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704B1 - 가변 터보챠저 - Google Patents

가변 터보챠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704B1
KR100566704B1 KR1020010003632A KR20010003632A KR100566704B1 KR 100566704 B1 KR100566704 B1 KR 100566704B1 KR 1020010003632 A KR1020010003632 A KR 1020010003632A KR 20010003632 A KR20010003632 A KR 20010003632A KR 100566704 B1 KR100566704 B1 KR 10056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housing
turbine
plat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546A (ko
Inventor
진나이야스아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F02C6/12Turbochargers, i.e. plants for augmenting mechanical power output of 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by increase of charg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 F01D17/16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for radial flow, i.e. the vanes turning around axes which are essentially parallel to the rotor centr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4Control of the pumps by using pumps or turbines with adjustable guide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30Arrangement of components
    • F05D2250/31Arrangeme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ir main axis or their axis of rotation
    • F05D2250/311Arrangeme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ir main axis or their axis of rotation the axes being i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30Arrangement of components
    • F05D2250/31Arrangeme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ir main axis or their axis of rotation
    • F05D2250/312Arrangeme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ir main axis or their axis of rotation the axes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터보챠저의 각 노즐베인 사이의 유로를 우회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와 노즐베인의 틈에서 터빈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가변 터보챠저 (10) 의 노즐부 (100) 가 터빈 (28) 의 회전축방향으로 서로 이간배치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와, 노즐부 (100) 를 횡단하는 복수의 지지볼트 (108) 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 (104) 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변 터보챠저 (10) 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마운트 플레이트 (102) 측으로 누르는 누름수단 (116,150) 과,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마운트 플레이트 (102) 를 향하는 축방향의 동작을 한정하는 한정수단 (108) 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가변 터보챠저 {VARIABLE-CAPACITY TURBOCHARGER}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변 터보챠저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터빈 차실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가변 터보챠저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부분확대도로서,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링크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전달기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걸어맞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링크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터빈 차실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종래기술에 의한 노즐부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변 터보챠저 50 : 액츄에이터
52 : 로드 54 : 링크부재
104 : 노즐베인 106 : 사이드 플레이트
112 : 링크 플레이트 116 : 스프링 플레이트
114 : 레버 플레이트 120 : 요동부재
130 : 팁 140 : 롤러부재
150 : 압력실
본 발명은 가변 터보챠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 터보챠저의 노즐베인 (nozzle vane) 을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의 변이를 노즐베인으로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출력증강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로 터빈을 회전하고, 터빈과 동축상에 설치된 압축기로 내연기관으로 공급하는 공기를 가압하는 터보챠저는 효과적이어서 이미 여러 내연기관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내연기관의 기관회전수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로 내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유량과 터보챠저의 최적의 작동조건에 필요한 배기가스유량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불일치를 보상하여 터보챠저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터보챠저의 터빈 차실내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터보챠저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터보챠저에서는 하우징내의 터빈의 노즐부에 복수의 노즐베인이 배치된다. 도 8 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의한 가변 터보챠저의 터빈노즐부의 부분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에 있어서, 터빈 (228) 은 그 회전축 (232) 이 상기 가변 터보챠저의 주하우징 (230) 내의 축받이 (231)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상기 가변 터보챠저의 흡기포트에서 하우징 (220) 내로 유도되고, 하우징 (220) 내에 구획되어 있는 스크롤 통로 (226) 및 터빈 (228) 쪽으로 입구를 형성하는 노즐부 (210) 를 경유하여 터빈 (228) 으로 공급된다. 터빈 (228) 으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 (228) 을 구동한 후에 배기포트로부터 배출된다.
노즐부 (210) 는 하우징 (220) 에 고정된 마운트 플레이트 (202) 와, 마운트 플레이트 (202) 에 대향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 (206) 에 의해 구획되고,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노즐부 (210) 에 복수의 노즐베인 (204) 이 둘레방향에 등간격 (등각도위치) 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 (206) 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206) 를 관통하는 지지볼트 (208) 를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 (202)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노즐베인 (204) 은 각각 그 축부 (204a) 를 갖고 있으며, 이 축부 (204a) 에 의해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마운트 플레이트 (202) 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드 플레이트 (206) 는 지지볼트 (208) 로 고정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열변형하기 때문에, 도 8 에 있어서 노즐베인 (204) 과 사이드 플레이트 (206) 사이에 틈을 형성함으로써, 노즐베인 (204) 의 회전시의 고착, 스틱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가변 터보챠저에서는 스크롤 통로 (226) 로 공급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노즐베인 (204) 과 사이드 플레이트 (206) 사이의 틈에서 노즐베인 (204) 사이의 유로를 우회하여 터빈 (228) 으로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노즐베인 (204) 사이의 유로를 통과하지 않고 터빈 (228) 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때문에 가변 터보챠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즐베인 사이의 유로를 우회하여 터빈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가급적 저감 또는 제거하는 가변 터보챠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부를 우회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터빈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가급적 저감하는 가변 터보챠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서 소정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의 노즐부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베인과,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즐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동기시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베인의 열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방향으로 서로 이간배치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된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측으로 누르는 누름수단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를 향하는 축방향의 이동량 (이동동작) 을 한정하는 한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누름수단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실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플레이트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대략 고리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단면이 상기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거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오목부는 그 내주부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형상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가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에 끼워맞춰져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는 구성부품의 치수, 형상, 그 상대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만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 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우선,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가변 터보챠저 (10) 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가변 터보챠저 (10) 는 터빈 하우징 (20) 과, 압축기 하우징 (40) 과, 터빈 하우징 (20) 및 압축기 하우징 (40) 사이의 주하우징 (30) 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터빈 하우징 (20) 은 흡기포트 (22) 와 배기포트 (24) 를 포함하고, 압축기 하우징 (40) 은 흡입포트 (44) 와 토출포트 (42) 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20,30,40) 의 외부에는 후술하는 노즐베인을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50) 가 배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50) 는 공압, 특히 상기 가변 터보챠저 (10) 가 장착되는 내연기관 (도시생략) 의 흡기부압을 이용하여 로드 (52) 를 전후로 왕복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터빈 차실부분, 특히 주하우징 (30) 부분을 도 2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빈 (28) 의 회전축 (32) 이 주하우징 (30)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터빈 하우징 (20) 내에는 상기 회전축 (32) 의 일단에 장착된 터빈 (28)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32) 의 타단에는 압축기 하우징 (40) 내에 배치된 압축기 임펠러 (도시생략) 가 장착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흡기포트 (22) 에서 터빈 하우징 (20) 내로 유도되고, 터빈 하우징 (20) 내에 구획되어 있는 스크롤 통로 (26) 및 터빈 (28) 으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노즐부 (100) 을 거쳐 터빈 (28) 으로 공급된다. 터빈 (28) 으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 (28) 을 구동한 후에 배기포트 (24) 로부터 배출된다.
노즐부 (100) 는 터빈 하우징 (20) 에 고정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와,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대해 축방향으로 대향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 (106) 에 의해 구획되고, 양자 사이에 복수의 노즐베인 (104) 이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터빈 (28) 의 중심축선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고리형상의 부재로서, 터빈 하우징 (20) 내에 형성된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내에서 축방향 (터빈 축선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노즐부 (100) 에는 마운트 플레이트 (102) 를 향하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 (터빈 축선방향) 의 이동량 (동작) 을 한정하기 위한 한정수단으로서, 복수의 지지볼트 (108) 가 노즐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의 종래기술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열변형을 고려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와 노즐베인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외경과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의 내경의 치수 차이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도에서 가급적 작게 되어 있고,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와 노즐베인 (104) 사이의 틈이 실질적으로 0 (제로)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와 터빈 하우징 (20) 사이에는 누름수단으로서의 스프링 플레이트 (116) 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 (116) 는 터빈 (28) 의 중심축선과 대략 수직인 평면내에 있는 고리형상부 (116a) 와, 상기 플랜지부 (116a) 의 내측 가장자리부에서 축방향으로 터빈 (28) 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장착부 (116b) 를 갖고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 (116) 는 고리형상부 (116a) 를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배면, 즉 사이드 플레이트 (106) 에서 노즐부 (100) 의 반대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장착부 (116b) 는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의 내주부에서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한 고리형상의 돌기부 (20b) 에 끼워맞춰져서 장착된다.
각각의 노즐베인 (104) 은 그 기단부에 축부 (104a) 를 갖고 있고, 이 축부 (104a) 에 의해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소정 각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베인 (104) 각각의 축부 (104a) 의 선단 (104b) 은 노즐 플레이트 (102) 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노즐베인 (104) 과 대응하는 수의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 (114) (도 3, 도 4 참조) 의 각각에 연결 (고정) 되고, 레버 플레이트의 요동에 추종하여 노즐베인 (104) 이 축부 (104a) 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 (114) 의 각각은 상기 축부 (104a) 의 선단부 (104b) 를 수납하는 관통구멍 (114b) 과, 상기 관통구멍 (114b) 의 반대측에 형성된 보스 또는 축부 (114a) 를 갖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는 링크 플레이트 (112) 의 주연부에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긴 구멍 (112d)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서 노즐부 (100) 의 반대측 배기포트 (24) 측에는 원통형상의 보스부 (102a)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부 (102a) 에 고리형상의 링크 플레이트 (112) (도 5 참조) 가, 터빈 (28) 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다. 링크 플레이트 (112) 는,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를 수납하기 위하여, 링크 플레이트 (112) 의 주연부에는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긴 구멍 (112d) 을 천공시키고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 (112)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평면내에서 일측부에 사다리꼴 (설편) 형상으로 돌출한 연장부 (112a) 를 갖고 있으며, 이 연장부 (112a) 는 그 선단에 2 갈래로 분기하여 중앙을 U 자형상으로 오목형성한 1 쌍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를 갖고 있고, 1 쌍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사이의 오목형성부에 U 자형상의 수납 오목부 (112b) 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변 터보챠저 (10) 는,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50) 의 동작을 링크 플레이트 (112) 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달기구는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50) 의 로드 (52), 핀 (50a) 을 통해 로드 (52) 의 선단부에 연결된 링크부재 (54) (도 1 참조), 상기 링크부재 (54) 에 연결된 요동부재 (120) (도 2, 도 6 참조), 요동부재 (120) 와 링크 플레이트 (11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달기구와 링크 플레이트 (112) 사이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롤러부재 (140) 및 팁 (130) 을 포함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요동부재 (120) 는 요동아암 (122) 과, 요동아암 (122) 의 일단면에서 소정의 축선 (O) 을 따라 연장설치되며 터빈 하우징 (20) 에 슬리브 (118) 를 통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축부 (124) 와, 축부 (124) 의 선단에 동축으로 설치되며 링크부재 (54) 에 대해 상대동작하지 않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128) 와, 요동아암 (122) 에 있어서 축부 (124) 의 반대측 단면에서 축부 (124) 와 평행하게 연장설치된 핀부 (12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요동부재 (120) 는 금속재료,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요동부재 (120) 는 요동아암 (122), 축부 (124) 와, 연결부 (128) 와, 핀부 (126) 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서로 용접하여도 된다.
팁 (130) 은 서로 평행하게 이간배치된 1 쌍의 평판부 (132) 와, 1 쌍의 평판부 (132) 사이에 설치되며 평판부 (132) 를 연결하는 중앙부 (134) 를 갖고 있다. 1 쌍의 평판부 (132) 사이의 중앙부 (134) 에는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를 수납하는 둘레홈 (136) 이 형성된다. 또한, 팁 (130) 은 그 일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중앙부 (134) 를 포함하여 잘라내진 절결부 (138) 를 갖고 있고, 이 절결부 (138) 의 대향하는 양측면이 서로 평행한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 (138)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기구를 조립하였을 때에 요동부재 (120) 의 핀부 (126) 에 장착되는 롤러부재 (140) 를 수납하여 상기 걸어맞춤부를 형성한다. 팁 (130) 은 금속재료, 예컨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부재 (140) 는 핀부 (126) 의 외경보다 훨씬 큰 내경의 중심구멍 (142) 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팁 (130) 의 슬라이딩면 (138) 의 간격보다 훨씬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롤러부재 (140) 는 금속재료, 예컨대 마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내연기관이 작동하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수나 액셀 열림정도 등에 따라 엔진의 부압펌프의 압력을 전자밸브로 컨트롤하여 액츄에이터 (50) 로 보냄으로써 액츄에이터 (50) 가 작동한다. 로드 (52) 는 액츄에이터 (50) 의 작동을 받아 그 축방향으로 전진후퇴 (도 1 에 있어서 좌우로 이동) 한다. 로드 (52) 가 동작하면, 링크부재 (54) 는 이에 따라 요동부재 (120) 의 축부 (124) 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링크부재 (54) 는 정지부재 (56) 의 상측 볼트 (56a) 에 맞닿아 있고, 이 때 링크부재 (54) 는 레버부재 (114) 및 축부 (114a) 를 통해 위치결정되어 있는 각각의 노즐베인 (104) 은 가장 큰 노즐 열림정도를 부여하는 열림위치에 있다.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낮고, 또한 액셀 열림정도도 작을 때에는 액츄에이터 (50) 는 로드 (52) 를 후퇴시킨다. 로드 (52) 가 가장 후퇴하면, 링크부재 (54) 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부재 (56) 의 하측 볼트 (56b) 에 맞닿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 때 각각의 노즐베인 (104) 은 가장 작은 노즐 열림정도를 부여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드 (52) 의 직선동작은 링크부재 (54) 를 통해 요동부재 (120) 의 요동동작으로 변환되어 도 4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부재 (120) 의 핀부 (126) 가 축부 (124) 의 축선 (O) 을 중심으로 원호상을 이동한다. 이 때, 핀부 (126) 및 롤러부재 (140) 는 팁 (130) 의 절결부 (138) 내에 있어서, 롤러부재 (140) 와 슬라이딩면 (138) 사이에서 팁 (130) 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6 의 위치관계에서 상하방향, 즉 터빈 (28) 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링크 플레이트 (112) 를 터빈 (28) 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의 보스부 (102a) 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운동시킨다. 링크 플레이트 (112) 가 회전운동하면, 링크 플레이트 (112) 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 플레이트 (114) 가 노즐베인 (104) 의 축부 (104a) 를 중심으로 노즐베인 (104) 과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노즐베인 (104) 이 그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열변형을 고려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와 노즐베인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본래 스크롤 통로 (26) 에서 노즐베인 (104) 사이의 유로로 전량 흘러가야 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와 노즐베인 (104) 사이에서, 즉 노즐베인 (104) 이 형성하는 유로를 우회하여 터빈 (28) 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이것이 가변 터보챠저 (10) 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 (206) 가 마운트 플레이트 (202) 에 대해 지지볼트 (208) 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레이트 (206) 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의 열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사이드 플레이트 (206) 와 노즐베인 (204)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한편, 배기가스의 일부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 사이에서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 또는 배면, 즉 사이드 플레이트의 주하우징 (30) 측의 측면을 따라 흘러 통과하고 노즐부 (100) 를 우회하여 터빈 (28) 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이것도 가변 터보챠저 (10) 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이 우회하는 배기가스를 적게 하기는 어려운 상황에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터빈 하우징 (20) 의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스프링 플레이트 (116) 에 의해 지지볼트 (108) 를 향해 누름으로써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위치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구속되어 있어도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열변형은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와 노즐베인 (104) 사이의 틈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종래기술과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 (206) 를 지지볼트 (208) 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 (202) 에 대해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8 참조),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대해 위치결정함으로써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열변형을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에 끼워맞춤으로써 반경방향으로 구속함과 동시에, 스프링 플레이트 (116) 에 의해 지지볼트 (108) 로 누름으로써 축 방향에 있어서는 축방향으로의 한정적 이동을 허용하면서 탄성적으로 구속하여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축방향으로는 단지 스프링 플레이트 (116) 에 의해 지지볼트 (108) 로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열변형은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흡수된다.
이 지지볼트 (108) 로 사이드 플레이트 (106) 를 누르기 위한 누름수단으로서는, 도 2 에 나타낸 스프링 플레이트 (116) 로 한정되지 않는다. 요지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으로의 한정적 이동을 허용하면서 지지볼트 (108) 로 누를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의 실시형태에서는 누름수단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또한 도 7 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어 있다.
도 7 에 있어서, 터빈 하우징 (20) 의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와 함께 누름수단으로서의 압력실 (150) 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 7 의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상 돌기부 (150a) 가 도 2 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리형상 돌기부 (20b) 와 비교하여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배면에 접해 있다. 상술한 도 2 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7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 (20a) 의 내경과 사이드 플레이트 (106) 외경의 치수 차이는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도에서 가급적 작게 되어 있으나, 이 틈으로부터의 배기가스의 리크는 완전히 방지되지 않아서 압력실내의 압력이 노즐부 (100) 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 (106) 는 도 2 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볼트 (108) 로 눌린다. 압력실 (150) 내의 압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고리형상 돌기부 (150a) 와 사이드 플레이트 (106) 의 배면 사이에 고리형상의 시일부재 (예컨대, O 링) (152) 를 배치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노즐베인 사이의 유로를 우회하여 터빈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가급적 저감 또는 제거하는 가변 터보챠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노즐부를 우회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터빈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가급적 저감하는 것에도 유효한 가변 터보챠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하우징내에서 터빈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베인을 갖는 노즐 유닛과,
    복수의 레버를 통해 상기 노즐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베인의 열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및 하우징내의 오목부에 제공되어 오목부내에서 이동가능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베인이 마운팅 플레이트에서부터 사이드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하고,
    오목부내에서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누르며 사이드 플레이트의 열변형을 흡수하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터빈의 축방향으로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반경방향으로의 열변형으로 인한 사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터빈에 평행한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지지볼트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2. 하우징내에서 터빈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베인을 갖는 노즐 유닛과,
    복수의 레버를 통해 상기 노즐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베인의 열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및 하우징내의 오목부에 제공되어 오목부내에서 이동가능한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누르도록 동작할 수 있는 오목부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압력 챔버와,
    터빈축에 평행한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3. 하우징내에서 터빈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베인을 갖는 노즐 유닛과,
    복수의 레버를 통해 상기 노즐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베인의 열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및 하우징내의 오목부에 제공되어 오목부내에서 이동가능한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누르도록 동작할 수 있는 오목부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스프링 플레이트와,
    터빈축에 평행한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터빈축상의 중앙에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그 내주부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향해 터빈축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고리형상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가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에 끼워맞춰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5. 하우징내에서 터빈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노즐 유닛과,
    복수의 레버를 통해 상기 노즐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터빈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노즐 베인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노즐 베인이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오목부내에 형성되어 그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사이드 플레이트로서, 노즐 베인이 마운팅 플레이트에서부터 사이드 플레이트까지 연장하도록 되어 있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노즐 베인 사이의 공간이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마운팅 플레이트쪽으로 누르도록 작동하는 누름 수단과,
    상기 터빈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마운팅 플레이트 쪽으로 사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가변 터보챠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은 오목부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압력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은 상기 오목부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KR1020010003632A 2000-01-24 2001-01-22 가변 터보챠저 KR10056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3597 2000-01-24
JP2000013597A JP3842943B2 (ja) 2000-01-24 2000-01-24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546A KR20010074546A (ko) 2001-08-04
KR100566704B1 true KR100566704B1 (ko) 2006-04-03

Family

ID=1854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632A KR100566704B1 (ko) 2000-01-24 2001-01-22 가변 터보챠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43994B2 (ko)
EP (1) EP1120546B1 (ko)
JP (1) JP3842943B2 (ko)
KR (1) KR100566704B1 (ko)
CN (1) CN1289792C (ko)
AT (1) ATE302897T1 (ko)
BR (1) BR0102037B1 (ko)
DE (1) DE601128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2943B2 (ja) * 2000-01-24 2006-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US20040205966A1 (en) * 2001-08-03 2004-10-21 Shinjiroh Ohishi Method of manufacturing turbine frame of vgs type turbo charger, turbine frame manufactured by the method, exhaust gas guide assembly of vgs type turbo charger using the turbine frame and vgs type turbo charger incorporating the exhaust gas guide assembly
EP1540142B1 (en) * 2002-09-18 2016-1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charger having variable nozzle device
EP1400658A1 (de) * 2002-09-20 2004-03-24 BorgWarner Inc. Turbolader
US7207176B2 (en) 2002-11-19 2007-04-24 Cummins Inc. Method of controlling the exhaust gas temperature for after-treatment systems on a diesel engine using a variable geometry turbine
US7150151B2 (en) * 2002-11-19 2006-12-19 Cummins Inc. Method of controlling the exhaust gas temperature for after-treatment systems on a diesel engine using a variable geometry turbine
EP1618288B1 (en) 2003-05-06 2012-03-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comprising a tamperproof and calibration device, especially for a turbocharger with a variable nozzle device
US7794200B2 (en) * 2003-05-08 2010-09-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charger with a variable nozzle device
DE10325985A1 (de) * 2003-06-07 2004-12-23 Ihi Charging Systems International Gmbh Leitapparat für eine Abgasturbine
DE50304673D1 (de) 2003-10-27 2006-09-28 Borgwarner Inc Ström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itgitters
US6941755B2 (en) * 2003-10-28 2005-09-1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Integrated bypass and variable geometry configuration for an exhaust gas turbocharger
JP2006207526A (ja) *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及び可変ノズル機構構成部材の製造方法
JP4275081B2 (ja) 2005-02-10 2009-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のスクロー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89413A1 (en) * 2005-10-21 2007-04-26 Edward Green Turbo catalyst light-off device
JP2008215083A (ja) * 2007-02-28 2008-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における可変ノズル機構部取付構造
EP2165047A1 (en) * 2007-04-10 2010-03-24 Elliott Company Centrifugal compressor having adjustable inlet guide vanes
FR2920469A1 (fr) * 2007-08-30 2009-03-06 Snecma Sa Aube a calage variable de turbomachine
DE102008000776B4 (de) * 2008-01-21 2022-04-14 BMTS Technology GmbH & Co. KG Turbine mit varialber Turbinengeometrie, insbesondere für einen Abgasturbolader, sowie Abgasturbolader
DE102008014678B4 (de) * 2008-03-18 2014-08-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urbolader mit einer variablen Turbinengeometrie VTG
DE102010043145B4 (de) 2010-10-29 2022-02-10 BMTS Technology GmbH & Co. KG Variable Turbinen-/Verdichtergeometrie
CN102000934B (zh) * 2010-11-12 2013-07-17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增压器连接板的焊接夹具
CN102003271A (zh) * 2010-12-08 2011-04-06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可变截面的涡轮增压器
JP5832090B2 (ja) 2010-12-15 2015-1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ハウジングのシール構造
US8915704B2 (en) 2011-06-15 2014-12-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charger variable-nozzle assembly with vane sealing ring
JP5409741B2 (ja) 2011-09-28 2014-0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ノズル機構の開度規制構造および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CN104220716B (zh) * 2012-04-27 2018-07-27 博格华纳公司 调节杆
US9677463B2 (en) 2012-08-31 2017-06-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xial-flow turbine for turbocharger
JP5949363B2 (ja) 2012-09-13 2016-07-06 株式会社Ihi 可変ノズルユニット及び可変容量型過給機
JP6331736B2 (ja) 2014-06-13 2018-05-30 株式会社Ihi 可変ノズルユニット及び可変容量型過給機
JP6522792B2 (ja) 2016-01-20 2019-05-29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固定静翼式回転機械および固定静翼式回転機械の組み立て方法
WO2017168523A1 (ja) * 2016-03-28 2017-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EP3434875B1 (en) * 2016-03-30 2021-05-2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 & Turbocharger, Ltd. Turbochar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3640A (en) * 1984-04-20 1987-02-17 The Garrett Corporation Gas seal vanes of variable nozzle turbine
JPH01130002A (ja) * 1987-11-12 1989-05-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ジアルタービンの可変ノズル装置
JPH08177509A (ja) * 1994-12-22 1996-07-09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気ターボ過給機の可変容量タービン
JPH11229887A (ja) * 1998-02-13 1999-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ボ過給機のガスシール構造
EP1120546A2 (en) * 2000-01-24 2001-08-0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ariable-capacity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1715A1 (de) * 1989-12-18 1991-06-20 Porsche Ag Abgasturbolader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JP3372422B2 (ja) * 1996-05-02 2003-0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過給機
JPH10331649A (ja) * 1997-05-30 1998-12-15 Toyota Motor Corp ターボチャージャ
JPH1162603A (ja) * 1997-08-25 1999-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容量過給機
US5851104A (en) * 1997-12-15 1998-12-22 Atlas Copco Rotoflow, Inc. Nozzle adjusting mechanism
JP3411822B2 (ja) * 1998-06-25 2003-06-03 株式会社アキタファインブランキング 可変容量タービンの可変ノズル駆動装置
JP4292615B2 (ja) * 1999-03-11 2009-07-08 株式会社Ihi 可変容量型過給機
JP3959207B2 (ja) * 1999-08-31 2007-08-15 株式会社ニチダイ 排気量調整機構及びターボチャージャ
JP2001329851A (ja) * 2000-05-19 2001-11-30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容量タービンの可変ノズル機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3640A (en) * 1984-04-20 1987-02-17 The Garrett Corporation Gas seal vanes of variable nozzle turbine
JPH01130002A (ja) * 1987-11-12 1989-05-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ジアルタービンの可変ノズル装置
JPH08177509A (ja) * 1994-12-22 1996-07-09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気ターボ過給機の可変容量タービン
JPH11229887A (ja) * 1998-02-13 1999-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ボ過給機のガスシール構造
EP1120546A2 (en) * 2000-01-24 2001-08-0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ariable-capacity turbine
JP2001207858A (ja) * 2000-01-24 2001-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US6543994B2 (en) * 2000-01-24 2003-04-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ariable-capacity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0546A2 (en) 2001-08-01
ATE302897T1 (de) 2005-09-15
JP3842943B2 (ja) 2006-11-08
US6543994B2 (en) 2003-04-08
CN1307171A (zh) 2001-08-08
EP1120546A3 (en) 2003-07-23
DE60112822T2 (de) 2006-05-18
JP2001207858A (ja) 2001-08-03
CN1289792C (zh) 2006-12-13
KR20010074546A (ko) 2001-08-04
BR0102037A (pt) 2004-03-23
BR0102037B1 (pt) 2008-11-18
US20010017032A1 (en) 2001-08-30
EP1120546B1 (en) 2005-08-24
DE60112822D1 (de)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704B1 (ko) 가변 터보챠저
KR100583927B1 (ko) 가변 터보챠저
US6269642B1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JP4194802B2 (ja) 可変ジオメトリータービン
US20110167817A1 (en) Turbocharger comprising a variable nozzle device
US9988939B2 (en) Fixed vane-type turbocharger
US20010053325A1 (en) Variable-capacity turbine
US4582466A (en) Variable inlet area turbine
KR20020081047A (ko) 가변 기하학적 터보 과급기
KR101998534B1 (ko) 유량 가변 밸브 기구 및 과급기
KR20080106955A (ko) 전류식 안내 장치
JP2017515051A (ja) 可変ジオメトリタービンアセンブリ
JP2010508467A (ja) 内燃機関用ターボチャージャ
US7458764B2 (en) Nozzle device for a turbocharger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US8356973B2 (en) Turbocharger
JP2001173450A (ja)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EP1809908B1 (en) Variable geometry compressor
JP3686311B2 (ja)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JPH11125120A (ja)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CN115680787B (zh) 具有包括锁定装置的可变叶片涡轮机喷嘴的涡轮增压器
WO2022054598A1 (ja) 遠心圧縮機および過給機
JP4424060B2 (ja) 過給機
WO2022054348A1 (ja) 遠心圧縮機および過給機
CN217002047U (zh) 涡轮机旁通阀和涡轮增压器
CN114961984A (zh) 用于涡轮增压机的废气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