751B1 (en) * 1999-03-19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TW548506B (en) * 2001-11-30 2003-08-21 West Electric Co Strobo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ing the same
US6636697B2 (en) * 2001-12-21 2003-10-21 Eastman Kodak Company Depressurized underwater one-time-use camera with seal integrity indicator and method
US6839510B2 (en) * 2002-03-28 2005-01-04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flash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system
JP2004046058A (ja) * 2002-05-16 2004-02-12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932996B2 (ja) * 2002-07-03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6983130B2 (en) * 2002-11-13 2006-01-03 Unitech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734294B1 (en) * 2003-04-28 2009-07-08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Flow control assemblies having integrally formed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JP2005283931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4192865B2 (ja) * 2004-08-25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の防水ケース
US7149418B2 (en) * 2004-09-24 2006-12-12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guard with bezel and ring
JP4179264B2 (ja) * 2004-10-18 2008-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押釦群取付構造、防水ケース及び防水ケース付き撮像装置
JP4648681B2 (ja) * 2004-11-02 2011-03-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06243075A (ja) * 2005-02-28 2006-09-14 Olympus Imaging Corp 防水ハウジング
US20070115387A1 (en) * 2005-11-21 2007-05-24 Ho Kenneth K Underwater camera combination
US20070236591A1 (en) * 2006-04-11 2007-10-11 Tam Samuel W Method for mounting protective covers over image capture devices and devices manufactured thereby
US20070261978A1 (en) * 2006-05-10 2007-11-15 David Sanderson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20070293166A1 (en) * 2006-06-05 2007-12-20 Amir Weiss Protective device and system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JP2008164799A (ja) * 2006-12-27 2008-07-17 Sony Corp 電子機器の筐体及びその筐体を備えた電子機器
US8456560B2 (en) * 2007-01-26 2013-06-04 Digitaloptics Corporation Wafer leve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80245452A1 (en) * 2007-04-03 2008-10-09 David Law Weatherproo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s and Video Recorders
US20080245453A1 (en) * 2007-04-03 2008-10-09 David Law Battery Grip Protective Device for Cameras, Video Record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20080247750A1 (en) * 2007-04-03 2008-10-09 David Law Skin Cover for Cameras
JP2010525412A (ja) 2007-04-24 2010-07-22 フ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エーピー エルエルシー 底部にキャビティを備えるウエハーレベル光学部品とフリップチップ組立を用いた小型フォームファクタモジュール
US7801425B2 (en) * 2007-10-30 2010-09-21 Optikos Corporation Underwater adaptive camera housing
CN201108117Y (zh) * 2007-11-30 2008-09-03 陈琪 防水袋子
CN101540239B (zh) * 2008-03-21 2013-01-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结构
CN100582918C (zh) * 2008-09-08 2010-01-20 同致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防水摄像头的密封方法
US9419032B2 (en) * 2009-08-14 2016-08-16 Nanchang O-Film Optoelectronics Technology Ltd Wafer level camera module with molded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WI448803B (zh) * 2010-12-31 2014-08-11 Altek Corp 具防水功能之影像擷取裝置
CN102591038B (zh) * 2012-02-24 2015-09-09 何起富 具led照明的眼镜
JP5980559B2 (ja) * 2012-05-07 2016-08-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US10113837B2 (en) 2015-11-03 2018-10-30 N2 Imaging Systems, LLC Non-contact optical connections for firearm accessories
JP2020118904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メラ装置
CN111979697A (zh) * 2019-05-23 2020-11-2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处理机器及其控制面板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507A (en) * 1975-07-02 1977-08-09 W. Haking Industries, Ltd.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JPH0682894A (ja) * 1992-08-31 1994-03-25 Fuji Photo Optical Co Ltd 防水ケース用フイルム巻き上げ装置
JPH095939A (ja) * 1995-06-22 1997-01-10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602604A (en) * 1996-02-07 1997-02-11 Eastman Kodak Company Underwater one-time-use camera with combination film winding clutch and shutter release
JPH09185101A (ja) * 1996-01-04 1997-07-15 Minolta Co Ltd 防水機能を有する2段スイッ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9047E (en) * 1973-03-22 1976-11-23 Union Carbide Corporation Push button switching module for flashlights
US4170104A (en) * 1976-12-01 1979-10-09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Switch mechanism for wristwatch
US4853722A (en) * 1987-08-14 1989-08-01 Sea Fathoms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the depth range of underwater equipment
JP2909906B2 (ja) * 1988-05-30 1999-06-23 ミノルタ株式会社 水中及び防水製品の内圧調整機構
EP0376618A3 (en) * 1988-12-28 1992-01-15 Konica Corporation Camera
JP2541461Y2 (ja) * 1990-10-29 1997-07-1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
JP2545885Y2 (ja) * 1990-11-19 1997-08-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防水装置
US5239324A (en) * 1991-02-04 1993-08-24 Fuji Photo Film Co., Ltd. Underwater housing and an underwater taking camera
JP3088022B2 (ja) * 1991-03-11 2000-09-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55439A (ja) * 1991-05-31 1992-12-09 Fuji Photo Film Co Ltd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534787A (ja) * 1991-08-02 1993-02-12 Olympus Optical Co Ltd 防水カメラ
JPH05188457A (ja) * 1992-01-09 1993-07-30 Fuji Photo Film Co Ltd 防水ケース
JP2771378B2 (ja) 1992-03-05 1998-07-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イルム巻上げ用トルクリミッター
JPH0682897A (ja) 1992-08-31 1994-03-25 Fuji Photo Optical Co Ltd 防水ケースのレリーズ装置
JPH07168265A (ja) 1993-12-14 1995-07-04 Konica Corp カメラ用防水ケース
DE19600269A1 (de) * 1996-01-05 1997-07-10 Agfa Gevaert Ag Kamera
US5897225A (en) * 1996-02-22 1999-04-27 Eastman Kodak Company Watertight photographic single-use camera having elastic polymer seal
US5970261A (en) * 1996-09-11 1999-10-19 Fuji Photo Film Co., Ltd. Zoom camera, mode set up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zoom camera
US5930545A (en) * 1997-11-13 1999-07-2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space-saving elastomeric switch
JPH11224557A (ja) 1998-02-04 1999-08-17 Asahi Optical Co Ltd 防水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377751B1 (en) * 1999-03-19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507A (en) * 1975-07-02 1977-08-09 W. Haking Industries, Ltd.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JPH0682894A (ja) * 1992-08-31 1994-03-25 Fuji Photo Optical Co Ltd 防水ケース用フイルム巻き上げ装置
JPH095939A (ja) * 1995-06-22 1997-01-10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9185101A (ja) * 1996-01-04 1997-07-15 Minolta Co Ltd 防水機能を有する2段スイッチ機構
US5602604A (en) * 1996-02-07 1997-02-11 Eastman Kodak Company Underwater one-time-use camera with combination film winding clutch and shutter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284C (zh) 2004-06-02
WO2000057244A1 (fr) 2000-09-28
US6377751B1 (en) 2002-04-23
US20020094198A1 (en) 2002-07-18
CN1497325A (zh) 2004-05-19
US6466741B2 (en) 2002-10-15
EP1081539A1 (en) 2001-03-07
EP1081539A4 (en) 2001-05-23
KR20010043720A (ko) 2001-05-25
CN1497326A (zh) 2004-05-19
US20020094199A1 (en) 2002-07-18
TW460745B (en) 2001-10-21
US6516145B2 (en) 2003-02-04
AU2576600A (en) 2000-10-09
CN1296576A (zh)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461B1 (ko) 방수형 렌즈 부착 필름유닛 조립 방법
US7352961B2 (en) Waterproof housing compatible for a plurality of cameras
WO2000031585A1 (fr) Unite de film comportant un objectif et un anneau etanches a l'eau
US6424803B1 (en) Lens-carrying film unit having protective cover
KR100570311B1 (ko) 컴팩트 카메라
JPH0652364B2 (ja) カメラの防水ケース
JPH1119441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0267170A (ja) 防水型カメラ
JPH11194415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794022B2 (ja) カメラ付携帯電話用水中ケース
JP2001091995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15597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6301444A (ja) 防水ケース
JP3724766B2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194398A (ja) カメラ
JP2000267230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15665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0275791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1215662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22055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3091038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0019612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15598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100290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2341422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