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67B1 -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 Google Patents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67B1
KR100430767B1 KR10-2001-0070508A KR20010070508A KR100430767B1 KR 100430767 B1 KR100430767 B1 KR 100430767B1 KR 20010070508 A KR20010070508 A KR 20010070508A KR 100430767 B1 KR100430767 B1 KR 10043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posite
battery
polymers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551A (ko
Inventor
조병원
조원일
김형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7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음극 및 금속산화물 양극의 전극 내부의 기공 및 전극의 표면에 유기용매 전해질의 함침 능력 및 보액 능력이 우수한 고분자를 침적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피복시켜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젤 형태의 고분자전해질을 형성시킨 복합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를 제공하는 것인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는 종래의 전지에 비하여 전지 용량, 싸이클 수명, 고율 충방전 특성, 안전성 및 전지제조 용이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A COMPOSITE ELECTROD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내부의 기공 및 전극 표면에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형성된 복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 음극 및 금속산화물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 내부의 기공 및 전극의 표면에, 유기 용매 전해질의 함침 능력 및 보액 능력이 우수한 고분자를 침적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피복하여, 전극 내부의 기공 및 전극의 표면에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시킨 복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전지는 리튬 일차전지와 리튬 이차전지로 대별될 수 있다.
리튬 일차전지는 음극으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고, 양극의 종류에 따라 Li-MnO2일차전지, Li-(CF)n일차전지 및 Li-SOCl2일차전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다(J. O. Besenhard,Handbook of Battery Materials, WILEY-VCH, Weinheim(1999) 참조). 그러나, 리튬 일차전지는 리튬 전극의 국부적인 용해 반응에 의한 전위 분포의 불균일화가 발생하여 전극 이용률이 저하되는 것이 단점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현재 음극으로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고 양극으로 LiCoO2또는 LiMn2O4를 사용하는 것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현재는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리튬 음극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D. Linden,Handbook of Batteries,McGRAW-HILL INC., New York(1995) 참조).
리튬전지는 또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분리막에 유기용매 전해질이 함침된 통상의 리튬 일차전지와 리튬 이온전지, 젤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고분자전지, 및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고상 리튬전지로 나눌 수 있다.
리튬 전극은 이론적으로 용량이 3860mAh/g으로 매우 높지만, 충방전 효율이 낮고, 충전시 전극 표면에 수지상(dendrite)이 석출되는데, 이러한 수지상은 내부단락을 일으켜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므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아직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으로 탄소 전극을 사용하고, 양극으로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V2O5또는 V6O13등의 활물질로 구성된 전극을 사용하며, 리튬 일차전지는 음극으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고 양극으로 MnO2또는 (CF)n등의 활물질로 구성된 전극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리튬전지에 있어서, 탄소 음극은 활물질인 탄소(흑연)와 바인더인 PVdF가 1-메틸-2-피롤리돈(이하 "NMP"라 한다)에 용해된 용액을 혼합하여 페이스트화한 다음, 이를 구리 박판 또는 기공 뚫린 박판 위에 캐스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제조된다. 양극은 활물질인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V2O5, V6O13, MnO2또는 (CF)n등과 같은 양극 활물질과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또는 흑연 등과 같은 도전재 및 바인더인 PVdF가 NMP에 용해된 용액을 혼합하여 페이스트화한 다음, 이를 알루미늄 박판 또는 기공 뚫린 박판 위에 캐스팅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제조된다(D. Linden, Handbook of Batteries, McGRAW-HILL INC., New York(1995) 참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는 가혹한 조건으로 충방전을 계속하는 경우, 전극 형태의 변화 및 유기용매 전해질의 국부적인 농도 차가 발생하여 전지 용량, 싸이클 수명 등과 같은 전지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의 전지는 밀봉 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전지 케이스가 파괴되어 전지 내부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경우, 전극 내에 있는 유기용매 전해질이 휘발되어, 특히 탄소 음극 내에 리튬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튬이 공기와 접촉되어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탄소 음극 및 금속산화물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 내의 기공 및 전극의 표면에 유기용매 전해질의 함침 능력 및 보액 능력이 우수한 고분자가 피복된 복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이 분리막, 부직포 또는 고분자 전해질과 함께 감기(winding) 또는 적층되어 있는, 종래의 리튬전지에 비하여 전지 용량, 싸이클 수명, 고율 충방전 특성 및 안전성 등이 우수하고, 제조 또한 용이한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전지 용량 및 수명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일차전지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극은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극은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잘 형성되는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소 전극 또는 금속산화물 전극 상에 스프레이 하거나, 또는 이 용액 중에 전극을 침적시켜 용액이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적셔지도록 한 후 건조하여 상기 고분자가 피복되도록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잘 형성되는 고분자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이하 "PVdF"라 한다)계 고분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PMMA"라 한다)계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하 "PAN"이라 한다)계 고분자,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이하 "PVC"라 한다)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옥시드(이하 "PEO"라 한다)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PEG"라 한다)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를 용해시키는데 사용되는 용매로는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DMA),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아세토니트릴(AN),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복합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전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전극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과 같은 분리막, 부직포, 또는 고분자 전해질과 함께 감거나 또는 적층하여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유기용매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전극은 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양쪽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탄소 복합 전극이나 리튬 전극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V2O5및 V6O1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양극 활물질로부터 제조된 금속산화물 복합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MnO2,(CF)n또는 SOCl2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여 리튬 일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용매 전해질로는 종래의 리튬 이차전지 및 리튬 일차전지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과 동일한 것 즉,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용매 전해질을 사용한다.
실시예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전극 및 리튬 전지를 제조하고 성능을 시험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아세틸렌 블랙(이하 "AB"라 한다)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음극 및 LiCoO2양극을 각각 2% PVdF 아세톤 용액에 5초 동안 침적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얻었다. 복합음극, PP 분리막, 복합 양극, PP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에틸렌 카보네이트/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용액(이하 "EC/EMC 용액"이라 한다)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2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음극 및 LiCoO2양극에 2% PVdF 아세톤 용액을 5초 동안 스프레이한 후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얻었다. 복합음극, PP 분리막, 복합양극, PP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3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음극 및 LiCoO2양극을 각각 2% PVdF 아세톤 용액에 5초 동안 침적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얻었다. 복합음극, PVdF 분리막, 복합 양극, PVdF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4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음극 및 LiCoO2양극을 각각 2% PVdF 아세톤 용액에 5초 동안 침적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얻었다. 복합음극, PAN계 젤형 고분자 전해질, 복합 양극, PAN계 젤형 고분자 전해질, 복합 음극의 구조로 적층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5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음극 및 LiCoO2양극을 각각 2% PVdF 아세톤 용액에 5초 동안 침적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얻었다. 복합음극, PVdF 분리막, 복합 양극, PVdF 분리막의 구조로 적층하고, 가열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일체화시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고,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6
Mn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MnO2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MnO2양극을 2% PVdF 아세톤 용액에 5초 동안 침적시킨 후 꺼내어 건조하여 전극의 내부 및 표면에 PVdF가 피복된 복합 양극을 얻었다. 리튬 음극, PP 분리막, 복합 양극, PP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일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일차전지에 대하여 방전율 C/3으로 방전특성을 조사하였다.
비교예 1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흑연 음극, PP 분리막, LiCoO2양극, PP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비교예 2
흑연 6g과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하고,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구리 박판 위에 케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흑연 음극을 제조하였다. LiCo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LiCoO2양극을 제조하였다. 흑연 음극, PAN계 젤형 고분자 전해질, LiCoO2양극, PAN계 젤형 고분자 전해질, 흑연 음극의 구조로 적층하여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충방전율 C/2로 양극을 기준으로 한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비교예 3
MnO25.7g, AB 0.6g 및 PVdF 0.4g을 적당량의 NMP 및 아세톤과 혼합한 다음, 적당한 점도가 얻어졌을 때 알루미늄 박판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MnO2양극을 제조하였다. 리튬 음극, PP 분리막, MnO2양극, PP 분리막의 구조로 감아서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1M LiPF6EC/EMC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일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일차전지에 대하여 방전율 C/3로 방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전지 용량(LiCoO2활물질 기준) 및 싸이클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지들의 전지 용량 및 싸이클 수명 특성이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종래의 전지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방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의한 전지의 고율 방전 특성이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종래의 전지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일차전지의 방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지의 방전 특성이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내부의 기공 및 전극 표면에 유기용매 전해질의 함침 능력 및 보액 능력이 우수한 고분자가 피복된 복합 전극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복합 전극은 분리막과 복합 전극 사이의 계면 저항이 작고, 전극 내에서의 유기용매 전해질의 분포가 일정하고 보액 능력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는 종래의 전지에 비하여 전지의 용량, 고율 충방전 특성 및 싸이클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지의 제조가 용이하여 경제성이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전극에 다양한 고분자를 피복한 복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각종 소형 전자 기기, 통신 기기 및 전기 자동차의 전원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Claims (8)

  1. 탄소 음극 또는 금속산화물 양극 내부의 기공 및 표면에 PVdF계 고분자, PMMA계 고분자, PAN계 고분자, PVC계 고분자, PEO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 및 PEG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전극.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양극이 LiCoO2, LiNiO2, LiNiCoO2, LiMn2O4, V2O5, V6O13, MnO2, (CF)n및 SOCl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복합 전극.
  4. PVdF계 고분자, PMMA계 고분자, PAN계 고분자, PVC계 고분자, PEO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 및 PEG계 올리고머 및 고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아세톤,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전극을 침적시키거나 또는 상기 용액을 전극에 스프레이 하는 방법으로 상기 고분자를 피복시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음극 및 복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7. 리튬 음극 및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일차전지.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전극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분리막, 부직포 또는 고분자 전해질과 함께 감기 또는 적층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유기용매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리튬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1-0070508A 2001-11-13 2001-11-13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KR10043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508A KR100430767B1 (ko) 2001-11-13 2001-11-13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508A KR100430767B1 (ko) 2001-11-13 2001-11-13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551A KR20030039551A (ko) 2003-05-22
KR100430767B1 true KR100430767B1 (ko) 2004-05-10

Family

ID=2956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508A KR100430767B1 (ko) 2001-11-13 2001-11-13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532B2 (en) 2018-01-05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9745B2 (en) * 2004-03-31 2008-09-02 Sanjay Chaturvedi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 structure useful in energy storage devices
WO2019245087A1 (ko) * 2018-06-22 2019-12-26 주식회사 그리너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561A (ja) * 1983-10-31 1985-05-31 Hitachi Ltd 固体電解質二次電池
JP2000149920A (ja) * 1998-11-04 2000-05-30 Nec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0188130A (ja) * 1998-12-22 2000-07-04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解質電池
KR20010092193A (ko) * 2000-03-21 2001-10-24 김순택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010095643A (ko) * 2000-04-11 2001-11-07 성재갑 리튬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561A (ja) * 1983-10-31 1985-05-31 Hitachi Ltd 固体電解質二次電池
JP2000149920A (ja) * 1998-11-04 2000-05-30 Nec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0188130A (ja) * 1998-12-22 2000-07-04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解質電池
KR20010092193A (ko) * 2000-03-21 2001-10-24 김순택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010095643A (ko) * 2000-04-11 2001-11-07 성재갑 리튬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532B2 (en) 2018-01-05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551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678B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4127989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KR101471795B1 (ko) 비수 전해액 리튬 2차 전지
KR102084245B1 (ko) 희생 염을 포함하는 양극이 제공된 리튬-이온 배터리의 셀의 형성 방법
JP2019509606A (ja) 多重保護層を含む負極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80036600A (ko) 이중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090169984A1 (en) Composite separator films for lithium-ion batteries
CN108780915A (zh) 具有在正极上形成的锂金属的锂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20120000708A (ko)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2006525624A (ja) ゲル状ポリマーで部分コートされたセパレータ膜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05914323B (zh) 蓄电元件
JP3983601B2 (ja) 非水系二次電池
JP2002015771A (ja) 非水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58902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838933B1 (ko) 리튬2차전지
JP2011040179A (ja) 非水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60191794A1 (en) Secondary cell with polymer coated anode
KR102531615B1 (ko) 수계 바인더를 이용한 그래핀 분리막 개질 방법 및 그 그래핀 분리막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430767B1 (ko) 복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KR102297666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9508A (ko) 리튬 이차전지
JP200403093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10911647B (zh) 制造锂离子单池的方法
KR102209675B1 (ko) 패턴이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8352501B (zh) 负极和包含它的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