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639B1 -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639B1
KR100612639B1 KR1019990042646A KR19990042646A KR100612639B1 KR 100612639 B1 KR100612639 B1 KR 100612639B1 KR 1019990042646 A KR1019990042646 A KR 1019990042646A KR 19990042646 A KR19990042646 A KR 19990042646A KR 100612639 B1 KR100612639 B1 KR 10061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lame retardant
adhesive film
retarda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814A (ko
Inventor
우에노요시후미
구마꾸라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6797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126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undling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3Presence of polyest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Fire or heat protection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Fire or heat protection feature
    • Y10S428/921Fire or flameproof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난연성 접착필름은 절연성 기재필름, 절연성 기재필름 위에 형성된 난연성 중간층, 및 난연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한다. 난연성 중간층은 난연성 접착층 보다 높은 난연성을 가진다. 난연성 접착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함유하고, 난연성 중간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 난연성이 양호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FLAME-RETARDANT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도 1 은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절연성 기재필름
2 : 난연성 중간층
3 : 난연성 접착층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제작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로 제작된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기재(基材)필름 상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2 장의 접착필름으로 복수의 라인형태의 도전체를 피복한 구조의 플랫 케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플랫 케이블은, 근년의 고밀도로 설치된 AV 기기나 컴퓨터기기의 배선에 널리 이용되게 되 었다.
그러나, 플랫 케이블에 대해서는, 그 전기적 용도 및 재해방지의 관점으로부터, 도체이외의 구성재료 (즉, 기재필름 및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필름) 가 양호한 절연성과 난연성을 나타낼 것이 요구되어 진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의 접착제층에는, 종래부터 할로겐 난연제 (예를 들면,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나 헥사브로모디페닐에테르 등), 또는 난연조제로서 실리카나 크레이 등의 무기필러 등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지구환경에 대한 배려에서, 접착제층에 첨가하는 난연제로서 할로겐계 난연제 대신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338225 호는, 플랫 케이블용의 접착테이프의 폴리에스테르 난연층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인산에스테르 등의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21642 호에는, 플랫 케이블용의 접착성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수지 기재 또는 그 위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인계 난연화제로 난연화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체의 안전에 관련되는 여러가지 제품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에어백이나 의료기기) 의 배선으로 플랫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매우 높은 절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의 공보에 개시된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성필름의 경우, 접착제층에 함유시키는 인계 난연제 자체가 나타내는 흡습성 또는 이온성이므로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성 필름의 절연저항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절연성능을 나타내는 질소함유 유기난연제 (예를 들면 멜라민) 를 난연성 접착필름의 접착제층에 첨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는 난연성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접착필름과 동등한 난연성을 실현할 수 없다. 또, 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량의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접착제층에 첨가한다면 필요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는, 플랫 케이블용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아직 응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할로겐계의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접착필름에 대하여, 양호한 전기적 절연성 및 접착성과 난연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절연성 기재필름 위에 형성하는 난연층을 최소한 2 층으로 나누어, 기재필름으로부터 먼 측의 난연층 (플랫 케이블의 도전체에 접촉하는 접착층) 을 전기적특성 (절연성) 이 양호한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화하고, 기재필름위의 난연층을,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 난연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의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화함으로써, 상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층 및 난연층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 고, 난연층이 접착층보다 높은 난연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완성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절연성 기재필름, 절연성 기재필름 위에 형성된 난연성 중간층, 및 난연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며, 난연성 중간층이 난연성 접착층보다 높은 난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난연성 접착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함유하고, 난연성 중간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 난연성이 양호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체가 상기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절연성기재필름 (1) 상에, 난연성 중간층 (2) 과 그 위에 난연성 접착층 (3) 이 최소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난연성 접착층 (3) 은,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로 난연화되어 있고, 접착층용 베이스수지 중에 질소함유 유기난연제가 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난연성 중간층 (2) 은,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도 난연성이 양호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로 난연화되어 있고, 중간층용 베이스수지에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분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난연성 중간층이 난연성 접착층보다 높은 난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층 필름은, 난연성 접착층 (3) 에 의해 양호한 절연성을 획득하고, 난연성 중간층 (2) 에 의해 양호한 난연성을 획득하고 있다.
난연성 접착층 (3) 에 첨가하는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로서는, 할로겐원자를 함유하지 않고, 그리고 난연성 접착제에 함유시킨 경우에 높은 절연저항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로서는, 멜라민 (시아눌산트리아미드), 암멜린 (시아눌산디아미드), 암멜리드 (시아눌산모노아미드), 멜람 ([3,5-(NH2)C3N3]NH 로 추정),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과 시아눌산과의 축합), 멜라민수지, 및 호모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 아세트구아나민 등의 멜라민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로의 분산성, 혼합성, 접착성 등의 점에서 멜라민시아누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질소함유 유기난연제의 사용량은, 너무 적으면 충분한 난연성을 실현할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접착강도가 불충분해지므로, 접착층용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 1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부이다.
난연성 접착층 (3) 의 접착층용 베이스수지로서는, 여러가지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한 이유는, 접착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수지 등에 비하여 흡습성이 비교적 낮고, 또한 필름강도가 실용상 문제가 없으며, 전기적 절연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산성분 (예를들면, 테레프탈산, 이소 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본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분자중에 인산잔기를 갖는 다가 카르본산, 글루프탈산, 트리메리트산, 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등) 과, 디알코올성분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디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틸롤, 디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트리메틸롤프로판올 등) 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자중에 인산잔기를 갖는 인-도입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60108호) 가 높은 난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다량으로 함유한 경우라도 충분한 막형성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3,000 ∼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 의 범위이다.
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유리전이점은, 난연성 접착필름을 플랫 케이블의 제작에 적용한 경우에, 구리 등의 도전체에 양호하게 열접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70 ℃ 이다.
난연성 접착층 (3) 에는, 일반적인 난연조제 (예를들면, 붕산망간, 붕산아연, 붕산암모늄, 붕산납,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 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조제의 난연성 접착층 (3) 중에서의 사용량은, 너무 적으면 첨가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접착성이 저하되므로, 접착층용 베이스수지와 질소함유 유기난연제와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 1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중량부이다.
이때, 난연성 접착층 (3) 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여러가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유기용제, 산화방지제, 금속부식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접착성분수지와 난연제 사이의 응집력을 상승시키는 각종 커플링제, 가교제, 가교조제, 충전제, 대전방지제, 난연촉매 등을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난연성 접착층 (3) 의 두께는 난연성 접착필름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0 ∼ 100 ㎛ 이다.
난연성 중간층 (2) 에 첨가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난연성 접착층 (3) 에 첨가하는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도 난연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비할로겐계 난연제의 일례로서는, 베이스수지로의 분산성, 혼합성이 양호한 폴리인산암모늄을 들 수 있다.
난연성 중간층 (2) 중의 비할로겐계 난연제의 함유량은, 너무 적으면 난연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너무 많으면 층간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난연성 중간층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 2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50 중량부이다.
난연성 중간층 (2) 에 사용하는 중간층용 베이스수지로서는, 난연성 접착층 (3) 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스수지와 동등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술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난연성 중간층 (2) 의 두께는, 난연성 접착필름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0 ∼ 100 ㎛ 이다.
이때, 난연성 중간층 (2) 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난연조제, 유기용제, 산화방지제, 금속부식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접착성분수지와 난연제 사이의 응집력을 상승시키는 각종 커플링제, 가교제, 가교조제, 충전제, 대전방지제, 난연촉매를 적당히 첨가하여도 된다.
절연성 기재필름 (1) 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폴리이미드필름, 폴리페닐렌술피드필름,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필름, 폴리에틸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아미드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두께는,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 ㎛ ∼ 수백 ㎛ 로 할 수 있다.
이때, 절연성 기재필름 (1) 과 난연성 중간층 (2) 사이에, 또는 난연성 중간층 (2) 과 난연성 접착층 (3) 사이에 각각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난연성 중간층 (2) 과 난연성 접착층 (3) 사이에 별도의 난연성 중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연성기재필름 (1) 상에, 중간층용 베이스수지 및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유기용제 (예를 들면 톨루엔) 에 용해한 난연성 중간층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난연성 중간층 (2) 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접착층용 베이스수지 및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유기용제에 용해한 난연성 접착층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난연성 접착층 (3) 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여러가지 회로의 표면보호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플랫 케이블을 제작할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은 복수의 도체를 평행으로 배열한 후에 난연성 접착필름을 도전체의 상하로부터 적층함으로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접착필름을 사용하는 이 플랫 케이블은 양호한 난연성, 절연성 및 접착성을 지닌 난연성 접착필름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난연성, 전기적 신뢰성, 박리강도가 양호한 플랫 케이블로 된다. 또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지구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때, 플랫 케이블을 제작할 때에, 난연성 접착성필름의 점착력이 난연제의 존재로 인해 상온에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체에 적층할 때에 80 ∼ 200 ℃ 의 범위로 가열한 롤을 사용하는 열적층법(hot lamination method)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
(난연성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폴리에스테르수지 (상품명 에리텔시리즈, 유니티카사 제품) 10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75 중량부 및 톨루엔 3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그 용액에 멜라민시아누레이트 50 중량부 및 붕산아연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교반하여 용액형태의 난연성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난연성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폴리에스테르수지 (상품명 에리텔시리즈, 유니티카사 제품) 10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75 중량부 및 톨루엔 3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그 용액에 폴리인산암모늄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교반하여 용액형태의 난연성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난연성 접착필름의 제작)
표 1 에 나타낸 건조두께가 되도록, 25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필름 (유니티카사 제품) 에, 난연성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터(bar coater)로 도포하고, 건조로에 투입하여 메틸에틸케톤 및 톨루엔을 휘발시켜, 난연성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표 1 에 나타내는 건조두께가 되도록, 난연성 중간층 상에 난연성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터로 도포하고, 건조로에 투입하여 메틸에틸케톤 및 톨루엔을 휘발시켜,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난연성 접착필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및 2).
이때, 비교예 1 의 경우에는, 난연성 접착층을 형성시키지 않고, 난연성 중간층의 두께를 45 ㎛ 로 하였다. 이 경우, 난연성 중간층이 접착층으로서도 기능한다. 비교예 2 의 경우에는, 난연성 중간층을 형성하지 않고, 난연성 접착층의 두께를 45 ㎛ 로 하였다. 비교예 3 의 경우에는, 난연성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중에 폴리인산암모늄 50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그 난연성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난연성 중간층을 형성하지 않고, 45 ㎛ 두께의 난연성 접착 층을 형성함시킴으로써 난연성 접착필름을 제작하였다.
또, 비교예 4 로서,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접착필름을 제작하였다.
(플랫 케이블의 제작)
얻어진 난연성 접착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것을 2 장 준비하여, 하나의 난연성 접착필름에 선두께가 50 ㎛ 인 복수의 평각도체 (평각구리선을 주석도금한 것) 를 평행으로 병설하고, 그 위에 다른 하나의 난연성 접착필름을 얹은 후에, 150 ℃ 로 가열한 2 개의 롤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양필름을 접착시켜 플랫케이블을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 의 난연성 접착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절연저항", "난연성" 및 "접착성" 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절연저항)
(i) 플랫 케이블이 인접하는 도체 (도체길이 100 ㎜) 간의 절연저항 (인가전압 0.5 ㎸) 을 측정하였다. 절연저항이 1011 Ω이상인 경우를 "○" 로 평가하고, 절연저항이 1011 Ω미만의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ii) 실용시험으로서, 40℃, 90% RH 의 환경하에 168 시간 방치한 플랫 케이블이 서로 인접하는 도체 (도체길이 100 ㎜) 간의 절연저항 (인가전압 0.5 ㎸) 을 측정하였다. 절연저항이 109 Ω이상인 경우를 "○" 로 평가하고, 절연저항이 109 Ω미만의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난연성)
UL-SUB758-VW1 에 준거한 방법으로 난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것 (비교예 4) 과 동등한 경우를 "◎" 로 평가하고,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것 (비교예 4) 보다도 난연성이 떨어지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경우를 "○" 로 평가하며,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것 (비교예 4) 보다도 명확하게 난연성이 떨어져 실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를 "×" 로 평가하였다.
(접착성)
난연성 접착필름끼리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 및 도체와 난연성 접착필름이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잘라내, 60℃ 의 항온조에 1 주간 방치한 후, 각 접착력을 텐시론 (오리엔텍사 제품) 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접착필름끼리 및 도체와 접착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0.5 ㎏/㎝ 이상의 높은 접착력이 측정된 것을 "○" 로 평가하고, 0.5 ㎏/㎝ 미만인 것은 "×"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난연성접착층두께(㎛) 30 15 0 45 45 45
난연성중간층두께(㎛) 15 30 45 0 0 0
난연성
절연저항 (i)/Ω (ii)/Ω ○/1014 ○/109 ○/1014 ○/109 ○/1012 ×/108 ○/1014 ○/1012 ○/1012 ×/108 ○/1014 ○/1012
접착성 ×
(결과)
표 1 로부터도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 의 난연성 접착필름은, 절연저항이 높고, 난연성 및 접착력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1 의 경우에는, 폴리인산암모늄에 의해 난연화되어 있는 난연성 중간층이 접착층으로 기능하고 있으므로, 절연저항 (ii) 의 결과가 불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또, 난연성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 의 경우에는, 난연성이 할로겐계 난연제보다도 떨어졌다.
또, 2 층화 하지 않고, 단층의 접착층을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폴리인산암모늄으로 난연화한 비교예 3 의 경우에는, 절연저항 (ii) 의 결과가 불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할로겐계의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접착필름에 대하여, 양호한 전기적 절연성 및 접착성과 난연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2)

  1. 절연성 기재필름, 절연성 기재필름 위에 형성된 난연성 중간층, 및 난연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난연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난연성 접착필름에 있어서, 난연성 접착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를 함유하고, 난연성 중간층이 질소함유 유기난연제보다 난연성이 양호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함유하며, 난연성 중간층이 난연성 접착층보다 난연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접착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성 접착층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에 질소함유 유기난연제가 분산된 구조를 갖는 난연성 접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유기난연제가 멜라민, 암멜린, 암멜리드, 멜람,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수지 및 멜라민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난연성 접착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유기난연제가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인 난연성 접착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성 접착층 중의 질소함유 유기난연제의 함유량이, 난연성 접착층용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50 중량부인 난연성 접착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성 접착층이 추가로 난연조제를 함유하는 난연성 접착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난연조제가 붕산아연, 붕산망간,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인 난연성 접착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성 중간층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에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분산된 구조를 갖는 난연성 접착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폴리인산암모늄인 난연성 접착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성 중간층 중의 비할로겐계 난연제의 함유량이, 난연성 중간층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200 중량부인 난연성 접착필름.
  12. 도전체, 및 도전체를 피복한 제 1 항에 있어서의 난연성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KR1019990042646A 1998-10-06 1999-10-04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KR100612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4533 1998-10-06
JP28453398A JP3438611B2 (ja) 1998-10-06 1998-10-06 難燃性接着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14A KR20000028814A (ko) 2000-05-25
KR100612639B1 true KR100612639B1 (ko) 2006-08-14

Family

ID=1767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646A KR100612639B1 (ko) 1998-10-06 1999-10-04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33095B1 (ko)
EP (1) EP0992557B1 (ko)
JP (1) JP3438611B2 (ko)
KR (1) KR100612639B1 (ko)
DE (1) DE69916392T2 (ko)
ID (1) ID23339A (ko)
SG (1) SG85677A1 (ko)
TW (1) TW5032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1438A (zh) * 2011-08-04 2012-01-18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阻燃胶添加剂、阻燃胶及其应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765B2 (en) * 1998-05-19 2004-07-20 Sony Chemicals Corporation Fire-retardant adhesive, fire-retardant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flat cable
KR100559744B1 (ko) * 1999-02-19 2006-03-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3598033B2 (ja) * 1999-10-28 2004-12-08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難燃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材
JP4876327B2 (ja) * 2001-04-19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JP4904637B2 (ja) * 2001-06-08 2012-03-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4876335B2 (ja) * 2001-06-08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US20050227065A1 (en) * 2001-08-20 2005-10-13 Hiroaki Nishimura Thermal-reaction type flame-retarda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055676B2 (ja) * 2001-09-10 2012-10-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US7459217B2 (en) * 2003-01-24 2008-12-02 Toray Industries, Inc. Flame retardant polyester film and processed product including the same
US20060019102A1 (en) * 2004-07-26 2006-01-26 Kuppsuamy Kanakarajan Flame-retardant halogen-free polyimide films useful as thermal insulation in aircraft application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R100643003B1 (ko) * 2004-12-16 2006-11-10 삼성토탈 주식회사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US8545974B2 (en) 2005-02-09 2013-10-01 Laird Technologies, Inc. Flame retardant EMI shields
KR100857034B1 (ko) * 2005-03-25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KR100642284B1 (ko) 2005-10-12 2006-11-02 새한미디어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JP5285840B2 (ja) * 2006-03-28 2013-09-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軟磁性シート
EP2477814A4 (en) * 2009-09-10 2013-04-03 Brady Worldwide Inc FLAME-RESISTANT MULTILAYER LABEL
KR20120123535A (ko) * 2010-02-05 2012-11-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이면 밀봉 시트용 필름
JP5664525B2 (ja) * 2011-04-07 2015-02-0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5644716B2 (ja) * 2011-08-17 2014-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9376596B2 (en) * 2012-03-09 2016-06-28 Hitachi Metals, Ltd.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WO2014070969A1 (en) * 2012-11-01 2014-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halogenat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nd articles
CN103740320A (zh) * 2014-01-15 2014-04-23 长园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聚酰胺热熔胶及其制备方法
JP6515808B2 (ja) * 2014-04-28 2019-05-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947223B1 (ko) 2015-07-28 2019-04-22 주식회사 두산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7374A (en) 1978-05-05 1980-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me-retardant film
JP3511521B2 (ja) 1993-05-28 2004-03-29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難燃ツイストフラットケーブル
US5851663A (en) * 1994-05-25 1998-12-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me retardant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tapes
GB2289680A (en) 1994-05-25 1995-11-29 Minnesota Mining & Mfg Flame-retard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tapes
JP2987831B2 (ja) 1994-08-18 1999-12-06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接着シート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6022914A (en) 1995-11-27 2000-0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apes
JPH09221642A (ja) 1996-02-16 1997-08-26 Sekisui Chem Co Ltd ノンハロゲン難燃性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H1086207A (ja) * 1996-09-19 1998-04-07 Sekisui Chem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1438A (zh) * 2011-08-04 2012-01-18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阻燃胶添加剂、阻燃胶及其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38611B2 (ja) 2003-08-18
DE69916392T2 (de) 2005-05-04
US6333095B1 (en) 2001-12-25
EP0992557B1 (en) 2004-04-14
EP0992557A2 (en) 2000-04-12
SG85677A1 (en) 2002-01-15
ID23339A (id) 2000-04-05
KR20000028814A (ko) 2000-05-25
JP2000109769A (ja) 2000-04-18
DE69916392D1 (de) 2004-05-19
TW503254B (en) 2002-09-21
EP0992557A3 (en)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639B1 (ko)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CN102732171B (zh) 粘接膜以及使用该粘接膜的扁平电缆
JP487633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US20130043058A1 (en)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JP2001164094A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絶縁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形成した絶縁層を含む回路基板
US6316104B1 (en) Adhesives and circuit materials using said adhesives
KR20170013706A (ko) 절연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US6764765B2 (en) Fire-retardant adhesive, fire-retardant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flat cable
KR100816315B1 (ko) 난연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접착필름 및플레트 케이블
JP2001011418A (ja) 難燃性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る難燃性接着フィルム
JP2001089736A (ja) 難燃性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る難燃性接着フィルム
JP3360650B2 (ja) 難燃性熱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る難燃性接着フィルム並びにフラットケーブル
JP505567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4189771A (ja) 難燃性接着混和物
JP2003003144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ノンハロゲン難燃性接着シート
KR100642284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접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케이블
JP4626003B2 (ja) 難燃性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3096427A (ja) 難燃性接着剤
JPH08130368A (ja) 印刷配線板用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配線板用基材
KR102376969B1 (ko) 온도 변화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필름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JP2003064339A (ja) 接着剤
JP2002367458A (ja) フラットケーブル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4531351B2 (ja) 難燃性接着混和物
JP2004311573A (ja) プリント配線板
JP2004359836A (ja) 難燃性接着混和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