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908B1 -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908B1
KR100637908B1 KR1020040067183A KR20040067183A KR100637908B1 KR 100637908 B1 KR100637908 B1 KR 100637908B1 KR 1020040067183 A KR1020040067183 A KR 1020040067183A KR 20040067183 A KR20040067183 A KR 20040067183A KR 100637908 B1 KR100637908 B1 KR 10063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ath forming
transfer path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279A (ko
Inventor
타카미노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2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3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용기의 주머니형 부재의 강성을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편리성을 손상주지 않고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이송 장치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이송 장치는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를 노즐(71)과의 연결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판(7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판(73)은 입구부에 대한 노즐 연결 시에는, 캠(74)에 의해 유지 위치에 위치가 결정되고, 토너 수용기의 착탈 시에는, 그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후퇴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노즐, 가동판, 캠, 토너 수용기, 현상 장치

Description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CARRI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토너 수용기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옐로우(Y)용 프로세스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 2의 프린터의 Y토너용 토너 수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프린터의 Y토너용 토너 이송 장치를 Y토너용 현상 장치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토너 수용기의 용적이 축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토너 수용기의 입구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토너 수용기의 입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토너 이송 장치의 용기 지지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는 용기 지지 홀더가 열린 상태에서 입구부의 노즐 접수 구멍을 따라 토너 이송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1b는 용기 지지 홀더가 닫힌 상태에서 입구부의 노즐 접수 구멍을 따라 토너 이송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2a는 용기 지지 홀더가 열린 상태의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b는 용기 지지 홀더가 닫힌 상태의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a는 용기 지지 홀더가 열린 상태의 노즐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b는 용기 지지 홀더가 닫힌 상태의 노즐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Y, 1M, 1C, 1K : 프로세스 유닛
 2Y, 2M, 2C, 2K : 감광체
 40Y : 현상 장치(이송처)
 50Y, 50M, 50C, 50K : 토너 수용기(수납 용기)
 51 : 주머니부(주머니형 부재)
 52 : 입구부(뚜껑 부재)
 53 : 셔터 부재
 54 : 노즐 접수 구멍
 71 : 노즐
 73 : 가동판(뚜껑 지지 부재)
 75 : 용기 지지 홀더
 76 :고정부
 77 : 섹터 기어
 78 : 노즐 유지 부재
 79 : 노즐 구동 부재
 81 : 셔터 부재 복귀 기구
 90Y : 흡인 펌프
본 발명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 수납 용기 내에 수납된 분말체, 액체, 기체 등의 수용물을 다른 장치 등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 및 이것을 토너 이송 장치로서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이송 장치는 여러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194907호(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공보 2001-324863호(특허 문헌 2), 특허 공개 공보 2002-72649호(특허 문헌 3) 등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이송 장치는 토너를 수용한 토너 수용기(수납 용기)로부터 토너를 현상 장치로 보급하기 위한 토너 이송 장치(이송 장 치)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토너 이송 장치에 세트되는 토너 수용기는 주머니형의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흡인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용기를 수축, 감용(減容)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나 병 등의 단단한 용기로 형성된 토너 수용기는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토너 수용기 내의 토너가 다 사용되어도 사용 전과 같은 크기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문헌에 명시된 토너 수용기는 사용 후에는 사용 전보다 용적이 축소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단단한 병의 토너 수용기에 비하여, 사용 후에 있어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사용이 끝난 토너 수용기를 교환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기를 회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제조 업자로 운반되는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연성 토너 수용기는 통상,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마련된 구멍에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뚜껑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현상 장치에 토너를 보급하는 경우, 이 토너 수용기를 토너 이송 장치에 세트한 후, 그 토너 이송 장치의 노즐(이송로 형성 부재)과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를 맞춘다. 이것에 의해 토너 수용기 내의 수용 공간과 토너 이송 장치 내의 이송로가 연통 상태로 된다. 그리고, 토너 수용기 내의 토너는 흡인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토너 이송 장치 내의 이송로를 통하여 현상 장치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유연성 토너 수용기를 토너 이송 장치에 세트할 때, 상기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가 토너 이송 장치 내의 소정 위치(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그 위치가 결 정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지 않으면, 토너 이송 장치의 노즐이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와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토너 수용기의 유통 시나 세트 전의 취급 시에 있어서는, 토너 수용기의 주머니형 부재가 유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뚜껑 부재 부분이 어느 부분과 충돌하거나 어느 부분에 밀리게 되어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지게 된다.
도 1은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토너 수용기의 측면도이다. 이 토너 수용기는 주머니형 부재의 측면(도면 중 앞면 및 뒷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접힌 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머니형 부재의 정면 및 뒷면(도면 중 좌우면)에는 이와 같은 접힌 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토너 수용기에서는 주머니형 부재의 정면 및 뒷면이 측면보다 휨 강성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 부재는 주머니형 부재의 정면 또는 뒷면을 향해 휘어지는 상태로 되기 쉽고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세가 기울어지기 쉽다. 특히, 이 토너 수용기는 토너 보급 시에 내부의 토너가 뚜껑 부재에 모이도록 뚜껑 부재 근처의 주머니형 부재 부분이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세가 기울어지기 쉽다.
이와 같이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토너 수용기를 토너 이송 장치에 세트하고자 하면, 뚜껑 부재가 토너 이송 장치 내의 소정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그 위치가 결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토너 이송 장치의 노즐과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여 정상적인 토너 보급 동작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세트 전에 뚜껑 부재의 자세를 정규 자세로 복귀시키는 작업을 실시하면, 뚜껑 부재를 소정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작업자에게 자세를 복귀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강요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리성을 크게 손상주는 결과가 된다.
또, 세트 작업 전에 뚜껑 부재의 자세가 정규 자세로 되어 있어도, 토너 수용기의 주머니형 부재가 유연한 것이기 때문에, 토너 수용기를 토너 이송 장치에 삽입 시에 뚜껑 부재가 어느 부분과 충돌하면, 그 자세가 간단하게 기울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토너 수용기 삽입 시에도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 점에서도 편리성이 나쁘다.
또한, 작업자는 토너 수용기의 주머니형 부재 부분을 잡고 세트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통상인데, 이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 부분을 조작하여 뚜껑 부재의 자세를 정규 자세로 복귀시키는 것은 아주 곤란하다. 주머니형 부재는 유연한 것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잡이 위치에 힘을 전달하여도 그 힘이 뚜껑 부재까지 전달되기 어렵고, 주머니형 부재를 잡은 작업자가 뚜껑 부재의 위치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작업자의 편리성을 손상주지 않고 토너 수용기의 뚜껑 부재를 소정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과제에 대한 방책으로서는,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방책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주머니형 부재를 두껍게 함으로써 강성을 높여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지기 어렵게 하는 방책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은 주머니형 부재를 구성하는 시이트재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제조 시에 시이트의 이음매 를 용착시키는 이음부 용착 공정에서 시이트 내면측까지 열이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용착 불량이 발생하거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용착 불량의 발생이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면, 이음부 용착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주머니형 부재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나아가, 어떤 이유로 뚜껑 부재에 큰 외력이 가해져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그 때에 생긴 금이 자세를 복귀시킨 후에도 선명하게 남아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용적 축소 과정에서 주머니형 부재가 그 접힌 금을 따라 의도하지 않는 형상으로 변형하게 되어 소망하는 일정 형상을 향하여 용적을 축소시킬 수 없게 된다.
다음, 주머니형 부재의 강성을 절감시켜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져도 정규 자세로 복귀시키기 쉽도록 하는 방책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책은 주머니형 부재를 구성하는 시이트재의 두께가 얇아 용적 축소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뚜껑 부재 근처의 주머니형 부재 부분이 먼저 변형하게 된다. 이 부분이 초기 단계에서 변형되면, 토너 수용기로부터의 토너 배출이 저해되어 배출량이 변동되거나 토너 수용기 내에 대량의 토너가 잔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통상 주머니형 부재를 잡고 토너 수용기를 취급하기 때문에, 그 주머니형 부재가 너무 유연하면, 취급성이 나빠져 편리성이 저하한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토너 수용기의 주머니형 부재의 강성에는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가 있으며, 그 범위 내에서는 뚜껑 부재의 자세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방책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토너 수용기 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기구에 한정되 지 않고, 유연성 재료로 형성된 수납 용기 내에 수납된 수용물을 다른 장치 등의 이송처로 이송하는 기구에 있어서도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납 용기의 주머니형 부재의 강성을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편리성을 손상주지 않고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이송 장치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배출하는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수용물을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를 구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와의 연결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 지지 부재와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용 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상기 뚜껑 부재가 마련된 부분 근처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휨 강성이 낮은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를 형성하며 동시에, 그 착탈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 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의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이동이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 후에 완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한 상기 뚜껑 부재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가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되는 셔터 부재와 교체되도록 상기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착탈 방향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수납 용기의 착탈 방향이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8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에 대한 해제를 상기 뚜껑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셔터 부재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 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링크 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3의 발명은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고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배출하는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수용물을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를 구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 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 수용된 토너를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는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표면에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화는 현상 장치와, 가시상화된 토너상을 기록재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장치 및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될 토너를 수용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이송 장치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토너를 배출하는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와 연결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 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 지지 부재와,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6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상기 뚜껑 부재가 설치된 부분 근처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휨 강성이 낮은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7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를 형성하며, 동시에, 그 착탈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8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는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를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9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0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가 결정된 후에,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의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이동을 완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1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2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한 상기 뚜껑 부재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가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되는 셔터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3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착탈 방향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수납 용기의 착탈 방향이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4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에 대한 해제를 상기 뚜껑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셔터 부재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것이다.
또, 청구항 25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6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링크 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7에 기재의 발명은 표면에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화는 현상 장치와, 가시상화된 토너상을 기록재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장치 및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될 토너를 수용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이송 장치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 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토너를 배출하는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청구항 1 내지 14에 기재의 이송 장치 및 청구항 15 내지 27에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이송로 형성 부재를 연결 시에,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뚜껑 지지 부재를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는 뚜껑 지지 부재에 의해 적절한 세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뚜껑 부재와 이송로 형성 부재를 확실하고도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어 정상적인 토너 보급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 위치는 뚜껑 부재의 적절한 세트 위치로서, 일반적으로는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시켰을 때에 뚜껑 부재가 존재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이면, 뚜껑 지지 부재를 유지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 결정하여도, 뚜껑 부재를 적절한 세트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뚜껑 지지 부재를 고정적으로 위치 결정하면,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시켰을 때에 뚜껑 부재가 존재 가능한 영역(이하, 「세트 가능 영역」이라고 함」)은 자세가 기울지 않은 뚜껑 부재가 존재하는 영역에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시킬 때, 그 뚜껑 부재가 뚜껑 지지 부재에 방해되어 뚜껑 부재가 세트 가능 영역에 삽입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뚜껑 부재를 적절한 세트 위치에 유지시키지 못하여 정상적인 토너 보급 동작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 착탈 시에,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면, 뚜껑 지지 부재가 후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의 수납 용기이어도, 그 뚜껑 부재가 뚜껑 지지 부재에 방해되는 일 없이,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뚜껑 지지 부재가 후퇴 위치로 이동하면, 그 만큼 세트 가능 영역이 넓어져 그 영역 내에 이른바 「여유」 가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이어도, 그 정도가 「여유」의 범위 내이면,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시킬 때에 뚜껑 부재가 세트 가능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본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상기 수납 용기가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후에,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뚜껑 지지 부재를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므로 그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적절한 세트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져도, 그것을 복귀시키지 않고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장착할 수 있고 동시에, 그 뚜껑 부재와 이송로 형성 부재가 확실하고도 적절하게 연결되어 정상적인 토너 보급 동작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수납 용기의 착탈 시에 있어 뚜껑 지지 부재는 유지 위치에 대한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수납 용기의 착탈 시에 있어 위치 결정 수단을 뚜껑 지지 부재가 유지 위치와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또, 뚜껑 지지 부재가 후퇴 위치에 적극적으로 이동 가능토록 구성하여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도, 뚜껑 지지 부재가 이동이 자유롭게 되면, 수납 용기의 착탈 시에 그 뚜껑 부재가 뚜껑 지지 부재에 접촉하여 뚜껑 지지 부재를 후퇴 위치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뚜껑 지지 부재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감광체가 병행 배치된 탠덤(tandem) 방식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프린터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린터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조의 프로세스 유닛(1Y, 1M, 1C, 1K)을 구비하고 있다. 각 부호의 숫자 뒤에 첨부된 Y, M, C, K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용의 부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스 유닛(1Y, 1M, 1C, 1K) 외에는, 광 기록 유닛(10), 중간 전사 유닛(11), 2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18),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9), 용지 공급 카세트(20), 벨트 정착 방식의 정착 유닛(21)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 기록 유닛(10)은 광원, 다각형 미러, fθ 렌즈, 반사 미러 등을 구비하고,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감광체 표면에 레이저빛을 조사한다.
도 3은 상기 프로세스 유닛(1Y, 1M, 1C, 1K) 중에, 옐로우용의 프로세스 유닛(1Y)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다른 색의 프로세스 유닛(1M, 1C, 1K)도 각각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옐로우용의 프로세스 유닛(1Y)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1Y)은 드럼형의 감광체(2Y), 대전기(30Y), 현상 장치(40Y), 드럼 클리닝 장치(48Y), 도시하지 않는 방전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대전기(30Y)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대전 롤러(31Y)를 감광체(2Y)에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감광체(2Y)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대전 처리가 실시된 감광체(2Y)의 표면에는 상기 광 기록 유닛(10)에 의해 변조 및 편향된 레이저빛이 주사되면서 조사되어 드럼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40Y)에 의해 현상되어 Y토너상이 된다.
상기 현상 장치(40Y)는 현상 케이스(41Y)의 개구부에서 둘레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된 현상 롤러(42Y)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이송 스크루(43Y), 제2 이송 스크루(44Y),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45Y), 토너 농도 센서(이하, T 센서라고 함)(46Y) 등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현상 케이스(41Y)에는 자성 캐리어와 마이너스 대전성의 Y토너를 포함한 도시하지 않는 2 성분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다. 이 2 성분 현상제는 상기 제1 이송 스크루(43Y), 제2 이송 스크루(44Y)에 의해 교반 이송되면서 마찰 대전된 후, 상기 현상 롤러(42Y)의 표면에 담지된다. 그리고, 상기 독터 블레이드(45Y)에 의해 그 층 두께가 규제된 후 감광체(2Y)에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이송되고, 거기서 감광체(2Y)상의 정전 잠상에 Y토너를 부착시킨다. 이 부착에 의해 감광체(2Y)상에 Y토너상이 형성된다. 현상에 의해 Y토너를 소비한 2 성분 현상제는 현상 롤러(42Y)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 케이스(41Y) 내로 되돌아온다.
상기 제1 이송 스크루(43Y)와 상기 제2 이송 스크루(44Y)의 사이에는 칸막이 벽(47Y)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 벽(47Y)에 의해 현상 롤러(22Y)나 제1 이송 스크루(43Y) 등을 수용하는 제1 공급부와 제2 이송 스크루(44Y)를 수용하는 제2 공급부가 현상 케이스(41Y) 내에서 구분된다. 제1 이송 스크루(43Y)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1 공급부 내의 2 성분 현상제를 도면 중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송하면서 현상 롤러(42Y)에 공급한다. 제1 이송 스크루(43Y)에 의해 상기 제1 공급부의 단부 부근까지 이송된 2 성분 현상제는 칸막이 벽(47Y)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공급부 내로 진입한다. 제2 공급부 내에서 제2 이송 스크루(44Y)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 1 공급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2 성분 현상제를 제1 이송 스크루(43Y)와는 역방향으로 이송한다. 제2 이송 스크루(44Y)에 의해 제2 공급부의 단부 부근까지 이송된 2 성분 현상제는 칸막이 벽(47Y)에 마련된 다른 한쪽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1 공급부 내로 복귀된다.
투자율 센서로 이루어지는 T센서(46Y)는 상기 제2 공급부의 중앙 부근의 저벽에 마련되고, 그 위를 통과하는 2 성분 현상제의 투자율에 대응한 값의 전압을 출력한다. 2 성분 현상제의 투자율은 토너 농도와 어느 정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T센서(66Y)는 Y토너 농도에 대응한 값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 출력 전압의 값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로 보내진다. 이 제어부는 RAM을 구비하고 있고, 이 RAM내에 T센서(46Y)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목표치인 Y용 Vtref를 저장하고 있다. 또, 다른 현상 장치에 탑재된 도시하지 않는 T센서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목표치인 M용 Vtref, C용 Vtref, K용 Vtref의 데이터도 저장하고 있다. Y용 Vtref는 도시하지 않는 Y토너 이송 장치의 구동 제어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는 T센서(46Y)로부터의 출력 전압값을 Y용 Vtref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 Y토너 이송 장치를 구동 제어하여 상술한 제2 공급부 내에 Y토너를 보급시킨다. 이 보급에 의해 현상 장치(40Y) 내의 2 성분 현상제의 Y토너 농도가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된다. 다른 프로세스 유닛의 현상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 양태의 토너 보급 제어가 실시된다.
Y용의 감광체(2Y) 상에 형성된 Y토너상은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도시하지 않음) 에 중간 전사된다. 중간 전사된 후의 감광체(2Y)의 표면은 드럼 클리닝 장치(48Y)에 의해 전사 잔류 토너가 클리닝된 후, 방전 램프에 의해 방전된다. 그리고, 대전기(30Y)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에 대비한다. 다른 색의 프로세스 유닛에 대해서도 동일 양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전사 유닛(11)은 중간 전사 벨트(12), 구동 롤러(13), 벨트 씌움 롤러(14, 15), 벨트 클리닝 장치(16), 4개의 중간 전사 바이어스 롤러(17Y, 17M, 17C, 17K) 등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2)는 구동 롤러(13), 벨트 씌움 롤러(14, 15)에 씌워져 도시하지 않는 구동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13)에 의해 도면 중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4개의 중간 전사 바이어스 롤러(17Y, 17M, 17C, 17K)는 각각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중간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중간 전사 벨트(12)에 대하여 벨트 뒷면으로부터 감광체(2Y, 2M, 2C, 2K)를 향하여 눌러 각각 중간 전사 닙부를 형성한다. 각 중간 전사 닙부에는 상기 중간 전사 바이어스의 영향을 받아 감광체와 중간 전사 바이어스 롤러 사이에 중간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Y용의 감광체(2Y) 상에 형성된 상술한 Y토너상은 이 중간 전사 전계나 닙부압의 영향으로 중간 전사 벨트(12)상에 중간 전사된다. 이 Y토너상 위에는 감광체(2M, 2C, 2K)상에 형성된 M, C, K 토너상이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된다. 이 중첩 전사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는 4색 중첩된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 4색 중첩된 토너상은 후술하는 2차 전사 닙부에서 기록재인 전사지(P)에 2차 전사된다. 한편, 2차 전사 닙부를 통과 후의 중간 전사 벨트(12)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사 잔류 토너는 상기 벨트 씌움 롤러(15)에 지지되는 중간 전사 벨트 부분에 접촉하는 벨트 클리닝 장치(16)에 의해 클리닝된다.
상기 광 기록 유닛(10)의 하부에는 전사지(P)를 복수매 겹친 전사지 묶음 상태로 수용하는 용지 공급 카세트(20)가 배치되어 있고 맨 위의 전사지(P)는 용지 공급 롤러(20a)에 압력 접촉되어 있다. 용지 공급 롤러(20a)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하면, 맨 위의 전사지(P)가 용지 이송로로 이송된다.
중간 전사 유닛(11)의 상기 구동 롤러(13)에는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하여 2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18)가 접촉되어 2차 전사 닙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2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18)에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에 의해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용지 공급 카세트(20)로부터 용지 이송로로 이송된 전사지(P)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9) 사이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형성된 4색 중첩된 토너상은 벨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2차 전사 닙부로 진입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9)은 롤러 사이에 끼워진 전사지(P)를 2차 전사 닙부에서 4색 중첩된 토너상에 밀착시킬 수 있는 타이밍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2차 전사 닙부에서는 4색 중첩된 토너상이 전사지(P)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술한 2차 전사 바이어스나 닙부압의 영향을 받아 전사지(P)상에 2차 전사되어 풀 컬러 화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풀 컬러 화상이 형성된 전사지(P)는 정착 유닛(21)으로 이송된다.
상기 정착 유닛(21)은 3개의 롤러에 씌워져 회전 가능한 정착 벨트(21a)를 마련한 벨트 유닛(21b)과 내부에 열원을 구비하는 가열 롤러(21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벨트 유닛(21b)과 가열 롤러(21c) 사이에 전사지(P)를 끼워 그 표면에 풀 컬러 화상을 정착시킨다. 정착 유닛(21)을 통과한 전사지(P)는 용지 배출 롤러쌍( 22)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의 본 프린터에서는 프로세스 유닛(1Y, 1M, 1C, 1K)이나 중간 전사 유닛(11) 등에 의해 기록재인 전사지(P)에 가시상인 토너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보충용의 Y, M, C, K토너를 각각 수용한 토너 수용기(50Y, 50M, 50C, 50K)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Y토너용의 토너 수용기(50Y)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토너 수용기(50Y)는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인 주머니부(51Y)와 뚜껑 부재인 입구부(52Y)와 원기둥형의 셔터 부재(53Y)를 구비하고 있다. 주머니부(51Y)는 두께 50~210[㎛]정도의 변형 자유로운 유연한 시이트재가 단층 또는 복수층의 모난 주머니형으로 성형된 것으로, 내부에 수용물인 Y토너를 수용하고 있다. 이 시이트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이트나, 종이 시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부(52Y)를 용착 가능 재료인 폴리에틸렌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내측 층에 나일론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외측 층이 피복된 2층 구조의 주머니부(51Y)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주머니부(51Y)의 정면과 뒷면(도면 중 앞쪽면과 안쪽면)의 평탄부 외측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층(8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보강층(80)의 작용에 의해 주머니부(51Y)의 용적 축소 과정에서 보강층(80)이 마련된 평탄부는 평면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평탄부가 주름지거나 물결형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주름이나 물결형 변형에 의해 접힌 금(f)이 파괴되지 않아 용적 축소 후의 주머니부(51Y)가 접힌 금(f)을 따라 확실하게 작게 접어진다.
또, 이 보강층(80)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주머니부(51Y)를 잡을 때 이 구멍에 손가락을 걸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토너 수용기(50Y)를 잡고 흔들거나 후술하는 용기 지지 홀더에 세트하는 작업 시에 취급성이 높아진다. 나아가, 이러한 구멍은 주머니부(51Y)를 잡을 때 손가락을 넣어야 할 적절한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마크로서도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접힌 금(f)이 파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를 작업자에게 파악시킴으로써 용적 축소 후의 주머니부(51Y)의 형상을 일정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주머니부(51Y)의 상반부는 부풀어 오른 상태에서 거의 직방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하반부는 역사각 뿔형의 형상(테이퍼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역사각 뿔형의 형상에 의해 입구부(52Y)를 향하여 하강 구배가 이루어지는 호퍼가 형성된다. 이 호퍼의 선단에는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불가능한 입구부(52Y)가 용착되어 있다. 토너 수용기(50Y)는 입구부(52Y)를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자세로 이용되고 주머니부(51Y)와 입구부(52Y)는 연통되어 있다. 입구부(52Y)에는 관통 구멍인 노즐 접수 구멍(54Y)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원기둥형의 셔터 부재(53Y)가 삽입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Y토너가 토너 수용기(50Y)내에 밀봉된다. 또한, Y토너용의 토너 수용기(50Y)에 대해서만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색 토너용의 토너 수용기(50M, 50C, 50K)에 대해서도 거의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각 현상 장치에 보급용 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인 토너 이송 장치 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Y토너용의 토너 이송 장치를 Y토너용의 현상 장치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토너 이송 장치는 이송 튜브(70Y), 이송로 형성 부재인 노즐(71Y), 흡인 펌프(90Y)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토너 수용기(50Y)를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용기 지지 부재로서의 용기 지지 홀더도 구비하고 있다. 토너 수용기(50Y)는 입구부(52Y)가 하부를 향하는 자세로 용기 지지 홀더에 세트되고 내부의 토너가 거의 없어진 시점에서 새로운 것과 교환된다. 이 때, 새로운 토너 수용기(50Y)의 입구부(52Y)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셔터 부재(53Y)가 맞춰지는 노즐 접수 구멍(54Y)에 대하여 노즐(71Y)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셔터 부재(53Y)가 노즐 접수 구멍(54Y)으로부터 밀려 남과 동시에, 노즐(71Y)이 노즐 접수 구멍(54Y)에 맞춰져 노즐(71Y)과 입구부(52Y)가 연결된다. 그 결과, 토너 수용기(50Y)로부터 배출되는 Y토너를 이송처인 현상 장치(40Y)로 이송하기 위한 토너 이송로가 형성된다.
노즐(71Y)의 후단에는 이송 튜브(70Y)가 접속되어 있다. 이 이송 튜브(70Y)는 변형 자유롭고 또한 내토너성이 뛰어난 고무재나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경 φ4~10[mm]의 튜브이며, 노즐(71Y)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흡인 펌프(90Y)의 펌프부(91Y)에 접속되어 있다. 흡인 펌프(90Y)는 1축 편심 스크루 펌프(통칭 모노 펌프)로 불리는 방식의 펌프이며, 펌프부(91Y), 이 펌프부(91Y)에 연통되는 토출부(95Y), 축 부재(96Y), 자재 이음(universal joint)(97Y), 흡인 모터(98Y) 등을 구비하고 있다.
흡인 펌프(90Y)의 펌프부(91Y)는 금속이나 강성이 높은 수지 등이 편심한 두 갈래 스크루형으로 가공된 회전자(92Y), 고무 등의 재료에 두 갈래의 스크루형 공동(空洞)이 형성된 고정자(93Y), 흡인구(94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 모터(98Y)가 회전하면, 그 회전 구동력이 자재 이음(97Y)과 축 부재(96Y)를 통하여 두 갈래 스크루형의 회전자(92Y)에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자(92Y)가 고정자(93Y)내에서 회전하면, 펌프부(91Y)의 흡인구(94Y)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에 의해 이송 튜브(70Y), 노즐(71Y) 및 입구부(52Y)를 통하여 주머니부(51Y)내의 Y토너가 흡인 펌프(90Y)내에 흡인된 후, 고정자(93Y) 내를 통하여 토출부(95Y) 내로 토출된다. 이 토출부(95Y)는 Y용 현상 장치(40Y)의 상기 제 2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고 토출부(95Y) 내로 토출된 Y토너는 제2 수용부로 공급되어 도시하지 않는 2 성분 현상제와 혼합된다.
이와 같이 흡인 펌프(90Y)의 흡인에 의해 Y토너를 이송하는 토너 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Y토너에 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오거 등의 가동 부재를 토너 수용기(50Y) 내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토너 수용기(50Y)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흡인 펌프(90Y)의 흡인력에 의해 변형 자유로운 주머니부(51Y)를 위축시킴으로써 토너 수용기(50Y)의 용적 축소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량화나 용적 축소화에 의해 사용이 끝난 토너 수용기(50Y)를 제조 업자 등에 인수시켜 재이용하는 경우에, 토너 수용기(50Y)의 회수 운반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토너를 이송하는 이송관에도 스크루 부재 등의 가동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송관으로서 변형 자유로운 이송 튜브(70Y)를 이용하여 프린터 본체 내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토너 이송 경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토너 수용기(50Y)를 현상 장치(40Y)보다 중력 방향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도, 흡인 펌프(90Y)의 흡인력에 의해 토너를 펌프 업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서도 장치 내부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토너 수용기(50Y)의 주머니부(51Y)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금(f)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흡인에 수반하여 주머니부(51Y)를 이 접힌 금(f)에 따라 위축시켜 최종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거의 평면형의 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되고, 토너 수용기(50Y)의 용적을 축소시킬 수 있어 수송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토너 수용기(50Y)의 입구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입구부(52Y)는 도면 중 상하 방향의 큰 세로 구멍과 도면 중 전후 방향의 노즐 접수 구멍(54Y)이 마련된 본체부(55Y)와 이 본체부(55Y)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면이 원형인 용착부(56Y)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부(55Y)의 세로 구멍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맞춰지는 뚜껑부(57Y) 등도 구비하고 있다. 용착부(56Y)는 상술한 주머니부(51Y)의 개구부에 용착되어 입구부(52Y)를 주머니부의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뚜껑부(57Y)에도 노즐 접수 구멍(54Y)이 마련되어 있다. 즉, 노즐 접수 구멍(54Y)은 본체부(55Y)와 이것에 맞춰지는 뚜껑부(57Y)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뚜껑부(57Y)의 노즐 접수 구멍(54Y)의 주위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리형 시일(58Y)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 접수 구멍(54Y) 내에 상기 노즐(71Y)이나 셔터 부재(53Y)가 삽입되었을 때, 뚜껑부(57Y)의 노즐 접수 구멍(54Y) 내부와 외부에서의 밀폐성이 발휘된다.
입구부(52Y)를 본체부(55Y)와 뚜껑부(57Y)로 나누고 있는 것은 주머니부(51Y) 내에 Y토너를 쉽게 충전시키기 위해서이다. 양자를 일체로 하게 되면, 좁을 뿐만 아니라 주머니부(51Y)로부터의 토너 유로에 대하여 90[°]로 꺽어진 노즐 접수 구멍(54Y)으로부터 Y토너를 충전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것에 대하여, 양자를 분할함으로써 토너 유로에 대하여 일직선형으로 위치하고 있는 입구부(52Y)의 큰 개구부로부터 주머니부(51Y)를 향하여 Y토너를 직선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Y토너 충전 시에 고리형 시일(58Y)을 더럽힌다는 사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셔터 부재(53Y)를 손가락으로 건드려 노즐 접수 구멍(54Y)으로부터 셔터 부재(53Y)가 밀려 나가는 사태를 저지하기 위하여, 손가락끝이 삽입되지 않을 정도로 셔터 부재(53Y)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적으로서는 8[mm2]이하, 바람직하게는 6[mm2]이하가 적합하다.
도 8은 토너 수용기(50Y) 입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입구부(52Y)는 용착부(156Y)와 이것에 맞춰지는 본체부(155Y)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부(155Y)의 세로 구멍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맞춰질 수 있는 뚜껑부(157Y) 등도 구비하고 있다. 용착부(156Y)는 상술한 주머니부(51Y)의 개구부에 용착될 수 있다. 뚜껑부(157Y)가 세로 구멍에 맞춰진 상태의 본체부(155Y)가 용착부(156Y)와 맞춰짐으로써, 입구부(52Y)가 주머니부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 때, 뚜껑부(157Y)의 상부 는 용착부(156Y)의 구멍에 맞춰지는데, 이들 사이는 고리형 시일(58Y)에 의해 밀폐된다. 이 고리형 시일(58Y)이 없어도 통상 환경하에서는 문제 없지만, 감압 환경(고지 환경)하에서는 이 고리형 시일(58Y)이 없으면 주머니부(51Y) 내의 공기가 누출되어 통상 환경하에 되돌아왔을 때 토너의 패킹이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의 토너 수용기에서는 뚜껑부(157Y)의 상부와 용착부(156Y) 구멍의 끼워 맞춤부에 고리형 시일(58Y)을 마련하고 있다.
또, 이 입구부(52Y)에는 본체부(155Y) 내에 회로 기판(159Y)이 장착된다. 이 회로 기판(159Y)은 토너 수용기(50Y)의 장착 유무나 토너 잔량을 장치 본체 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 회로나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토너 수용기(50Y)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면, 회로 기판(159Y)상의 접속 단자와 장치 본체 측의 접속 단자가 접촉하고, 회로 기판(159Y)과 장치 본체 사이에서 정보가 송수신되어 토너 수용기(50Y)의 장착 유무나 토너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토너 이송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의 프레임 앞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4개의 용기 지지 홀더(75Y, 75M, 75C, 75K)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대응하는 색용의 토너 이송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대응하는 색의 토너 수용기를 내부에 수납하여 지지한다. 작업자는 예컨대 Y용의 토너 수용기(50Y)를 용기 지지 홀더(75Y)에 세트하는 경우, 도시하지 않는 잠금부를 해제하여 상기 용기 지지 홀더(75Y)를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회전하도록 개방한 다. 그리고, 작업자는 입구부(52Y)가 연직 방향 아래쪽이 되도록 주머니부(51Y)를 양손으로 잡고 토너 수용기(50Y)를 용기 지지 홀더(75Y)의 내부에 떨어뜨리듯이 삽입한다.
도 10은 Y용 토너 이송 장치에 있어서의 용기 지지 홀더(7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Y용 토너 이송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색의 토너 이송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 양태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색 구분 부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 토너 이송 장치는 프린터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지지 홀더(75)의 하부에는 회전축(75a)이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75a)은 고정부(76)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지지 홀더(75)는 이 회전축(7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의 상부 양측면에는 각각 돌기(75b)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돌기(75b)는 일단이 프린터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2개의 미끄럼 부재(72)에 각각 걸어 맞춰져 있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Y)의 하부 양측면은 고정부(76)로부터 연장되는 아암(76a)에 접촉되어 있고, 그 양측면에는 아암(76a)과의 상대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 지지 홀더(75)가 열리는 범위에서는 상기 돌기(75b)에 의해 미끄럼 부재(72)가 걸리고 스토퍼에 의해 아암(76a)이 걸림으로써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너 수용기(50)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토너 수용기(50)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용기 지지 홀더(75)를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로서의 홀더 구동 기구가 구성된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에는 토너 수용기(50)의 프린터 본체 측을 지지하는 뒷면 지지부(75d)가 마련되어 있다. 이 뒷면 지지부(75d)는 그 하단부가 용기 지지 홀더(75)의 본체에 정·역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뒷면 지지부(75d)는 용기 지지 홀더(75)가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자중에 의해 용기 지지 홀더(75)와 함께 앞쪽으로 기우는 자세를 취하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 측으로 후퇴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토너 수용기(50) 내의 토너가 자중에 의해 하부에 모임으로써 주머니부(51)의 하부가 부푼 상태로 되어 있어도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토너 수용기(50)를 용기 지지 홀더(75)에 세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용기 지지 홀더(75)가 닫아지면, 뒷면 지지부(75d)는 토너 수용기(50)와 프린터 본체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유지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따라 Y용의 토너 이송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토너 수용기(50)를 착탈하기 위하여 용기 지지 홀더(75)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용기 지지 홀더(75)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뚜껑 지지 부재로서의 가동판(7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판(73)은 용기 지지 홀더(75)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축(73a)를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도 11a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와 도 11b에 나타내는 유지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용기 지지 홀더(75)에 세트된 토너 수용기(50)와 접촉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가동판(73)의 면은 그 하부에서 캠(74)의 캠면과 접촉되어 있다. 이 캠(74)은 캠 축(74a)이 용기 지지 홀더(75) 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캠 축(74a)의 일단에 설치된 캠 구동 기어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이 캠(74)의 회전에 의해 가동판(73)은 회전축(73a)을 중심으로 하여 후퇴 위치와 유지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캠(74), 캠 축(74a) 및 캠 구동 기어가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12a 및 12b는 캠(7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는 토너 수용기(50)를 착탈하기 위하여 용기 지지 홀더(75)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용기 지지 홀더(75)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면에서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이점 점선으로 나타내고, 가동판(73) 및 고정부(76)를 일점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캠(74)의 캠 축(74a)에 설치된 캠 구동 기어(74b)는 대략 L자형의 섹터 기어(77)에 마련된 기어부(77a)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이 섹터 기어(77)의 일단부는 용기 지지 홀더(75)에 고정된 회전축(77b)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섹터 기어(77)의 중부에는 고정부(76)에 고정된 고정축(76b)이 삽통된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상태인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는 경우, 작업자는 앞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밀어넣어 도 12b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용기 지지 홀더(75)가 이동하면, 이 이동에 수반하여 섹터 기어(77)의 일단에 장착된 회전축(77b)이 이동하여 섹터 기어(77)는 고정축(76b)을 중심으로 도면 중의 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력 은 섹터 기어(77)의 기어부(77a)를 통하여 서로 맞물리고 있는 캠 구동 기어(74b)에 전달되어 캠 구동 기어(74b)가 도면 중의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대략 반회전(半回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지지 홀더(75)의 개폐 범위가 작아도 캠(74)을 대략 반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섹터 기어(77)의 구동 기구에 상술한 링크 기구를 채용하여 섹터 기어(77)의 회전각을 크게 함과 동시에 섹터 기어(77)의 기어부(77a)와 캠 구동 기어의 기어 비를 조절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지지 홀더(75)의 개폐 범위가 23°이지만, 168°의 캠 회전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캠(74)은 도 1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고, 가동판(73)은 그 캠 면에 의해 토너 수용기(50) 측으로 밀려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유지 위치는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를 노즐(71)과의 연결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이다.
한편,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힌 상태인 용기 지지 홀더(75)를 개방하는 경우, 작업자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앞쪽으로 개방하여 도 12a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용기 지지 홀더(75)가 이동하면, 이번에는 상술한 동작과는 역 동작을 하여 캠(74)은 도 1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1a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그 캠 면은 가동판(73)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가동판(73)의 유지 위치에 대한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가동판(73)은 회전축(73a)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11a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판(73)을 적극적으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물론 적극적으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용수철 등을 이용하여 가동판(73)을 후퇴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후퇴 위치는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가 토너 수용기(50)를 용기 지지 홀더(75)에 세트할 때에도 가동판(73)이 도 11b에 나타내는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 그대로이면,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가 가동판(73) 및 용기 지지 홀더(75)의 내벽에 걸리기 쉽다. 이와 같이 걸리면, 입구부(52)를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심부(最深部)까지 삽입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입구부(52)가 노즐(71)과 연결되지 못하여 토너 수용기(50)를 정상적으로 세트할 수 없다. 특히, 입구부(52)의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특히 걸리기 쉽기 때문에, 토너 수용기(50)를 정상적으로 세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토너 수용기(50)를 용기 지지 홀더(75)에 세트하고자 할 때, 가동판(73)을 도 11a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지지 홀더(75)에 세트되는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가 가동판(73)에 접촉됨으로써 가동판(73)이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여 입구부(52)가 들어갈 공간이 넓어진다. 따라서, 입구부(52)의 자세가 다소 기울어져 있어도 입구부(52)가 가동판(73)에 쉽게 걸리지 않게 되어 그 입구부(52)를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심부까지 순조롭게 밀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입구부(52)가 걸려 토너 수용기(50)를 정상적으로 세트할 수 없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부(52)가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심부까지 들어가 토너 수용기(50)가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로 된 후, 작업자가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으면, 그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부(52)는 그 가동판(73)에 의해 노즐(71)과의 연결 위치로 안내되어 바람직한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입구부(52)는 노즐(71)과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수용기(5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부(51)의 측면(도면 중 좌우 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용적을 축소 시키기 위한 접힌 금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시이트 이음매인 이음부의 평탄부는 용적이 축소된 후의 형상이 평탄하게 되도록 주머니부(51)의 정면 및 뒷면(도면 중 앞면 및 뒷면)을 따라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토너 수용기(50)는 입구부(52)가 마련된 부분 근처의 주머니부(51) 영역 중, 주머니부(51)의 정면 및 뒷면이 측면보다 휨 강성이 낮다. 따라서, 입구부(52)는 주머니부(51)의 정면 또는 뒷면을 향해 기울어지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판(73)의 이동 방향을 이 토너 수용기(50)가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 또는 뒷면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부(52)를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심부까지 보다 순조롭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로서의 링크 기구로 이루어지는 노즐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는 토너 수용기(50)를 착탈하기 위하여 용기 지지 홀더(75)를 개방했을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았을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용기 지지 홀더(75) 내부의 하부에 노즐(71)이 장착되어 있다. 이 노즐(7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튜브(70)에 접속되어 있고, 또 노즐 유지 부재(78)에 고정되어 있다. 이 노즐 유지 부재(78)는 노즐(71)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78a)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돌출부(78a)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이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되면 동시에 입구부(52)의 노치부에 맞춰진다. 또, 노즐 유지 부재(78)의 양측면(도면 중 앞면 및 뒷면)에는 돌기(78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78b)는 노즐 구동 부재(79)의 일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노즐 구동 부재(79)는 상기 섹터 기어(77)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섹터 기어(77)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개방되어 있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으면, 그 용기 지지 홀더(75)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축(77b)이 이동하고, 노즐 구동 부재(79)는 고정축(76b)을 중심으로 도면 중 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노즐 유지 부재(78)를 입구부(52) 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되므로, 노즐 유지 부재(78)는 안내 레일(84)을 따라 입구부(52)를 향해 이동하여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와 연결되는 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유지 부재(78)의 돌출부(78a)가 입구부(52)의 노치부에 맞춰짐과 동시에 노즐(71)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된다. 한편, 작업자가 닫혀 있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열면, 상기와는 역 동작이 이루어져 노즐 유지 부재(78)는 안내 레일(84)을 따라 입구부(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부(52)가 노즐(71)에 걸리지 않게 토너 수용기(50)를 용기 지지 홀더(75)로부터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용기 지지 홀더(75)내에 토너 수용기(50)를 위로부터 떨어뜨리듯이 세트하는 경우, 용기 지지 홀더(75)가 너무 개방되면, 작업자에 의한 작업성을 손상주는 결과가 된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의 개폐 범위가 너무 넓으면 프린터 본체로부터 용기 지지 홀더(75)가 너무 돌출되어 토너 수용기(50) 세트 작업에 필요한 작업 공간을 넓게 취할 필요가 있어 편리성이 나빠진다. 그 때문에,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적의 개폐 범위는 비교적 좁은 범위에 제한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구동 기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링크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 노즐 구동 기구에 의하면,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적의 개폐 범위가 좁은 경우에도, 노즐(71)의 착탈 슬라이드 행정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용기 지지 홀더(75)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75a)을 입구부(52)에 근접하여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본 토너 이송 장치의 입구부(52)가 향하는 위치의 아래쪽에 불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75a)을 입구부(52)와 동일 높이까지 근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토너 이송 장치의 크기에 대하여 채용 가능한 토너 수용기(5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토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즐 구동 부재(79)가 섹터 기어(77)와 일체적으로 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71)을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 노즐(71)을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가동판(73)에 의한 입구부(52)의 유지 및 해제와 노즐(71)의 삽입 및 취출을 원 액션(one action)으로 실행할 수 있어 토너 수용기(50)의 신속한 세트 및 취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캠(74)의 형상이나 캠 구동 기어 및 섹터 기어(77)의 기어 구성 등을 조절하여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의 노즐(71) 이동이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 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입구부(52)의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 가동판(73)에 의해 입구부(52)가 적절한 연결 위치에 유지되기 전에는 노즐(71)과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의 동축 정밀도가 취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입구부(52)와 노즐(71)을 적절히 연결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71)이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가동판(73)에 의해 입구부(52)가 적절한 연결 위치에 유지되므로, 입구부(52)의 자세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동축 정밀도가 취해진 상태에서 입구부(52)와 노즐(71)을 적절히 연결시킬 수 있어 부적절한 연결에 의한 토너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a 및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 으면, 그 동작에 연동하여 섹터 기어(77)가 고정축(76b)을 중심으로 도면 중 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노즐 구동 부재(79)도 도면 중 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 지지 홀더(75)를 닫을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노즐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노즐(71)이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용기 지지 홀더(75)를 개방하면, 그 동작에 연동하여 섹터 기어(77)가 고정축(76b)을 중심으로 도면 중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노즐 구동 부재(79)도 도면 중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 지지 홀더(75)를 열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노즐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노즐(71)이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하여 개폐 동작을 실시하면, 이와 동시에 입구부(52)에 대한 노즐의 착탈도 수행되므로, 토너 수용기(50)의 신속한 세트 및 취출이 가능해진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가 닫히면, 이것에 지지된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가 장치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용기 지지 홀더(75)가 열리면, 그 입구부(52)가 장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입구부(52)는 노즐 구동 부재(79)가 비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연결 방향으로 이동하고, 노즐 구동 부재(79)가 연결 위치로부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입구부(52)가 노즐(71)의 착탈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입구 부(52)의 이동량만큼 노즐(71)의 착탈 슬라이드 행정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71)의 착탈 슬라이드 행정을 짧게 하면서도,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확실한 착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가동판(73)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에서도 유익한 것이다.
또,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대하여 노즐(71)을 삽입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노즐 삽입 시에 이들 사이에는 고도의 동축 정밀도가 요구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a 및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71)의 착탈 방향과 가동판(73)의 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방향, 즉,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착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동판(73)에 의해 입구부(52)의 변위를 규제하거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입구부(52)는 가동판(73)과 용기 지지 홀더(75) 내벽의 사이에 끼워 입구부(52)와 가동판(73)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동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방향에서의 입구부(52) 변위가 규제된다. 반대로,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으면, 입구부(52)와 가동판(73)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동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방향에서의 입구부(52) 변위에 대한 규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가동판(73)의 동작에 의해 동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방향에서의 입구부(52)의 변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되기 전에 노즐(71)의 선단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삽입 동작을 작은 힘으로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노즐(71)의 선단이 입구부(52)에 삽입되기 전에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하면, 입구부(52)가 적절한 연결 위치로부터 약간 변위되어 있는 경우, 입구부(52)와 가동판(7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입구부(52)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때문에, 그 마찰력에 저항하여 입구부(52)를 변위시킬 수 있는 큰 힘으로 노즐(71)을 삽입시킬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되기 전에 노즐(71)의 선단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노즐(71)의 선단을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입구부(52)가 적절한 연결 위치로부터 약간 변위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71)의 선단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될 때에 입구부(52)가 변위하지만, 상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 변위에 필요되는 힘은 아주 작다. 따라서, 노즐(71)의 삽입 동작을 작은 힘으로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1a 및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에서는 노즐(71)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을 막고 있는 셔터 부재(53)와 교체되도록 하여 노즐 접수 구멍(54)에 대하여 착탈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구부(52)에 대하여 노즐(71)과는 반대측의 용기 지지 홀더(75)에는 셔터 부재(53)를 노즐 접수 구멍(54)에 복귀시키기 위한 셔터 부재 복귀 기구(8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 복귀 기구(81)는 일단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 아암(82)과 그 타단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가압 복귀 부재(8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아암(82)은 이 가 압 복귀 부재(83)를 도면 중의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도시하지 않는 용수철에 의해 힘이 부여되어 있다. 도 11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이 미는 힘에 의해 회전 아암(82)이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압 복귀 부재(83)의 선단(도면 중 우측 단부)은 용기 지지 홀더(75)의 내벽으로부터 그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아암(82)에 힘을 부여하는 용수철을 용기 지지 홀더(75)의 양측부(도면 중 앞쪽과 안쪽)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용수철이 필요하다. 만약 1개의 용수철로 힘을 부여하고자 하면, 회전 아암(82)에 대하여 연직 방향 아래쪽에 용수철을 배치할 필요가 생겨 본 토너 이송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소형화의 점에서 불리하다.
노즐(71)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되면, 노즐 접수 구멍(54)을 막고 있던 셔터 부재(53)가 노즐 접수 구멍(54)의 타단으로부터 밀려 난다. 그러면, 밀려 난 셔터 부재(53)에 의해 가압 복귀 부재(83)가 밀려 회전 아암(82)이 용수철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도면 중 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1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한편, 노즐(71)이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회전 아암(82)이 용수철의 미는 힘에 의해 도면 중 역시계 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 복귀 부재(83)가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가압 복귀 부재(83)에 밀려 셔터 부재(53)는 노즐 접수 구멍(54)의 내부로 복귀되어 도 11a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입구부(52)의 노즐 접수 구멍(54)으로부터 셔터 부재(53)를 밀어 내고 복귀시키는 방식에서는 흡인되는 토너의 이송로가 셔터 부재(53)에 의해 방해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셔터 부재(53)를 후퇴시키기 위한 공간을 입구부(52)에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입구부(5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주머니부(51)내로부터 입구부(52)내로 연직 방향으로 통하는 토너 유로에 대하여 셔터 부재(53)를 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 배치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53)에 대하여 주머니부(51)내로부터 입구부(52)를 향하는 압력을 연직 방향으로 작용시키므로, 그 압력에 의해 셔터 부재(53)가 밀려 난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착탈 방향과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착탈 시에 발생하는 토너 누출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 노즐 삽입 시의 셔터 부재(53)의 후퇴를 토너 수용기(50)의 외부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셔터 부재(53)의 확실한 복귀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기구를 토너 수용기(50) 측에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교환품인 토너 수용기(50)측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토너 수용기(50)의 비용을 줄여 런닝 코스트(running cost)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노즐 착탈 방향과 토너 수용기(50)의 착탈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하면, 노즐 구동 기구를 토너 수용기(50)의 연직 방향 하부에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토너 이송 장치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토너 이송 장치의 크기에 대하여 채용 가능한 토너 수용기(5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토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셔터 부재(53)를 노즐 접수 구멍(54)에 복귀시키는 경우, 셔터 부재(53)와 노즐 접수 구멍(54) 내벽의 마찰력에 의해 입구부(52)는 그 셔터 부재(53)의 이동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 때문에, 셔터 부재(53)가 노즐 접수 구멍(54)에 복귀되기 전에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게 되면, 입구부(52)가 후퇴하여 셔터 부재(53)를 노즐 접수 구멍(54)에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토너 수용기 내에 잔존하는 토너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캠(74)의 형상이나 캠 구동 기어 및 섹터 기어(77)의 구성 등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의 노즐(71)의 이동이 가동판(73)에 의한 입구부(52)의 유지를 해제하기 전에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의 해제는 노즐 접수 구멍(54)에 셔터 부재(53)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된다. 그 결과, 셔터 부재(53)를 노즐 접수 구멍(54)에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토너 수용기 내에 잔존하는 토너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구동 기구를 마련하고 셔터 부재 복귀 기구(81)를 노즐(71)의 이동에 따르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셔터 부재 복귀 기구(81)를 상기 노즐 구동 기구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구동시키고, 이것에 노즐(71)이 따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블랙의 토너 수용기(50K)는 다른 토너 수용기(50Y, 50M, 50C)에 비해 크기 때문에, 블랙의 토너 수용기(50K)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 홀더(75K)는 다른 용기 지지 홀더(75Y, 75M, 75C)보다 크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부(52)의 치수는 어느 토너 수용기(50Y, 50M, 50C, 50K)에서도 동일하므로, 용기 지 지 홀더의 내부 공간의 크기만 다르다. 그 때문에, 본 토너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주머니 부분은 공통화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프린터는 잠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2)상의 잠상에 현상 장치(40)에 의해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토너상을 기록재인 전사지(P)상에 전이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프린터는 현상 장치(40)로 이송되는 토너를 수용한 수납 용기인 토너 수용기(50)와 이 토너 수용기 내의 토너를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인 토너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토너 이송 장치는 내부에 수용물인 토너를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인 주머니부(51)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그 주머니부(51)가 변형 축소하면서 주머니부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인 입구부(52)를 통하여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수용기(50)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로서의 용기 지지 홀더(7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에 연결되어 토너 수용기(50)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이송처인 현상 장치(40)로 이송하기 위한 토너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로서의 노즐(71)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토너 이송 장치는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를 노즐(71)과의 연결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 지지 부재로서의 가동판(73)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본 토너 이송 장치는 가동판(73)을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캠(74), 캠 축(74a) 및 캠 구동 기어(74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 연결 시에는 가동판(73)을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토너 수용기(50)의 착탈 시에는 위치 결정을 해제하여 가동판(73)이 후퇴 위치로 이동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52)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이어도 그 입구부(52)가 가동판(73)에 방해되지 않고 토너 수용기(50)를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너 수용기(50)의 주머니부(51)의 강성을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편리성을 손상주지 않고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를 토너 이송 장치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토너 수용기(50)가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그 주머니부(51)의 입구부(52)가 설치된 부분 근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휨 강성이 낮은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가동판(73)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52)를 용기 지지 홀더(75)의 최심부(最深部)까지 보다 순조롭게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세트 작업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71)은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그 입구부(52)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토너 이송로를 형성하고, 동시에 그 착탈 방향과 가동판(73)의 이동 방향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판(73)의 동작에 의해 입구부(52)에 대한 노즐 착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입구부(52)의 변위를 규제하거나 그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삽입 동작을 작은 힘으로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노즐(71)을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상태의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로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로서의 노즐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노즐(71)을 비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을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노즐(71)을 연결 위치로부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기(50)의 신속한 세트 및 취출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용기 지지 홀더(75)를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하여 토너 수용기(50)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용기 지지 홀더(75)에 지지된 토너 수용기(50)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로서의 홀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용기 지지 홀더(75)를 착탈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 구동 기구가 동작하고, 노즐(71)이 비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를 수용 위치로부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노즐 구동 기구가 동작하고 노즐(71)이 연결 위치로부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기(50)의 신속한 세트 및 취출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비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의 노즐(71) 이동이 가동판(73)이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된 후에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부적절한 연결에 의한 토너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상기 홀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용기 지지 홀더(75)를 착탈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을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용기 지지 홀더(75)를 수용 위치로부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홀더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기(50)의 신속한 세트 및 취출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71)은 주머니부(51)의 개구부에 연통한 입구부(52)의 관통 구멍인 노즐 접수 구멍(5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이 노즐 접수 구멍(54)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토너 이송로가 상기 개구부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71)은 이 노즐 접수 구멍(54)을 막도록 입구부(52)에 장착되는 셔터 부재(53)와 교체적으로 노즐 접수 구멍(54)에 대하여 착탈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되는 토너의 이송로가 셔터 부재(53)에 의해 방해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5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부(51) 내로부터 입구부(52)를 향하는 압력에 의해 셔터 부재(53)가 밀려 나온다는 사태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토너 수용기(50)의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 의 착탈 방향과 용기 지지 홀더(75)에 대한 토너 수용기(50)의 착탈 방향이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기(50)의 비용을 줄여 런닝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하거나 토너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가동판(73)의 위치 결정에 대한 해제가 입구부(52)와 교체하여 노즐 접수 구멍(54)에 셔터 부재(53)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53)를 노즐 접수 구멍(54)에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토너 수용기 내에 잔존하는 토너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상기 노즐 구동 기구 외에, 노즐(71)을 비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입구부(52)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노즐(71)을 연결 위치로부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노즐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입구부(52)를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 구동 기구에 의한 노즐(71)의 이동 범위를 짧게 하면서도 입구부(52)에 대한 노즐(71)의 확실한 착탈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토너 이송 장치는 상기 노즐 구동 기구를 링크 기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토너 이송 장치의 크기에 대하여 채용 가능한 토너 수용기(5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토너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말체 토너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예로써 설명했지만, 본 발명 은 토너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 이외의 분말체나, 액체, 기체 등의 수납 용기에 수용된 그 외의 수용부를 다른 장치 등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이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청구항 1 내지 27의 발명에 의하면, 수납 용기가 세트되는 이송 장치 측의 구성을 고안함으로써, 뚜껑 부재의 자세가 기울어진 상태의 수납 용기를 이송 장치에 세트하여도 그 뚜껑 부재를 적절한 세트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의 주머니형 부재의 강성을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로 하면서도, 작업자의 편리성을 손상주지 않고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이송 장치 세트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배출하는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수용물을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를 구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는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와 연결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 지지 부재와,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를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상기 뚜껑 부재가 설치된 부분 근처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휨 강성이 낮은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를 형성하며, 동시에, 그 착탈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가 결정된 후에,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의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이동이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한 상기 뚜껑 부재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가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되는 셔터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착탈 방향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수납 용기의 착탈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 위치 결정에 대한 해제가 상기 뚜껑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셔터 부재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링크 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3.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배출하는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수용물을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를 구비한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내에 수용된 토너를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되는 현상 장치로 이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15. 표면에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화는 현상 장치와, 가시상화된 토너상을 기록재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장치 및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될 토너를 수용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이송 장치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토너를 배출하는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이송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는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를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와 연결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 지지 부재와,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를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상기 뚜껑 부재가 설치된 부분 근처의 영역 중 상대적으로 휨 강성이 낮은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를 형성하며, 동시에, 그 착탈 방향과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가 결정된 후에,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의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이동이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장치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착탈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 지지 부재를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동시에, 상기 용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착탈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용기 지지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는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한 상기 뚜껑 부재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로가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을 막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되는 셔터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대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의 착탈 방향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수납 용기의 착탈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뚜껑 지지 부재의 위치 결정에 대한 해제를 상기 뚜껑 부재와 교체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셔터 부재를 복귀시킨 후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 및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를 링크 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표면에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화는 현상 장치와, 가시상화된 토너상을 기록재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 장치 및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될 토너를 수용한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이송 장치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 유연한 주머니형 부재에 외압을 가하거나 또는 내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부재가 변형 축소되어 상기 주머니형 부재의 개구부에 설치된 뚜껑 부재를 통하여 상기 토너를 배출하는 상기 수납 용기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수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현상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이송 로 형성 부재와,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의 수납 용기의 뚜껑 부재와 연결하는 연결 위치와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수납 용기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 및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비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연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이송로 형성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이송로 형성 부재 구동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연결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 부재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67183A 2003-08-25 2004-08-25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637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0342 2003-08-25
JP2003300342A JP4205531B2 (ja) 2003-08-25 2003-08-25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79A KR20050021279A (ko) 2005-03-07
KR100637908B1 true KR100637908B1 (ko) 2006-10-25

Family

ID=3410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183A KR100637908B1 (ko) 2003-08-25 2004-08-25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7248824B2 (ko)
EP (1) EP1510880B1 (ko)
JP (1) JP4205531B2 (ko)
KR (1) KR100637908B1 (ko)
CN (1) CN1004373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280A (ja) * 2000-12-01 2002-06-14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095875B2 (ja) *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133629B2 (en) 2002-04-12 2006-11-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US7542703B2 (en) *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JP4220798B2 (ja) *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CN100437373C (zh) * 2002-09-20 2008-11-26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05531B2 (ja) * 2003-08-25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589384B1 (en) 2004-04-23 2020-01-08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JP2006030957A (ja) * 2004-06-16 2006-02-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456957B2 (ja) * 2004-08-06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4691B2 (en) * 2004-11-09 2007-02-27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S2605527T3 (es) * 2005-04-27 2017-03-14 Ricoh Company, Ltd. Recipiente de tóner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EP1890201B1 (en) * 2005-06-07 2014-12-31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DE602006020532D1 (de) * 2005-11-09 2011-04-21 Ricoh Co Ltd Auffüllbehälter für Zwei-Komponenten-Entwickler und Füllmethode
JP2007155841A (ja) * 2005-11-30 2007-06-21 Ricoh Co Ltd 粉体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58173B2 (en) 2005-12-23 2010-07-20 Xerox Corporation Collapsible packaging system
JP4740067B2 (ja) 2006-08-23 2011-08-03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案内装置及びその粉体案内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92593B2 (ja) * 2007-10-23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86175B2 (ja) * 2009-06-30 2013-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CN102597887B (zh)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SG10201501511VA (en) 2010-03-01 2015-04-29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S2771173T3 (es) 2010-03-10 2020-07-06 Ricoh Co Ltd Recipiente de tóner y dispositivo de formación de imágenes
JP5660447B2 (ja) * 2010-03-15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569241B2 (ja) 2010-08-0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0026B2 (ja) *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08233B2 (ja) *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229367B2 (en) 2013-10-09 2016-0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having a pivotable cradle and a stationary hold-down feature
JP2015079116A (ja) * 2013-10-17 2015-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11303B1 (en) 2015-04-10 2016-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102673428B1 (ko) 2019-01-16 2024-06-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EP4155833B1 (en) * 2020-12-07 2024-05-15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system
WO2022131315A1 (ja) * 2020-12-15 2022-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764A (en) * 1901-12-17 1903-05-12 Eward B Ellicott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US4611899A (en) * 1983-01-08 1986-09-1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S6059579A (ja) 1983-09-12 1985-04-05 Seiko Epson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JPS61176564A (ja) 1985-01-30 1986-08-08 Kyowa Hakko Kogyo Co Ltd 4−ヒドロキシ−2−ピロリドンの製造法
JPS61176564U (ko) 1985-04-23 1986-11-04
US5184181A (en) * 1986-09-24 1993-02-02 Mita Industrial Co., Ltd. Cartridge discriminating system
US5384628A (en) * 1992-10-10 1995-01-2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JPH06266227A (ja) * 1993-03-14 1994-09-22 Ricoh Co Ltd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986679B2 (ja) * 1994-06-17 1999-12-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648840A (en) * 1994-11-14 1997-07-1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conveyance apparatus
JP3440441B2 (ja) * 1996-12-19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890040A (en) *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H10213959A (ja) * 1997-01-30 1998-08-11 Konica Corp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41691B2 (ja) * 1997-10-03 2004-07-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US5812915A (en) * 1997-11-07 1998-09-22 Xerox Corporation Press fit fill plugs with uniform sealing ability
JP3450757B2 (ja) * 1998-09-22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US5991584A (en) * 1998-10-07 1999-11-23 Katun Coporation Toner cartridge assembly
JP3628539B2 (ja) * 1999-01-25 2005-03-1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JP2000227721A (ja) * 1999-02-05 2000-08-15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635618B2 (ja) * 1999-02-12 2005-04-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169864B1 (en) * 1999-07-06 2001-01-02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including a movably mounted sealing member
US6256470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toner cartridge for use therein
JP2001242712A (ja) * 2000-02-28 2001-09-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65099A (ja) * 2000-03-17 2001-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04375B2 (ja) * 2000-05-29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12676B2 (ja) * 2000-09-07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229402B1 (en) * 2001-01-31 2012-05-30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70714B2 (ja) * 2001-05-24 2004-09-2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65995A (ja) * 2001-06-07 2002-1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124992B2 (ja) * 2001-10-25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4095875B2 (ja)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6731897B2 (en) * 2002-02-21 2004-05-04 Konica Corporation Powder o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JP3741691B2 (ja) 2002-04-12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133629B2 (en) 2002-04-12 2006-11-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US6766135B2 (en) * 2002-04-22 2004-07-20 Jui-Chi Wang Toner cartridge
US20030219263A1 (en) * 2002-05-24 2003-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toner thereto
DE10223232B4 (de) * 2002-05-24 2004-06-03 OCé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Tonermaterial aus einem Vorratsbehälter sowie zugehöriger Tonervorratsbehälter
CN100437373C (zh) 2002-09-20 2008-11-26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JP4220798B2 (ja)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US7076192B2 (en) * 2002-12-27 2006-07-11 Ricoh Company, Ltd.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95191B2 (en) * 2003-05-13 2005-05-17 Xerox Corporation Insertion verification of replaceable module of printing apparatus
AU156108S (en) * 2003-06-27 2004-08-09 Toshiba Tec Kk Toner storage container
US7245852B2 (en) * 2003-07-08 2007-07-17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05531B2 (ja) 2003-08-25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EP1589384B1 (en) 2004-04-23 2020-01-08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JP4650780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7184691B2 (en) 2004-11-09 2007-02-27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55841A (ja) 2005-11-30 2007-06-21 Ricoh Co Ltd 粉体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5531B2 (ja) 2009-01-07
EP1510880B1 (en) 2012-10-24
US7426362B2 (en) 2008-09-16
US7734230B2 (en) 2010-06-08
CN1591211A (zh) 2005-03-09
US7248824B2 (en) 2007-07-24
KR20050021279A (ko) 2005-03-07
US7590374B2 (en) 2009-09-15
US20080063435A1 (en) 2008-03-13
EP1510880A3 (en) 2005-05-25
CN100437365C (zh) 2008-11-26
US20090074471A1 (en) 2009-03-19
US20070242984A1 (en) 2007-10-18
US20050117936A1 (en) 2005-06-02
EP1510880A2 (en) 2005-03-02
JP2005070449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908B1 (ko) 이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EP2889696B1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782132B1 (en) Toner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recycling toner cartridge
KR100743957B1 (ko) 용기 수납 장치,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용기 고정방법
EP2378374B1 (en)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71317B2 (ja)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梱包箱
JP4557296B2 (ja) 画像形成装置
JP4408864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1463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再生方法
JP2004317992A (ja) 粉体収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0488A (ja)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BRPI0504916B1 (pt) Container retention device, transportation device,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fixing the container
MXPA06006095A (es) Cartucho de toner, aparato formador de imagenes, metodo para reciclar cartuchos de t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