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43B1 - 감열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43B1
KR100638443B1 KR1020007012171A KR20007012171A KR100638443B1 KR 100638443 B1 KR100638443 B1 KR 100638443B1 KR 1020007012171 A KR1020007012171 A KR 1020007012171A KR 20007012171 A KR20007012171 A KR 20007012171A KR 100638443 B1 KR100638443 B1 KR 10063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recording
heat
dye
developer
recor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232A (ko
Inventor
미도리카와요시미
수미카와나오미
하마다가오루
기무라요시히데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991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384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41M5/3333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3335Compounds containing phenolic or carboxylic acid groups or metal salts thereof
    • B41M5/3336Sulfur compounds, e.g. sulfones, sulfides, sulfon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23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 B41M5/327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with a lactone or lactam ring
    • B41M5/3275Fluora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41M5/3333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3335Compounds containing phenolic or carboxylic acid groups or metal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높은 발색감도, 바탕색의 백색도를 갖고, 또한 우수한 화상보존성, 내열성을 갖는 감열기록체의 제공.
유기현색제로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화합물을 함유하고, 염기성 무색염료로서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로플루오란을 함유하는 감열기록체.
Figure 112000023018839-pct00003
(식중, R1, R2는 탄소수 1~8의 알칼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p, q는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백색도, 감열기록체, 현색제

Description

감열기록체{Thermal recording material}
본 발명은 높은 발색감도, 바탕색의 백색도를 갖고, 또한 우수한 화상보존성, 내열성을 갖고 있는 감열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또는 담색의 염기성 무색염료와, 염기성 무색염료와 열시반응하여 발색시키는 현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기록층을 갖는 감열기록체는, 특공소45-14039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 감열기록체에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서멀 헤드(thermal head)를 내장한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 등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감열기록법은 종래 실용화된 다른 기록법에 비해, 기록시에 소음이 없고, 현상정착의 필요가 없으며, 유지가 자유롭고, 기기가 비교적 싸고 크기가 작으며, 얻어진 발색이 대단히 선명하다는 특징으로부터, 정보산업의 발전에 따라, 팩스나 컴퓨터분야, 각종 계측기, 라벨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기록장치의 다양화, 고성능화가 진전됨에 따라, 감열기록체에 대한 품질도 보다 고도의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기록속도에 대해서도 장치의 소형화, 기록의 고속화나 진전됨에 따라, 미소한 열에너지로도 고농도이면서 선명한 발색화상이 얻어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백색도가 높고, 고온조건, 고습조건하에 있어서 바탕색의 착색이 적고, 발색부의 퇴색이 적은 등, 보통 종이에 보다 가까운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개소56-16908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열층 중에 열가용성 물질을 가함으로써 발색감도를 높이는 방법, 또한, 특개소56-14419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색능력이 높은 신규한 현색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발색감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고안되고 있지만, 어느 것도 내열 바탕색이 악화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파우더링(powdering), 미발색부를 장기 저장한 후에 인자했을 때의 발색농도(재인자성)가 저하하는 등의 결점을 갖기 때문에 품질이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려웠다.
현색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은 페놀계 화합물 이외에도, 술폰계 화합물, 살리실산계 화합물 등이 있지만, 현색제 자신의 내열성,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 내습성이 저하되기도 하여 만족 할 만한 품질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유기현색제로서 사용되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화합물은 종래부터 공지의 화합물이지만, 발색능력이 낮아, 최근의 고감도의 요구를 채우지는 못했다. 또한, 감열기록층의 도액을 제작한 경우, 도액 자체에 착색이 일어나기 때문에, 얻어진 감열기록체에 대해서 양호한 바탕색의 백색도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발색감도, 바탕색의 백색도를 갖고, 또한 우수한 화상보존성, 내열성을 갖는 감열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무색 또는 담색의 염기성 무색염료와 유기 현색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열기록층을 설치한 감열기록체에 있어서, 그 감열기록층이 유기현색제로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화합물을 1종류 이상 함유하고, 또한 염기성 무색염료로서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함유함으로써 달성되었다.
Figure 112000023018839-pct00001
(식중, Rl, R2는 탄소수 1∼8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p, q는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도액의 착색은 도액 속에 함유되는 재료의 일부가 물에 용해되고, 그것이 염료와 반응함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에는 염기성 무색염료를 발색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OH기가 2개 존재하고, 또한 분자 자체의 극성도 비교적 높기 때문에 물에 녹기 쉽고, 또한, 감도향상을 위해 염기성 무색염료를 미립화하면 감열기록체의 백색도 저하는 현저할 것으로 추찰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염기성 무색염료로서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조합함으로써 특이적으로 도료의 착색을 억제하여, 염기성 무색염료를 미립화한 경우도 얻어지는 감열기록체의 백색도는 저하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명확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 지만,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로오란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1.34×91O-6g/ℓ 이하로 매우 낮기 때문인 것으로 추찰된다.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를 얻기 위해서는, 염기성 무색염료, 현색제 등을 각각 바인더와 함께 분산시킨 분산액을 혼합하여, 충전제 등 그 밖에 필요한 첨가제를 가해 감열기록층 도액을 조제하고, 기재상에 도포건조하여 감열기록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염기성 무색염료와 현색제의 배합비율은 발색감도와 바탕색의 내열성의 균형이 양호한 점에서, 염료 1부에 대해 현색제 1부∼6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현색제로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화합물을 함유한다.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비스-(3-알릴-4-히드록시페닐)술폰
3,3'-디메틸-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2,2'-비스(4-클로로페놀)술폰
4-히드록시페닐-3'-이소프로필-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3-에틸-4-히드록시페닐)술폰
2,2'-비스(p-t-부틸페놀)술폰
2,2'-비스(p-t-펜틸페놀)술폰
2,2'-비스(p-t-옥틸페놀)술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들의 현색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특히,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을 사용한 경우는, 품질성능의 균형이 우수하여 고온이나 고습의 환경하에서도 화상보존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무색염료, 현색제의 평균입자경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염기성 무색염료인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의 평균입자경을 0.5㎛ 이하로 하면 발색감도가 높고, 내열성도 양호해져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O.4㎛ 이하이다. 종래, 염료는 입경이 작을수록 물에 녹기 쉬워지고, 분자상이 된 염료와 현색제와의 반응성이 높아져, 바탕색이 착색되는 등의 문제가 알려져 있지만,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사용한 경우는 그와 같은 폐해를 동반하지 않고,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명백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지극히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 공지의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서는, 지방산아미드, 에틸렌비스아미드, 몬탄산왁스, 폴리에틸렌왁스, 1,2-디-(3-메틸페녹시)에탄, 디페닐술폰, p-벤질비페닐, β-벤질옥시나프탈렌, 4-비페닐-p-톨릴에테르, m- 타페닐, 1,2-디페녹시에탄,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1,2-디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안식향산메틸, 수산디벤질, 수산디(p-클로로벤질), 수산디(p-메틸벤질), 테레프탈산디벤질, p-벤질옥시안식향산벤질, 디-p-톨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페닐에스테르, o-크실렌-비스-(페닐에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오르토톨루엔술폰아미드, 파라톨루엔술폰아미드를 예시할 수 있지만, 특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증감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단, 증감제의 사용에 의해 내열성, 내습성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래 증감제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아, 그 선택은 신중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로서는, 중합도가 200∼1900의 완전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마이드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술폰산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부티랄변성 폴리비닐알코올, 그 밖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에틸셀룰롤, 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스티로오스 및 그들의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로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물질은 물, 알코올, 케톤류, 에스테르 류, 탄화수소 등의 용제에 녹여 사용하는 것 외에,물 또는 다른 매체중에 유화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분산된 상태로 사용하여, 품질의 요구에 따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화상의 내유성 향상효과 등을 나타내는 화상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술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4-벤질옥시-4'-(2,3-에폭시-2-메틸프로폭시)디페닐술폰
에폭시레진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충전제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고령토(kaolin), 소성 고령토, 규조토, 탈크, 산화티탄, 수산화알미늄 등의 무기 또는 유기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왁스류 등의 활제,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 글리옥살 등의 내수화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형광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에 사용하는 현색제 및 염기성 무색염료의 양, 그 밖의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적성에 따라 결정되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본 발명의 현색제 1부에 대해, 충전제 0.5∼4부를 사용하고, 바인더는 전체 고형분 중 5∼25%가 적당하다.
상기조성으로 된 도액을 종이, 재생지,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필름, 발포플라스틱필름, 부직포 등 임의의 지지체에 도포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감열기록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이들을 조합한 복합시트를 지지체로서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보존성을 높일 목적으로 고분자물질 등의 오버코팅층을 감열기록층 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발색감도를 높일 목적으로 충전제를 함유한 고분자물질 등의 언더코팅층을 감열층 밑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유기염색제, 염기성 무색염료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재료는 분쇄기 또는 적당한 유화장치에 의해서 수 미크론 이하의 입자경으로 될 때까지 미립화하여 사용한다. 분쇄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염기성 무색염료, 현색제 등의 재료를 물, 바인더 등과 함께 균일한 현탁액의 상태로서 존재시킨 후, 볼밀, 아트라이터, 세로형 샌드밀, 가로형 샌드밀 등을 사용하여 분쇄한다.
바인더 및 목적에 따라 각종 첨가재료를 더 가해 도액으로 한다.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 관용기술에 따라 도포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에어나이프코팅기, 로드블레이드코팅기, 빌블레이드코팅기, 롤코팅기 등 각종 코팅기를 갖춘 오프 머신 도공기나 온 머신 도공기가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염료, 현색제의 각 재료는, 미리 이하 배합의 분산액을 만들어, 모래 분쇄기(sand grinder)로 평균입자경이 1.O㎛가 될 때까지 습식마쇄를 행했다. 또한, 평균입자경은 말번사제의 마스터사이저-S로 측정한 부피베이스의 누적 50% 경을 나타낸다.
현색제 분산액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0부
10% 폴리비닐알코올수용액 18. 8부
물 11.2부
염료분산액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상품명: BLACK 305, 야마다화학공업사제) 2.0부
10% 폴리비닐알코올수용액 4.6부
물 2.6부
이하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감열층 도액을 얻었다. 이 도액을 평량 50g/㎡의 상질지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6g/㎡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슈퍼캘린더로 백평활도 200∼600초가 되도록 처리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36.0부
염료분산액 9.2부
고령토 클레이 50% 분산액 12.0부
[실시예 2]
실시예 1의 염료분산액에 있어서, 염료의 평균입자경을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 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
[실시예 3]
실시예 1의 염료분산액에 있어서, 염료의 평균입자경을 0.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한 염료분산액을 사용하여, 이하의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36.0부
염료분산액 27.6부
고령토 클레이 50% 분산액 12.0부
[실시예 5]
실시예 2와 동일한 염료분산액을 사용하여, 이하의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36. 0부
염료분산액 4.6부
고령토 클레이 50% 분산액 12.0부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 현색제분산액을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으로부터 2,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염료분산액의 배합을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으로부터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S205; 평균입자경 1.O㎛)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염료분산액에 있어서, 염료의 평균입자경을 0.5㎛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의 염료분산액에 있어서, 염료의 평균입자경을 0.3㎛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염료분산액의 배합을 3-디-n-펜틸아미노-6 -메틸-7-아닐리오플루오란으로부터 3-디-n-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ODB2; 평균입자경 O.3㎛)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현색제분산액을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으로부터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열기록체에 대해서, 이하의 품질성능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1, 2에 나타낸다. 또한, 표1 중, 괄호안의 숫자는 배합부수를 나타낸다.
[화상농도]
UBI 프린터 201(UBI제)을 사용하여, 제작한 감열기록체에 인가에너지 18mJ/㎟, 26 mJ/㎟로 인자를 행했다. 인자 후의 화상농도는 멕베스농도계(RD914, 언버필터 사용)로 측정했다.
[바탕 색백색도]
헌터백색도계(동양정기제작소제, 블루필터)를 사용하여, 미발색부의 샘플편의 백색도를 측정했다.
[내열시험]
UBI 프린터 2O1(UBI제)을 사용하여, 인가에너지 26mJ/㎟로 인자한 샘플편과, 미발색부의 샘플편을 80℃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 후, 발색부의 화상농도는 맥베스농도계로 농도를 측정하고, 미발색부의 백색도는 헌터백색도계(동양정기제작소제, 블루필터)로 측정했다.
[내습시험]
UBI 프린터 2O1(UBI제)을 사용하여, 인가에너지 26mJ/㎟로 인자한 샘플편과, 미발색부의 샘플편을 40℃, 습도 90%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 후, 발색부의 화상농도는 맥베스농도계로 농도를 측정하고, 미발색부의 백색도는 헌터백색도계로 측정했다.
염료 입경 현색제
실시예 1 BLACK305 (2) 1.0㎛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실시예 2 BLACK305 (2) 0.5㎛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실시예 3 BLACK305 (2) 0.3㎛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실시예 4 BLACK305 (6) 0.5㎛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실시예 5 BLACK305 (1) 0.5㎛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실시예 6 BLACK305 (2) 0.5㎛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비교예 1 S205 (2) 1.0㎛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비교예 2 S205 (2) 0.5㎛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비교예 3 S205 (2) 0.3㎛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비교예 4 ODB2 (2) 0.3㎛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6)
비교예 5 BLACK305 (2) 0.5㎛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6)

화상농도 바탕색 백색도 내열시험 내습시험
18mJ/㎟ 26mJ/㎟ 발색부 백지부 발색부 백지부
실시예 1 0.86 1.23 86% 1.25 71% 1.29 75%
실시예 2 1.01 1.44 85% 1.45 70% 1.52 74%
실시예 3 1.21 1.46 85% 1.47 70% 1.53 74%
실시예 4 1.17 1.49 85% 1.50 67% 1.47 74%
실시예 5 0.86 1.43 85% 1.44 71% 1.51 74%
실시예 6 1.05 1.46 85% 1.48 69% 1.54 74%
비교예 1 0.75 1.18 83% 1.23 60% 1.28 62%
비교예 2 0.88 1.39 82% 1.45 58% 1.49 60%
비교예 3 0.98 1.40 79% 1.46 55% 1.49 57%
비교예 4 1.14 1.43 79% 1.47 62% 1.47 67%
비교예 5 1.42 1.49 85% 1.01 60% 1.58 75%

표1, 표2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실시예 1 ∼6에서는 발색농도, 바탕색의 백색도, 내열성, 화상보존성의 균형이 우수했다. 특히 염료 의 평균입자경을 0.5㎛ 이하로 한 실시예 2, 3은 발색농도가 높고, 백색도의 저하도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염료에 S205를 사용한 비교예 1∼3에서는 발색농도가 뒤떨어지고, 또 백지부의 내열성, 내습성이 떨어졌다. O.3㎛의 ODB2를 사용한 비교예 4에서는 바탕색의 백색도, 백지부의 내열성, 내습성이 떨어졌다. 또한, 현색제에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을 사용한 비교예 5에서는 발색부 및 백색부의 내열성이 떨어졌다.
백색도가 높고,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 바탕색의 착색이 적으며, 또 발색부의 퇴색이 적은, 장기간 저장하더라도 안정된 감열기록체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3)

  1. 지지체상에 무색 또는 담색의 염기성 무색염료와 유기현색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열기록층을 둔 감열기록체에 있어서, 그 감열기록층이 유기현색제로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화합물을 1종류 이상 함유하고, 또한 염기성 무색염료로서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체.
    Figure 112000023018839-pct00002
    (식중, R1, R2는 탄소수 1∼8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p, q는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현색제로서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을 함유하는 감열기록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의 평균입자경이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 감열기록체.
KR1020007012171A 1999-03-05 2000-03-03 감열기록체 KR100638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58113 1999-03-05
JP5811399 1999-03-05
JP11169166A JP2000318324A (ja) 1999-03-05 1999-06-16 感熱記録体
JP1999-169166 199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232A KR20010043232A (ko) 2001-05-25
KR100638443B1 true KR100638443B1 (ko) 2006-10-24

Family

ID=2639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171A KR100638443B1 (ko) 1999-03-05 2000-03-03 감열기록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51961B1 (ko)
EP (1) EP1080939B1 (ko)
JP (1) JP2000318324A (ko)
KR (1) KR100638443B1 (ko)
CN (1) CN1117663C (ko)
DE (1) DE60032686T2 (ko)
ID (1) ID27605A (ko)
WO (1) WO2000053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617B1 (ko) * 2001-04-04 2006-04-04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재료 및 기록 시트
DE60216456T2 (de) 2001-06-01 2007-09-13 Fujifilm Corporation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KR20040012662A (ko) 2001-06-28 2004-02-11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감열기록재료
EP1466751A4 (en) 2001-12-20 2005-04-27 Fuji Photo Film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2005007794A (ja) * 2003-06-20 2005-01-13 Ricoh Co Ltd 感熱記録用ラベル
US7312177B2 (en) * 2003-09-08 2007-12-25 Oji Paper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US7258967B1 (en) 2006-10-18 2007-08-21 Carestream Health, Inc. Photothermographic materials containing print stabilizers
US7582408B2 (en) * 2007-04-27 2009-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forming compositions with a fluoran leuco dye having a latent developer
EP3219506B1 (en) * 2016-03-17 2019-11-06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containing chelating agents
US20200406658A1 (en) * 2018-03-05 2020-12-31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64A (ja) * 1993-03-03 1994-09-13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4193A (en) 1980-04-10 1981-11-10 Jujo Paper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sheet
JPS5834313B2 (ja) 1980-05-13 1983-07-26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EP0151733B1 (en) 1981-02-09 1988-06-08 Mita Industrial Co. Ltd. Heat-sensitive color-forming recording material and its preparation
JPS57178793A (en) * 1981-04-28 1982-11-04 Honshu Paper Co Ltd Heat sensitive recording medium
US4500354A (en) 1982-09-27 1985-02-19 Graphic Controls Corp. Heat sensitive recording papers
JP2895591B2 (ja) * 1990-08-23 1999-05-24 王子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H04110191A (ja) * 1990-08-29 1992-04-10 Kanzaki Paper Mfg Co Ltd 感熱記録体
JP2632755B2 (ja) * 1991-08-22 1997-07-23 日華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H05221141A (ja) * 1992-02-17 1993-08-31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材料
US5401699A (en) * 1992-08-31 1995-03-28 Kanzaki Paper Manufacturing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6312580A (ja) * 1993-03-04 1994-11-08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2681737B2 (ja) 1993-03-24 1997-11-26 日華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H07156558A (ja) * 1993-12-08 1995-06-20 Nippon Kayaku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8216528A (ja) 1995-02-16 1996-08-27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US5876898A (en) * 1995-07-18 1999-03-02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a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DE69612358T2 (de) * 1995-12-08 2001-07-12 Jujo Paper Co Ltd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edium
JPH10278433A (ja) * 1997-04-08 1998-10-20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57220A (ja) * 1997-11-25 1999-06-15 Asahi Denka Kogyo Kk 感熱記録材料
JPH11208122A (ja) * 1998-01-21 1999-08-03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64A (ja) * 1993-03-03 1994-09-13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7605A (id) 2001-04-12
EP1080939B1 (en) 2007-01-03
JP2000318324A (ja) 2000-11-21
EP1080939A4 (en) 2004-07-28
KR20010043232A (ko) 2001-05-25
WO2000053427A1 (fr) 2000-09-14
US6551961B1 (en) 2003-04-22
CN1296447A (zh) 2001-05-23
DE60032686T2 (de) 2007-10-04
CN1117663C (zh) 2003-08-13
EP1080939A1 (en) 2001-03-07
DE60032686D1 (de)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854B1 (ko) 감열 기록 재료용 현색제 및 감열 기록 재료
JP2681907B2 (ja) 感熱記録体
KR100713410B1 (ko) 감열기록체
KR100638443B1 (ko) 감열기록체
US20050088508A1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US6440897B1 (en) Thermally sensitive recording medium
US20050170959A1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CA2174921A1 (en) Thermal sensitive recording sheet
JP7421845B1 (ja) 感熱記録体
JP7456708B1 (ja) 感熱記録体
JP7456710B1 (ja) 感熱記録体
JP2660088B2 (ja) 感熱記録材料
JP2005280107A (ja) 青発色感熱記録体
JP2006247913A (ja) 感熱記録体
KR101117217B1 (ko)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 술폰 현색제의 분산액,습식 분쇄 방법, 및 감열 기록체
JP3635401B2 (ja) 感熱記録体
JPH04319485A (ja) 感熱記録体
JP2004142265A (ja) 感熱記録体
JP3635402B2 (ja) 感熱記録体
JPH02235682A (ja) 感熱記録体
JPH0482777A (ja) 感熱記録材料
JP2006175635A (ja) 感熱記録体の製造方法
JP2005103865A (ja) 感熱記録体
JPH01178491A (ja) 感熱記録材料
JPH07323669A (ja) 感熱記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