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769B1 -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769B1
KR100581769B1 KR1020040038375A KR20040038375A KR100581769B1 KR 100581769 B1 KR100581769 B1 KR 100581769B1 KR 1020040038375 A KR1020040038375 A KR 1020040038375A KR 20040038375 A KR20040038375 A KR 20040038375A KR 100581769 B1 KR100581769 B1 KR 10058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gel polymer
battery
electrode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425A (ko
Inventor
김지호
유지상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4010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폴리머가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 코팅된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겔 폴리머(Gel Polymer)로 분리막을 부분 코팅함으로써, 전지의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 파워(Power)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전해액의 함침 속도를 높이고 함침 정도를 균일하게 하여 전지의 수명, 용량, 레이트(Rate) 특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전극 반응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튬 석출을 방지하여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 2차 전지, 분리막, 겔 폴리머, 안전성

Description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ING SEPARATOR PARTIALLY COATED WITH GEL POLYMER}
도 1은 일반적인 리튬 2차 전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라 겔 폴리머가 코팅되지 않은 일반 분리막을 사용한 적층형 전극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 따라 겔 폴리머가 전면 코팅된 분리막을 사용한 적층형 전극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그라비어 코팅법에 의해 겔 폴리머가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사용한 적층형 전극군의 모식도이다.
도 5는 겔 폴리머가 코팅되지 않은 일반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1)와 겔 폴리머가 코팅된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2, 3, 실시예 1)간의 전해액 함침 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겔 폴리머가 코팅되지 않은 일반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1)와 겔 폴리머가 코팅된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2, 3, 실시예 1)간의 싸이클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겔 폴리머가 코팅되지 않은 일반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1)와 겔 폴리머가 코팅된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2, 3, 실시예 1)간의 20C로 고율 방전 시의 방전 곡선 거동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극군 11: 양극
12: 음극 13: 분리막
2: 양극/음극 단자
3: 알루미튬 포장지(Al laminated film)
본 발명은 겔 폴리머가 부분 코팅된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한 전극군 및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기, 전자 기기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2차 전지의 수요 역시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리튬 2차 전지는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또한 휴대형 전기, 전자 기기가 고기능화, 소형화 형태로 바뀌어 가면서 전지의 고성능화와 동시에 소형화 및 다양한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 전지의 크기가 노트북의 두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고용량, 고성능과 함께 전지의 형태에 있어 노트북의 두께를 축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환경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이 진지하고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구 온난화의 주요한 원인인 자동차의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환경 친화적인 전기 자동차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법안이 논의된 바 있으며, 일부는 향후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상기 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HEV, EV)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상용화된 자동차도 있다. 이 경우 대용량 및 고율 방전 특성이 우수한 전지가 필요하며 또한 열적 안정성에 대해서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지의 폭과 높이를 증대시켜 해결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리튬 2차 전지는 리튬코발트옥사이드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카본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을 감싸며 알루미늄이 적층된 포장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의 구성도는 도 1과 같으며, 상기 전극군은 스태킹(Stacking) 형태를 가지고 있다(도 2). 이때, 전극은 양극의 경우 알루미늄 호일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하며 음극의 경우 구리 호일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형태로 인해 대면적의 전지는 용량을 증대시키고 전지 형태를 간단히 하는데 장점이 있으나, 전극과 분리막을 단순 적층할 경우 전극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에 어려움이 있고, 전해액을 전극 전면적에 균일하게 습윤(Wetting)시키고 충,방전 싸이클 진행 시 전극 전면적에서 균일한 전극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균일한 전지 성능에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전극 상태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전해질의 국부적인 고갈로 인해 전극 퇴화를 가속시켜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상태의 불균일이 심화될 경우 전극 반응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게 되며 이 경우 국부적으로 리튬 금속이 석출되어 안전성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겔 폴리머를 사용하여 라미네이션을 한 종래기술의 경우 전극과 분리막간의 밀착성 향상은 우수하나 라미네이션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해액의 신속한 함침 및 균일한 습윤이 열악하며 고율 방전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자는 겔 폴리머를 사용한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문제점의 원인이 겔 폴리머가 전해액 함침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임을 인식하고,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하면서도 전극 전체에 신속하고도 균일한 전해액 함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군을 구성하는 분리막에 전해액이 투과할 경로(Path)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분리막에 겔 폴리머를 전체적으로 코팅하지 아니하고 겔 폴리머를 부분 코팅하는,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의 형태로 패턴화하여 코팅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전극 반응 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경로를 공급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가스가 트랩(Trap)되는 현상도 방지하여 전극군의 안정된 형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조기의 전극 퇴화 방지로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겔 폴리머가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 코팅된 리튬 2차 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군 및 리튬 2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리막에 전해액이 투과할 경로(Path)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로 겔 폴리머를 분리막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겔 폴리머가 부분 코팅된 분리막은 겔 폴리머에 의해 전극과 분리막이 접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분리막 중 겔 폴리머의 비코팅부의 존재로 인해 전극 전체에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전해액을 함침시킴과 동시에 전지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지 파워(Power)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겔 폴리머의 코팅 면적은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 가 적절하다. 적절한 접착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원활한 전해액의 함침 및 가스 배출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겔 폴리머 코팅면적이 40% 미만일 경우 전극 전체에 신속한 전해액 함침은 가능하나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 유지가 어려워 수명에 악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겔 폴리머 코팅면적이 60% 초과일 경우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은 유지되나 전해액 함침이 느리고 불균일하게 전해액이 함침되어 고율방전 성능이 저하되며, 리튬 석출에 기인하여 안전성 문제를 야기시킨다.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하면서도 전극 전체에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전해액을 함침하기 위해 분리막 상에 겔 폴리머 코팅부와 비코팅부가 규칙적인 형태를 갖도록 겔 폴리머를 패턴화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폴리머 의 코팅부와 비코팅부가 규칙적인 형태로 존재하는 한 패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겔 폴리머는 액체 전해질과 접촉할 경우 액체 전해질을 스스로 흡수하여 겔화되고 팽윤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겔 폴리머로는,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PVDF) 외에, 비제한적인 예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구체예,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구체예,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테르계 폴리머, 카보네이트계 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및 이들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또는 가교한 폴리머, 플루오르계 폴리머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은 비제한적으로 폴리올레핀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공성 분리막이 바람직하다.
겔 폴리머 코팅방법에는 딥 코팅(Dip Coating),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등 다수의 방법이 있다.
겔 폴리머를 패턴 형태로 코팅하기 위한 방법은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의 방법이 있으나, 그라비어 코팅법이 바람직하다.
그라비어 코팅법은 인쇄물 등에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 원하는 패턴이 형 성된 고무롤(매쉬롤: Mesh Roll)의 일정 부분을 겔 폴리머가 주입 된 용기에 담근 후 회전시킨다. 매쉬롤 전체에 겔 폴리머가 묻어 회전되면 매쉬롤이 담기지 않은 용기의 바깥 부분에서 블래이드를 이용하여 겔 폴리머를 깎아 낸다. 이 경우 매쉬롤의 오목한 부분에만 겔 폴리머가 남고 볼록한 부분의 겔 폴리머는 제거된다. 이 상태의 매쉬롤을 다시 또 다른 패턴이 없는 고무롤과 접촉시켜 오목한 부분에만 남아 있는 겔 폴리머를 전사시킨다. 상기 고무롤을 분리막과 접촉시켜 회전시키면 원하는 패턴의 겔 폴리머를 코팅할 수 있다.
겔 폴리머로 그라비어 코팅할 경우 겔 폴리머를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라비어 코팅 후 분산을 위해 사용한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매는 모두 열에 의해 건조된다.
또한, 겔 폴리머는 분리막 상에 수십~ 수백 마이크로 미터의 균일한 크기로 균일한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코팅 두께는 1~2 마이크로미터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접착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원활한 전해액의 함침 및 가스 배출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2차 전지용 전극군은 양극, 음극 및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 및 분포로 겔 폴리머를 부분 코팅한 분리막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는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로 겔 폴리머가 코팅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군; 양극/음극 단자; 및 알루미늄이 적층된 포장지를 포함하는 각형 리튬 2차 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2차 전지는 상기한 전극군을 알루미늄 포장지에 투입한 후 전해질, 유기용매로 구성된 전해액을 주입하고, 포장지를 덮은 다음 가장자리를 열 밀봉(Heat Sealing)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리튬 2차 전지의 전해액은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전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리튬 2차 전지의 전해액은 LiPF6, LiClO4, LiBF4, LiN(SO2 CF3)2 등을 지지 전해질로 하고, 고유전성 용매인 EC 혹은 PC와 저점도 용매인 DEC, DMC, EMC 등의 알킬카보네이트를 적절히 조절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60%로 겔 폴리머가 패턴화되어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는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하면서도 분리막에 전해액이 투과할 경로(Path)를 제공함으로써 전극 전체에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전해액이 함침되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극 반응 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경로를 공급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가스가 트랩(Trap)되는 현상도 방지하여 전극군의 안정된 형태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조기의 전극 퇴화 방지로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을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는 일반 분리막을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에 비해 전극과 분리막간의 우수한 밀착도를 보이며 일반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수준의 전해액 함침속도를 유지하고, 또한 균일하게 함침되며, 이로 인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지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레이트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지 파워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양극에 리튬코발트 옥사이드 활물질을, 음극에 카본 활물질을 사용한 전극을 겔 폴리머로 코팅하지 않은 분리막으로 분리한 전극군을 제조하였다(도 2 참조). 이때 분리막은 PP/PE/PP의 삼중층으로 이루어진 2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셀가드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8wt%의 PVDF를 아세톤에 분산시켜 겔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겔 폴리머 용액을 용기에 주입하였다. 롤 형태로 언와인더(Unwinder)에 장착된 분리막을 풀면서 이동시키고 이때 분리막을 용액이 주입된 용기에 통과시켜 분리막을 전면 코팅한 후 열에 의한 드라이(Dry) 지역에서 겔 폴리머를 건조시켰다. 이 공정을 통과시킨 후 다시 와인더(Winder)에서 롤 형태로 회수하였다. 이때 코팅 두께는 건조 후 1~2 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조정하였고 분리막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 한 제품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양극과 음극을, 상기 디핑(Dipping)법에 의하여 겔 폴리머로 전면 코팅된 분리막으로 분리한 전극군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8wt%의 PVDF를 아세톤에 분산시켜 겔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겔 폴 리머 용액을 용기에 주입하였다. 롤 형태로 언와인더(Unwinder)에 장착된 분리막을 풀면서 이동시키고 이때 분리막을 패턴이 없는 고무롤로부터 겔 폴리머가 전사된 또다른 고무롤을 통과시켜 분리막을 전면 코팅한 후 열에 의한 드라이(Dry) 지역에서 겔 폴리머를 건조시켰다. 이 공정을 통과시킨 후 다시 와인더(Winder)에서 롤 형태로 회수하였다. 즉 비교예 3의 경우 그라비어 코팅법을 이용하되, 매쉬롤이 아닌 패턴 없는 고무롤을 사용하고 블래이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분리막이 전면 코팅되도록 하였다. 이때 코팅 두께는 건조 후 1~2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조정하였고 분리막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 한 제품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양극과 음극을, 상기 그라비어 코팅법에 의해 겔 폴리머로 전면 코팅된 분리막으로 분리한 전극군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8wt%의 PVDF를 아세톤에 분산시켜 겔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겔 폴리머 용액을 용기에 주입하였다. 롤 형태로 언와인더(Unwinder)에 장착된 분리막을 풀면서 이동시키고 이때 분리막을 매쉬롤로부터 겔 폴리머가 전사된 고무롤을 통과시켜 분리막을 패턴 코팅한 후 열에 의한 드라이(Dry) 지역에서 겔 폴리머를 건조시켰다. 이 공정을 통과시킨 후 다시 와인더(Winder)에서 롤 형태로 회수하였다. 이때 코팅된 부분의 면적은 전체 분리막 면적의 약 5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때 패턴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코팅 두께는 건조 후 1~2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조정하였고 분리막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 한 제품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양극과 음극을, 상기 그라비어 코팅법에 의해 겔 폴 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으로 분리한 전극군을 제조하였다.
[실험 1]
상기 비교예 1, 2, 3과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전극군을 알루미늄 포장지(도 1 중 3)에 투입한 후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리튬염(LiPF6)으로 구성된 전해액 동일량을 동시에 주입하고, 포장지로 덮은 다음 가장자리를 열 밀봉(Heat Sealing)하여 전지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지를 2 시간, 6 시간, 1 일, 2 일, 1 주일간 각각 함침시키고 나서 전지를 분해한 후 전극군의 무게를 측정하여 함침된 전해액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경우의 함침 속도를 비교하였다.
도 5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각의 경우의 함침된 전해액의 양을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경우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2, 3의 경우가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비해 시간 대비 적은 양의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2, 3의 경우 함침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보면 함침된 전해액량은 초기에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이 유사한 수준이었고 비교예 2, 3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양의 차이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비교예 1 및 실시예 1 의 경우가 유사하게 함침 속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 2, 3이 유사하게 속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2]
상기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전극군을 사용하여 실험 1과 동일하게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1을 충분한 시간 동안 함침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전지를 충, 방전 시험기를 이용하여 충, 방전 조건 1.0C/1.0C로 충, 방전을 반복, 실시하여 싸이클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 6은 1C 조건으로 충, 방전한 비교예 1, 2, 3과 실시예 1의 방전 싸이클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보면,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은 유사한 사이클 특성을 보였으나, 비교예 1의 경우 싸이클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이는 전극 및 분리막 간의 균일한 밀착도 측면에서 겔 폴리머를 사용, 라미네이션한 전지가 우수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3]
상기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전극군을 사용하여 실험 1과 동일하게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전지를 충, 방전 시험기를 이용하여 고율 방전 특성을 비교하였다. 충전은 1C 조건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방전은 0.5/1.0/2.0/3.0/5.0/10.0/15.0/20.0/25.0C로 실시하였다.
도 7은 일반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1)와 겔 폴리머가 코팅된 분리막을 적용한 전지(비교예 2, 3, 실시예 1)간의 20C로 고율 방전 시의 방전 곡선 거동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보면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2 및 3의 경우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 대비 약 80%의 낮은 방전 용량을 보였으며 전압강하도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고율 방전에서는 전극과 분리막간의 밀착도보다 코팅된 겔 폴리머의 영향이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겔 폴리머가 전면 코팅된 경우(비교예 2, 3) 이 겔 폴리머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고율 방전특성을 저하시킨 것이다.
도 6과 도 7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비교적 낮은 방전 레이트(5C이하) 및 싸이클 특성 측면에서는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이 우수한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이 그 특성이 우수하였고, 고율 방전 특성 측면에서는 저항 작용을 하는 겔 폴리머의 양이 적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이 그 특성이 우수하였다.
즉, 겔 폴리머를 부분 코팅한 경우 전해액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함침시키며 전극과 분리막간의 균일한 밀착을 확보하여 우수한 싸이클 특성을 보임과 동시에 고율 방전 특성 또한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각형 리튬 2차 전지의 내부를 구성하는 전극군 중 분리막에 겔 폴리머를 부분 코팅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간의 밀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해액의 함침 속도를 높이고, 전극 반응 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 경로를 공급하여 전극 퇴화 방지로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레이트(Rate) 특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겔 폴리머 코팅부와 비코팅부를 규칙적으로 패턴화함으로써, 함침 정도를 균일하게 하고, 충, 방전 싸이클 후에도 전극과 분리막간의 접촉을 균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전해액을 전극 전체에 고르게 습윤(Wetting)시켜 전지의 균일한 성능 확보 및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며, 전극 반응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튬 석출을 방지하여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겔 폴리머가 전체 분리막 면적의 40 ~ 60% 범위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으로서, 겔 폴리머의 코팅부와 비코팅부가 규칙적인 형태로 패턴화된 것이 특징인 전지용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겔 폴리머가 그라비어 코팅법으로 코팅된 것이 특징인 전지용 분리막.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겔 폴리머는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테르계 폴리머, 카보네이트계 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및 이들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또는 가교한 폴리머, 플루오르계 폴리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전지용 분리막.
  5.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리막인 것이 특징인 리튬 2차 전지용 전극군.
  6. 제 5 항의 전극군, 양극 단자, 음극 단자 및 알루미늄이 적층된 포장지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40038375A 2003-05-30 2004-05-28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KR100581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685 2003-05-30
KR20030034685 2003-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425A KR20040103425A (ko) 2004-12-08
KR100581769B1 true KR100581769B1 (ko) 2006-05-22

Family

ID=3661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375A KR100581769B1 (ko) 2003-05-30 2004-05-28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03263B2 (ko)
EP (1) EP1631998A4 (ko)
JP (1) JP4499088B2 (ko)
KR (1) KR100581769B1 (ko)
CN (1) CN1799156A (ko)
BR (1) BRPI0410692A (ko)
CA (1) CA2527639C (ko)
RU (1) RU2305348C2 (ko)
TW (1) TWI283493B (ko)
WO (1) WO2004107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925B2 (en) 2004-08-06 2014-06-24 Lg Chem, Ltd. Battery system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containing capsules in interior configuration thereof
WO2006014061A1 (en) 2004-08-06 2006-02-09 Lg Chem, Ltd. Battery system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 containing capsules in interior configuration thereof
US9269937B2 (en) 2006-04-28 2016-02-23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eparator for battery with gel polymer layer
CN101432906B (zh) * 2006-04-28 2011-06-15 株式会社Lg化学 具有凝胶聚合物层的电池用隔膜
KR100865035B1 (ko) * 2006-05-04 2008-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57390A1 (en) * 2006-08-31 2008-03-06 Seiko Epson Corporation Secondary battery
TWI425697B (zh) * 2010-05-07 2014-02-01 Chun-Chieh Chang 用於高耐久性鋰離子電池之集流柱密封
BR112013001135A2 (pt) * 2010-07-16 2016-05-17 Nissan Motor bateria iônica de lítio secundária, aparelhagem de restauração de capacidade de bateria, e método de restauração de capacidade de bateria
US9276247B2 (en) * 2011-04-06 2016-03-01 Lg Chem, Ltd.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281037B1 (ko) * 2011-04-06 2013-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화학소자
JP6089399B2 (ja) * 2011-04-07 2017-03-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製造方法
CN102306727B (zh) * 2011-08-12 2013-01-02 沧州明珠塑料股份有限公司 聚合物改性聚烯烃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02610773B (zh) * 2012-03-06 2017-06-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聚合物锂离子电池及其隔膜
RU2482570C1 (ru) * 2012-03-19 2013-05-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юменский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заво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р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US10096810B2 (en) 2012-05-10 2018-10-09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94264B1 (ko) 2012-07-31 2017-1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상기 세퍼레이터 제조방법
KR101548789B1 (ko) * 2012-12-21 2015-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60198B1 (ko) * 2013-03-26 2017-07-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US9761854B2 (en) 2013-12-13 2017-09-12 Samsug SDI Co., Ltd. Spirally-wound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JP5918455B1 (ja) * 2014-07-11 2016-05-18 帝人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ロールの製造方法
KR102005505B1 (ko) * 2016-03-30 2019-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제조 방법
WO2017171446A1 (ko)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제조 방법
WO2018030810A1 (ko) * 2016-08-12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과 분리막이 부분 결착된 전극조립체
WO2018131894A1 (ko) * 2017-01-12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101008B1 (ko) * 2017-01-12 2020-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465701B1 (ko) * 2017-09-25 2022-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 액체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CN111092192A (zh) * 2019-12-27 2020-05-01 武汉中兴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聚合物涂层隔膜和锂离子电池
JPWO2022215430A1 (ko) 2021-04-09 2022-10-13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446A (ja) * 1991-03-26 1992-10-20 Nippon Muki Co Ltd 蓄電池用焼結式セパレータ並にその製造法
KR19990066849A (ko) * 1998-01-30 1999-08-16 해머 로버트 에이치. 삼세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
KR20040042749A (ko) * 2002-11-15 2004-05-20 한밭대학교 다공성 고분자가 코팅된 겔화 세퍼레이터 및 이들을이용한 전기화학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071B2 (ja) * 1995-09-06 2001-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0289732A (ja) * 1997-02-12 1998-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EP0982790A1 (en) * 1998-03-17 2000-03-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3447610B2 (ja) 1999-04-23 2003-09-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極セパレータ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CN1157817C (zh) 1999-08-14 2004-07-14 惠州Tcl金能电池有限公司 复合聚合物电解质膜及用此膜制造的锂电池
KR100309604B1 (ko) 1999-12-20 2001-11-03 홍지준 리튬 2차 전지
WO2001057940A2 (en) 2000-02-04 2001-08-09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Freestanding microporous separator including a gel-forming polymer
US6488721B1 (en) * 2000-06-09 2002-12-03 Moltech Corporation Methods of preparing electrochemical cells
JP3885100B2 (ja) * 2000-08-12 2007-02-21 エルジー・ケミカ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多成分系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3078A (ja) * 2000-09-19 2003-01-08 Nisshinbo Ind Inc イオン導電性組成物、ゲル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5156158B2 (ja) 2001-02-22 2013-03-06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複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81515B2 (en) * 2001-05-08 2005-04-19 Celgard Inc. Separator for polymer battery
JP2002355938A (ja) * 2001-05-30 2002-12-10 Tonen Chem Corp 複合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セパレータ又はフィルター
KR20030010406A (ko) 2001-07-27 2003-02-05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다공성 격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3631185B2 (ja) * 2001-09-19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2158A (ja) * 2001-11-01 2003-05-16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3142159A (ja) * 2001-11-01 2003-05-16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446A (ja) * 1991-03-26 1992-10-20 Nippon Muki Co Ltd 蓄電池用焼結式セパレータ並にその製造法
KR19990066849A (ko) * 1998-01-30 1999-08-16 해머 로버트 에이치. 삼세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
JPH11260341A (ja) * 1998-01-30 1999-09-24 Celgard Llc ゲル電解質電池の分離器
KR20040042749A (ko) * 2002-11-15 2004-05-20 한밭대학교 다공성 고분자가 코팅된 겔화 세퍼레이터 및 이들을이용한 전기화학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7639C (en) 2011-11-22
US20070054183A1 (en) 2007-03-08
EP1631998A4 (en) 2009-04-22
EP1631998A1 (en) 2006-03-08
CA2527639A1 (en) 2004-12-09
BRPI0410692A (pt) 2006-06-20
RU2005141567A (ru) 2006-06-10
TWI283493B (en) 2007-07-01
KR20040103425A (ko) 2004-12-08
RU2305348C2 (ru) 2007-08-27
JP2006525624A (ja) 2006-11-09
CN1799156A (zh) 2006-07-05
TW200501477A (en) 2005-01-01
US8003263B2 (en) 2011-08-23
JP4499088B2 (ja) 2010-07-07
WO2004107479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769B1 (ko) 겔 폴리머로 부분 코팅된 분리막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KR102003307B1 (ko) 다중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2160708B1 (ko) 이중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398173B1 (ko) 천공된 전극군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US8778524B2 (en) Electrochemical device with improved cycle characteristics
US20050175903A1 (en) Positive electrode having polymer film and lithium-sulfur battery employing the positive electrode
JP6306168B2 (ja) 電極−分離膜複合体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電極−分離膜複合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70054184A1 (en) Seperator coated with electrolyte-miscible polym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52594A (ko) 전기화학 셀에서 힘의 적용
KR20030010406A (ko) 다공성 격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512430A (ja) 再充電可能なリチウム電池の複合ポリマー電解質
WO2003065481A1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697232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014990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90033922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3829535B2 (ja) 電極の製造方法
KR102367371B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354228B1 (ko) 수명특성이 개선된 리튬 설퍼 2차 전지
KR102003306B1 (ko)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um et al. The effect of mixed salts in gel-coated polymer electrolyte for advanced lithium battery
KR101057351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도포 장치
KR20200127645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080108723A (ko) 도포 균일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층형성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및 이를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20020068783A (ko) 양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0430767B1 (ko)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