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287B1 -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287B1
KR100647287B1 KR1020040069091A KR20040069091A KR100647287B1 KR 100647287 B1 KR100647287 B1 KR 100647287B1 KR 1020040069091 A KR1020040069091 A KR 1020040069091A KR 20040069091 A KR20040069091 A KR 20040069091A KR 100647287 B1 KR100647287 B1 KR 100647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ion conductive
poly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282A (ko
Inventor
조명동
선희영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287B1/ko
Priority to CNB2005100590387A priority patent/CN100409475C/zh
Priority to DE602005009622T priority patent/DE602005009622D1/de
Priority to EP05252135A priority patent/EP1630890B1/en
Priority to US11/150,183 priority patent/US8026016B2/en
Priority to JP2005251274A priority patent/JP4769518B2/ja
Priority to US11/363,241 priority patent/US8642228B2/en
Publication of KR2006002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01Polymers based on the polymerisation of acrylic acid, e.g. poly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4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26-B01D7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0Poly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08J9/405Impregn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rous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rous support, e.g. its poros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0Plastici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6Spray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4Use of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머 전해질막은,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머 전해질막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1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열에 의한 열화가 없으며, 무가습 상태에서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어, 고온용 연료전지에 적합하다. 상기 폴리머 전해질막을 구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를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메탄올의 크로스 오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에서 조성물을 코팅하기 이전의 PTFE 매트릭스의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PTFE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함유 코팅막을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은 도 2의 폴리머 전해질막이 인산에 의하여 스웰링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막에 있어서,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함량에 따른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에 있어서, 셀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열적 특성 및 기계적 안전성이 우수한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는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구동용 전력의 공급뿐만 아니라, 소형의 전기/전자 제품, 특히 휴대용 장치의 전력공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인산 연료전지 (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SOFC: solid oxide fuel cell)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전해질에 따라 연료전지의 작동온도 및 구성 부품의 재질 등이 달라진다.
연료전지는, 애노드에 대한 연료 공급방식에 따라, 연료개질기를 통하여 연료를 수소부화가스로 전환시킨 후 애노드에 공급하는 외부개질형과,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연료를 직접 애노드에 공급하는 연료직접공급형 또는 내부개질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료직접 공급형의 대표적인 예는 직접 메탄올연료전지 (DMFC : direct methanol fuel cell)이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연료로서 메탄올 수용액을, 전해질로서 수소 이온전도성 폴리머 전해질막을 사용한다. 따라서, DMFC도 PEMFC에 속한다.
PEMFC는 소형 및 경량이어도 높은 출력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PEMFC를 사용하면, 발전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PEMFC의 기본 구조는 통상적으로, 애노드(연료 전극), 캐소드(산화제 전극),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 폴리머 전해질막을 포함한다. PEMFC의 애노드에는 연료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층이 구비되어 있으며, PEMFC의 캐소드에는 산화제의 환원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층이 구비되어 있다.
PEMFC의 애노드에 공급되는 연료로서는 통상적으로, 수소, 수소 함유 가스, 메탄올과 물의 혼합 증기, 메탄올 수용액 등이 사용된다. PEMFC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산화제는 통상적으로 산소, 산소 함유 가스 또는 공기이다.
PEMFC의 애노드에서는, 연료가 산화되어 수소이온과 전자가 생성된다.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을 통하여 캐소드로 전달되며, 전자는 도선(또는 집전체)을 통하여 외부회로(부하)로 전달된다. PEMFC의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하여 전달된 수소이온, 도선(또는 집전체)을 통하여 외부회로로부터 전달된 전자, 및 산소가 결합하여 물이 생성된다. 이 때, 애노드, 외부회로 및 캐소드를 경유하는 전자의 이동이 곧 전력이다.
PEMFC에 있어서, 폴리머 전해질막은,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의 수소이온의 이동을 위한 이온전도체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애노드와 캐소드의 기계적 접촉을 차단하는 격리막(separator)의 역할도 한다. 따라서, 폴리머 전해질막에 대하여 요구되는 특성은, 우수한 이온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전성, 높은 기계적 강도, 작동온도에서의 열안정성, 박막화의 용이성 등이다.
폴리머 전해질막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불소화 알킬렌으로 구성된 주쇄 와 말단에 술폰산기를 갖는 불소화비닐 에테르로 구성된 측쇄를 갖는 술포네이트 고불화 폴리머 (예: Nafion : Dupont사의 상표)와 같은 폴리머 전해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머 전해질막은 적정량의 물을 함습하므로써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해질막은, 100℃ 이상의 작동 온도에서, 증발에 의한 수분손실로 인하여 이온 전도성이 심각하게 저하되어서 전해질막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머 전해질막을 사용하는 PEMFC를, 상압하에서 그리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종래의 PEMFC는 주로 100℃ 이하의 온도,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약 80℃에서 작동되어 왔다.
PEMFC의 작동온도를 100℃ 이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PEMFC에 가습 장치를 장착하거나 PEMFC를 가압 조건 하에서 운전하는 방안, 가습을 요하지 않는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방안 등이 제안된 바 있다.
PEMFC를 가압 조건 하에서 운전하는 경우, 물의 끓는점이 상승하므로, 작동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EMFC의 작동 압력이 2 기압이면, 그 작동 온도를 약 120℃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압 시스템을 적용하거나 가습장치를 장착하면, PEMFC의 크기 및 중량이 매우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발전 시스템의 전체 효율도 감소한다. 그래서, PEMFC의 활용범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무가습 폴리머 전해질막", 즉, 가습하지 않아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발휘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가습 폴리머 전해질막의 예는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11-503262호에 소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무가습 폴리머 전해질로서, 폴리벤조이미다졸, 황산 또는 인산이 도핑된 폴리벤조이미다졸 등과 같은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온에서 안정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무가습 상태에서도 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폴리머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폴리머 전해질막을 채용하여 셀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을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상에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물의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을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상술한 폴리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머 전해질막은 기계적 강도 및 열적 특성이 우수한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일 파이버 (또는 개별 파이버)의 외면에, 다양한 종류의 이온 전도성 그룹 (특히 수소 이온 전도성)을 갖고 있는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을 그래프트 또는 가교하여 얻어진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폴리머 전해질막"의 용어 정의를 살펴보면, 이온 매질이 함침되어 있는 폴리머 전해질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이온 전도체를 의미하며, 상기 이온 매질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는 코팅되는 모노머로서 술폰산 (sulfonic acid)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나피온)를 말하며, 인산형 연료전지에서는 이온 매질은 인산자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단일파이버"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에서 기공 내부 및 3차원 구조를 갖는 웹 (web) 형태를 갖는 단일 파이버를 말하며, 부연 설명하면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버 또는 사슬을 지칭한다.
상술한 폴리머 전해질막은 특히 무가습 폴리머 전해질막으로서 유용하며, 200 ℃ 이상의 열적 안전성이 확보된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 전도성 폴리머를 코팅하여 우수한 기계적 안전성 및 높은 열적 특성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무가습 폴리머 전해질막"이라 함은 수분을 함습하지 않아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발 휘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으로서 대기압하의 1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적정한 이온전도도 (10-2 S/cm 이상)를 유지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을 의미한다.
상기 이온 전도성 폴리머는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은 말단에 술폰산기, 인산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은 산성 그룹, 이미드기, 술폰이미드기, 술폰아미드기 및 히드록시기 등과 이온 전도성 작용기를 갖고 있고, 헤드 부분은 중합성 결합 예를 들어 이중결합과 같은 불포화 결합, 에폭시 등과 같은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을 말한다. 이러한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 g/mole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 g/mole,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g/mole이다. 만약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e을 초과하면 전도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비닐 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아크릴계 화합물 (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기타 강산을 포함한 유기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 등을 개선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PEGMA) {H2C=C(CH3)-C(=O)-(OCH2CH2)n-OH, n은 1 내지 25의 정수임},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EGDMA) {H2C=C(CH3)-C(=O)-(OCH2CH2)n-OC(=O)-C(CH 3)=CH2, n은 1 내지 25의 정수임},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이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가교제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제의 양이 적어서 가교의 효과가 미흡하고 3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분자가 과도하게 가교되어 프로톤의 이동에 방해되어 전도도가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유연성 (flexibility)을 높이기 위하여 가소제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소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CH2=CH-C(=O)O-(CH2CH2O)m-CH3, m은 1 내지 25의 정수임}, 폴리알릴에테르 {{CH2=CH-(CH2CH2O)m-CH3, m은 1 내지 25의 정수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가소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로서의 효과가 미미하고 20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전해질막을 구성하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로서, 이의 막 두께는 20 내지 150㎛이고 기공도가 30 내지 90%이다. 만약 기공도 가 30% 미만일 경우 이오노머 (ionomer)의 코팅량이 적어지며, 직접적으로 전도도가 낮아지는 특성이 있으며, 기공이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도도는 향상되나, 상대적으로 기계적특성이 낮아지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로서 특히 PTFE로 된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온용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 유용하고, PVDF, PP 등과 같이 소수성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탄올의 크로스 오버가 감소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전해질막에 있어서,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의 두께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이오노머 코팅량이 부족하여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고 3㎛를 초과하면 전해질 막이 포어 (pore)를 차단하여 전도도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상에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 코팅을 실시한다. 이러한 미세 입자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예로서 플래쉬 증발 (flash evaporation)법을 이용하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일면에만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면에 2회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래쉬 증발법을 이용한 코팅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고온, 초저압 상태에서 모노머 (monomer)를 승화시켜 일시적으로 기판(substrate)에 분사하여 포어 (pore) 및 표면에 코팅을 시키는 방법으로 코팅막의 두께 조절은 혼합 모노머의 양을 조절하여 코팅막의 두께를 조절한다. 이 코팅법은 본 특허에 참조로서 통합된 미국특허 US.6,468,595호에 개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 코팅법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입자 코팅을 실시한 후, 상기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이온 전도성 폴리머로 된 코팅막이 형성된 폴리머 전해질막을 얻는다. 상기 미세 입자 코팅 방법으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진공 증착 코팅 (vaccum deposition coating)을 실시한다.
상기 중합 반응은 광, 열 또는 전자빔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으로는 UV 등을 이용하며, 열에 의한 경우에는 온도가 70 내지 350℃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중합 반응을 통하여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제간의 가교 반응, 그래프트 반응 등과 같은 중합 반응이 일어나서 이에 대응되는 이온 전도성 폴리머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는 가소제가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 사이에 위치한 상술한 폴리머 전해질막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CH2=CH-C(=O)O-SO3H) 및 PEGDA가 하기 표 1에 표시된 조성으로 혼합된 조성물을 준비한 다음, 이를 각각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매트릭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매트릭스, 또는 셀가드 (Celgard) 매트릭스 (폴리에틸렌 매트릭스)상에 플래쉬 증발시킨 다음, 여기에 UV를 10분동안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상에 프로톤 전도성 폴리머인 비닐술폰산과, PEGDA의 중합체가 코팅된 폴리머 전해질막을 완성하였다.
한편, 전극으로서는 E-TEK사의 EFCG-S타입으로 Toray 카본 페이퍼 TGPH900위에 10 wt% 백금을 담지한 로딩양 0.6 mg/cm2의 전극을 사용하였다. 전극에 인산 함침을 위해서는 전극 위에 인산을 적신 후 120℃에서 1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전극과 상술한 폴리머 전해질막을 구비하여 연료전지를 완성하였다.
[표 1]
No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중량부) PEGDA (중량부)
1 100 0
2 80 20
3 50 50
4 30 70
도 1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조성물을 코팅하기 이전의 PTFE 매트릭스의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10,000배 확대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와 PEGDA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여 PTFE 매트 릭스를 구성하는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이온 전도성 폴리머 함유 코팅막이 형성된 폴리머 전해질막의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10,000배 확대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폴리머 전해질막이 인산에 의하여 스웰링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 및 2를 비교해볼 때, 실시예 1에 따르면 PTFE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일파이버의 주위를 입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코팅막이 약 1 ㎛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고분자의 각각의 파이버에 코팅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코팅 후에도 포어 (pore)가 존재함으로 이는 곧 고분자 코팅이 단순히 표면이 아닌 3차원적으로 고분자 막의 내부에도 코팅되어 코팅된 이오노머가 스웰링되어 프로톤 (proton)의 이동 시 프론톤의 경로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매질를 제공하는 반면 가스의 차단을 막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도 3을 참조하여, 스웰링된 전해질막은 고분자가 팽창되어 기존의 포어를 효과적으로 채워 핀홀 프리 (pin hole free) 상태의 폴리머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폴리머 전해질막에 있어서,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함량에 따른 이온 전도도 변화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이온 전도도 측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면, 실온에서 물에 1시간동안 함침시킨 후 조사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PTFE 매트릭스를 사용한 경우가 이온 전도도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 (기판으로서, PTFE 매트릭스 사용함)에 있어서, 셀 성능을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셀 성능 평가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소 가스의 유량은 약 100ml/min이고, 공기 (air)의 유량은 약 300ml/min이고, 무가습 조건에서 전류 밀도에 따른 셀 전위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술한 셀 성능 평가 결과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류밀도 0.2A/cm2에서 온도별 전압을 측정, 150℃에서 가장 높은 0.4V를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낮아 질수록 전압이 떨어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온도가 고온으로 가면서 기존의 고분자의 특성인 세그먼트 움직임(segmental motion)이 높아지는 동시에 프로톤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폴리머 전해질막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1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열에 의한 열화가 없으며, 무가습 상태에서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는 폴리머로서, 고온용 연료전지에 적합하다. 상기 폴리머 전해질막을 구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를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메탄올의 크로스 오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1)

  1.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 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을 포함하며, 상기 이온 전도성 폴리머가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제의 중합 결과물이고,
    상기 단일 파이버의 외면에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이 형성된 후, 포어 (pore)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이 말단에 술폰산기, 인산기, 카르복실기. 이미드기, 술폰이미드기, 술폰아미드기 및 하이드록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와 불포화 결합을 갖고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e 이하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이 비닐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말단에 술폰산기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이,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미세 입자 코팅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가소제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두께가 20 내지 150㎛이고 기공도가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코팅막의 두께가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
  12.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상에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 코팅인 진공 증착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물의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단일파이버의 외면에 형성된 이온 전도성 폴리머 코팅막을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입자 코팅이 플래쉬 증발 (flash evaporation)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200 중량부의 가소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이 광을 조사하거나 전자빔을 가하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이 말단에 술폰산기, 인산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은 산성 그룹, 이미드기, 술폰이미드기, 술폰아미드기 및 히드록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와 불포화 결합을 갖고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e 이하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중합성 화합물이 비닐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술포닐 아크릴레이트, 말단에 술폰산을 포함한 비닐계 모노머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산성 그룹 함유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 를 기준으로 하여 25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21.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개재된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KR1020040069091A 2004-08-31 2004-08-31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0647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91A KR100647287B1 (ko) 2004-08-31 2004-08-31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CNB2005100590387A CN100409475C (zh) 2004-08-31 2005-03-23 聚合物电解质膜及采用它的燃料电池
DE602005009622T DE602005009622D1 (de) 2004-08-31 2005-04-05 Polymerelektrolytmembran und diese enthaltende Brennstoffzelle
EP05252135A EP1630890B1 (en) 2004-08-31 2005-04-05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same
US11/150,183 US8026016B2 (en) 2004-08-31 2005-06-13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same
JP2005251274A JP4769518B2 (ja) 2004-08-31 2005-08-31 ポリマー電解質膜及びポリマー電解質膜を採用した燃料電池
US11/363,241 US8642228B2 (en) 2004-08-31 2006-02-28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91A KR100647287B1 (ko) 2004-08-31 2004-08-31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282A KR20060020282A (ko) 2006-03-06
KR100647287B1 true KR100647287B1 (ko) 2006-11-23

Family

ID=3613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091A KR100647287B1 (ko) 2004-08-31 2004-08-31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6016B2 (ko)
EP (1) EP1630890B1 (ko)
JP (1) JP4769518B2 (ko)
KR (1) KR100647287B1 (ko)
CN (1) CN100409475C (ko)
DE (1) DE6020050096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70B1 (ko) * 2005-06-14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8108B1 (ko) * 2005-10-07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0709220B1 (ko) * 2005-11-30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5286646B2 (ja) * 2006-04-19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ルホン基含有モノマーの重合方法
KR101300290B1 (ko) * 2006-10-27 2013-08-28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캐소드 기판층보다 두꺼운 애노드 기판층을 갖는 액체 전해질 연료 전지
JP2011181185A (ja) * 2008-05-28 2011-09-15 Toyota Motor Corp 電解質膜
EP2144319A1 (de) * 2008-07-09 2010-01-13 Microna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rotonenleitfähigen, strukturierten Elektrolytmembran
US9182406B2 (en) 2008-08-04 2015-11-10 Biodesy, Inc. Nonlinear optical detection of molecules comprising an unnatural amino acid possessing a hyperpolarizability
US20110124025A1 (en) * 2009-11-20 2011-05-26 College Of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Cell Collecting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Cells
WO2012125138A1 (en) 2011-03-11 2012-09-20 Utc Power Corporation Unitized electrode assembly with high equivalent weight ionomer
GB2503604B (en) 2011-03-21 2020-04-22 Biodesy Llc Classification of kinase inhibitors using second harmonic optical techniques
CN103922317A (zh) * 2014-05-07 2014-07-16 南京工业大学 一种氮掺杂多孔碳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6106286A1 (en) 2014-12-23 2016-06-30 Biodesy, Inc. Attachment of proteins to interfaces for use in nonlinear optical detection
JP6822101B2 (ja) * 2016-11-29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電池、および電子機器
JP6885780B2 (ja) * 2017-05-10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
CN107129592B (zh) * 2017-05-22 2019-05-21 东北林业大学 一种纤维素聚合物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102018131922A1 (de) * 2018-12-12 2020-06-18 Carl Freudenberg Kg Membran für den selektiven Stofftransport
JP2022535132A (ja) * 2019-06-04 2022-08-04 メンブリオ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ラミック陰イオン交換材料
WO2021006496A1 (ko) * 2019-07-08 2021-01-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CN115104207A (zh) * 2019-12-27 2022-09-23 可隆工业株式会社 聚合物电解质膜、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电化学装置
WO2024101800A1 (ko) * 2022-11-08 2024-05-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8469B1 (en) 1997-08-29 2001-06-19 Foster-Miller, Inc.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O2001063683A2 (en) 2000-02-23 2001-08-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20030032321A (ko) * 2001-10-17 2003-04-26 송민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6561A (en) * 1990-07-02 1992-03-17 Masud Akhtar Thin film ionic conductors, methods and devices
US5451476A (en) * 1992-11-23 1995-09-19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athode for a solid-state battery
US5834523A (en) * 1993-09-21 1998-11-10 Ballard Power Systems, Inc. Substituted α,β,β-trifluorostyrene-based composite membranes
CN1038562C (zh) 1994-06-20 1998-06-0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聚丙烯微孔膜为基膜的离子交换膜及其制法
US6258276B1 (en) * 1996-10-18 2001-07-10 Mcmaster University Microporous membranes and uses thereof
US6444343B1 (en) * 1996-11-18 2002-09-0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use in fuel cells
US6030718A (en) * 1997-11-20 2000-02-29 Avista Corporatio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ower system
US6503564B1 (en) * 1999-02-26 2003-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coating microstructured substrates with polymeric layer(s), allowing preservation of surface feature profile
WO2000054351A1 (fr) * 1999-03-08 2000-09-14 Center For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cubation, Ltd. Membrane electrolytique pour pile a combust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ile a combust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0298802B1 (ko) * 1999-06-28 2001-09-22 김순택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가교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교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
EP1179550A1 (en) 2000-02-16 2002-02-13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electrolyte, polyelectrolyte film, and fuel cell
JP4899238B2 (ja) 2000-06-21 2012-03-2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複合化架橋電解質
JP4621344B2 (ja) 2000-09-06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ロトン伝導性膜又はフィルムとそれらを用いてなる燃料電池
EP1349602B1 (en) * 2000-12-12 2013-10-30 ResMed Limited Headgear
US20020127474A1 (en) * 2001-01-09 2002-09-12 E.C.R.-Electro-Chemical Research Ltd. Proton-selective conducting membranes
US6468595B1 (en) * 2001-02-13 2002-10-22 Sigma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accum deposition of cationic polymer systems
ITMI20010383A1 (it) * 2001-02-26 2002-08-26 Ausimont Spa Membrane idrofiliche porose
KR100453680B1 (ko) 2001-11-10 2004-10-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교된 이온 교환 막 및 그 제조방법
JP2004014232A (ja) 2002-06-05 2004-01-15 Uni-Chemical Co Ltd リン酸基及び/又はスルホン酸基を含有する固体高分子電解質(複合)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4055165A (ja) 2002-07-16 2004-02-19 Akihiko Tanioka スチレン系高分子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63430A (ja) 2002-07-31 2004-02-26 Hitachi Cable Ltd 燃料電池用固体高分子電解質膜
JP3928611B2 (ja) 2002-10-08 2007-06-13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系化合物、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284463B2 (ja) 2002-10-25 2009-06-24 東亞合成株式会社 電解質膜および当該電解質膜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4253336A (ja) 2003-02-21 2004-09-09 Toagosei Co Ltd 電解質膜および当該電解質膜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4335244A (ja) * 2003-05-07 2004-11-25 Nec Tokin Corp 電解質膜電極接合体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0508639B1 (ko) 2003-06-04 2005-08-17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20070086373A (ko) * 2004-12-03 2007-08-27 니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전해질막 및 그의 전해질막을이용한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CN101069313B (zh) 2004-12-03 2012-04-04 日东电工株式会社 电解质膜的制造方法、电解质膜以及使用该电解质膜的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8469B1 (en) 1997-08-29 2001-06-19 Foster-Miller, Inc.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O2001063683A2 (en) 2000-02-23 2001-08-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20030032321A (ko) * 2001-10-17 2003-04-26 송민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6134A1 (en) 2006-03-02
KR20060020282A (ko) 2006-03-06
JP2006073530A (ja) 2006-03-16
CN100409475C (zh) 2008-08-06
CN1744364A (zh) 2006-03-08
DE602005009622D1 (de) 2008-10-23
EP1630890B1 (en) 2008-09-10
EP1630890A1 (en) 2006-03-01
US8026016B2 (en) 2011-09-27
JP4769518B2 (ja)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389B1 (ko) 폴리머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JP4769518B2 (ja) ポリマー電解質膜及びポリマー電解質膜を採用した燃料電池
JP4728208B2 (ja)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13547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CN100360582C (zh) 聚合物电解质和使用其的燃料电池
KR101135477B1 (ko)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WO2005088749A1 (ja) 膜電極接合体及び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2010538416A (ja) 高分子形燃料電池に用いられる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膜
WO2007074616A1 (ja) 膜電極接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KR100624470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US8642228B2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KR20070019868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KR100994124B1 (ko) 고분자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10065873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002654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0696680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852B1 (ko)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352563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막의제조방법
KR20070014679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889768B1 (ko)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이용한 고분자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EP1675201A2 (en) Proton conductor,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lyte
KR20070098325A (ko)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 개질
JP2006331712A (ja) 触媒層及びそ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並びに、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090039977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