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828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828B1
KR100662828B1 KR1020010049553A KR20010049553A KR100662828B1 KR 100662828 B1 KR100662828 B1 KR 100662828B1 KR 1020010049553 A KR1020010049553 A KR 1020010049553A KR 20010049553 A KR20010049553 A KR 20010049553A KR 100662828 B1 KR100662828 B1 KR 10066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munication unit
storage medium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762A (ko
Inventor
하루모토가츠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having lifetime indic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주기적인 교환 부품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교환 부품에는 교환 부품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가 설치된다.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는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에서 적어도 판독될 수 있다.
기억 소자, 화상 형성 장치, 프린터, 교환 부품, 토너 카트리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교환 부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회전식 현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5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현상제 카트리지에 장착된 기억 소자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교환 부품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현상제 카트리지에 장착된 기억 소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기억 소자 부재 내의 기억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회로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회로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기억 소자 부재 내의 기억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6은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억 소자 부재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7은 장치 본체 상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현상제 카트리지
91 : 기억 소자 부재
92 :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
93, 95 : 안테나
94 : 기억 소자
본 발명은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주기적인 교환 부품을 포함하는 프린터와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부품의 정보를 보유하는 기억 매체가 교환 부품의 본체에 내장되고, 교환 부품의 정보가 장치의 본체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 부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술한 프린터 및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장치의 상품 가치를 좋게 하거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장치의 본체에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의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예를 들면, 실용화된 기술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의 정보를 예를 들어 프린터 본체에 입력한다. 이 입력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니터에 토너 잔량을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린터 및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의 정보는 장치 본체에 입력되어 각종의 교환 부품들을 서로 식별하거나, 또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의 종류를 서로 식별한다.
상술한 장치 본체에 교환 부품의 이러한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에, 장치 본체로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기억 매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에 설치된 기록 매체와 장치 본체 간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 장치로서 드로워 커넥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드로워 커넥터가 교환 부품의 장착과 연동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드로워 커넥터는 한 방향으로 접속되어 교환 부품을 접속하는 방향이 제약된다.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는 통상 장치 본체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고 나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세팅된다. 그러나, 드로워 커넥터가 기본적으로 한 방향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구조상 이러한 동작으로 드로워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드로워 커넥터는 접속을 위한 소정의 힘이 필요하고, 교환 부품의 조작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드로워 커넥터는 다른 부품들을 위한 다른 종류의 힘으로 조작되어야 하고, 유저는 교환 부품이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장착이 완료된 것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하여, 장착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3) 드로워 커넥터의 접속 부분에 토너 등이 부착된 경우, 접속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4)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복수의 교환 부품이 있는 경우, 각 부품마다의 드로워 커넥터가 필요하고, 장치의 사이즈 및 비용이 증가한다.
5) 드로워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될 교환 부품에 설치된 기록 매체는 드로워 커넥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없다. 이용된 드로워 커넥터는 약 6개 내지 10개의 핀을 갖고 있으므로, 즉 드로워 커넥터의 사이즈가 크므로, 교환 부품의 사이즈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6)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이 회전식 현상 장치 내의 회전체에 부착된 경우, 회전부 및 고정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하며, 따라서 회전부 및 고정부의 컨택트에서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환 부품의 정보를 장치 본체에 입력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 부품에 있어서, 교환 부품을 접속하는 방향이 제한되지 않고, 교환 부품의 조작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장치 또는 교환 부품의 사이즈 및 비용이 증가되지 않고, 교환 부품의 정보가 장치 본체에 확실히 입력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교환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주기적인 교환 부품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은 이 교환 부품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포함한다.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는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에서 적어도 판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교환 부품에 설치된 기억 매체와 장치 본체측은 전 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교환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을 소망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드로워 커넥터가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억 매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어, 교환 부품 그 자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교환 부품은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감광체 드럼, 퓨저, 전사 롤, 중간 전사체 (드럼, 벨트 등), 및 폐토너 박스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교환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주기적인 교환 부품"에서 "주기적인"이란 용어는 부품의 교환이 예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로 부품이 주기적으로 교환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 내에 기억된 정보는 토너의 사용량, 인쇄 회수, 제조 정보(제조 날짜 등), 사용자 정보, 온도 및 습도 등의 사용 환경을 모니터한 정보, 및 재사용 회수이다. 그러나,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 내에 기억된 정보가 이들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환 부품 또는 이 교환 부품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각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주기적인 교환 부품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교환 부품을 가지며, 복수의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에 대한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로서 단일의 통신부가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장치 본체측의 하나의 통신부만이 복수의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에 대하여 필요하므로, 장치의 사이즈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주기 적인 교환 부품은 교환 부품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구비한다. 기억 매체 내에 기억된 정보는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에서 적어도 판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교환 부품에 설치된 기억 매체 및 화상 형성 장치는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교환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이 소망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어, 조작성이 개선된다. 정보 송신용 드로워 커넥터가 교환 부품 내의 기억 매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억 매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어, 교환 부품 자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풀 컬러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1은 풀 컬러 프린터 본체를 나타내고, 화상 유지부로서의 감광체 드럼(2)이 장치 본체(1)에 설치된다. 감광체 드럼(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감광체 드럼(2)의 표면이 대전 롤(3)에 의해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후, 풀 컬러 화상이 예를 들어 ROS(Raster Output Scanner)로 형성된 노광 장치(4)를 이용하여 형성된 경우, 4색의 화상, 즉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이 순차적으로 노출되어, 이들 색상들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2)의 표면 상에 형성된 소정 색의 정전 잠상은 회전식 현상 장치(5) 내의 현상 유닛(5Y, 5M, 5C 및 5K)의 대응하는 하나에 의해 현상되어, 소정 색의 토너 화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식 현상 장치(5)는 풀 컬러 화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의 4색용의 현상 유닛(5Y, 5M, 5C 및 5K)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5Y, 5M, 5C 및 5K) 각각은 감광체 드럼(2) 상의 잠상을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토너로 각각 현상한다. 각 색의 토너 화상을 현상할 경우, 회전식 현상 장치(5)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고, 대응하는 색의 현상 유닛(5Y, 5M, 5C 및 5K)이 감광체 드럼(2)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한다. 감광체 드럼(2) 상에는 프로세스 제어 모드에서 테스트 차트가 형성되고, 테스트 차트의 농도가 농도 센서(6)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감광체 드럼(2) 상에 현상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로서 기능하는 중간 전사 벨트 상에 1차 전사 롤(7)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4색의 토너 화상이 서로 중첩된다. 중간 전사 벨트(9)는 구동 롤(10), 아이들 롤(11), 백업 롤(12), 및 아이들 롤(13) 등에 의하여 신장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가설된다. 구동 롤(10)은 도시하지 않은 일정 속도로 확실히 회동하는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중간 전사 벨트(9)를 구동하여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서로 전사된 4색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9)를 통해 백업 롤(12)과 압접하는 2차 롤(14)에 의해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P) 상에 일괄적으로 전사된다. 기록 용지(P)는 장치 본체의 저부에 설치된 2개의 급지 카세트(16, 17) 중의 하나로부터 급지 롤(18 또는 19)에 의해 공급되고, 복수의 운송 롤쌍(20, 21)을 통해 레지스트 롤쌍(22)으로 운송된 후, 정지된다. 그 후, 기록 용지(P)는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과 동기하여 회전을 개시 하는 레지스트 롤쌍(22)에 의해 2차 전사 위치로 운송된다. 2차 전사 위치에서, 백업 롤(12) 및 2차 전사 롤(14)이 중간 전사 벨트(9)를 통해 서로 압접된다. 4색 토너 화상은 2차 전사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9)로부터 기록 용지(P) 상에 일괄적으로 전사된 후, 기록 용지(P)가 정착 유닛(23)을 이용하여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 처리되어, 장치 본체의 측면에 있는 배출 트레이(24) 또는 장치 본체의 상부에 있는 배출 트레이(25)로 도시하지 않은 전환 게이트에 의해 전환되어 배출된다.
토너 화상의 전사 공정 후의 감광체 드럼(2)은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8)에 의해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다음의 화상 형성 공정을 위해 준비된다. 토너 화상 전사 공정 후의 중간 전사 벨트(9)는 아이들 롤(13)에 대향하는 벨트 클리너(15)에 의해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다음의 화상 형성 공정을 위해 준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풀 컬러 프린터는 LAN 등을 통해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되고,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어 인쇄할 수 있다. 풀 컬러 프린터의 상태는 각 퍼스널 컴퓨터마다 검출될 수 있다.
감광체 드럼(2) 또는 중간 전사 벨트(9)로부터 클리닝 장치(8) 및 벨트 클리너(15)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회수 용기(26)로 회수된다. 특히, 벨트 클리너(15)로부터 수집된 폐 토너는 오거(auger) 및 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운송부에 의해 운송관(27)을 통해 폐토너 회수 용기(26)로 운송된다.
도 3은 이러한 회전식 현상 장치(5)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현상 장치(5)는 중앙에 위치한 회전축(32)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30)를 포함한다. 회전체(30)는 대략 정방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33), 및 중앙부(33)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90° 각도를 이루는 4개의 암(31)을 포함한다. 회전체(30)의 암(31)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 장치를 각각 이용하여,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용의 4개의 현상 유닛(5Y, 5M, 5C, 5K)이 설치된다.
이들 현상 유닛(5Y, 5M, 5C, 5K) 모두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황색(Y)용 현상 유닛(5Y)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황색(Y)용 현상 유닛(5Y)은 대략 현상 유닛 본체(40)와 현상제 카트리지(50)로 분리될 수 있다.
현상 유닛 본체(40)에는, 용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현상 롤(41)과, 이 현상 롤(41)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현상 롤(4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나선형 오거(42, 43)가 있다. 여기서, 현상 롤(41)이 회전하면, 나선형 오거(42)는 현상제(44)를 뒤섞으면서 현상 유닛 본체(40) 내에 저장된 현상제(44)를 용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운송한다. 한편, 나선형 오거(43)는 현상제(44)가 현상 롤(41)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현상제(44)를 뒤섞으면서 현상제(44)를 나선형 오거(42)에 의한 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운송한다.
현상 롤(41)은 내부에 설치된 마그넷 롤(도시하지 않음)의 자력에 의해 현상제(44) 내에 포함되는 캐리어들을 흡착하여, 현상 롤(41)의 표면에 현상제(44)의 자기 브러시를 형성하여, 캐리어에 의해 흡착된 토너가 감광체 드럼(2)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운송된다. 감광체 드럼(2)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롤(4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44)의 자기 브러시에 의해 가 시화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50)는 용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용기를 포함하고, 현상제 카트리지(50)의 내부는 새로운 현상제의 저장실과 열화된 현상제의 회수실로 분리된다. 새로운 현상제의 저장실에는, 새로운 현상제를 현상 유닛 본체(40)로 안내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51)과 연통하고 있는 공급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싱(51)은 이면측 상의 현상 유닛 본체(40)의 상부에 설치된다. 나선형 오거(52)는 케이싱(51) 내에 설치되고, 현상제 카트리지(5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44)는 나선형 오거(52)에 의해 이면측 상의 현상 유닛 본체(4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구(53)로 안내되어, 현상 유닛 본체(40) 내로 공급된다. 현상 유닛 본체(40)의 공급구(53)의 하단에 위치하는 출구에는 소망하는 대로 개폐될 수 있는 플랩(54)이 설치된다. 플랩은 현상 유닛(5Y)이 도 3의 현상 위치 D에 있을 때 개방된다. 한편, 플랩(54)은 현상 유닛(5Y)이 도 3의 위치 F 또는 G에 있을 때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폐쇄된다.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열화된 현상제 회수실(55)에는, 대략 L자형으로 휘어진 배출관(57)과 접속되는 순환하는 회수 통로(56)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관(57)은 현상 유닛 본체(40)의 상부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배출관(57)의 선단(도 3에서는 하단)에 위치하는 회수구(58)는 현상 유닛 본체(40) 내에 위치한다. 회수구(58)는 새로운 현상제 공급구(53)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현상 유닛 본체(40)의 천정의 일부에 개구로서 설치된다. 공급구(53)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현상제(44)는, 현상 유닛 본체(40) 내를 순환하는 동안에 현상롤(41)로의 공급을 위한 나선형 오거(42, 43)에 의해 교반/운송되어, 현상 공정에 기여한다. 현상 유닛 본체(40) 내를 순환하는 동안에 현상 공정에 기여한 구 현상제(44)는 현상 유닛 본체(40)가 도 3의 위치 E 또는 F에 있을 때에 회수구(58)로부터 회수 통로(56)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열화된 현상제 회수실(55) 내로 회수된다.
이러한 현상 유닛(5Y) 및 동일한 구성의 현상 유닛(5M, 5C, 5K)을 갖는 회전식 현상 장치(5)는 플랩(54)이 위치 D, 즉 현상 유닛 본체(40)가 감광체 드럼(2)과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서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공급구(53)를 개방할 수 있게 하고, 나선형 오거(52)를 회전 구동하여, 새로운 현상제(44)가 필요에 따라 현상 유닛 본체(4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감광체 드럼(2) 상의 정전 잠상이 현상 유닛 본체(40)에 의해 현상된 후, 회전체(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 유닛이 위치 D로부터 우하단 위치 E로 이동한 경우, 플랩(54)은 절반만 개방되어, 회수구(58)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결과, 배출관(57)에 의해 운송된 구 현상제가 현상 유닛 본체(40)로 되돌아가지 않고 회수 통로(56)를 향하여 흐르게 한다. 열화된 현상제 C는 현상 유닛 본체(40)가 좌하단 위치 F로부터 좌상단 위치 G로 이동하는 기간 중에 회수 통로(56)를 통해 열화된 현상제 회수실(55) 내로 회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 회수 통로(56)는 회수된 현상제 C가 현상 유닛 본체(40)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현상 유닛 본체(40)가 좌상단 위치 G로부터 우상단 위치 D, 즉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에 설치된 교반기(agitator)(도시하지 않음)의 기능에 의해 현상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새로운 현상제(44)는 케이싱(51)으로 보내진 후에 케이싱(51) 내의 나선형 오거(52)에 의해 공급구(53)로 안내된다. 이 때, 플랩(54)이 재차 개방되어 공급구(53)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 새로운 현상제(44)가 공급구(53)를 통해 현상 유닛 본체(40) 내로 공급된다.
이하, 도 4의 사시도 및 도 5의 확대 사시도를 참조하여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50)는 원통형의 저장 케이스(61), 새로운 현상제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가늘고 긴 현상제 저장부(관상체)로서의 저장 케이스(61), 저장 케이스의 일단을 밀봉하는 탈착가능한 캡 부재인 캡(62), 새로운 현상제를 저장 케이스(61)로부터 현상 장치 내의 현상 유닛 본체(40)로 공급하는 통로의 입구로서 기능하는 공급구(63), 현상 유닛으로부터 회수된 열화된 현상제를 흡입하는 흡입구(72), 흡입구(72)를 통해 회수된 열화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짧은 원통형 회수 케이스(71), 및 회수 케이스(71) 내에 꼭맞게 설치된 현상제 회수 박스로서 기능하는 회수 박스(75)를 포함한다. 회수 박스(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76)을 가지며, 돌출편(76)을 통해 설치된 개구(77)는 회수 박스가 회수 케이스(71) 내에 꼭 맞게 설치될 때에 흡입구(72)와 연통된다. 핸들(78)을 갖는 캡(79)은 회수 박스(75) 내로 가압된다.
안내 홈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원주 방향으로 공급구(63) 및 흡입구(72) 주위에 형성된다. 안내 홈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0)의 외면을 따라 원형으로 굴곡되고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73)가 부착된다. 관상 슬라이드 커버(81)가 회수 박스(75) 및 회수 케이스(71)의 일부 주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 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2)으로 셔터(73)를 덮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커버(81)를 민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50)가 회전체(30) 내의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셔터(73)는 도시하지 않은 소자에 의해 인가된 탄성력에 의해 공급구(63) 및 흡입구(72)를 차단하고, 슬라이드 커버가 그 위에 배치된다.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50)가 회전체(30) 내의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된 경우, 셔터(73)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연장된 홈(74)이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부에 형성된 돌기와 걸어맞춤(engage)된다. 그 후, 핸들(78)을 손가락으로 돌리면,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셔터(73)를 회전 이동시켜, 공급구(63) 및 흡입구(72)가 모두 개방된다. 슬라이드 커버(81)의 경사진 개방단이 장치측의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닿고, 그 결과 셔터(73)가 노출된다. 도 4는 현상제 카트리지(50)가 현상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공급구(63) 및 흡입구(72)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주기적인 교환 부품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교환 부품에는 교환 부품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가 각각 설치된다.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는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에서 적어도 판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교환 부품을 갖고, 이들 복수의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와 통신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에 단일의 통신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매체와 장치 본체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는 소정의 파장을 갖는 전파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부품인 현상제 카트리지(50)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토너의 색 또는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표시하는 가늘고 긴 원통형 저장 케이스(61)의 외주면에 레이블(90)이 부착되어 있다. 레이블(90) 아래의 표면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0)의 정보 등을 저장하는 기억 매체인 소위 "비접촉 CRUM(non-contact CRUM)"이라 불리는 기억 소자 부재(91)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풀 컬러 프린터의 본체(1)에는, 회전식 현상 장치(5)의 현상 위치의 상류에 위치하는 현상 유닛(도시예에서는 현상 유닛(5M))에서,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 부재(91)와 전파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본체 상의 통신부(92)가 현상 장치(5)의 현상제 카트리지(5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93)를 포함한다.
한편,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50)에 설치된 기억 소자 부재(91)에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초소형의 직사각형 기억 소자(94)가 설치되어 있다. 송수신용 안테나(95)는 기억 소자(94)의 좌우측에 미소 거리만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 소자 부재(91)는 다음의 공정으로 형성된다. 투명 합성 수지막(97)을 패터닝하여 그 위에 송수신용 안테나(95)를 형성한 후, 기억 소자(94)와 접속한 다음에, 다른 투명 합성 수지막(97)으로 코팅한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와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는 소정 주파수로 전파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92)는 소정 주파수로 전파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현상제 카트리지(50)와 관련된 정보 등을 적어도 판독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다. 통신부(92)는 안테나를 통해 소정 주파수로 전파를 송수신하고, 비접촉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로 정보를 송신한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와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는 다음과 같이 통신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는 안테나(93)로부터 기억 소자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전파를 변조된 상태로 송신하는 한편, 이 전파를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 내의 안테나(95)로 수신하여 복조한다. 한편, 기억 소자에 기억된 분주된 정보가 변조되어 변조된 상태로 안테나(95)로부터 송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는, 안테나(95)로서 기능하는 안테나 코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키는 LC 공진 회로(110), 통신부(92)의 안테나(93)로부터 송신되어 LC 공진 회로에 의해 수신된 전파에 기초하여 동작 전력을 발생시키는 전원 회로(111),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 회로(112),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소자(113),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로 송신될 정보를 변조하는 변조 회로(114), 및 이들 소자들을 제어하는 CPU(115)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통신부(92)는, 안테나(93),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정보를 기록하는 데 이용하는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변조/복조 회로(116),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U(117), ROM(118), 및 RAM(119) 또는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에 의해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소정 주파수의 전파는, 예를 들어 13.56MHz의 주파수일 수 있다. 통신부(92)의 통신가능 범위는 이용되는 전파의 세기에 따라 가변된다. 미약 전파의 경우에는 약 2 내지 4cm의 범위이고, 저전력 전파인 경우에는 약 25cm이다. 통신부(92)의 통신가능 범위가 약 2 내지 4cm의 범위일 수 있도록 미약 전파가 이용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92)와 통신하는 현상 장치(5)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92)에 근접한 위치(대략 2 내지 4cm의 거리)로 이동(회전)한다. 통신부의 통신가능 범위가 약 25cm일 수 있도록 저전력 전파가 이용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92)와의 통신은 회전식 현상 장치(5)의 현상 유닛(5Y, 5M, 5C, 5K)의 위치에 상관없이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식 현상 장치(5) 내의 현상 유닛(5Y, 5M, 5C, 5K)은 현상 유닛의 현상제 카트리지(50)에 부착된 기억 소자 부재(91)의 ID 코드 등에 의해 서로 구별된다. 통신부(92)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된 소정 주파수의 전파는 예를 들어 약 125kHz의 주파수일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로서는, 도 8 및 9에 도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50)측의 기억 소자 부재(91)는 그 자체의 전원을 갖고 있지 않다. 기억 소자 부재(91)는 통신부(92)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수신 안테나(95)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 전자기 유도의 기능에 의해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억된 정보를 본체측의 통신부(92)로 송신하기 위한 전력을 얻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각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의 비사용 메모리 영역 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재기록가능 및 재기록 불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 내에 기억된 정보는 장치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장치 본체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제어는 교환 부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교환 부품 및 이들 복수의 교환 부품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갖는다. 복수의 교환 부품은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가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로 각각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 소자(94)의 메모리 영역(100)은 재기록 가능 영역(101) 및 재기록 불가능 영역(102) 을 포함하고,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기억 소자(94)의 재기록 영역(101) 내의 비사용 메모리 영역(101a)에 기록될 수 있다.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기억 소자(94)의 재기록 가능 영역(101) 내의 비사용 메모리 영역(101a)에 기록된다. 토너의 종류 또는 색을 표시하는 ID 코드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기억 소자(94)의 메모리 영역(100) 내의 재기록 불가능 영역(102)에 기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장착되어 있는 현상 장치(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 장치(5)의 회전 이동은 현상 장치(5)의 현상 유닛 각각에 설치된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 부재(91)가 장치 본체 상의 통신부와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 상의 통신부(92)는 이면측의 장치 본체(1)에 미리 설치된 회로 기판(10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도 12는 상술한 컬러 프린터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에서, 참조 번호 91은 현상제 카트리지(50)에 설치된 기억 소자 부재를 나타내고, 92는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이며, 93은 통신부(92)의 안테나이고, 94는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 부재(91)의 안테나이며, 95는 풀 컬러 프린터의 화상 형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MCU이고, 96은 MCU(95)가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이며, 97은 MCU(95)가 제어 동작을 수행 하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RAM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에서는, 교환 부품의 정보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장치 본체에 입력되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가 제어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교환 부품을 접속하는 방향이 제약되지 않고, 교환 부품의 조작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장치 또는 교환 부품의 사이즈 및 비용이 증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환 부품의 정보가 장치 본체에 확실히 입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프린터에서는, MCU(95)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를 수행한다. 우선, 전원이 온(on)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101). 장치 본체(1)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인터록 스위치 등이 오프이고 전원이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한 도어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102).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한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경우,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한 도어가 폐쇄될 때까지 제어를 대기한다(단계 ST102). 전원이 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MCU는 단계 ST103으로 진행한다.
그 후, 전원이 온되거나 또는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한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MCU는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를 통해 소위 "CRUM"이라 불리는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매체 부재(91)와 통신하고(단계 ST103),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매체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여 이 ID 코드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104). 여기서, 현상제 카트 리지(50)의 ID 코드는 토너의 종류 또는 색마다 설정된 개개의 키(숫자)로 표현된다.
그 후,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매체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ID 코드가 소정의 코드, 즉 여기서는 "1"이 아닌 경우, MCU는 즉시 장치를 정지시키고(단계 ST105), 소정의 현상제 카트리지(50)와 다른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장착된 것의 표시를 제어 패널의 표시부 상에 또는 LAN 등을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단계 ST106).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교환 부품의 수보다도 큰 수의 기억 매체를 검출한 경우의 상태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 후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50)의 ID 코드가 "1"인 것으로 MCU가 판정한 경우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매체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새로운 카트리지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T107).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새로운 카트리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50)의 라이프 카운터(소프트웨어 카운터)를 클리어하고(단계 ST108), 인쇄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T109).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새로운 카트리지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50)의 라이프 카운터(소프트웨어 카운터)를 클리어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T109).
이 때, 인쇄 동작과 연관하여 현상제의 사용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카운트업한 후(단계 ST110), 인쇄 작업(JOB)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111). 인쇄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MCU는 단계 ST109로 복귀하여 인쇄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ST109). 인쇄 작업이 완료된 경우, MCU는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CRUM"이라 불리는 기억 매체 부재(91)와 통신하고, 데이터를 카운터에 기록하여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매체 부재(91) 내의 기억 소자(94) 내의 현상제의 사용량을 카운트하고(단계 ST112)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카트리지(50)에는 현상제 카트리지(50)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소자(94)가 설치되어 있어, 기억 소자(94)에 기억된 정보가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92)에 의해 장치 본체 상에서 적어도 판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현상제 카트리지(50)에 설치된 기억 소자(94)와 장치 본체측은 전파를 통해 통신부(92)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부품인 현상제 카트리지(50)를 장착하는 방법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94)에 정보 송신용 드로워 커넥터가 불필요하므로, 기억 소자(94)의 사이즈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어, 교환 부품 자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설치되고, 이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94)에 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의 통신부로서 단일의 통신부(92)가 사용된다. 따라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94)에 대하여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가 하나만 필요하므로, 장치의 사이즈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94)와 장치 본체 간에서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92)는 소정의 파장을 갖는 전파를 이용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기억 소자(94)와 장치 본체가 비접촉 상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측과의 통신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소자(94) 내의 비사용 메모리 영역(101a) 내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50)의 사용 상태가 기억 소자(94)에 입력될 수 있어, 한번 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50)가 장치에 재장착된 경우에도 최적의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소자(94) 내의 메모리 영역은 재기록 가능 영역(101) 및 재기록 불가능 영역(10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억 소자(94) 내의 메모리 영역(100)에 설치된 재기록 불가능 영역(102)에 기억된 정보가 제조 날짜, 재사용 회수, 및 사용 지역 등의 정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상 장치의 본체가 교환 부품의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교환 부품의 기억된 특성 정보가 부주의하게 소거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의 불편함이 회피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소자(94) 내의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가 기록 및 판독만 될 수 있도 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현상제 카트리지(50) 내의 현상제를 소비할 때마다, 현상제 카트리지(50)의 기억 소자(94) 내의 메모리 영역(100)에 정보가 기록되어, 메모리 영역(100)이 완전히 기록된 경우에는 카트리지(50)가 사용 완료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는 교환 부품의 특성에 따라 최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교환 부품의 특성이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하게 소거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 본체의 불편함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교환 부품과,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갖는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는 이동 장치에 의해 통신해야 할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 상태로 설치된 4개의 토너 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를 갖는다. 이들 토너 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에는 각각 기억 소자 부재(91Y, 91M, 91C, 91K)가 부착된다.
4개의 토너 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의 이면측에는, 이들 4개의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으로 스레드 축(threaded shaft)(121)이 설치된다. 스레드 축(121)은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부(12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는 스크류 방식으로 스레드 축(121)에 장착되어, 스레드 축(121)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가 왕복운동 한다.
또한,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123)가 스레드 축(121)의 단부에 설치되고, 위치 검출 센서(123)로부터의 신호가 제어 회로(124)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22)가 제어 회로(124)에 의해 반전되며,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를 위치 검출 센서(123)가 턴온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위치 검출 센서(123)가 턴온되면, 구동부(122)는 구동 동작을 정지한다.
제어 회로(124)는 소정 시간 동안 구동부(122)를 구동(정상 회전)시키고,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를 이 안테나(93)가 정지하는 홈 포지션(home position)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어 회로(124)는 소정 시간 동안 구동부(122)를 구동(정상 회전)시키고,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를 기억 소자 부재와의 통신을 위한 황색 토너 카트리지(120Y) 내의 기억 소자 부재(19Y)와의 통신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마찬가지로 제어 회로(124)는 소정 시간 동안 구동부(122)를 구동(정상 회전)시키고,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를 기억 소자 부재와의 통신을 위한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 카트리지(120M, 120C, 120K) 내의 기억 소자 부재(91M, 91C, 91K)와의 통신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92)의 안테나(93)는 최종적으로 홈 포지션으로 복귀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의 통신 가능 범위는 장치 본체의 외형 사이즈 내로 설정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측의 통신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교환 부품의 수보다 큰 수의 기억 매체를 검출한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의 정보가 장치 본체의 제어에 반영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 부품에 설치된 기억 매체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와의 통신은 전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에 의해 행하여지므로, 교환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교환 부품의 기억 매체에 드로워 커넥터가 불필요하므로, 기억 매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교환 부품 자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9)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교환 부품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주기적인 교환 부품;
    상기 주기적인 교환 부품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단일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및
    상기 교환 부품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단일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교환 부품의 1개가 상기 장치 본체 측에 설치된 단일의 통신부와 통신할 때,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1개의 교환 부품을 상기 단일의 통신부가 통신을 행하는 통신 가능 범위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 장치는 다른 교환 부품을 단일의 통신부의 통신 가능 범위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파장을 갖는 전파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본체측으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비사용 메모리 영역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는 재기록 가능 영역 및 재기록 불가능 영 역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의 메모리 영역은 기록 및 판독만을 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의 메모리 영역 내에 본래 기억된 정보는 재기록 또는 소거가 불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는 미리 규정된 코딩 방법에 따른 코딩 형태로 내부 정보를 보유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는 상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본체의 동작은 상기 교환 부품의 종류에 따라 변화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에 미리 설치된 회로 기판에 일체적으 로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가능한 교환 부품의 수보다 큰 수의 기억 매체를 검출한 경우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가능한 교환 부품의 수보다 큰 수의 기억 매체를 검출한 경우, 상기 기억 매체 내의 정보가 상기 본체의 제어에 반영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의 상기 기억 매체는 상기 교환 부품에 부착된 레이블과 일체적으로 상기 교환 부품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10049553A 2000-08-18 2001-08-17 화상 형성 장치 KR100662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8713A JP3893861B2 (ja) 2000-08-18 2000-08-18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交換部品
JPJP-P-2000-00248713 2000-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762A KR20020014762A (ko) 2002-02-25
KR100662828B1 true KR100662828B1 (ko) 2006-12-28

Family

ID=1873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553A KR100662828B1 (ko) 2000-08-18 2001-08-1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490422B2 (ko)
JP (1) JP3893861B2 (ko)
KR (1) KR100662828B1 (ko)
CN (1) CN12182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578B2 (en)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778110B2 (ja) * 2002-03-19 2006-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部品
US7128380B2 (en) 2002-04-10 2006-10-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liquid containe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cartridge collecting apparatus
EP1498783A4 (en) * 2002-04-16 2010-03-31 Seiko Epson Corp PICTURE GENERATION DEVICE, DEVELOPMENT UNIT AND COMPUTER SYSTEM
WO2003087952A1 (en) * 2002-04-16 2003-10-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ation device, development unit, and computer system
US20060098223A1 (en) * 2002-05-21 2006-05-11 Ken Yoshizuka Image former and computer system
WO2003098355A1 (en) * 2002-05-21 2003-11-2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ation device, developing unit, and computer system
JP4147832B2 (ja) * 2002-06-17 2008-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部品
US6873802B2 (en) * 2002-06-17 2005-03-29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s of verifying requirement for replacement of a main unit and of a component of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judging advisability of recommendation for replacement
AU2003298612A1 (en) * 2002-11-19 2004-06-15 William D. Himes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rim
JP2004170863A (ja) 2002-11-22 2004-06-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交換部品の管理方法、並びに交換部品の管理プログラム
JP2004205660A (ja) * 2002-12-24 2004-07-22 Oki Data Corp 消耗品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6489B2 (ja) * 2003-03-1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50007812A1 (en) * 2003-06-03 2005-01-1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image
JP4328135B2 (ja) * 2003-06-13 2009-09-0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US7315700B2 (en) 2003-07-09 2008-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optimum outputting according to the grade of consumables
JP2005156664A (ja) * 2003-11-21 2005-06-16 Oki Data Corp 印刷装置
JP4380309B2 (ja) * 2003-12-0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260346B2 (en) * 2004-05-24 2007-08-21 Himes William D Developer cartridge with a geometr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shutter
JP4108065B2 (ja) * 2004-06-16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60034626A1 (en) * 2004-08-13 2006-02-1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updat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4476749B2 (ja) * 2004-09-06 2010-06-09 株式会社沖データ 電子装置
JP2006072181A (ja) * 2004-09-06 2006-03-1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US20060056867A1 (en) * 2004-09-06 2006-03-1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0101B2 (ja) * 2005-03-16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4346533B2 (ja) * 2004-09-24 2009-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85554B2 (en) 2004-12-09 2011-02-08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photoconductor unit
KR100694075B1 (ko) * 2004-12-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20060092541A (ko) *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20060285132A1 (en) * 2005-06-21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85449B2 (ja) * 2005-06-22 2009-06-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70040876A1 (en) * 2005-08-22 2007-02-22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consummable item and a printing device using radio frequency
JP4681489B2 (ja) * 2006-03-31 2011-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76872B2 (ja) * 2007-01-31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738823B2 (en) 2007-05-09 2010-06-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lizing downsizing of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US8369738B2 (en) * 2008-09-09 2013-02-0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013916A1 (en) * 2009-07-20 2011-01-2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unit cartridge, and method of managing replacement life of process unit cartridge
JP5353524B2 (ja) * 2009-07-23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1606B2 (ja) * 2009-07-23 2014-07-0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532542B2 (en)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KR200453775Y1 (ko) * 2009-09-18 2011-05-27 전상준 수위조절형 수문
TWI407272B (zh) * 2010-06-23 2013-09-01 Gen Plastic Ind Co Ltd Toner Cartridge
JP5891708B2 (ja) * 2011-10-28 2016-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9075372B2 (en) * 2013-03-15 2015-07-07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ing a customer replaceable unit (CRU) to alter an installation type for the CRU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JP6394530B2 (ja) * 2015-07-30 2018-09-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17699B2 (en) 2015-10-09 2018-03-13 Lexmark International, Inc.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imaged through two faces
US20170100862A1 (en) 2015-10-09 2017-04-13 Lexmark International, Inc. Injection-Molded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US9929864B2 (en) 2015-10-09 2018-03-27 Lexmark International, Inc. Rotating magnetic measurements of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
US10410779B2 (en) 2015-10-09 2019-09-1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making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 having magnetic and non-magnetic particles
US9665748B1 (en) 2016-08-03 2017-05-30 Lexmark International, Inc. Magnetic helical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measured adjacent to flight
ES2870459T3 (es) * 2016-11-09 2021-10-27 Lexmark Int Inc Recambio para un dispositivo de formación de imágenes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recambio que comprende una función física helicoidal no clonable
USD812681S1 (en) * 2016-12-09 2018-03-13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USD812680S1 (en) * 2016-12-09 2018-03-13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US10102466B2 (en) 2016-12-09 2018-10-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agnetic keys having a plurality of magnet layers with holes
US20190139909A1 (en) 2017-11-09 2019-05-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 in Integrated Circuit Chip Packaging for Security
JP2023030870A (ja) * 2021-08-24 2023-03-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収容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329A (ja) * 1998-05-27 1999-12-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7595B2 (ja) * 1998-12-22 2003-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329A (ja) * 1998-05-27 1999-12-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9724A (zh) 2002-03-13
US20020021909A1 (en) 2002-02-21
JP3893861B2 (ja) 2007-03-14
USRE40452E1 (en) 2008-08-05
JP2002062784A (ja) 2002-02-28
KR20020014762A (ko) 2002-02-25
CN1218228C (zh) 2005-09-07
US6490422B2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28B1 (ko) 화상 형성 장치
EP1329777B1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ation apparatus
US70316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for replacement part used therefor, and management program for replacement part
US8676073B2 (en) Toner transportation device, toner cas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transportation device
KR100690534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
US7330671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discriminating unit and attached with replacement unit
JP200532673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141316B2 (ja) 画像形成装置
EP185019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26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2448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4098749A (ja) 画像形成装置
JP431403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729867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735799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43352B2 (ja) 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81295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131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