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324B1 -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324B1
KR100634324B1 KR1020047005445A KR20047005445A KR100634324B1 KR 100634324 B1 KR100634324 B1 KR 100634324B1 KR 1020047005445 A KR1020047005445 A KR 1020047005445A KR 20047005445 A KR20047005445 A KR 20047005445A KR 100634324 B1 KR100634324 B1 KR 10063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unit
developing
developer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715A (ko
Inventor
요시즈카겐
다카하타도시야
이리에요이치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9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for auto-setting of process parameters, lifetime, us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having lifetime indic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예를 들어, 소자를 갖는 현상 유닛 등에 정보를 정확하게 기입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얻는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와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될 수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지 않을 때, 기입 부재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IMAGE FORMATION DEVICE, DEVELOPMENT UNIT, AND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메모리를 구비한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 유닛에 구비된 소자에 대하여 정보의 기입이나 판독이 행하여진다.
또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갖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교류 전압 공급부로부터 현상 장치나 대전 장치(charging device) 등에 교류 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잠상(latent image)의 현상이나, 감광체의 대전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메모리에 대한 정보의 기입이나 판독는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현상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토너 잔량 정보를 기입할 때에, 잘못된 정 보를 기입해 버리면, 현상 유닛 내의 토너 잔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자를 갖는 현상 유닛 등에 대하여, 정확히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자에 대하여, 정확히 통신할 수 있는 현상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주된 본 발명은,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주된 본 발명은,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감광체 유닛 착탈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주된 본 발명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大徑部)로서,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developer bearing body)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주된 본 발명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목적, 및,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도 1은 프린터 본체(10a)에 대한,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의 착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프린터(1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프린터(10)에 마련된 제어 유닛(100)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롤러(510)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투시도,
도 6(b)는 소자 및 송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감광체 유닛(75)에 구비된 소자(54a)가 갖는 메모리 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b)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c)는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로의 정보의 기입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을 현상 롤러(2510)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a)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b)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이용한 주된 부호의 범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10 : 프린터(printer)
10a : 프린터 본체(printer unit)
10b : 제 1 개폐 커버(first open/close cover)
10c : 제 2 개폐 커버(second open/close cover)
10d :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photoconductor unit attach/detach opening)
10e : 현상 유닛 착탈 개구(developing unit attach/detach opening)
20 : 감광체(photoconductor)
30 : 대전 유닛(charging unit)
40 : 노광 유닛(exposing unit)
50 : YMCK 현상 장치(YMCK developing device)
51 : 시안 현상 유닛(cyan developing unit)
52 : 마젠타 현상 유닛(magenta developing unit)
53 : 블랙 현상 유닛(black developing unit)
54 : 옐로우 현상 유닛(yellow developing unit)
51a, 52a, 53a, 54a : 소자(elements)
54b : 비접촉 IC 칩(noncontact IC chip)
54c : 공진용 콘덴서(resonant capacitor)
54d : 안테나(antenna)
54e : 정류기(rectifier)
54f : 신호 해석부 RF(signal analysis section RF)
54g : 제어부(controller)
54h : 메모리 셀(memory cell)
55 : 로터리(rotary)
55a : 중심축(central shaft)
55b, 55c, 55d, 55e : 착탈부(attach/detach sections)
60 : 1차 전사 유닛(first transferring unit)
70 : 중간 전사체(intermediate transferring body)
75 : 감광체 유닛(photoconductor unit)
75a : 소자(element)
76 :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
76a : 폐 토너 수용부(waste toner containing section)
80 : 2차 전사 유닛(second transferring unit)
90 : 정착 유닛(fusing unit)
92 : 급지 트레이(paper supply tray)
94 : 급지 롤러(paper supply roller)
95 : 표시 유닛(display unit)
96 : 레지스트 롤러(resist roller)
100 : 제어 유닛(control unit)
101 : 메인 콘트롤러(main controller)
102 : 유닛 콘트롤러(unit controller)
112 : 인터페이스(interface)
113 : 화상 메모리(image memory)
120 : CPU
121 :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
122 : 본체측 메모리(기억 소자)(printer-side memory(storage element))
123 : 송수신 회로(send/receive circuit)
124a : 본체측 안테나(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printer-side antenna(for communicating with photoconductor unit element))
124b :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printer-side antenna(for communicating with developing unit element))
125 :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YMCK developing device drive control circuit)
126a : 교류 전압 공급부(AC voltage supply section)
126b : 직류 전압 공급부(DC voltage supply section)
127 :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exposing unit drive control circuit)
127a : 화소 카운터(pixel counter)
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developing roller(developer bearing roller))
520 : 밀봉 부재(seal member)
524 : 밀봉 가압 부재(seal urging member)
522 : 밀봉 지지 판금(seal support metal plate)
530 : 제 1 토너 수용부(first toner containing section)
535 : 제 2 토너 수용부(second toner containing section)
540 : 하우징(housing)
541 : 개구(opening)
545 : 규제 벽(restriction wall)
550 : 토너 공급 롤러(토너 공급 부재)(toner supply roller(toner supplying member))
560 : 규제 블레이드(restriction blade)
560a : 고무부(rubber section)
560b : 고무 지지부(rubber support section)
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blade support metal plate)
570 : 블레이드 이부재(裏部材)(blade backing member)
1000 :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
1102 : 컴퓨터 유닛(computer unit)
1104 : 표시 장치(display device)
1106 : 프린터(printer)
1108 : 입력 장치(input device)
1108A : 키보드(keyboard)
1108B : 마우스(mouse)
1110 : 판독 장치(reading device)
1110A :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flexible disk drive device)
1110B : CD-ROM 드라이브 장치(CD-ROM drive device)
1202 : 내부 메모리(inter memory)
1204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hard disk drive unit)
T : 토너(toner)
RS : 동기용 판독 센서(read sensor for synchronization)
2051 : 시안 현상 유닛(cyan developing unit)
2052 : 마젠타 현상 유닛(magenta developing unit)
2053 : 블랙 현상 유닛(black developing unit)
2054 : 옐로우 현상 유닛(yellow developing unit)
2051a, 2052a, 2053a, 2054a : 소자(elements)
2124b :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printer-side antenna(for communicating with developing unit element))
2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developing roller(developer bearing roller))
2512 : 회전축(rotating shaft)
2514 : 대직경부(large diameter section)
2520 : 밀봉 부재(seal member)
2524 : 밀봉 가압 부재(seal urging member)
2522 : 밀봉 지지 판금(seal support metal plate)
2530 : 제 1 토너 수용부(first toner containing section)
2535 : 제 2 토너 수용부(secont toner containing section)
2540 : 하우징(housing)
2541 : 개구(opening)
2545 : 규제 벽(restriction wall)
2550 : 토너 공급 롤러(토너 공급 부재)(toner supply roller(toner supplying member))
2560 : 규제 블레이드(restriction blade)
2560a : 고무부(rubber section)
2560b : 고무 지지부(rubber support section)
2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blade support metal plate)
2570 : 블레이드 이부재(blade backing member)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등의 정보를 상기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에 적절히 기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편, 교류 전압을 공급 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는, 전자적 노이즈가 그 주위에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현상제 담지체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대전 부재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detaching position)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면 상기 현상 유닛 내의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관한 정보가 소자에 기입되기 전에 상기 현상 유닛이 분리되어버리면,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기입 부재가 현상제의 잔량 등의 정보를 기입하므로, 가령 착탈 개구를 거쳐서 현상제 유닛이 분리되었다고 해도,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이,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에 의한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지면, 상기 현상 유닛 내의 현상제는 감소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기입 부재가 정보를 기입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의 소자에는, 현상에 의해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기초한 잔량 등의 정보가 기입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이동체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예컨대,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후에 강제적으로 현상 유닛이 분리된 경우 등이더라도, 상기 소자에는 이미 정보가 기입되어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진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 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소자에 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보다도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비접촉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로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현상을 행함에 따라서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감소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잔량을 소자에 적절히 기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잔량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설치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로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현상을 행함에 따라서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감소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사용량을 소자에 적절히 기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사용량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복수의 상기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이동체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며,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설치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로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실현 할 수 있다.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감광체 유닛 착탈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더라도 좋다.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이 감광체 착탈부 에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감광체 유닛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감광체 유닛에 마련된 소자에 적절히 기입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편,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는, 전자적 노이즈가 그 주위에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현상제 담지체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유닛은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 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대전 부재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현상 유닛이며,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복수의 현상 유닛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현상 유닛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 개구를 거친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현상 유닛 착탈부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해져,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현상 유닛 착탈부에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현상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감광체 유닛이 소자를 갖고, 이 소자에 현 상 유닛에 관련된 정보를 기입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되어 버리면, 상기 소자에 기억되는 정보가 부정확한 것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감광체 유닛이 갖는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기입 부재가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보를 기입하므로, 가령 착탈 개구를 거쳐서 현상제 유닛이 불필요하게 분리되었다고 해도, 소자에 기억된 정보의 정확성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에 의한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지면, 상기 현상 유닛 내의 현상제는 감소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감광체 유닛이 갖는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기입 부재가 정보를 기입한다. 따라서, 예컨대, 감광체 유닛이 갖는 소자에, 현상에 의해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기초한 잔량 등의 정보를 기입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이동체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예컨대,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후에 강제적으로 현상 유닛이 분리된 경우 등이더라도, 상기 소자에는 이미 정보가 기입되어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진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소자에 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보다도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므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비접촉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퓨터 유닛과, 상기 컴퓨터 유닛과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하되,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도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유닛과, 상기 컴퓨터 유닛과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감광체 유닛 착탈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되,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도 실현 할 수 있다.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 유닛에 따르면, 상기 소자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 등에 의해 전자적 노이즈가 발생했다고 해도, 이러한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으로의 영향도는 현저해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자를 설치하기 쉬운 위치에 구비한 현상 유닛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복수의 착탈부를 구비한 회전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상기 착탈부에 착탈할 수 있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소자의 설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복수의 착탈부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상기 착탈부에 착탈할 수 있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현상용 본체 안테나의 설치도 용이해진다.
다음에,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소자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 등에 의해 전자적 노이즈가 발생했다고 해도, 이러한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으로의 영향도는 현저해지므로, 상술 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자를 설치하기 쉬운 위치에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소자의 설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현상용 본체 안테나의 설치도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를 갖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하고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면 상기 현상 유닛 내의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관한 정보가 소자에 기입되기 전에 상기 현상 유닛이 분리되어버리면,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때문에, 전자적 노이즈가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가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통신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소자 사이의 통신에 관한 환경이, 예컨대 접촉 상태에서 통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엄격해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현상 유닛은,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를 갖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입하고,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도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유닛, 컴퓨터 유닛에 접속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컴퓨터 유닛 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되,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을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도 실현 할 수 있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프린터)의 개요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라 칭함)(10)를 예로 들어, 그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터 본체(10a)에 대한,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의 착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프린터(1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X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도면이다. 또한, 도 1, 도 2에는, 화살표로써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컨대, 급지 트레이(92)는 프린터(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정착 유닛(90)은 프린터(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착탈 구성>
프린터 본체(10a)에는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을 착탈할 수 있다. 이들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이 프린터 본체(10a)에 장착됨으로써, 프린터(10)가 구성된다.
프린터 본체(10a)는, 개폐 가능한 제 1 개폐 커버(10b), 제 1 개폐 커버(10b)보다 내측에 마련되어 개폐 가능한 제 2 개폐 커버(10c), 감광체 유닛(75)을 착탈하기 위한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10d), 및, 현상 유닛(54)(51, 52, 53)을 착탈하기 위한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갖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 1 개폐 커버(10b)를 여는 것에 의해,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10d)을 거쳐서 감광체 유닛(75)을 프린터 본체(10a)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개폐 커버(10c)를 여는 것에 의해,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현상 유닛(54)(51, 52,·53)을 프린터 본체(10a)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프린터(10)의 개요>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이 프린터 본체(10a)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프린터(10)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프린터(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인 감광체(2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대전 유닛(30), 노광 유닛(40), YMCK 현상 장치(50), 1차 전사 유닛(60), 중간 전사체(70), 클리닝 블레 이드(76)를 갖고, 또한, 2차 전사 유닛(80), 정착 유닛(90), 사용자로의 보지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유닛(95), 및, 이들 유닛 등을 제어하여 프린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도 3)을 갖고 있다.
감광체(20)는, 원통형의 도전성 기재와 그 외주면에 형성된 감광층을 갖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 유닛(30)은, 감광체(20)를 대전하기 위한 장치이며, 노광 유닛(40)은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대전된 감광체(20)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노광 유닛(40)은, 반도체 레이저, 다각형 미러, F-θ 렌즈 등을 갖고 있고,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변조된 레이저를 대전된 감광체(20) 상에 조사한다.
YMCK 현상 장치(50)는, 이동체로서의 로터리(55)와, 이 로터리(55)에 장착된 4개의 현상 유닛을 갖고 있다. 로터리(55)는, 회전 가능하고, 4개의 현상 유닛(51, 52, 53, 54) 각각을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착탈할 수 있는, 4개의 착탈부(55b, 55c, 55d, 55e)를 구비하고 있다.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51)은 착탈부(55b)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고,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52)은 착탈부(55c)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고,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53)은 착탈부(55d)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고,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착탈부(55e)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로터리(55)는 회전하여, 착탈부(55b, 55c, 55d, 55e)에 각각 장착된 상기 4 개의 현상 유닛(51, 52, 53, 54)을 이동시킨다. 즉, 이 로터리(55)는, 장착된 4개의 현상 유닛(51, 52, 53, 54)을 중심축(55a) 주위를, 그들의 상대 위치를 유지한 채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감광체(20)에 형성된 잠상에, 현상 유닛(51, 52, 53, 54)을 선택적으로 대향시켜, 각각의 현상 유닛(51, 52, 53, 54)에 수용된 토너로, 감광체(20) 상의 잠상을 현상한다. 또, 각 현상 유닛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차 전사 유닛(60)은, 감광체(20)에 형성된 단색 토너 이미지를 중간 전사체(70)에 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4색의 토너가 순차적으로 전사되면, 중간 전사체(70)에 풀 컬러 토너 이미지가 형성된다.
중간 전사체(70)는 무한 벨트이며, 감광체(20)와 거의 같은 주(周) 속도로써 회전 구동된다. 중간 전사체(70)의 근방에는 동기용 판독 센서 RS가 설치된다. 이 동기용 판독 센서 RS는, 중간 전사체(70)의 기준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에서의 동기 신호 Vsync를 얻는다. 동기용 판독 센서 RS는 광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를 갖고 있다.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중간 전사체(7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에 의해서 수광되었을 때에, 동기용 판독 센서 RS는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이 펄스 신호는 중간 전사체(70)가 1회전할 때마다 하나 발생한다.
2차 전사 유닛(80)은, 중간 전사체(70) 상에 형성된 단색 토너 이미지나 풀 컬러 토너 이미지를 종이, 필름, 포(布) 등의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장치이 다.
정착 유닛(90)은,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단색 토너 이미지나 풀 컬러 토너 이미지를 종이 등의 기록 매체에 융착시켜 영구 이미지로 하기 위한 장치이다.
클리닝 블레이드(76)는 고무제이며, 감광체(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 클리닝 블레이드(76)는 1차 전사 유닛(60)에 의해서 중간 전사체(70) 상에 토너 이미지가 전사된 후에, 감광체(20) 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쓸어내어 제거한다.
감광체 유닛(75)은 1차 전사 유닛(60)과 노광 유닛(40) 사이에 마련되어, 감광체(20),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75a), 대전 유닛(30), 클리닝 블레이드(76), 및, 클리닝 블레이드(76)에 의해 경락된 토너를 수용하는 폐 토너 수용부(76a)를 갖고 있다. 또, 소자(75a)는 기입된 각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유닛(10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콘트롤러(101)와, 유닛 콘트롤러(102)로 구성되며, 메인 콘트롤러(101)에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어, 이 화상 신호에 근거하는 지령에 따라 유닛 콘트롤러(102)가 상기 각 유닛 등을 제어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프린터(10)의 동작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0)의 동작에 대하여, 다른 구성 요소도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112)를 거쳐서 프린터(10)의 메인 콘트롤러(101)에 입력되면, 이 메인 콘트롤러(101)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는 유닛 콘트롤러(102)의 제어에 의해 감광체(20), 및 중간 전사체(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 RS에 의해 중간 전사체(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이 펄스 신호는, 직렬 인터페이스(121)를 거쳐서 유닛 콘트롤러(102)에 보내어진다. 유닛 콘트롤러(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한다.
감광체(20)는 회전하면서, 대전 위치에서 대전 유닛(30)에 의해 순차적으로 대전된다. 감광체(20)의 대전된 영역은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 노광 위치에 도달하고,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제 1 색조, 예컨대 옐로우 Y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상기 영역에 형성된다.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은,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 현상 위치에 도달하여,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해서 옐로우 토너로 현상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옐로우 토너 이미지가 형성된다.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옐로우 토너 이미지는,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 1차 전사 위치에 도달하여, 1차 전사 유닛(60)에 의해서 중간 전사체(70)에 전사된다. 이 때, 1차 전사 유닛(60)에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는 반대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또, 이 사이 2차 전사 유닛(80)은 중간 전사체(70)로부터 이간(離間)되어 있다.
상기 처리가, 제 2 색조, 제 3 색조 및 제 4 색조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됨으로써, 각 화상 신호에 대응한 각 색의 토너 이미지가, 중간 전사체(70)에 겹쳐 전사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체(70) 상에는 풀 컬러 토너 이미지가 형성된다.
중간 전사체(70) 상에 형성된 풀 컬러 토너 이미지는, 중간 전사체(70)의 회전에 따라 2차 전사 위치에 도달하여, 2차 전사 유닛(80)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또, 기록 매체는, 급지 트레이(92)로부터, 급지 롤러(94), 레지스트 롤러(96)를 거쳐서 2차 전사 유닛(80)으로 반송된다. 또한, 전사 동작을 행할 때, 2차 전사 유닛(80)은 중간 전사체(70)에 가압됨과 동시에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기록 매체에 전사된 풀 컬러 토너 이미지는, 정착 유닛(90)에 의해서 가열 가압되어 기록 매체에 융착된다.
한편, 감광체(20)는 1차 전사 위치를 경과한 후에, 클리닝 블레이드(76)에 의해서,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가 소제되어, 다음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에 대비한다. 소제된 토너는 폐 토너 수용부(76a)에 회수된다.
제어 유닛의 개요
다음에, 제어 유닛(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프린터(10)에 마련된 제어 유닛(100)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어 유닛(100)의 메인 콘트롤러(101)는, 인터페이스(112)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고, 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0)의 유닛 콘트롤러(102)는, 각 유닛(대전 유닛(30), 노광 유닛(40), 1차 전사 유닛(60), 감광체 유닛(75), 2차 전사 유닛(80), 정착 유닛(90), 표시 유닛(95)) 및 YMCK 현상 장치(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것들이 구비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의 상태를 검출하면서, 메인 콘트롤러(1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를 제어한다.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도 3에서는, 감광체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대전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127),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 1차 전사 유닛 구동 제어 회로, 2차 전사 유닛 구동 제어 회로, 정착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및, 표시 유닛 구동 제어 회로가 표시되어 있다.
노광 유닛(40)에 접속된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127)는, 현상제의 소비량을 검지하기 위한 소비량 검지 수단인 화소 카운터(127a)를 갖고 있다. 이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를 카운트한다. 또,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마련하더라도 좋고, 메인 콘트롤러(101)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또, 화소수란, 프린터(10)의 기본 해상도 단위의 화소수, 바꾸어 말하면, 실제로 인쇄하는 화상의 화소수이다. 토너 T의 소비량(사용량)은, 화소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화소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토너 T의 소비량을 검지할 수 있다.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에는, 교류 전압 공급부(126a)로부터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직류 전압 공급부(126b)로부터 직류 전압이 공급된다.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는, 이들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현상 롤러에 인가하여, 현상 롤러와 감광체 사이에 교번 전계를 형성한다.
또한, 유닛 콘트롤러(102)가 구비하는 CPU(120)는, 직렬 인터페이스(I/F)(121)를 거쳐서, 직렬 EEPROM 등의 비휘발성 기억 소자(이하, "본체측 메모리" 라 칭함)(1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20)는, 직렬 인터페이스(121), 송수신 회로(123), 및,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의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를 거쳐서, 각 현상 유닛(51, 52, 53, 54)에 마련된 소자(51a, 52a, 53a, 54a)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CPU(120)는, 직렬 인터페이스(121), 송수신 회로(123), 및, 본체측 안테나(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를 거쳐서,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에, 기입 부재(기입 수단)로서의 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는, 각 현상 유닛(51, 52, 53, 54)에 마련된 소자(51a, 52a, 53a, 54a)에 정보를 기입한다. 또한, 이 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는, 각 현상 유닛(51, 52, 53, 54)에 마련된 소자(51a, 52a, 53a, 54a)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 시에, 기입 부재(기입 수단)로서의 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에 정보를 기입한다. 또한, 이 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상 유닛의 개요
다음에, 도 4, 도 5를 이용하여, 현상 유닛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롤러(510)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5에도, 화살표로써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컨대,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YMCK 현상 장치(50)에는,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51),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52),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53) 및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설치되지만, 각 현상 유닛의 구성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현상제로서의 옐로우 토너 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530)·제 2 수용부(535), 소자(54a),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540),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510), 이 현상 롤러(510)에 토너 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550),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 T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560) 등이 설치된다.
하우징(540)은, 일체로 성형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등을 접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그 내부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도 5의 상하 방향) 연장시킨 규제 벽(545)에 의해, 제 1 수용부(530)와 제 2 수용부(535)로 분리되어 있다. 이들 제 1 수용부(530)와 제 2 수용부(535)는, 현상제로서의 토너 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530, 53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530)와 제 2 수용부(535)는, 상부가 연통되고, 규제 벽(545)에 의해 토너 T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 T를 교반(攪拌)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마련하더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55)의 회전에 따라 각 현상 유닛(시안 현상 유닛(51), 마젠타 현상 유닛(52), 블랙 현상 유닛(53),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회전하여, 이에 따라 각 현상 유닛 내의 토너 T가 교반되기 때문에,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는 교반 부재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
하우징(540)의 외면에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54a)가 설치된다. 소자(54a)는 기입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는, 하우징(540)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541)가 설치된다. 제 1 수용부(530)에는, 토너 공급 롤러(550)가, 그 주면(周面)을 상기 개구(541)에 맞대어 마련되고, 하우징(5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40)의 외측으로부터는, 개구(541)에 주면(周面)을 맞대어 현상 롤러(510)가 마련되고, 이 현상 롤러(510)는 토너 공급 롤러(550)에 접촉되어 있다.
현상 롤러(510)는, 토너 T를 담지하여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반송한다. 이 현상 롤러(51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등이나, 토너 담지 영역에는 샌드 블라스트 등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51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 능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체(20)의 회전 방향(도 5에 있어서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도 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중심축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510)와 감광체(20)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즉,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을 비접촉 상태로 현상한다. 또,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현상 롤러(510)와 감광체(20) 사이에 교번 전계가 형성된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 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한다. 이 토너 공급 롤러(550)는 폴리우레탄계 등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된 상태로 현상 롤러(510)에 접촉되어 있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 T는,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롤러(550)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그 중심축은 현상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550)는, 현상 롤러(510)의 회전 방향(도 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도 5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 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현상 후에 현상 롤러(510)에 잔존하고 있는 토너 T를 현상 롤러(510)로부터 벗겨내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560)는,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 T의 층 두께를 규제하 고, 또한,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 T에 전하를 부여한다. 이 규제 블레이드(560)는, 고무부(560a)와, 고무 지지부(560b)를 갖고 있다. 고무부(560a)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지지부(560b)는, 인 청동, 스테인레스 등의 탄성을 갖는 박판이다. 고무부(560a)는 고무 지지부(560b)에 지지되어 있고, 고무 지지부(560b)는 그 일단이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은, 후술하는 밀봉 프레임(526)에 고정되어, 규제 블레이드(560)와 동시에, 후술하는 밀봉 유닛(520)의 일부를 이루어 하우징(54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무부(560a)는 고무 지지부(560b)의 가요성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눌려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560)의 현상 롤러(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이부재(570)가 설치된다. 블레이드 이부재(570)는, 고무 지지부(560b)와 하우징(540) 사이에 토너 T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지지부(560b)의 가요성에 의한 탄성력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고무부(560a)의 맨 안쪽으로부터 고무부(560a)를 현상 롤러(510)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무부(560a)를 현상 롤러(510)에 누르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이부재(570)는 고무부(560a)의 현상 롤러(5l0)로의 균일 접촉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560)의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에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 즉, 선단(先端)은 현상 롤러(510)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선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이, 현상 롤러(510)에 폭을 가지고 접촉되어 있 다. 즉, 규제 블레이드(560)는, 현상 롤러(510)에 에지에서 접촉되어 있지 않고, 배부분에서 접촉되어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560)는, 그 선단이 현상 롤러(51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른바 카운터 접촉되어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560)가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이며, 또한, 토너 공급 롤러(55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이다.
밀봉 부재(520)는, 옐로우 현상 유닛(54) 내의 토너 T가 유닛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510) 상의 토너 T를 쓸어내지 않고 현상 유닛 내에 회수한다. 이 밀봉 부재(520)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이다. 밀봉 부재(520)는 밀봉 지지 판금(5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밀봉 지지 판금(522)을 거쳐서 프레임(54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520)의 현상 롤러(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가압 부재(524)가 마련되어 있고, 밀봉 부재(520)는, 밀봉 가압 부재(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눌려 있다. 또, 밀봉 부재(520)가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보다도 윗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있어서, 토너 공급 롤러(550)가, 현상제 수용부인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 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510)에 공급된 토너 T는, 현상 롤러(510)의 회전에 따라, 규제 블레이드(560)의 접촉 위치에 도달하여, 접촉 위치를 통과할 때에, 층 두께가 규제됨과 동시에, 전하가 부여된다.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 롤러(510) 상의 토너 T는, 현상 롤러(510)의 회전에 의해서, 감광체(20)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현상 위치에서 교번 전계 하에서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의 현상에 제공된다. 현상 롤러(510)의 회전에 의해서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510) 상의 토너 T는, 밀봉 부재(520)를 통과하여, 상기 밀봉 부재(520)에 의해서 쓸어내지 않고 현상 유닛 내에 회수된다.
소자의 구성
다음에, 도 6(a), 도 6(b), 도 7, 도 8을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 감광체 유닛에 마련된 소자의 구성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구성을 포함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6(b)는 소자 및 송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감광체 유닛(75)에 구비된 소자(54a)가 갖는 메모리 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옐로우 현상 유닛(54) 이외의 현상 유닛에 설치되는 소자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설치되는 소자(54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소자(54a)와 본체측 안테나(124b)가 소정 위치 관계, 예컨대, 상호 거리가 10mm 이내에 있으면, 서로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소자(54a)는 전체로서 극히 소형이면서 박형으로, 한 면에 점착성을 갖게 하여 밀봉해서 대상물에 점착시킬 수도 있다. 메모리 태그 등으로 불리고, 여러 종류가 시판되어 있는 것이다.
소자(54a)는, 비접촉 IC 칩(54b), 금속 피막을 에칭하여 형성된 공진용 콘덴서(54c), 및, 안테나(54d)로서의 평면 형상 코일을 갖고, 이들이 플라스틱 필름 상에 실장되고, 투명한 커버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10a)는, 본체측 안테나(124b)로서의 코일, 송수신 회로(123), 및, 프린터 본체(10a)의 제어부(CPU)(120)에 접속되는 직렬 인터페이스(121)를 갖고 있다.
비접촉 IC 칩(54b)은, 정류기(54e), 신호 해석부 RF(Radio Frequency)(54f), 제어부(54g), 메모리 셀(54h)을 갖고 있다. 메모리 셀(54h)은, NAND형 플래쉬 ROM 등 전기적으로 기입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의 메모리이며, 기입된 정보를 기억해 놓는 것, 및, 기억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것이다.
소자(54a)의 안테나(54d)와 본체측 안테나(124b)는,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여, 메모리 셀(54h)에 보존된 정보의 판독이나 메모리 셀(54h)로의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또한, 프린터 본체(10a)의 송수신 회로(123)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는 본체측 안테나(l24b)를 거쳐서 고주파 자계로서 유기된다. 이 고주파 자계는, 소자(54a)의 안테나(54d)를 거쳐서 흡수되고, 정류기(54e)에서 정류되어 IC 칩(54b) 내의 각 회로를 구동하는 직류 전력원이 된다.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00H에는, 소자의 시리얼 번호 등의, 소자마다 고유의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01H에는, 현상 유닛을 제조한 연월일이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2H에는, 현상 유닛의 발송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3H에는, 현상 유닛이 제조된 제조 라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4H에는, 현상 유닛이 대응 가능한 기종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5H에는,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양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서 토너 잔량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6H 이후의 영역에도 적절히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 기억되어 있는 ID 정보는, 기억 소자의 공장 제조 시에, 기입 처리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 ID 정보를 프린터(10) 본체에서 판독함으로써, 각각의 소자(54a, 51a, 52a, 53a)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감광체 유닛(75)에 설치되는 소자(75a)도 동일한 구성이다. 감광체 유닛(75)에 설치되는 소자가 갖는 메모리 셀에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00H에는, 소자의 시리얼 번호 등의, 소자마다 고유의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lH에는, 감광체 유닛을 제조한 연월일이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2H에는, 감광체 유닛의 발송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3H에는, 감광체 유닛이 제조된 제조 라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4H에는, 감광체 유닛이 대응 가능한 기종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5H에는, 감광체 유닛이 프린터 본체(10a)에 장착되었을 때의 프린터 본체(10a)의 누계 인쇄 매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 고, 어드레스 06H에는, 감광체 유닛이 수명에 도달하여 프린터 본체(10a)로부터 분리될 때의 프린터 본체(10a)의 누계 인쇄 매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7H에는, 그 감광체 유닛을 이용하여 컬러 인쇄를 한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8H에는, 그 감광체 유닛을 이용하여 흑백 사진 인쇄를 한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9H 영역에도 적절히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
다음에, 도 9(a), 도 9(b), 도 9(c)를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124b)의 관계에 대하여,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와의 관계를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마련된 소자(54a)가 본체측 안테나(124b)와 비접촉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본체측 안테나(124b)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자(54a)가 로터리(5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본체측 안테나(124b)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 소자(54a)는, 로터리(5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측 안테나(124b)는, 그 길이 방향(도 9(a)∼9(c)에서, Y 방향)이 로터리(55)의 회전 방향(도 9(a)∼9(c)에서, Z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체측 안테나(124b)를 배치함으로써, 본체측 안테나(124b)와 소자(54a)의 무선 통신이 효과적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즉, 도 9(a)에 나타낸 상태뿐만 아니라, 로터리(55)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도, 본체측 안테나(124b)는 소자(54a)와 무선 통신할 수 있고, 본체측 안테나(l24b)의 길이 방향을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르게 함으로써,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로터리(55)의 회전 각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체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가 정지하여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로터리(55)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소자(54a)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체측 안테나(124b)는 이동중인 소자(54a)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도 9(b)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착탈 가능한 착탈 위치에, 로터리(55)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착탈부(55e)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도 9(c)는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하여진 후에,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체측 안테나(124a)와 감광체 유닛(75)에 설치되는 소자(75a)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본체측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와 비접 촉 상태로 대향하고 있고(도 2 참조), 본체측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와 비접촉 상태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로터리(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착탈 위치(장착·분리 위치)
다음에, 마찬가지로 도 9(a)∼9(c)를 참조하면서, 로터리(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취득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로터리(55)가 Z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도 9(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 9(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가능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착탈 가능, 즉, 착탈부(55e)에 장착 또는 착탈부(55e)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터리(55)가 Z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로터리(55) 회전 방향 상류에 위치하는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 9(c)는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하여진 후에,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
다음에,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에 관해서, 도 l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 형성 처리 대기 단계(단계 1)>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면 소정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져, 프린터(10)는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형성 처리 명령인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112)를 거쳐서 프린터(10)의 메인 콘트롤러(101)에 입력되면, 감광체(20), 및 중간 전사체(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 RS에 의해 중간 전사체(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유닛 콘트롤러(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옐로우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3)>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옐로우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된 감광체 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5)>
로터리(55)를 회전시켜,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7)>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 현상된다.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좋고,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좋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9)>
소정 타이밍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옐로우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11)>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옐로우 토너의 소비량 YT를 구할 수 있다.
<옐로우 토너 잔량 판독·기억 단계(단계 13)>
RAM에 기억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가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잔량 YY로부터 소비량 YT를 감산한 값 YY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5)>
시안 현상 유닛(51)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소자(54a)로의 정보 기입 단계(단계 17)>
잔량 YY로부터 소비량 YT를 감산한 값 YYnew를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갖는 소자(54a)에 기입한다. 이 기입은, 본체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소자(54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실행된다. 또, 이 기입이 행하여질 때,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분리 가능한 분리 위치(착탈 위치)에는 도달되어 있지 않다.
<시안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19)>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시안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된 감광체 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21)>
시안 현상 유닛(51)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3)>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시안 토너로 현상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5)>
소정 타이밍에서,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시안 현상 유닛(51)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시안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6)>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시안 토너의 소비량 CT를 구할 수 있다.
<시안 토너 잔량 판독·기억 단계(단계 27)>
RAM에 기억되어 있는 시안 토너의 잔량 CC가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잔량 CC로부터 소비량 CT를 감산한 값 CC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29)>
마젠타 현상 유닛(52)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소자(51a)로의 정보 기입 단계(단계 31)>
잔량 CC로부터 소비량 CT를 감산한 값 CCnew를 시안 현상 유닛(51)이 갖는 소자(51a)에 기입한다. 이 기입은 본체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소자(51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실행된다. 또, 이 기입이 행하여질 때, 시안 현상 유닛(51)은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분리 가능한 분리 위치(착탈 위치)에는 도달되어 있지 않다.
<마젠타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33)>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마젠타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된 감광체 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35)>
마젠타 현상 유닛(52)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37)>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마젠타 토너로 현상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39)>
소정 타이밍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마젠타 현상 유닛(52)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마젠타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41)>
화소 카운터(127a)로부터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마젠타 토너의 소비량 MT를 구할 수 있다.
<마젠타 토너 잔량 판독·기억 단계(단계 43)>
RAM에 기억되어 있는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이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잔량 MM으로부터 소비량 MT를 감산한 값 MM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45)>
블랙 현상 유닛(53)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소자(52a)로의 정보 기입 단계(단계 47)>
잔량 MM으로부터 소비량 MT를 감산한 값 MMnew를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갖는 소자(52a)에 기입한다. 이 기입은, 본체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소자(52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실행된다. 또, 이 기입이 행하여질 때, 마젠타 현상 유닛(52)은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분리 가능한 분리 위치(착탈 위치)에는 도달되어 있지 않다.
<블랙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49)>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블랙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된 감광체 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51)>
블랙 현상 유닛(53)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53)>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블랙 토너로 현상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55)>
소정 타이밍에서,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블랙 현상 유닛(53)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블랙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57)>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블랙 토너의 소비량 BT를 구할 수 있다.
<블랙 토너 잔량 판독·기억 단계(단계 59)>
RAM에 기억되어 있는 블랙 토너의 잔량 BB가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잔량 BB로부터 소비량 BT를 감산한 값 BB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홈 포지션 이동 개시 단계(단계 61)>
로터리(55)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소자(53a)로의 정보 기입 단계(단계 63)>
잔량 BB로부터 소비량 BT를 감산한 값 BBnew를 블랙 현상 유닛(53)이 갖는 소자(53a)에 기입한다. 이 기입은, 본체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소자(53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실행된다. 또, 이 기입이 행하여질 때, 블랙 현상 유닛(53)은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분리 가능한 분리 위치(착탈 위치)에는 도달되어 있지 않다.
<인쇄 동작 종료 단계(단계 65)>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면 화상 형성 처리가 종료되고,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기입 부재인 본체측 안테나(124b)가 각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한다. 따라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이동체(55)의 이동에 의해,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로부터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착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소자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b)가 정보를 기입하므로, 현상 위치로부터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착탈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자에 기입하는 정보는, 토너 잔량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토너 사용량이더라도 좋고, 또, 현상 시간, 현상 매수 등이더라도 좋다.
<기입 타이밍의 상세>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는 일례에 불과하다.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기입 부재인 본체측 안테나(124b)가 각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임의로 고칠 수 있다. 예컨대, 소자로 의 정보 기입 단계는,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보다 전에 실행되더라도 좋다. 그 위에, 소자로의 정보 기입 단계는, 토너 잔량 판독·기억 단계에서 실행되더라도 좋다.
또한,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와의 관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기입 타이밍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 예컨대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면 옐로우 현상 유닛(54) 내의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관한 정보가 소자(54a)에 기입되기 전에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분리되어버리면,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동체인 로터리(55)의 이동에 의해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도 9(a) 참조)에 도달하고 나서 착탈 위치(도 9(b) 참조)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소자(54a)로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령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분리되었다고 해도,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이,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현상 위치에 도달한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마련된 현상 롤러(510)에 의한 잠상의 현상이 종료되고 나서,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갖는 소자(54a)에 대 하여, 본체측 안테나(124b)가 정보를 기입하면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예에 있어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한 후, 우선,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가능한 착탈 위치에 도달하고, 로터리(55)가 더 회전하면, 회전 방향 상류의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는 구성이지만,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한 후, 우선, 회전 방향 상류의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로터리(55)가 더 회전하면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착탈 가능한 착탈 위치에 도달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착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로터리 회전 방향 상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b)가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b)가 정보를 기입하므로, 예컨대,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한 후에 강제적으로 현상 유닛이 분리된 경우 등이더라도, 상기 소자에는 이미 정보가 기입되어 있게 된다.
이상,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대하여 설명한 기입 타이밍의 상세한 것은, 다른 색의 현상 유닛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감광체 유닛에 마련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
다음에,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로의 정보의 기입에 관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로의 정보의 기입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화상 형성 처리 대기 단계(단계 101)>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면 소정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져, 프린터(10)는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형성 처리 명령인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112)를 거쳐서 프린터(10)의 메인 콘트롤러(101)에 입력되면, 감광체(20), 및 중간 전사체(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 RS에 의해 중간 전사체(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유닛 콘트롤러(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03)>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105)>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107)>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 현상된다.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좋고,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좋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109)>
소정 타이밍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11)>
시안 현상 유닛(51)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113)>
시안 현상 유닛(51)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115)>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시안 토너로 현상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117)>
소정 타이밍에서,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시안 현상 유닛(51)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19)>
마젠타 현상 유닛(52)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121)>
마젠타 현상 유닛(52)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123)>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마젠타 토너로 현상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125)>
소정 타이밍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마젠타 현상 유닛(52)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27)>
블랙 현상 유닛(53)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129)>
블랙 현상 유닛(53)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터리(55)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131)>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이, 블랙 토너로 현상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133)>
소정 타이밍에서,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로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블랙 현상 유닛(53)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된다.
<소자(75a)로의 정보 기입 단계(단계 135)>
감광체 유닛(75)에 마련된 소자(75a)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a)를 이용하여, 컬러 인쇄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입한다. 이 컬러 인쇄 매수는, 프린터(10)에 의한 통산 컬러 인쇄 매수이더라도 좋고, 프린터 본체(10a)에 감광체 유닛(75)을 장착하고 나서 상기 감광체 유닛(75)을 이용하여 컬러 인쇄를 한 매수이더라도 좋다.
<인쇄 데이터 유무 판정 단계(단계 137)>
더 인쇄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103)>로 이행한다.
<홈 포지션 이동 개시 단계(단계 139)>
인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홈 포지션에 위치하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인쇄 동작 종료 단계(단계 141)>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면 화상 형성 처리가 종료되고, 화상 형성 처리 대기의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기입 부재인 본체측 안테나(124a)가 감광체 유닛(75)이 갖는 소자(75a)에 정보를 기입한다. 따라서,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자(75a)에 기입하는 정보는 컬러 인쇄 매수로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 개시 인쇄 매수, 사용 종료 인쇄 매수, 흑백 사진 인쇄 매수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각 현상 유닛의 토너 잔량 또는 사용량 등의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도 10에 있어서의 각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 기입 단계 대신에,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로의 정보 기입 단계를 마련하면 좋다.
또한, 현상 유닛(54)이 착탈 개구(10e)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로터리(55)의 이동에 의해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감광체 유닛(75)가 갖는 소자(75a)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a)가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분리 위치에 도 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현상 유닛의 로터리(55)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감광체 유닛(75)이 갖는 소자(75a)에 대하여, 본체측 안테나(124a)가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에 대한 기타 실시예
이상, 실시예 1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유닛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되어 얻어지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 이다.
<교류 전압 인가의 다른 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대전 유닛 구동 회로를 거쳐서 대전 유닛(3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대전 유닛(30)이 감광체(20)를 교번 전계 하에서 대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대전 유닛(3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본체측 안테나(124b)가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면 좋다. 이에 따라, 대전 유닛(30)으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1차 전사 유닛 구동 회로를 거쳐서 1차 전사 유닛(6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1차 전사 유닛(6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본체측 안테나(124b)가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면 좋다. 이에 따라, 1차 전사 유닛(60)으로의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교류 전압의 크기>
본 실시예는,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 의해 인가되는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가 큰 화상 형성 처리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예컨대,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가 1000볼트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진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교류 전압 공급부(l26a)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기입 부재가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교류 전압의 공급으로 인한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좋게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현상 유닛>
현상 유닛은, 상술한 실시예로 설명한 구성의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현상 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다. 현상 유닛은,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고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현상 유닛이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있지 않고, 상기 현상 유닛이 프린터 본체(10a)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현상제 담지 롤러로서는, 자성, 비자성, 도전성, 절연성, 금속, 고무, 수지 등, 현상제 담지 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재질적으로는,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브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린 고무, 네오프렌 고무, NBR 등의 고무, 스티롤 수지, 염화 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질의 상층부에 코팅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경우, 코팅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태로서는, 비탄성체, 탄성체, 단층, 다층, 필름, 롤러 등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는, 토너로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와 혼합된 2 성분의 현상제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토너 공급 부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재질로서는, 상술한 폴리우레탄계의 다른 것, 폴리스티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틸렌프로필렌계, 나일론계, 실리콘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토너 공급 수단의 발포 셀은 단포, 연포의 어느 쪽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계재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자세하게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 브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린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니트릴브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에 카본 등의 도전제를 분산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감광체 유닛>
감광체 유닛(75)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의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감광체 유닛(75)은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컨대, 대전 유닛(30)을 갖지 않고, 상기 대전 유닛이 프린터 본체(10a)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감광체는, 롤러 형상의 감광 롤러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형상이더라도 좋다.
<소자>
현상 유닛에 설치되는 소자, 및, 감광체 유닛에 설치되는 소자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안테나가 별도로 되어 있는 것 등이더라도 좋다.
<화상 형성 장치>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중간 전사형의 풀 컬러 레이 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중간 전사형 이외의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 흑백 사진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각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 등의 구성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일례인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입한 기록 매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l2는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컴퓨터 유닛(1102)와, 표시 장치(1104)와, 프린터(1106)와, 입력 장치(1108)와, 판독 장치(1110)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유닛(1102)는, 본 실시예에서는 미니 타워형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표시 장치(1104)는, CRT(Cathode Ray Tube : 음극선관)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프린터(1106)는, 상기에 설명된 프린터가 이용되고 있다. 입력 장치(1108)는,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1108A)와 마우스(1108B)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판독 장치(1110)는,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110A)와 CD-ROM 드라이브 장치(1110B)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MO(Magneto Optical)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나 DVD(Digital Versati1e Disk) 등의 다른 것이더라도 좋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컴퓨터 유닛(1102)가 수납된 케이스 내에 RAM 등의 내부 메모리(1202)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204) 등의 외부 메모리가 더 설치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린터(1106)가, 컴퓨터 유닛(1102),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와 접속되어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유닛(1102)와 프린터(1106)로 구성되더라도 좋고, 컴퓨터 시스템이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프린터(1106)가, 컴퓨터 유닛(1102),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의 각각의 기능 또는 기구의 일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좋다. 일 예로서, 프린터(1106)가,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각종 표시를 하는 표시부, 및, 디지털 카메라등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타를 기입한 기입 미디어를 착탈하기 위한 기입 미디어 착탈부 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하여 실현된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전체로서 종래 시스템보다도 우수한 시스템이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각 현상 유닛에 있어서의 소자(2051a, 2052a, 2053a, 2054a)의 배치가, 실시예 1과 다르다. 이하,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중 심으로 설명하지만,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의 구성 및 처리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는 것의 구성, 처리 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다.
현상 유닛의 개요
다음에, 도 14, 도 15를 이용하여, 현상 유닛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을 현상 롤러(2510)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15에도, 화살표로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예컨대, 현상 롤러(2510)의 중심축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표시되고 있다.
YMCK 현상 장치(50)에는,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2051),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2052),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2053) 및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설치되지만, 각 현상 유닛의 구성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20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은, 현상제로서의 옐로우 토너 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2530)·제 2 수용부(2535), 소자(2054a),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2540),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510), 이 현상 롤러(2510)에 토너 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2550), 현상 롤러(2510)에 담지된 토너 T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2560) 등이 설치된다.
하우징(2540)은, 일체로 성형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등을 접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그 내부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도 15의 상하 방향) 연장시킨 규제 벽(2545)에 의해, 제 1 수용부(2530)와 제 2 수용부(2535)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제 1 수용부(2530)와 제 2 수용부(2535)는, 현상제로서의 토너 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2530, 253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2530)와 제 2 수용부(2535)는, 상부가 연통되고, 규제 벽(2545)에 의해 토너 T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제 1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2535)에 수용된 토너 T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마련하더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55)의 회전에 따라 각 현상 유닛(시안 현상 유닛(2051), 마젠타 현상 유닛(2052), 블랙 현상 유닛(2053),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각 현상 유닛 내의 토너 T가 교반되기 때문에, 제 1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2535)에는 교반 부재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하우징(2540)의 외면에는 소자(2054a)가 설치된다. 이 소자(2054a)는 기입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1 수용부(2530)의 하부에는, 하우징(2540)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2541)가 설치된다. 제 1 수용부(2530)에는 토너 공급 롤러(2550)가 그 주면(周面)을 상기 개구(2541)에 맞대어 마련되고, 하우징(2540)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540)의 외측으로부터는, 개구(2541)에 주면(周面)을 맞대어 현 상 롤러(2510)가 마련되고, 이 현상 롤러(2510)는 토너 공급 롤러(2550)에 접촉되어 있다.
현상 롤러(2510)는 토너 T를 담지하여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반송한다. 이 현상 롤러(251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등이나, 토너 담지 영역에는 샌드 블라스트 등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2510)는 그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2510)는, 회전축(2512)과, 상기 회전축(2512)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2514)를 갖고 있다. 현상 롤러(2510)는, 상기 회전축(2512) 주위를 회전 가능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체(20)의 회전 방향(도 15에 있어서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도 1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축(2512)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2510)와 감광체(20)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즉,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은,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을 비접촉 상태로 현상한다. 또, 회전축(2512) 및 대직경부(2514)는 도전성을 갖고 있고,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상기 회전축(2512) 및 상기 대직경부(2514)에, 상술한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 인가되어, 현상 롤러(2510)와 감광체(20) 사이에 교번 전계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소자(2054a)는, 하우징(2540)의 외면중, 회전축(2512)의 축 방 향에서 대직경부(2514)보다도 외측에 설치된다. 소자(2054a)는, 회전축(2512)의 축 방향에서 대직경부(2514)보다도 외측이면, 현상 롤러(2510)의 축 방향에서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어느 쪽에 설치되더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방향을 상기 축 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상류측에 설치된다.
토너 공급 롤러(2550)는, 제 1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2535)에 수용된 토너 T를 현상 롤러(25l0)에 공급한다. 이 토너 공급 롤러(2550)는, 폴리우레탄계 등으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된 상태로 현상 롤러(2510)에 접촉되어 있다. 토너 공급 롤러(2550)는, 제 1 수용부(2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l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 T는, 제 1 수용부(2530)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롤러(2550)에 의해서 현상 롤러(2510)에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255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그 중심축은 현상 롤러(2510)의 회전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2550)는, 현상 롤러(2510)의 회전 방향(도 1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도 15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토너 공급 롤러(2550)는, 제 1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2535)에 수용된 토너 T를 현상 롤러(25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음과 동시에, 현상 후에 현상 롤러(2510)에 잔존하고 있는 토너 T를 현상 롤러(2510)로부터 벗겨내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2560)는, 현상 롤러(2510)에 담지된 토너 T의 층 두께를 규제하고, 또한, 현상 롤러(25l0)에 담지된 토너 T에 전하를 부여한다. 이 규제 블레이드(2560)는, 고무부(2560a)와, 고무 지지부(2560b)를 갖고 있다. 고무부(2560a) 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지지부(2560b)는, 인 청동, 스테인레스 등의 탄성을 갖는 박판이다. 고무부(2560a)는 고무 지지부(2560b)에 지지되어 있고, 고무 지지부(2560b)는 그 일단이 블레이드 지지 판금(2562)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 판금(2562)은 밀봉 프레임에 고정되어, 규제 블레이드(2560)와 동시에 후술하는 밀봉 유닛(2520)의 일부를 이루어 하우징(254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무부(2560a)는 고무 지지부(2560b)의 가요성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2510)에 눌려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2560)의 현상 롤러(2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이부재(2570)가 설치된다. 블레이드 이부재(2570)는, 고무 지지부(2560b)와 하우징(2540) 사이에 토너 T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지지부(2560b)의 가요성에 의한 탄성력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고무부(2560a)의 뒤로부터 고무부(2560a)를 현상 롤러(251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무부(2560a)를 현상 롤러(2510)에 누르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이부재(2570)는, 고무부(2560a)의 현상 롤러(2510)로의 균일 접촉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2560)의, 블레이드 지지 판금(2562)에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끝, 즉, 선단은, 현상 롤러(2510)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선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이, 현상 롤러(2510)에 폭을 가지고 접촉되어 있다. 즉, 규제 블레이드(2560)는, 현상 롤러(2510)에 에지에서 접촉되어 있지 않고, 배부분에서 접촉되어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2560)는, 그 선단이 현상 롤러(251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른바 카운터 접촉되 어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2560)가 현상 롤러(2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251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이며, 또한, 토너 공급 롤러(255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이다.
밀봉 부재(2520)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 내의 토너 T가 유닛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2510) 상의 토너 T를, 쓸어내지 않고 현상 유닛 내에 회수한다. 이 밀봉 부재(2520)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이다. 밀봉 부재(2520)는, 밀봉 지지 판금(25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밀봉 지지 판금(2522)을 거쳐서 프레임(2540)에 붙여지고 있다. 또한, 밀봉 부재(2520)의 현상 롤러(2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가압 부재(2524)가 마련되어 있고, 밀봉 부재(2520)는 밀봉 가압 부재(2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2510)에 눌려 있다. 또, 밀봉 부재(2520)가 현상 롤러(2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2510)의 중심축보다도 윗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에 있어서, 토너 공급 롤러(2550)가 현상제 수용부인 제 1 수용부(2530) 및 제 2 수용부(2535)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 T를 현상 롤러(2510)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25l0)에 공급된 토너 T는, 현상 롤러(2510)의 회전에 따라, 규제 블레이드(2560)의 접촉 위치에 도달하여, 접촉 위치를 통과할 때에, 층 두께가 규제됨과 동시에, 전하가 부여된다.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 롤러(2510) 상의 토너 T는, 현상 롤러(2510)의 한층더 회전에 의해서, 감광체(20)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현상 위치로써 교번 전계 하에서 감광체(20) 상에 형성된 잠상의 현상에 제공된다. 현상 롤러(2510)의 한층더 회전에 의해서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2510) 상의 토너 T는, 밀봉 부재(2520)를 통과하여, 상기 밀봉 부재(2520)에 의해서 쓸어내지 않고 현상 유닛 내에 회수된다.
이와 같이, 소자가 회전축(2512)의 축 방향에서 대직경부(2514)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므로,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 설명한 대로, 소자와 프린터 본체(10a)의 통신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현상 유닛에 구비된 소자에, 토너 잔량 정보를 기입할 때에, 통신 오류가 발생하여 잘못된 정보를 기입해 버리면, 현상 유닛 내의 토너 잔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한편으로,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는, 전자적 노이즈가 그 주위에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가 회전축(2512)의 축 방향에서 대직경부(25l4)보다도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소자가 회전축(2512)의 축 방향에서 대직경부(2514)보다도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축(2512)과 대직경부(2514)의 직경의 차이만큼, 소자 및 현상 롤러(2510)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예를 들어, 현상 롤러(251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자적 노이즈가 발생했다고 해도, 이러한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
다음에, 도 16(a)∼16(c)를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에 마련된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2124b)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a)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6(c)는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소자와 본체측 안테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옐로우 현상 유닛(2054)에 마련된 소자(2054a)가 본체측 안테나(2124b)와 비접촉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본체측 안테나(2124b)는,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자(2054a)가 로터리(5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본체측 안테나(2124b)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 소자(2054a)는 로터리(55)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측 안테나(2124b)는, 로터리(55)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로터리(55)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소자(2054a)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체측 안테나(2124b)는 이동중인 소자(2054a)에 대하여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로터리(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착탈 위치(장착·분리 위치)
다음에, 마찬가지로 도 16(a)∼16(c)를 참조하면서, 로터리(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취득 위치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6(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로터리(55)가 Z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도 16(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 16(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가능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착탈 가능, 즉, 착탈부(55e)에 장착 또는 착탈부(55e)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도 16(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터리(55)가 Z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로터리(55) 회전 방향 상류에 위치하는 시안 현상 유닛(2051)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 16(c)는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하여진 후에,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자로의 정보의 기입 순서 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대한 기타 실시예
이상, 실시예 2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유닛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되어 얻어 지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축 및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으로의 영향도는 현저해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현상 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우징 이외의 다른 부재에 소자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단지, 소자를 설치하기 쉬운 위치에 구비한 현상 유닛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자는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로터리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이러한 경우에는, 로터리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소자의 설치가 더욱 용이해지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자는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로터리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부터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 나)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이러한 경우에는, 로터리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부터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소자가 배치되게 되므로,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의 설치도 용이해지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터리의 회전에 의해, 현상 유닛이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서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분리 가능해지는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본체측 안테나를 이용하여,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다른 타이밍에서, 본체측 안테나를 이용하여,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단지,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착탈 개구를 거쳐서 불필요하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면 상기 현상 유닛 내의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감소된 현상제의 양에 관한 정보가 소자에 기입되기 전에 상기 현상 유닛이 분리되어버리면,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현상 롤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때문에, 전자적 노이즈가 통신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가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는,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통신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 및 상기 소자 사이의 통신에 관한 환경이, 예컨대 접촉 상태에서 통신하는 경우에 비 교하여 엄격해지므로, 상술한 효과, 즉, 전자적 노이즈의 통신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소자에 대한 정확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게 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쪽이 보다 효과적이다.
<감광체 유닛>
감광체 유닛(75)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의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감광체 유닛(75)은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컨대, 대전 유닛(30)을 갖지 않고, 상기 대전 유닛이 프린터 본체(10a)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감광체는 롤러 형상의 감광 롤러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형상인 것이라도 좋다.
<현상 롤러 등>
현상 롤러로서는, 자성, 비자성, 도전성, 절연성, 금속, 고무, 수지등, 현상 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재질적으로는,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브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네오프렌 고무, NBR 등의 고무, 스티롤 수지, 염화 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메타크릴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재질의 상층부에 코팅해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경우, 코팅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 태로서는, 비탄성체, 탄성체, 단층, 다층, 필름, 롤러 등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는, 토너로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와 혼합된 2 성분의 현상제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 현상 롤러의 도전성, 절연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대로, 도전성을 갖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공급 부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재질로서는, 상술한 폴리우레탄계의 다른 것과, 폴리스티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틸렌프로필렌계, 나일론계, 실리콘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토너 공급 수단의 발포 셀은 단포, 연포의 어느 쪽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계재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자세하게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틸렌브타디엔 고무, 브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린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피클로하이드린 고무, 니트릴브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에 카본 등의 도전제를 분산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자>
현상 유닛에 설치되는 소자, 및, 감광체 유닛에 설치되는 소자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안테나가 별도로 되어 있는 것 등이더라도 좋다.
<화상 형성 장치>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중간 전사형의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중간 전사형 이외의 풀 컬러 레이 저 프린터, 흑백 사진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각종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주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를 갖는 현상 유닛 등에 대하여, 정확히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주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에 대하여, 정확히 통신할 수 있는 현상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9)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latent image, 潛像)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
    를 구비하며,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developer bearing body)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charging memb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착탈부에 대해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 개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이동체(moving body)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잠상이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detaching position)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writing member)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upstream side) 상의 그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마련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에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마련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사용량 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에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
    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상기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서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으로 그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며,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고,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며,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가 마련된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자에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감광체 유닛 착탈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
    를 구비하며,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유닛은 감광체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전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유닛(unit)으로서 제공되는 현상 유닛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복수의 현상 유닛 착탈부를 구비한 이동체와,
    상기 현상 유닛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
    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상의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 현상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유닛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한 현상 유닛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잠상의 현상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현상 유닛의 상류측으로 그에 인접하는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부재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컴퓨터 유닛(computer unit)과, 상기 컴퓨터 유닛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
    를 구비하며,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하기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
  23. 컴퓨터 유닛과 상기 컴퓨터 유닛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가 기입될 수 있는 소자 및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감광체 유닛 착탈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부재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구비하되,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기입 부재가 상기 감광체 유닛 착탈부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
  24. 회전축(rotating shaft)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를 구비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axial direction)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는
    현상 유닛.
  25. 삭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는 현상 유닛.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회전체에 마련되어 현상 유닛이 착탈될 수 있는 복수의 착탈부 중 하나에 대해 착탈될 수 있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 of rotation)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현상 유닛.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회전체에 마련되어 현상 유닛이 착탈될 수 있는 복수의 착탈부 중 하나에 대해 착탈될 수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 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현상 유닛.
  29.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0. 삭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서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 본체보 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착탈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에서 상기 안테나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착탈부에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와,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상은 상기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에 의해서 현상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와는 다른 분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착탈 개구를 거쳐서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분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입하고,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는 1000볼트 이상이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대해 비접촉 상태에서 상기 소자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39. 컴퓨터 유닛과, 상기 컴퓨터 유닛에 접속될 수 있는 표시 장치와, 상기 컴퓨터 유닛에 접속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대직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현상제 담지체와, 통신 가능한 소자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과,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기 대직경부보다도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대직경부는 도전성을 갖고, 교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047005445A 2002-04-16 2003-04-14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KR100634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3946 2002-04-16
JPJP-P-2002-00113946 2002-04-16
JPJP-P-2002-00146891 2002-05-21
JP2002146891 2002-05-21
PCT/JP2003/004701 WO2003087952A1 (en) 2002-04-16 2003-04-14 Image formation device, development unit, and comput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15A KR20040054715A (ko) 2004-06-25
KR100634324B1 true KR100634324B1 (ko) 2006-10-16

Family

ID=2925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45A KR100634324B1 (ko) 2002-04-16 2003-04-14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46994B2 (ko)
EP (1) EP1496402A4 (ko)
JP (1) JP3972904B2 (ko)
KR (1) KR100634324B1 (ko)
CN (1) CN100351708C (ko)
WO (1) WO2003087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489B2 (ja) * 2003-03-1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71131B2 (en) * 2003-09-11 2007-01-3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06062026A1 (ja) 2004-12-09 2006-06-15 Seiko Epson Corporation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現像ユニット、及び、感光体ユニット
KR20060092541A (ko)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736492B2 (ja) * 2005-03-23 2011-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内部での通信データの処理方法
US7461300B2 (en) 2005-03-23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ata handling method therein
CN201231651Y (zh) * 2008-06-04 2009-05-06 廖元宏 新型车轮轮鼓
US8531524B2 (en) * 2010-12-15 2013-09-10 Skybox Imaging, Inc. Integrated antenna system for imaging microsatellites
WO2014017358A1 (ja) * 2012-07-24 2014-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84218B2 (ja) * 2020-02-28 2024-05-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0139A (ja) 1996-01-09 1997-07-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1938A (ja) 1997-02-03 1998-08-21 Toshiba Chem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780087B2 (ja) * 1998-02-16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3571584B2 (ja) 1999-07-08 2004-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97689B2 (ja) 1999-10-01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交換ユニット、及び、メモリユニット
JP3792962B2 (ja) 1999-10-22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22192A (ja) 2000-02-08 2001-08-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14579A (ja) 2000-06-30 2002-01-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JP2002049206A (ja) 2000-08-01 2002-02-15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93861B2 (ja) * 2000-08-18 2007-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交換部品
JP2002074295A (ja) 2000-08-25 2002-03-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72586A (ja) * 2000-08-31 2002-03-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94968B2 (ja) * 2002-04-16 2007-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1191A1 (en) 2010-01-28
CN100351708C (zh) 2007-11-28
EP1496402A4 (en) 2010-07-07
KR20040054715A (ko) 2004-06-25
WO2003087952A1 (en) 2003-10-23
US7929884B2 (en) 2011-04-19
US20050105921A1 (en) 2005-05-19
CN1571944A (zh) 2005-01-26
JP3972904B2 (ja) 2007-09-05
JPWO2003087952A1 (ja) 2005-08-25
EP1496402A1 (en) 2005-01-12
US7646994B2 (en)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02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52128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용 제어 방법
US7929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unit, and computer system
KR100648764B1 (ko)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KR10064980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JP2006284818A (ja) 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感光体ユニット
JP431403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0492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8618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05205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1071288A (zh) 图像形成装置、显影单元和计算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