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164B1 -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164B1
KR100574164B1 KR1020030022204A KR20030022204A KR100574164B1 KR 100574164 B1 KR100574164 B1 KR 100574164B1 KR 1020030022204 A KR1020030022204 A KR 1020030022204A KR 20030022204 A KR20030022204 A KR 20030022204A KR 100574164 B1 KR100574164 B1 KR 10057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xymethylene
parts
res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793A (ko
Inventor
진종원
김영흡
변경섭
Original Assignee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1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2Polyacetals containing polyoxymethylene sequenc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A) 100중량부당, 아민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 0.01-2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에 무수말레인산 0.05-5중량%를 그라프트(graft)시킨 화합물(C) 0.0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며, 특히 성형시 및 성형품에 있어서 포름알데히드 가스의 발생이 적다.
수지 조성물, 폴리옥시메틸렌, 열안정성, 포름알데히드, 아민치환 트리아진

Description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Heat Stability}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안정성이 우수하며 특히 성형시 및 성형품에 있어서 포름알데히드가스 발생이 적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 내크리프성, 내피로성 및 내마찰마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전기 및 전자부품이나 기계 메카니즘 등과 같이 복합적인 요구특성을 요구하는 적용처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는 열안정성이 부족하여 성형가공중에 열적충격, 기계적충격 또는 첨가물로 인하여 분해가 쉽게 유발되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의 분해물인 포름알데히드 가스 발생이 많게되며 또한 이러한 분해물이 성형품에 잔존하여 작업환경문제 및 인체유해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따라 폴리옥시메틸렌의 열안정성을 개선하기위하여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열분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 등 분해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민류, 아마이드류, 히드라진류 등의 첨 가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개평 10-1592호에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에 아크릴아마이드와 붕소산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소 59-213752호에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에 알라닌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의 경우는 첨가제들이 열적으로 불안정하여 황변을 유발하여 첨가제의 브리드-아웃(Bleed-out)에 의한 몰드데포지트(Mold deposit)가 발생하는 등 열안정성 개선에 한계가 따르게 된다.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불안정한 폴리옥시메틸렌 분자 말단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단독 중합체의 경우 포름알데히드, 트리옥산 등을 음이온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고 특정의 물질을 이용하여 불안정 말단부를 캡핑(capping)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공소 33-6099호, 미국 특허 제 2,964,500호, 일본 특공소 42-8706호에서는 무수탄산 및 알카리금속염, 피리딘 등을 50-200℃에서 가열하여 폴리옥시메틸렌 단독 중합체의 말단 에스테르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일본 특공소 35-6233호, 일본 특공소 36-3492호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말단 히드록시기를 반응시켜 말단을 우레탄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의 경우는 옥시메틸렌 주쇄가 솔보리시스(solvolisys) 등의 메카니즘에 의해 쉽게 파괴될 수 있으며, 말단의 미반응 캡핑 중합체의 잔존여부로 인해 열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중합체가 수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옥시메틸렌 단독 중합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의 공단량체, 즉 산화에틸렌과 같은 환상에테르나 디옥소란과 같은 환상 포르말을 포름알 데히드, 트리옥산 등과 함께 촉매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시켜 얻은 공중합체를 단일 중합체내에 랜덤하게 분산, 도입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는 그 말단기가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화 공정이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의 기술적인 해결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주로 불안정한 말단 부위를 강제 분해시켜서 공단량체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방법이 대부분의 발명에서 특징을 이루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 특공소 60-63216호와 일본 특공소 60-60121호에는 중합후 불균일 매질하에서 pH7 이상의 알카리 수용액으로 말단을 분해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고, 미국 특허 제 1,407,145호에서도 역시 염기성 알코올류와 불균일상의 매질하에서 제산제, 산화방지제 등과 병행하여 말단을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편, 균일상내에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용액화하여 불안정 말단부를 제거하는 방법(일본 특공소 43-18714호)도 있으나, 이 경우는 중합조에서 중합물이 침적되며, 용제를 제거시켜야하는 공정상의 번거러움이 있다. 이러한 매질상의 정제효율이 저하됨을 극복하기위한 균일상의 정제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즉, 3단 회전 디스크식의 니더(Kneader)에서 중합체내의 휘발분을 제거하는 방법(일본 특공소 62-119219)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 수행할 경우 불안정 말단부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시간이 소요되며 말단부의 완전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옥시메틸렌 제조 공정중 안정화 공정단계에서 불안정 말단부를 갖는 중합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없고 말단 안정화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물질과 함질소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중합체의 말단 안정화를 도모하여 열적으로 매우 안정한, 즉 성형시 및 성형품의 포름알데히드 가스 발생이 적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A) 100중량부당, 아민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 0.01-2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삼량체에 무수말레인산 0.05-5중량%를 그라프트(graft)시킨 화합물(C) 0.0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시메틸렌 단위로 구성되는 호모중합체이거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와 하기 화학식 3의 단위가 랜덤하게 결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0 g/mol 범위를 갖는다.
-(-CH2O-)-
-[-(CX1X2)xO-]-
상기 화학식 2에서 X1 및 X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X1 및 X2가 둘 다 수소는 아니고, x는 2 내지 6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옥시메틸렌 호모중합체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이의 환상 올리고머, 즉 트리옥산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의 단위와 화학식 2의 단위가 결합된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이의 환상 올리고머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환상 에테르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환상 포르말을 랜덤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3012486682-pat00001
Figure 112003012486682-pat00002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X3, X4, X5 및 X6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알킬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동일한 탄소원자에 결합되거나 다른 탄소원자에 결합될 수 있으며, n 및 m은 각각 2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랜덤 공중합시 이용되는 공중합 단량체에 있어서, 환상 에테르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페닐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환상 포르말로는 1,3-디옥소란, 디에틸렌글리콜포르말, 1,3-프로판디올포르말, 1,4-부탄디올포르말, 1,3-디옥세판포르말, 1,3,6-트리옥소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1,3-디옥소란, 1,4-부탄디올포르말 등의 단량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 단량체를 주단량체인 트리옥산 또는 포름알데히드에 첨가하고 루이스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랜덤 공중합시킴으로써, 150℃이상의 융점을 가지며 주쇄내에 두 개 이상의 결합 탄소원자를 가진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옥시메틸렌 반복단위에 대한 옥시메틸렌 결합구조의 비율은 0.05 내지 50몰배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몰배의 범 위이다.
또한 옥시메틸렌 중합체의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중합 촉매에는 BF3·OH2, BF3·OEt2, BF3·OBu2, BF3·CH3CO2H, BF3·PF5·HF, BF3-10-하이드록시아세트페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때 Et는 에틸기를 의미하고, Bu는 부틸기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BF3·OEt2 및 BF3·OBu2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합 촉매의 첨가량은 트리옥산 1몰에 대하여 2×10-6 내지 2×10-2 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은 괴상중합, 현탁중합 또는 용액중합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0 내지 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범위이다.
한편, 중합후 잔존촉매를 실활시키기 위한 실활제로는, 일반적으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차 아민류, 티오펜과 같은 환상의 황화합물,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인계 화합물이 있는데,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비공유 전자쌍을 갖고 있는 루이스 염기물질로서 촉매와 착염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폴리옥시메틸렌의 중합반응시에는 사슬 전달제(chain transferring agent)로서, 알킬치환페놀이나 에테르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메톡시메탄 등과 같은 알킬에테르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민 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아민 치환 트리아진의 예로는, 구아나민, 멜라민, N-부틸멜라민, N-페닐멜라민, N,N-디페닐멜라민, N,N-디알릴멜라민, N,N',N"-트리페닐멜라민, N,N',N"-트리 메틸올멜라민, 벤조구아나민, 2,4-디아미노-6-메틸-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부틸-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벤질옥시-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부톡시-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시클로헥실-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클로로-sym-트리아진, 2,4-디아미노-6-메르캅토-sym-트리아진, 2-옥시-4,6-디아미노-sym-트리아진(아멜린), N,N,N',N'-테트라시아노에틸 벤조구아나민이 있다. 이들 가운데,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멜라민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12486682-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민 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의 첨가량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이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열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첨가량이 2중량부를 초과하면 수득한 성형품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C)는 폴리옥시메틸렌의 불안정한 말단부를 안정화시키는 화합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에 무수말레인산 0.05 내지 5.0중량%를 그라프트시킨 화합물이다. 이때 사용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10~90중량%이고, 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는 에틸렌 함량이 10~90중량%이고 디엔 함량이 0.1~20중량%이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의 중량비는 0~90:100~10 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의 중량비는 10~90:90~10 이다. 상기 성분(C)에 대하여 본 발명에 유용한 화합물로는 예를들어, HIGHLER P-0424K(Doo.Hyun Co., LTD)를 들 수 있다. 본 성분(C)는 펠렛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냉동분쇄하여 파우더상으로도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C)의 첨가량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중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열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면 수득한 성형품의 물성이 저하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입체 장애성 페놀(D)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장애성 페놀의 예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2,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디메틸아민, 스테아릴-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2,6,7-트리옥사-1-포스포-비시클로[2,2,2]-옥토-4-일-메틸-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3,5-디스테아릴-티오트리아질아민,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6-디-t-부틸-4-히드록시메틸페놀,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부틸알릴리노)-1,3,5-트리아진,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옥타데실-3-(3,5-디-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D)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성분(D)의 양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열안정성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첨가량이 3중량부를 초과하면 수득한 성형품의 물성이 저하되며 성형품 표면이 좋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알콕시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산염으로는 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실리케이트 및 보레이트가 있고, 유기산염으로는 라우릴산염, 스테아릴산염, 올레일산염 또는 베헤닐산염이 있다. 알콕시드는 메톡시드 및 에톡시드와 같은 C1-5 알콕시드이다. 이들가운데, 알칼리토금속류인 수산화마그네슘(E)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E)의 양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열안정성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첨가량이 1중량부를 초과하면 수득한 성형품의 물성이 저하되며 가스발생이 심하게 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물성들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고온 CH2O 발생량
수득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2g을 취한후 질소를 투입하면서 222℃로 가열하여 발생되는 CH2O 가스를 얼음물에서 포집하고 UV 분광광도계로 발색도를 분석함으로써 CH2O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이 값이 낮을수록 열안정성이 좋음을 나타낸다.
2) 성형품 CH2O 발생량
수득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를 100mm×40mm×2mm 크기로 성형한 후 50ml의 물이 담긴 1L 용량의 병에 물에 닿지 않게 고정시킨 후 밀봉한다. 이와같이 장치된 병을 60℃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한후 물에 포집된 CH2O 함량을 UV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발색도를 분석함으로서 성형품의 CH2O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이 값이 낮을수록 열안정성이 좋음을 나타낸다.
3) 색상
상기 측정방법2)에서 사용한 시편의 황변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백'은 황변이 발생하지 않음을 '황'은 황변이 심함을 나타낸다.
제조예 1(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
트리옥산 100중량부와 공단량체로서 1,3-디옥소란 4.5중량부를 BF3O(Et)2를 촉매로 사용하여 중합시키고 메티랄을 사슬 전달제로 사용하고 트리페닐포스핀으로 촉매를 비활성화시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500cc용량의 2쌍의 Σ형 블래드(Blade)를 갖는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230℃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본 발명에서 언급된 성분(C)로서 HIGHLER P-0424K(D.H Co.,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의 중량비 50:50, 이하 'PK'라 칭함) 0.01중량부와 아민치환 트리아진 화합물로서 멜라민 0.05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시바가이기사제 Irganox245) 0.3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Mg(OH)2) 0.05중량부를 첨가하고 40분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체류후, 수득한 수지를 전술한 측정방법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8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본 발명에서 언급된 성분(C)인 PK의 함량을 0.05중량부, 0.10중량부, 0.20중량부, 0.30중량부, 0.50중량부, 1.00중량부 및 2.00중량부(각각 실시예 2~8)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본 발명에서 언급된 성분(C)인 PK 0.05중량부, 그리고 멜라민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본 발명에 서 언급된 성분(C)인 PK 0.20중량부, 그리고 멜라민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PK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PK를 첨가하지 않고 멜라민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PK 대신에 이소프탈릭히드라지드(일본 히드라진, K-IDH)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멜라민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PK 대신에 우레아(덕산약품, UREA)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멜라민 0.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고온 CH2O 발생량 (ppm) 성형품 CH2O 발생량 (mg/kg) 색상
실시예1 330 4.05
실시예2 250 3.41
실시예3 200 3.68
실시예4 220 3.71
실시예5 240 3.05
실시예6 240 4.21
실시예7 300 3.85
실시예8 340 3.90
실시예9 400 5.81
실시예10 470 4.95
실시예11 430 4.90
비교예1 1,205 12.83
비교예2 1,110 12.50
비교예3 623 8.70
비교예4 655 8.95
비교예5 540 9.54
비교예6 580 9.81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11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시편의 황변이 없으며, 고온(222℃)에서 CH2O 발생량이 200-470ppm 이고 성형품 CH2O 발생량이 3.05-5.81mg/kg인 것으로 나타나, 비교예 1-6(고온 CH2O 발생량: 540-1,205ppm, 성형품 CH2O 발생량: 8.70-12.83mg/kg)에 비하여 열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하며 CH2O 발생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적으로 매우 안정한, 즉 성형시 및 성형품의 포름알데히드 가스 발생이 적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6)

  1.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A) 100중량부당, 아민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 0.01-2중량부, 및 중량비가 0-90:100-10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삼량체에 무수말레인산 0.05-5중량%를 그라프트(graft)시킨 화합물(C) 0.0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아민치환 트리아진 화합물(B)은 멜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1-3중량부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수산화마그네슘 0.01-1중량부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수산화마그네슘 0.01-1중량부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030022204A 2003-04-09 2003-04-09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10057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04A KR100574164B1 (ko) 2003-04-09 2003-04-09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04A KR100574164B1 (ko) 2003-04-09 2003-04-09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93A KR20040087793A (ko) 2004-10-15
KR100574164B1 true KR100574164B1 (ko) 2006-04-27

Family

ID=3736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204A KR100574164B1 (ko) 2003-04-09 2003-04-09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78B1 (ko) * 2013-03-04 2015-05-28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165B1 (ko) * 2004-10-08 2006-04-27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CN115948019A (zh) * 2022-12-30 2023-04-1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甲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2452A (ja) * 1986-03-14 1987-09-18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WO1994003889A1 (en) * 1992-08-10 1994-02-17 Godzhaev Makhir Omar Ogly Method and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JPH07228751A (ja) * 1994-02-22 1995-08-29 Polyplastics Co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9990088187A (ko) * 1998-05-14 1999-12-27 오오히라 아키라 폴리옥시메틸렌수지조성물
KR20020088195A (ko) * 2001-05-18 2002-11-27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2452A (ja) * 1986-03-14 1987-09-18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WO1994003889A1 (en) * 1992-08-10 1994-02-17 Godzhaev Makhir Omar Ogly Method and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JPH07228751A (ja) * 1994-02-22 1995-08-29 Polyplastics Co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9990088187A (ko) * 1998-05-14 1999-12-27 오오히라 아키라 폴리옥시메틸렌수지조성물
KR20020088195A (ko) * 2001-05-18 2002-11-27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78B1 (ko) * 2013-03-04 2015-05-28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93A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4050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008516043A (ja) 熱安定性に優れた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CN112004883B (zh) 聚缩醛树脂组合物
CN108779222B (zh) 氧亚甲基共聚物的制造方法
JP2010037445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20140323621A1 (en) Resin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
JP3808101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KR101646977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20090014842A (ko) 착색물에 대한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JP5031196B2 (ja) 不安定末端基分解処理剤を用いた、安定化ポリ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KR100574164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JP5031198B2 (ja) 不安定末端基分解処理剤を用いた、安定化ポリ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WO1994014888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KR102507932B1 (ko)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5026259A1 (en)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heat stability
CN112566979A (zh) 制备稳定的聚甲醛共聚物(cpom)的方法
EP3683247B1 (en) Oxymethylene-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JP7448571B2 (ja) ポリアセタール重合体の製造方法
KR20240046427A (ko)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WO2023136006A1 (ja) ポリアセタール重合体の製造方法
KR100187378B1 (ko) 안정화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 조성물
KR2022005640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312974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0063463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安定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