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003B1 -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 Google Patents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003B1
KR100643003B1 KR1020040106790A KR20040106790A KR100643003B1 KR 100643003 B1 KR100643003 B1 KR 100643003B1 KR 1020040106790 A KR1020040106790 A KR 1020040106790A KR 20040106790 A KR20040106790 A KR 20040106790A KR 100643003 B1 KR100643003 B1 KR 10064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wallpaper
melt flow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175A (ko
Inventor
홍명선
조재환
허만생
이기도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003B1/ko
Priority to CNB2005101316040A priority patent/CN100424265C/zh
Publication of KR2006006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극히 적은 양으로 사용하여 제조되므로써, 결과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이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적어서 이로 인한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난연성을 가지는 벽지에 관한 것이다.
새집 증후군, 감소, 난연성, 벽지

Description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FLAME RETARDANT WALLPAPER FOR REDUCING SICK HOUSE SYNDROME}
본 발명은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극히 적은 양으로 사용하여 제조되므로써, 결과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이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적어서 이로 인한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난연성을 가지는 벽지에 관한 것이다.
새집 증후군이란, 아파트나 주택과 같은 주거용 건물의 신축시, 바닥재나 벽지 등과 같은 내장재 자체에 포함된 또는 그의 설치에 사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또는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이 서서히 방출되므로써, 새집에서 거주하게 되는 사람의 건강이 악화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데코시트(decorative sheet) 또는 벽지(wallpaper)와 같은 주택용 내장재로는, 대부분 폴리염화비닐(PVC)계 수지를 포함하는 내장재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그 특성상 가공시에 가소제가 필수적으로 첨가되어야만 하는데, 이들 가소제는 대부분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로 규정되어 있어, 이러한 가소제를 다량 함유한 소재로 제조된 내장재를 주택용으로 사용할 경우, 그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의 건강에 매우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고분자 사슬 내에 염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등으로 인한 연소시에는 발암물질 및 내분비계 장애 유발 물질로 분류되는 다이옥신을 발생시키며, 또한 연소시에 발생하는 염화수소가스는 부식성이 매우 강하고, 맹독성으로 인체에 치명적으로 유해한 물질이다.
또한, 데코시트나 벽지와 같은 내장재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각 층들의 접착시 또는 내장재와 다른 구조물과의 접착시 유기용제를 이용한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이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서서히 방출됨에 따라 새집 증후군이 더욱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새집 증후군을 악화시키고, 연소시에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계 내장재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내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의 전면 확대시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난연성을 지닌 벽지를 고층빌딩 및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것이 법제화 되고 있는 실정에 따라, 난연성을 가지는 내장재의 개발이 또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방출량을 획기적으 로 줄이므로써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연소시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동시에,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난연성을 가지는 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구조의 벽지로서, 상기 인쇄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 혼합물,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사이에는 접착층이 존재하며, 상기 접착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은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벽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 혼합물,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ASTM D1238에 의거 측정, 이하 모든 용융흐름지수의 측정은 ASTM D1238에 의거)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가능하며,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되고, 1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될 경우, 그 공단량체 함량은 0.1~70중량%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에는, 랜덤 공중합체 및 블럭 공중합체가 모두 포함된다.
상기 인쇄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고무로는,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ydrogenated Styrene-Butadiene Rubber, HSB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EPDM)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SBR)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경우, 양자 모두 그 스티렌 함량이 5~30중량부이고, 그 비중이 0.85~0.97이며, 그 용융흐름지수가 1.0~20g/10분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층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가 중량비로 95/5~70/30인 것이 원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그 밀도가 0.915~0.95g/㎤이고, 그 용융흐름지수(Melt Index)가 0.05~10g/10분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가 중량비로 95/5~50/50인 것이 원하는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발포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발포제는, 분해온도가 130~190℃인 아조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및 술포닐히드라지드계 화합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아조디카본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술포닐 세미카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디아조아미노아조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가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도 및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한 발포에 의해 안정한 셀구조의 발포체를 얻을 수 없어서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인쇄층의 상층에, 벽지 표면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벽지에 더 포함되는 상기 표면보호층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보호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아크릴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상기 아크릴에스테르 함량이 7~35중량%이고, 용융흐름지수(Melt Index)가 0.3~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에스테르 함량이 7중량% 미 만이면, 표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35중량%를 초과하면 수지 가공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되고, 5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아크릴에스테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보호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0.3~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되고, 2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상기 표면보호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가능하며,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되고, 1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될 경우, 그 공단량체 함량은 0.1~70중량%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에는, 랜덤 공중합체 및 블럭 공중합체가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상기 인쇄층의 하층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되 고, 1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될 경우, 그 공단량체 함량은 0.1~70중량%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밀도가 0.915~0.92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50중량%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수지의 발포체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상기 적층구조의 최하층으로서 종이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적층구조를 구성하는 각 층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접착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적층구조의 최상층에 표면보호층이 존재할 경우, 상기 표면보호층과 그 하부층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층은 수용성의 폴리에틸이민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면보호층과 그 하부층 사이의 접착층 이외의 접착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밀도가 0.915~0.92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 바람직하게는 1~2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50중량%이고, 용융흐 름지수가 0.3~30g/10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가공성 및 접착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표면보호층/접착층/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 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 및 인쇄층/접착층/종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적층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에 포함되는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힌더드 페놀구조의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폴리인산암모늄계 난연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폴리인산암모늄계 난연제는, 고온 또는 불길과의 접촉 등에 의한 분해시 비인화성 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질소 등)와 탄소질 잔사만 발생시키고, 부식성 가스나 할로겐가스와 같은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거의 수반하지 않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Budit3076(부덴하임사), 상품명 SUMISAFE P(스미토모화학), 상품명 엑솔리트422(훽스트사)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한 상기 폴리인산암모늄계 난연제는, 멜라민을 부가 및/또는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Teraju C-60(치소(Chisso)사) 등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그것이 포함되는 구성층의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의 양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양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난연성을 얻을 수 없고, 30중량부 를 초과하면, 난연제가 포함되는 구성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에는,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와 함께, 난연제의 성능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난연조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등과 같이 다가알콜기를 가진 펜타에리스리톨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 펜타에리스리톨계 화합물은 연소시에 차르(char)의 발생을 돕는 차르 프로모터(char promoter)로 작용하기 때문에 난연조제로 사용된다. 상기 난연조제는, 그것이 포함되는 구성층의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중량부의 양이 포함되는 것이 난연성 및 내열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최상층에는 음이온 방출성 광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층구조의 최상층"이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가 주거공간의 내부에 도배되었을 때, 주거공간의 대기에 노출되는 최외곽의 표면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벽지가, 위로부터 순서대로 표면보호층/접착층/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의 적층구조인 경우에는 표면보호층이, 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 및 인쇄층/접착층/종이의 적층구조인 경우에는 인쇄층이 각각 적층구조의 최상층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에 있어서, 적층구조의 최상층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음이온 방출성 광물질로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성질을 지니는 광물질로서 상기, 적층구조의 최상층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평균입경이 3~10㎛이고, 결정구조가 크리 스토발라이트 구조인 Qdnanof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균입경이 3㎛ 미만이면, 작업성이 나빠지고, 10㎛를 초과하면, 벽지 외관이 불량해진다. 또한, 상기 음이온 방출성 광물질은, 상기 적층구조의 최상층을 구성하는 수지 100중량부 당 0.1~5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음이온 방출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구조의 벽지는,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층들의 사이마다 상기 접착층을 개재시켜 라미네이션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보호층, 인쇄층, 지지층, 종이 및 각 층 사이의 접착층을 라미네이션하므로써 각 제조예 별로 벽지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각 벽지에 대하여 KS F3111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제조예 1~6의 벽지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은 모두 0 mg/㎡h이었으며, 이는 환경부 친환경건축자재 품질 인증제 규정의 크로바 5개(0.03 ㎎/㎡h 미만)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표 1]
제조예 표면보호층 접착층 인쇄층 접착층 지지층 접착층 종이
1 ACRYL EVA PP EVA PP 부직포 EVA 종이
2 ESTER EVA PP EVA PP 부직포 EVA 종이
3 PP LDPE PP-R LDPE EVA 발포체 LDPE 종이
4 ACRYL EVA PP-PE EVA EVA 발포체 EVA 종이
5 ACRYL EVA PP EVA LDPE 발포체 EVA 종이
6 PP LDPE PP-R-PE LDPE PP 부직포 LDPE 종이
주) ACRYL: 열경화성 에틸렌-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에스테르 함량 20중량%, 용융흐름지수 10g/10분)
ESTER: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융흐름지수 10g/10분)
PP: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 함량 10중량%, 용융흐름지수 5g/10분)
E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중량%, 용융흐름지수 5g/10분)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 0.915g/㎤, 용융흐름지수 10g/10분)
R: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SBR)
PE: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 0.920g/㎤, 용융흐름지수 5g/10분)
PP-R: 상기 PP와 R의 혼합물(혼합중량비 PP/R = 80/20)
PP-PE: 상기 PP와 PE의 혼합물(혼합중량비 PP/PE = 80/20)
PP-R-PE: 상기 PP와 R과 PE의 혼합물(혼합중량비 PP/R/PE = 80/10/10)
PP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제조된 부직포
(에틸렌 함량 10중량%, 용융흐름지수 5g/10분)
EVA 발포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발포체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0중량%, 용융흐름지수 5g/10분)
LDPE 발포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
(밀도 0.915g/㎤, 용융흐름지수 10g/10분)
종이: 벽지제조용 종이
실시예 1
표면보호층에, 표면보호층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10중량부 및 난연조제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 3중량부를 더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벽지를 제조하였다.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예 1의 벽지 및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표면보호층에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벽지에 대하여, 난연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난연성 평가방법
UL Subject 94(Underwriters Laboratories Incorporation)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의 연소성 시험"의 수직연소시험을 수직상(V0)에서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난연성을 평가 하였다. 사용된 시험분획의 두께는 1/32인치이었다.
실시예 2
표면보호층에, 표면보호층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폴리인산암모늄계 난연제인 SUMISAFE P(스미토모화학) 10중량부 및 난연조제로 서 디펜타에리스리톨 3중량부를 더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2에 따른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벽지에 대하여, 난연성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난연제함량(중량부) 난연조제함량(중량부) 난연등급(UL)
인산에스테르계 폴리인산암모늄계 펜타에리스리톨계
제조예 1 0 0 0
실시예 1 10 0 3 V-2
실시예 2 0 10 3 V-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벽지는 난연성이 전혀 없었는 데에 비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벽지는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벽지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가소제 및 염소원소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PVC계와 달리 연소시 염화수소가스 및 다이옥신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7)

  1. 인쇄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구조의 벽지로서, 상기 인쇄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 혼합물,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사이에는 접착층이 존재하며, 상기 접착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은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이고 공단량체 함량이 0.1~70중량%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 포함되는 상기 고무는,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양자 모두는 스티렌 함량이 5~30 중량부이고, 비중이 0.85~0.97이며, 용융흐름지수가 1.0~20g/10분이고; 상기 인쇄층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가 중량비로 95/5~7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가 0.915~0.9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05~10g/10분이고; 상기 인쇄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가 중량비로 95/5~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는 발포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분해온도가 130~190℃인 아조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및 술포닐히드라지드계 화합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가 상기 인쇄층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상층에,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에스테르 함량이 7~35중량%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50g/10분인 에틸렌-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0.3~2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하층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g/10분이고 공단량체 함량이 0.1~70중량%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제조된 부직포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밀도가 0.915~0.92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이고,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50중량%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최하층으로서 종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과 상기 인쇄층 사이에는, 수용성의 폴리에틸이민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접착제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접착제로서 포함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밀도가 0.915~0.925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50중량%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3~30g/10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표면보호층/접착층/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 인쇄층/접착층/지지층/접착층/종이 및 인쇄층/접착층/종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적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에 포함되는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또는 폴리인산암모늄계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의 각 구성층들 가운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층에는, 난연조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는 다가알콜기를 가진 펜타에리스리톨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KR1020040106790A 2004-12-16 2004-12-16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KR10064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90A KR100643003B1 (ko) 2004-12-16 2004-12-16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CNB2005101316040A CN100424265C (zh) 2004-12-16 2005-12-15 用于减少新屋综合症的阻燃性壁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90A KR100643003B1 (ko) 2004-12-16 2004-12-16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175A KR20060068175A (ko) 2006-06-21
KR100643003B1 true KR100643003B1 (ko) 2006-11-10

Family

ID=3678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790A KR100643003B1 (ko) 2004-12-16 2004-12-16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3003B1 (ko)
CN (1) CN10042426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90A (ko) 2018-09-11 2020-03-19 조두영 황토가 도포된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5773A (zh) * 2010-06-08 2010-09-29 福建希源纸业有限公司 一种环保型装饰壁纸
KR101024558B1 (ko) * 2010-09-17 2011-03-31 주식회사 다원벽지 난연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675706B (zh) * 2011-03-07 2015-03-25 陈明玉 复合组成物及高分子室内装饰材料
CN102444055B (zh) * 2011-09-03 2013-04-03 衡水宝秋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墙壁装饰壁纸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966893B (zh) * 2014-05-07 2016-07-06 浙江理工大学 含磷氮聚电解质络合物阻燃纤维素纤维制品的制备方法
CN106978895B (zh) * 2017-03-16 2023-10-24 田彦同 一种缓冲拼装地板
CN109281192A (zh) * 2018-11-07 2019-01-29 合肥凯大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防霉的无纺布墙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14A (ko) * 1998-10-06 2000-05-25 구리다 히데유키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KR20040099865A (ko) * 2003-05-20 2004-12-0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캘린더가 가능한 투명 필름 및 시트용 폴리프로필렌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투명 필름 및 시트의제조방법
KR20050108471A (ko) * 2004-05-11 2005-11-16 신용운 친환경성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287A (ja) * 2000-03-17 2001-09-25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汚染性に優れた発泡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9970B2 (ja) * 2002-01-08 2007-10-31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発泡壁紙
JP4139155B2 (ja) * 2002-07-25 2008-08-27 淑夫 今井 通気性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13404A1 (ja) * 2002-08-06 2004-02-12 Mitsui Chemicals, Inc. 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14A (ko) * 1998-10-06 2000-05-25 구리다 히데유키 난연성 접착필름 및 플랫 케이블
KR20040099865A (ko) * 2003-05-20 2004-12-0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캘린더가 가능한 투명 필름 및 시트용 폴리프로필렌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투명 필름 및 시트의제조방법
KR20050108471A (ko) * 2004-05-11 2005-11-16 신용운 친환경성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90A (ko) 2018-09-11 2020-03-19 조두영 황토가 도포된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175A (ko) 2006-06-21
CN100424265C (zh) 2008-10-08
CN1789556A (zh)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4643B2 (ja) 有害ガス難発生敷物用の難燃性面状体
CN100424265C (zh) 用于减少新屋综合症的阻燃性壁纸
CA2610494A1 (en) Fire retardant composition
JP5057506B2 (ja) ノンハロゲン系車両用防水床シート
EP2754373B1 (en) Flame-retardant planar body, carpeting resistant to generating hazardous gases that uses said flame-retardant planar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arpeting resistant to generating hazardous gases
KR100723362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연성 벽지
JPH07188487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シート状物及び壁装材
KR100610212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벽지
KR100643002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음이온 방출성 벽지
JP3859749B2 (ja) 低発煙性を有する難燃性装飾材
JP4701808B2 (ja) 化粧シート
KR20060026991A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4232334A (ja) 難燃性ノンハロゲン系床材
JP4822242B2 (ja) ノンハロゲン系車輛用防水床シート
KR100723364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축광성 벽지
JP4991115B2 (ja) 不燃性吸音フォーム
KR100910160B1 (ko) 폴리올레핀계 발포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 시트
KR100668450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코시트
KR102603122B1 (ko) 난연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친환경 복합소재
KR100769752B1 (ko) 내화학성 강화 벽지
CN101060975A (zh) 具有改进的astme-84火焰蔓延指数和烟扩散指数的层压聚异氰脲酸酯泡沫结构体
TWI647105B (zh) 阻燃性面狀體及使用該阻燃性面狀體的不易產生有害氣體的墊子
JP2014040689A (ja) 難燃・不燃性内装材
CN111395046A (zh) 一种环保防火墙纸、环保胶及防火胶
JP3506923B2 (ja) 壁 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