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516B1 -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16B1
KR100622516B1 KR1020040020022A KR20040020022A KR100622516B1 KR 100622516 B1 KR100622516 B1 KR 100622516B1 KR 1020040020022 A KR1020040020022 A KR 1020040020022A KR 20040020022 A KR20040020022 A KR 20040020022A KR 100622516 B1 KR100622516 B1 KR 10062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rogram
incoming call
incom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995A (ko
Inventor
미야따가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4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종래에는, 프로그램의 시청 중이라도, 전화 상대 등의 우선 순위에 따라 착신을 통지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즉, 착신한 전화가 중요한 상대로부터의 것이거나, 시청 중인 프로그램의 중요도가 낮은 것인 경우에는 착신을 우선하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그와 같은 경우라도 시청자에게 착신을 통지하는 것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전화를 건 상대에게,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수단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영상 재생과 착신 통지 중 어느 것을 우선할지의 착신 통지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재생 수단이 영상을 재생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단말기, 네트워크 통신부, TV용 통신부, 음성 입출력부, 표시부

Description

통신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영상 재생 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3은 영상 재생 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제2 도면.
도 4는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5는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참조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착신측 단말기, 발신측 단말기, 기지국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7은 착신측 단말기, 발신측 단말기, 기지국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도면.
도 8은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TV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표시부에 표시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전화 상대가 수신한 메일을 표시부에 표시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전화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하였다는 취지를 표시부에 표시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의 표시를 나타내는 제1 도면.
도 13은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의 표시를 나타내는 제2 도면.
도 14는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의 표시를 나타내는 제3 도면.
도 15는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의 표시를 나타내는 제4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 단말기
11 : 네트워크 통신부
12 : TV용 통신부
13 : 음성 입출력부
14 : 제어부
15 : 기억부
16 : 키 입력부
17 : 표시부
18 : 종료 시각 취득 수단
본원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수신 가능한 휴대 전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전자 메일의 착신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시청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커머셜(광로)로 전환되었을 때에 전자 메일의 착신을 나타내는 착신 통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28808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프로그램의 시청 중이라도, 전화 상대, 메일 송신 상대, 프로그램 등의 우선 순위에 따라 착신을 통지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즉, 프로그램 시청 중이라도, 착신한 전화가 중요한 상대로부터의 전화이거나, 시청 중인 프로그램의 중요도가 낮은 것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시청보다도 착신을 우선하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그와 같은 경우라도 시청자에게 착신을 통지하는 것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시청 중이라도, 우선 순위에 따라 적절히 착신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화를 건 상대에게,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전화를 건 상대는 언제가 되면 프로그램이 종료하여 통화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어서, 상대방의 프로그램 시청이 종료할 때까지 몇번이나 전화를 다시 걸 필요가 있어서 번거로운 경우도 생기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화를 건 상대에게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을 통지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서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하기 편한 통신 단말기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수단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영상 재생과 착신 통지 중 어느 것을 우선할지의 착신 통지 조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재생 수단이 영상을 재생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기 편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도 1은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통신 단말기(10)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PDA 등이며, 네트워크 통신부(11), TV용 통신부(12), 음성 입출력부(13), 제어부(14), 기억부(15), 키 입력부(16), 표시부(17), 종료 시각 취득 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무선·유선 통신 회선과 접속하여, 전화 등의 통화, 메일·웹 등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또한,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변조 수단, 복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도시 생략). TV용 통신부(12)는 아날로그 방송, 디지털 방송 등의 TV 방송을 무선·유선에 의해 수신한다. 또한,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도시 생략). 음성 입출력부(13)는 입력된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4)는 통신 단말기 전체, 즉 통 신부(11), TV용 통신부(12), 음성 입출력부(13), 기억부(15), 키 입력부(16), 표시부(17), 종료 시각 취득부(18) 등의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15)는 프로그램, 음성, 영상, 메일, 웹, 그 밖의 사용자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며,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 제거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메모리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키 입력부(16)는 텐키, 기능 키 등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부(17)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화면이며, 수신한 TV 방송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재생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메인 화면·서브 화면 등의 복수의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종료 시각 취득부(18)는 시청하고 있는 영상이나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시각을 취득하는 것이며, 제어부(14)가 이것을 겸하여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통신부(11)와 TV용 통신부(12)가 별개의 모듈로서가 아니라, 겸용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을 통지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착신을 통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응답 메시지로서 통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각 단계마다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네트워크 통신부(11)에 의해 음성 착신이 검지되면(S201), 제어부(14)는 현재 영상이 재생 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202). 그리고, 영상 재생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S203으로 이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11로 이행하여 착신을 통지한다(S211).
여기서, 「영상 재생 중」에는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로 영상 정보를 재생, 표시하고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TV 방송 통신부(12)에서 수신한 현재 방송 중인 TV 방송을 표시하고 있을 때, 미리 녹화해 둔 방송 완료한 영상 정보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내장 카메라 등에 의해 녹화한 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또한, TV 방송은 디지털 방송, 아날로그 방송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영상을 재생, 표시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 착신 상대의 전화 번호 등이 표시되거나, 음성(착신 멜로디 등)이 출력되면, 눈과 귀에 거슬리는 점을 방지할 수 없어, 영상에 집중할 수 없게 되므로 시청이 방해되게 된다.
(2) S202에서 영상 재생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기억부(15)에 기억된 착신 통지 조건을 체크하여, 그 설정 상황에 따라 영상의 재생·영상의 표시를 우선할지, 착신 통지를 우선할지를 판단한다(S203). 그리고,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204로 이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11로 이행하여 착신을 통지한다(S211).
예를 들면, 착신 통지 조건으로서 미리 중요한 전화 상대를 설정해 둔 경우에는, 그 전화 상대로부터 전화가 있었을 때에는 착신의 통지를 우선하여 착신 통지를 행하는 한편, 그 이외의 전화 상대로부터 전화가 있었을 때에는 영상의 재생 을 우선하여 착신을 통지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중요한 상대로부터 전화가 있었을 때에는, 사용자는 영상 재생보다도 전화를 우선하여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리 중요한 프로그램을 설정해 둔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프로그램의 시청을 우선하여 착신을 통지하지 않는 한편, 그것 이외의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착신의 통지를 우선하여 착신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중요한 프로그램의 시청을 우선하여, 시청을 방해받지 않고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착신 통지 조건으로서는 상기 전화 상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재생 월일·요일·시간대,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이동 속도, 전지의 남은 용량, 영상의 속성, 전화 상대·프로그램의 속성 등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월일·요일·시간대에 대해서는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에는 마음에 드는 드라마·영화 등을 시청 중이기 때문에 착신 통지하지 않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해서는, GPS(Global Psotioning System) 등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자택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통상의 TV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착신 통지하는 한편, 외출한 곳에서는 착신 통지하지 않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대해서는, GPS 등에 의해 현재 위치를 정기적으로 취득함으로써 산출 가능하며,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에는 공공 교통 기관에 승차하고 있거나, 운전중으로 하여, 주위 승객에 폐를 끼치지 않게 하거나 안전 상의 배려를 이유로 착신 통지하지 않는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철도 노선 상을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TV 프로그램을 시청은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상의 도로 상을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운전중으로 하여 안전 상의 배려를 이유로 착신 통지 및 프로그램 시청 모두 할 수 없도록 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전지의 남은 용량에 대해서는, 전지의 남은 용량이 적을 때에는 전지의 절약을 위해 착신하지 않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영상의 속성에 대해서는, 영상이 기록 완료된 경우에는 재생을 일시 정지하면 나중에라도 시청이 가능하므로 착신 통지하는 한편, 영상이 현재 TV 방송 중인 경우에는 나중에 시청할 수 없으므로 착신 통지하지 않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전화 상대의 속성에 대해서는, 전화 상대가 회사 관계자로서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중요한 상대라고 하여 착신 통지하고, 프로그램의 속성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이 영화일 때에는 시청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착신 통지하지 않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조건을 각각 조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상대로서 거래처의 고객/친구, 요일로서 평일/휴일을 설정해두고, 거래처의 고객으로부터 전화가 있을 때에는 요일에 상관없이 착신 통지하는 한편, 친구로부터 전화가 있을 때에는 평일은 착신 통지하지 않으며, 휴일은 착신 통지하는 등의 사용 방법 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여러가지 착신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3) S203에서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네트워크 통신부(11)로부터 착신 응답 요구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04). 이 착신 응답 요구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단말기(10)가 전화 상대의 통신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후술하는 프로그램 종료 시각을 전화 상대에게 통지하기 위한 동작이다. 이 S204부터 이하의 S208에 이르는 동작은 백그라운드로 행해지므로, 사용자에 의한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다.
(4) S204에서 착신 응답 요구가 송신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상대의 통신 단말기와 접속되면, 종료 시각 취득부(18)는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S205). 재생 종료 시각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 등으로부터 취득하거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취득하거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에 의해 미리 다운로드한 프로그램표 등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리 녹화해 둔 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녹화 시간을 참조함으로써 재생 종료 시각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착신 응답 요구를 송신하고 나서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나서 착신 응답 요구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5) S205에서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제어부(14)는 취득한 프로그램 종료 시각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화 상대에게 안내하는 응답 메시 지의 음성 데이터를 작성한다(S206). 응답 메시지의 구체예로서는, 「지금 TV 시청 중이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OO시 ××분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미리 기억부(15)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 「지금 TV 시청 중이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로, 취득한 재생 종료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00시 ×× 분」의 음성 데이터의 합성 등을 행함으로써, 상기 응답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TV 시청 중인 것을 상대에게 전하지 않고, 단순히 「00시 ×× 분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라는 응답 메시지를 재생해도 된다.
(6) S206에서 응답 메시지의 음성 데이터가 작성되면, 제어부(14)는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재생하고, 네트워크 통신부(11)를 통해 전화 상대의 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S207). 이 응답 메시지의 재생은, 예를 들면 부재 중 전화 기능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송신이 종료하면, 통화 종료 요구를 송신하여 회선을 차단한다(S208).
(7) S208의 처리가 종료한 후, 제어부(14)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S209). 예를 들면, TV 영상이 CM(commercial message) 영상이 된 것을 제어부(14)가 검출하면, 표시부(17)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한다(S210). 또한, 착신을 통지하는 타이밍은 상기 CM 영상이 된 것을 검출했을 때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TV 기능을 OFF했을 때, 채널을 전환했을 때, 영상 재생을 정지했을 때,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에 대하여 어떠한 입력 조작을 행했을 때 등,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는 경우라도 무방하다.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7)에 「TV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던 일시, 착신 상대, 착신 상대의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을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 착신이 있는지를 알 수 있음과 함께, 착신 상대의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바로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보낼 수 있다.
이상이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을 통지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착신을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응답 메시지로서 통지할 때의 동작 시퀀스이다.
이상은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14)는 기억부(15)에 기억된 착신 통지 조건을 체크하고, 그 설정 상황(예를 들면, 메일 송신자가 중요한 상대인지)에 따라 영상의 재생을 우선할지 착신 통지를 우선할지를 판단하여,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 재생을 계속하고, 착신 통지가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착신을 통지하는 등의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동작 시퀀스에서, 착신측 단말기, 발신측 단말기, 기지국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즉,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 요구가 이루어지면, 기지국을 통해 착신측 단말기에 대하여 호출 요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착 신측 단말기가 영상 재생 중이어서 영상 재생을 우선할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이루어지며, 기지국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에 착신 응답이 이루어진다. 이 착신 응답에 의해 회선 접속이 완료되면,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측 단말기로, 영상 재생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응답 메시지가 재생된다. 그리고, 이 응답 메시지가 재생되면,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차단 요구가 이루어지며, 기지국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에 회선이 차단된 것이 통지되고, 회선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에,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메일로 통지할 때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을 통지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착신을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메일로 통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의 주된 차이점은 도 2에서는 메시지 응답에 의해 영상 재생 종료 시각을 상대에게 통지하였지만, 도 3에서는 메일로 통지하는 점이다. 이하, 각 단계마다 동작을 설명한다.
(1) 네트워크 통신부(11)에 의해 음성 착신이 검지되면(S301), 제어부(14)는 현재 영상 재생 중인지, 영상 표시 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302). 그리고, 영상 재생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S303으로 이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1로 이행하여 착신을 통지한다(S311).
여기서 말하는 「영상 재생 중」이란,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로 통신 단말기(10)에서 영상 정보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를 말하며, 도 2의 경우와 마찬가 지이다.
(2) S302에서 영상 재생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기억부(15)에 기억된 착신 통지 조건을 체크한다(S303). 그리고,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304로 이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311로 이행하여 착신을 통지한다(S311). 착신 통지 조건은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3) S303에서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전화 상대의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304). 전화 번호를 메일 어드레스로서 그대로 사용 가능하면, 착신한 전화 번호로부터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전화 상대의 메일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목록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목록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취득한다. 이 S304부터 이하의 S308에 이르는 동작은 백그라운드로 행해져서, 사용자에 의한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다.
(4) S304에서 메일 어드레스가 취득되면, 제어부(14)는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S305). 재생 종료 시각 정보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나서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지만,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고 나서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5) S305에서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제어부(14)는 네트워크(11) 를 통해 통화 종료 요구를 송신하고 회선을 차단한다(S306).
(6) S306에서 통화 종료 요구를 송신하고 회선이 차단되면, 제어부(14)는 재생 종료 시각을 전화 상대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일의 작성을 개시한다. 작성할 메일에는 S305에서 취득한 재생 종료 시각에 관한 정보가, 메일 본문, 메일 타이틀 등에 포함되도록 한다. 구체예로서는, 「지금 TV 시청 중이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OO시 ××분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기억부(15)에 기억된 정형문의 데이터 「지금 TV 시청 중이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에, 취득한 재생 종료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의 OO시 ××분」의 데이터의 포함 등을 행함으로써, 상기 문면(文面)의 메일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TV 시청 중인 것을 상대에게 전하지 않고, 단순히 「OO시 ×× 분 이후에 다시 걸어주십시오.」라는 문면의 메일을 작성해도 된다.
(7) S307에서 메일이 작성되면, 제어부(14)는 해당 메일을 네트워크 통신부(11)를 통해 전화 상대의 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S308).
송신된 메일을 전화 상대가 수신하면, 전화 상대의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메일 타이틀과 메일 본문에 각각 「21시 00분 이후에 다시 걸어 주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언제가 되면 통화 가능한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일을 수신한 일시, 송신자, 송신자의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을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 메일을 수신했는지를 알 수 있음과 함께, 상대의 전화 번호, 메 일 어드레스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8) S308의 처리가 종료한 후, 제어부(14)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S309). 예를 들면, TV 영상이 CM 영상이 된 것을 제어부(14)가 검출하면, 표시부(17)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한다(S310). 착신 통지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타이밍에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일 송신에는 통신료가 들기 때문에, 표시부(17)에 그 취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게 TV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 전화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하였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7)에 「TV 시청 중에 착신이 있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함과 함께, 전화 상대에게 송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던 일시, 착신 상대, 착신 상대의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을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 착신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음과 함께, 착신 상대의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바로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보낼 수 있다. 도 11에서는 TV 착신 중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와, 전화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하였다는 취지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우선 최초로 TV 착신 중에 착신이 있었다는 취지를 표시하고, 그 후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이 눌렸을 때에 화면을 전환하여, 전화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하였다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17)가 작아서 문자를 읽기 어려운 경우나, 다수의 문자를 표 시함에 따른 번잡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S304에서 메일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메일을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 메시지의 재생에 의해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S304로부터 도 2의 S204로 이행하여, 상술한 S204부터 S208의 동작을 행하고 응답 메시지를 재생함으로써, 재생 종료 시각을 전화 상대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은,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 통지 조건에 따라 착신을 통지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착신을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메일로 통지할 때의 동작 시퀀스이다.
이상은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14)는 기억부(15)에 기억된 착신 통지 조건을 체크하고, 그 설정 상황(예를 들면, 메일 송신자가 중요한 상대인지)에 따라 영상의 재생을 우선할지 착신 통지를 우선할지를 판단하여,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 재생을 계속하고, 착신 통지가 우선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착신을 통지하는 등의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동작 시퀀스에서, 착신측 단말기, 발신측 단말기, 기지국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즉,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 요구가 이루어지면, 기지국을 통해 착신측 단말기에 대하여 호출 요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착신측 단말기가 영상 재생 중이며, 영상 재생을 우선할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기로부 터 차단 요구가 이루어지며, 기지국을 통해 발신측 단말기에 회선이 차단된 것이 통지되고, 회선이 차단된다. 그리고, 회선이 차단되면,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측 단말기에, 영상 재생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메일의 메일 송신 요구가 이루어지며, 그 후 기지국(서버)과 회선을 접속하여 착신측 단말기에 메일 수신 통지가 이루어진다. 이 때, 기지국으로부터 발신측 단말기에 메일 자체를 송신하는 경우와, 기지국으로부터는 수신 통지만을 제공받고, 그 후 발신측 단말기가 기지국(서버)과 회선을 접속하여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상,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영상 재생 중에 음성 착신이 있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 재생 중이라도 우선 순위에 따라 적절히 착신 통지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착신한 전화가 중요한 상대로부터의 것이면, 영상의 재생보다도 착신 통지를 우선하여 전화를 받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착신한 전화가 중요한 상대로부터의 것이 아니면, 영상의 재생을 우선하여 착신 통지하지 않고, 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시청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통신 단말기의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상대는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통화될 때까지 몇번이나 전화를 걸 필요도 없어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영상 재생 종료 후 바로 통화 가능하기 때문에, 영상 재생 종료 후 바로 전화를 걸어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응답 메시지 또는 도 3에 도시한 메일 중 어느 것에 의해 재생 종료 시각을 통지할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에, 응답 메시지 또는 메일 중 어느 것에 의 해 통지할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방법으로 전화 상대에게 재생 종료 시각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착신 통지 조건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착신 통지 조건을 통합한 테이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다.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각 레코드는 설정 순서(401), 영상 우선 모드(402), 판정 조건(403)으로 구성된다. 설정 순서(401)는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로부터 레코드를 검색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영상 재생 중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설정 순서(401)의 순서에 따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레코드가 검색되어, 해당하는 레코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영상 우선 모드(402)는 「ON」 또는「OFF」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영상 우선 모드(402)가 「ON」인 경우에는, 전화 상대, 영상의 중요도에 상관없이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 반대로, 「OFF」인 경우에는, 설정 순서(401)의 순서에 따라 판정 조건(403)의 내용이 확인되고, 판정 조건의 내용에 따라 영상의 재생이 우선될지, 착신 통지가 우선될지가 판단된다. 판정 조건(403)은 「전화를 건 상대가 A씨」, 「현재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명이 B」, 「메일 송신자가 C씨」, 「시간대가 18:00∼7:00」와 같은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는 판정 조건이 각 레코드마다 3 종류 있지만, 1개 이상이라면 몇개라 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재생 월일·요일·시간대, 재생의 장소, 전지의 잔량, 통신 단말기의 이동 속도, 전화 상대·프로그램의 속성 등을 판정 조건으로 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에 의해 여러가지 조건을 설정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른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S203 및 S303에서의 우선 모드의 판정 수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먼저, 검색을 개시하는 설정 순서의 초기치 i를 1로 설정한다(S501).
(2) 다음으로, 설정 순서 i가 유효한지 여부가 판단된다(S502). 즉, 설정 순서 i로 나타낸 레코드가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 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설정 순서 i가 유효할 때는(S502 : 예), S503으로 이행한다.
한편, 유효가 아닐 때는(S502 : 아니오), S509로 이행하여, 디폴트의 우선 모드를 판독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509). 도 4에 도시한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예에서는 설정 순서가 「*」로 나타난 레코드가 디폴트값이며, 영상 우선 모드 「ON」이 판독되어, 영상의 재생이 우선된다.
(3) 설정 순서 i가 유효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설정 순서 i로 나타난 레코드의 참조가 이루어지며(S503), S504로 이행한다.
(4)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04).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었을 때에는(S504:예), S505로 이행한다. 한편,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S504:아니오), S507로 이행하여 i를 인크리먼트하고(S507), S502로 되 돌아간다.
여기서는, 도 4의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의 설정 순서 1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설정 순서 1의 판정 조건 1에는「전화 상대가 A씨」라는 조건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착신의 전화 상대가 A씨이면,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어, S505로 이행한다. 한편, 전화 상대가 A씨 이외이면,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S507로 이행하여 i를 인크리먼트하고(S507), S502로 되돌아간다.
(5) 판정 조건 1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판정 조건 2가 있는지의 여부, 또한 판정 조건 2가 있는 경우에는 판정 조건 2가 만족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05). 판정 조건 2가 없는 경우, 또는 판정 조건 2가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505 : 예), S506으로 이행한다.
한편, 판정 조건 2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S505 : 아니오), S507로 이행하여 i를 인크리먼트하고(S507), S502로 되돌아간다.
도 4의 설정 순서 1의 예에서는 판정 조건 2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506으로 이행한다.
(6) 판정 조건 2가 없는 경우, 판정 조건 2가 만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판정 조건 3이 있는지의 여부, 또한 판정 조건 3이 있는 경우에는 판정 조건 3이 만족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06). 판정 조건 3이 없는 경우, 또는 판정 조건 2가 만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506 : 예), S508로 이행한다.
한편, 판정 조건 3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S506 : 아니오), S507로 이행 하여 i를 인크리먼트하고(S507), S502로 되돌아간다.
도 4의 설정 순서 1의 예에서는, 설정 순서 1의 판정 조건 3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508로 이행한다.
(7) 판정 조건 3이 없는 경우, 판정 조건 3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설정 순서 i의 영상 우선 모드가 판독된다(S508).
도 4의 설정 순서 1의 예에서는, 상기 S502부터 507의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전화 상대가 A씨인 경우에는 이 S508로 이행하고, A씨 이외인 경우에는 S509로 이행한다. 즉, 전화 상대가 A씨인 경우에는 설정 순서 1의 영상 우선 모드 「OFF」가 판독되기 때문에 착신 통지가 이루어지며, A씨 이외인 경우에는 디폴트 영상 우선 모드 「ON」이 판독되기 때문에 영상 재생이 우선되어, 착신 통지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여, 설정 순서 2에 대해서는 시청 중인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B 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고, 프로그램 B 이외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지 않는다. 설정 순서 3에 대해서는 메일 송신자가 C씨이며, 또한 시간대가 18:00∼7:00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고, 그것 이외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지 않는다. 설정 순서 4에 대해서는 시간대가 20:00∼22:00이며, 전화 상대가 D씨이고, 또한 프로그램 E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며, 그것 이외인 경우에는 착신 통지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 설정 순서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순서대로 판단하고, 각 설정 순서의 모든 판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그 설정 순서 i의 영상 우선 모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설정된 영상 우선 모드에 따라 영상 재생 을 우선할지 착신 통지를 우선할지가 결정된다. 모든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영상 우선 모드가 설정되어 영상 재생이 우선되고, 착신 통지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각 설정 순서의 판정 조건이 AND 조건으로 만족되는 경우(판정 조건 1*판정 조건 2*판정 조건 3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해당 설정 순서의 영상 우선 모드가 판독되는 수순을 나타내었지만, OR 조건, NOT 조건으로 각 판정 조건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5에서는 판정 조건이 3개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 5에서는 디폴트 영상 우선 모드가 「ON」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것을「OFF」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8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을 더 확장한 것이다. 도 4와 다른 것은 설정 순서가 1부터 5까지 있는 것과, 판정 조건이 1부터 5까지 있는 것과, 판정식이 있는 것이다.
설정 순서 1에서는 도 4와 동일하며, 「전화 상대가 A씨」인 경우에는 영상 우선 모드가 OFF이고, 착신 통지가 우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설정 순서 2에서는, 「일요일」, 「20:00-22:00」의 판정 조건과, 판정식 1*2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요일 20:00-22:00에는 지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가 많다고 하여 착신 통지가 우선되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해진다.
설정 순서 3에서는, 「08:45-17:15」, 「평일」, 「12:00-12:45」의 판정 조건과, 판정식 1*2#3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평일 08:45-17:15는 근무시간 이라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는 한편, 12:00-12:45는 점심 시간이라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지 않는 등과 같은 사용 방법이 가능해진다.
설정 순서 4에서는, 「이동중」, 「평일」, 「07:45-08:30」, 「21:00-22:00」, 「전화 상대 B」의 판정 조건과, 판정식 1*2*(3+4)#5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재 이동중이며, 또한 평일 07:45-08:30 또는 21:00-22:00인 경우에는 통근중 또는 귀가중으로 공공 교통 기관에 승차중이라고 하여 영상 재생을 우선하는 한편, 예외적으로 전화 상대 B로부터 전화가 있는 경우에만 긴급하게 통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는 등과 같은 사용 방법이 가능해진다.
설정 순서 5에서는 「영상이 녹화 종료」, 「현재지(現在地) 자택」,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판정 조건과, 판정식 1+2+3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영상이 녹화 완료인 경우에는 나중에라도 시청할 수 있다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고, 현재지가 자택인 경우에는 자택 TV에 의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고, 시청 중인 프로그램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특별히 중요한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하여 착신 통지를 우선하는 등과 같은 사용 방법이 가능해진다.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나, EPG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에는 여러가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 종료 시각뿐만 아니라, 채널, 프로그램명, 프로그램의 속성(뉴스 프로그램,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영화, 드라마 등),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배우나 탤런트, 프로그램 내용의 해설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판정 조건으로 하여 설정하여 두면, 보다 다 양한 설정이 가능해져서, 통신 단말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나, EPG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제어부(14)에 의해 판독하거나, 전용 회로 등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 8에 도시한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때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착신 통지 조건의 설정은 설정 순서, 영상 우선 모드, 판정 조건, 판정식을 키 입력부(16)에 의해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이들 각 항목을 설정할 경우에는 설정 순서을 결정한 후, 그 설정 순서에 대응하는 영상 우선 모드, 판정 조건 1, …, 판정 조건 5, 판정식을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사용자가 설정 순서로서 설정 순서 1로 결정하고, 그 설정 순서 1의 영상 우선 모드로서 OFF를 설정한 후, 또한 판정 조건 1을 설정하고자 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판정 조건 1이 선택되어 있고, 그 문자나 배경의 색이 반전, 변색되어 있다.
도 12에서, 판정 조건 1을 선택하여 결정 키를 누르면, 도 13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13은 판정 조건 1에서 설정해야 할 내용으로서, 전화 상대, 프로그램 등을 표시부(17)에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판정 조건 1에서 설정해야 할 항목을 선택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재생 월일·요일·시간대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 재생 월일·요일·시간대를 선택하여 결정 키를 누르면, 도 14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14는 보다 상세한 항목으로서, 월일, 요일, 시간대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요일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 요일을 선택하여 결정 키를 누르면, 도 15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15는 설정해야 할 요일로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와 휴일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설정해야 할 요일을 선택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목요일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 목요일을 선택하여 결정 키를 누르면, 목요일이 설정된다. 즉,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에서는 설정 순서 1의 판정 조건 1에 목요일이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목요일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영상 우선 모드가 OFF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신 통지가 우선되게 된다.
이상은 사용자가 착신 통지 조건을 스스로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A를 시청 중에 전화 상대 B로부터 처음으로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일단 착신 통지해두고, 앞으로도 동일한 조건하에서 착신 통지할지 여부(예/아니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금후 프로그램 A를 시청 중에 전화 상대 B로부터 전화가 있으면 착신 통지하고, 반대로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에는 착신 통지하지 않도록 착신 통지 조건 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스스로 착신 통지 조건을 설정할 필요를 없애, 설정하는 수고를 줄여 조작 시의 번잡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는 프로그램 A를 시청 중에 전화 상대 B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 즉 「프로그램 A」, 「전화 상대 B」라는 2개의 조건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1개의 조건 또는 3개 이상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착신 횟수가 많은 전화 상대이면 중요한 전화 상대라고 하여 자동적으로 착신 통지를 우선하도록 하거나, 매일, 매주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면 중요한 프로그램이라고 하여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의 시청을 우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황에 따라 착신 통지 조건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TV 방송을 수신하는 TV 방송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TV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TV 방송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TV 방송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한 TV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종료 시각을 취득하는 프로그램 종료 시각 취득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이 TV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상대에 대하여 상기 프로그램 종료 시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영상 표시와 착신 통지 중 어느 것을 우선할지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이 TV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영상 표시를 우선한다고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통신 상대에 대해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시각을 통지하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착신 통지를 우선한다고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정보를 메일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V 방송에 포함되는 정보는 프로그램 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TV 방송의 영상이 CM(commercial message) 영상이 되었을 때에, 착신이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제7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7.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방법으로서,
    TV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TV 방송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한 TV 방송의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종료 시각을 취득하고,
    수신한 TV 방송의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통신 상대에 대하여 취득된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재생 방법.
  18.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방법으로서,
    영상 표시와 착신 통지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할지를 설정하고,
    TV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TV 방송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한 TV 방송의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종료 시각을 취득하고,
    수신한 TV 방송의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때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영상 표시를 우선한다고 설정되어 있는 때는 통신 상대에 대하여 취득된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착신 정보를 우선한다고 설정되어 있을 때는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재생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정보는 메일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재생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TV 방송에 포함되는 정보는 프로그램 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재생 방법.
KR1020040020022A 2003-11-10 2004-03-24 통신 단말기 KR100622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9290 2003-11-10
JP2003379290A JP4036182B2 (ja) 2003-11-10 2003-11-10 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995A KR20050044995A (ko) 2005-05-16
KR100622516B1 true KR100622516B1 (ko) 2006-09-18

Family

ID=3443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22A KR100622516B1 (ko) 2003-11-10 2004-03-24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8729B2 (ko)
EP (1) EP1530349A1 (ko)
JP (1) JP4036182B2 (ko)
KR (1) KR100622516B1 (ko)
CN (1) CN1617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8781B2 (ja) * 2005-07-06 201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38540B1 (ko) 2005-08-30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2007110388A (ja) * 2005-10-13 2007-04-26 Funai Electric Co Ltd 連係動作プログラム及び接続機器
JP4632945B2 (ja) * 2005-12-27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GB0601919D0 (en) * 2006-01-31 2006-03-15 Sonaptic Ltd Themes for a mobile device
JP4869728B2 (ja) * 2006-02-16 2012-02-0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402499B2 (en) * 2006-08-31 2013-03-19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Voicemail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80125098A1 (en) * 2006-11-03 2008-05-29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all information
US8266664B2 (en) 2007-01-31 2012-09-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messages to television users
KR20080108834A (ko) * 2007-06-11 2008-1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리모콘과 통신겸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JP4925940B2 (ja) * 2007-06-26 2012-05-0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マナーモード設定方法、マナー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90125948A1 (en) * 2007-11-12 2009-05-14 Cisco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Processing Based on Television Use
JP5116492B2 (ja) * 2008-01-15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端末
JP5163169B2 (ja) * 2008-02-14 2013-03-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00650A (ja) * 2008-02-19 2009-09-03 Nec Corp 携帯通信端末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視聴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通信端末
JP5256925B2 (ja) * 2008-08-12 2013-08-0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883647B2 (ja) * 2008-11-07 2016-03-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階層的アクセス制御による病院テレビ/モニタディスプレイ制御
JP2012114771A (ja) * 2010-11-26 2012-06-14 Nec Saitama Ltd 携帯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11109685A (ja) * 2010-12-24 2011-06-02 Kyocera Corp 携帯電話
JP2012199636A (ja) * 2011-03-18 2012-10-18 Panasonic Corp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テレビ受像機、管理装置
GB2489399A (en) * 2011-03-21 2012-10-03 Sony Corp Suppression of further notifications during initial notification handling and automatic recording of parallel video/audio upon notification display
JP5408222B2 (ja) * 2011-10-18 2014-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87643B2 (ja) * 2011-11-25 2016-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に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テレビ受像機、記憶媒体
JP6140928B2 (ja) * 2012-02-23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22561A (ko) 2014-04-23 201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JP5953339B2 (ja) * 2014-06-11 2016-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
EP2981032A1 (en) * 2014-07-30 2016-02-03 Thomson Licensing Messaging service expor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190A (ja) 1991-08-28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システム
US6388714B1 (en) *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JPH11341471A (ja) * 1998-05-28 1999-12-10 Hitachi Ltd 映像配信装置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US6359970B1 (en) * 1998-08-14 2002-03-19 Maverick Consulting Services, Inc.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535590B2 (en) * 1999-05-27 2003-03-18 Qwest Communicationss International, Inc. Telephony system
JP2001101095A (ja) 1999-09-29 2001-04-13 Sharp Corp 電子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
US20010047516A1 (en) * 2000-02-01 2001-11-2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time shifting live streamed video-audio distributed via the internet
JP4519389B2 (ja) * 2000-03-08 2010-08-04 ゼネラル インスツル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ーソナル多機能レコーダ、並びにそれを実装及び使用する方法
US20020032613A1 (en) * 2000-04-18 2002-03-14 Buettgenbach Thomas H. Methods and systems for the physical delivery of goods ordered through an electronic network
US7565680B1 (en) 2000-06-30 2009-07-21 Comcast Ip Holdings I, Llc Advanced set top terminal having a video call feature
US6462675B1 (en) * 2000-10-13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uditing driver compliance to a current speed limit
US20020052225A1 (en) * 2000-11-01 2002-05-02 Davis Derek L. Feature timer functionalit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JP4360033B2 (ja) 2001-01-29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WO2002063859A1 (fr) * 2001-02-06 2002-08-15 Kikuo Takeda Systeme et procede d'avertissement de l'incapacite de recevoir un appel
JP2002288084A (ja) 2001-03-28 2002-10-04 Aiwa Co Ltd 情報着信処理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機能を有した受信装置
GB0127234D0 (en) * 2001-11-13 2002-01-02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Improvements in receivers for television signals
US7227583B2 (en) * 2002-12-11 2007-06-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TV method for switching channel automatically
US8503658B2 (en) * 2003-07-14 2013-08-06 Cisco Technology, Inc. Call notification with rich caller iden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7544A (zh) 2005-05-18
EP1530349A1 (en) 2005-05-11
US7698729B2 (en) 2010-04-13
US20050099491A1 (en) 2005-05-12
JP2005142978A (ja) 2005-06-02
KR20050044995A (ko) 2005-05-16
JP4036182B2 (ja)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516B1 (ko) 통신 단말기
KR101134082B1 (ko) 통신 단말기
KR101092064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의 방송 기록 재생 방법 및 방송 기록 재생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809595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070010292A1 (en)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JP2001036847A (ja) 番組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を有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周期的繰返し記録及びリマインドイベントの知的スケジュール方法
JP3688678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96010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data output processing method
KR101108837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EP1705904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television program watching system using the same
JP4399865B2 (ja) 録画番組再生装置、録画番組再生方法および録画番組再生プログラム
JP476855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95485A (ja) 通信端末
JP5011568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2077323A (ja) 通信制御装置、方法、記録媒体
JP4018046B2 (ja) 通信端末装置
JP440679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39369A (ja) 送受信装置
KR100370036B1 (ko) 티브이의 방송예약 호출장치 및 방법
JP564314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18418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17149A (ja) 携帯電話機
JP2006173970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11459A (ja) 携帯端末、番組再生システム
JPH07288591A (ja)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