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425B1 - 네트워크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425B1
KR100655425B1 KR1020000002026A KR20000002026A KR100655425B1 KR 100655425 B1 KR100655425 B1 KR 100655425B1 KR 1020000002026 A KR1020000002026 A KR 1020000002026A KR 20000002026 A KR20000002026 A KR 20000002026A KR 100655425 B1 KR100655425 B1 KR 10065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business card
communication
prim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476A (ko
Inventor
카와이쇼사쿠
Original Assignee
카와이 쇼사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이 쇼사쿠 filed Critical 카와이 쇼사쿠
Publication of KR2000007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3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where the network is a peer-to-peer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5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용량면 및 능력면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에 과대한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유저가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네트워크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통신시스템(1)은, 호스트장치(3), 제 1의 통신장치(5), 제 2의 통신장치 (7)를 가지고 있다. 제 1의 통신장치(5)는,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11), 명함정보생성수단(12),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3), 및 송신수단(14)을 가지고 있다. 제 2의 통신장치(7)는, 수신수단(15), 기억보유수단(16), 표시수단(17), 선택수단(18) 및 접속수단(19)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용량면 및 능력면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에 과대한 부하를 걸리게 하지 않고, 또한, 유저가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네트워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시스템

Description

네트워크통신시스템{Network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을 호스트컴퓨터(23) 및 PC(25)를 사용해서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PC(25)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의한 호스트컴퓨터(23)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명함을 생성할 때의 PC(25)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명함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메세지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PC(25)의 HDD(33)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기억된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호스트컴퓨터(23)가 표시하는 미팅의 초기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호스트컴퓨터(23)가 표시하는 초기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명함을 취득할 때까지의 수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전화번호부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전화부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PC간에 직접접속할 때에 접속되는 측의 PC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인증을 요구하는 측의 PC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인증을 수여하는 측의 PC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인증을 수여할 지 여부의 판단을 구할 때에 표시하는 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인증을 얻는 것에 의해 전화부정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상대정보에 기초해서, 각 사람과의 상대관계를 디스플레이(37)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는, 그래픽을 표시하는 경우의 CPU(3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B는, 상대정보를 통합하는 경우의 CPU(3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20대의 사람」을 목적으로 한 정보인 경우에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남자」를 목적으로 한 정보인 경우에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B씨가 갖고 있는 상대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B씨가 갖고 있는 상대정보를 그래픽화한 도면이다.
도 25는, 통합하는 것에 의해서 생성된 새로운 상대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의한 상대정보를 디스플레이(37)상에 그래픽화한 도면이다.
도 27은, 「주소가 오사카인 여자」를 목적으로 한 정보인 경우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종래의 네트워크통신시스템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을 호스트장치(73) 및 휴대전화(75)를 사용해서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의한 휴대전화(75)의 하드웨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29에 의한 호스트장치(73)의 하드웨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는, 휴대전화(75)의 명함의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B는, 휴대전화(75)의 메세지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휴대전화(75)의 전화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999년 1월 20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평 11-11600호의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된 내용은, 이들 모든 개시 내용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서, 본 출원에 합체된다.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장치간에 직접적인 접속을 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시스템으로는, PC통신이 있다. 이 PC통신의 구성을 도 28에 도시하고 있다. 통신시스템(100)은, 호스트컴퓨터(105) 및 통신 단말로서의 PC(107)를 가지고 있다.
호스트컴퓨터(105)는, 회의실이나 게시판 등을 테마마다 설치하여 유저간의 커뮤니게이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유저는, PPC(107)를 조작해서 호스트컴퓨터(105)로 억세스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게시판에서 본 흥미있는 발언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발언할 수 있다. 이것은, 자신의 PC(107)상에서 발언을 작성한 후, 호스터컴퓨터 (105)로 업로드한다. 발언을 한 유저는, 자신의 발언에 대한 타인의 발언이 업로드되고 있는지를 호스트컴퓨터(105)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호스트컴퓨터(105)를 공공의 의견교환의 장으로 하여, 유저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신시스템(100)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유저간의커뮤니케이션에는, 반드시 호스트컴퓨터(105)가 개재된다」는 라는 것이다.
각 유저가 행한 발언은, 호스트컴퓨터(105)상에 축적된다. 그리고, 호스트컴퓨터(105)상에서 공개된다. 즉, 호스트컴퓨터(105)에는, 막대한 메모리 용량 및 고도의 처리능력이 요구된다. 통신네트워크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 요구는 심각한 것으로 된다. 통신네트워크가 커짐에 따라서, 유저수가 늘어나고, 그것과 더불어 발언수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호스토컴퓨터(105)에는, 통상, 관리자가 있다. 그 관리자는, 호스트컴퓨터(105)의 보수·점검을 하고 있다. 관리자는, 유저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회의실 등의 발언 정리를 한다. 또, 특정의 사람을 비방·중상하는 것과 같은 발언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발언을 삭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리자의 권한은, 커뮤니케이션의 원활화를 촉진한다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의견교환을 방해할 가능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콤퓨터(105)를 중심으로한 네트워크에는, 호스트컴퓨터의 용량·능력의 문제, 그리고 자유로운 의견교환저해라고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용량면 및 능력면에서 호스트컴퓨터에 대하여 과대한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유저가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네트워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네트워크시스템은,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으로,
호스트장치에서 원시적접속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가, 제 2의 통신장치에서의 직접적인 호출을 다음회부터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 1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제 2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 보유하고,
다음회부터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 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방법은,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가, 당해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에 송신하는 행정(行 程),
호스트장치가,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는 행정,
호스트장치가, 당해 호스트장치로 억세스해 오는 각 통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는 행정,
호스트장치가, 당해 각 사용자에 대해서 주요명함정보를 공개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에서 선택된 주요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가,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행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이 넓게 나타낼 수 있으나, 그 구성과 내용은, 목적 및 특징과 함께, 도면을 고려하여, 이하의 개시에 의해 더욱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1. 제 1의 실시형태
1.1 기능 블록도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네트워크통신시스템(1)의 기능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통신시스템(1)은, 호스트장치(3), 제 1의 통신장치(5), 제 2의 통신장치(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의 통신장치(5)는,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11), 명함정보생성수단(12),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3) 및 송신수단(1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의 통신장치(7)는, 수신수단(15), 기억보유수단(16), 표시수단(17), 선택수단(18), 및 접속수단(19)를 가지고 있다.
호스트장치(13)는, 제 2의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고, 호스트장치로 억세스해오는 각 통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고, 당해 각 사용자에 대해서 주요명함정보를 공개해서, 제 1의 통신장치(5)에서 선택된 주요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를 제 1의 통신장치(5)에 송신한다.
제 1의 통신장치(5)는,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하는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11),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하는 명함정보생성수단(12),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14)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제 1의 통신장치(5)가, 제 2의 통신장치에서의 직접 호출을 다음회로 희망하는 경우에는,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당해통 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당해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생성하는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3),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14)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당해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당해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한다.
게다가,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관계를 도시하는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수단에서, 그 통신장치가 가지는 상대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가지는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게다가, 상대정보로부터, 임의의 상대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정보만을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제 2의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와, 를 수신하는 수신수단(15),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는 기억보유수단(16), 다음회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하고,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표시수단(17), 특정의 명함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18),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당해 명함정보 및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접속수단(19)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의 통신장치(5)에서 수신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고, 다음회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하여,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5)를 불러낸다.
또한, 다른 통신장치에서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가 있다.
게다가, 다른 통신장치에서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가, 그 통신장치에 대응한 것이 아닌 경우,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와 접속하고, 그 접속된 통신장치에서, 「당해 통신장치에서 다른 통신장치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라고 하는 인증을 받아서, 처음으로, 당해 통신장치가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 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게다가,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통신장치자신과의 상대관계를 도시하는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게다가, 직접적으로 접속된 다른 통신장치에서, 그 통신장치가 가지는 상대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갖는 상대정보와 수신한 상대정보와를 통합하고, 새로운 상대정보를 형성해서, 그 상대정보를 가시화 해서 표시한다.
게다가, 상대정보에서, 임의의 상대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정보만을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원시적접속정보」라는 것은, 어떤 통신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화번호, IP주소 등이다.
또한, 「명함정보」라는 것은, 어떤 통신장치의 조작자 혹은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름, 성별, 연령, 직업, 회사명, 자기소개 등이다.
그리고, 「주요명함정보」라는 것은, 어떤 통신장치의 조작자 혹은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주요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름, 성별, 년령, 직업 등이다.
그리고,「상대정보」라는 것은, 네트워크통신시스템상에 있어서, 어떤 통신장치가, 다른 통신장치 중에서, 어느 통신장치와 접속한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고성능, 대용량의 호스트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보다 자유로운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통신장치를 사용한 경우 네트워크의 보안성(security)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인간에 의한 사회와 동일하게, 네트워크사회에 있었어도 교우관계를 넓힐 수가 있다.
또한, 다른 통신장치와 접속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는 간단한 조작으로 인증(認證)을 수여할 수 있다.
게다가, 자신이 접속한 상대를 간단하게 알 수가 있다.
게다가, 그 접속한 통신장치가 접속한 통신장치가 접속된 통신장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글로벌한 접속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게다가, 어느 경로를 통해서 간다면 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를 간단히 알 수 있다.
게다가, 호스트장치를 개입하지 않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1.2 하드웨어 구성
도 1에 의한 네트워크통신 시스템(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2)에 도시하고 있다. 네트웨크통신시스템(1)은, 호스트장치(3)인 호스트컴퓨터(23), 제 1의 통신장치(5) 및 제 2의 통신장치(7)인 퍼스널컴퓨터(25)(이하에서는, PC(25)로 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컴퓨터(23)와 각 PC(25)와는, ISDN회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PC(25) 간에도 ISDN회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각 PC간의 접속상황은, 간단히 하기 위하여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PC(25)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PC(25)는, 본체(30)에 CPU(31), 메모리(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30)에 접속하는 외부장치로서, HDD(33), 마우스(34), 키보드(35), 카메라(36), 디스플레이(37), TA(터미널 어댑터)(38), DSU(디지탈 서비스 유니트)(39) 및 CD-ROM드라이브(40)를 가지고 있다.
HDD(33)에는, CD-ROM드라이브(40)를 통해서 CD-ROM(41)에서 본체(30)로 인스톨된 통신프로그램이 기억된다. CPU(31)는, HDD(33)에 기억되고 있는 통신프로그램을 메모리(32)를 통해서 실행한다.
PC(25)는, 마우스(34), 키보드(35)를 통해서 조작자로 부터의 명령을 수취한다. 또한, 조작자 등의 사진을 화상데이터로서 카메라(36)를 통해서 얻는다.
PC(25)는, 디스플레이(37)를 통해서, 조작자에게 CPU(31)가 처리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PC(25)는, TA(38) 및 DSU(39)를 통해서 ISDN회로 접속된다.
게다가, CD-ROM(4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프로그램은, 도 5, 도7A, 도 10 A,B, 도 13 A,B, 도 16 A,B 및 도 20 A,B에 있는 기억플로챠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도 1에서의 기능 블록도의 구성요소와 도 3에서의 PC(25)의 구성요소와의 대응관계를 설명한다.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11)은 CPU(31)에, 명함정보생성수단(12)은 CPU(31), 마우스(34), 키보드(35), 카메라(36)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3)은 CPU(31)에, 송신수단(14)은 CPU(31), TA(38), DSU(39)에 각각 대응한다.
그리고, 수신수단(15)은, CPU(31), TA(38), DSU(39)에, 기억보유수단(16)은 메모리(32), HDD(33)에, 표시수단(17)은 디스플레이(37), TA(38), DSU(39)에 각각 대응한다.
다음으로, 청구항에서의 구성요소와 도 3에서의 PC(25)의 구성요소와의 대응관계를 설명한다. 명함정보보유수단은 CPU(31), 메모리(32), HDD(33), 마우스 (34), 키보드(35), 카메라(36), TA(38), DSU(39) 및 CD-ROM드라이브(40)에, 명함 정보표시수단은 CPU(31), 메모리(32), 디스플레이(37)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상대정보보유수단은 CPU(31), 메모리(32), HDD(33), 마우스(34), 키보드(35), TA(38), DSU(39) 및 CD-ROM드라이브(40)에, 상대정보표시수단은 CPU(31), 메모리(32), 디스플레이(37)에 각각 대응한다.
도 4에 호스트컴퓨터(23)의 하드웨어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호스트컴퓨터 (23)는, 본체(50)에 CPU(51), 메모리(5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50)에 접속하는 외부장치로서, HDD(53), 마우스(54), 키보드(55), 디스플레이(57), TA(터미널 어댑터)(58), DSU(59) 및 CD-ROM드라이브(60)를 가지고 있다.
1.3 명함과 자기소개정보
다음으로, 명함정보로서의 명함생성방법을 설명한다. 명함은, 얼굴사진 등의 화상정보의 이름, 연령 등의 문자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PC(25)에는, 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CD-ROM(4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D-ROM드라이브를 통하여 HDD(33)에 인스톨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이 나타내는 수순에 따라서 가면, PC(25)의 사용자는 명함을 작성할 수 있다.
명함을 생성할 때의 PC(25)의 동작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문자정보(이름, 주소, 성별, 연령 등)를, 키보드(35) 등을 사용해서 입력한다. CPU (31)는, 이들을 인식해서(501 단계), HDD(33)에 기록한다(503 단계). 다음으로, 화상정보(카메라(36)를 사용해서 촬영한 사진)를 인식하면(505 단계), 그 사진을 HDD(33)에 기억한다(507 단계). CPU(31)는, 이들의 데이터에 기초해서, 도 6A에 표시한 바와 같은 명함(화면표시)을 생성한다(509 단계).
도 6A에 있어서는 화상정보 및 문자정보로 명함을 구성하고 있으나, 화상정보만, 혹은 문자정보만에 의해서 명함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문자정보로서, 이름, 주소, 성별, 연령에 의해서 명함을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하나 이상의 조합(예를 들면 이름만, 이름과 주소만 등)에 의해, 명함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속회사 등의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도록 해도 좋다. 단, 명함의 중간에 원시적접속정보(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화번호)는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된 입력화면에 따라서 키보드(35) 등을 사용해서 메세지를 입력한다.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는, 제목과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CPU(31)는 메세지를 인식하면(511 단계), HDD(33)에 기록한다(513 단계).
메세지의 입력이 종료되면, PC(25)는, 입력된 정보 중에서 자기소개정보를 생성한다(515 단계). 여기서는, 자기소개정보로서, 이름, 주소, 성별, 연령 및 메세지의 제목을 추출하도록 하고 있다. 메세지의 본문에 대해서는 자기소개정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PC(25)가 사용하는 자신의 ISDN회선의 전화번호(이하에서는, 전화번호라 한다)를 키보드(35) 등을 이용해서 입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전화번호가, 원시적접속정보에 해당한다.
여기서,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도 5에서의 플로차트의 어느 단계를 행하는 것인지, 그 대응관계에 대하여 다음에 나타낸다.
명함정보생성수단(13)은, 501 단계(S501), 503 단계(S503), 505 단계(505), 507 단계(S507), 및 509 단계(S509)의 동작을 행한다.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5)은, 515 단계(515 단계)의 동작을 행한다.
상기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를 호스트컴퓨터(23)에 등록한다. 이 때의 절차를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7A는 PC(25)의 HDD(33)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처리를, B는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처리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PC(25)는 호스트컴퓨터(23)에 로그인하기 위한 로그인정보를 송신한다(701 단계). 호스트컴퓨터(23)는 로그인정보를 수신하면(703 단계), 통신프로토콜을 확립하는 데에 적합한 상대인지를 판단한다(705 단계). 그리고, 프로토콜을 확립해도 좋다고 판단하면, PC(25)와의 사이에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통신가능상태를 형성한다.
PC(25)는, 프로토콜이 확립되어 통신가능 상태로 되면(707 단계), 자기소개 정보 및 전화번호를 호스트컴퓨터(23)로 송신한다(709 단계). 호스트컴퓨터(23)는,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면(701 단계), 당해 정보로 등록해도 좋은지의 여부의 확인 메세지를 송신한다(713 단계).
PC(25)는,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고(715 단계), 그 내용에 만족한다면(717 단계), 등록요구신호를 호스트컴퓨터(23)로 송신한다(719 단계).
내용에 상위점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한번 자기소개 및 전화번호를 송신한다(709 단계로 되돌아간다).
호스트컴퓨터(23)는, 동록요구신호를 수신하면(721 단계),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의 등록을 행한다(713 단계).
이와같이 해서,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는,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가 축적된다. 도 8에,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기억된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23)의 HDD (53)에는, 복수의 PC(25)에서의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가 축적된다.
게다가, 메세지의 본문은, 호스트컴퓨터(23)상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각 PC(25)상에 보존된다. 그 결과, 호스트컴퓨터(23)의 기억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호스트컴퓨터(23)에 기록된 자기소개정보는, 각 PC(25)에서의 요구에 응해서, 각 PC(25)상에서 열람할 수 있다. 단, 전화번호는 열람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도 7에서의 플로차트의 어느 단계를 행하는 것인가, 그 대응관계에 대해서 다음에 나타낸다.
송신수단(14)은, 701단계(S701), 707단계(S707), 715단계(S715), 717 단계 (S717),및 719단계(S719)의 동작을 행한다.
1.4 명함의 취득
이와같이 해서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축적된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팅」의 페이지에서 공개된다. 여기까지 접속한 적이 없는 사람에게 접속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우선, 「미팅」의 페이지에서 어떠한 사람이 소개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미팅」의 페이지라는 것은, 호스트컴퓨터(23)의 HDD(53)에 축적된 자기소개정보를 제 3 자에게 공개하는 장소이다. 또한, PC(25)가 공개되고 있는 자기소개정보를 선택하면, 선택한 자기소개정보의 소유자와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페이지이다.
호스트컴퓨터(23)는, PC(25)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도 9B에 도시함 바와같은 초기화면을 표시한다. PC(25)의 조작자는, 이 초기화면에서 미팅을 선택하면, 도 9A에 도시한 미팅의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도 9A에 있어서는, 「미팅」에서 공개하는 정보로, 자기소개정보 중에서 이름, 성별, 주소, 연령을 추출하고 있다. 한편, 전화번호는 비밀로 하고 있다.
게다가, 이 공개하는 정보는, 자기소개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라면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각PC가 명함을 취득할 때까지의 절차를, PC(25a)가 PC(25b)의 명함을 취득하는 경우를 예로서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0A는 접속하는측(명함을 요구하는 측)인 PC(25a)의 동작을, B는 접속되는 측(명함을 제공하는 측)인 PC(25b)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미팅」의 페이지에 접속하면, PC(25a)는, 거기에 게재되어 있는 자기소개정보 및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고, 메모리(32)의 RAM영역에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받은 자기소개정보를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한다.
PC(25a)의 조작자는,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된 자기소개정보 중에서 원하는 사람의 자기소개정보를 마우스(34) 등을 이용해서 선택한다. 이 때, CPU(31)에 대해서 선택신호가 송신된다. CPU(31)는, 선택신호를 인식하면(1001 단계), 인식한 선택신호에 기초해서 해당하는 자기소개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RAM영역에서 읽어낸다. 그리고, PC(25)는,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PC(25b)(이하, 대응PC로 한다)와 접속하기 때문에, TA(38), DSU(39)를 개입해서 전화를 걸고, 접속신호를 송신한다(1003 단계). 게다가, 이것과 동시에, 호스트컴퓨터(23)와의 접속을 절단한다.
대응 PC(25b)는, 접속신호를 수신하면(1005 단계), PC간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7 단계, 109 단계). 프로토콜이 확립되면, 대응 PC(25b)는, HDD(33)에 기록하고 있는 명함 및 메세지의 본문을 송신한다(1011 단계).
PC(25a)는, 명함 및 메세지의 본문을 수신하면(1013 단계), 그 명함을 HDD(33)의 전화부화일에 기록한다(1015 단계).
여기서,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도 10에서의 플로차트의 어느 단계를 행하는가, 그 대응관계에 대해서 다음에 표시한다.
수신수단(15)은, 1013 단계(S1013)의 동작을 행한다. 기억보유수단(16)은, 1015 단계(S1015)의 동작을 행한다.
다음으로, 전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화부에는, 인식한 전화번호 및 명함이 자동적으로 등록된다. 전화부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명함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상대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화부가 있는 전화부정보는, 전화번호, 명함, 취득상대 정보 및 인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취득상대정보라는 것은, 그 명함을 누구에게서 취득하였는가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인증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에 전화부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A씨, B씨의 명함은 직접본인으로 부터 취득한 것이다. 따라서, 취득상대란과 이름란과의 데이터가 일치한다. 한편, C씨, D씨, E씨의 명함은, 본인이 아니라 제 3 자로 부터 취득한 것이다. C씨, D씨는 A씨로 부터, E씨는 B씨로 부터, 각각 명함을 취득하고 있다. 따라서, 취득상대란과 이름란과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전화번호는 「미팅」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RAM영역에 기억되고 있으나, 대응PC(25b)와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획득하는 명함에 대응되고, 전화부정보의 일부로서 기록된다.
HDD(33)의 전화부화일에 기초해서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되는 전화부의 표시화면을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전화부의 표시화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R1),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개인정보표시부(R2), 취득상대표시부(R3), 인증표시부(R4) 및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표시부(R5)를 가지고 있다.
화상표시부(R1)에는, 명함 중의 화상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표시된다. 개인정보표시부(R2)에는, 명함 중의 문자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름, 주소, 성별, 연령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화상표시부 (R1)에서 특정의 사람을 선택하면 그 사람의 화상이 틀 F1으로 둘러쌓인다. 동시에, 개인정보표시부(R2)에는, 그 사람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취득상대표시부(R3)에는, 선택한 명함을 누구로 부터 취득한 것인가를 표시 한다. 인증표시부(R4)에는, 선택한 명함에 대해서 본인으로부터 인증을 얻을 수 있는 지를 표시한다. 인증을 얻으면, 「○」, 인증을 얻지 못하면,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조작표시부(R5)에는, 선택한 명함에로의 접속, 선택한 명함을 전화부에서 삭제 등을 표시하는 보턴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한 명함의 상대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접속보턴을 누른다. 그 결과, PC(25)의 CPU(31)는, 선택된 명함의 전화번호를 HDD(33)에서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전화번호에 기초해서 TA(38), DSU(39)를 개입해서 전화를 걸고, 전화를 건 상대와 직접적으로 접속을 한다.
게다가, RAM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로서, 상대와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명함을 취득하지 않은 것에 관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소거되어서, 기억보유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청구항에 의한 구성요소와 도 12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되는 전화부의 표시화면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명함정보표시부는 화상표시부(R1)에, 상세정보표시부는 개인정보표시부(R2), 취득상대표시부(R3) 및 인증표시부(R4)에, 인증정보표시부는 인증표시부(R4)에, 취득상대표시부는 취득상대표시부 (R3)에, 각각 대응한다.
1.5 PC간의 직접접속
전화부에 등록된 사람(혹은 PC)에게 접속할 때에는, 전화부에서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고, 접속보턴을 누르면, PC(25)가 자동적으로 상대에게 전화하고, 접속한다. 지금까지와 같이, 호스트컴퓨터(23)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이 PC간으로 직접 접속할 경우의 각 PC의 동작을 도 13의 플로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3A는 접속하는 측의 PC의 동작을, B는 접속되는 측의 PC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조작자는, 마우스(34) 등을 사용해서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된 전화부(도 12 참조)에서 특정의 사람을 선택한다. PC(25)는, 명함이 선택된 것을 표시하는 명함선택신호를 인식하면(1301 단계), 그 명함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기초해서 상대의 PC에 전화한다. 전화가 연결되면, 접속하기 위한 접속신호를 송신한다 (1303 단계).
상대측의 PC는, 이 접속신호를 수신하면(1305 단계),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할 수 있는 상대인지를 판단한다(1307). 프로트콜을 확립할 수 있는 상대라고 판단되면, 접속을 완료한다(1309 단계). 접속신호를 송신한 측의 PC(2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도 13에서의 플로차트의 어느 단계를 행하는가, 그 대응관계에 대해서 다음에 나타낸다.
접속수단(19)은, 1303단계(S1303), 1307단계(1307), 및 1309단계(S1309)의 동작을 행한다.
1.6 인증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접 본인으로부터 전화번호 및 명함을 취득한 경우는, 그 명함을 제 3 자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제 3 자에 소개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단, 전화번호 및 명함을 직접 본인으로부터 취득한 것이 아니라, 제 3 자로 부터 취득한 경우는,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을 다른 제 3 자에게 송신하는 것은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를 도 14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호스트컴퓨터 (51)에 W씨의 PC인 PCW(53), X씨의 PC인 PCX(55), Y씨의 PC인 PCY(57) 및 Z씨의 PC인 PCZ(59)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각 PC 간을 연결하는 선(예를 들면, PCW(53)-PCX(55)간)은, 직접적으로 전화번호 및 명함의 전송 혹은 수신이 있은 회선을 표시하고 있다.
이제, X씨가, W씨와 직접적으로 접속해서 전화번호 및 명함을 획득하고, 「W씨의 명함 및 전화번호를, X씨는 제 3 자에게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W씨로 부터 획득했다고 하자. 이 경우, X씨는 W씨 이외의 제 3 자인 Y씨에게 W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을 송신할 수 있다.
Y씨는, X씨로부터 W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을 취득했다. 이 Y씨가, W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을 Z씨에게 송신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3 자에게 송신할 수 있는 전화번호 및 명함은,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의 본래의 소유자와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을 제 3 자에게 송신해도 좋다는 인증을 그 사람으로 부터 얻은 경우에 한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씨가, X씨로 부터 취득한 W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에 기초해서, W씨 본인과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인증을 얻게 된다면, Y씨는 W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을 Z씨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을 요구하는측 및 인증을 주는 측의 각 PC의 동작을 도 16에 도시하고 있다. 도 16A는 인증을 요구하는 측의 PC(도 15에서의 Y씨의 PC인 PCY(57)에 해당하고, 이하 요구측 PC로 한다)의 동작을, B는 인증을 주는 측의 PC(도 15에서의 W씨의 PC인 PCW(53)에 해당하고, 이하 인정측 PC로 한다)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요구측PC는, 취득한 전화번호에 기초해서, 인증측 PC와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요구측PC는, 인증요구신호를 인증측 PC에 대해서 송신한다(1601 단계). 인증측 PC는, 인증요구신호를 수신하면(1603 단계), 인증을 줄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조작자에게 요구한다(1605 단계). 이 때,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화를 표시해서, 조작자의 의지를 확인한다. 조작자는, 마우스(34) 등을 이용해서, 「인증을 한다」혹은「인증을 하지 않는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조작자가, 「인증을 한다」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증측 PC는 인증신호를 송신한다(1607 단계). 또한, 「인증을 하지 않는다」를 선택한 경우는, 비인증신호를 송신한다(1609 단계).
요구측 PC는, 인증신호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1611 단계).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명함에 제 3 자로의 송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송신가능처리를 시행한다(1613 단계).
인증을 받음으로 인한 전화부정보의 변화를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도 11의 데이터에 대해서, 얼마간의 인증을 얻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 A씨, B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은 직접 본인으로부터 취득한 것이다. 따 라서, 접속한 때에, 인증을 얻을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해 두면 좋다. 예를 들면, A씨는 인증을 주었으나, B씨가 인증을 주지 않으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씨의 인증란에 첵크가 들어간다.
또한, 도 11에서, C씨, D씨의 전화번호 및 명함은 직접 본인으로 부터 취득한 것이 아니고, A씨로 부터 취득한 것이다. 따라서, 인증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C씨, D씨 본인과 직접 접속할 필요가 있다. C씨, D씨와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씨, D씨의 취득상대란이 「A」에서, 각각 「C」,「D」로 변경한다. 그리고, 인증을 얻은 경우에는, 인증란에 체크를 기입한다. 도 18에서는, C씨로 부터는 인증을 얻었으나, D씨로 부터는 인증을 얻지 못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E씨에 대해서는, 본인이 아닌 제 3 자인 B씨로 부터 전화번호 및 명함을 취득하고 있다. E씨와는 아직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취득상대는 「B」그대로 이다. 또한,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증도 얻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인증란에는 체크가 기입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화번호 및 명함의 본래의 소유자와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을 제 3 자에게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그 사람으로 부터 얻은 것에 한하여,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을 제 3 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고 하고 있으나, 예시한 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명함의 본래의 소유자와 직접적으로 접속한 것 만으로, 그 전화번호 및 소유자를 제 3 자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화번호 및 명함의 본 래의 소유자와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더라도, 그 전화번호 및 명함을 제 3 자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1.7 상대정보의 표시
계속해서, 상대정보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대정보라는 것은, 네트워크 통신시스템상에서, 어떤 통신장치가, 그와 다른 어떤 통신장치와 접속한 것인가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이 상대정보를 디스플레이(37)상에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상대정보는, 전호번호, 명함, 취득상대정보, 인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부정보와 동일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상대정보에 기초해서, 각 사람과의 상대관계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래픽이 표시된다. 조작자는, 이 그래픽을 보면, 자기자신이 누구와 직접적으로 접속한 것인가를 그 자리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서, 타원으로 둘러쌓여 있는 인영(人影)이 자기자신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때의 CPU(31)의 동작을 도 20A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CPU(31)는, 마우스 등으로 부터 그래픽 표시신호를 인식하면(2001 단계), HDD(33)에 기록되어 있는 그래픽표시 프로그램을 읽어낸다(2003 단계). 이 상대정보에 기초해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래픽을 표시한다(2007 단계).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신이 일체 누구와 접속한 것인가를 그 자리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접속한 상대에 대해서, 얼마간의 개인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의 정보를 가지는 사람만을 표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20대의 사람」,「남자」와 같은 목적에 합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사람을 진하게 표시하고, 합치하지 않는 사람을 연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예를 도 21, 도 22에 도시한다. 그리고, 도 21은 「20대의 사람」을 목적으로 한 정보인 경우, 도 22는 「남자」를 목적으로 한 정보로 한 경우이다.
계속해서, 직접적으로 접속한 사람으로 부터,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상대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대정보를 가지는 B씨으로 부터 상대정보를 취득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상대정보에 기초해서 디스플레이(37)상에 표시한 그래픽을 도 24에 도시하고 있다.
이 상대정보를 통합할 때의 CPU(31)의 동작을 도 20B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CPU(31)는, B씨로부터 상대정보를 획득하면(2011 단계), 상대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HDD(33)에서 읽어낸다(2013 단계). 다음으로, HDD(33)에 기억되고 있는 자기자신의 상대정보(도18 참조)를 읽어낸다(2015 단계). 그리고, 자기자신의 상대정보와 획득한 상대정보를 통합하여(2017 단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새로운 상대정보를 형성한다(2019 단계).
이 상대정보의 통합 방법을 도 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CPU(31)는, 획득한 상대정보의 취득상대에 대해서 획득상대의 정보를 부가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같이, A씨, 및 E씨에서 T씨의 취득상대란에 있어서, 획득상대인 B씨라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획득한 상대정보의 인증란은 파기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E씨로 부터 T씨의 인증란이 파기되어 있다(도 23 참조).
그리고, 획득한 상대정보와 자기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상대정보가 중복되고 있는 A씨에 대한 인증은, 보유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원래 자기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A씨에 관한 인증이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획득한 A씨에 관한 인증은 파기되어 있다.
CPU(31)는, 이와 같이 해서 새롭게 형성된 상대정보에 기초해서, 디스플레이 (37)상에 그래픽을 표시한다. 이 그래픽을 도 26에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B씨가 사각으로 둘러쌓여 있는 것은, B씨를 부터 상대정보를 취득했다고 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상에 있어서, 자신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누구와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를 그 자리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자신은 직접적으로 알지 못 하는 사람이라도, 누군가의 소개를 얻는다면 알게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 있다.
게다가, 새롭게 상대정보를 형성한 경우라도, 특정의 정보를 가지는 사람을 표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주소가 오사카인 여자」를 목적으로 한 정보의 경우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도 27에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7에 있어서는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가지는 사람만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도 21, 도 22의 경우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정보에 합치되는 사람을 진하게 표시하고, 목적으로 하는 정보에 합치되지 않는 사람은 연하게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2. 제 2의 실시형태
상술한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통신시스템(1)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호스트컴퓨터(23) 및 PC(25)를 도시했다. 본 실시형태가 제 1의 실시형태와 가장 상위한 점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PC(25)대신에 휴대전화 등의 정보통신단말을 이용한 점이다. 이하에서, 제 1의 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을 중심으로 제 2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2.1 하드웨어 구성
본 실시형태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는 실시형태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시스템(7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29에 도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통신시스템(71)은, 호스트 장치인 호스트컴퓨터(73) 및 제 1의 통신장치 및 제 2의 통신장치로서의 휴대전화 (75a~e)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호스트컴퓨터(73)와 각 휴대전화(75)는, 무선전화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29에서는, 각 휴대전화간의 접속상황은, 간단히 하기 위해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휴대전화(75)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30에 도시하고 있다. 휴대전화(75)는, CPU(81), 메모리(83), 입력키(85), 액정디스플레이(87) 및 통신회로(89)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83)에는, 통신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81)는, 메모리(83)에 기억되고 있는 각종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휴대전화(75)는, 입력키(85)를 통해서 조작자로부터의 명령을 받는다. 또 한, 액정디스플레이(87)에 CPU(81)가 처리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메모리(83)에 기억되고 있는 통신프로그램은, 도 5, 도7A, 도 10A, B, 도 13A, B, 도 16A, B 및 도 20A, B에 기재된 플로차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요소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은 CPU(81)에, 명함정보생성수단은 CPU(81) 및 입력키(85)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13)은 CPU(81)에, 송신수단은, CPU(81) 및 통신회로(89)에 각각 대응한다.
게다가, 수신수단은, CPU(81) 및 통신회로(89)에, 기억보유수단은 메모리 (83)에, 표시수단은 액정디스플레이(87)에, 선택수단은 입력키(85)에, 접속수단은, CPU(81) 및 통신회로(89)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명함정보보유수단은 CPU(81), 메모리(83), 입력키(85), 및 통신회로 (89)에, 명함정보표시수단은 CPU(81), 액정디스플레이(87)에 각각 대응한다.
그리고, 상대정보보유수단은 CPU(81), 메모리(83), 입력키(85), 및 통신회로(89)에, 상대정보표시수단은 CPU(81), 액정디스플레이(87)에 각각 대응한다.
다음으로, 호스트컴퓨터(73)의 하드웨어구성을 도 31에 도시하고 있다. 호스트컴퓨터(73)는, 본체(90)에 CPU(91), 메모리(9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90)에 접속하는 외부장치로서, HDD(93), 마우스(94), 키보드(95), 디스플레이 (97), 통신회로(98) 및 CD-ROM드라이브(99)를 가지고 있다.
2.2 명함
다음으로, 명함정보로서의 명함의 생성방법을 설명한다. 메모리(83)에는, 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전화(75)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명함은, 이름, 연령 등의 문자정보로 구성된다. 이 프로그램이 도시하는 수순에 따라서 가면, 휴대전화 (75)의 사용자는 명함을 작성할 수 있다.
명함을 생성할 때의 휴대전화(75)의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단, 명함은 화상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의 취득(505 단계)동작은 생략된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정보(이름, 주소, 성별, 연령등)를 입력키(85) 등을 이용해서 입력한다.
도 32에 휴대전화(75)의 액정디스플레이(87)에 표시된 명함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2B에, 액정디스플레이(87)에 표시된 메세지의 입력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2.3 전화부
다음으로, 휴대전화(75)의 메모리(83)에 형성되는 전화부화일에 기초해서 액정디스플레이(87)상에 표시되는 전화부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 33A, B에 도시하고 있다. 전화부가 표시되면, 우선,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의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는,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개인정보표시부(R72) 및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표시부(R75)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특정의 사람을 선택하는 경우는, 입력키(85)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는 입력키를 조작해서, 커서를 그 사람에 맞춘다. 이 때, 그 사람에 관한 정보부분이 반전 표시된다.
여기서, 좌우 이동에 대응하는 입력키를 조작해서, 제 2의 화면으로 이동한다. 제 2의 화면에는, 취득상대표시부(R73) 및 인증표시부(R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큰 화면에서 제 1의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좌우 이동에 대응하는 입력키를 조작한다.
개인정보표시부(R72)에는, 명함중의 문자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표시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이름, 주소, 성별, 연령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취득상대표시부(R73)에는, 선택한 명함을 누구로부터 취득한 것인가를 표시한다. 인증표시부(R74)에는, 선택한 명함에 대해서 본인으로 부터 인증을 얻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인증을 얻었으면, 「○」, 인증을 얻고있지 않으면 아무 표시도 하지 않는다.
조작표시부(R75)에는, 선택한 명함에로의 접속, 선택한 명함을 전화부에서 삭제 등의 조작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한 명함의 상대에 접속하려고 하면, 접속에 커서를 맞추고, 실행에 대응하는 입력키를 조작한다. 이 결과, 휴대전화(75)의 CPU(81)는, 선택된 명함의 전화번호를 메모리(83)에서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전화번호에 기초해서 통신회로(89)를 통해서 전화를 걸고, 전화를 건 상대와 직접적인 접속을 행한다.
여기서, 청구항에 의한 구성요소와 도 33에 도시한 액정디스플레이(87)상에 표시된 전화부의 표시화면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상세정보표시부는 개인정보표시부(R72), 취득상대표시부(R73), 및 인증표시부(R74)에, 인증정보표시부는 인증표시부(R74)에, 취득상대표시부는 취득상대표시부(R73)에, 각각 대응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술한 제 1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의 통신장치는 제 2의 통신장치에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한다고 했으나, 명함정보만을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회로망으로서 ISDN망을 이용했으나, 아나로그회로망, 무선통신망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망이라면 무엇을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전화부정보로서, 전화번호, 명함, 취득상대정보 및 인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으나, 전화부정보는, 적어도 전화번호와 상대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면, 이름)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그리고, 상대정보와 전화부정보를 동일한 정보로 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상대정보는, 최소한, 접속상대의 이름 및 취득상대만을 가지고 있다면, 그 밖의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도록, 그 밖의 정보를, 명함에서 제외시켜도 좋고, 새롭게 부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 2의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75)는 화상정보를 취급하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휴대전화(75)에 카메라를 접속하는 등으로 하여, 화상을 취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휴대전화(75)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 32, 도 33에 예시했으나, PC(25)가 표시하는 것과 같은 화면(도 6, 도 9, 도12 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제 1의 통신장치가, 제 2의 통신장치로 부터의 직접적인 호출을 다음회부터 원하는 경우에는, 제 1의 통신장치가, 당해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제 2의 통신장치가,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고, 제 2의 통신장치가, 다음회부터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하고,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제 2의 통신장치가,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를 호출한다.
그 결과, 제 2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를 직접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즉, 제 2의 통신장치는, 호스트장치를 통하지 않고도 제 1의 통신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장치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 1의 통신장치 및 제 2의 통신장치는, 양통신장치간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정보교환에 관리자 등의 의지가 개입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수단은,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포함한다. 기억보유수단은,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한다.
표시수단은, 다음회부터의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하고,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수단은, 특정의 명함정보를 선 택한다. 접속수단은,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당해 명함정보 및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접속한다.
그 결과, 원시적접속정보를 조작자에게 알리지 않고,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조작자는, 다른 통신장치의 원시적접속정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통신장치를 사용한 네트워크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수취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자신이 획득한 원시적 접속정보 등을, 그 밖의 통신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어떤 통신장치(혹은 그 조작자)를 다른 통신장치(혹은 그 조작자)에 자기를 통해서 소개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에 의한 사회와 동일하게, 네트워크사회에 있어서도 교우관계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통신장치로 부터 수취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가, 그 통신장치에 대응한 것이 아닌 경우, 수취한 원시적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와 접속하고, 그 접속한 통신장치에서, 「당해 통신장치로부터 다른 통신장치에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받아서, 처음으로, 당해 통신장치가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신의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가,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통신장치를 사용함으로서, 보안성이 높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해 통신장치와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인증이 얻어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다른 통신장치와 접속하는 것만으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는 인증을 줄 수 있다. 즉, 다른 통신장치와 접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인증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가 가지는 명함정보로 부터 특정의 것을 선택하면, 선택한 명함을 누구로부터 취득한 것인가를 표시한다. 그 결과, 본 통신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누구로부터 취득한 명함정보인 것인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그 결과, 자신이 접속한 상대를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에서, 그 통신장치가 가지는 상대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가지는 상대정보와 수신한 상대정보와를 통합해서, 새로운 상대정보를 형성하고, 그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그 결과, 자기가 접속한 통신장치뿐만이 아니라, 그 접속한 통신장치가 접속한 통신장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보다 글로벌한 접속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정보로부터, 임의의 상대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정보만을 가시화해서 표시한다. 그 결과, 어느 경로를 거쳐서 가면 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인가를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상대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대정보와 선택된 상대정 보 이외의 상대정보를 구별해서 표시한다. 그 결과, 본 통신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대정보의 구별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은,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 접속정보를 생성한다. 명함정보생성수단은,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한다. 송신수단은,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한다.
그 결과,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등을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통신장치는, 이 원시적접속정보를 수신한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직접적인 접속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의 통신장치가, 당해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 명함정보와,를 호스트장치로 송신하고, 호스트장치가,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 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고, 호스트장치가, 당해 호스트장치로 억세스해 오는 각 통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고, 호스트장치가, 당해 각 사용자에 대해서 주요명함정보를 공개하고, 제 2의 통신장치에서 선택된 주요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로 접속한다.
그 결과, 제 2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와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호스트장치를 통하지 않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은,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 한 원시적 접속정보를 생성한다.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은,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한다. 송신수단은,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호스트통신장치로 송신한다.
그 결과, 다른 통신장치가 자신의 통신장치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호스트장치를 통하지 않고도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수신시키고, 수신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시키고, 다음회부터의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시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시키지 않도록하고,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당해 명함정보 및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접속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를 직접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즉, 호스트장치를 통하지 않아도 다른 통신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호스트장치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는, 각 통신장치간에 직접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정보교환에 호스트장치의 관리자등의 의지가 개 입될 수 없기 때문에, 유저는, 관리자등의 의지를 해함이 없이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시키고,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 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시키고,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는, 자신과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등을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시키고,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원시적 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생성시키고,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가 자신의 통신장치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록매체에서 통신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호스트장치를 개입시키지 않아도 상호 커뮤니게이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세정보표시부는, 「당해 통신장치에서 다른 통신장치에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다른 통신장치로 부터 획득하고 있는 것인가의 여부 표시를 하는 인증정보표시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어떤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에 대해서 인증을 얻고 있는가를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세정보표시부는, 더하여, 당해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정보에 대해서, 「현재 주목하고 있는 명함정보를 어느 통신장치에서 취득했는가」를 나타내는 취득상대정보를 표시하는 취득상대표시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어떤 명함정보에 대해서, 이 명함정보는 누구로부터 취득한 것인가를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정보표시부는, 상대정보 중에서, 특정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구별해서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표시수단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특정정보를 가지는 상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설명했어나, 각 용어는, 한정을 위해 사용한 것이 아니고, 설명의 위해 사용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호스트장치를 통하지 않고도 유저간에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장치의 사용자는, 어떤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 보에 대해서 인증을 얻고 있는가를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7)

  1.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으로,
    호스트장치에서 원시적접속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가, 제 2의 통신장치에서의 직접적인 호출을 다음회부터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 1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제 2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 보유하고,
    다음회부터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 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통신시스템.
  2.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방법으로,
    호스트장치에서 원시적접속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가, 제 2의 통신장치에서의 직접적인 호출을 다음회부터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 1의 통신장치가, 당해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가,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 보유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가, 다음회부터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가,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 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를 호출하는 행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방법.
  3. 다른 송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 보유하는 기억보유수단,
    다음회부터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표시수단,
    특정의 명함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당해 명함정보 및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접속수단,
    을 가지는 통신장치.
  4. 제 3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 4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에서 수취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가, 그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경우,
    수취한 원시적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와 접속하고, 그 접속한 통신장치에서, 「당해 통신장치에서 다른 통신장치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받아서, 처음으로, 당해 통신장치가 수취한 원시적 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당해 통신장치 이외의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 5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당해 통신장치와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하면, 상기 인증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 5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증이 얻어진 경우, 「인증을 얻었다」라는 것을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 6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증이 얻어진 경우, 「인증을 얻었다」라는 것을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 3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자기가 가지는 명함정보에서 특정의 것을 선택하면, 선택한 명함을 누구로 부터 취득한 것인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 3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관계를 표시하는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 10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그 통신장치가 가지는 상대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가지는 상대정보와 수신한 상대정보를 통합해서, 새로운 상대정보를 형성하고, 그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 11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상대정보로 부터, 임의의 상대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정보만을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임의의 상대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대정보와 선택된 상대정보 이외의 상대정보를 구별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하는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하는 명함정보생성수단,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 14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관계를 표시하는 상대정보를 가시화 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 15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그 통신장치가 가지는 상대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가지는 상대정보와 수신한 상대정보를 통합해서, 새로운 상대정보를 형성하고, 그 상대정보를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제 16 항에 의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상대정보로 부터, 임의의 상대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정보만을 가시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임의의 상대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대정보와 선택된 상대정보 이외의 상대정보를 구별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9.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하고,
    호스트장치는,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기억 보유하고,
    호스트장치에 억세스해 오는 각 통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고,
    당해 각 사용자에 대해서 주요명함정보를 공개하고,
    제 2의 통신장치에서 선택된 주요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제 2의 통신장치는,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통신시스템.
  20. 적어도 호스트장치와, 제 1의 통신장치와, 제 2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네트워크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통신장치가, 당해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제 1의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제 1의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 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에 송신하는 행정 (行程),
    호스트장치가, 제 1의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기억보유하는 행정,
    호스트장치가, 당해 호스트장치로 억세스해 오는 각 통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원시적접속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는 행정,
    호스트장치가, 당해 각 사용자에 대해서 주요명함정보를 공개하는 행정,
    호스트장치가 제 2의 통신장치에서 선택된 주요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를 제 2의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행정,
    제 2의 통신장치가, 수신한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제 1의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행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방법.
  21.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하는 원시적접속정보생성수단,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생성하는 주요명함정보생성수단,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2. 컴퓨터에 의해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당해 통신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그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수신시키고,
    수신된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기억보유시키고,
    다음회부터의 접속시에는, 조작자에 대해서 명함정보를 표시시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하고,
    선택된 명함정보에 대응하는 원시적접속정보에 기초해서, 당해 명함정보 및 원시적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3. 컴퓨터에 의해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당해 통신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시키고,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생성시키고,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4. 컴퓨터에 의해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당해 통신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당해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를 생성시키고,
    조작자 또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주요명함정보를 생성시키고,
    원시적접속정보 및 주요명함정보를 호스트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5.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원시적접속정보와, 당해 다른 통신장치의 조작자 또는 당해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시적접속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명함정보를 가지는 명함정보 보유수단,
    상기 명함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함정보 표시수단,
    을 가지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명함정보표시수단은,
    명함정보의 일부 혹은 전부를 표시하는 명함정보표시부,
    주목되는 명함정보에 관해서, 명함정보의 일부 혹은 전부를 표시하는 상세정보표시부,
    를 가지고 있고, 더하여,
    상기 상세정보표시부는,
    「당해 통신장치에서 다른 통신장치에 원시적접속정보 및 명함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라는 인증을 다른 통신장치로 부터 획득하고 있는 것인가의 여부 표시를 하는 인증정보표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표시부는, 더하여,
    당해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접속한 다른 통신장치와 당해 통신장치 자신과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정보에 대해서, 「현재 주목하고 있는 명함정보를 어느 통신장치에서 취득했는가」를 나타내는 취득상대정보를 표시하는 취득상대표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삭제
KR1020000002026A 1999-01-20 2000-01-17 네트워크통신시스템 KR100655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1600 1999-01-20
JP01160099A JP3418563B2 (ja) 1999-01-20 1999-01-20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76A KR20000076476A (ko) 2000-12-26
KR100655425B1 true KR100655425B1 (ko) 2006-12-08

Family

ID=1178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26A KR100655425B1 (ko) 1999-01-20 2000-01-17 네트워크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80011B1 (ko)
EP (1) EP1026864B1 (ko)
JP (1) JP3418563B2 (ko)
KR (1) KR100655425B1 (ko)
CN (1) CN100388697C (ko)
AT (1) ATE361619T1 (ko)
AU (1) AU771838B2 (ko)
DE (1) DE60034608T2 (ko)
HK (1) HK1029469A1 (ko)
IL (1) IL134103A (ko)
SG (1) SG87077A1 (ko)
TW (1) TW457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1001B2 (ja) * 1999-03-12 2005-11-3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方法,移動体発見/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管理センタおよび移動体用端末,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775168B2 (ja) * 2000-04-20 2006-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8055753B2 (en) * 2003-06-11 2011-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 to peer job monitoring and control in grid computing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92A (ko) * 1996-10-25 1998-07-25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 페이저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19980083312A (ko) * 1997-05-13 1998-12-05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538A (en) * 1993-03-10 1997-01-07 Momentum, Inc.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ve voice and data
JP3468868B2 (ja) * 1994-09-26 2003-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3334774B2 (ja) * 1995-04-24 2002-10-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グループ通信方法
US5729689A (en) * 1995-04-25 1998-03-17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naming services proxy agent
JPH0954735A (ja) 1995-06-07 1997-02-25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5563882A (en) * 1995-07-27 1996-10-08 At&T Process for converting a point-to-point multimedia call to a bridged multimedia call
US5818836A (en) 1995-08-09 1998-10-06 Duval; Stephen C.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 voice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data service
US6108704A (en) * 1995-09-25 2000-08-22 Netspeak Corporation Point-to-point internet protocol
JP3661175B2 (ja) * 1995-11-28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接続状態表示方法
FI102869B1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US6324264B1 (en) * 1996-03-15 2001-11-27 Telstra Corporation Limited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s call
US5796395A (en) 1996-04-02 1998-08-18 Wegener Internet Projects Bv System for publishing and searching interests of individuals
US6125352A (en) * 1996-06-28 2000-09-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commerce over a distributed network
JPH1065737A (ja) * 1996-08-23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代理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6266328B1 (en) * 1996-08-26 2001-07-24 Caritas Technologies, Inc. Dial up telephone conferencing system controlled by an online computer network
IL119364A (en) * 1996-10-06 2000-11-21 Icq Inc Communications system
US5999611A (en) * 1996-11-19 1999-12-07 Stentor Resource Centre Inc. Subscriber interface for accessing and operating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JPH10155121A (ja) * 1996-11-21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US6209005B1 (en) * 1996-12-23 2001-03-27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linking documents to contacts in an organizer
JP3708268B2 (ja) * 1997-01-22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フォンサーバ装置及び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通話システム
JP3155240B2 (ja) * 1997-02-13 2001-04-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電話端末識別処理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049796A (en) * 1997-02-24 2000-04-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real time search capability
US6104711A (en) * 1997-03-06 2000-08-15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Enhanced internet domain name server
JPH10257189A (ja) * 1997-03-11 1998-09-25 Sony Corp チャットサーバ
US6778652B2 (en) * 1997-03-14 2004-08-17 It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facilitating a voice call connection from a client computer to a PSTN extension
US6483832B1 (en) * 1997-04-17 2002-11-19 At&T Corp. IP multicast over routed ATM network using lane
JPH117420A (ja) * 1997-04-22 1999-01-12 Sharp Corp データ受信装置
US6212175B1 (en) *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JP3758808B2 (ja) * 1997-05-15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3393789B2 (ja) * 1997-05-20 2003-04-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端末
US6163596A (en) * 1997-05-23 2000-12-19 Hotas Holdings Ltd. Phonebook
JPH10326244A (ja) * 1997-05-27 1998-12-08 Toyota Motor Corp データ送出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
JPH1125125A (ja) * 1997-07-08 1999-01-29 Canon Inc ネットワーク情報探索装置、ネットワーク情報探索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6587882B1 (en) * 1997-08-01 2003-07-01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IP communication scheme using visited site or nearby network as temporal home network
JP3180726B2 (ja) * 1997-08-05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の制御方法
US6622174B1 (en) * 1997-08-15 2003-09-16 Sony Corporation System for sending, converting, and adding advertisements to electronic messages sent across a network
JPH11122301A (ja) * 1997-10-20 1999-04-30 Fujitsu Ltd アドレス変換接続装置
US6512930B2 (en) * 1997-12-30 2003-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n-line notif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233577B1 (en) * 1998-02-17 2001-05-15 Phone.Com, Inc. Centralized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for two-way interactive communication devices in data networks
US6038542A (en) * 1998-04-28 2000-03-14 Micron Electronics, Inc. System for notifying an individual of a previously scheduled event
US6256671B1 (en) * 1998-06-24 2001-07-03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control using a domain name system
US6292833B1 (en) * 1998-07-17 2001-09-18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control to local services of mobile devices
US6269406B1 (en) * 1998-10-19 2001-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group synchronization to manage capabilitie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6427170B1 (en) * 1998-12-08 2002-07-30 Cisco Technology, Inc. Integrated IP address management
US6714519B2 (en) * 2000-11-03 2004-03-30 Vocaltec Communications Limited Communications avail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92A (ko) * 1996-10-25 1998-07-25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 페이저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19980083312A (ko) * 1997-05-13 1998-12-05 유기범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4103A0 (en) 2001-04-30
ATE361619T1 (de) 2007-05-15
AU1245900A (en) 2000-07-27
US6880011B1 (en) 2005-04-12
AU771838B2 (en) 2004-04-01
EP1026864B1 (en) 2007-05-02
JP3418563B2 (ja) 2003-06-23
CN100388697C (zh) 2008-05-14
KR20000076476A (ko) 2000-12-26
SG87077A1 (en) 2002-03-19
HK1029469A1 (en) 2001-03-30
IL134103A (en) 2006-06-11
JP2000207311A (ja) 2000-07-28
TW457799B (en) 2001-10-01
EP1026864A2 (en) 2000-08-09
DE60034608T2 (de) 2008-01-31
DE60034608D1 (de) 2007-06-14
CN1265545A (zh) 2000-09-06
EP1026864A3 (en)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0448B2 (ja) グループコンタクトシステム及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641496B2 (ja)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ファイル共有方法およびファイル共有プログラム
JP2002016956A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JP2004139525A (ja) 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個人情報提供方法
JP2006092242A (ja) 遠隔会議システム、拠点サーバ、管理サーバ、遠隔会議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96481B2 (ja) 遠隔会議システム、共有ワークスペース・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07833A (ko) 네트웍 기반 수신자 선택형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55425B1 (ko) 네트워크통신시스템
JP2006005589A (ja) 遠隔会議システム、拠点サーバ、履歴データ保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3240163A (ja) 情報通信方法
JP2006005589A5 (ko)
JP2002099675A (ja) 電子名刺交換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可能な携帯端末
JP2008282284A (ja) アクセス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管理方法
JP2004172769A (ja) 連絡先管理方法、連絡先管理システム、及び勤怠管理システム
JP2005128885A (ja) 在否判定方法、在否判定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6876B2 (ja) グループコンタクトシステム及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63044B2 (ja) 個人情報交換方法および装置
JP7477191B2 (ja) フリーアドレスオフィスの座席予約のためのサーバ、多機能電話機、座席予約システム、座席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20022A (ja) 勤怠管理システム
JPH10254794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2152406A (ja) 電話通信方法、電話通信システム、ウェブ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216011A (ja) アンケートシステムおよびアンケート情報の表示方法
JP2004040486A (ja) 携帯電話機、および該携帯電話機を用いた情報伝達システム
JP2003044447A (ja) 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分散オフィス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H04297161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