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955B1 -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탑재 기판 생산물 - Google Patents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탑재 기판 생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955B1
KR100596955B1 KR1020017001417A KR20017001417A KR100596955B1 KR 100596955 B1 KR100596955 B1 KR 100596955B1 KR 1020017001417 A KR1020017001417 A KR 1020017001417A KR 20017001417 A KR20017001417 A KR 20017001417A KR 100596955 B1 KR100596955 B1 KR 10059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onnector
adapter
connector
opt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042A (ko
Inventor
오가와신지
이시다히데토시
가키이도시아키
다카이아츠시
미우라아츠시
후루이치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85Optical modules characterised by a connectorised pigta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커넥터용 어댑터(5)는 탑재면(56a) 상에 한 쌍의 벽부(55a, 55b)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탑재면(56a)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광 커넥터(4)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해지고, 또 소정의 축(8)을 따라 광 커넥터(7)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수납된 광 커넥터(4)에 대해, 소정의 축(8)을 따라 커넥터(7)를 집어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 내에 있어서, 광 커넥터(4)를 광 커넥터(7)와 탈착하기 때문에, 커넥터 탈착 시의 광 모듈(2)에 가해지는 힘이 저감된다. 광 모듈 생산물(9)은 광 모듈(2), 광 파이버 심선(3), 광 커넥터(4), 광 커넥터용 어댑터(5)를 포함한다.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은 광 모듈 생산물(9) 및 광 모듈(2) 및 광 커넥터용 어댑터(5)를 탑재하기 위한 기판(10)을 구비한다.
광 커넥터, 광 모듈, 광-전기 변환, 전기-광 변환, 스토퍼

Description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Optical module connector adaptor, optical module product, and optical module mounting substrate product}
본 발명은 광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광 커넥터용 어댑터, 이 광 커넥터용 어댑터, 광 커넥터 및 광 모듈을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 및 기판 상에 설치된 광 모듈 생산물을 포함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에 관한 것이다.
광 모듈로서는 리셉터클형 광 모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 모듈은 광-전기 변환(0/E 변환), 전기-광 변환(E/0 변환)과 같은 변환을 행한다. 이 때문에, 광 모듈에는 광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광 파이버 심선이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은 탈착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광 모듈을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발명자는 이하의 과제를 발견했다. 리셉터클형 광 모듈은 그 자신 내에 커넥터부를 갖고 있다. 이 커넥터부에는 광 파이버 심선단부가 접속된 광 커넥터가 직접 탈착된다. 이 때문에, 광 커넥터 탈착 시에 리셉터클형 광 모듈에서는 광 모듈 자체에 외력이 직접 작용한다. 발명자는 이 외력이 광 모듈 내의 소자를 손상할 우려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파이버 심선이 접속된 광 커넥터 탈착을 행할 시에, 광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는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 생산물이 탑재된 광 모듈 탑재 기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바닥부와, 제 1 및 제 2 벽부를 구비한다. 바닥부는 소정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탑재면을 가지며, 그 탑재면은 제 1 및 제 2 광 커넥터를 탑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벽부는 소정의 축을 따라 신장하는 내벽면을 각각 가지며, 각각의 내벽면이 대면하도록 탑재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광 모듈, 이 광 모듈에 한쪽 끝이 접속된 광 파이버 심선 및 이 광 파이버 심선에 다른 쪽 끝이 접속된 제 1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탑재면 상에 한 쌍의 벽부가 설치된 어댑터의 구조는 탑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제 1 광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소정의 축을 따라 제 2 광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수납된 제 1 광 커넥터 에 대해, 소정의 축 방향으로부터 제 2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다. 제 1 광 커넥터는 광 파이버 심선을 개재시켜 광 모듈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어댑터 내에 있어서 제 1 광 커넥터에 제 2 광 커넥터를 탈착하기 때문에, 커넥터 탈착 시에 광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저감된다.
바닥부 및 제 1 및 제 2 벽부는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제 1 개구부는 제 1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탑재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제 2 개구부는 제 2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소정의 축 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어댑터가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갖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 1 커넥터는 양쪽 내벽면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제 1 개구부를 통해 어댑터의 탑재면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를 제 2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어댑터의 탑재면 및 양쪽 내벽면을 따라 도입된다. 어댑터에 가이드되면서 제 2 광 커넥터가 진행하기 때문에, 수용되어 있는 제 1 광 커넥터에 접속된 광 파이버 심선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 2 커넥터를 제 1 광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어댑터는 스토퍼를 부가로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는, 제 1 광 커넥터가 소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의 스토퍼에 의해, 소정의 축 방향에 관해서 제 1 광 커넥터가 배치 가능한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는 제 2 광 커넥터가 소정의 축을 따라 삽입될 때에 제 1 광 커넥터가 제 2 광 커넥터에 가압되어도, 제 1 광 커넥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는 제 1 광 커넥터가 이 동할 수 있는 한계점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소위 광 커넥터의 페룰 백(ferrule back)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는 제 1 광 커넥터의 이동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에 주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 커넥터를 제 1 광 커넥터에 접속하는 것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서는 스토퍼의 위치는 소정의 축 방향에 관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스토퍼의 위치를 변경하면, 어댑터를 각종 광 커넥터의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조정된 스토퍼의 설치 위치는 제 1 및 제 2 광 커넥터의 형태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서는 스토퍼의 위치를 소정의 축 방향에 관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 및 볼록부를 제 1 및 제 2 벽부의 내벽면 각각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와 스토퍼가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광 커넥터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신뢰성도 높다. 또,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는 이들 위치에 따라서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제 1 및 제 2 벽부 및 바닥부에 접하여 소정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벽부를 부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 3 벽부는 제 1 커넥터에 대해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제 3 벽부는 노치(notch)를 가질 수 있다. 이 노치는 제 1 광 커넥터에 접속된 광 파이버 심선 을 도입하여, 가이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제 1 및 제 2 벽부에 지지되어 탑재면에 대면하도록 배치 가능한 덮개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는 제 1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이 덮개는 탑재면과 일체가 되어, 탑재면에 수직인 방향에 관한 광 커넥터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된 또는 미접속된 광 커넥터가 어댑터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생기는 광 파이버 심선의 굴곡을 저감할 수 있다. 덮개는 어댑터 내에 배치된 광 커넥터의 보호, 예를 들면, 주위 부품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어댑터 내로의 먼지 도입을 저감할 수 있다. 덮개는 광 모듈 생산물을 제조할 때의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 공정에 있어서, 광 커넥터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서는 바닥부는 래칫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래칫 부분은 탑재면에 관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와 반대 측으로 신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는 1개 또는 복수의 래칫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래칫 부분은 어댑터의 기판으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종 형태의 1 또는 복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서는 덮개는 대향하는 변으로부터 신장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 각각은 바닥부와 끼워맞추어지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벽부 각각은 이 덮개가 갖는 복수의 다리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각각의 외벽면 상에 가질 수 있다. 이 덮개는 탑재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된 내벽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내벽면에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탑재면에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위치 결정 가능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또, 이 내벽면에는 제 2 커넥터를 삽입 방향에 관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바닥부는 탑재면과 대향하는 바닥면에 이와 수직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래칫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래칫 부분 각각은 설치되어야 할 기판에 알맞도록 설치된 돌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은 광 모듈, 광 커넥터용 어댑터, 광 파이버 심선 및 제 1 광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광 모듈은 전기 신호 및 광 신호를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변환한다. 광 커넥터는 어댑터에 수납되어 있다. 광 파이버 심선은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광 커넥터에 접속된 제 2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에서는 이미 설명된 각종 형태 및 이하에 설명되는 각종 형태의 광 커넥터용 어댑터를 적용할 수 있다.
광 모듈 생산물에 의하면, 어댑터는 광 모듈로부터 연장된 광 파이버 심선의 한쪽 끝에 설치된 광 커넥터를 보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에 가해지는 굽힘력과 같은 각종 힘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개구부를 통해 어댑터의 탑재면이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제 1 광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에 인가되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개방부를 거쳐, 소정의 축 방향, 즉 제 1 광 커넥터의 광 축 방향으로부터 제 2 광 커넥터를 삽입하여 제 1 커넥터와 접속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광 커넥터 접속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에서는 광 파이버 심선은 피복층을 가질 수 있다. 피복층은 주위 부품과의 접촉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광 파이버 심선을 보호한다. 광 모듈 생산물 제조시의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피복층은 광 파이버 심선에 대해 강성을 주기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에 힘이 가해졌다 해도, 광 파이버 심선의 굴곡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에서는 피복층은 광 파이버 심선의 측면에 밀착한 열 수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수축 튜브를 사용하여 형성된 피복층을 구비하면, 피복층을 광 파이버 심선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열 수축 튜브는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로부터 광 파이버 심선을 보호할 수 있다. 열 수축 튜브가 광 커넥터 및 광 모듈과, 광 파이버 심선과의 접속 부분과 같은 광 파이버 심선에 굴곡이 생기기 쉬운 위치에도 설치하면, 이들 위치에 있어서의 광 파이버 심선의 굴곡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은 1 또는 2 이상의 광 모듈 생산물과,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은 도전배선층을 갖는다. 기판 상에는 광 모듈 및 어댑터가 설치되어 있다. 광 파이버 심선은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광 커넥터에 접속된 제 2 단부를 갖는다. 광 커넥터는 어댑터에 수납되어 있다. 어댑터에는 이미 설명된 형태 및 지금부터 설명되는 형태 모두를 적용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의 한쪽 끝에 광 모듈이 접속되어 있어 어댑터에 수납된 제 1 광 커넥터를 개재시켜 제 2 광 커넥터를 착탈하기 때문에, 접속 시에 광 모듈에 직접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배치는 광 모듈이 접속 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특성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광 모듈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댑터는 그 탑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광 커넥터를 받아들인다. 이 형태는 광 모듈과 광 커넥터 사이에 설치된 광 파이버 심선의 길이를 기판 상에 있어서의 어댑터와 광 모듈의 거리와 같을 정도까지 짧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광 커넥터를 어댑터에 배치하기 위해 필요한 광 파이버 심선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커넥터 접속 후에 불필요해지는 여분 길이의 광 파이버 심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배치하는 기판 상의 영역이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에서는 광 모듈과 광 커넥터용 어댑터 간격이 10mm 이상 40mm 이하일 수 있다. 이 거리는 기판에 있어서의 실장(packaging) 밀도를 올리기 위해 적합한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에서는 광 모듈, 광 커넥터, 광 파이버 심선 및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광 모듈 생산물의 광 축을 따라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에서는 16개의 광 모듈 생산물을 설치할 수 있다. 광 모듈 생산물 각각은 기판의 한 변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및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및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의 (a)는 광 커넥터가 수납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를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및 다른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의 (b)는 위치 결정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광 커넥터가 접속된 광 모듈 생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광 커넥터와, 이에 접속된 다른 광 커넥터를 수납한 광 커넥터용 어댑터를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광 커넥터용 어댑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광 커넥터용 어댑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광 커넥터용 어댑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및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및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광 커넥터가 접속된 광 모듈 생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을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광 모듈 부재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A)은 광 모듈 생산물(9A) 및 광 모듈 탑재 기판(10; 이하, 간단히 기판이라고도 한다)을 구비한다. 광 모듈 생산물(9A)은 광 모듈(2), 광 파이버 심선(3), 광 커넥터(4) 및 광 커넥터용 어댑터(5A; 이하, 어댑터라 한다)를 구비한다. 어댑터(5A)는 덮개(6A)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모듈 생산물(9A)에 포함되는 광 모듈(2) 및 어댑터(5A)는 기판(10) 상에 탑재되어 있다. 또, 도면에는 광 커넥터(4)와 접속되어야 할 다른 광 커넥터(7A)도 도시되어 있다.
기판(10)으로서는 프린트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은 광 모듈 탑재면(13), 그 이면(14; 裏面) 및 이들 면 사이의 내부에 프린트 배선과 같은 배선층을 구비한다. 이 기판(10) 상에는 다른 전자 부품도 탑재되어 있으며, 각 전자 부품은 프린트 배선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 모듈(2)도 마찬가지로 이들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판(10)에는 광 모듈(2)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스루 홀(through hole:11) 및 어댑터(5A)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설치 구멍(12)을 갖고 있다. 광 모듈(2)의 단자(20)는 기판(10)에 설치된 스루 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납땜부착되어 있다. 단자(20)가 홀(11)에 납땜부착되면, 광 모듈(2)이 기판(10)의 프린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광 모듈(2)에 대한 전기 신호의 입출력이 스루 홀(11)을 거쳐 행해진다.
광 모듈(2)은 광-전기 변환 및 전기-광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한 변환을 행한다. 이 때문에, 광 모듈(2)은 반도체 수광 소자와 같은 수광 디바이스 및 반도체 발광 소자와 같은 발광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반도체 수광 소자에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반도체 발광 소자에는 반도체 레이저 및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 광학 디바이스는 광 파이버 심선(3)에 포함되는 광 파이버와 광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광 모듈(2)은 이러한 광학 디바이스를 밀봉(sealing)하도록 설치된 몰드 수지체(22)를 구비한다. 수지체(22)의 바닥면(22a)에는 복수의 단자(20)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된 광학 디바이스는 단자(20)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파이버 심선(3)에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광 파이버 심선(3)으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핀인 단자(20)에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광 모듈(2)에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핀 타입 광 모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플랫 패키지 타입 광 모듈과 같은 다른 타입의 광 모듈도 포함된다.
광 모듈의 수지체(22)의 한쪽 단면(22b)으로부터 광 파이버 심선(3)이 신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파이버 심선(3)은 다심(多心) 테이프 심선을 채용하고 있다. 광 파이버 심선(3)은 광 모듈(2)에 접속된 한쪽 끝과, 광 커넥터(4)가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끝을 갖고 있다.
광 파이버 심선(3)은 열 수축 튜브와 같은 피복층(30)을 그 주위에 갖고 있다. 피복층(30)은 광 파이버 심선(3)의 측면에 밀착하고 있다. 광 파이버 심선(3)이 열 수축 튜브(30) 내에 삽입된 후에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며, 광 파이버 심선(3) 주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밀착한다. 피복층(30)은 주위에 배치된 부품과 광 파이버 심선(3)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또 광 파이버 심선(3)으로의 직접 열 방사로부터 광 파이버 심선(3)을 보호하고 있다. 광 파이버 심선(3)의 측면에 밀착한 열 수축 튜브(30)는 광 파이버 심선(3)이 용이하게 굴곡하지 않도록 광 파이버 심선(3)에 대해 강성을 줄 수 있다. 피복층(30)은 광 파이버 심선(3)과, 광 커넥터(4) 및 광 모듈(2)과의 접속 부분을 각각 피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 수축 튜브(30)의 한쪽 끝은 광 커넥터(4)의 부츠(41)도 피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부러지기 쉬운 광 파이버 심선(3)과, 광 커넥터(4)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3)이 굴곡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각각에 도시되어 있는 광 커넥터(4)는 MT형 커넥터이다. 광 커넥터(4)는 이에 접속되어야 할 광 커넥터(7A)와 조합시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4, 7A)는 푸시-온형 광 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 다.
광 커넥터(4) 내에는 1 또는 복수의 광 파이버가 배열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광 파이버 심선(3)의 단부에서는 피복 수지가 제거되어 광 파이버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다. 이들 광 파이버의 단면은 광 커넥터(4)의 단면(40a)에 위치하고 있다. 광 커넥터(4)의 단면(40a)은 광 파이버 심선(3)이 접속되어 있는 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광 커넥터(4)의 단면(40a)에는 다른 쪽의 광 커넥터(7A)와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한 쌍의 가이드 핀(42)이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핀(42)은 광 커넥터(4) 내에 설치된 광 파이버의 광 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각 가이드 핀(42)은 광 파이버를 수납하고 있는 페룰과는 별개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금속제일 수 있다. 그렇지만, 광 커넥터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커넥터(4)는 그 광 축이 신장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면(40b) 및 바닥면(40c) 및 한 쌍의 측면(40d, 40e)을 갖고 있다.
어댑터(5A)는 소정의 축을 따라 신장하는 바닥부(56)를 갖는다. 바닥부(56)는 예를 들면, 한 방향으로 신장한 판 형상의 지지대일 수 있다. 바닥부(56)는 광 커넥터(4, 7A)를 탑재하도록 설치된 탑재면(56a)을 갖는다. 바닥부(56)는 또, 긴 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돌기(56b, 56c)를 탑재면(56) 상에 갖는다. 돌기(56b, 56c)는 광 커넥터(4)의 바닥면(40c)을 지지함과 동시에, 광 커넥터(7A)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돌기(56b, 56c)는 바닥부(56)의 한쪽 끝으로부터 디른쪽 끝까지 신장하고, 또 광 커넥터(4, 7A) 형상에 맞추어 설치되며, 돌출부(56d; 突部)라 불리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어댑터(5A)에 수납된 광 커넥터(4, 7A)는 돌기(56b, 56c)로 지지되기 때문에, 광 커넥터의 바닥면(40e)과 탑재면(56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기층은 기판(10)으로부터 전도해 오는 열이 광 커넥터(4, 7A)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공간은 단열층으로서 기능한다.
바닥부(56)의 탑재면(56a) 상에는 소정의 축을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벽부(55)(55a, 55b)를 갖는다. 한 쌍의 벽부(55a, 55b)의 내벽면(55c, 55d)은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납된 광 커넥터(4, 7A)는 내벽면(55c, 55d)에 끼워져 있다. 예를 들면, 광 커넥터(4)는 수납될 때에는 한 쌍의 측면(40d, 40e)에 의해 가이드되어 있다. 한 쌍의 벽부(55)는 또, 접속되어야 할 한 쌍의 광 커넥터(4, 7A) 내의 광 파이버의 광 축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어댑터(5A)는 탑재면(56a) 상에는 제 3 벽면(58)을 가질 수 있다. 벽부(58)는 긴 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바닥부(56)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 있다. 벽부(58)의 제 1 내지 제 3의 세 변은 바닥부(56) 및 한 쌍의 벽부(55)에 접하고 있다. 벽부(58)는 노치(58a)를 갖는다. 노치(58a)는 벽부(58)의 제 4변으로부터 탑재면(56a)를 향해 설치된 오목부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탑재면(56a)에 이르고 있다. 이 노치(58a)로부터 커넥터(4)에 접속된 광 파이버 심선(3)이 도입된다. 이 노치(58a)를 통해 도입된 광 파이버 심선(3)은 탑재면(56a) 상에 배치되어 있는 광 커넥터(4)에 무리 없이 유도된다.
어댑터(5A)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같은 내열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5A)가 견뎌야 할 온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면, 납땜 공정에서 노출되는 온도이다.
바닥부(56)에 대한 노치(58a) 깊이는 광 모듈(2)과 어댑터(5A)가 기판(10)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광 커넥터(4)가 어댑터(5A)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광 파이버 심선(3)이 기판(10)에 대해 거의 평행해지도록 규정될 수 있다. 아울러, 바닥부(56)의 탑재면(56a)에는 배치된 광 커넥터(4, 7A)의 광 축 방향이 기판(10)에 대해 거의 평행해지도록, 광 커넥터(4, 7A)의 형상에 맞춘 기복(56b, 56c, 56d; 起伏)이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A)의 제 1 및 제 2 벽부(55a, 55b) 및 바닥부(56)는 광 커넥터(4, 7A)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A)의 한 쌍의 벽부(55a, 55b) 사이에는 탑재면(56a)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 1 개구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댑터(5A)는 제 1 개구부(50)로부터 광 커넥터(4)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 어댑터(5A)의 한 쌍의 벽부(55a, 55b) 사이에는 제 2 개구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개구부(51)는 소정의 축(8; 도 2)이 신장하는 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 2 개구부(51)는 어댑터(5A)에 관해 광 모듈(2)과 반대 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댑터(5A)는 이 개구부(51)로부터 광 커넥터(7A)를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구부(50)로부터 광 커넥터(4)를 어댑터에 수납하여, 이 광 커넥터(4)를 향해 제 2 개구부(51)로부터 광 커넥터(7A)를 삽입할 수 있다. 이 삽입 방향은 보존된 광 커넥터(4)의 광 축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어댑터(5A)는 탑재면(56a)에 관해, 벽부(55)와 반대 측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래칫 부분(57)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래칫 부분(57) 각각은 바닥부(56)의 네 구석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각 래칫 부분(57)에는 클로우(57a; claw)가 한쪽 끝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클로우(57a)는 테이퍼면(57b) 및 래칫 면(57c)을 갖는다. 테이퍼면(57b)은 커넥터(5)가 기판에 탑재될 때에, 래칫 부분(57)이 삽입되어야 할 설치 구멍(12)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래칫 면(57c)은 래칫 부분(57)이 설치 구멍(12)에 삽입된 후에 기판(10)의 이면(14)과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A)의 래칫 부분(57)을 설치 구멍(12) 위치에 맞추어,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E방향으로 어댑터(5A)를 이동시킨다. 어댑터(5A)를 기판(10)을 향해 가압하면, 테이퍼면(57b)이 설치 구멍(12)의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각각의 래칫 부분(57)은 기판(10)으로부터 힘을 받아, 래칫 부분(57)이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테이퍼면(57b)이 기판(1)의 설치 구멍(12)를 넘어가면, 각각의 래칫 부분(57)의 굴곡은 개방되어 래칫 부분(57)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클로우(57)가 설치 구멍(12)에 끼워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래칫 면(57c)은 기판(1O)의 이면(14)에 대면하고 있다. 어댑터(5A)의 래칫 부분(57)이 래칫되면, 어댑터(5A)가 기판(10)에 고정된다.
어댑터(5A)에 있어서, 바닥부(56)는 탑재면(56a)에 관해서 한 쌍의 벽부(55a, 55b)와 반대 측에 설치된 지지부(56e)를 갖는다. 지지부(56e)는 기판(10)과 바닥부(56)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부(56e)는 어댑터(5A)의 한쪽 끝으로부터 신장하며, 긴 변 방향에 관해서 바닥부(56)를 따라 신장하여, 디른쪽 끝에서 바닥부(56)에 도달하는 지지판을 갖는다. 지지부(56e)는 기판(10)과 바닥부(56)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층은 기판(10)으로부터 어댑터(5A)로의 열 전도를 작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A)는 가이드 부재(53)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53)는 소정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아암 부(53a; arm)와, 소정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교부(53b)를 갖는다. 한 쌍의 아암 부(53a)의 각각의 선단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돌기(54)를 갖는다. 또, 어댑터(5A)는 어댑터(5A)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스토퍼(52)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53)는 스토퍼(52)에 접촉하면, 스토퍼(52)를 넘어 이동할 수 없다. 즉, 스토퍼(52)는 광 커넥터(4)의 광 파이버 심선(3)이 신장하는 방향에 관해서 가이드 부재(53)가 이동 가능한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스토퍼(52)는 한 쌍의 벽부(55) 사이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벽부(55) 내측면(55c, 55d)은 스토퍼(5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어댑터(5A)에서는 그 내측면(55c, 55d)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55e, 55f)를 갖는다.
도 3의 (a)는 광 모듈 생산물(9A)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b)는 위치 결정부(57)에 설치된 스토퍼(52)를 확대한 도면이다. 위치 결정부(55e, 55f)는 예를 들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볼록부(55e, 55f)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주기적으로 설치된 오목부(55e, 55f)를 포 함할 수 있다.
스토퍼(52)는 내측면(55c, 55d)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55e, 55f)와 맞추어지는 맞물림 부(52a, 52b)를 양단에 구비한다. 맞물림 부(52a, 52b) 각각은 위치 결정부(55e, 55f)에 포함되는 볼록부 및 오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맞물림 부(52a, 52b)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볼록부(55e, 55f)에 대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주기적으로 설치된 오목부(55e, 55f)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55e, 55f)가 형성되어야 할 범위는 광 커넥터(4) 위치를 조정해야 할 범위에 대응하도록 결정된다. 스토퍼(52)는 광 커넥터(4)를 배치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은 이하 순서에 따라서 행해진다. 배치되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부(55e, 55f)에 스토퍼(52)를 맞춘다. 스토퍼(52)를 위치 결정부(55e, 55f)를 따라 탑재면(55a)을 향해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52)는 광 커넥터(4)의 광 축 방향에 관해서 위치 결정되었다. 스토퍼(52)는 탑재면(55a)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뽑을 수 있다. 맞물림 부(52a, 52b)와 위치 결정부(55e, 55f)와의 맞물림 위치를 바꾸어 다시 설치하면, 그 설치 위치를 광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위치 결정된 스토퍼(5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53)는 한 쌍의 아암 부(53a) 각각에 맞물림 돌기(54)를 갖는다. 맞물림 돌기(54)는 광 커넥터(7A)의 맞물림 부(74)와 끼워맞춰져, 광 커넥터(4)와 광 커넥터(7A)와의 접속이 달성된다. 이 때문에, 맞물림 돌기(54)는 테이퍼면(54a) 및 래칫 면(54b)을 갖는다. 테이퍼면(54a)은 화살표 A(도 1)방향으로 광 커넥터(7A)가 가압되어 맞물림 부(74)의 테이퍼면(74a)과 접하면, 이에 의해, 맞물림 부(74)를 안쪽으로 서서히 가압하여 구부러진다. 광 커넥터(7A)의 테이퍼면(74a)이 맞물림 돌기(54)를 넘어가면, 각각의 맞물림 부(74)의 굴곡은 개방되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맞물림 부(74)가 가이드 돌기(54)에 끼워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맞물림 부재(53)의 래칫 면(54b)은 광 커넥터(7A)의 래칫 면(74b)에 대면하고 있다. 광 커넥터(7A)의 맞물림 부(74)가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 돌기(54)에 래칫되면, 광 커넥터(7A)가 가이드 부재(53)에 고정된다.
가교부(53b; 架橋部)는 한 쌍의 아암 부(53a)를 결합하고 있다. 가교부(53b)에 의해, 가이드 부재(53)의 아암 부(53a)는 광 커넥터(4)를 그 측면(40d, 40e)으로부터 끼우도록 보존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 부(53a)의 내면(53c)은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양 내면(53c)은 광 커넥터(4)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교부(53b) 및 스토퍼(52)는 광 커넥터(4)에 접속되는 광 파이버 심선(3)을 탑재면(56a)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탑재면(56a)에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광 파이버 심선(3)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어댑터(5A)는 제 1 개구부(50)를 닫도록 설치되는 덮개(6A)를 구비한다. 덮개(6A)는 제 1 개구부(50) 전체를 덮는 크기를 갖는 판 형상의 덮개부(60)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제 1 개구부(50)로부터 광 커넥터(4)에 주어지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덮개(6A)는 또, 복수의 다리부(62; 脚部)를 갖는다. 복수의 다리부(62)는 덮개(6A)가 어댑터(5A)의 바닥부(56)에 설치 가능하도록, 덮개부(60)의 내면(60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덮개부(60)가 대향하 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고 있다. 다리부(62) 각각에는 맞물림 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부(64)는 다리부(62)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돌기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돌기를 형성하는 테이퍼면(64a)은 볼록 형상을 갖는다. 덮개(6A)가 맞물림 부(62)를 갖기 때문에, 어댑터(5A)에 덮개(6A)가 설치되었을 때에 맞물림 부(64)가 어댑터(5A)의 바닥부에 끼워맞춰지며, 이것에 의해, 덮개(6A)가 개구부(50)를 닫은 채로 보존된다. 덮개(6A)도 어댑터(5A)와 마찬가지로 내열성이 있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동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62)가 갖는 맞물림 부(64) 형태를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다른 맞물림 부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 본원의 다른 맞물림 부 형태를 다리부(62)의 맞물림 부(64)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덮개부(6O)의 내면(60a)에는 볼록부(6Ob)(도 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0b) 및 탑재면(56a)은 덮개(6A)가 제 1 개구부(50)를 덮었을 때에, 광 커넥터(4)와 광 커넥터(7A)와의 위치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이것에 의해, 이들을 탑재면(56a)에 수직인 방향에 관해서 위치 결정한다.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서, 커넥터(7A)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커넥터(7A)는 페룰(7O), 스프링(71) 및 삽입 부재(72)를 구비한다. 광 커넥터(7A)에는 단부에서 피복이 제거된 광 파이버 심선(76)이 접속되어 있다. 페룰(70)은 MT 커넥터에 사용되는 페룰이며, 그 내부에는 광 파이버 심선(76)의 광 파이버가 배열되어 있다.
페룰(70)에 인접하여, 스프링(71)과 같은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광 커넥터(7)에서는 스프링(71) 내에서 광 파이버 심선(76)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스프링(71)에 인접하여, 삽입 부재(7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부재(72) 내에는 광 파이버 심선(76)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76)이 이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부재(72)는 광 파이버 심선(7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삽입 부재(72)는 한 쌍의 아암 부(73)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아암 부(73)는 삽입 부재(72)의 측면으로부터 페룰(70)을 향해 신장하고 있다. 아암 부(73) 각각은 그 선단에 맞물림 부(74)를 갖고 있다. 맞물림 부(74)는 가이드 부재(53)의 맞물림 부(54)에 끼워맞춰진다. 또, 삽입 부재(72)의 상면에는 축(8)을 따라 어댑터(5A) 내에 삽입되도록, 볼록부(75)가 광 커넥터(7)의 광 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75)는 덮개부(60)의 하면(60a)에 형성된 오목 홈(60c; 도 2)이 광 커넥터(7A)를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볼록부(75) 대신 오목부를 적용하고, 오목 홈(60c) 대신 볼록부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도 5를 참조하면서, 광 모듈 생산물(9A)에 광 커넥터(7)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모듈(2)에 접속된 광 커넥터(4), 어댑터(5A), 스토퍼(52), 가이드 부재(53) 및 덮개(6A)는 이하의 순서로 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댑터(5A)에 대해 화살표 B를 따라서 광 커넥터(4)가 탑재면(56a) 상에 배치된다. 광 커넥터(4)에 인접하도록 가이드 부재(53)를 화살표 C를 따라서 탑재면(56a) 상에 배치한다. 이어서, 어댑터(5A)에 대해 스토퍼(52)를 위치 결정하여 화살표 C에 따라서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광 커넥터(4)의 이동은 제한된다. 계속해서, 광 커넥터(4)를 덮도록 화살표 D를 따라서 덮개(6A)를 배치한다. 덮개(6A)는 제 1 개방부(5O)를 닫으며, 이에 의해, 광 커넥터(4), 스토퍼(52) 및 가이드 부재(53)를 보호하고 있다.
또, 어댑터(5A)의 제 1 개구부(50)가 덮개(6A)로 닫히면, 덮개(6A)를 포함하는 어댑터(5A)는 광 커넥터(7A)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한다. 즉, 광 커넥터(7A)는 제 2 개구부(51)로부터 가압하면, 바닥부(56a), 한 쌍의 벽부(55) 및 덮개부(60)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광 커넥터(4)와 페룰(70)은 가이드 핀(40)에 의해 서로 위치 결정된다.
광 커넥터(4)와 페룰(70)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부터 광 커넥터(7A)를 더욱 가압하면, 스프링(71)이 수축되며, 가이드 부재(53)의 맞물림 부(54)와 삽입 부재(72)의 맞물림 부(74)가 끼워맞춰진다. 맞물림 부(54, 74)가 끼워맞춰지면, 스프링(71)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광 커넥터(4)와 광 커넥터(7A)가 고정된다.
이러한 접속에 있어서, 스토퍼(52)가 광 커넥터(4)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3)에 직접 가해지는 외력이 저감된다. 또, 광 파이버 심선(3)의 굴곡도 저감된다. 이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3)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접속 시에 가해지는 힘은 광 모듈(2)에 직접 가해지지 않는다.
광 커넥터(4)와 가이드 부재(53) 사이 및 가이드 부재(53)와 스토퍼(52) 사 이 중 어느 하나에 약간의 갭(밀리미터 미만의 갭)이 생기고 있었다고 해도, 이 접속에 있어서 실용상 지장이 없다.
도 4 및 도 5는 어댑터(5A)에 수납된 광 커넥터(4) 및 광 커넥터(7A)를 도시한다. 광 커넥터(4)에 광 커넥터(7A)를 설치한 후에, 광 커넥터(7A)에 접속되어 있는 광 파이버 심선(76)을 배선 가교(78) 상에 설치된 고정부(79)에 고정한다.
기판(10)에 광 모듈(2) 및 그 밖의 전자 부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리플로우 솔더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광 파이버 심선(3) 및 광 커넥터(4)는 열에 약하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에 있어서의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열 수축 튜브(30)와 같은 보호층으로 광 파이버 심선(3)을 보호하고 있다. 또, 덮개부(6A)와 같은 차폐물로, 광 커넥터(4)를 열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의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A) 및 광 모듈 생산물(9A)에 의하면, 광 커넥터(4)와 광 모듈(2) 사이에 광 파이버 심선(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4)에 광 커넥터(7A)를 탈착할 때의 힘이 광 모듈(2)에 직접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광 모듈(2)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특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광 커넥터(4)를 보존하는 어댑터(5A)를 구비했기 때문에, 광 모듈(2)과 다른 위치에 있어서 광 커넥터(4)로 광 커넥터(7A)를 접속할 수 있다. 즉,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위치에 어댑터(5A)를 배치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전자 부품과의 접속에 적합한 위치에 광 모듈(2)을 배치할 수 있다. 이들 사이는 광 파이버 심선(3)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접속을 빠르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트 기판 설계에 관한 제한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9A) 및 광 모듈 탑재 기판(10)과 다른 구조의 리셉터클형 광 모듈에서는 그 자체가 커넥터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영역을 광 모듈 근방에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 영역에 다른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본원에 관련되는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역은 불필요해진다.
광 모듈(2) 및 어댑터(5A)가 모두 기판(10)에 고정되고, 또 광 커넥터(4)가 어댑터(5A) 내에 보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 모듈(2)과 광 커넥터(4) 사이의 광 파이버 심선(3)에 굴곡 발생이 방지된다.
어댑터(5A)가 제 1 개구부(50) 및 제 2 개구부(51)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3)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 1 개구부(50)를 거쳐 광 커넥터(4)를 어댑터(5A)에 배치할 수 있고, 또, 제 2 개구부(51)를 거쳐 광 커넥터(7A)를 광 커넥터(4)와 접속할 수 있다.
광 커넥터(4)가 푸시-온형 광 커넥터이기 때문에, 제 2 개구부(51)로부터 광 커넥터(7)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접속이 완료한다.
어댑터(5A)는 또, 스토퍼(52)를 갖고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7A)를 접속할 때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야기되는 광 파이버 심선(3)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광 커넥터(4)가 푸시-온형 광 커넥터일 때에 특히 유효하다.
스토퍼(52)는 소위 페룰 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페룰 백 현상이 생기면, 광 커넥터(4)에 대해 광 커넥터(7A)를 설치할 때에, 스프링(71)의 반발력에 의 해 광 커넥터(4)가 광 파이버 심선(3)을 따라 이동해버린다. 이 반발력을 광 파이버 심선(3)에 생기는 휘어짐에 의해 흡수할 수 없을 때는 이 현상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3)의 특성에 영향을 주어버린다.
어댑터(5A)에 탑재된 광 커넥터(4)의 위치는 광 모듈(2)에 대해 광 파이버 심선(3) 및 광 커넥터(4)의 조립 정밀도 및 기판(10)으로의 설치 정밀도에 의존하여, 제품마다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일례를 나타내면, 광 파이버 심선(3)의 길이가 30mm 정도일 때에, 광 커넥터(4)의 위치는 광 축 방향으로 1mm 정도의 어긋남을 초래한다. 그렇지만, 스토퍼(5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52)의 설치 위치에 의해 제품마다의 위치 어긋남을 보상할 수 있다. 이것은 광 커넥터(4)의 페룰 백 현상을 억제하기 때문에 유효하다.
스토퍼(52)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어댑터(5A)의 벽부(55)의 내측면(55c, 55d) 상에 위치 결정부(55e, 55f)를 설치했기 때문에,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광 커넥터(4)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위치 조정의 미세함은 위치 결정부(55e, 55f)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피치에 의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함으로 고정밀도로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들은 간소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덮개(6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4)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3)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6A)는 접속되어 있는 광 커넥터(4)를 덮기 때문에, 주위 부품과의 접촉 및 먼지로부터 광 커넥터(4)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덮개(6A)에 의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로 부터 광 커넥터(4)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 좋은 광 모듈 부재를 제조하는 데 유효하다.
광 파이버 심선(3)이 열 수축 튜브(30)와 같은 피복층을 갖기 때문에, 이 보호층은 광 파이버 심선(3)과 주위 부품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3)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품질 좋은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을 제조할 수 있다. 피복층을 설치하면, 광 파이버 심선(3)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특히, 열 수축 튜브(30)를 채용하면, 피복층을 광 파이버 심선(3)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열 수축 튜브(30)는 내열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로부터 광 파이버 심선(3)을 보호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열 수축 튜브(30)를 사용하면, 피복층을 광 커넥터(4)의 부츠(41) 및 광 모듈(2)과의 접속부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 파이버 심선(3)이 구부러지기 쉬운 이들 접속부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3)이 굴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제 1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각종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어댑터에 관해서, 특히 언급하지 않는 부분에는 이미 설명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에 도시되는 어댑터(5B)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토퍼(52)와 가이드 부재(53)와의 기능을 아울러 일체화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63)를 갖고 있다. 맞물림 부(63d, 63e)는 가이드 부재(63)의 양 아암 부(63a)를 연결하는 가교부(63b)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어댑터(5B)를 사용해도, 제 1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과 완전히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에 도시되는 어댑터(5C)는 제 3 벽부(58)의 내측면을 스토퍼로서 이용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어댑터(5C)를 사용하면, 스토퍼(제 3 벽부(5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는 제한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형태의 어댑터(5C)는 도 6에 도시한 어댑터(5B)가 구비하는 위치 결정부(55e, 55f) 및 별개의 부품으로서 스토퍼(52)가 불필요해지는 점에 있어서, 도 6의 광 모듈 생산물과 비교하여 간소하다. 그렇지만, 어댑터(5C)는 위치 결정부(55e, 55f)를 구비할 수도 있다. 어댑터(5C)는 그 기판으로 설치하는 위치를 변경하면, 광 모듈(2)의 설치 위치에 대해 광 커넥터(4)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어댑터(5D)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토퍼(52)를 갖고 있지 않다. 또, 스토퍼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벽부(55) 내측면에 위치 결정부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형태의 어댑터(5D)는 이 점에 있어서 간소한 형태를 갖는다. 어댑터(5D)에서는 광 커넥터(4)가 가이드 부재(53)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어댑터(5D)는 광 파이버 심선(3)이 열 수축 튜브(30)와 같은 피복층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경우에 유효한 형태를 갖는다. 이 때에는 광 커넥터(7) 접속 시에 가해지는 광 축 방향의 힘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형태의 어댑터(5D)에서는 푸시-온형 광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그 광 축 방향의 가압력이 광 모듈(2)에도 가해진다. 그렇지만, 광 커넥터를 접속한 후는 삽입 부재(72)와 맞물린 가이드 부재(53)가 그 가압력을 받아 막기 때문에, 광 모듈(2)에 직접 가해지는 일이 없다. 광 커넥터 착탈 작업 시에 가해지는 기판(10)의 상면 방향으로부터 생기는 굽힘 모멘트, 기판(10)의 휘어짐에 의해 생기는 굽힘 모멘트와 같은 다른 힘이 발생해도, 피복층(30)에 의해 보호된 광 파이버 심선(3)이 흡수하기 때문에, 광 모듈(2)에 미치는 일은 없다.
특히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이드 부재(53)는 어댑터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어댑터(5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 쌍의 벽부(55a, 55b)는 외측면(55j, 55k) 상에 가이드 홈(55l, 55m)을 구비한다(외측면(55j) 상에도 설치되어 있지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 홈(55l, 55m)은 덮개(6)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도록 다리부(62)를 가이드한다. 가이드 홈(55l, 55m) 각각은 외벽면(55k)의 한 변으로부터 바닥부(56) 방향을 향해 신장한다. 가이드 홈(55l, 55m)은 또, 외측면(55k)의 한 변 근방에 부채꼴로 넓어진 부채형 홈과, 이에 계속되는 직사각형 홈을 갖는다. 이 때문에, 다리부(62)의 맞물림 부(65)를 부채형 홈에 삽입하면, 용이하게 가이드 홈으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6A)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바닥부(56)는 어댑터(5E)가 기판(10; 도시하지 않는다) 상에 배치되었을 때, 바닥면으로부터 신장한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부(56e)를 구비한다. 각각의 지지부(56e)는 기판(10)과 바닥부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기 때문에,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56e)에 인접하여 공기에 의한 단열층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9B)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B)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9B)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된 어댑터(5A) 및 덮개(6A)와 다른 어댑터(5D) 및 덮개(6B)를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또, 제 1 실시예의 광 커넥터(7A)와 다른 광 커넥터(7B)를 구비한다.
어댑터(5D)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재면(55a)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개구된 제 1 개구부(50)와, 어댑터(5D) 내에 배치된 광 커넥터(4)의 광 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 2 개구부(51)를 갖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광 커넥터(4)는 푸시-온형 커넥터로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5D)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어댑터(5A)와 같은 스토퍼(52), 가이드 부재(53) 및 위치 결정부(55e, 55f)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한편, 어댑터(5D)는 광 커넥터(5)를 광 축에 관한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한 쌍의 벽부(55a, 55b) 내측면에는 볼록부(55g, 55h)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5g, 55h)는 광 커넥터(4, 7B)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볼록부(55g, 55h)의 간격은 광 커넥터(4, 7B)의 가로 폭보다 약간 큰 값이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어댑터(5D)에 있어서, 바닥부(56)는 탑재면(56a)에 관해서 한 쌍의 벽부(55a, 55b)와 반대 측으로 신장하는 지지부(56e)를 갖는다. 지지부(56e)는 기판(10)과 바닥부(56) 사이에 위치하며, 어댑터(5D)의 긴 변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 향에 걸쳐 신장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갖는다. 지지부(56e)는 기판(10)과 바닥부(56)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층은 기판(10)으로부터 열 전도를 작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D)는 한 쌍의 벽부(55a, 55b) 외측면 각각에 돌기(59)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6B)의 한쪽 끝에는 한 쌍의 힌지 부(6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힌지 부(66) 각각에는 어댑터(5D)가 구비하는 돌기(59)를 삽입하도록 설치된 힌지 구멍(66a)을 갖는다. 어댑터(5D)의 돌기(59)에 덮개(6B)의 힌지 구멍(66a)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돌기(59)를 연결하는 축에 관해서 덮개(6B)가 회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덮개(6B)는 제 1 개구부(50)를 개폐하도록 어댑터(5D)에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5D)의 제 1 개구부(5O)를 덮는 덮개(6B)는 어댑터(5D) 전체를 덮는 것이 가능한 면적을 갖는다. 덮개(6B)는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다리부(62)를 갖는다. 한 쌍의 다리부(62)의 선단 각각에는 맞물림 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6B)가 제 1 개구부(50)를 덮도록 배치될 때, 맞물림 부(64)는 어댑터(5D)의 바닥부(56)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 결과, 덮개(6B)는 제 1 개구부(50)를 덮은 상태가 유지된다.
덮개(6B)는 한 쌍의 힌지 부(66) 사이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노치(68)를 갖는다. 노치(68)는 어댑터(5D) 내에 광 커넥터(4)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도, 덮개(6B)를 충분히 열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7)는 MT 커넥터이다. MT 커넥터는 광 파 이버 심선(76)의 선단에 설치된 페룰(70)을 포함한다. 광 커넥터(4)와 광 커넥터(7B)를 접속한 후에, 양자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광 커넥터 클립(80)이 사용된다. 광 커넥터 클립(80)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광 커넥터 클립용 공구(82)를 사용하여 착탈된다.
광 모듈 생산물(9B)에 대해 광 커넥터(7B)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F방향을 따라서, 광 커넥터(4)를 제 1 개구부(50)로부터 어댑터(5D)의 탑재면(56) 상에 배치한다. 화살표 G방향을 따라서, 돌기(59)를 힌지 구멍(66a)에 삽입하여, 덮개(6B)를 어댑터(5D)에 설치한다. 이어서, 화살표 H를 따라서, 제 2 개구부(51)로부터 광 커넥터(7B)를 삽입하여, 광 커넥터(4)의 단면과 광 커넥터(7B) 단면을 대면시킨다. 그 후에, 화살표 J방향을 따라서, 공구(82)를 사용하여 광 커넥터(4) 및 광 커넥터(7B)에 걸쳐 제 1 개구부(50)로부터 광 커넥터 클립(80)을 설치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6B)를 닫는다.
덮개(6B)가 개방 및 폐쇄 어느 쪽이라도, 광 커넥터(4)의 단면과 광 커넥터(7B)의 단면을 대면시키는 작업은 가능하다. 눈으로 보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다음 공정에서 광 커넥터 클립(80)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은 덮개(6B)를 연 상태에서 커넥터(4, 7B)끼리의 접속이 행해진다.
제 2 실시예에서 도시된 광 모듈 생산물(9B)도 광 커넥터(4)를 푸시-온형 광 커넥터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점에 관련되는 효과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광 모듈 생산물(9A)이 갖고 있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0)은 프린트 배선이 실시된 프린트 배선 기판이었지만, 단지, 광 모듈(2) 및 어댑터(5A 내지 5D)를 고정하기 위한 판 형상 부재일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개구부(50)와 제 2 개구부(51)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개구부(50, 51)가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6A, 6B)는 어댑터(5A 내지 5D)에 대해 설치되었지만, 제 1 개구부(50)를 덮도록 기판(10)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 커넥터(7A)가 스프링을 포함하는 푸시-온형 광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광 커넥터(4)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쌍방을 내장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푸시-온형 광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MT 커넥터를 이용했지만, MPO 커넥터를 이용하여 푸시-온형 광 커넥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피그테일(pig-tail)형 광 모듈은 선단에 광 커넥터가 설치된 수십 센티미터 이상의 광 모듈로부터 연장된 광 파이버 심선을 갖는다. 이렇게, 피그테일형 광 모듈에 있어서는 광 파이버 심선 길이에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 접속 시의 페룰 백 현상에 의해, 광 모듈 및 광 파이버 심선에 힘을 미치게 하여 특성 변동을 야기하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피그테일형 광 모듈에서는 기판 상에 광 파이버 심선을 통합해 둘 영역이 필요하다. 이 점에 있어서, 기판 상에서 공간 절약을 위해 광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을 의도한 본 발명의 광 모듈 생산물과는 다르다.
이러한 피그테일형 광 모듈은 광 모듈의 조립 공정 및 기판으로의 광 모듈의 부품 실장 공정에 있어서 광 파이버 심선의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조립 자동화 및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의 적용은 곤란했다. 그렇지만, 이러한 피그테일형 광 모듈이 갖고 있는 결점도 본 발명은 개선할 수 있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한 쌍의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16)은 광 모듈(2a, 2b, 2c, 2d)(2e, 2f, 2g, 2h)과, 어댑터(5a, 5b, 5c, 5d)(5e, 5f, 5g, 5h)와, 광 커넥터(4a, 4b, 4c, 4d)(4e, 4f, 4g, 4h)와, 광 모듈(2a, 2b, 2c, 2d)(2e, 2f, 2g, 2h) 및 광 커넥터(4a, 4b, 4c, 4d)(4e, 4f, 4g, 4h)를 각각 접속하는 광 파이버 심선(3a, 3b, 3c, 3d)(3e, 3f, 3g, 3h)과, 프린트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10a)을 구비한다. 광 커넥터(4a, 4b, 4c, 4d)(4e, 4f, 4g, 4h)는 각각 광 커넥터(7a, 7b, 7c, 7d)(7e, 7f, 7g, 7h)와 접속되어 있다. 광 커넥터(7a, 7b, 7c, 7d)는 광 파이버 심선(76a, 786b, 76c, 76d)을 거쳐 광 커넥터(7e, 7f, 7g, 7h)와 접속되어 있다.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에는 더욱이,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100a-d)을 탑재할 수 있다.
이렇게,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 및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6)은 동일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에 대해서 행한다.
광 모듈(2a-d)은 광 파이버 심선(3a-d)이 신장하는 면을 기판(10a)의 한 변(10c)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5a-d)는 광 모듈(10a-d)과 한 변(10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5a-d)에는 광 파이버 심선(3a-d)의 한쪽 끝에 접속된 광 커넥터(4a-d)가 그 광 축을 기판(10a)의 한 변(10c)을 향한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에서는 광 커넥터(4a-d)와, 다른 광 커넥터(7a-d)를 기판(10a)의 한 변(1Oc)에서 접속할 수 있다. 어댑터(5a-d)를 개재시켜, 광 커넥터(4a-d)와 광 커넥터(7a-d)를 접속하면, 커넥터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다른 광 커넥터(7a-d)가 기판(1Oa)의 한 변(10c)으로부터 일부분이 밀려 나온 위치에서 접속되도록, 어댑터(5a-d)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어댑터(5a-d)를 배치하면, 기판(10a)을 덮는 커버를 설치해도, 어댑터(5a-d)를 기판(10a)의 한 변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7a-d) 설치가 용이해진다.
도 13에 도시한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로는 광 커넥터(7a-d)를 광 커넥터(4a-d)와 접속할 때에, 광 모듈(2a-d)에 힘이 직접 미치지 않는다. 한편, 피그테일형 광 모듈에서는 기판(10a) 상에 고정하기 때문에, 광 커넥터와 광 모듈을 접속하는 광 파이버를 구부려 감아 정리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또, 구부려 감긴 광 파이버를 배치하는 기판(10a) 상에 영역도 필요하다. 구부려 감긴 광 파이버의 직경은 약 40mm이다. 그렇지만,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15)로는 이러한 처치 및 영역이 모두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광 모듈(2a-d)과 어댑터(5a-d)와 거리를 40mm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0mm로 하고 있다. 이 간격의 최소치는 어댑터(5a-d)에 광 커넥터(4a-d)를 배치할 때에 광 파이버 심선(3a-d)의 허용 곡율을 고려하면, 10mm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처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광 모듈(2a-d)을 기판(10a)의 한 변(10c)을 따라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또, 광 모듈(2a-d)의 배치 밀도를 상기 영역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향상할 수 있다. 어댑터(5a-d)는 제 2 개구부(5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광 모듈을 인접하여 배치해도, 광 커넥터(7a-d)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a)의 한 변(10c)의 유효 설치 치수는 280mm이며, 광 모듈 폭은 16mm이다. 이 때문에, 16개의 광 모듈을 기판(10a)의 한 변(10c)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1채널당 2.4Gbit의 전송 용량을 갖는 광 전송로를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각각 8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변이 300mm인 기판에 광 모듈을 고밀도로 탑재하면, 16OGbit의 전송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값은 1채널당 전송 용량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탑재면 상에 한 쌍의 벽부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탑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제 1 광 커넥터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소정의 축을 따라 제 2 광 커넥터를 수 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수납된 제 1 광 커넥터에 대해, 소정의 축 방향으로부터 제 2 커넥터를 집어넣을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 내에 있어서, 제 2 광 커넥터를 제 1 광 커넥터와 탈착하기 때문에, 커넥터 탈착시의 광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생산물은 광 커넥터용 어댑터, 광 파이버 심선 및 광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광 커넥터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광 커넥터용 어댑터가 광 모듈로부터 연장된 광 파이버 심선의 한쪽 끝에 설치된 광 커넥터를 보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 파이버 심선에 굽힘력과 같은 각종 힘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은 1 또는 2이상의 광 모듈 생산물과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 상에는 광 모듈 및 광 커넥터용 어댑터가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에 수납된 제 1 광 커넥터를 개재시켜 제 2 광 커넥터를 착탈하기 때문에, 제 1 커넥터의 한쪽 끝에 광 모듈이 접속되어 있어도, 접속 시에 광 모듈에 직접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배치는 광 모듈이 접속 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특성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광 모듈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광 파이버 심선의 탈착을 행할 때에, 광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가능한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 생산물이 탑재된 광 모듈 탑재 기판이 제공된다.

Claims (20)

  1. 소정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제 1 및 제 2 광 커넥터를 탑재하도록 설치된 탑재면을 갖는 바닥부와,
    각각의 내벽면이 대면하도록 상기 탑재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소정의 축을 따라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는 상기 제 1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탑재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해 설치된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소정의 축 방향을 향해 설치된 제 2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커넥터가 상기 소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부가로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상기 소정의 축 방향에 관해서 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의 내벽면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상기 소정의 축 방향에 관해서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와, 상기 바닥부에 접하며, 상기 소정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벽부를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3 벽부는 노치를 갖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탑재면에 대면하도록 배치 가능한 덮개를 부가로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8.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탑재면에 관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와 반대측으로 신장하는 래칫 부분을 갖는 광 커넥터용 어댑터.
  9. 제 1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0. 제 3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1. 제 4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2. 제 5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3. 제 6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4. 제 7 항에 기재된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 전기 신호로부터 광 신호로의 변환 및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하는 광 모듈과,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광 파이버 심선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되어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된 광 커넥터를 구비하는 광 모듈 생산물.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은 피복층을 갖는 광 모듈 생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의 측면에 밀착한 열 수축 튜브를 포함하 는 광 모듈 생산물.
  17. 광 모듈, 광 파이버 심선, 광 커넥터 및 광 커넥터용 어댑터를 갖는 1 또는 2이상의 광 모듈 생산물과,
    도전 배선층을 가지며, 상기 광 모듈 및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가 설치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은 상기 광 모듈에 접속된 제 1 단부 및 상기 광 커넥터에 접속된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소정의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광 커넥터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면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가 대향하는 두 변에 설치되어 상기 소정의 축을 따라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벽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는 상기 제 1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탑재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해 설치된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광 커넥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소정의 축 방향을 향해 설치된 제 2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광 커넥터는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에 수납된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과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와의 간격은 10mm 이상 40mm 이하 인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 상기 광 커넥터, 상기 광 파이버 심선 및 상기 광 커넥터용 어댑터는 상기 광 모듈 생산물의 광 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광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 생산물은 16개 설치되며, 각각은 상기 기판의 한 변에 면하고 있는 모듈 탑재 기판 생산물.
KR1020017001417A 1998-08-04 1999-08-04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탑재 기판 생산물 KR100596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37098 1998-08-04
JP98-220370 1998-08-04
PCT/JP1999/004213 WO2000008503A1 (fr) 1998-08-04 1999-08-04 Adaptateur de connecteur de module optique, produit de module optique et produit de substrat de montage du module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42A KR20010082042A (ko) 2001-08-29
KR100596955B1 true KR100596955B1 (ko) 2006-07-07

Family

ID=1675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417A KR100596955B1 (ko) 1998-08-04 1999-08-04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탑재 기판 생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32023B1 (ko)
EP (1) EP1118892B1 (ko)
JP (1) JP3994666B2 (ko)
KR (1) KR100596955B1 (ko)
CN (1) CN1208647C (ko)
DE (1) DE69937305T2 (ko)
WO (1) WO2000008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268B2 (en) * 2001-12-14 2005-06-14 Intel Corporation Heat-shrinkable retainer for PCB double-sided assembly
AU2003252501A1 (en) * 2002-07-15 2004-02-02 Ritsu Kawase Component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JP3989316B2 (ja) * 2002-07-15 2007-10-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
US7090412B2 (en) * 2002-08-02 2006-08-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US20040097120A1 (en) * 2002-11-14 2004-05-20 Limber Jamie A. Safety cage for electrical plugs
WO2004063785A1 (ja) * 2003-01-10 2004-07-29 J.S.T. Mfg. Co., Ltd. 光リセプタクル
NL1023290C2 (nl) * 2003-04-28 2004-11-01 Framatome Connectors Int Samenstel van een beschermingsdeksel en een printkaart.
US7090408B2 (en) * 2004-04-01 2006-08-15 Harris Corporation Ruggedized module for securely retaining multi-optical fiber interconnect ferrules
US20060147155A1 (en) * 2004-12-30 2006-07-06 Carl Fattal Double sided optical adaptor
JP4886299B2 (ja) * 2006-01-17 2012-0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EP2021848B1 (en) * 2006-05-05 2020-01-15 Reflex Photonics Inc. Optically-enabl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TW200821652A (en) * 2006-07-26 2008-05-16 Tomoegawa Co Ltd Optical connecting parts and optical connecting structure
JP4985498B2 (ja) * 2008-03-20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20090245736A1 (en) * 2008-03-31 2009-10-01 Ahadian Joseph F Connector attachment to a low height profile module
CN102405430B (zh) 2009-02-05 2014-09-24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光连接器装置
JP2011081107A (ja) * 2009-10-06 2011-04-21 Suruga Production Platform Co Ltd 光ファイバと光デバイスとの光軸調整方法
JP5117640B2 (ja) 2011-02-08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US9513442B2 (en) * 2011-07-22 2016-12-06 Sunsea Telecommunications Co., Ltd High density optical fiber switch module
JP6222084B2 (ja) * 2012-05-18 2017-11-0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システム
CN104216060A (zh) * 2013-07-05 2014-12-1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Mt接触件以及使用该接触件的光连接器
KR20160056914A (ko) 2013-09-16 2016-05-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통신 조립체
JP6281424B2 (ja) * 2014-06-24 2018-02-21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JP2016100426A (ja) * 2014-11-20 2016-05-30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US9291781B1 (en) * 2015-08-03 2016-03-22 Lightel Technologies, Inc. MT ferrule adapter for fitting MT ferrule assembly into MPO connector receptacle
TWI637205B (zh) * 2015-11-10 2018-10-01 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nnector group and connector group assembly method
CN105717579A (zh) * 2016-03-15 2016-06-29 成都奥捷通信技术有限公司 光纤适配器
EP3258301B1 (en) * 2016-06-15 2020-03-18 Hisense Broadband Multimedia Technologies, Ltd. Optical module with status indicator
US10228521B2 (en) * 2016-12-05 2019-03-12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Narrow width adapters and connectors with modular latching arm
US10761273B2 (en) 2017-06-13 2020-09-0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Snap in fiber optic ferrule adapter
JP7052943B2 (ja) * 2018-02-16 2022-04-12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CN110703390B (zh) * 2018-07-09 2021-07-20 菲尼萨公司 套圈与透镜间的闩锁机构、连接方法及光电系统
CN109407216B (zh) * 2018-10-30 2024-02-06 菲尼萨光电通讯(上海)有限公司 一种光纤插头与光学镜头的锁紧机构
JPWO2021256373A1 (ko) * 2020-06-15 2021-12-23
US11914204B2 (en) 2020-10-01 2024-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device with lid
CN112835148A (zh) * 2021-01-04 2021-05-25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172A (en) * 1978-08-15 1982-05-18 Bunker Ramo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transversely mateable plug portions
US4406514A (en) * 1980-03-26 1983-09-27 Harris Corporation Single fiber connector for pluggable card or module optical interconnections
JPS58172927A (ja) 1982-04-02 1983-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過負荷保護装置
JPS59157605A (ja) * 1983-02-28 1984-09-07 Fujitsu Ltd 光コネクタ
JPS6080402A (ja) 1983-10-07 1985-05-08 上田 直和 ルミネツセンスとオ−ロラ−フイルム等混合の人工宝石
JPS6080402U (ja) * 1983-11-08 1985-06-04 日立電線株式会社 多心一括フアイバの端末部処理構造
JPH0473562A (ja) 1990-07-12 1992-03-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滴状凝縮器の製作方法
US5214731A (en) * 1991-12-20 1993-05-25 Foxconn International, Inc.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simple ferrule assembly mechanism for easy assembling
JP3097385B2 (ja) 1993-03-31 2000-10-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アレイ
DE19539549C1 (de) * 1995-10-12 1996-12-05 Siemens Ag Optischer Steckverbinder
KR0184963B1 (ko) * 1995-10-31 1999-05-15 유기범 다심 광 케이블 접속용 콘넥터 조립체
JP3125674B2 (ja) * 1996-03-05 2001-01-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解離治具
JPH10104466A (ja) 1996-09-27 1998-04-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アレイ
JPH10339826A (ja) * 1997-06-09 1998-12-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の使用方法および光コネクタの取り外し工具
JP4036912B2 (ja) * 1996-12-05 2008-01-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EP0864893A3 (en) * 1997-03-13 1999-09-2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ackaging platform, optical module using the platform,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platform and the module
JPH1184174A (ja) 1997-09-12 1999-03-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内蔵型コネクタヘッド
JP4073562B2 (ja) * 1998-11-25 2008-04-09 クリナップ株式会社 食器洗浄乾燥機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8892A4 (en) 2005-01-05
CN1311867A (zh) 2001-09-05
KR20010082042A (ko) 2001-08-29
WO2000008503A1 (fr) 2000-02-17
US6632023B1 (en) 2003-10-14
CN1208647C (zh) 2005-06-29
EP1118892B1 (en) 2007-10-10
EP1118892A1 (en) 2001-07-25
DE69937305D1 (de) 2007-11-22
JP3994666B2 (ja) 2007-10-24
DE69937305T2 (de)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955B1 (ko) 광 모듈 커넥터용 어댑터, 광 모듈 생산물 및 광 모듈탑재 기판 생산물
JP3646979B2 (ja)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US5561727A (en) Card-shaped optical data link device
US6850674B2 (en) Optical device
KR100715383B1 (ko)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EP2836865B1 (en) Hermetic optical fiber alignment assembly having integrated optical element
US4135783A (en) Device for forming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a waveguide and another optical component
EP0895112B1 (en) Optical module
KR20020006481A (ko) 이중 기능의 먼지 덮개
US20190317291A1 (en) Thermally conductive closure for electronics
CA2362654A1 (en) Optical semiconductor module
US20200249401A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hybrid fiber/wire connections
US20010048792A1 (e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 achieving an optimum optical connection and useful for high density mounting
JP4381348B2 (ja) 光コンセント
US20240094481A1 (en) Optical apparatus, light emitting apparatus, optical cable, and method of connecting optical apparatus
JPH11202166A (ja) 光モジュール並びに光モジュールと光ファイバとの接続部
CN218213573U (zh) 一种有源光缆
US11656415B2 (en) Optical connector cable
US6840681B2 (en) Tandem type optical connector
JP2002023026A (ja) 光コネクタ
US20020015564A1 (en) Optical connector
JP2002023025A (ja) 光コネクタ
JPH1152181A (ja) 複数光コネクタの一括接続構造
WO2021241012A1 (ja) 光装置、光コネクタ、及び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30126489A (ko) 광전송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