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987B1 -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987B1
KR100614987B1 KR1020050043925A KR20050043925A KR100614987B1 KR 100614987 B1 KR100614987 B1 KR 100614987B1 KR 1020050043925 A KR1020050043925 A KR 1020050043925A KR 20050043925 A KR20050043925 A KR 20050043925A KR 100614987 B1 KR100614987 B1 KR 10061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pump
internal gea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162A (ko
Inventor
히로따까 가메야
마사또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4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the two members rotating simultaneously around their respective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61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8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082Details specially related to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 F04C2/086Car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04C2240/51Bearings for cantilever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04C2240/52Bearings for assemblies with supports on both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2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5Speed
    • F04C2270/052Speed 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7Electric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01/00Metals
    • F05C2201/04Heavy metals
    • F05C2201/0433Iron group; Ferrous alloys, e.g. steel
    • F05C2201/0448Steel
    • F05C2201/046Stainless steel or inox, e.g. 18-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51/00Material properties
    • F05C2251/12Magnetic properties
    • F05C2251/125Magnetic properties non-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53/00Other materi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f material
    • F05C2253/20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에 있어서, 고양 정도를 향하는 내접 기어식의 기능을 이용하면서, 소형 및 저렴하게 게다가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한다.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80)는 액체를 흡인하여 토출하는 펌프부(81)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부(82)를 구비한다. 펌프부(81)는 외주에 치를 형성한 내측 회전자(1)와, 내측 회전자(1)의 치와 치합하는 치를 내주로 형성한 외측 회전자(2)와, 양쪽 회전자(1, 2)를 수납하는 동시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8) 및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포트(10)를 형성한 펌프 케이싱을 구비한다. 모터부(82)는 펌프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비자성재로 박판형으로 형성한 캔(6)과, 캔(6)의 내측에 배치하여 외측 회전자(2) 또는 내측 회전자(1)를 구동하는 회전자(11)와, 캔(6)의 외측에 설치하여 회전자(11)를 회전시키는 고정자(12)를 구비한다.
모터부, 펌프부, 흡입 포트, 회전자, 토출 포트, 고정자, 캔

Description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INTERNAL GEAR PUMP HAVING MOTOR AND ELECTRIC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횡단면도.
도3은 도1의 펌프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의 펌프를 갖는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측 회전자
2 : 외측 회전자
3 : 정면판
4 : 배면판
5 : 내부 축
6 : 캔
7 : 흡입구
8 : 흡입 포트
9 : 토출구
10 : 토출 포트
11 : 영구 자석(회전자)
12 : 고정자
13 : 홀 소자
14 : 논리 소자
15 : 파워 소자
16 : 전자 기판
21 : 돌출부
22 : 견부
23 : 작동실
25 : 전력선
26 : 제어선
27 : 회전 출력선
31 : 내측 회전자
32 : 외측 회전자
33 : 정면판
34 : 배면판
35 : 구동 축
36 : 칸막이 판
37 : 커버
38 : 작동실
41 : 내측 회전자
42 : 외측 회전자
43 : 단차
45 : 정면판
46 : 배면판
47 : 연장부
48 : 영구 자석(회전자)
49 : 고정자
50 : 캔
51 : 홀 소자
52 : 파워 소자
53 : 흡입구
54 : 포트
55 : 작동실
56 : 축소 중 작동실
57 : 토출 포트
58 : 내부 공간
59 : 토출구
60 : 퍼스널 컴퓨터
61A : 퍼스널 컴퓨터 본체
61B : 디스플레이 장치
61C : 키보드
62 : CPU
63 : 액 저장소
65 : 열 교환기
66 : 방열판 A
67 : 방열판 B
69 : 액냉 시스템(냉각 시스템)
80 : 펌프(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81 : 펌프부
82 : 모터부
83 : 제어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50971호 공보
본 발명은,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내접 기어식 펌프는, 흡인한 액체를 압력에 저항하여 송출하는 펌프로서 옛부터 알려져 있고, 특히 유압원 펌프나 급유용 펌프로서 보급하고 있다.
내접 기어식 펌프는, 외주에 치를 형성한 평기어 형상의 내측 회전자와, 내주에 치를 형성하여 폭을 내측 회전자와 거의 동일하게 한 고리 형상의 외측 회전자를 주요한 능동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회전자의 양측면에 대해 근소한 간극을 통해 면하는 평탄한 내면을 갖는 케이싱이 양쪽 회전자를 수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의 치 수는, 외측 회전자의 치 수보다도 통상 1매만큼 적고, 이들을 서로 치합한 상태에서 동력 전달용 기어와 마찬가지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수반하는 치 홈 면적의 변화로, 치 홈에 폐쇄한 액체를 흡입하고 토출함으로써, 펌프로서 기능한다. 내외 중 어느 한 쪽의 회전자를 구동하면, 치합에 의해 다른 쪽도 회전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내측 회전자에 결합한 중심 축을 외부로부터 구동하고 있다. 양쪽 회전자의 회전 중심은 어긋나 있고, 회전자마다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할 필요가 있다. 케이싱의 평탄 내면에는, 적어도 1개씩의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라 부르는 외부에 연통하는 유로에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포트는 용적이 확대되는 치 홈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토출 포트는 용적이 축소되는 치 홈에 면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자의 치형으로서, 외측 회전자 치형의 일부에 원호를, 내측 회전자의 치형에 트로코이드 곡선을 적용한 것이 일반적이다.
내접 기어 펌프 기구와 그것을 구동하는 모터를 일체화한 종래의 펌프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1-5097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 래의 펌프는 모터의 측면에 내접 기어 펌프 기구가 병치되고, 모터의 구동 축으로 내접 기어 펌프 기구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50971호 공보
이러한 특허 문헌 1의 펌프에서는, 내접 기어 펌프 기구와 그것을 구동하는 모터가 축 방향으로 병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길이가 길어져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모터의 구동 축으로 내접 기어 펌프 기구가 구동되기 때문에, 내접 기어 펌프 기구와 모터 사이에 축 시일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그 축 시일 장치에 의한 비용 상승이나, 그 수명 및 피송액의 누설 등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가 문제였다. 특히, 펌프를 전자 기기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송액의 소량의 누설이라도 전자 기기 전체의 파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피송액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 정도를 향하는 내접 기어식의 기능을 이용하면서, 소형 및 저렴하게 게다가 신뢰성이 높은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를 얻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체를 흡인하여 토출하는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를 구동하는 모터부를 구비한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주에 치를 형성한 내측 회전자와, 상기 내측 회전자의 치와 치합하는 치를 내주에 형성한 외측 회전자와, 상기 양쪽 회전자를 수납하는 동시에, 액 체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 및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포트를 형성한 펌프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비자성재로 박판형으로 형성한 캔과, 상기 캔의 내측에 배치하여 상기 외측 회전자 또는 상기 내측 회전자를 구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캔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회전자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외측 회전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 회전자의 외주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캔이 박육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회전자의 외주를 둘러싸고, 상기 고정자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캔의 외측에 배치된 것.
(2) 상기 내측 회전자가 그 중앙 구멍에 끼워 맞추는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 회전자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의 내주면에 끼워 맞추는 상기 펌프 케이싱.
(3) 돌출부가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내주면에 상기 외측 회전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견부가 끼워 맞추어 상기 외측 회전자가 상기 펌프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것.
(4) 상기 모터부가 직류 무브러시 모터로 구성되고, 그 직류 무브러시 모터의 회전자가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의 외측에 상기 영구 자석의 통과를 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출 수단의 출 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직류 무브러시 모터의 고정자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 소자를 구비한 것.
(5) 상기 내측 회전자 및 상기 외측 회전자가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것이며, 그 사출 성형에 수반하는 발형 구배의 방향이 양쪽 회전자를 치합한 상태에서 역 방향이 되고, 상기 내측 회전자의 외부 치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에서 상기 외측 회전자의 내부 치의 직경도 커지도록 치합한 것.
(6) 상기 내측 회전자와 상기 외측 회전자의 수납된 공간과 외부는, 상기 흡입 포트 및 상기 토출 포트를 통과하는 유로를 제외하여 상기 캔을 포함하는 케이싱에 의해 격리되고, 흡입 혹은 토출 경로에 있는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캔의 내측 공간을 경유하여 흐르는 유로를 갖는 것.
(7) 상기 전류 제어 소자를 상기 케이싱에 열적으로 밀착시킨 것.
(8) 소비 전력 검출 수단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동시에, 기동 직후의 소비 전력이 소정치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상 회전 속도보다도 한정된 시간만큼 증속 운전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치를 넘은 것을 판정한 경우에는, 통상의 회전 속도로 이행하는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
또한, 본 발명은 순환원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 펌프를 구비한 액냉 시스템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에 대해 도1로부터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 도1 및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횡단면도이다.
펌프(80)는 펌프부(81), 모터부(82) 및 제어부(83)를 구비하여 구성된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이다. 펌프(80)의 전체 형상은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직경 방향의 치수가 큰 박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펌프부(81)는 내측 회전자(1), 외측 회전자(2), 정면판(3), 배면판(4), 내부 축(5) 및 캔(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1)는 평기어와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고, 외주에 트로코이드 곡선을 윤곽으로 하는 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치면은, 엄밀하게는 축 방향으로 약간의 구배를 갖고, 사출 성형시의 발형을 돕는, 소위「발형 구배」라 불리는 구배를 갖고 있다. 또한, 내측 회전자(1)는 중심으로 축 방향으로 관통한 내면이 원활한 구멍을 갖는다. 내측 회전자(1)의 양측 단부면은 평탄하고 또한 순조롭게 마무리되어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내면과의 슬립 이동면을 형성하고 있다.
외측 회전자(2)는 환형의 내측 기어 형상을 하고 있고, 내측에 볼록이 되는 부분이 원호의 윤곽선이며, 내측 회전자(1)보다도 1매만큼 많은 치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회전자(2)의 치는 평기어로서 축 방향으로 거의 동일 단면 형상으로 되 어 있지만, 엄밀하게는 축 방향으로 약간의 구배를 갖고, 사출 성형시의 발형을 돕는, 소위「발형 구배」라 불리는 구배를 갖고 있다. 내측 회전자(1)와 외측 회전자(2)와의 구배의 방향은 역 방향으로 되고, 내측 회전자(1)의 외부 치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에서, 외측 회전자(2)의 내부 치의 직경도 커지도록 양자(1, 2)는 치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자(1, 2)의 치합면은 축 방향의 위치에 의한 한 쪽으로 치우침이 방지된다. 외측 회전자(2)의 양측 단부면은 평탄하고 또한 순조롭게 마무리되고,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내면과의 슬립 이동면을 형성하고 있다. 외측 회전자(2)는 내측 회전자(1)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고, 내측 회전자(1) 및 외측 회전자(2)의 양측 단부면이 거의 일치하도록 내측 회전자(1)의 외측에 외측 회전자(2)가 배치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1)와 외측 회전자(2)의 치 홈은 치합한 상태에서 1개씩이 연결되고, 인접하는 것끼리는 독립하여 폐쇄한 작동실(23)을 형성한다.
외측 회전자(2)의 외주부에는 중앙부의 양측 단부면[내측 회전자(1)의 양측 단부면과 거의 일치하는 단부면]보다도 축 방향으로 돌출한 환형의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의 내주는 원활한 면에 마무리되어 있다. 또, 2개의 돌출부(21) 내의 한 쪽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는 영구 자석(11)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영구 자석(11)은 모터부(82)의 회전자를 구성하는 것이다.
내측 회전자(1) 및 외측 회전자(2)는 폴리아세타르(POM)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의 자기 윤활성을 갖고, 물 혹은 물을 성분으로 하는 용액에 의한 팽윤 변형이나 부식을 무시할 수 있는 레벨인 성질의 합성 수지재를 성형한 것이다.
외측 회전자(2)의 외측에는, 축 방향으로 외측 회전자(2)의 돌출부(21)를 포함하는 폭과 거의 동일한 원통형의 영구 자석(11)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 부착은 접착이나 압입 등, 충분한 강도와 신뢰성을 갖는 방법이면 좋다. 영구 자석(11)은, 도2 중에 작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교대의 극성을 부여하고, 외주측으로부터 보면 주위에 따라서 NS극이 교대로 나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측 회전자(2)와 내측 회전자(1)는, 치합한 상태에서 정면판(3)과 배면판(4)에 끼워져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1)의 중심 구멍에는 원활한 외주를 갖는 내부 축(5)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끼워 맞추고, 이에 의해 내측 회전자(1)는 내부 축(5)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내부 축(5)은 정면판(3)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견부 외주면에는 외측 회전자(2)의 돌출부(21)의 내주면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끼워 맞추고,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견부(22)에 의해 외측 회전자(2)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견부(22)는, 동일한 원주의 일부로부터 절취한 위치 관계에 있다. 이에 대해, 내부 축(5)은 이러한 견부(22)보다 직경이 작게 편심한 위치에 있다. 내부 축(5)은 정면판(13)과 배면판(4)을 연결하는 구조재로서의 기능도 갖고, 그 선단부가 배면판(4)의 중앙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정면판(3)에 있어서, 내측 회전자(1) 및 외측 회전자(2)와 근소한 간극을 통 해 대향하는 단부면(내면)에는, 흡입 포트(8) 및 토출 포트(10)라 부르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8)와 토출 포트(10)는 내측 회전자(1)의 치저원보다도 내측과 외측 회전자(2)의 치저원[외측 회전자(2)는 외부 기어이기 때문에, 치선원 직경보다도 치저원 직경이 큼]보다도 외측과 윤곽을 갖는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8)는 용적이 확대되는 작동실(23)에 면하고, 토출 포트(10)는 용적이 축소되는 작동실(23)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대 용적이 되는 순간의 작동실(23)에는 어느 쪽의 포트도 면하지 않거나, 혹은 근소한 단면적에 의한 연통에 멈추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8)는 직선으로 짧은 유로를 통해, 외부에 개방된 흡입구(7)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토출 포트(10)는 토출 포트(10)로부터 일단 영구 자석(11)이 회전하는 캔(6)으로 덮여진 내부 공간에 유도하는 통로와, 이 내부 공간으로부터 토출구(9)로 유도하는 유로를 통해, 외부에 개방된 토출구(9)에 연통되어 있다.
모터부(82)는 영구 자석(11), 고정자(12) 및 캔(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캔(6)은 펌프부(81)와 모터부(82)로 공용되어 있다.
영구 자석(11)의 외주 사이에 미소한 간극(예를 들어, 1 ㎜ 이하의 간극)을 통해, 밀봉재인 박판형의 캔(6)이 설치되고, 영구 자석(11)은 외측 회전자(2)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캔(6)은 스테인레스강이나 수지 등의 비자성체를 재료로서, 통부 및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박판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부의 중앙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캔(6)의 양단부는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외주 근방에 밀착하여 접합되고, 정면판(3)과 배면판(4)과 캔(6)의 삼자로 외부와 격 리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즉, 정면판(3), 배면판(4) 및 캔(6)은 내부에 내측 회전자(1), 외측 회전자(2) 및 영구 자석(11)을 수납하는 밀폐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펌프 케이싱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피송액이 펌프 케이싱 내에 완전하게 밀폐되게 되어 가동부에 의한 액 누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캔(6)은 모터부(82)의 비자성 박판부를 구성한다. 또, 캔(6)의 양단부의 접합 방법은 접착이나 압착 등 충분한 강도와 신뢰성을 갖는 방법이면 좋다. 또한, 밀봉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사이에 O링이나 패킹을 이용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캔(6)의 외측에서 또한 영구 자석(11)과 면하는 위치에는, 빗살형의 철심에 권선한 고정자(12)가 캔(6)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11) 및 고정자(12)로 이루어지는 모터부(82)는 내측 회전자(1) 및 외측 회전자(2)로 이루어지는 펌프부(81)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펌프(80)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제어부(83)는 모터부(82)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직류 무브러시 모터 구동용 인버터 전자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82)를 펌프부(81)의 외주측에 설치함으로써, 펌프부(81)의 흡입구(7)나 토출구(9)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면에 제어부(83)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83) 그 측면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펌프(8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캔(6)의 측면 부분에는 자기 검출 수단인 홀 소자(13)가 복수(3개) 밀착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전류 제어 수단인 파워 소자(15)가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들 소자(13, 15)와 논리 소자(14)는 동일 전자 기판(16)에 납땜되고, 직류 무브러시 모터 구동용 인버터 전자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파워 소자(15)와 캔(6) 사이에는 열전도성 그리스를 도포하고 열적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기판(16)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25)과, 회전 속도를 직류 전압으로 명령하는 제어선(26)과, 외부에 회전 속도를 펄스로 정보 발신하는 회전 출력선(27)이 접속되어 있다.
영구 자석(11) 및 고정자(12)를 갖는 모터부(82)와, 인버터 전자 회로를 갖는 제어부(83)로부터 직류 무부러시가 구성되고, 영구 자석(11)은 그 직류 무브러시 모터의 회전자로서 작용한다. 영구 자석(11)이 박육 밀봉 부재인 캔(6)의 내측에 있고, 고정자(12)가 캔(6)의 외측에 있는 구조는 캔드 모터라 불린다. 캔드 모터는 축 시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력을 이용하여 회전 이동력을 캔(6) 내부에 전해지기 때문에, 피송액을 외부로부터 격리하면서 작동실(23)의 용적 변화로 송출하는 용적형 펌프의 구조에 적합하다.
다음에, 펌프부(81)의 주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은 도1의 펌프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내측 회전자(1)는 외측 회전자(2)의 내측 구멍에 넣어 치합하게 되고, 정면판(3)의 일부인 내부 축(5)을 중앙의 둥근 구멍에 삽입하고 있고, 내부 축(5)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외측 회전자(2)는 양측으로의 돌출부(21)를 포함해서 외주를 피복하는 원통 형상의 영구 자석(11)에 일체화되어 있다. 돌출부(21)의 내주면은 정면판(3) 및 배면판(4)의 일부인 견부(22)에 간극을 두고 끼워 맞추어 슬립 베어 링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외측 회전자(2)는 정면판(3) 및 배면판(4)에 양측 지지되어 있다. 정면판(3)의 양쪽 회전자(1, 2)와 면하는 원형의 단부면 부분에는 흡입 포트(8)와 토출 포트(10)가 구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8)는 외부로 연통하는 흡입구(7)와 직결한다. 토출 포트(10)는 견부(22)의 일부를 절취한 부분에서 캔(6)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또한 이 공간으로부터 토출구(9)를 향해 개구된 구멍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펌프(80)의 동작을 도1로부터 도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력선(25)에 직류(12V)를 부여함으로써 제어부(83)의 모터 구동 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제어선(26)에 직류 전압을 가함으로써 기동 신호를 이송한다. 이 기동 신호에 의해, 논리 소자(14) 내부에 조립된 제어 소프트에 의해 기동 명령이 인식되고, 논리 소자(14)의 발하는 지시로 파워 소자(16)를 통해 고정자(12)에 전류가 이송된다. 이에 의해, 모터부(82)가 기동되고, 3개의 홀 소자(13)가 자기를 감지하여 영구 자석(11)의 회전 각도를 인식한다. 그 인식을 위해, 홀 소자(13)는 영구 자석(11)의 자기 주기의 3분의 1마다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홀 소자(13)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논리 소자(14)는 영구 자석(11)의 회전 위상을 판단하고, 고정자(12)에 이송하는 전류의 양 및 방향을 파워 소자(16)에 지시하고, 지정된 회전 속도로 모터부(82)를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논리 소자(14)는 영구 자석(11)의 회전 정보를 펄스로서 회전 출력선(27)으로부터 출력하기 때문에, 그 신호를 수취하는 상위의 제어 기기는 펌프(8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영구 자석(11)이 회전되면, 이에 일체화한 외측 회전자(2)가 회전되고, 그와 치합한 내측 회전자(1)도 일반의 내접 기어와 마찬가지로 회전 전달되어 함께 회전된다. 2개의 회전자(1, 2)의 치 홈에 형성된 작동실(23)은 양쪽 회전자(1, 2)의 회전에 의해 용적을 확대 및 축소한다. 내측 회전자(1)와 외측 회전자(2)와의 치가 가장 깊게 치합하는 도2 중 하단부에서, 작동실(23)의 용적이 최소가 되어 상단부에서 최대가 된다. 따라서, 도2 중 큰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자가 회전되면, 우측 절반의 작동실(23)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용적을 확대하고, 좌측 절반의 작동실(23)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용적을 축소한다. 양쪽의 회전자(1, 2)를 피봇 지지하는 슬립 이동부는 전부 피송액에 침수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이 작아 이상 마모도 방지할 수 있다.
피송액은 흡입구(7)로부터 흡입 포트(8)를 지나, 용적 확대 중 작동실(23)에 흡인된다. 용적이 최대가 되는 작동실(23)은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흡입 포트(8)의 윤곽으로부터 어긋나 흡입을 완료하고, 이어서 토출 포트(10)에 연통된다. 거기서부터 작동실(23)의 용적은 축소로 바뀌고, 작동실(23) 내에 있는 피송액은 토출 포트(10)로부터 송출된다. 송출된 피송액은 캔(6) 내부의 공간에 들어가고, 영구 자석(11)을 냉각한 후에 그 공간 내로부터 정면판(3)의 통로로 복귀되고, 또는 토출구(9)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가 짧기 때문에, 흡입 부압이 작아 캐비테이션(공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높은 토출 압력이 캔(6) 내부에 걸려 외측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박육의 캔(6)이더라도 내측으로 변형하여 회전체인 영구 자석(11)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운전에 의한 발열때문에 냉각이 필요해지는 파워 소자(15)의 열은 열전도성 그리스와 캔(6)을 통과하고, 캔(6) 내부를 흐르는 피송액으로 옮겨 외부로 방출된다. 캔(6) 내부의 피송액은 토출 유로의 경로에 있어 항상 교반되므로, 효율적으로 열을 갖고 가 버리다. 그로 인해 파워 소자(15)에 전용의 히트 싱크나 냉각 팬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영구 자석(11)이나 고정자(12)에 발생하는 모터 손실에서의 발열도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갖고 가 버려, 이상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자(12)의 내면은, 통상 영구 자석(11)의 외주면과 동심원 관계에 위치되어, 그 간격은 균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펌프부(81)의 내압 분포를 감안하면, 토출 포트(10)에 연통하는 작동실(23)은 흡입 포트(8)에 연통하는 작동실(23)보다도 내압이 높고, 외측 회전자(2)는 도2 중에서 좌측 방향으로 액력을 받게 된다. 그래서, 고정자(12)를 도2 중에서 좌측 방향으로 약간 편심시켜, 우측 방향의 자기 흡인력(모터 풀)으로 부정하게 함으로써, 외측 회전자(2)에 작용하는 직경 방향력을 저감하여 마찰 손실 저감이나 마모 방지에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술한 펌프(80)를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의 (a)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를 세로로 둔 상태의 퍼스널 컴퓨터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의 (b)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를 가로로 둔 상태의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4에 도시한 전자 기기는 디스크 톱형 퍼스널 컴퓨터의 예이다.
퍼스널 컴퓨터(60)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 디스플레이 장치(61B) 및 키 보드(61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냉 시스템(69)은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에 CPU(중앙 연산 장치)(62)와 함께 내장되고, 액 저장소(63), 펌프(80), 열 교환기(65), 방열판 A(66), 방열판 B(67)의 각 요소를 이 차례로 관로에서 연결한 폐쇄 루프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액냉 시스템(69)의 설치 목적은, 주로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에 내장한다. CPU(62)로 발하는 열을 외부로 운반하고, CPU(62)의 온도 상승을 규정치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열 매체로서 물 혹은 물을 주체로 하는 용액을 사용하는 액냉 시스템(69)은 공냉 방식에 비교하여 열 운반 능력이 높고, 소음이 작기 때문에 발열량이 많은 CPU(62)의 냉각에 적합하다.
액 저장소(63) 내부에는 피송액과 공기가 봉입되어 있다. 액 저장소(63)와 펌프(80)는 병치되어 있고, 액 저장소(63)의 출구와 펌프(80)의 흡입구가 관로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CPU(62)의 방열면에는 열전도성 그리스를 통해 열 교환기(65)가 밀착 설치되어 있다. 펌프(80)의 토출구와 열 교환기(65)의 입구가 관로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열 교환기(65)는 방열판 A(66)에 관로에 의해 연통되고, 방열판 A(66)은 방열판 B(67)에 관로를 통해 연통되고, 방열판 B(67)은 액 저장소(63)에 관로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방열판 A(66)과 방열판 B(67)은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가 다른 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펌프(80)에는 퍼스널 컴퓨터(60) 내부에 통상 구비하고 있는 직류(12V) 전원으로부터 전력선(25)이 당겨지고, 제어선(26) 및 회전 출력선(27)이 상위 제어 기기인 퍼스널 컴퓨터(60)의 전자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액냉 시스템(69)의 동작을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60)의 기동에 수반 하여 전력과 기동 명령이 이송됨으로써, 펌프(80)가 기동되어 피송액이 순환을 시작한다. 피송액은 액 저장소(63)로부터 펌프(80)로 흡인되고, 펌프(80)로 가압되어 열 교환기(65)로 송출된다. 펌프(80)로부터 열 교환기(65)로 이송된 피송액은, CPU(62)에서 발하는 열을 흡수하여 액온이 상승된다. 또한, 그 피송액은 다음 방열판 A(66)과 방열판 B(67)으로 외기와 열 교환하여(외기로 방열하여), 액온이 내려가고 나서 액 저장소(63)로 복귀한다. 이하, 이를 반복하여 CPU(62)의 냉각이 계속 행해진다.
펌프(80)는 용적형 펌프의 일종인 내접 기어식이기 때문에, 건조 상태(액 없음 조건)로 기동해도 흡입구를 부압으로 하는 능력이 있다. 그로 인해, 액 저장소(63) 내부의 액면보다 높은 관로를 지나서도, 혹은 펌프(80)가 액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도 마중물 없음에 액을 흡인하는 자흡 능력이 있다. 또한, 원심식 펌프 등에 비해 내접 기어식 펌프(80)는 가압 능력이 높기 때문에, 열 교환기(65)나 방열판(66, 67)을 통과하는 압손이 증가되는 조건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CPU(62)의 발열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열 교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열 교환기(65) 내부의 유로를 절곡하여 가늘고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원심식 펌프 등을 이용한 액냉 시스템으로서는 통과 압손이 증가되어 적용이 어렵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액냉 시스템(69)으로서는 이에 대응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액냉 시스템(69)에 있어서는, 피송액이 가장 고온이 되는 열 교환기(65)의 출구의 직후에 방열판(66, 67)을 경유하여 액온이 내려가기 때문에, 액 저장소(63)나 펌프(80)의 온도는 비교적 낮게 유지된다. 그로 인해, 펌프(80)의 내부 부품 등은 고온 환경보다도 신뢰성을 확보하기 쉽다.
액냉 시스템(69)의 동작의 결과적으로 액이 순환하는 각 부의 온도가 결정되지만, 이들은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시된다. 규정 이상의 온도 상승에 의해 냉각 능력의 부족이 확인된 경우에는, 펌프(80)의 회전 속도 상승이 명령되어 지나친 온도를 사전에 방지한다. 또한, 반대로 냉각이 지나친 경우에는 회전 속도를 억제한다. 펌프(80)의 발신하는 회전 출력은 항상 감시되어 회전 출력이 도중에 끊기고, 게다가 액온 변화가 이상한 경우에는 펌프(80)가 고장났다고 판단되어 퍼스널 컴퓨터(60)는 긴급 동작으로 이행한다. 긴급 동작으로서는 CPU 속도의 저하나 동작 중 프로그램의 보존 등, 최소한의 동작을 행한 후에 하드웨어의 치명적 손상을 방지한다.
펌프(80)가 액 저장소(63)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문제없지만, 펌프(80)가 액 저장소(63)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계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장시간의 정지에 의해, 펌프(80) 내부의 액이 흘러 나와, 다음 기동시에는 펌프(80) 내부가 건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펌프(80)는 기동 직후에는 액체가 없이 공기를 이송하는 펌프로서 동작하고, 공기를 긁어낸 후 액체가 펌프 내에 가득 차 통상의 동작이 된다. 그러나, 액체용 펌프로서 설계하는 펌프(80)는 기체가 긁어내는 데 적합하지 않고, 그 능력이 부족한 경우도 생각된다.
그래서, 펌프(80)가 액 저장소(63)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장시간 정지 후에 펌프 내가 건조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공기를 단시간에 긁어내어 원활한 기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소비 전력 검출 수단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 로를 내장하는 동시에, 기동 직후의 소비 전력이 소정치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상 회전 속도보다도 한정된 시간만큼 증속 운전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치를 넘은 것을 판정한 경우에는, 통상의 회전 속도로 이행하는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증속 운전은 최장 시간을 정해, 그 시간에 도달해도 송액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80)의 고장이나 액의 산일 등의 이상을 의미하고, 펌프(80)를 정지하는 동시에, 이상 발생을 상위에 제어 기능에 전달한다.
이상의 액냉 시스템(69)은,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를 세로 배치한 경우라도,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배치로 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작용하기 때문에, 본 액냉 시스템(69)은 퍼스널 컴퓨터 본체(61A)의 설치 자유도를 방해하지 않는다. 특히 2개 설치한 방열판 A(66)과 방열판 B(67)이 어느 쪽의 설치 방향에도 교대로 수평과 수직 배치가 됨으로써 양쪽 방열판 표면이 동시에 피복되거나 하는 등의 방열 장해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본 제2 실시예는, 다음에 서술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것이며,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내외 회전자(1, 2)에 대해 영구 자석(11)과 고정자(12)를 축 방향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한 것이다. 돌출부(21)는 외측 회전자(2)의 외주부의 일측으로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21)의 외측에 영구 자석 (11)이 배치되고, 또한 외측에 고정자(12)가 배치되어 있다. 외측 회전자(2)는 돌출부(21)를 통해, 정면판(3)의 견부(22)만으로 피봇 지지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1)는 정면판(3)에 매립한(즉, 몰드 부재 성형) 축(5)으로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캔(6)은 플랜지부(6a), 통부(6b) 및 바닥부(6c)로 형성되고, 바닥부(6c)가 제1 실시예의 배면판(4)을 겸용하고 있다. 따라서 펌프 케이싱은 정면판(3)과 캔(6)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는, 펌프부(81), 모터부(82) 및 제어부(83)를 덮도록 커버(37)가 정면판(3)에 장착되어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외측 회전자(2)의 좌우 베어링의 동심도의 차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면판(4)이 불필요해지고, 부품수를 1개 삭감할 수 있어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펌프(80)의 정밀도 기준은 정면판(3)에만 집약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모터 편심에 의한 전자력 언밸런스가 있는 경우라도, 피봇 지지 위치가 역선 상에 있으므로, 이에 대처할 수 있다. 커버(37)의 차음 작용으로, 회전자(1, 2)의 발하는 치합음이나 고정자(12)의 발하는 전자음 등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7)는 이들 음원이나 진동원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만 고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체 전파음도 도중에 쉽게 감쇠되어 방산되기 어렵다. 모터나 소자의 발열은 캔(6)을 지나서 피송액에 전달하므로, 방음 커버 내부의 온도 상승도 한정적으로 문제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본 제3 실시 예는, 다음에 서술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것이며,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내측 회전자(31)와 외측 회전자(32)는, 폭이 같은 한 쌍의 내접 기어의 형상을 이루고, 치합한 상태에서 정면판(33)에 설치한 원통형 구멍(33a)에 수납되어 있다. 그 원통형 구멍(33a)은 깊이가 양쪽 회전자(31, 32)의 폭보다 약간 깊고, 직경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양쪽 회전자(31, 32)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갖는다. 원통형 구멍(33a)의 바닥면에는 흡입 포트(8)가 있고, 흡입구(7)에 직결되어 있다.
내측 회전자(31)의 중앙 구멍에 구동 축(35)을 삽입 고정되어 있다. 구동 축(35)의 양단부에 설치한 가는 직경부(35a)는 정면판(33)과 배면판(34)에 마련한 구멍에 삽입되고, 슬립 베어링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구동 축(35)은 내측 회전자(31)와 동심인 데 반해, 외측 회전자(32) 외주나, 그것이 접하는 원통형구멍(33a)은 편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회전자(31)는 양단부 지지의 축(35)에 일체로 피봇 지지하고, 외측 회전자(32)는 자신의 외주부와 단부면이 슬립 베어링으로 기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내접 기어식 펌프로 일반적인 것으로 긴 실적이 있어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다.
칸막이 판(36)은 중앙 개구를 갖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 개구에 구동 축(35)이 관통되어 있다. 칸막이 판(36)은, 양쪽 회전자(31, 32)의 1측의 단부면을 덮고, 주변부가 정면판(33)에 밀착 고정되어 있다. 칸막이 판(36)에는 소정 윤곽 형상의 관통 구멍인 토출 포트(36a)를 개방되는 동시에, 토출구(9)에 연통하는 유로 도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판(36)을 경계로 하여, 양쪽 회전자(31, 32)의 반대측에는 구동 축(35)의 직경을 확대한 부분의 외주에 영구 자석(11)이 고정 부착되고, 모터의 회전자를 구성하고 있다.
정면판(33)의 외주는 직경 방향으로 확대하고, 그 외주부에서 커버(37)에 접합한다. 커버(37)는 고정자(12)와 기판(16)의 외측을 덮어 전선류가 지나는 작은 구멍이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80)를 기동하면, 모터의 작용에 의해 영구 자석(11)에 토크가 발생하고, 구동 축(35)으로 연결한 내측 회전자(31)와, 이에 치합한 외측 회전자(32)가 회전된다. 내접 기어식 펌프의 원리에 의해, 흡입구(7)로부터 들어 간 피송액은 흡입 포트(8)를 지나서 용적 확대 중 작동실(38)로 흡입된다. 한 쪽에서 용적 축소 중 작동실(38)로부터, 피송액은 토출 포트를 통해 캔(6)의 내부 공간으로 나간다. 또한 칸막이 판(36)과 정면판(33)에 비운 구멍을 통해 토출구(9)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보다도 펌프 전체의 치수가 길어지지만, 내외 양쪽 회전자(1, 2)의 피봇 지지에 실적이 있는 방식을 채용하고, 높은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다. 커버(37)의 차음 작용으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자(1, 2)의 발하는 치합음이나 고정자(12)의 발하는 전자음 등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7)는 이들 음원이나 진동원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만 고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체 전파음도 도중에서 쉽게 감쇠되어 방산되기 어렵다. 모 터나 소자의 발열은 캔(6)을 지나서 피송액에 전달하기 때문에, 방음 커버 내부의 온도 상승도 한정적으로 문제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본 제4 실시예는, 다음에 서술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것이며,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내측 회전자(41)와 치합한 외측 회전자(42)의 외주 부분은, 전체 주위에 걸쳐 치의 형성된 부분보다도 좁은 폭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래예의 외측 회전자의 외주에 원반을 고정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다. 외측 회전자(42)의 폭이 좁게 되는 단차(43)는 정면판(45)과 배면판(46)의 내면으로 형성한 단차에 미소한 간극을 가지면서 끼워 맞추고, 슬립 베어링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외측 회전자(42)의 외주로의 연장부(47)에는 영구 자석(48)을 매립하고, 주위 방향으로 자극이 교대로 되도록 한다.
영구 자석(48)에 대해 축 방향으로 근소한 간극과 얇은 비자성 재료의 캔(50)을 사이로 두고 고정자(49)를 구비한다. 고정자(49)는 시트 코일 등 권선에 의하지 않는 구조라도 좋다. 캔(50)은 배면판(46)과 일체로 되어 있다. 홀 소자(51)는 영구 자석(11)의 직경 방향으로 상당하는 캔(50) 외연부에 파워 소자(52)는 배면판(46)에 밀착시킨다.
본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송액의 흐름은 직경 방향으로 개방된 흡입구(53)로부터 흡입 포트(54)를 지나서 용적 확대 중 작동실(55)로 흡인된다. 그리 고, 용적 축소 중 작동실(56)로부터 토출 포트(57)와, 캔 내부 공간(58)을 지나 토출구(59)로부터 송출된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전체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납성이 좋다. 흡입구 및 토출구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본 펌프를 다른 기기에 조립할 때 레이아웃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조립에 있어서 부품을 한 쪽부터 차례로 적재해 가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성이 양호하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의한 펌프(80)는 소형으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컴퓨터로 대표되는 고밀도의 발열을 수반하는 전자 기기를 내부 냉각하는 원하는 냉각액 순환 회로에 있어서의 송액 수단으로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양 정도를 향하는 내접 기어식의 기능을 이용하면서, 소형 및 저렴하게 게다가 신뢰성이 높은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

Claims (10)

  1. 액체를 흡인하여 토출하는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를 구동하는 모터부를 구비한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주에 치를 형성한 내측 회전자와,
    상기 내측 회전자의 치와 치합하는 치를 내주에 형성한 외측 회전자와,
    상기 양쪽 회전자를 수납하는 동시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 및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포트를 형성한 펌프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비자성재로 박판형으로 형성한 캔과,
    상기 캔의 내측에 배치하여 상기 외측 회전자 또는 상기 내측 회전자를 구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캔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외측 회전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 회전자의 외주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캔이 박육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회전자의 외주를 둘러쌓고, 상기 고정자가 원통 형상을 이루어 상기 캔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자가 그 중앙 구멍에 끼워 맞추는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 회전자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의 내주면에 끼워 맞추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일부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상기 회전자가 상기 외측 회전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내주면에 상기 외측 회전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견부가 끼워 맞추어 상기 외측 회전자가 상기 펌프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가 직류 무브러시 모터로 구성되고, 그 직류 무브러시 모터의 회전자가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의 외측에 상기 영구 자석의 통과를 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직류 무브러시 모터의 고정자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자 및 상기 외측 회전자가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것이며, 그 사출 성형에 수반하는 발형 구배의 방향이 양쪽 회전자를 치합한 상태로 역 방향이 되고, 상기 내측 회전자의 외부 치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에서 상기 외측 회전자의 내부 치의 직경도 커지도록 치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자와 상기 외측 회전자의 수납된 공간과 외부는, 상기 흡입 포트 및 상기 토출 포트를 통과하는 유로를 제외하여 상기 캔을 포함하는 케이싱에 의해 격리되고, 흡입 혹은 토출 경로에 있는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캔의 내측 공간을 경유하여 흐르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전류 제어 소자를 상기 케이싱에 열적으로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소비 전력 검출 수단을 구비한 모터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동시에, 기동 직후의 소비 전력이 소정치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상 회전 속도보다도 한정된 시간만큼 증속 운전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치를 넘은 것을 판정한 경우에는, 통상의 회전 속도로 이행하는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 펌프.
  10. 액 순환원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 펌프를 구비한 액냉 시스템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043925A 2004-05-26 2005-05-25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KR10061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5676 2004-05-26
JP2004155676A JP4272112B2 (ja) 2004-05-26 2004-05-26 モータ一体型内接歯車式ポンプ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162A KR20060046162A (ko) 2006-05-17
KR100614987B1 true KR100614987B1 (ko) 2006-08-25

Family

ID=3493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925A KR100614987B1 (ko) 2004-05-26 2005-05-25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65860A1 (ko)
EP (1) EP1600635A3 (ko)
JP (1) JP4272112B2 (ko)
KR (1) KR100614987B1 (ko)
CN (1) CN100419265C (ko)
TW (1) TWI27769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45B1 (ko) * 2014-11-21 2016-11-30 명화공업주식회사 오일 펌프
WO2024106895A1 (ko) * 2022-11-15 2024-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351B2 (ja) * 2004-12-24 2008-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タ一体型内接歯車式ポンプ及び電子機器
JP4237731B2 (ja) 2005-05-31 2009-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タ一体型内接歯車式ポ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821401B2 (ja) * 2006-03-28 2011-11-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ギヤポンプ
DE102006037177A1 (de) * 2006-08-09 2008-02-14 Robert Bosch Gmbh Innenzahnradpumpe
FR2918718B1 (fr) * 2007-07-10 2013-06-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ompe rotative pour vehicule.
DE102008003843A1 (de) * 2008-01-10 2009-07-16 Robert Bosch Gmbh Förderaggregat
JP2009209893A (ja) * 2008-03-06 200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ポンプ及び給湯装置
EP2336565B1 (en) * 2008-10-14 2019-10-09 JTEKT Corporation Electric pump unit
FR2943744A1 (fr) * 2009-03-24 2010-10-01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ompe rotative
DE102009028154A1 (de) 2009-07-31 2011-02-03 Robert Bosch Gmbh Zahnradpumpe
DE102009028148A1 (de) 2009-07-31 2011-02-03 Robert Bosch Gmbh Zahnradpumpe
DE102009045049A1 (de) 2009-09-28 2011-03-3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Förderpumpe und Verfahren zum Antreiben einer elektrischen Förderpumpe
JP5564974B2 (ja) * 2009-12-01 2014-08-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ポンプ及び電動ポンプの取付け構造
JP4918936B2 (ja) * 2009-12-03 2012-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ポンプ
DE102010027835A1 (de) * 2010-04-16 2011-10-20 Robert Bosch Gmbh Zahnradpumpe
DE102010027838A1 (de) 2010-04-16 2011-10-2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Förderpumpe und Verfahren zum Antreiben einer elektrischen Förderpumpe
DE102010029338A1 (de) * 2010-05-27 2011-12-01 Robert Bosch Gmbh Innenzahnradpumpe
JP5232842B2 (ja) * 2010-09-16 2013-07-10 株式会社山田製作所 可変流量オイルポンプ
DE102010041995A1 (de) * 2010-10-05 2012-04-05 Robert Bosch Gmbh Innenzahnradpumpe
JP2014034877A (ja) * 2012-08-07 2014-02-24 Fuji Koki Corp 液冷媒循環用ポンプ
CN104279165A (zh) * 2013-07-01 2015-01-14 上海瑚石制冷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冷媒泵
CN103967780B (zh) * 2014-04-11 2016-08-17 西安交通大学 一种开关磁通电机驱动的双联三齿轮内啮合复合电机泵
FR3038664B1 (fr) * 2015-07-10 2017-07-21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distribution de liquide, procede d’assemblage d’un tel module de distribution et ensemble de reservoir comprenant un tel module de distribution
DE102015213387A1 (de) * 2015-07-16 2017-01-19 Robert Bosch Gmbh Rotationskolbenpumpe
DE202015105244U1 (de) * 2015-10-05 2017-01-09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Pumpe-Motor-Einheit
DE102016200013B4 (de) * 2016-01-04 2022-11-03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Pumpe
IT201600130203A1 (it) * 2016-12-22 2018-06-22 Bosch Gmbh Robert Pompa elettrica a ingranaggi
BE1025347B1 (nl) * 2017-06-28 2019-02-05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ilindrisch symmetrische volumetrische machine
US11821420B2 (en) * 2017-06-30 2023-11-21 Tesla, Inc. Electric pump system and method
CN110630493A (zh) * 2019-10-23 2019-12-31 中普能效(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制冷剂的泵
KR20210062410A (ko) * 2019-11-21 2021-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펌프
DE102020131360A1 (de) * 2020-11-26 2022-06-02 Fte Automotive Gmbh Fluidpumpe, insbesondere für eine Komponente eines Antriebsstrangs eines Kraftfahrzeugs
DE102022108852A1 (de) * 2022-04-12 2023-10-12 Hanon Systems Efp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einer Flüssigkei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1286A (en) * 1952-08-01 1955-06-21 Wetmore Hodges Motor-pump or compressor
US2871793A (en) * 1956-06-29 1959-02-03 Robbins & Myers Electric motor and pump combination
US3493345A (en) * 1967-12-20 1970-02-03 Du Pont Method of controlling polymer viscosity during synthesis by utilizing motor load
FR2077873B1 (ko) * 1970-02-20 1974-08-09 Rks
BE790711A (fr) * 1971-11-01 1973-04-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e d'entrainement a deux moteurs
JPS6081489A (ja) * 1983-10-13 1985-05-09 Honda Motor Co Ltd ポンプ装置
US4601348A (en) * 1984-08-24 1986-07-22 Cox Floyd E Reversible auger drive kit for post hole digger
US4887857A (en) * 1986-07-22 1989-12-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filling cryogenic liquid containers
US4981203A (en) * 1989-02-03 1991-01-01 Kornylak Corporation Multi directional conveyor wheel
JPH0641755B2 (ja) * 1989-04-19 1994-06-01 日機装株式会社 キャンド内接ギヤポンプ
DE4106060C2 (de) * 1991-02-27 1995-11-30 Fresenius Ag Pumpe, insbesondere gekapselte medizinische Pumpe
DE4142799C1 (ko) * 1991-12-26 1993-04-15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US5330580A (en) * 1992-05-01 1994-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incorporating a closed loop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load
US5464327A (en) * 1993-12-01 1995-11-07 Itt Corporation 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ATE185403T1 (de) * 1994-11-07 1999-10-15 Hobourn Automotive Ltd Einheit mit drehkolbenpumpe und motor
JPH1150971A (ja) * 1997-07-30 1999-02-23 Eagle Ind Co Ltd 洗浄便座用ポンプ
JPH11334616A (ja) * 1998-05-21 1999-12-07 Koyo Seiko Co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027769A (ja) * 1998-07-08 2000-01-25 Unisia Jecs Corp 内接型歯車ポンプまたは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27763A (ja) * 1998-07-14 2000-01-25 Nissan Motor Co Ltd 電動ポンプの回転数制御装置
US6149415A (en) * 1999-02-11 2000-11-21 Viking Pump, Inc. Internal gear pump having a feed groove aligned with the roots of the idler teeth
US6158994A (en) * 1999-04-21 2000-12-12 Tuthill Corporation Grooved rotor for an internal gear pump
JP2000352382A (ja) * 1999-06-09 2000-12-19 Mikuni Adec Corp マグネットポンプ
DE29913367U1 (de) * 1999-07-30 1999-12-09 Pumpenfabrik Ernst Scherzinger Innen-Zahnradpumpe, deren Hohlrad das Innere eines Rotors eines Elektromotors ist
JP4635282B2 (ja) * 1999-09-24 2011-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自律形インバータ駆動油圧ユニット
US6313990B1 (en) * 2000-05-25 2001-11-06 Kioan Cheon Cool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JP3521873B2 (ja) * 2001-01-17 2004-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02285980A (ja) * 2001-03-26 2002-10-03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及び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潤滑方法
JP2003272341A (ja) * 2002-03-18 2003-09-26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DE60331611D1 (de) * 2002-09-13 2010-04-15 Aisin Aw Co Antriebseinheit
CN1412439A (zh) * 2002-09-28 2003-04-23 宁波华液机器制造有限公司 内啮合齿轮泵
US7137793B2 (en) * 2004-04-05 2006-11-21 Peopleflo Manufacturing, Inc. Magnetically driven gear pu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45B1 (ko) * 2014-11-21 2016-11-30 명화공업주식회사 오일 펌프
WO2024106895A1 (ko) * 2022-11-15 2024-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0635A3 (en) 2012-03-07
KR20060046162A (ko) 2006-05-17
JP4272112B2 (ja) 2009-06-03
US20050265860A1 (en) 2005-12-01
CN100419265C (zh) 2008-09-17
EP1600635A2 (en) 2005-11-30
CN1702327A (zh) 2005-11-30
TWI277693B (en) 2007-04-01
TW200615456A (en) 2006-05-16
JP2005337084A (ja)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987B1 (ko)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JP4084351B2 (ja) モータ一体型内接歯車式ポンプ及び電子機器
KR100865196B1 (ko)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KR100910434B1 (ko)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US6808371B2 (en) Ultra-thin pump and cooling system including the pump
JP4293217B2 (ja) ポンプおよび流体供給装置
JP4274230B2 (ja) ポンプ
CN113227580A (zh) 电动螺杆冷却剂泵
CN110701066A (zh) 一种旋涡式微型泵
TWI747065B (zh) 薄型泵浦
JP2002130190A (ja) 電動ウォータポンプ装置
JP2009515085A (ja) 流体ポンプ
EP4375510A1 (en) Fluid drive device
JP4556008B2 (ja) ギア装置
KR200254640Y1 (ko) 비엘디씨 마그네트 펌프
JP2000097187A (ja) 磁気結合渦流ポンプ
CN114183338A (zh) 电子油泵
JP2000337287A (ja) 外部駆動形dcラインポンプ
JP2006063909A (ja) カスケ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