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804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804B1
KR100649804B1 KR1020047018762A KR20047018762A KR100649804B1 KR 100649804 B1 KR100649804 B1 KR 100649804B1 KR 1020047018762 A KR1020047018762 A KR 1020047018762A KR 20047018762 A KR20047018762 A KR 20047018762A KR 100649804 B1 KR100649804 B1 KR 10064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developing unit
detachabl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414A (ko
Inventor
요시즈카겐
다카하타도시야
이리에요이치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in a powder clou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기록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등을 실현한다. 이동 부재의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한다. 또한, 현상 유닛이 감광체와 대향하여 현상을 행하고 있을 때에,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소자에 기록 부재가 정보를 기록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IMAGE FORMER AND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비임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메모리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것이 있고, 장착된 현상 유닛을 로터리와 같은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a latent image)을 풀 컬러(full color)로 인쇄하는 것이 있다.
또한, 현상 유닛의 메모리에 대해서 각종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해서, 메모리와 메인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서 통신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메모리와 메인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통신은 정확하게 실행되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유닛의 메모리에 토너 잔량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통신 에러가 발생하여 부정확한 정보가 기록된다면, 현상 유닛내의 토너 잔량을 더 이상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그 목적은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해서 통신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메모리에 대해서 메인 화상 형성 장치가 유선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에 의하면, 기록을 실행하는 타이밍에 관해서 자유도가 있다.
이와 반대로, 메모리에 대해서 메인 화상 형성 장치가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에 의하면, 기록을 실행하는 타이밍에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에 정보를 바로 기록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처리를 중단하고 이동 부재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 스피드의 저하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그 목적은 소자를 갖는 현상 유닛에 대해서 무선으로 효율적 방법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메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 가능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할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주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목적, 및 그 특징으로 하는 부분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하여 진다.
도 1은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대한,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의 착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프린터(1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프린터(10)에 설치된 제어 유닛(100)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롤러(5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투시 도면,
도 6b는 소자 및 송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의 메모리 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10)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c는 도 9b와 마찬가지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현상을 하지 않는 3개의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와 연속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현상을 하지 않는 2개의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와 연속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2개의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와 연속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로터리(55)의 회전축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인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a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b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위치(분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c는 프린터(20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해진 후에, 로터리(20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현상 유닛에 보호 커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소자의 설치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이 메인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로터리(3300)에 장착된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로터리(3300)에 장착되기 전의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이 로터리(33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을 현상 롤러(45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옐로우 현상 유닛(4054)에 관련된 오목부(4549), 소자(4054a), 덮개 부(4547)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29는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감광체 유닛(4075)의 사시도,
도 31은 감광체 유닛(4075)에 관련된 오목부(4758), 소자(4075a), 덮개부(4756)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32는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감광체 유닛(5075)을 외벽면(5077)측에서 본 사시도,
도 36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감광체 유닛(5075)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감광체 유닛(5075)을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감광체 유닛(5075)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을 현상 롤러(65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40은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에 이용한 부호의 주된 범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10 : 프린터 10a : 메인 프린터 유닛(10a)
10b : 제 1 개폐 커버 10c : 제 2 개폐 커버
10d :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 10e : 현상 유닛 착탈 개구
20 : 감광체 30 : 대전 유닛
40 : 노광 유닛 50 : YMCK 현상 장치
51 : 시안 현상 유닛 52 : 마젠타 현상 유닛
53 : 블랙 현상 유닛 54 : 옐로우 현상 유닛
51a, 52a, 53a, 54a : 소자 54b : 비접촉 IC 칩
54c : 공진용 콘덴서 54d : 안테나
54e : 정류기 54f : 신호해석부 RF
54g : 제어부 54h : 메모리 셀
55 : 로터리 55a : 중심축
55b, 55c, 55d, 55e : 착탈부 60 : 1차 전사 유닛
70 : 중간 전사 부재 75 : 감광체 유닛
75a : 소자 76 : 클리닝 블레이드
76a : 폐토너 수용부 77 : 외벽면
80 : 2차 전사 유닛 90 : 정착 유닛
92 : 급지 트레이 94 : 급지 롤러
95 : 표시 장치 96 : 레지스팅 롤러
100 : 제어 유닛 101 : 메인 제어부
102 : 유닛 제어부 112 : 인터페이스
113 : 화상 메모리 120 : CPU
121 : 시리얼 인터페이스
122 : 메인 유닛측 메모리(기억 소자)
123 : 송수신 회로
124a : 메인 유닛측 안테나(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124b : 메인 유닛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125 :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
126a : 교류 전압 공급부 126b : 직류 전압 공급부
127 :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 127a : 화소 카운터
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
520 : 시일 부재 524 : 시일 압박 부재
522 : 시일 지지 판금 530 : 제 1 토너 수용부
535 : 제 2 토너 수용부 540 : 하우징
541 : 개구 545 : 규제 벽
550 : 토너 공급 롤러(토너 공급 부재)
560 : 규제 블레이드 560a : 고무부
560b : 고무 지지부 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
570 : 블레이드 배킹 부재 1000 : 컴퓨터 시스템
1002 : 메인 컴퓨터 유닛 1104 : 표시 장치
1106 : 프린터 1108 : 입력 장치
1108A : 키보드 1108B : 마우스
1110 : 판독 장치
1110A :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110B : CD-ROM 드라이브 장치 1202 : 내부 메모리
1204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2010e : 현상 유닛 탈착 개구 2020 : 감광체
2030 : 대전 유닛 2040 : 노광 유닛
2050 : YMCK 장치 2051 : 시안 현상 유닛
2052 : 마젠타 현상 유닛 2053 : 블랙 현상 유닛
2054 : 옐로우 현상 유닛
2051a, 2052a, 2053a, 2054a : 소자
2075 : 감광체 유닛 2076 : 클리닝 블레이드
2124b : 메인 유닛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3054 : 옐로우 현상 유닛 3054a : 소자
3054m : 보호 커버(커버) 3054n : 파지부
3300 : 로터리 3302 : 결합 홈
3350 : 커버 3352 : 인장 스프링
3354 : 회동축 3356 : 결합 볼록부
3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
3520 : 시일 부재 3522 : 시일 지지 판금
3540 : 하우징 3540a : 오목부
3560 : 규제 블레이드 3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
4020 : 감광체 4054 : 옐로우 현상 유닛
4054a : 소자 4075 : 감광체 유닛
4075a : 소자 4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
4520 : 시일 부재 4522 : 시일 지지 판금
4524 : 시일 압박 부재 4530 : 제 1 토너 수용부
4535 : 제 2 토너 수용부 4540 : 하우징
4540a : 메인 하우징 유닛 4541 : 개구
4543 : 외벽부 4545 : 규제 벽
4547 : 덮개부 4549 : 오목부
4550 : 토너 공급 롤러(토너 공급 부재)
4560 : 규제 블레이드 4560a : 고무부
4560b : 고무 지지부 4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
4570 : 블레이드 배킹 부재 4752 : 하우징
4572a : 메인 하우징 유닛 4574 : 외벽부
4576 : 덮개부 5010 : 프린터
5010a : 메인 프린터 유닛(10a) 5010b : 제 1 개폐 커버
5010c : 제 2 개폐 커버 5010d :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
5010e : 현상 유닛 착탈 개구 5020 : 감광체
5054 : 옐로우 현상 유닛 5054a : 소자
5075 : 감광체 유닛 5075a : 소자
5077 : 외벽면 5540a : 외벽면
6010e : 현상 유닛 착탈 개구 6020 : 감광체
6051 : 시안 현상 유닛 6052 : 마젠타 현상 유닛
6053 : 블랙 현상 유닛 6054 : 옐로우 현상 유닛
6051a, 6052a, 6053a, 6054a : 로터리
6124b : 메인 유닛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6510 :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롤러)
6520 : 시일 부재 6524 : 시일 압박 부재
6522 : 시일 지지 판금 6530 : 제 1 토너 수용부
6535 : 제 2 토너 수용부 6540 : 하우징
6541 : 개구 6545 : 규제 벽
6550 : 토너 공급 롤러(토너 공급 부재)
6560 : 규제 블레이드 6560a : 고무부
6560b : 고무 지지부 6562 : 블레이드 지지 판금
6570 : 블레이드 배킹 부재 T : 토너
RS : 동기용 판독 센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하여 진다.
화상 형성 장치는,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 가능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상에 있어서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또한 현상 동작의 악영향을 억제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이동 부재는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을 각각 상기 감광체에 선택적으로 대향되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회전 이동하는 이동 부재에 장착된 소정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상에 있어서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이동 부재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축으로 대하여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이동 부재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이동 부재의 회전축으로 대하여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 즉 감광체와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의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은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 방향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안테나의 길이 방향이 이동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가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 닛을 감광체에 선택적으로 대향시킬 때의 회전 이동 거리에 오차를 갖고 있는 경우에서도,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소자는 상기 현상 유닛을 상기 착탈부에 장착할 때에 선두측이 되는 상기 현상 유닛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이동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중 적어도 하나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비접촉 상태로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현상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은 현상을 행함에 따라서 감소하기 때문에, 소자에 현상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현상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은 현상을 행함에 따라서 감소하기 때문에, 소자에 현상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현상제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에서 교류 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현상 유닛이 교류 전압 공급부에서 교류 전압이 공급되어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교류 전압 공급부에서의 전자 노이즈가 그 주위에 발생하여 영향을 주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가장 받는 현상중의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의 소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a developer bearing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압 공급부 는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 유닛이 교류 전압 공급부로부터 교류 전압이 공급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는 적어도 1000볼트이다.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의 차이가 1000볼트 이상이면, 전자 노이즈도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최대로 받는 현상중의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의 소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 가능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하도록 해당 소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감광체와 대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축으로 대하여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이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벽면에 갖고 있는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은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 방향에 있으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하고, 상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소비에 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 가능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접속되는 메인 컴퓨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해질 경우, 상기 기록 부재 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한다.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는,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분리되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등의 정보를 해당 현상 유닛에 설치된 소자에 적절하게 기록하여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를 갖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만을 위해, 화상 형성 처리를 중단하여 이동 부재를 정지시키면,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 스피드가 저하한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며, 그에 따라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부재가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한 현상 유닛의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서 상기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질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해당 현상 유닛이 갖는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서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부재가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현상 유닛에 가해지는 진동 등을 가능한한 억제해야 한다. 여기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부재가 소자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충격 등의 발생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의 정확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 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잠상을 현상하여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이 상기 소자에 효과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잠상을 현상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노이즈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 즉 노이즈 등의 발생원에서 분리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정보 기록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 즉 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유닛보다도 노이즈 등의 발생원에서 분리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정보 기록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지 않는 현상 유닛, 즉 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보다도 노이즈 등의 발생원에서 분리된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정보 기록의 신뢰성이 한층 향상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수용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감소한다. 여기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에 의해 소비되는 현상제의 량에 따라서, 상기 소자에 효과적으로 잔량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해 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감소한다. 여기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현상에 의해 소비되는 현상제의 량에 따라서, 상기 소자에 효과적으로 사용량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되어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한 현상 유닛의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서 상기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지고,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 컴퓨터 유닛과, 상기 메인 컴퓨터 유닛과 접속되며,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제거 또는 퇴피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제거 또는 퇴피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메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자는 상기 착탈 개구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메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자는 상기 착탈 개구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의 길이 방향은 상기 현상 유닛의 길이 방향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자의 길이 방향은 상기 현상 유닛의 길이 방향에 있을 수 있다.
= 제 1 실시형태 =
===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개요 ===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로서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후에 "프린터"라고 함)(10)를 설명한다. 도 1은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이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대하여 어떻게 착탈되는 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프린터(1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 방향과 수직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상하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급지 트레이(92)는 프린터(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정착 유닛(90)은 프린터(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착탈 구성>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은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착탈가능하다.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을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장착함으로써 프린터(10)가 구성된다.
메인 프린터 유닛(10a)은 개폐가능한 제 1 개폐 커버(10b)와, 제 1 개폐 커버(10b)보다 내측에 설치된 개폐가능한 제 2 개폐 커버(10c)와, 감광체 유닛(75)이 그를 통해 착탈가능한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10d)와, 현상 유닛(54(51, 52, 53))이 그를 통해 착탈가능한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제 1 개폐 커버(10b)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10d)를 거쳐서 감광체 유닛(75)을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개폐 커버(10c)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e)를 거쳐서 현상 유닛(54(51, 52, 53))을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터(10)의 개요>
현상 유닛(54(51, 52, 53)) 및 감광체 유닛(75)이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장착된 프린터(10)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는 잠상을 담지하기 위한 잠상 담지 부재인 감광체(2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대전 유닛(30)과, 노광 유닛(40)과, YMCK 현상 장치(50)와, 1차 전사 유닛(60)과, 중간 전사 유닛(70)과, 클리닝 블레이드(76)를 갖고 있다. 또한, 프린터(10)는 2차 전사 유닛(80)과, 정착 유닛(90)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구성하는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 장치 (95)와, 예를 들면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과 같이 이들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00)(도 3)을 포함한다.
감광체(20)는 원통형 도전성 기재와, 이 기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광층을 구비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 유닛(30)은 감광체(20)를 대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노광 유닛(40)은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대전된 감광체(20)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노광 유닛(40)은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폴리곤 미러, F-θ 렌즈를 갖고 있고,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도시되지 않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된 레이저를 대전된 감광체(20)상에 조사한다.
YMCK 현상 장치(50)는 이동 부재로서의 로터리(55)와, 이 로터리(55)에 장착된 4개의 현상 유닛을 갖고 있다. 로터리(55)는 회전가능하고, 4개의 현상 유닛(51(52, 53, 54)) 각각을 현상 유닛 착탈 개구(10d)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고, 4개의 착탈부(55a(55b, 55d, 55e))를 구비하고 있다.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cyan developing unit)(51)은 착탈부(55a)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magenta developing unit)(52)은 착탈부(55b)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black developing unit)(53)은 착탈부(55d)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yellow developing unit)(54)은 착탈부(55e)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로터리(55)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착탈부(55a(55b, 55d, 55e))에 각각 장 착된 상기 4개의 현상 유닛(51(52, 53, 54))을 이동시킨다. 즉, 이 로터리(55)는, 장착된 4개의 현상 유닛(51(52, 53, 54))을, 중심축(50a)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의 상대 위치를 유지한 채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감광체(20)에 형성된 잠상에, 현상 유닛(51(52, 53, 54))을 선택적으로 대향시켜, 각각의 현상 유닛(51(52, 53, 54))에 수용된 토너를 이용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한다. 또, 각 현상 유닛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착탈부(55a(55b, 55d, 55e))에 장착된 현상 유닛(51(52, 53, 54)) 중에서, 소정의 1개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에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감광체(20)와 대향하고 있는 현상 유닛(도 2)으로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도 2)으로서는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설치하는 위치로서는, 로터리(55)가 도 2의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는 경우,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 뿐만 아니라, 시안 현상 유닛(51) 또는 블랙 현상 유닛(53)중 어느 한쪽의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이어도 된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현상을 하지 않는 1개의 현상 유닛의 소자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도 2의 위치에 설치하면 감광체(20)와의 거리가 가장 멀게 된다. 1차 전사 유닛(60)은 감광체(20)에 형성된 단색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부재(70)에 전사하 기 위한 장치이다. 4색의 토너가 순차 거듭 전사되면, 중간 전사 부재(70)에 풀 컬러 토너 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부재(70)는 엔드리스 벨트이며, 감광체(20)와 거의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중간 전사 부재(70)의 근방에는 동기용 판독 센서(RS)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기용 판독 센서(RS)는 중간 전사 부재(70)의 기준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이며, 메인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서브 주사 방향에서의 동기 신호(Vsync)를 얻는다. 동기용 판독 센서(RS)는 광을 발하기 위한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를 갖고 있다.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한 광이, 중간 전사 부재(7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에 의해서 수광된 때에, 동기용 판독 센서(RS)는 펄스 신호를 발한다. 이 펄스 신호는 중간 전사 부재(70)가 1회전할 때 마다 발생한다.
2차 전사 유닛(8)은 중간 전사 부재(70)상에 형성된 싱글 토너 상 또는 풀 컬러 토너 상을 종이, 필름, 천 등의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착 유닛(90)은 기록 매체상에 전사된 싱글 토너 상이나 풀 컬러 토너 상을 종이 등의 기록 매체에 융착시켜 영구 상으로 하기 위한 장치이다.
클리닝 블레이드(76)는 고무제이며, 감광체(20)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클리닝 블레이드(76)는 1차 전사 유닛(60)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70)상에 토너 상이 전사된 후에, 감광체(20)상에 잔재하는 토너를 긁어내어 제거한다.
감광체 유닛(75)은 1차 전사 유닛(60)과 노광 유닛(40)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감광체(20),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75a), 대전 유닛(30), 클리닝 블레이드 (76), 및 클리닝 블레이드(76)에 의해 긁어낸 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76a)를 갖고 있다. 소자(75a)는 기록된 각종의 정보를 기억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감광체 유닛(75)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벽면(77)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75a)는 제어 유닛(100)을 구성하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a)와의 사이에서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외벽면(77)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벽면(77)에 소자(75a)를 설치하는 위치는 도 2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외벽면(77)의 우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감광체 유닛(75)을 장착한 상태에서 소자(75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a)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위치이면, 소자(75a)를 외벽면(77)에 있어서의 그 외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01)와, 유닛 컨트롤러(102)로 구성된다. 메인 컨트롤러(101)에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이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명령에 따라서 유닛 컨트롤러(102)가 상기 각 유닛 등을 제어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 프린터(10)의 동작 ===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0)의 동작에 대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도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 (I/F)(112)를 거쳐서 프린터(10)의 메인 컨트롤러(101)에 입력되며, 이 메인 컨트롤러(101)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는 유닛 컨트롤러(102)의 제어에 의해 감광체(20) 및 중간 전사 부재(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RS)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이 펄스 신호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21)를 거쳐서 유닛 컨트롤러(102)에 보내여진다. 유닛 컨트롤러(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서, 이하의 동작을 제어한다.
감광체(20)는 회전하면서 대전 위치에서 대전 유닛(30)에 의해 순차 대전된다. 감광체(20)의 대전된 영역은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서 노광 위치에 도달 하고,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제 1 색조, 예를 들면 옐로우(Y)의 화상 정보에 대응한 잠상이 이 영역에 형성된다.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은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서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해 옐로우 토너로 현상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20)상에 옐로우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옐로우 토너 상은 감광체(20)의 회전에 따라서 1차 전사 위치에 도달하고, 1차 전사 유닛(60)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70)에 전사된다. 이 때, 1차 전사 유닛(60)에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는 역의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또, 그 동안, 2차 전사 유닛(80)은 중간 전사 부재(7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의 처리가, 제 2 색조, 제 3 색조 및 제 4 색조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됨으로써, 각 화상 신호에 대응한 각 색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부재(70)에 중첩 하여 전사된다. 이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70)상에는 풀 컬러 토너 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부재(70)상에 형성된 풀 컬러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부재(70)의 회전에 따라서 2차 전사 위치에 도달하고, 2차 전사 유닛(80)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또, 기록 매체는 급지 트레이(92)로부터 급지 롤러(94), 레지스팅 롤러(96)를 거쳐서 2차 전사 유닛(80)으로 반송된다. 또한, 전사 동작을 할 때, 2차 전사 유닛(80)은 중간 전사 부재(70)에 가압되는 동시에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기록 매체에 전사된 풀 컬러 토너 상은 정착 유닛(90)에 의해서 가열 가압되어 기록 매체에 융착된다.
한편, 감광체(20)는 1차 전사 위치를 경과한 후에, 클리닝 블레이드(76)에 의해서, 그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토너가 긁어내어지고, 다음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에 구비한다. 긁어낸 토너는 폐토너 수용부(76a)에 회수된다.
=== 제어 유닛의 개요 ===
다음에, 제어 유닛(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프린터(10)에 설치된 제어 유닛(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100)의 메인 컨트롤러(101)는 인터페이스(112)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고, 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0)의 유닛 컨트롤러(102)는 각종 유닛(대전 유닛(30), 노광 유닛(40), 1차 전사 유닛(60), 감광체 유닛(75), 2차 전사 유닛(80), 정착 유닛(90), 표시 장치(95)) 및 YMCK 현상 장치(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들이 구비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의 상태를 검출하면서, 메인 컨트롤러(1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를 제어한다. 각 유닛 및 YMCK 현상 장치(5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도 3에서는, 감광체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대전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127),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 1차 전사 유닛 구동 제어 회로, 2차 전사 유닛 구동 제어 회로, 정착 유닛 구동 제어 회로, 및 표시 장치 구동 제어 회로가 도시되고 있다.
노광 유닛(40)에 접속된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127)는 현상제의 소비량을 검지하기 위한 소비량 검지 수단으로서의 화소 카운터(127a)를 갖고 있다. 이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 구동 제어 회로(127)에 입력되는 화상 수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를 카운트한다. 또,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설치할 수 있고, 메인 컨트롤러(10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화소수란 프린터(10)의 기본 해상도 단위의 화소수, 바꾸어 말하면 실제로 인쇄하는 화상의 화소수이다. 토너(T)의 소비량(사용량)은 화소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화소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토너(T)의 소비량을 검지할 수 있다.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에는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 교류 전압이 공급되어, 직류 전압 공급부(126b)에서 직류 전압이 공급된다. YMCK 현상 장치 구동 제어 회로(125)는 이것들의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현상 롤러에 인가하여, 현상 롤러와 감광체(20)와의 사이에 교번 전계를 형성한다.
또한, 유닛 컨트롤러(102)가 구비하는 CPU(12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I/F)(121)를 거쳐서 시리얼 EEPROM 등의 불휘발성 기억 소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2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21), 송수신 회로(123) 및 메인 유닛측 안테나(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를 거쳐서, 각 현상 유닛(51(52, 53, 54))에 설치된 소자(51a(52a, 53a, 54a)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CPU(12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21), 송수신 회로(123) 및 메인 유닛측 안테나(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를 거쳐서, 감광체 유닛(75)에 설치된 소자(75a)와 무선으로써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에, 기록 부재로서의 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는 각 현상 유닛(51(52, 53, 54))에 설치된 소자(51a(52a, 53a, 54a))에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현상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b)는 각 현상 유닛(51(52, 53, 54))의 소자(51a(52a, 53a, 54a)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의 경우에, 기록 부재로서의 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에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기록 부재로서의 감광체 유닛 소자 통신용 안테나(124a)는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 현상 유닛의 개요 ===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현상 유닛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롤러(510)측에서 본사시도이다. 도 5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도, 화살표로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MCK 현상 장치(50)에는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51), 마젠타(51)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52),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53) 및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설치되어 있지만, 각 현상 유닛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대해서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현상제로서의 옐로우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530), 제 2 수용부(535), 소자(54a), 하우징(540), 현상제 담지 롤러로서의 현상 롤러(510), 이 현상 롤러(510)에 토너(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550),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5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540)은 일체 성형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등을 접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그 내부는 하부에서 상측으로(도 5의 상하 방향) 연장된 규제 벽(545)에 의해, 제 1 수용부(530)와 제 2 수용부(535)로 나누어진다. 이들 제 1 수용부 (530)와 제 2 수용부(535)는 현상제로의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530, 53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530)와 제 2 수용부(535)는 상부가 연통되고, 규제 벽(545)에 의해 토너(T)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T)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55)의 회전에 따라서 각 현상 유닛(시안 현상 유닛(51), 마젠타 현상 유닛(52), 블랙 현상 유닛(53),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각 현상 유닛내의 토너(T)가 교반되며, 그에 따라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는 교반 부재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하우징(540)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면에는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54a)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소자(54a)에 대한 정보의 기록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도록, 소자(54a)의 길이 방향은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자(54a)의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소자(54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로터리(55)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심축(50a)을 중심으로 회전했을 때, 특정한 위치에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 대향하도록, 하우징(54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소자(54a)는 기록된 정보를 기억 가능한 구성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는 하우징(540)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54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530)에는 토너 공급 롤러(550)가 그 주면을 상기 개구(541)에 향하여 설치되고, 하우징(5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40)의 외측에서는 개구(541)에 주면을 향하여, 현상 롤러(510)가 설치되고, 이 현상 롤러(510)는 토너 공급 롤러(550)에 접촉하고 있다.
현상 롤러(510)는 토너(T)를 담지하여 감광체(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반송한다. 이 현상 롤러(51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등이나, 토너 담지 영역에는 샌드 블러스트 등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51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20)의 회전 방향(도 5에 있어서 시계방향)과 역의 방향(도 5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중심축은 감광체(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510)와 감광체(20)와의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한다. 즉,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을 비접촉 상태에서 현상한다. 또,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현상 롤러(510)와 감광체(20)와 사이에 교번 전계가 형성된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한다. 이 토너 공급 롤러(550)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고 있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T)는 제 1 수용부(530)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롤러(550)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55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중심축은 현상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보다도 아래 쪽에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550)는 현상 롤러(510)의 회전 방향(도 5에 있어서 반시계방향)과 역의 방향(도 5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토너 공급 롤러(550)는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현상후에 현상 롤러(510)에 잔존하고 있는 토너(T)를 현상 롤러(510)로부터 긁어내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560)는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고, 또한 현상 롤러(510)에 담지된 토너(T)에 전하를 부여한다. 이 규제 블레이드(560)는 고무부(560a)와, 고무 지지부(560b)를 갖고 있다. 고무부(560a)는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지지부(560b)는 인청동, 스테인레스 등의 스프링성을 갖는 얇은 판이다. 고무부(560a)는 고무 지지부(560b)에 지지되고, 고무 지지부(560b)는 그 일단이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은 후술하는 시일 프레임(526)에 고정되고, 규제 블레이드(560)와 함께, 후술하는 시일 유닛(520)의 일부를 형성하여 하우징(54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무부(560a)는 고무 지지부(560b)의 휨에 의해 생성된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560)의 현상 롤러(510)측과는 반대 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배킹 부재(570)(blade-backing member)가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 배킹 부재(570)는 고무 지지부(560b)와 하우징(540)과의 사이에 토너(T)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지지부(560b)의 휨에 의한 탄성력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고무부(560a)의 바로 뒤에서 고무부(560a)를 현상 롤 러(510)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고무부(560a)를 현상 롤러(510)에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배킹 부재(570)는 고무부(560a)의 현상 롤러(510)에의 균일 접촉성 및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560)의 블레이드 지지 판금(562)에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 즉 선단은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지 않고, 해당 선단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이, 현상 롤러(510)에 폭을 갖고 접촉하고 있다. 즉, 규제 블레이드(560)는 현상 롤러(510)에 엣지로써 접촉하지 않고, 그 중간부에 접촉하고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560)는 그 선단이 현상 롤러(51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소위 카운터 접촉하고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560)가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보다도 하방이며, 또한 토너 공급 롤러(550)의 중심축보다도 하방이다.
시일 부재(520)는 옐로우 현상 유닛(54)내의 토너(T)가 유닛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510)상의 토너(T)를 긁어냄이 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한다. 이 시일 부재(520)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이다. 시일 부재(520)는 시일 지지 판금(5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시일 지지 판금(522)을 거쳐서 프레임(540)에 부착되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520)의 현상 롤러(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압박 부재(524)가 설치되어 있고, 시일 부재(520)는 시일 압박 부재(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 시일 부재(520)가 현상 롤러(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510)의 중심축보다도 상측이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있어서, 토너 공급 롤러(550)가, 현상제 수용부인 제 1 수용부(530) 및 제 2 수용부(535)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T)를 현상 롤러(510)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510)에 공급된 토너(T)는 현상 롤러(510)의 회전에 따라서, 규제 블레이드(560)의 접촉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접촉 위치를 통과할 때에, 층 두께가 규제됨과 함께, 전하가 부여된다.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 롤러(510)상의 토너(T)는 현상 롤러(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감광체(20)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현상 위치에서 교번 전계하에서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의 현상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510)상의 토너(T)는 시일 부재(520)를 통과하여, 해당 시일 부재(520)에 의해서 긁어내는 일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된다.
=== 소자의 구성 ===
다음에, 도 6a, 도 6b,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의 소자, 감광체 유닛의 소자의 구성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구성을 포함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투시 도면이다. 도 6b는 소자 및 송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감광체 유닛(75)에 구비된 소자(75a)가 갖는 메모리 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옐로우 현상 유닛(54) 이외의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소자(54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소자(54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소정의 위치 관계, 예를 들면 상호 거리가 10㎜ 이내에 있으면, 서로에 비접촉 상태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소자(54a)는 전체로서 극히 소형 또한 박형이며, 한면에 점착성을 갖고서 시일로서 대상물에 점착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메모리 태그(memory tag)라고 하고, 다양한 형태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소자(54a)는 비접촉 IC 칩(54b), 금속 피막을 에칭하여 형성된 공진용 콘덴서(54c), 안테나(54d)로서의 평면형 코일을 갖다. 이들은 플라스틱 필름상에 장착되고, 투명한 커버 시트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메인 프린터 유닛(10a)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로서의 코일과, 송수신 회로(123), 및 메인 프린터 유닛(CPU)(120)에 접속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21)를 갖고 있다.
비접촉 IC 칩(54b)은 정류기(54e), 신호 해석부(RF : Radio Frequency)(54f) 및 메모리 셀(54h)을 갖고 있다. 메모리 셀(54h)은 NAND 플래시 ROM 등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며, 기록된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소자(54a)의 안테나(54d)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서로에 무선으로 통신으로써 결합되고,, 메모리 셀(54h)에 기억된 정보의 판독이나 메모리 셀(54h)로의 정보의 기록을 행한다. 또한, 메인 프린터 유닛(10a)의 송수신 회로(123)에 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거쳐서 고주파 자계로서 유도된다. 이 고주파 자계는 소자(54a)의 안테나(54d)를 거쳐서 흡수되고, 정류기(54e)에서 정류되어 IC 칩(54b)내의 각 회로를 구동하는 직류 전력원으로 된다.
소자(54a)의 메모리 셀(54h)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00H(H는 16진수의 단위 헥사데시멀(hexadecimal)을 나타낸다)에는 소자의 일련 번호 등의 소자마다 고유의 lD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1H에는 현상 유닛을 제조한 연월일이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2H에는 현상 유닛의 발송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3H에는 현상 유닛이 제조된 제조 라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4H에는 현상 유닛이 대응 가능한 기종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5H에는 현상 유닛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의 량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서의 토너 잔량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6H 이후의 영역에도 적당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소자(54a)의 메모리 셀(54)에 기억되어 있는 ID 정보는, 기억 소자의 공장 제조 시간에 있어서 기록 처리될 수 있다. 이 ID 정보를 메인 프린터 유닛(10a)으로 판독하는 것에 의해 개개의 소자(54a, 51a, 52a, 53a)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가 갖는 메모리 셀에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 00H에는 소자의 시리얼 번호 등의 각 소자에 대한 고유의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1H에는 감광체 유닛을 제조한 연월일이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2H에는 감광체 유닛의 도착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3H에는 감광체 유닛이 제조된 제조 라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4H에는 감광체 유닛이 대응 가능한 기종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5H에는 감광체 유닛이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장착된 때의 메인 프린터 유닛(10a)의 누계 인쇄 매수를 도시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06H에는 감광체 유닛이 수명에 달하여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서 제거할 때의 메인 프린터 유닛(10a)의 누계 인쇄 매수를 도시하기 위한 정보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7H에는 그 감광체 유닛을 이용하여 컬러 인쇄를 한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8H에는 그 감광체 유닛을 이용하여 모노크롬 인쇄를 한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9H에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한 현상 매수, 즉 옐로우 토너에 의한 인쇄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AH에는 마젠타 현상 유닛(52)에 의한 현상 매수, 즉 마젠타 토너에 의한 인쇄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BH에는 시안 현상 유닛(51)에 의한 현상 매수, 즉 시안 토너에 의한 인쇄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CH에는 블랙 현상 유닛(53)에 의한 현상 매수, 즉 블랙 토너에 의한 인쇄 매수가 기억되고, 어드레스 0DH 이후의 영역에도 적절하게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 감광체 유닛(75)의 소자(75a)에 각 현상 유닛(51(52, 53, 54))의 토너 잔량 또는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 소자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의 배치 관계 ===
다음에, 도 9a 내지 도 9c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소자에 대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옐로우 현상 유닛(54)과 반대측의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도 9a에서 Y 방향)은 소자(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도 9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블랙 현상 유닛(53)의 소자(53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소자(54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시안 현상 유닛(51)의 소자(51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있다. 도 9b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9a에 대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을 로터리(55)의 중심축(50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변이된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은 소자(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범위 내에서 어긋나 배치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의해, 도 9a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소정의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가 효율적으로 기록된다.
도 9c는 도 9b와 마찬가지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9a에 대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을 로터리(55)의 중심축(50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변이된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은 소자(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범위 내에서 어긋나고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의해, 도 9a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현상 유닛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소정의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가 효율적으로 기록된다.
또,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소정의 현상 유닛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여 있을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소정의 현상 유닛과는 반대측의 현상 유닛의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배치 위치는 상기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현상을 하지 않는 그 밖의 현상 유 닛의 소자중 어느 하나(도 9에 도시하는 로터리(55)의 회전 위치이면, 소자(51a) 또는 소자(53a))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0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시안 현상 유닛(51)의 소자(51a),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 블랙 현상 유닛(53)의 소자(53a)의 합계 3개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도 10에서 Y 방향)은 소자(51a, 52a, 53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도 10은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2a), 소자(53a) 및 소자(54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3a), 소자(54a) 및 소자(51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4a), 소자(51a) 및 소자(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시안 현상 유닛(51)의 소자(51a),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의 합계 2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도 11에서 Y 방향)은 소자(51a, 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도 11은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2a) 및 소자(53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3a) 및 소자(54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4a) 및 소자(51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현상 유닛이 도 12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 블랙 현상 유닛(53)의 소자(53a)의 합계 2 소자와 대향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도 12에서 Y 방향)은 소자(52a, 53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도 12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시안 현상 유닛(51)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3a) 및 소자(54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고, 마젠타 현상 유닛(52)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4a) 및 소자(51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 고, 블랙 현상 유닛(53)이 현상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1a) 및 소자(52a)의 길이 방향 전체와 대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현상 유닛 부분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착탈부에 장착된 현상 유닛이 어떠한 이유로 착탈부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현상 유닛이 착탈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현상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적절하게 기록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상 유닛이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이 현상하고 있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현상 유닛에 의한 감광체상의 잠상의 현상 동작이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 동작에 영향을 주어,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없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중 적어도 하나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또한 현상 동작의 악영향을 억제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회전 이동하는 로터리(55)에 장착된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중 적어도 하나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 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소자(54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면에 설치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중 적어도 하나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옐로우 현상 유닛(54)과는 반대측의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로터리(55)의 중심축(50a)에 대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옐로우 현상 유닛(54)과는 반대측의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보다도 외측의 위치, 즉 감광체(20)와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에 정확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길이 방향은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길이 방향이 로터리(5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로터리(55)가 착탈부(55a, 55b, 55d, 55e)에 장착된 현상 유닛(5152, 53, 54)을 감광체(20)에 선택적으로 대향시킬 때의 회전 이동 거리에 오차를 갖고 있는 경우에서도,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소자(54a)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착탈부(55e)에 장착할 때에 선두측이 되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측면(A)(도 4 참조)에 설치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축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55)의 회전축 방향에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중 적어도 하나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도 13에서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의 회전축 방향에서 현상 유닛(52)의 소자(52a)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로터리(55)가 도 13의 위치에서 현상을 할 때, 소자(51a) 또는 소자(53)에 비접촉 상태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소자(54a)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소자(54a)에 해당 소자(54a)가 설치되어 있는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을 행함에 따라서 감소하기 때문에, 소자(54a)에 현상제의 잔량을 확인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기록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에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압 공급부(126a)를 갖고, 착탈부(55a, 55b, 55d, 55e)에 장착된 현상 유닛(51, 52, 53, 54)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의 전자 노이즈가 그 주위에 발생하여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가장 받는 현상중의 옐로우 현상 유닛(54) 이외의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4)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510)를 갖고 교류 전압 공급부(126a)는 현상 롤러(51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현상 롤러(510)를 갖는 경우에서도,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는 1000볼트 이상일 수 있다.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가 1000볼트 이상이라면, 전자 노이즈도 큰 것으로 된다. 그래서,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가장 받는 현상중의 옐로우 현상 유닛(54) 이외의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현상을 하지 않는 현상 유닛(51, 52, 53)의 소자(51a, 52a, 53a)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현상 유닛(51, 52, 53)이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 도 14는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해진 후에,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 ===
다음에,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에 관해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도 9a에 도시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든다.
<화상 형성 처리 대기 단계(단계 1)>
프린터(10)에 전원이 투입되면, 소정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져, 프린터(10)는 도 14에 도시하는 홈 포지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형성 처리 명령인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112)를 거쳐서 프린터(10)의 메인 컨트롤러(101)에 입력되면, 감광체(20) 및 중간 전사 부재(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RS)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유닛 컨트롤러(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서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옐로우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3)>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옐로우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의 감광체(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5)>
로터리(55)를 회전시켜,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소자(52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52a) 및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7)>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써 현상된다.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고, 옐로우 현상 유닛(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된다.
<소자(52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9)>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전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때에 후술하는 단계 41과 마찬가지로 하여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소자(52a)에 최신의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11)>
소정의 타이밍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옐로우 현상 유닛(54)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옐로우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13)>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옐로우 토너의 소비량 YT를 구할 수 있다.
<옐로우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15)>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이 RAM에서 판독되어, 잔량 YY에서 소비량 YT를 감한 값 YY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시안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17)>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시안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19)>
로터리(55)를 회전시켜, 시안 현상 유닛(51)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블랙 현상 유닛(53)의 소자(53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53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1)>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시안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53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3)>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전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때에 후술하는 단계 55와 마찬가지로 하여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블랙 토너의 잔량 BB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소자(53a)에 최신의 블랙 토너의 잔량 BB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5)>
소정의 타이밍에서, 시안 현상 유닛(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시안 현상 유닛(51)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시안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6)>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시안 토너의 소비량 CT를 구할 수 있다.
<시안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7)>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시안 토너의 잔량 CC이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CC에서 소비량 CT를 감한 값 CC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마젠타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9)>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마젠타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31)>
로터리(55)를 회전시켜, 마젠타 현상 유닛(52)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소자(54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54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33)>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마젠타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54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35)>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단계 15에 있어서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소자(54a)에 최신의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37)>
소정의 타이밍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마젠타 현상 유닛(52)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마젠타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39)>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마젠타 토너의 소비량 MT를 구할 수 있다.
<마젠타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41)>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이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MM에서 소비량 MT를 감한 값 MM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또, 새로운 잔량 MMnew는 차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일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소자(52a)에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블랙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43)>
노광 유닛(40)에 의해서, 블랙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의 감광체(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127a)는 노광 유닛(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45)>
로터리(55)를 회전시켜, 블랙 현상 유닛(53)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시안 현상 유닛(51)의 소자(51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51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47)>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블랙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51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49)>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단계 27에 있어서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시안 토너의 잔량 CC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와 대향하는 소자(51a)에 최신의 시안 토너의 잔량 CC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51)>
소정의 타이밍에서, 블랙 현상 유닛(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블랙 현상 유닛(53)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블랙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53)>
화소 카운터(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블랙 토너의 소비량 BT를 구할 수 있다.
<블랙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55)>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블랙 토너의 잔량 BB가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BB에서 소비량 BT를 감한 값 BB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또, 새로운 잔량 BBnew는 차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일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이용하여 소자(53a)에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홈 포지션 이동 단계(단계 57)>
로터리(55)를 홈 포지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로터리(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면 화상 형성 처리가 종료하여, 화상 형성 처리 대기의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처리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하여, 기록 부재인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가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 다른 실시형태 ===
이상, 일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유닛 등을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교류 전압 인가의 다른 예>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대전 유닛 구동 제어 회로를 거쳐서 대전 유닛(3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 대전 유닛(30)이 감광체(20)를 교번 전계하에서 대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교류 전압 공급부(126a)가 1차 전사 유닛 구동 회로를 거쳐서 1차 전사 유닛(60)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류 전압의 크기>
본 실시형태는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 의해 인가되는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가 큰 화상 형성 처리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예를 들면,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가 1000볼트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특히 유효 하다. 교류 전압의 최대 전압값과 최소 전압값과의 차이가 1000볼트 이상이면 발생하는 전자적 노이즈도 커진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정의 현상 유닛이 교류 전압 공급부(126a)에서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감광체(20)상의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교류 전압의 공급에 기인하는 큰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정밀도 양호하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현상 유닛>
현상 유닛은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현상 유닛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상 유닛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고 있는 한 어떠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유닛이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해당 현상 유닛이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제 담지 롤러로서는 자성재, 비자성재, 도전성재, 절연성재, 금속, 고무, 수지 등 현상제 담지 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질적으로는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과,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플렌고무, 네오프렌고무, NBR 등의 고무와, 스티렌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메타크릴수지, 나일론수지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재질의 상층부에 코팅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 경우, 코팅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태로서는 비탄성체, 탄성체, 단층, 다층, 필름, 롤러 등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는 토너로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와 혼합된 2성분의 현상제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토너 공급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재질로서는 상술한 폴리우레탄폼 외에, 폴리스틸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에스테르폼, 에틸렌프로필렌폼, 나일론폼, 실리콘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또, 토너 공급 수단의 발포 셀은 개방셀 폼 또는 폐쇄셀 폼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폼재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를 사용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천연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틸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플렌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피클로로하드린고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아크릴고무에 카본 등의 도전제를 분산 성형한 것이 사용할 수 있다.
<감광체 유닛>
감광체 유닛(75)도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것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광체 유닛(75)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감광체를 갖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전 유닛(30)을 갖고 있지 않고, 해당 대전 유닛이 메인 프린터 유닛(10a)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감광체는 롤러형의 감광 롤러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형의 것일 수 있다.
<소자>
현상 유닛의 소자 및 감광체 유닛의 소자도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보를 기록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안테나 가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
감광체(20)와 대향하지 않은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은,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타이밍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교류 전압 공급부(126b)가 교류 전압을 공급하지 않은 타이밍에서, 감광체(20)와 대향하지 않은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20)에 대하여, 대전 처리, 노광 처리 등의 여러가지의 처리가 이루어져, 이러한 처리 실행시에 노이즈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감광체(20)로부터 멀리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떠한 타이밍에서 정보가 기록되더라도, 각종의 처리 실행시에 있어서의 노이즈 등의 영향을 적게 받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복수의 현상 유닛의 소자에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를 대향시킬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는 복수의 소자의 길이 방향과 대향하고 있으면, 복수의 소자에 걸쳐 연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개개의 소자마다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소자의 길이 방향 모두에 대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닛측 안테나(124b)의 일부가 소자의 길이 방향의 일부와 대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중간 전사형의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중간 전사형 이외의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모노크롬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각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 컴퓨터 시스템 등의 구성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 예인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컴퓨터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메인 컴퓨터 유닛(1102)과, 표시 장치(1104)와, 프린터(1106)와, 입력 장치(1108)와, 판독 장치(111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컴퓨터 유닛(1102)은 본 실시형태로서는 미니 타워형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104)는 CRT(Cathode Ray Tube : 음극선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린터(1106)는 상기에 설명된 프린터가 이용되고 있다. 입력 장치(1108)는 본 실시형태로서는 키보드(1108A)와 마우스(1108B)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독 장치(1110)는 본 실시형태로서는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110A)와 CD-ROM 드라이브 장치(1110B)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면 M0(Magneto Optical)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메인 컴퓨터 유닛(1102)이 수납된 하우징내에 RAM 등의 내부 메모리(1202)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204) 등의 외부 메모리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린터(1106)가 메인 컴퓨터 유닛(1102),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와 접속되어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이, 메인 컴퓨터 유닛(1102)과 프린터(1106)로 구성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이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린터(1106)가 메인 컴퓨터 유닛(1102), 표시 장치(1104), 입력 장치(1108) 및 판독 장치(1110)의 각각의 기능 또는 기구의 일부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린터(1106)가 화상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부, 각종의 표시를 하는 표시부 및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 미디어를 착탈하기 위한 기록 미디어 착탈부 등을 갖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현된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전체로서 종래 시스템보다도 우수한 시스템이 된다.
= 제 2 실시형태 =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특유의 사항에 대 하여 주로 설명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를 갖고 있다.
=== 소자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의 관계 ===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의 소자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a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소자(2054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비접촉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그 길이 방향(도 18a에서, Y 방향)이 로터리(2055)의 회전 방향(도 18a에서, Z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소자(2054a)와의 무선 통신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즉, 도 18a에 도시한 상태 뿐만 아니라, 로터리(2055)가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도,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소자(2054a)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의 길이 방향을 로터리(2055)의 회전 방향에 따르게 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 가능한 로터리(2055)의 회전 각도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해당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자(2054a)의 길이보다도 길다. 이에 의해, 로터리(2055)에 구비된 착 탈부(2055e)에 장착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소자(2054a)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로터리(20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소자(2054a)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리(2055)의 회전 직경 방향에서 소자(2054a)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소자(2054a)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로터리(2055)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 뿐만 아니라, 로터리(2055)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소자(2054a)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이동중의 소자(2054a)에 대하여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a)는 감광체 유닛(2075)의 소자(2075a)와 비접촉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a)는 감광체 유닛(2075)의 소자(2075a)와 비접촉 상태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 로터리(20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착탈 위치(장착 및 분리 위치) ===
다음에, 동일하게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로터리(2055)의 회전과 현상 유닛의 취득 위치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8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로터리(2055)가 Z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도 18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 18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위치(분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착탈 개구(2010e)를 거쳐서 착탈 가능, 즉 착탈부(2055e)에 장착 또는 착탈부(2055e)에서 분리 가능하다. 또한, 도 18b에 도시한 상태에서, 로터리(2055)가 Z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로터리(2055) 회전 방향 상류에 위치하는 시안 현상 유닛(2051)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 18c는 프린터(2010)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화 동작이 행해진 후에, 로터리(2055)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 ====
<<<정보의 기록 예 1>>>
다음에,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에 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 형성 처리 대기 단계(단계 2001)>
프린터(2010)에 전원이 투입되면, 소정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져, 프린터(2010)는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형성 처리 명령인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2112)를 거쳐서 프린터(2010)의 메인 컨트롤러(2101)에 입력되면, 감광체(2020) 및 중간 전사 부재(20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RS)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20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유닛 컨트롤러(2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서,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옐로우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003)>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옐로우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2005)>
로터리(2055)를 회전시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007)>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써 현상된다.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고,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된다.
<옐로우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009)>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노광 유닛(2040)에의 신호 입력이 종료한 타이밍에서,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 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옐로우 토너 소비량 YT를 구할 수 있다.
<옐로우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011)>
또한,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RAM에 기억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가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잔량 YY으로부터 소비량 YT를 감한 값 YY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YRAM에 기억된다.
<소자(2054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013)>
또한,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즉, 현상상에 잔량 YY로부터 소비량 YT를 감한 값 YYnew를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소자(2054a)에 기록한다. 이 기록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4a)에 대해서 비접촉해서 실행된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015)>
소정의 타이밍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옐로우 현상 유닛(2054)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2017)>
시안 현상 유닛(2051)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20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시안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019)>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시안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2021)>
시안 현상 유닛(2051)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한 로터리(2055)의 회전이 종료한다. 이에 의해, 시안 현상 유닛(2051)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023)>
시안 현상 유닛(20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시안 토너로써 현상된다.
<시안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025)>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노광 유닛(2040)에의 신호 입력이 종료한 타이밍에서,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시안 토너의 소비량 CT를 구할 수 있다.
<시안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026)>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RAM에 기억되어 있는 시안 토너의 잔량 CC이 RAM에서 판독되어, 잔량 CC에서 소비량 CT를 감한 값 CC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소자(2051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027)>
또한,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즉 현상중에 잔량 CC에서 소비량 CT를 감한 값 CCnew를 시안 현상 유닛(2051)의 소자(2051a)에 기록한다. 이 기록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1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써 실행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029)>
소정의 타이밍에서, 시안 현상 유닛(20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시안 현상 유닛(2051)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2031)>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로터리(20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마젠타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033)>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마젠타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2035)>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터리(2055)의 회전이 종료한다. 이에 의해,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037)>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마젠타 토너로써 현상된다.
<마젠타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039)>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노광 유닛(2040)에의 신호 입력이 종료한 타이밍에서,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마젠타 토너의 소비량 MT를 구할 수 있다.
<마젠타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041)>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RAM에 기억되어 있는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이 RAM에서 판독되어, 잔량 MM에서 소비량 MT를 감한 값 MM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소자(2052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043)>
또한,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즉 현상중에 잔량 MM에서 소비량 MT를 감한 값 MMnew를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소자(2052a)에 기록한다. 이 기록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2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써 실행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045)>
소정의 타이밍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마젠타 현상 유닛(2052)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개시 단계(단계 2047)>
블랙 현상 유닛(2053)을 현상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20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블랙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049)>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블랙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종료 단계(단계 2051)>
블랙 현상 유닛(2053)을 현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터리(2055)의 회전이 종료한다. 이에 의해, 블랙 현상 유닛(2053)이 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053)>
블랙 현상 유닛(20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블랙 토너로써 현상된다.
<블랙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055)>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노광 유닛(2040)에의 신호 입력이 종료한 타이밍에서,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블랙 토너의 소비량 BT를 구할 수 있다.
<블랙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057)>
또한,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RAM에 기억되어 있는 블랙 토너의 잔량 BB가 RAM에서 판독되어, 잔량 BB에서 소비량 BT를 감한 값 BB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에 기억된다.
<소자(2053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059)>
또한, 상기 현상 동작과 병행하여, 즉 현상중에 잔량 BB에서 소비량 BT를 감한 값 BBnew를 블랙 현상 유닛(2053)의 소자(2053a)에 기록한다. 이 기록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3a)에 대하여 비접촉으로써 실행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061)>
소정의 타이밍에서, 블랙 현상 유닛(20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블랙 현상 유닛(2053)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 다.
<홈 포지션 이동 개시 단계(단계 2063)>
로터리(20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도록 로터리(2055)가 회전을 개시한다.
<인쇄 동작 종료 단계(단계 2065)>
로터리(20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면, 화상 형성 처리가 종료하여, 화상 형성 처리 대기의 상태가 된다.
<<<정보의 기록 예 2>>>
다음에,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의 다른 예에 관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현상 유닛의 소자로의 정보의 기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소자(2052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의 기록이 행해진다.
<화상 형성 처리 대기 단계(단계 2101)>
프린터(2010)에 전원이 투입되면, 소정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져, 프린터(2010)는 홈 포지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처리 대기 상태가 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화상 형성 처리 명령인 화상 신호가 인터페이스(I/F)(2112)를 거쳐서 프린 터(2010)의 메인 컨트롤러(2101)에 입력되면, 감광체(2020) 및 중간 전사 부재(2070)가 회전한다. 그 후, 동기용 판독 센서(RS)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2070)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어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유닛 컨트롤러(2102)는 수신한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서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옐로우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103)>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옐로우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2105)>
로터리(2055)를 회전시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을 현상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 때,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소자(2052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2052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107)>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써 현상된다.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을 중첩한 전압이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고,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이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현상 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해도 된다.
<소자(2052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109)>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전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때에 후술하는 단계 2141과 마찬가지로 하여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소자(2052a)에 최신의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옐로우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111)>
소정의 타이밍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옐로우 현상 유닛(2054)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옐로우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113)>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옐로우 토너의 소비량 YT를 구할 수 있다.
<옐로우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115)>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가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YY에서 소비량 YT를 감한 값 YY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시안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117)>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시안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 광체(20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시안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2119)>
로터리(2055)를 회전시켜, 시안 현상 유닛(2051)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블랙 현상 유닛(2053)의 소자(2053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2053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121)>
시안 현상 유닛(20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시안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2053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123)>
시안 현상 유닛(20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전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의 때에 후술하는 단계 2155와 마찬가지로 하여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블랙 토너의 잔량 BB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소자(2053a)에 최신의 블랙 토너의 잔량 BB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시안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125)>
소정의 타이밍에서, 시안 현상 유닛(2051)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시안 현상 유닛(2051)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 다.
<시안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126)>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시안 토너의 소비량 CT를 구할 수 있다.
<시안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127)>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시안 토너의 잔량 CC이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CC에서 소비량 CT를 감한 값 CC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마젠타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129)>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마젠타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마젠타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2131)>
로터리(2055)를 회전시켜,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옐로우 현상 유닛(2054)의 소자(2054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2054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133)>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마젠타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2054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135)>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단계 2115에 있어서 RAM의 옐로우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소자(2054a)에 최신의 옐로우 토너의 잔량 YY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마젠타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2137)>
소정의 타이밍에서, 마젠타 현상 유닛(2052)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마젠타 현상 유닛(2052)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다.
<마젠타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139)>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마젠타 토너의 소비량 MT를 구할 수 있다.
<마젠타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141)>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마젠타 토너의 잔량 MM이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MM에서 소비량 MT를 감한 값 MM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마젠타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또, 새로운 잔량 MMnew는 차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일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2a)에 비접촉 상태로 기록되게 된다.
<블랙 화소수 카운트 개시 단계(단계 2143)>
노광 유닛(2040)에 의해서, 블랙의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대전 완료한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카운터(2127a)는 노광 유닛(2040)에 입력되는 화소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블랙 현상 유닛 이동 단계(단계 2145)>
로터리(2055)를 회전시켜, 블랙 현상 유닛(2053)을 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시안 현상 유닛(2051)의 소자(2051a)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소자(2051a)와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개시 단계(단계 2147)>
블랙 현상 유닛(20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2020)상에 형성된 잠상이 블랙 토너로써 현상된다.
<소자(2051a)로의 정보 기록 단계(단계 2149)>
블랙 현상 유닛(20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행하고 있을 때, 단계 2127에 있어서 RAM의 시안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의 시안 토너의 잔량 CCnew를 판독하고,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와 대향하는 소자(2051a)에 최신의 시안 토너의 잔량 CCnew를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한다.
<블랙 현상 바이어스 인가 종료 단계(단계 2151)>
소정의 타이밍에서, 블랙 현상 유닛(2053)의 현상 롤러에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블랙 현상 유닛(2053)에 의한 현상 동작이 종료한 다.
<블랙 화소수 취득 단계(단계 2153)>
화소 카운터(2127a)에서 카운트된 화소수를 취득한다. 이 카운트된 화소수는 토너의 소비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블랙 토너의 소비량 BT를 구할 수 있다.
<블랙 토너 잔량 판독 및 기억 단계(단계 2155)>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블랙 토너의 잔량 BB가 RAM에서 판독되고, 잔량 BB에서 소비량 BT를 감한 값 BBnew가 새로운 잔량으로서 RAM의 블랙 토너 잔량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또, 새로운 잔량 BBnew는 차회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형성 처리일 때,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이용하여 소자(2053a)에 비접촉 상태에서 기록되게 된다.
<홈 포지션 이동 단계(단계 2157)>
로터리(2055)를 홈 포지션으로 위치시키도록, 로터리(2055)가 회전을 개시한다. 로터리(2055)가 홈 포지션에 도달하면, 화상 형성 처리가 종료하여, 화상 형성 처리 대기의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정보의 기록의 다른 예에서는,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었지만,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를 현상 위치(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기록 처리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현상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현상 유닛의 소자에 대하여 기록 부재인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가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 다른 실시형태 ===
이상, 일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유닛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현상 방식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광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와의 사이에 교번 전계를 발생시켜, 이 작용에 의해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했지만, 현상 방식은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감광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와의 사이에 직류 전압만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해도 된다.
<현상 유닛>
현상 유닛은,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현상 유닛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상 유닛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현상 유닛이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해당 현상 유닛이 메인 프린터 유닛(2010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현상제 담지 롤러로서는, 자성재, 비자성재, 도전성재, 절연성재, 금속, 고무, 수지 등 현상제 담지 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질적으로는,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과,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플렌고무, 네오프렌고무, NBR 등의 고무와, 스티롤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메타크릴레이트수지, 나일론수지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재질의 상층부에 코팅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 경우, 코팅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태로서는 비탄성체, 탄성체, 단층, 다층, 필름, 롤러 등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는 토너로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와 혼합된 2성분의 현상제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토너 공급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재질로서는 상술한 폴리우레탄폼 외에, 폴리스틸렌폼, 폴리에틸렌폼, 폴리에스테르폼, 에틸렌프로필렌폼, 나일론폼, 실리콘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또, 토너 공급 수단의 발포 셀은 개방셀 폼 또는 폐쇄셀 폼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폼재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를 사용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천연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틸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플렌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피클로로하드린고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아크릴고무에 카본 등의 도전제를 분산 성형한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부재>
이동 부재는 회전 이동하는 로터리 타입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병행 이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동 부재에 설치되는 착탈부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보다 적을 수도 있고, 4개보다 많을 수도 있다.
<소자>
현상 유닛의 소자, 및 감광체 유닛의 소자도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보를 기록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안테나가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감광체 유닛>
감광체 유닛(2075)도,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것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전 유닛(2030)을 구비하지 않고, 해당 대전 유닛이 메인 프린터 유닛(2010a)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감광체는 롤러형의 감광 롤러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형의 것일 수 있다.
<메인 유닛측 안테나(기록 부재)>
메인 유닛측 안테나(2124b)는 상술한 실시형태로써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메인 유닛측 안테나를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하여, 개개의 안테나가 각 소자에 대향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중간 전사형의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중간 전사형 이외의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모노크롬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각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 제 3 실시형태 =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 특유의 사항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를 갖고 있다.
=== 소자의 배치 ===
다음에,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서, 현상 유닛에 있어서의 소자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현상 유닛에 보호 커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소자가 설치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현상 유닛의 구성도 마찬가지다.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은 제거 가능한 보호 커버(3054m)를 갖고 있다. 이 보호 커버(3054m)는,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을 반송할 때에, 현상 롤러(3510)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현상 롤러(3510)를 피복하고 있다. 이 보호 커버(3054m)는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을 메인 프린터 유닛(3010a)에 장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서 제거된다.
소자(3054a)는 프레임으로서의 하우징(354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호 커버(3054m)가 옐로우 현상 유닛(3054)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3054a)는 보호 커버(3054m)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보호 커버(3054m)가 옐로우 현상 유닛(3054)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호 커버(3054m)는 개구(3541), 그 일부가 개구(3541)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는 현상 롤러(3510), 및 소자(3054a)를 피복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반송중 등에 소자(3054a)가 파손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길이 방향을 3등분하여, 일 단부, 중앙부 및 타 단부로 했을 때, 소자(3054a)는 상기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의 반송중에 잘못 해당 유닛을 떨어뜨려 버린 경우에는, 단부가 마루 등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소자(3054a)를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소자(3054a)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540)에 오목부(3540a)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에 소자(3054a)를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호 커버(3054m)에 의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소자(3054a)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우징(3540)에 오목부(3540a)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보호 커버(3054m)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보호 커버(3054m)가 옐로우 현상 유닛(3054)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자(3054m)가 해당 오목부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커버(3054m)는 해당 커버(3054m)를 제거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054n)를 구비하고, 소자(3054a)는 해당 파지부(3054n)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보호 커버(3054m)를 제거할 때에 파지 부(3054n)를 파지한다. 일반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파지부에는 제거시에 제거 방향의 힘만이 가해진다. 한편, 파지부 이외의 부분에는 제거 방향 이외의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서, 소자(3054a)를 파지부(3054n)의 내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호 커버(3054m)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보호 커버(3054m)에 강한 힘을 가해도, 그 힘이 보호 커버(3054m)를 거쳐서 소자(3054a)에 가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다른 실시형태 ===
이상, 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유닛 등을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이 이뤄질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소자>
상기 소자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어떠한 방향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소자(3054a)의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소자(3054a)를 설치했지만, 소자(3054a)의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소자(3054a)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자가 정보를 기억 가능한 메모리와, 안테나를 갖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 면, 소자가 메모리를 갖고 해당 소자와는 별도로 안테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커버>
커버를 현상 유닛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을 여러가지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버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이 후크부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현상 유닛에 끼워맞춰지도록 할 수 있고, 커버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여, 현상 유닛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를 제거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직사각형의 볼록형으로 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를 제거할 때에 파지하기 위한 부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볼록형 부분에 손잡이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가 제거 가능한 구성이지만, 현상 유닛이 메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때에, 커버가 현상제 담지 부재로부터 퇴피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커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 24,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이 메인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로터리(3300)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로터리(3300)에 장착되기 전의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이 로터리(33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350)는 회동축(33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인장 스프링(3352)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또한, 커버(3350)는 결 합 볼록부(3356)를 갖고 있다.
로터리(3300)는 각 현상 유닛에 대응한 결합 홈(3302)을 갖고 있다.
여기서,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이 로터리(33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350)는 현상 롤러(3510) 등을 피복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3510) 등이 보호되는 것으로 된다.
옐로우 현상 유닛(54)을 로터리(3300)에 장착할 때에는, 커버(3350)의 결합 볼록부(3356)가 로터리(3300)의 결합 홈(3302)에 결합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을 로터리(3300)의 깊이 방향으로 장착해 감에 따라서, 결합 홈(3302)의 형상에 따라서, 인장 스프링(335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커버(3350)는 점차로 퇴피해 간다. 그리고, 옐로우 현상 유닛(3054)을 로터리(3300)의 깊이 방향까지 장착하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350)는 현상 롤러(3510)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3510)는 현상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모리 등의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 제 4 실시형태 =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 특유의 사항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를 갖고 있다.
=== 감광체 유닛의 개요 ===
감광체 유닛(4075)에 대하여,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감광체 유닛(4075)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감광체 유닛(4075)에 따른 오목부(4758), 소자(4075a), 덮개부(4756)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감광체 유닛(4075)은 1차 전사 유닛(4060)과 노광 유닛(4040)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감광체(4020),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4075a), 대전 유닛(4030), 클리닝 블레이드(4076), 클리닝 블레이드(4076)에 의해 긁어낸 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4076a) 및 감광체 유닛(4075)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4752)을 갖고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하우징(4752)중 감광체 유닛(4075)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벽부(4754)에는 소자(4075a)가 매립되어 있다. 즉, 소자(4075a)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752)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756)와, 메인 하우징 유닛(4752a)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 유닛(4752a)에는 오목부(4758)가 설치되어 있고, 소자(4075a)의 한쪽 측은 덮개부(4756)에 대향하고, 소자(4075a)의 다른 쪽 측은 오목부(4758)에 대향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자(4075a)는 상기 오목부(4758)내에 위치되고, 덮개부(475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 오목부를 폐쇄할 시에는, 상기 덮개부(4756)는 메인 하우징 유닛(4752a)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소자(4075a)는 기록된 정보를 기억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소자(4075a)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자(4075a)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소자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자(4075a)의 감광체 유닛(4075)에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소자(4075a)의 파손 방지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프린터(4010)에 대해서는 감광체 유닛(4075)이 사용자에 의해 자주 착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자(4075a)에 접촉하거나, 소자(4075a)가 프린터(4010)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한 소자(4075a)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소자(4075a)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소자(4075a)에 접촉하거나, 소자(4075a)가 프린터(4010)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한 소자(4075a)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현상 유닛의 개요 ===
다음에, 도 27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현상 유닛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을 현상 롤러(4510)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8은 옐로우 현상 유닛(4054)에 따른 오목부(4549), 소자(4054a), 덮개부(4547)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9는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 도 29에도, 화살표로 상하 방향을 도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현상 롤러(4510)의 중심축은 감광체(40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 다. 또한, 도 29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이 감광체(40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YMCK 현상 장치(4050)에는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4051),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4052),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4053) 및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이 설치되어 있지만, 각 현상 유닛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40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은 현상제로서의 옐로우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 소자(4054a), 하우징(4540),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4510), 이 현상 롤러(4510)에 토너(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4550), 현상 롤러(4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45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4540)은 일체 성형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등을 접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그 내부는 하부에서 상측으로(도 29의 상하 방향) 연장시킨 규제 벽(4545)에 의해, 제 1 수용부(4530)와 제 2 수용부(4535)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제 1 수용부(4530)와 제 2 수용부(4535)는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4530, 453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4530)와 제 2 수용부(4535)와는 상부가 연통되고, 규제 벽(4545)에 의해 토너(T)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에 수용된 토너(T)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4055)의 회전에 수 반하여 각 현상 유닛(시안 현상 유닛(4051), 마젠타 현상 유닛(4052), 블랙 현상 유닛(4053),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각 현상 유닛 내의 토너(T)가 교반되며, 그에 따라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에는 교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하우징(4540)중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외벽부(4543)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소자(4054a)가 매립되어 있다. 즉, 소자(4054a)는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540)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547)와, 메인 하우징 유닛(4540a)으로 구성되고, 해당 메인 하우징 유닛(4540a)에는 오목부(4549)가 설치되어 있고, 소자(4054a)의 한쪽 측은 덮개부(4547)에 대향하고, 소자(4054a)의 다른 쪽 측은 오목부(4549)에 대향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자(4054a)는 상기 오목부(4549)내에 위치되고, 덮개부(454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 오목부를 폐쇄할 시에는, 상기 덮개부(4547)는 메인 하우징 유닛(4540a)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소자(4054a)는 기록된 정보를 기억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소자(4054a)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자(4054a)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소자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자(4054a)의 현상 유닛에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소자(4054a)의 파손 방지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프린터(4010)에 대하여 는, 현상 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빈번히 착탈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자(4054a)에 접촉하거나, 소자(4054a)가 프린터(4010)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한 소자(4054a)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소자(4054a)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소자(4054a)에 접촉하거나, 소자(4054a)가 프린터(4010)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한 소자(4054a)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수용부(4530)의 하부에는 하우징(4540)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454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4530)에는 토너 공급 롤러(4550)가 그 주면을 상기 개구(4541)에 향하여 설치되고, 하우징(45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540)의 외측에서는 개구(4541)에 주위면을 향하여, 현상 롤러(4510)가 설치되고, 이 현상 롤러(4510)는 토너 공급 롤러(4550)에 접촉하고 있다.
현상 롤러(4510)는 토너(T)를 담지하여 감광체(40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반송한다. 이 현상 롤러(451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등이나, 토너 담지 영역에는 샌드 블러스트 등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4510)는, 그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451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4020)의 회전 방향(도 29에 있어서 시계방향)과 역의 방향(도 29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중심축은 감광체(4020)의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으로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이 감광체(4020)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4510)와 감광체(4020)와의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한다. 즉, 옐로우 현상 유닛(4054)은 감광체(4020)상에 형성된 잠상을 비접촉 상태에서 현상한다. 또, 감광체(4020)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현상 롤러(4510)와 감광체(4020)와의 사이에 교번 전계가 형성된다.
토너 공급 롤러(4550)는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4510)에 공급한다. 이 토너 공급 롤러(4550)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4510)에 접촉하고 있다. 토너 공급 롤러(4550)는 제 1 수용부(4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T)는 제 1 수용부(4530)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롤러(4550)에 의해서 현상 롤러(4510)에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455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중심축은 현상 롤러(4510)의 회전 중심축보다도 아래쪽에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4550)는 현상 롤러(4510)의 회전 방향(도 29에 있어서 반시계방향)과 역의 방향(도 29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토너 공급 롤러(4550)는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45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현상후에 현상 롤러(4510)에 잔존하는 토너(T)를 현상 롤러(4510)로부터 박리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4560)는 현상 롤러(4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고, 또한 현상 롤러(4510)에 담지된 토너(T)에 전하를 부여한다. 이 규제 블레이드(4560)는 고무부(4560a)와, 고무 지지부(4560b)를 갖고 있다. 고무부(4560a)는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지지부(4560b)는 인청동, 스테인레스 등의 스프링성을 갖는 얇은 판이다. 고무부(4560a)는 고무 지지부(4560b)에 지지되어 있고, 고무 지지부(4560b)는 그 일단이 블레이드 지지 판금(4562)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 판금(4562)은 시일 프레임에 고정되고, 규제 블레이드(4560)와 함께 후술하는 시일 유닛(4520)의 일부를 이뤄서 하우징(4540)에 부착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고무부(4560a)는 고무 지지부(4560b)의 휨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4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4560)의 현상 롤러(4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배킹 부재(4570)가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 배킹 부재(4570)는 고무 지지부(4560b)와 하우징(4540)과의 사이에 토너(T)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지지부(4560b)의 휨에 의한 탄성력을 안정시키는 동시에 고무부(4560a)의 바로 뒤에서 고무부(4560a)를 현상 롤러(4510)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고무부(4560a)를 현상 롤러(4510)에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배킹 부재(4570)는 고무부(4560a)의 현상 롤러(4510)에의 균일 접촉성 및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4560)의 블레이드 지지 판금(4562)에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즉 선단은 현상 롤러(4510)에 접촉하지 않고, 해당 선단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이, 현상 롤러(4510)에 폭을 갖고 접촉하고 있다. 즉, 규제 블레이드(4560)는 현상 롤러(4510)에 엣지로써 접촉하지 않고, 그 중간부에 접촉하고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4560)는 그 선단이 현상 롤러(451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소위 카운터 접촉하고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4560)가 현상 롤러(4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451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이며, 또한 토너 공급 롤러(455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이다.
시일 부재(4520)는 옐로우 현상 유닛(4054)내의 토너(T)가 유닛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4510)상의 토너(T)를 긁어내는 일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한다. 이 시일 부재(4520)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이다. 시일 부재(4520)는 시일 지지 판금(45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시일 지지 판금(4522)을 거쳐서 프레임(4540)에 부착되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4520)의 현상 롤러(4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압박 부재(4524)가 설치되고 있고, 시일 부재(4520)는 시일 압박 부재(4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4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 시일 부재(4520)가 현상 롤러(4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4510)의 중심축보다도 상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옐로우 현상 유닛(4054)에 있어서, 토너 공급 롤러(4550)가 현상제 수용부인 제 1 수용부(4530) 및 제 2 수용부(4535)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T)를 현상 롤러(4510)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4510)에 공급된 토너(T)는 현상 롤러(4510)의 회전에 따라서, 규제 블레이드(4560)의 접촉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접촉 위치를 통과할 때에, 층 두께가 규제되는 동시에 전하가 부여된다.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 롤러(4510)상의 토너(T)는 현상 롤러(4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감광체(4020)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현상 위치에서 교번 전계하에서 감광체(4020)상에 형성된 잠상의 현상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4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4510)상의 토너(T)는 시일 부재(4520)를 통과하여, 해당 시일 부재(4520)에 의해서 긁어내는 일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자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현상 유닛, 감광체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 제 5 실시형태 =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 특유의 사항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를 갖고 있다.
=== 현상 유닛의 착탈 ===
다음에, 도 32, 도 33, 도 3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대하여 현상 유닛(5054(5051, 5052, 5053))을 장착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착탈 개구에 현상 유닛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착탈 개구를 거쳐서 착탈부에 현상 유닛을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착탈 개구를 거쳐서 착탈부에 현상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시안 현상 유닛(5051), 마젠타 현상 유닛(5052), 블랙 현상 유닛(5053),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 조작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장착 조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의 장착 조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개폐 커버(5010b) 및 제 2 개폐 커버(5010c)를 개방하고, 그 후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외벽면(5540a)의 하부를 왼손(또는 오른손)으로 지지하여 잡고, 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할 때의 후방측면을 오른손(또는 왼손)으로 지지하여 잡은 상태에서, 일점 쇄선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이동하면서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 어느 정도 삽입하면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외벽면(5540a)의 하부에서 왼손(또는 오른손)을 분리하고, 옐로우 현상 유닛(54)의 후방측면만을 오른손(또는 왼손)으로 지지하여 잡은 상태에서, 일점 쇄선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압입한다. 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이 착탈부(5055e)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일지라도, 소자(5054a)를 외벽면(5540a)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하는 것에 따라, 소자(5054a)가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서 노출하지 않게 되어,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더욱 압입할 때에 오른손(또는 왼손)이 소자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33의 상태에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후방측면을 더욱 압입하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은 소자(5054a)가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서 노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착탈부(5055e)에 장착된다.
또, 사용자가 옐로우 현상 유닛(5054a)을 지지하여 잡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외벽면(5540a)의 하부를 지지하여 잡는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 밖의 어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서 제거하는 경우의 조작은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하는 경우와 반대의 수순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의 제 2 개폐 커버(5010c)를 개방했을 때,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이 착탈부(5055e)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5054a)가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서 노출되어 있으면,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시에 사용자의 몸이 소자(5054a)에 부주의하게 접촉하고, 그 결과 소자(5054a)가 옐로우 현상 유닛(5054)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소자(5054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못쓰게 할 수 있고, 이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또한,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시에,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이 착탈부(5055e)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고,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전방이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에서 다소 돌출한 상태를 알지 못한 채 폐쇄되어 버리면, 제 2 개폐 커버(5010c)를 페쇄한 충격으로 소자(5054a) 자체 를 파손해도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한 상태에서 소자(5054a)가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옐로우 현상 유닛(5054)에 소자(5054a)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일단 장착하면, 사용자의 몸이 소자(5054a)에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고, 소자(5054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특히, 옐로우 현상 유닛(5054)에 있어서, 소자(5054a)가 외벽면(5540a)에서 돌출한 경우,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일단 장착하면, 소자(5054a)의 충돌 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소자(5054a)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에 있어서, 소자(5054a)를 외벽면(5540a)에 매립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하면, 사용자가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 작업을 할 때에, 사용자의 몸이 소자(5054a)에 접촉하게 되고 소자(5054a)가 현상 유닛 착탈 개구(5010e)의 내벽에 접촉해서 충격을 받게 되고, 소자(50554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외벽면(5540a)의 하부를 손으로 지지하여 잡는 것에 의해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할 때에 소자(5054a)의 외벽면(5540a)에 접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측 을 향하도록 하면, 소자(5054a)가 외벽면(554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을 할시에, 사용자가 외벽면(540a)의 하부를 손으로 지지하여 잡더라도 사용자의 몸이 소자(5054a)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이 착탈부(5055e)에 장착된 상태 뿐만 아니라 착탈 동작의 때에서도 소자(5054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할 때에 선두측이 되는 측면(A)에 소자(5054a)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외벽면(5540a)의 어떠한 부분을 손으로 지지하여 잡더라도, 착탈부(5055e)에 대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의 착탈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유닛(5054)을 착탈할 때의 소자(5054a)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에 있어서, 소자(5054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b)에 의해서 비접촉으로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b)에 의해서 정보가 기록되는 소자(5054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에 있어서, 소자(5054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b)에 의해서 현상제의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는 소자(5054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잔량 또는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실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 하다.
또한,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은 현상 롤러(5510)를 갖고 있지만, 옐로우 현상 유닛(5054)을 착탈부(5055e)에 장착한 상태에서 착탈 개구(5010e)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소자(5054a)를 설치할 수 있고, 소자(5054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현상 유닛(5051, 5052, 505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 감광체 유닛의 개요 ===
다음에, 도 35를 이용하여, 감광체 유닛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는 감광체 유닛(507)을 외벽면(5077)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감광체 유닛(5075)의 길이 방향에 따른 외벽면(5077)의 중앙 부근에는,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5075a)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를 거쳐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소자(5075a)는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측에 설치된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a)와 대향하고,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하게 된다. 또, 감광체 유닛(5075)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 감광체 유닛의 착탈 ===
다음에, 도 36, 도 37, 도 38을 참조하면서, 사용자가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에 대하여 감광체 유닛(5075)을 장착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착탈 개구에 감광체 유닛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착탈 개구를 거쳐서 착탈부에 감광체 유닛을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착탈 개구를 거쳐서 착탈부에 감광체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개폐 커버(5010b)를 개방하고, 그 후 감광체 유닛(5075)의 외벽면(5077)의 하부를 왼손(또는 오른손)으로 지지하여 잡고, 또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할 때의 후방 측면을 오른손(또는 왼손)으로 지지하여 잡은 상태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감광체 유닛(5075)을 이동시키면서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감광체 유닛(5075)을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 어느 정도 삽입하면, 감광체 유닛(5075)의 외벽면(5077)의 하부에서 왼손(또는 오른손)을 분리하여, 감광체 유닛(5075)의 후방 측면만을 오른손(또는 왼손)으로 지지하여 잡은 상태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감광체 유닛(5075)을 압입한다. 또, 감광체 유닛(5075)이 착탈부에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일지라도, 소자(5075a)를 외벽면(5077)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서 노출하지 않게 되어, 감광체 유닛(5075)을 더욱 압입할 때에 오른손(또는 왼손)이 소자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37의 상태에서 감광체 유닛(5075)의 후방측면을 더욱 압입하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유닛(5075)은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서 노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착탈부에 장착된다.
또, 사용자가 감광체 유닛(5075)을 지지하여 잡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감광체 유닛(5075)의 외벽면(5077)의 하부를 지지하여 잡고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 밖의 어떠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서 제거하는 경우의 조작은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하는 경우와는 반대의 수순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메인 프린터 유닛(5010a)의 제 1 개폐 커버(5010b)를 개방했을 때, 감광체 유닛(5075)이 착탈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서 노출되어 있으면,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시에 사용자의 몸이 소자(5075a)에 부주의하게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5075)으로부터 분리되게 되거나, 소자(5075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못쓰게 되며,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시에, 감광체 유닛(5075)이 착탈부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고 감광체 유닛(5075)의 전방이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서 다소 돌출한 상태를 알지 못한 채 폐쇄되어 버리면, 제 1 개폐 커버(5010b)를 폐쇄한 충격으로 소자(5075a) 자체를 파손하는 것도 생각되고, 이것도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에서 노출하지 않게 되도록, 감광체 유닛(5075)에 소자(5075a)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하면, 사용자의 몸이 소자(5075a)에 접촉할 가능성은 더 이상 없고, 소자(5075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감광체 유닛(5075)에 있어서, 소자(5075a)가 외벽면(5077)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경우(도 35 참조),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하면, 소자(5075a)의 돌출 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소자(5075a)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유닛(5075)에 있어서, 소자(5075a)를 외벽면(5077)에 매립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하면, 사용자가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 작업을 할 때에, 사용자의 몸이 소자(5075a)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고, 또한 소자(5075a)가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의 내벽에 접촉하여 충격을 받는 일도 없게 되고, 소자(5075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감광체 유닛(5075)의 외벽면(5077)의 하부를 손으로 지지하여 잡는 것에 의해, 감광체 유닛 착탈 개구(5010d)를 통해서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할 때에 소자(5075a)의 외벽면(77)에 접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소자(5075a)를 외벽면(77)의 경사면(B)에 설치하면(도 35 참조), 소자(5075a)가 외벽면(507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을 할 때에, 사용자가 외벽면(5077)의 하부를 손으로 지지하여 잡더라도 사용자의 몸이 소자(5075a)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감광체 유닛(5075)이 착탈부에 장착된 상태 뿐만 아니라 착탈 동작의 때에도 소자(5075a)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부에 장착할 때에 선두측으로 되는 측면(C)(도 35 참조)에 소자(5075a)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감광체 유닛(5075)의 외벽면(5077)의 어떠한 부분을 손으로 지지하여 잡더라도, 착탈부에 대한 감광체 유닛(5075)의 착탈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체 유닛(5075)을 착탈할 때의 소자(5075a)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유닛(5075)에 있어서, 소자(5075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a)에 의해서 비접촉으로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a)에 의해서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가 기록되는 소자(5075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유닛(5075)에 있어서, 소자(5075a)는 메인 유닛측 안테나(5124a)에 의해서 인쇄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인쇄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는 소자(5075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소실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현상 유닛, 감광체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 제 6 실시형태 =
다음에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 특유의 사항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처리를 갖고 있다.
=== 현상 유닛의 개요 ===
다음에, 도 39 및 도 40을 이용하여 현상 유닛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을 현상 롤러(6510)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0은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0에도 화살표로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현상 롤러(6510)의 중심축은 감광체(602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에 있다. 또한, 도 40에서는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이 감광체(60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YMCK 현상 장치(6050)에는 시안(C) 토너를 수용한 시안 현상 유닛(6051), 마젠타(M) 토너를 수용한 마젠타 현상 유닛(6052), 블랙(K) 토너를 수용한 블랙 현상 유닛(6053) 및 옐로우(Y) 토너를 수용한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이 설치되어 있지만, 각 현상 유닛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옐로우 현상 유닛(60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은 현상제로서의 옐로우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 소자(6054a), 하우징(6540),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6510), 이 현상 롤러(6510)에 토너(T)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6550), 현상 롤러(6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65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6540)은 일체 성형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등을 접합하여 제조 된 것이며, 그 내부는 하부에서 상측으로(도 40의 상하 방향) 연장시킨 규제 벽(6545)에 의해 제 1 수용부(6530)와 제 2 수용부(6535)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제 1 수용부(6530)와 제 2 수용부(6535)는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6530, 653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6530)와 제 2 수용부(6535)는 상부가 연통되고, 규제 벽(6545)에 의해 토너(T)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에 수용된 토너(T)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6055)의 회전에 따라서 각 현상 유닛(시안 현상 유닛(6051), 마젠타 현상 유닛(6052), 블랙 현상 유닛(6053),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각 현상 유닛내의 토너(T)가 교반되며, 그에 따라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에는 교반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다.
하우징(6540)의 외면에는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6054a)가 그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소자(6054a)는 기록된 정보를 기억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소자(6054a)는 하우징(6540)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540)의 외면에는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있는 만곡된 벽부(6543)가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자(6054a)가 이 만곡된 벽부(654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자(6054a)는 가요성을 갖고 있고, 만곡된 벽부(6543)의 만곡면에 따라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소자(6054a)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소자(6054a)에는 현상 유닛 안테나로서의 안테나(6054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테나(6054d)의 길이 방향도 옐로우 현상 유 닛(605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있다.
이와 같이, 소자의 길이 방향이 현상 유닛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있기 때문에, 소자를 부착하기 쉬운 위치에 구비한 현상 유닛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어느 곳에 소자(6054a)를 부착하는 가를 고려함에 있어서는, 그 부착 용이함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그 부착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소자(6054a)가 옐로우 현상 유닛(6054)으로부터 쉽게 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생기고, 또한 그 부착이 충분했다고 해도, 소자(6054a)가 크게 만곡되어 옐로우 현상 유닛(6054)에 부착되면, 상기 통신에 관한 성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6540)의 외면에, 소자(6054a)를 그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소자(6054a)를 부착이 용이한 위치에 구비한 현상 유닛을 실현하고,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수용부(6530)의 하부에는 하우징(6540)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654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수용부(6530)에는 토너 공급 롤러(6550)가 그 주면을 상기 개구(6541)에 향하여 설치되고, 하우징(65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540)의 외측에서는 개구(6541)에 주면을 향하여, 현상 롤러(6510)가 설치되고, 이 현상 롤러(6510)는 토너 공급 롤러(6550)에 접촉하고 있다.
현상 롤러(6510)는 토너(T)를 담지하여 감광체(6020)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 로 반송한다. 이 현상 롤러(651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등이나, 토너 담지 영역에는 샌드 블러스트 등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6510)는 그 길이 방향이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651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6020)의 회전 방향(도 40에 있어서 시계방향)과 반대의 방향(도 40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중심축은 감광체(602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에 있다. 또한,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이 감광체(6020)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6510)와 감광체(6020)와의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한다. 즉, 옐로우 현상 유닛(6054)은 감광체(6020)상에 형성된 잠상을 비접촉 상태에서 현상한다. 또, 감광체(6020)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현상 롤러(6510)와 감광체(6020)와의 사이에 교번 전계가 형성된다.
토너 공급 롤러(6550)는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6510)에 공급한다. 이 토너 공급 롤러(6550)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6510)에 접촉하고 있다. 토너 공급 롤러(6550)는 제 1 수용부(6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T)는 제 1 수용부(6530)의 하부에서 토너 공급 롤러(6550)에 의해서 현상 롤러(6510)에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655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그 중심축은 현상 롤러(6510)의 회전 중심축 보다도 하측에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6550)는 현상 롤러(6510)의 회전 방향 (도 40에 있어서 반시계방향)과 반대의 방향(도 40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6550)는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에 수용된 토너(T)를 현상 롤러(65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현상후에 현상 롤러(6510)에 잔존하고 있는 토너(T)를 현상 롤러(6510)로부터 박리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6560)는 현상 롤러(6510)에 담지된 토너(T)의 층 두께를 규제하고, 또한 현상 롤러(6510)에 담지된 토너(T)에 전하를 부여한다. 이 규제 블레이드(6560)는 고무부(6560a)와, 고무 지지부(6560b)를 갖고 있다. 고무부(6560a)는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무 지지부(6560b)는 인청동, 스테인레스 등의 스프링성을 갖는 얇은 판이다. 고무부(6560a)는 고무 지지부(6560b)에 지지되어 있고, 고무 지지부(6560b)는 그 일단이 블레이드 지지 판금(6562)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 판금(6562)은 시일 프레임에 고정되어, 규제 플레이드(6560)와 함께 후술하는 시일 유닛(6520)의 일부를 이뤄서 하우징(654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무부(6560a)는 고무 지지부(6560b)의 휨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6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6560)의 현상 롤러(6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배킹 부재(6570)가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 배킹 부재(6570)는 고무 지지부(6560b)와 하우징(6540)과의 사이에 토너(T)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지지부(6560b)의 휨에 의한 탄성력을 안정시키는 동시에 고무부(6560a)의 바로 뒤에서 고무부(6560a)를 현상 롤러(6510)의 방향 압 박함으로써, 고무부(6560a)를 현상 롤러(6510)에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배킹 부재(6570)는 고무부(6560a)의 현상 롤러(6510)에의 균일 접촉성 및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규제 블레이드(6560)의 블레이드 지지 판금(6562)에 지지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즉 선단은, 현상 롤러(6510)에 접촉하지 않고, 해당 선단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이, 현상 롤러(6510)에 폭을 갖고 접촉하고 있다. 즉, 규제 블레이드(6560)는 현상 롤러(6510)에 엣지로써 접촉하지 않고, 그 중간부에 접촉하고 있다. 또, 규제 블레이드(6560)는 그 선단이 현상 롤러(651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소위 카운터 접촉하고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6560)가 현상 롤러(6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651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이며, 또한 토너 공급 롤러(6550)의 중심축보다도 하측이다.
시일 부재(6520)는 옐로우 현상 유닛(6054) 내의 토너(T)가 유닛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6510)상의 토너(T)를 긁어내는 일 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한다. 이 시일 부재(6520)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이다. 시일 부재(6520)는 시일 지지 판금(65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시일 지지 판금(6522)을 거쳐서 프레임(654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6520)의 현상 롤러(6510)측과는 반대측에는 몰토프렌(Moltopren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압박 부재(6524)가 설치되어 있고, 시일 부재(6520)는 시일 압박 부재(6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6510)에 압박되고 있다. 또, 시일 부재(6520)가 현상 롤러(6510)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현상 롤러 (6510)의 중심축보다도 상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옐로우 현상 유닛(6054)에 있어서, 토너 공급 롤러(6550)가 현상제 수용부인 제 1 수용부(6530) 및 제 2 수용부(6535)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T)를 현상 롤러(6510)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6510)에 공급된 토너(T)는 현상 롤러(6510)의 회전에 따라서, 규제 블레이드(6560)의 접촉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접촉 위치를 통과할 때에 층 두께가 규제되는 동시에 전하가 부여된다. 층 두께가 규제된 현상 롤러(6510)상의 토너(T)는 현상 롤러(6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감광체(6020)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현상 위치에서 교번 전계하에서 감광체(6020)상에 형성된 잠상의 현상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651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현상 위치를 통과한 현상 롤러(6510)상의 토너(T)는 시일 부재(6520)를 통과하여, 해당 시일 부재(6520)에 의해서 긁어내는 일 없이 현상 유닛내에 회수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소자를 현상 유닛 등의 부착이 용이한 위치에 구비한 현상 유닛, 감광체 유닛,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유닛의 소자에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를 갖는 현상 유닛 등에 대하여 정확하게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 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해질 경우,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한 상기 현상 유닛의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서 상기 잠상의 현상이 행하여지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비접촉 상태에서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지 않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감광체와의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담지된 현상제에 의해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해질 경우,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 이외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에 인접하지 않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소자에 해당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현상 유닛에 수용된 현상제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삭제
  27.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컴퓨터 유닛과,
    상기 메인 컴퓨터 유닛과 접속되며,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부재는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는
    컴퓨터 시스템.
  28.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 가능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의 소자에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장착된 복수의 현상 유닛 중의 소정의 현상 유닛이 상기 감광체상에 잠상을 현상하고 있을 때, 현상을 하지 않는 다른 현상 유닛의 소자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커버하기 위한 제거 또는 퇴피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9.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무선으로 정보를 기록 가능한 소자 및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복수 구비한 이동 부재와,
    잠상을 형성 가능한 감광체와,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중 하나에 장착된 현상 유닛을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대향 위치에 위치하여 현상이 행해질 경우, 상기 기록 부재가, 상기 복수의 착탈부에 각각 장착된 현상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현상 유닛의 상기 소자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현상 유닛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커버하기 위한 제거 또는 퇴피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0. 삭제
  3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2. 삭제
  3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자는 상기 착탈 개구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34. 삭제
  3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의 길이 방향은 상기 현상 유닛의 길이 방향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7018762A 2002-05-21 2003-05-16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KR100649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6895 2002-05-21
JPJP-P-2002-00146895 2002-05-21
JP2002146892 2002-05-21
JP2002146896 2002-05-21
JP2002146888 2002-05-21
JP2002146894 2002-05-21
JPJP-P-2002-00146892 2002-05-21
JPJP-P-2002-00146894 2002-05-21
JP2002146893 2002-05-21
JPJP-P-2002-00146893 2002-05-21
JPJP-P-2002-00146888 2002-05-21
JPJP-P-2002-00146896 2002-05-21
PCT/JP2003/006153 WO2003098356A1 (fr) 2002-05-21 2003-05-16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s et systeme infor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414A KR20050007414A (ko) 2005-01-17
KR100649804B1 true KR100649804B1 (ko) 2006-11-27

Family

ID=2955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62A KR100649804B1 (ko) 2002-05-21 2003-05-16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98223A1 (ko)
EP (1) EP1510874A4 (ko)
JP (1) JP4453551B2 (ko)
KR (1) KR100649804B1 (ko)
CN (1) CN100412704C (ko)
WO (1) WO2003098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2026A1 (ja) * 2004-12-09 2006-06-15 Seiko Epson Corporation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現像ユニット、及び、感光体ユニット
JP2007171799A (ja) * 2005-12-26 2007-07-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像形成ユニット、像形成ユニットの交換方向、及び像形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8107699A (ja) 2006-10-27 2008-05-0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8107698A (ja) 2006-10-27 2008-05-0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20130155450A1 (en) * 2011-12-19 2013-06-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JP2018004680A (ja) * 2016-06-27 2018-01-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1759B2 (ja) * 1991-08-29 1997-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ツジの包装方法およびこれに利用される包装袋
US5261724A (en) * 1992-04-03 1993-11-16 Grammer Ag Sprung seat
KR0132011B1 (ko) * 1994-02-28 1998-10-01 김광호 현상제 보유 레벨 검출 장치
JPH09190139A (ja) * 1996-01-09 1997-07-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1B2 (ja) *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2B2 (ja) *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3B2 (ja) *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40084A (ja) * 1997-02-28 1998-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95519B1 (en) * 1998-12-18 2001-02-2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and control signal transfer to a revolver without contacting the revolver
JP3447595B2 (ja) * 1998-12-22 2003-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92962B2 (ja) * 1999-10-22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57736B2 (ja) * 2000-02-23 2006-03-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2014579A (ja) * 2000-06-30 2002-01-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JP2002049206A (ja) * 2000-08-01 2002-02-15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93861B2 (ja) * 2000-08-18 2007-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交換部品
US6697578B2 (en) *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156890A (ja) * 2000-11-17 2002-05-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209229A (ja) * 2000-12-27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2002229415A (ja) * 2001-02-02 2002-08-14 Sharp Corp 画像形成用サプライ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98223A1 (en) 2006-05-11
CN1656429A (zh) 2005-08-17
CN100412704C (zh) 2008-08-20
WO2003098356A1 (fr) 2003-11-27
JP4453551B2 (ja) 2010-04-21
JPWO2003098356A1 (ja) 2005-09-22
KR20050007414A (ko) 2005-01-17
EP1510874A1 (en) 2005-03-02
EP1510874A4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02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4574740B2 (ja) 画像形成装置
US7929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unit, and computer system
KR10064980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KR100648764B1 (ko)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및 컴퓨터 시스템
JP2006284818A (ja) 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感光体ユニット
JP431403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708618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049205B2 (ja) 画像形成装置
JP4114661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05205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235099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08618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