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784B1 -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784B1
KR100567784B1 KR1020037017156A KR20037017156A KR100567784B1 KR 100567784 B1 KR100567784 B1 KR 100567784B1 KR 1020037017156 A KR1020037017156 A KR 1020037017156A KR 20037017156 A KR20037017156 A KR 20037017156A KR 100567784 B1 KR100567784 B1 KR 100567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vertical frame
car
rail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787A (ko
Inventor
미야하라히데키
이와사키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카의 상부난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카(2)상에 설치된 난간 (110)과, 난간(110)을 지지하는 지지틀(4)과, 지지틀(4)을 카(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주(柱)(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난간(110)은 카(2)의 대향하는 2측면에 평행하게 카(2) 상부에 구비된 측면난간(120,130)과 측면난간(120,130)에 수직으로 카 (2)의 상부에 구비된 배면난간(140)을 포함한다. 또 난간(110)중 적어도 측면난간 (120,130)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26,30)을 구비하고, 또 각 난간(110)은 카(2)의 상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수단(32,34)를 구비한다.
카, 지지틀, 고정주.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ON-CAGE HANDRAIL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난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서의 작업시에 카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카(600)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610)을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1A는 정면도이고, 도 21B는도 21A에서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카(600)에는 카(2) 및 난간(610)이 설치되어 있다.
난간(610)에는 좌측면 난간(620), 우측면 난간(630) 및 배면난간(64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난간(620),(630),(640)은 각각 지지틀(4)에 부착되어 있다. 또 지지틀(4)은 고정주(6)를 통해서 카(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주(6)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용 카(600)를 승강하기 위한 로프를 카(2) 하부에 배치된 감는 바퀴(도시않음)에 통하는 로프 통로(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좌측면 난간(620) 및 배면난간(640)은 각각 카(2) 천정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세로틀(14)과 이 2개의 세로틀(14) 사이에 세로틀(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20), 상단 가로틀(2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 우측면 난간(630)은 각각 하단 세로틀(16) 및 상단 세로틀(18)이 조합된 2개의 세로틀과, 이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세로틀(16),(18)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 (20), 상단 가로틀(2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난간(610)은 엘리베이터용 카(600) 상부에서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하기 위해 부착부재(32) 및 세로틀(14) 또는 하단 세로틀(16)에 관통시킨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접은 상태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난간(610)을 접었을 때 우측면 난간(630)의 세로틀을 상단 세로틀(18)이 하단 세로틀(16)에 대해 하측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난간(610)에는 난간을 수납한 것을 검출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장치는 우측면 난간(630)에 설치된 안전 스위치(92)와, 좌측면 난간(620)에 끈(94)을 통해서 부착된 누름금구(96)로 구성된다. 난간(610) 수납시에는 누름금구(96)에 의해 안전 스위치(92)를 ON으로 하고 난간이 수납된 것이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의 난간(610)을 접는 경우, 도 21C, 21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 난간(620)을 우측면 난간(630)의 상단 세로틀(18) 및 상단 가로틀(22)위에 겹치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면 좌우측면 난간(620), (630)의 높이를 어느 정도 높이해도 좌우측면 난간(620),(630)을 접을 때, 난간기 리가 부디쳐서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어느 정도 난간(610)의 수납에 필요로 하는 높이를 억제해서 성스페이스화를 도모하면서 작은 스페이스에도 어느 정도 높은 난간을 설치할 수가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작동시에는 난간(610)이나, 카 상 기기(12)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카(600)상의 스페이스는 가능한 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상에 올라타서 실시하는 점검 등의 작업에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난간의 높이는 필요하다.
그러나, 입구가 좁은 엘리베이터용 카위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높은 난간을 설치하려고 하면, 난간을 접을 때에 예를 들면 카 상 기기(12) 등에 난간이 부디치지 않도록 세로틀을 구부리는 우치, 즉 부착나사(34)의 위치를 어느 정도 높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난간은 접어서 수납해도 어느 정도의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용 카상에서 안전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설치된 건물의 최상층의 엘리베이터 승차장으로부터 카에 올라탄다. 이경우,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람이 엘리베이터용 카에 올라타기전에 승차장에서 우선 난간을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승차장에서의 난간의 조립작업은 곤란하다. 그러므로, 작업 때, 난간의 설치에 요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전체의 작업시간이 길어져 엘리베이터가 장시간 정지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 불편을 강요하게 된다.
또 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장치를 해지하지 않으면 카상에 올라갈 수가 없 다. 또, 작업종료 후 엘리베이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안정장치를 작동시켜서 난간이 수납된 것을 검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 안전장치의 스위치는 난간수납후에 승차장으로부터 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으나, 안전스위치의 배치위치에 따라서는 승차장으로부터의 작업은 곤란되었었다.
또, 그 방향으로 승차장을 갖는 엘리베이터에서도 안전 스위치의 배치에 의해 카상에 올라탄다거나, 또는 카상에서 내리는 방향으로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작업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엘리베이터가 장시간 정지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작은 스페이스에도 수납가능한 높은 난간을 설치하는 동시에 난간의 설치, 수납이나 안전장치의 작동에 따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개량된 엘리베이터용 카상의 난간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카위의 난간은 엘리베이터의 카상에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을 지지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을 상기 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주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카가 대향하는 2측면에 평행으로 상기 카 상부에 설치된 측면난간과, 상기 측면난간에 수직으로 상기 카의 상부에 설치된 배면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중 적어도 측면난간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각 난간은 상기 카의 상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작은 스페이스에 높은 난간을 수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카위의 난간은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을 지지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을 상기 카에 고정하는 고정주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2측면에 각각 평행항 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측면난간과, 상기 측면난간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 배면난간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난간은 한쪽을 수납하면 다른쪽도 수납되도록 자동수납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난간의 설치, 수납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용 카상에서 실시하는 작업전체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카위의 난간은 수납 및/또는 설치상태를 확인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수납수단은 상기 난간의 수납 또는 설치와 동시에 상기 안전장치를 작동 또는 정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안전장치의 작동 또는 정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용 카상에서의 작업전체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설치된 난간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A ~ 2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설치된 난간을 표시하는 개략도.
도 3A ~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난간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도 4A ~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좌측면 난간이 수납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설치된 난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6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난간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A ~ 7E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좌측면 난간이 수납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를 포함한 개략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설치된 난간을 표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좌우측면 난간의 세로틀을 표시하는 단면 개략도.
도 10 ~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좌측면 난간을 수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난간을 수납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15A, 15B는 본 발명에 실시의 형태 4에서, 난간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16A ~ 16C는 본 발명에 실시의 형태 4에서, 난간의 좌우측면 난간을 접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 17A, 17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 상부에 난간을 설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18A, 18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난간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좌우측면 난간이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 수납용 회전반이 수납상태가 될 때, 안전장장치의 스위치를 누른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21A ~ D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카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을 표시하는 개략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동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쳐서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는 생략한다.
우선 도 1에서 도 3에 사이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100) 상부에 설치된 난간(110)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카(100)에는 카(2)와 난간(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 난간(110)에는 좌측면 난간(120), 우측면 난간(130) 및 배면난간 (14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난간(120),(130),(140)은 지지틀(4)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틀(4)은 고정주(6)에 의해 카(2)에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주(6)의 상부에는 로프통로(8)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통로(8)는 엘리베이터용 카(100)를 승강하기 위해 카(2) 하측의 감는 활차(도시않음)에 승강용 와이어 로프를 통과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카(2) 상부에는 카 상 기기(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엘리베이터용 카(100)의 상부에 난간(110)이 조립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A는 상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도 2A에서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난간(120),(130),(140)은 각각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을 조합한 2개의 세로틀과, 이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세로틀 16),(18)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20)과 상단 가로틀(22)을 구비한다.
하단 세로틀(16)은 중공상태의 4각주이다. 하단 세로틀(16)에는 아래쪽과 위쪽에 각각 관통공(24),(2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단 세로틀(18)은 4각주이다. 상단 세로틀(18)에는 하측과 상측에 각각 설치용 관통공(28), 수납용 관통공(30)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금구(32)는 2면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는 L자형의 금구이고, 한면에서 지지틀(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부착나사(34)는 부착금구(32)의 다른면과, 각 한 단 세로틀(16)에 설치된 관통공(24)을 관통하고, 이로 인해 각 하단 세로틀(16)은 지지틀(4)에 접속하고 있다.
또 난간(1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부착나사(36)는 하단 세로틀(16)의 관통공(26)과, 상단 세로틀(18)의 설치용 관통공(28)을 관통하고, 이로 인해 상단 세로틀(18)을 하단 세로틀(16)에 고정하고 있다.
또 하단 가로틀(20)은 2개의 하단 세로틀(16)의 상단 부근 사이에 하단 세로틀(16)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상단 가로틀(22)은 2개의 상단 세로틀 (18)의 상단 부근 사이에 상단 세로틀(18)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난간(110)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3A는 상면도, 3B는 정면도, 도 3C는 도 3A에서 우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110)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각 상단 세로틀 (18)은 각 하단 세로틀(16)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또 상단 난간(18)을 수납한 상태에서 각 난간(120),(130),(140)은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내측에 접혀져 있다. 또 배면난간(140)은 좌우측 양난간(120),(130)에 대해 아래로 배치되게 되어 있고, 난간수납 때에 각 난간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 도 4를 사용해서 난간(110)을 수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좌측면 난간(120)이 수납디는 공정을 설명 하기 위한 도면도 이고, 도 4A, 4C, 4E는 평행인 단면을 표시하고, 도 4B, 4D, 4F는 측면에 평행한 단면을 표시한다.
도 4A,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설치의 상태에서는 하단 세로틀(16)은 부착금 구(32)에 의해 지지틀(4)에 부착되고 카(2) 상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단 세로틀(18)은 하단 세로틀(16)의 관통공(26)과, 상단 세로틀의 설치용 관통공(28)에 부착나사(36)를 관통시킴으로서 좌측면 난간(120)이 가장 높게 되는 상태에서, 하단 세로틀(16)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좌측난간(120)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단 세로클(18)을 하단 세로틀(16)에 고정하고 있는 부착나사(36)를 빼내서 이탈시킨다. 이로써 상단 세로틀(18)은 하단 세로틀(16)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도 4C, 4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을 아래로 끌어내리고, 하단 세로틀(16)의 내부에 슬라이드시켜 수납한다. 그후 상단 세로틀(18)의 수납용 관통공(30)과, 하단 세로틀 관통공(26)에 부착나사(36)를 관통시켜서 고정한다.
다음 도 4E, 4F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을 수납한 하단 세로틀 (16)을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거의 90도 내측에 회전해서 접는다. 이 상태에서 좌측면 난간(120)이 수납된다.
또 우측면 난간(130), 배면난간(140)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수납된다.
이렇게, 난간(110)은 2단계로 접혀져 있다. 따라서, 좌우측면 난간을 접을 때의 간섭을 방지하고, 또 카 상 기기(12)가 장해를 일으키지 않고 작은 스페이스로 난간을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카(2)위에는 좌측면 난간(120), 우측면 난간(130) 및 배면난간(140)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3면에 난간을 갖는 것에 한하지 않고, 4면 모두에 난간을 갖는 것이나 좌우에만 난간을 설치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각 난간(120),(130),(140)은 각각 2단계로 접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좌우만을 접게하고, 배면난간에 대해서는 1단계만 접을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2단계로 접는 것에만 한하지 않고, 상면과의 스페이스와 난간의 강도, 높이 등을 고려하면 3단계이상 접을 수 있는 것도 무방하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하단 세로틀(16)을 중공상태의 4각주로 하고, 이 내부에 상단 세로틀(18)을 슬라이드 시켜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역으로 상단 세로틀(18)을 중공상태의 4각주로 하고, 상단 세로클(18)의 내부에 하단 세로틀(16)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각 세로틀, 가로틀 및 부착금구 등의 배치위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 하단 세로틀(16)은 본 발명의 하단난간에 해당하고, 상단 가로틀(18)은 본 발명의 상단난간에 해당한다. 또 하단 세로틀(16)의 관통공 (26), 설치용 관통공(28), 수납용 관통공(30) 및 부착나사(36)를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의 조정수단 및 부착수단에 해다한다. 또 하단 세로틀의 관통공(24), 부착금구(32) 및 부착나사(34)를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의 수납수단에 해당한다.
다음 도 5에서 도 7까지의 있어서,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200) 상부에 설치된 난간(21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난간(210)은 설치된 상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난간(110)과 같이 좌측면 난간(220), 우측면 난간(230) 및 배면난간(240)을 포함한다.
또, 좌측면 난간(220) 및 우측면 난간(230)은 각각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을 조합한 2개의 세로틀과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세로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20) 및 상단 가로틀(22)의 4개의 틀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하단 세로틀(16)에는 하방 및 상방에 관통공(24)(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단 세로틀(18)에는 하측에 관통공(42)이 설치되어 있다.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이 접속되는 부분에는 부착금구(44)가 배치되어 있다. 부착금구(44)는 상하로 2개의 관통공을 갖고 있다. 부착나사(46)는 부착금구(44)의 하측에 관통공과, 하단 세로틀의 관통공(40)을 관통한다.
또 부착나사(48)는 부착금구(44)의 상측의 관통공과 상단 세로틀(18)의 관통공(42)을 관통한다. 이로 인해,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과는 부착금구 (44)를 통해서 접속되고 있다. 부착금구(44)는 부착나사(46)를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단 세로틀(18)은 부착나사(48)를 중심축으로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배면난간(240)은, 하단 가로틀(20) 및 가로틀 상단(22)을 구비하고 있으나, 세로틀은 좌우측면 난간(220),(230)과 같이 2단계로는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세로틀(14)이 2개 각각 상하 가로틀(20),(22)의 양단에 상하 가로틀(20),(22)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각 하단 세로틀(16) 또는 세로틀(14)의 하측에 설치된 관통공(24)과 부착금구(32)로 부착나사(34)를 관통시킴으로서 각 난간(220) ,(230),(240)은 지지틀(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난간(210)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우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 난간(220) 및 우측면 난간(230)의 상단 세로틀(18)은 각각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과의 사이에 설치돈 부착금구 (44)에서 내측에 180도 회전해서 접혀져 있다. 또, 이 상태에서 하단 세로틀(16)과 지지틀(4)을 부착하는 부착금구(32)에서, 90도 내측으로 회전해서 접혀져 있다.
즉 좌우측면 난간(220),(230)은 2단계로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한편, 배면난간(240)은 지지틀(4)과 세로틀(14)을 부착하는 부착금구(32)에서, 90도 내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때 배면난간(240)은 좌우측면 난간(220), (230) 밑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좌측면 난간(220)이 수납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를 포함하는 개략도이고, 도 7A, 7C, 7E는 정면도, 도 7B, 7D, 7F는 도 7A, 7C, 7E에서 좌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이다.
또 도 7에서는 지지틀(4) 및 부착금구(32),(44) 부분에서 내부를 투시해서 표시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사용해서 좌측면 난간(220)이 수납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A, 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 난간(220)은 카(2)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하단 세로틀(1)은 부착금구(32)를 통해서 지지틀(4)에 부착되고 카(2) 상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단 세로틀(18)은 부착금구(44)를 통해서, 하단 세로틀(16)의 상부에 같은 방향으로 쌓아 올려 접속되어 있다.
도 7C, 7D는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 사이에서 상단 세로틀(18)이 180도 내측으로 구부려진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부착금구(44)는 부착금구(44)의 관통공과 하단 세로틀(16)의 관통공(40)을 관통하는 부착나사(46)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내측으로 회전한다. 또 상단 세로틀(18)은 그 관통공(42)을 관통하는 부착나사(48)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회전해서 내측으로 접어진다.
이렇게 해서 도 7C, 7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은 180도 내측에 접혀져서 하단 세로틀(16)에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7E, 7F는 난간(210)이 접혀진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는, 상단 세로틀(18)이 180도 내측에 접혀진 상태에서 하단 세로틀 (16)의 하측의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세로틀 하단을 90도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접는다. 따라서 하단 세로틀(16), 상단 세로틀(18) 모두 카(2)의 상부에 수평한 상태로 접혀진다.
또 좌측면 난간(220)의 수납공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우측면 난간(2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납된다. 또 배면난간(240)은 세로틀(14)이 하나로 구성되고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내측으로 회전해서 접혀지는 상태로 수납된다. 이렇게 하면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난간(210)을 수납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배면난간(240)은 대향하는 정면측에 난간이 없으므로, 좌우측면 난간(220),(230)과 같이 2단계로 접지 않더라도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난간끼리도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 난간을 접었을 때에 장해가 되기 쉬운 카 상 기기(12)는 정면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면난간(240)을 접었을 때에 카 상 기기(12)가 장해가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배면난간(240)은 1단계에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면 난간(210)의 수납 때에 좌우측면 난간(220),(230)이 서로 부디쳐서 간섭하는 일이 없고, 또 카 상 기기(12) 등이 장해가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입구가 좁은 엘리베이터에서도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난간을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상단 세로틀(18)을 내측으로 접기 위해, 부착금구 (44)에 부착나사(46),(48)을 관통시킨 것을 회전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단 세로틀(18)을 한번 접을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 부착금구(44)나, 부착나사(46),(48) 등의 배치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실시의 형태 2에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실시의 형태 2에서 관통공(40),(42), 부착금구(44) 및 부착나사(46),(48) 을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조정수단 및 접속부분에 해다한다.
다음 도 8 ~ 도 13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300) 상부에 난간 (310)이 설치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서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310)은 좌측면 난간(320), 우측면 난간(330) 및 배면난간(340)을 구비하고, 각 난간(320),(330),(340)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지지틀(4)에 부착되어 있다.
또 좌측면 난간(320) 및 우측면 난간(330)은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 (18)을 조합한 2개의 세로틀, 이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세로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20), 상단 가로틀(22)을 구비하고 있다. 하단 가로틀(20)은 2개의 하단 세로틀(16)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단 가로틀(22)은 2개의 상단 세로틀(18)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배면난간(240)의 세로틀은 하나의 세로틀(14)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난간(250)은 2개의 세로틀(14)과 그 사이에 세로틀(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20), 상단 가로틀(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좌우측면 난간(320),(330)의 세로틀을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9A는 하단 세로틀(16)을 도 9B는 상단 세로틀(18)을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또 도 9A, 9B 각각에서 좌측이 정면을 표시하고, 우측이 측면을 표시한다.
하단 세로틀(16)은 2면에 개방면을 갖는 중공의 4각주이다. 도 9A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단 세로틀(16)의 상단부에는 세로 U자홈(52)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 U자홈(52)은 하단 세로틀(16)의 상방을 세로로 U자형으로 파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세로 U자홈(52) 하방에는 하단 세로틀(16)의 세로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단 계합항(54)이 구비되어 있다.
하단 계합항(54)은 도 9A의 지면좌측에 표시하시는 정면도에서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표리에 돌출하고, 지면우측에 표시하는 측면도에서는 하단 세로틀(16)에 수직으로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하단 계합항 (54)의 아래에는 가로 U자홈(56)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 U자홈(56)은 하단 세로틀 (16)의 세로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U자형으로 파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가로 U자홈(56)이 설치되어 있는 면, 즉 도 9A 좌측의 정면도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측면은 일면이 개방면으로 되어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 2와 같이 하단 세로틀(18)의 아래쪽에는 관통공(24)이 설치되어 있다.
도 9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의 아래에는 타원공(58)이 설치되어 있다. 타원공(58)은 도 9B의 지면좌측에 표시한 정면도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타원형으로 상단 세로틀(18)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또, 타원공(58) 상부에는 상단 계합항(60)이 설치되어 있다. 상단 계합항 (60)은 하단 세로틀(16)의 하단 계합항(54)과 같은 방향, 즉 도 9B의 지면좌측에 표시하는 정면도에서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표리쪽으로 돌출하고, 지면우측에 표시하는 측면도에서는 상단 세로틀(14)에 수직인 방향으로 좌우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0 ~ 도 12는 좌측면 난간(320)을 수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10A, 도 11A, 도 12A는 정면도를 도 10B, 11B, 12B는 측면도를 표시한다. 또 도 13은 난간(310)을 수납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3A는 정면도를 도 13A에서 우측에서 본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 세로틀(16)은 부착금구(32) 및 관통공에 부착나사(34)를 관통시킴으로서 지지틀(4)에 부착되어 있다.
또, 하단 세로틀(16)의 세로 U자홈(52)에 상단 세로틀(18)의 상단 계합항 (60)을 계합시켜 상단 세로틀(18)의 타원공(58)의 사방부분에 하단 세로틀(16)의 하단 계합항(54)을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이 조합되고 일직선상에 설치된 상태의 세로틀을 구성한다. 또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설치된 하단 가로틀(20), 상단 가로틀(22)은 카상면에 대해 거의 평행인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설치딘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을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서 상단 세로틀(18)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세로 U자홈(52)에 계합하고 있던 상단 계합항(60)은 위쪽으로 어긋나 세로 U자홈(52)으로부터는 빠져 있다. 또 하단 계합항(54)은 세로틀 상단이 끌어올려짐으로서, 타원공(58)의 아래쪽으로 밀린다.
이 상태에서, 상단 세로틀(18)은 좌우로 움직일 수가 있고, 난간(310)을 접기위해서는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세로틀(18)을 하단 계합항(54)을 중심축으로 해서 약 180도 정도 외측으로 회전시켜 눕힌다. 이 상태에서 상단 세로틀 (18)의 일부는 하단 세로틀(16)의 개방면으로부터 내부에 수납된다. 그러나 상단 세로틀의 위부분과 상단 가로틀(22)이 지지틀(4)에 부디침으로 상단 세로틀 상단 세로틀(18)은 180도 완전하게는 회전하지 않고 하단 세로틀(18)에 도중까지 수납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또 우측면 난간(330)에 대해서도, 상술한 좌측면 난간(320)과 마찬가지로 수납한 상태로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단 세로틀(16)을 부착나사(34)를 중심으로 90도 내측으로 구부려서 수납한다. 이때, 지지틀(4)에 부디쳐서,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던 상단 세로틀(18)의 위부분 및 상단 가로틀(22)부분도 완전하게 수납된다.
기타부분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단, 하단 세로틀의 길이의 관계는 실시의 형태 3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하면 난간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가 있으므로 적은 스페이스에 수납가능한 높은 난간을 설치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세로 U자홈(52), 하단 계합항(54), 가로 U자홈(6), 타원공 (58), 상단 계합항(60) 등의 형상이나 배치위치는 실시의 형태 3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의 형태 3에서 세로 U자홈(52), 하단 계합항(54), 가로 U자홈(56),, 타원공(58), 상단 계합항(60)을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의 조정수단 및 접속부분에 해당한다.
다음, 도 14 ~ 도 6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엘리베이터용 카(400) 상부에 난간 (410)이 설치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4A는 정면도, 도 14B는 도 14A에서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410)은 좌측면 난간(420), 우측면 난간(430) 및 배면난간(440)을 구비한다.
좌우측면 난간(420),(430)은 각각,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을 부착금구(70)를 통해서 조합한 2개의 세로틀과, 이 2개의 세로틀 사이에 세로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하단 가로틀(20), 상단 가로틀(2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좌우측면 난간(420),(430)의 하단 세로틀(16)과 상단 세로틀(18) 사이에 설치된 부착금구에는 수납봉(72)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봉(7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단에서, 좌측면 난간(420)의 부착금구(70)의 좌상방에 수납봉(72)과 부착금구(70)와의 배치각도가 변경가능하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고, 또 타단에서, 우측면 난간(430)의 부착금구(70)의 좌하방에 수납봉(72)과 부착금구(70)와의 배치각도가 변경되도록 회전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 15는 난간(410)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도 15A에서 우측에서 본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410)의 좌우측면 난간(420),(430)은 부착금구(70)에서 내측에 90도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또 배면난간(440)은 좌우측면 난간(420),(430)의 하측에 부착나사(34)를 중심축으로 해서 90도 안쪽으로 회전해서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된다.
도 14에 표시한 설치상태에서 도 15에 수납된 상태로 난간(410)을 접을 때 우측면 난간(430)은 좌측면 난간(420)을 접어줌으로서, 자동적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도 16A ~ 16C는 난간(410)의 좌우측면 난간(420),(430)을 접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일부투시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6A ~ 16C에서는 부착금구 (70)의 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고 있다.
도 16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착금구(70)는 우하측에서, 좌측면 난간(420)의 정면측의 하단 세로틀(16) 및 상단 세로틀(18)에 부착나사(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다른 부착금구(70)는 우상측에서 우측면 난간(420)의 정면측의 하단 세로틀(16) 및 상단 세로틀(18)에 부착나사(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단 세로틀(18)은 부착금구(70)에 고정해서 접착되어 있다. 또 수납봉(72)은 일단에서 좌측면 난간(420)의 부착금구(70)의 좌상방에 부착나사(7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수납봉(72)은 타단에서 우측면 난간(430)의 부착금구(70)의 좌하방에 부착나사(7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좌우측면 난간(420),(430)을 90도 안쪽으로 접는 경우, 우선 도 16A에서, 화살표 ①에 표시하는 방향에 좌측면 난간(420)의 상단 세로틀(18)을 부착나사(74)를 중심축으로 해서 내측에 회전시켜서 접어둔다.
이때, 좌측면 난간(420)의 상단 세로틀(18)의 움직임에 따라, 상단 세로틀 (18)에 고정된 부착금구(70)는 부착나사(74)를 중심축으로서 도 16B에서 화살표 ②가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좌우측면 난간(420)의 부착금구(70)에 회전과 함께, 수납봉(72)을 부착하는 부착나사(76)는 수납봉(72)과 부착금구(70)와의 배치각도를 적당히 변경하면서 회전해서 화살표 ③의 방향으로 수납봉(72)을 누른다. 이로써, 우측면 난간(430)에 설치된 부착금구(70)에 수납봉(72)을 부착하는 부착나사(76)가 화살표 ④의 방향으로 밀리고, 부착나사(74)를 중심축으로서 회전한다. 이때 부착나사(76)와 함께 우측면 난간(430)의 부착금구(70)도 화살표 ④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 때, 수납봉(72)과 부착금구(70)와의 설치각도는 적의 변경되어 있다.
우측면 난간(430)의 부착금구(70)에 고정되어 있는 상단 세로틀(18)도 부착금구(70)와 함께 회전하고, 화살표 ⑤의 방향으로 넘어지게 된다.
또, 여기서는 좌측면 난간(420)을 접어줌으로서, 자동적으로 우측면 난간 (430)을 수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역으로 우측면 난간(430)을 화살표 ⑤에 표시하는 방향으로 접음으로서, 자동적으로 좌측면 난간(420)을 접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측면 난간(420)으로부터 접는 것과는 역으로 화살표 ⑤방향으로 우측면 난간(430)이 넘겨지며, 화살표 ④방향에 부착금구(70)가 회전하고, 화살표 ③방향으로 수납봉(72)이 끌린다. 이로써, 화살표 ②방향으로 부착금구(70)가 회전하고, 화살표 ①방향으로 좌측면 난간(420)이 접혀진다.
또, 측면난간(420),(430)을 접지 않고, 수납봉(72)에 화살표 ③에 표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좌측면 난간(420)의 부착금구(70)에는 화살표 ②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우측면 난간(430)이 부참금구(70)에는 화살표 ④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로써, 좌우측면 난간(420),(430)을 각각 화살표 ①, ⑤방향을 접어주고, 자동적으로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여기서는 난간을 수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좌측면 난간(420) 또는 우측면 난간(430) 또는 수납봉(72)에 상술한 바와는 역의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서, 난간을 설치할 수도 있다.
기타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 ~ 3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면 좌우측면 난간(420) 및 (430)을 수납 또는 설치할 때 한쪽의 난간 또는 수나봉(72)에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좌우측면 난간의 양측을 한번에 수납 또는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입구가 좁은 엘리베이터에서도 간단히, 또 신속하게 난간의 수납설치를 할 수가 있고, 난간의 수납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4에서 부착금구(70), 수납봉(72), 부착나사(72),(74)를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자동수납수단에 해당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도 17 ~ 도 2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500) 상부에, 난간(510)을 설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7A는 정면도이고, 도 17B는 도 17A에서 우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카(500) 상부 에 구비된 난간(510)은 실시의 형태 4와 같이 좌우측면 난간(520),(530) 및 배면난간(540)을 구비하고 좌우측면 난간(520),(530)을 한번에 접는 기능을 구비하나, 그 구조가 다르다. 또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좌우측면 난간(520),(530)을 수납 또는 설치할 때에, 안전장치의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ON 또는 OFF로 할 수가 있다.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난간(520),(530),(540)은 각각 2개의 세로틀 (14)과 2개의 세로틀(14) 사이에 세로틀(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하단 가로틀 (20)과, 상단 가로틀(22)을 구비한다. 각 세로틀(14)은 하방에 설치된 관통공(24)과 부착금구(32)에 부착나사(34)를 관통시켜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지지틀(4)에 부착되어 있다. 또 좌우측면 난간(520),(530)의 정면측의 세로틀(14)에서 부착금구(32)의 상방에는 수납봉(80),(82)이 각각 세로틀(14)과의 배치각도를 변경시키면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 수납봉(80),(82)의 타단은 수납용 회전반(84)에 수납봉(80),(82)과 수납용 회전반(84)과의 배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수납용 회전반(84)은 수납용 회전축반(86)에 부착되고, 중심축(8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납용 회전축반(86)의 내측에는 수납용 회전반(84)이 회전했을 때에 수납용 회전반(84)에 닿는 위치에 안전장치의 스위치(9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8은 난간(510)이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8A는 정면도, 도 18B는 도 18A에서 우측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도 1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510)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세로틀(14)은 90도 내측에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또 실시의 형태 4와 같이 배면난간(540)이 접혀진 위에 좌우측면 난간(520),(530)이 접혀져 있다.
도 19는 좌우측면 난간(520),(530)이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수납 때, 도 19에서 화살표 ①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 난간(620)이 내측으로 접혀지면, 수납봉(80)은 양단의 부착나사 부분에서 회전해서 세로틀(14) 또는 수납용 회전반(84)과의 배치각도를 적당히 변경하면서 화살표 ②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로 인해, 수납용 회전반(84)은 화살표 ③방향으로 밀려서 중심축(88)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수납봉(82)을 화살표 ④방향의 끌어다닌다.
이에 수반해서, 수납봉(82)의 타단에 구비된 우측면 난간(530)의 세로틀(14)이 화살표 ⑤의 방향으로 밀어 눕혀진다. 이렇게 해서, 난간(510)은 좌측면 난간 (52))이 수납되면, 동시에 우측면 난간(530)이 수납되게 되어 있다.
또, 도 20은 수납용 회전반(84)이 수납상태가 될 때에, 안전장치의 스위치 (90)를 누르는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0A는 안전장치의 스위치(90)가 OFF상태를 표시하고, 도 20B는 스위치(90)가 ON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난간(5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납용 회전반(84)은 수납용 회전반(86)의 위쪽에 있으므로 안전장치의 스위치(90)는 OFF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난간(510)이 수납된 상태가 되면,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 회전반(84)은 안전장치의 스위치(90)상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난간(510)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항상 스위치(90)는 ON상태로 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좌측면 난간(520)을 접음으로서, 우측면 난간(530)을 접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우측면 난간(530)을 접음으로서, 좌측면 난간(520)을 접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측면 난간(520)으로부터 접는 것과는 반대로, 도 19에서 우측면 난간(530)에 화살표 ⑤의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수납봉(82)에 화살표 ④방향, 수납용 회전반(84)에 화살표 ③방향, 수납봉(80)에 화살표 ②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좌측면 난간(520)이 화살표 ①방향으로 접혀진다. 또 수납봉(80) 또는 (82)에 화살표 ② 또는 ④방향의 힘을 가해줌으로서도 좌우측면 난간(520)(530)을 동시에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수납용 회전반(84)을 화살표 ③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도, 화살표 ②, ①방향 및 화살표 ④, ⑤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가 있고 좌우측면 난간을 동시에 수납할 수가 있다. 또 어느 수납방법에 의해서도 안전장치의 스위치(90)를 자동적으로 ON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여기서는 좌우측면 난간(520),(530)을 수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좌우측면 난간(520),(530), 수납봉(80),(82), 수납용 회전반(84)의 어느 하나에 상기와 반대의 방향의 힘을 가해줌으로서 한번에 좌우측면 난간(520),(530)을 한번에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이경우 어느 설치방법에 의해서도 안전장치의 스위치(90)를 자동적으로 OFF로 할 수가 있고 안전장치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가 있다.
또, 수납봉(80),(82) 및 수납용 회전반(84), 수납용 회전반(86), 중심축(88) 및 안전장치의 스위치(90) 등의 배치위치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기타의 부분은 실시의 형태 1 ~ 4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면, 간단한 기능으로 한번에 좌우측면 난간을 접을 수가 있다. 또, 안전장치의 작동 및 해제를 난간의 수납, 설치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난간의 설치 등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5에서 수납봉(80),(82), 수납용 회전반(84), 수납용 회전반 (86) 및 중심축(88)을 포함하는 부분은 본 발명에서의 조정수단에 해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난간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측면난간의 높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접어서 수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카상 난간을 어느 정도 높게 설치하고, 측면난간끼리의 수납시의 간섭이나 카 상 기기와의 간섭을 피해서 작은 스페이스에도 수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자동수납수단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측면난간의 한쪽을 수납 또는 설치하면, 다른쪽의 측면난간을 수납 또는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점검 등의 난간의 설치, 수납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고 작업전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안전장치의 동작 및 정지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안전장치의 작동, 정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의 점검 등에서의 작업전체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용 카상에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을 지지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을 상기 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주(柱)
    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카가 대향하는 2측면에 평행하게 상기 카 상부에 구비된 측면난간과, 상기 측면난간에 수직으로 상기 카 상부에 설치된 배면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난간은, 상기 지지틀에 장착된 하단난간과, 상기 하단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단난간을 구비하며,
    상기 하단난간과 상기 상단난간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상단난간을 상기 하단난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음으로써, 난간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상단난간을 상기 하단난간의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하단난간을, 상기 카 상면에 수평 방향으로 접어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의 상부난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용 카상에, 수납 및 설치 상태를 확인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의 수납 또는 설치와 동시에, 상기 안전장치를 작동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의 상부난간.
KR1020037017156A 2002-05-01 2002-05-01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 KR100567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4359 WO2003093157A1 (fr) 2002-05-01 2002-05-01 Main courante pour cag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787A KR20040010787A (ko) 2004-01-31
KR100567784B1 true KR100567784B1 (ko) 2006-04-04

Family

ID=2928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156A KR100567784B1 (ko) 2002-05-01 2002-05-01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2295363B1 (ko)
JP (1) JP4220464B2 (ko)
KR (1) KR100567784B1 (ko)
CN (2) CN100443391C (ko)
WO (1) WO2003093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6876B1 (en) * 2001-04-17 2014-05-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ge and elevator
US7510056B2 (en) * 2005-02-18 2009-03-31 Otis Elevator Company Roof railing for an elevator car adapted to be collapsed with a handle actuating all sides at the same time
WO2007032080A1 (ja) * 2005-09-16 2007-03-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100866193B1 (ko) * 2007-02-06 2008-10-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JP2008285266A (ja) * 2007-05-16 2008-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用安全装置
CN101948067A (zh) * 2010-08-25 2011-01-19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轿顶护栏
CN101992996B (zh) * 2010-11-29 2013-01-23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轿厢内扶手的设置结构
CN102020172A (zh) * 2010-11-30 2011-04-20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的轿厢中扶手的设置结构
CN102259810B (zh) * 2011-04-28 2013-04-10 浙江鼎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高空作业平台的围栏连接装置
JP5673958B2 (ja) * 2011-10-28 2015-0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JP5939996B2 (ja) * 2013-01-11 2016-06-2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上昇ストッパ付きかご上手摺装置、並びに、上昇ストッパ及びかご上手摺の準備・後処理方法
CN104477719B (zh) * 2014-12-12 2017-04-26 贵州森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导轨式升降机组合式安全栏
DE112015006425T5 (de) * 2015-04-08 201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CN108473275B (zh) * 2015-12-18 2020-09-15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能够翻转的护栏的电梯轿厢以及针对具有这种电梯轿厢的电梯设备的控制装置
KR20180000375U (ko) 2016-07-28 2018-02-07 남정욱 냉동수산물 보관용 자루
CN106429740A (zh) * 2016-10-20 2017-02-22 泉州惠安博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用升降机支架
EP3315445B1 (en) * 2016-10-27 2022-04-13 KONE Corporation Elevator safety arrangement and elevator
DE102016121742A1 (de) * 2016-11-14 2018-05-17 Thyssenkrupp Ag Fahrkorb für ein Aufzugsystem
ES2944539T3 (es) 2016-11-15 2023-06-22 Inventio Ag Cabina de ascensor
JP6631563B2 (ja) * 2017-03-07 2020-01-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柵
JP6988942B2 (ja) * 2020-04-13 2022-01-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安全柵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用安全柵
KR102339801B1 (ko) * 2020-07-03 2021-12-15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부 보관함
EP4005961A1 (de) 2020-11-30 2022-06-01 Inventio AG Aufzugskabine mit einer balustrad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8038B (en) * 1984-04-27 1986-10-29 Afd Engineering Lift car top barrier
JPH0242704Y2 (ko) * 1986-04-30 1990-11-14
JPH0649577Y2 (ja) * 1987-11-27 1994-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4292386A (ja) 1991-03-20 1992-10-16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柵
JP3375455B2 (ja) * 1995-05-19 2003-02-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油圧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手すり
JP4245209B2 (ja) * 1998-09-03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
JP2002020062A (ja) * 2000-07-07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9156A (zh) 2006-05-10
EP1500623A1 (en) 2005-01-26
JP4220464B2 (ja) 2009-02-04
EP2295363A1 (en) 2011-03-16
EP2295363B1 (en) 2014-08-20
KR20040010787A (ko) 2004-01-31
WO2003093157A1 (fr) 2003-11-13
JPWO2003093157A1 (ja) 2005-09-08
CN1247429C (zh) 2006-03-29
EP1500623B1 (en) 2012-05-30
CN1525937A (zh) 2004-09-01
CN100443391C (zh) 2008-12-17
EP1500623A4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84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난간
KR100399425B1 (ko)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US8967336B2 (en)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window
JP2007063021A (ja) 保守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保守のための方法
EP1422185A1 (en) Cage and elevator
CN112520543A (zh) 电梯轿厢框架
KR100817906B1 (ko)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2002284469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2888394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床
JP5517599B2 (ja) 階段昇降機用ガイドレールの折り畳み装置
KR89000106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513254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り装置
JPH06146760A (ja) 折り畳み式梯子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2784429B2 (ja) 簡易リフター
JP3994648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据付方法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KR200361424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JPH10167611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固定装置
JP4033761B2 (ja)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駐車棚
JP2001048437A (ja) エレベータ
JP200711913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