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927B1 - 가변 터보챠저 - Google Patents

가변 터보챠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927B1
KR100583927B1 KR1020010003634A KR20010003634A KR100583927B1 KR 100583927 B1 KR100583927 B1 KR 100583927B1 KR 1020010003634 A KR1020010003634 A KR 1020010003634A KR 20010003634 A KR20010003634 A KR 20010003634A KR 100583927 B1 KR100583927 B1 KR 10058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plate
nozzle
shaft por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547A (ko
Inventor
진나이야스아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 F01D17/16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for radial flow, i.e. the vanes turning around axes which are essentially parallel to the rotor centr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F02C6/12Turbochargers, i.e. plants for augmenting mechanical power output of 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by increase of charg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1Shape cur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베인을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동작시키는 링크 플레이트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가변 터보챠저의 노즐 베인 각각이, 그 기단부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축부가 대응하는 레버 플레이트 (114) 에 연결되어 이 레버 플레이트 (114) 와 함께 회전운동한다. 레버 플레이트 (114) 각각은, 노즐 베인의 축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축부 (114a) 를 가지고 있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는 링크 플레이트 (112) 에 형성된 긴 구멍 (112d)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다.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은,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터보챠저 {VARIABLE-CAPACITY TURBOCHARGER}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가변 터보챠저의 외관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가변 터보챠저의 터빈 차실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가변 터보챠저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부분확대도로서,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링크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걸어맞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링크 플레이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긴 구멍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링크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링크 플레이트의 부분평면도이다.
도 8 은 링크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변 터보챠저 50 : 액츄에이터
52 : 로드 54 : 링크부재
104 : 노즐 베인 112 : 링크 플레이트
112d :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112d'' :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114 : 레버 플레이트 120 : 요동부재
130 : 브리지 140 : 롤러부재
본 발명은 노즐 베인의 회전운동 조작에 의해 터보챠저의 터빈차 실내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터보챠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터보챠저의 노즐 베인을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의 변위를 노즐 베인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출력증강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로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동축상에 설치된 컴프레서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공기를 가압하는 터보챠저는 효과적이어서, 이미 여러 내연기관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내연기관의 기관회전수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로 내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유량과, 터보챠저의 최적의 작동조건에 합치한 배기가스유량과의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 불일치를 보상하여 터보챠저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터보챠저의 터빈차 실내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터보챠저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 터보챠저에서는, 하우징내의 터빈의 노즐부에 복수의 노즐 베인 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 베인은 그 기단부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노즐 베인의 축부는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고리형의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하여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회전운동시킨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노즐 베인이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동기하며 동작하여 노즐 개도 (開度) 가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노즐 베인의 구동기구에서는,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동작이 노즐 베인의 회전운동 동작으로 원활하게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의 원하는 동작을 얻기 위해서는, 가변 터보챠저의 하우징 밖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는 커다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비교적 대형의 액츄에이터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즐 베인을 일체적으로 동기하며 동작시키는 링크 플레이트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가변 터보챠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하우징내에서 소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의 노즐부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 베인과,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즐 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 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동기하며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베인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즐 베인은 그 기단부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축부가 각각 대응하는 레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이 레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노즐 베인의 축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구멍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노즐 베인을 상기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수납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하였을 때, 상기 축부와 긴 구멍의 접점에서,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레버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힘에 축부를 반경방향으로 누르는 성분이 발생하여,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가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원활하게 동작 가능해져, 링크 플레이트가 원활하게 동작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수납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하였을 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의 경우보다도, 축부를 반경방향으로 누르는 힘의 성분이 커져,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가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동작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 부품의 치수,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가변 터보챠저 (10) 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가변 터보챠저 (10) 는, 터빈 하우징 (20) 과, 컴프레서 하우징 (40) 과, 터빈 하우징 (20) 및 컴프레서 하우징 (40) 사이의 주 하우징 (30) 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터빈 하우징 (20) 은 터빈 입구 포트 (22) 와 터빈 출구 포트 (24) 를 포함하고, 컴프레서 하우징 (40) 은 흡입포트 (44) 와 토출포트 (42) 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20,30,40) 의 외부에는, 후술하는 노즐 베인을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50) 가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50) 는 공압, 특히 상기 가변 터보챠저 (10) 가 장착된 내연기관 (도시생략) 의 흡기부압을 이용하여 로드 (52) 를 전후로 왕복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이다. 단, 이 액츄에이터는 정압식, 전동식으로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다른 어떠한 액츄에이터로도 치환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2 를 참조하면, 회전축 (32) 이 주 하우징 (30)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터빈 하우징 (20) 내에는 회전축 (32) 의 일단에 장착된 터빈 (28)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터빈 입구 포트 (22) 로부터 터빈 하우징 (20) 내로 도입되고, 터빈 하우징 (20) 내에 구획되어 있는 스크롤 통로 (26) 및 터빈 (28) 으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노즐부 (100) 을 거쳐 터빈 (28) 에 공급된다. 터빈 (28) 에 공급된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 (28) 을 구동한 후에 터빈 출구 포트 (24) 로부터 배출된다.
노즐부 (100) 는, 터빈 하우징 (20) 에 고정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와, 지지 볼트 (108) 에 의해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대하여 장착된 사이드 플레이트 (106) 에 의해 구획되고, 양자 사이에 복수의 노즐 베인 (104) 이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 베인 (104) 은, 그 기단부에 축부 (104a) 를 가지고 있으며, 이 축부 (104a) 에 의해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 베인 (104) 각각의 축부 (104a) 의 선단 (104b) 은, 마운트 플레이트 (102) 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 (114 ; 도 3, 4 참조)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 (114) 각각은 상기 축부 (104a) 의 선단부 (104b) 를 수납하는 관통구멍 (114b) 과, 이 관통구멍 (114b) 의 반대측에 형성된 보스 또는 축부 (114a) 를 가지고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 (102) 에서 노즐부 (100) 의 반대측에는 원통형상의 보스부 (10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부 (102a) 에 고리형의 링크 플레이트 (112) (도 5 참조) 가 터빈 (28) 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 (112) 는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를 수납하기 위해, 링크 플레이트 (11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긴 구멍 (112d) 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 (112) 는 동일평면 내에서 일측의 측부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한 연장부 (112a) 를 가지고 있고, 이 연장부 (112a) 는 그 선단에 두 갈래로 분기한 한 쌍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를 가지고 있고, 한 쌍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사이에 직사각형의 수납 오목부 (112b) 가 형성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은 링크 플레이트 (112) 의 회전운동 중심, 즉 상기 가변 터보챠저 (10) 의 터빈 (28) 의 회전운동 중심 (O) 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에서는, 링크 플레이트 (112) 가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50) 는 큰 힘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은, 그 길이의 중심축선 (r) 이 상기 긴 구멍 (112d) 의 중심과 터빈 (28) 의 중심 (O) 을 연결하는 직선 (R) 에 대하여 소정각도 (α) 로 경사져 있다. 그럼으로써, 링크 플레이트 (112) 가 원활하게 회전운동 가능해져, 액츄에이터 (50) 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변 터보챠저 (10) 는,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50) 의 동작을 링크 플레이트 (112) 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달기구는, 액츄에이터 (50) 의 로드 (52), 핀 (50a) 을 통하여 로드 (52) 의 선단부에 연결된 링크부재 (54 ; 도 1 참조), 상기 링크부재 (54) 에 연결된 요동부재 (120 ; 도 2, 도 8 참조), 요동부재 (120) 와 링크 플레이트 (1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기구와 링크 플레이트 (112) 사이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롤러부재 (140) 및 브리지 (130) 를 포함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요동부재 (120) 는, 요동아암 (122) 과, 요동아암 (122) 의 일측의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축선 (O) 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고 터빈 하우징 (20) 에 슬리브 (118) 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축부 (124) 와, 축부 (124) 의 선단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링크부재 (54) 에 대하여 상대동작하지 않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128) 와, 요동아암 (122) 에서 축부 (124) 의 반대측 단면으로부터 축부 (124) 와 평행하게 연이어 설치된 핀부 (12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요동부재 (120) 는, 금속재료,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요동부재 (120) 는, 요동아암 (122), 축부 (124) 와, 연결부 (128) 와, 핀부 (126) 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서로 용접할 수도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브리지 (130) 는, 서로 평행하게 이간배치된 한 쌍의 평판부 (132) 와, 한 쌍의 평판 (132) 사이에 형성되어 평판부 (132) 를 연결하는 중앙부 (134) 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평판부 (132) 의 사이에는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걸어맞춤 아암부 (112c) 를 수납하는 둘레홈 (136) 이 형성된다. 또, 브리지 (130) 는, 그 일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중앙부 (134) 를 포함하여 노치된 절결부 (138) 를 갖고 있고, 그 대향하는 양측면이 서로 평행한 요동면을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 (138) 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기구를 조립했을 때, 요동부재 (120) 의 핀부 (126) 에 장착된 롤러부재 (140) 를 수납하고, 상기 걸어맞춤부를 형성한다. 브리지 (130) 는, 금속재료, 예컨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부재 (140) 는, 핀부 (126) 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중심구멍 (142) 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브리지 (130) 의 슬라이딩면 (138a) 의 간격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롤러부재 (140) 는, 금속재료, 예컨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내연기관이 작동하면, 그 회전수나 액셀 개도에 따라 흡기 부압이 발생하여 액츄에이터 (50) 가 작동한다. 로드 (52) 는, 상기 흡기 부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그 축 방향으로 전진 후퇴 (도 1 에서 좌우로 이동) 한다. 로드 (52) 가 동작하면, 링크부재 (54) 는, 그에 따라 요동부재 (120) 의 축부 (124) 를 중심으 로 회전운동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링크부재 (54) 는, 정지부재 (56) 의 상측 볼트 (56a) 에 맞닿아 있으며, 이 때 노즐 베인 (104) 은 가장 큰 노즐 개도를 부여하는 열림위치에 있다.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낮고, 또, 액셀 개도도 작을 때에는, 액츄에이터 (50) 는 로드 (52) 를 후퇴시킨다. 로드 (52) 가 가장 후퇴하면, 링크부재 (54) 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부재 (56) 의 하측 볼트 (56b) 에 맞닿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 때 노즐 베인 (104) 은 가장 작은 노즐 개도를 부여하는 닫힘위치에 있다.
이렇게 해서, 로드 (52) 의 직선동작은 링크부재 (54) 를 통하여, 요동부재 (120) 의 요동동작으로 변환되고, 요동부재 (120) 의 핀부 (126) 가 축부 (124) 의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을 이동한다. 이 때, 핀부 (126) 및 롤러부재 (140) 는, 브리지 (130) 의 절결부 (138) 내에서, 롤러부재 (140) 와 슬라이딩면 (138a) 사이에서 브리지 (130)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 8 의 위치 관계에서 상하방향, 즉 터빈 (28) 의 회전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링크 플레이트 (112) 를 터빈 (28) 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마운트 플레이트 (102) 의 보스부 (102a) 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운동시킨다. 링크 플레이트 (112) 가 회전운동하면, 링크 플레이트 (112) 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 플레이트 (114) 가 노즐 베인 (104) 의 축부 (104a) 를 중심으로 노즐 베인 (104) 과 함께 회전운동하고, 노즐 베인 (104) 이 그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동작한다.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내에서의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04a) 의 동작은 레버 플레이트 (114) 의 회전운동 중심 (O : 도 6) 둘레의 주방향의 동작과 반경방향의 동작으로 분해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를 수납하는 긴 구멍 (112d) 이, 링크 플레이트 (112) 의 회전중심 (O) 둘레의 반경방향의 축선 (R) 에 대하여 소정 각도 (α) 로 연장되는 축선 (r)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 (112) 가 회전운동하였을 때에, 축부 (114a) 와 긴 구멍 (112d) 의 접점에서, 링크 플레이트 (112) 로부터 레버 플레이트 (114) 에 작용하는 힘 (F) 에 축부 (114a) 를 긴 구멍 (112d) 의 축선 (r) 방향으로 누르는 성분 (Fr) 이 발생한다. 이 힘의 성분 (Fr) 에 의해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가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원활하게 동작 가능해짐으로써, 링크 플레이트 (112) 가 원활하게 동작 가능해진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50) 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진다. 이 점에서 종래기술과 같이, 긴 구멍 (112d') 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축부 (114a) 를 긴 구멍 (112d')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것으로 되어, 링크 플레이트 (112) 의 원활한 동작이 저해되는 것이다.
도 5, 6 에서,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은 장방형과, 이 장방형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형을 조합한 형상을 띠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긴 구멍 (112d) 은, 단순한 장방형이어도 된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은, 도 7 에 참조부호 (112d") 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베인 (104) 의 축부 (104a) 를 중심으로 하는 레버 플레이트 (114) 의 회전운동 동작에 의한,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의 궤적에 대응시켜 만곡되어 있 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플레이트 외주부에, 상기 노즐 베인의 축부에 평행으로 설치된 축부를 갖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구멍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노즐 베인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방향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이, 링크 플레이트 (112) 의 회전중심 (O) 둘레의 반경 (R)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α) 로 연장되는 축선 (r) 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하였을 때에, 이미 서술한 실시형태의 경우보다도, 축부 (114a) 를 반경 (R) 방향으로 누르는 힘의 성분이 커지는, 특히,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을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의 궤적에 대응시킴으로써, 레버 플레이트 (114) 의 축부 (114a) 가 링크 플레이트 (112) 의 긴 구멍 (112d") 내에서 반경 (R)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동작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수납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하였을 때, 상기 축부와 긴 구멍의 접점에서,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레버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힘에 축부를 반경방향으로 누르는 성분이 발생하여,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가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원활하게 동작 가능해져, 링크 플레이트가 원활하게 동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수납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플레이트가 회전운동하였을 때, 전술한 경우보다도, 축부를 반경방향으로 누르는 힘의 성분이 커져,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가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동작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하우징내에서 소정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터빈과,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상기 터빈의 노즐부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 베인과,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즐 베인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 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동기시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베인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터보챠저에 있어서,
    상기 노즐 베인의 각각은, 그 기단부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축부가 각각 대응하는 레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이 레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각각은, 상기 노즐 베인의 축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구멍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노즐 베인을 상기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의 궤적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곡선형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정압식과 전동식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보챠저.
  4. 복수의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복수의 노즐 베인에 연결되며, 이 노즐 베인을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동기시켜 동작시키기 위하여 하우징내에서 터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로서,
    상기 노즐 베인의 각각은, 그 기단부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열림위치와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축부가 각각 대응하는 레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이 레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각각은, 상기 노즐 베인의 축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를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구멍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노즐 베인을 상기 레버 플레이트를 통해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레버 플레이트의 축부의 궤적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곡선형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긴 구멍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중심 둘레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축선에 대하여 접하는 곡선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
KR1020010003634A 2000-01-24 2001-01-22 가변 터보챠저 KR100583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3598A JP3771765B2 (ja) 2000-01-24 2000-01-24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JP2000-013598 2000-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547A KR20010074547A (ko) 2001-08-04
KR100583927B1 true KR100583927B1 (ko) 2006-05-26

Family

ID=1854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634A KR100583927B1 (ko) 2000-01-24 2001-01-22 가변 터보챠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09483B2 (ko)
EP (1) EP1120547B1 (ko)
JP (1) JP3771765B2 (ko)
KR (1) KR100583927B1 (ko)
CN (1) CN1278021C (ko)
AT (1) ATE312275T1 (ko)
BR (1) BR0102014B1 (ko)
DE (1) DE601155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5551B2 (en) * 1998-02-19 2007-01-23 Curon Medical, Inc. Apparatus to detect and treat aberrant myoelectric activity
JP3776740B2 (ja) * 2001-03-26 2006-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タービン構成部材の製作方法及び構成部材の構造
US6527508B2 (en) * 2001-08-03 2003-03-04 Mark Groskreutz Actuator crank arm design for variable nozzle turbocharger
DE50212520D1 (de) * 2002-04-26 2008-08-28 Borgwarner Inc Turbokompressor mit verstellbaren Leitschaufeln
JP4008404B2 (ja) 2002-10-18 2007-1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DE10325985A1 (de) * 2003-06-07 2004-12-23 Ihi Charging Systems International Gmbh Leitapparat für eine Abgasturbine
EP1528225B1 (de) * 2003-10-27 2006-08-16 BorgWarner Inc. Ström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itgitters
EP1676980B1 (de) * 2004-12-28 2015-10-14 BorgWarner, Inc. Turbolader mit variabler Turbinengeometrie
DE102007007197B4 (de) * 2007-02-09 2013-11-14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Leitschaufelverstellvorrichtung für ein Turbinenteil einer Aufladeeinrichtung
EP1965038B1 (de) * 2007-03-02 2016-12-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 des Stellrings für Eintrittsleitapparate bei Heissgasexpandern
JP5109894B2 (ja) * 2008-09-17 2012-12-26 株式会社Ihi ターボチャージャ
EP2510205B1 (en) * 2009-12-07 2015-05-06 Volvo Lastvagnar AB Vane travel adjustement screw
DE102009057664A1 (de) * 2009-12-09 2011-06-16 Ihi Charging Systems International Gmbh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Auflade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Abgasturbolader
DE102011003522B4 (de) * 2011-02-02 2013-03-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koppelte Austrittsleitapparat-Winkelverstellung
JP5129882B1 (ja) 2011-09-28 2013-01-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ノズル機構を備えた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JP5193346B2 (ja) 2011-09-28 2013-05-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ノズル機構を備えた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JP5579145B2 (ja) 2011-09-28 2014-08-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用ノズルベーン開度規制ストッパ構造
US9976447B2 (en) * 2012-07-27 2018-05-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urbine housing for air cycle machine
JP6368253B2 (ja) * 2015-01-27 2018-08-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可変ノズルタービン
DE102015213321A1 (de) * 2015-07-16 2017-01-19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Variable Turbinen- oder Verdichtergeometrie für einen Abgasturbolader
US10227887B2 (en) * 2015-10-07 2019-03-12 Hanwha Power Systems Co., Ltd. Fluid machine with variable vanes
JP6642718B2 (ja) * 2016-08-08 2020-02-12 株式会社Ihi 可変容量型過給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830A (ja) * 1983-11-30 1985-06-24 Nissan Motor Co Ltd ラジアルタ−ビンの可変ノズル駆動装置
JPS60201006A (ja) * 1984-03-27 1985-10-11 Nissan Motor Co Ltd ラジアルタ−ビンの可変ノズル
US4737071A (en) * 1985-04-22 1988-04-12 Williams International Corporation Variable geometry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US4726744A (en) * 1985-10-24 1988-02-23 Household Manufacturing, Inc. Tubocharger with variable vane
IT1217437B (it) * 1988-04-21 1990-03-22 Nuovo Pignone Spa Sistema perfezionato di registrazione in posizione degli ugelli orientabili di una turbina a gas
JPH028870A (ja) * 1988-06-28 1990-01-12 Konica Corp 静電像現像装置
US4893474A (en) * 1988-07-25 1990-01-16 Allied-Signal Inc. Turbocharger with dual function actuator
DE3941715A1 (de) * 1989-12-18 1991-06-20 Porsche Ag Abgasturbolader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US5205125A (en) * 1990-07-16 1993-04-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rbo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exhaust gas pressure actuated turbine bypass valve
GB9323340D0 (en) * 1993-11-11 1994-01-05 Allied Signal Ltd Turbocharg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269642B1 (en) * 1998-10-05 2001-08-07 Alliedsignal Inc.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JP3473469B2 (ja) * 1998-12-28 2003-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ノズルベーン付きターボチャージ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7172A (zh) 2001-08-08
BR0102014A (pt) 2002-07-23
US20010013339A1 (en) 2001-08-16
EP1120547B1 (en) 2005-12-07
US6409483B2 (en) 2002-06-25
CN1278021C (zh) 2006-10-04
DE60115514D1 (de) 2006-01-12
BR0102014B1 (pt) 2009-05-05
EP1120547A3 (en) 2003-07-30
KR20010074547A (ko) 2001-08-04
JP2001207856A (ja) 2001-08-03
DE60115514T2 (de) 2006-08-10
EP1120547A2 (en) 2001-08-01
JP3771765B2 (ja) 2006-04-26
ATE312275T1 (de)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927B1 (ko) 가변 터보챠저
KR100566704B1 (ko) 가변 터보챠저
US6582190B2 (en) Variable-capacity turbine
KR101144515B1 (ko) 가변 지오메트리 터보차져의 노즐어셈블리
US11460047B2 (en) Throttle mechanism for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CN104279051B (zh) 具有涡轮喷嘴叶片和环形旋转旁通阀的涡轮增压器
KR20080106955A (ko) 전류식 안내 장치
EP3507463A1 (en) Turbocharger having variable compressor trim
JP4044392B2 (ja) 可変ターボ過給機
JP2001173450A (ja)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JP3674682B2 (ja) ターボ過給機の開閉弁装置
JP3860993B2 (ja) 可変容量タービン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3686311B2 (ja)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
KR100188613B1 (ko) 요동판형 압축기
JP4424060B2 (ja) 過給機
WO2019069678A1 (ja) 可変容量機構
JPH01208501A (ja) 可変容量タービン
JPH0442501Y2 (ko)
WO2020261417A1 (ja) 可変ノズル装置および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KR100459750B1 (ko) 가변 용량 터빈용 베인 조정 기구 및 그 조립 방법
WO2020049950A1 (ja) 可変容量機構及び可変容量型過給機
CN111691969A (zh) 涡轮增压器涡轮机废气门组件
JP2019183797A (ja) 可変容量機構
JPH0913980A (ja) 可変容量過給機
JPS60201006A (ja) ラジアルタ−ビンの可変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