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158B1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158B1
KR100565158B1 KR1020037014130A KR20037014130A KR100565158B1 KR 100565158 B1 KR100565158 B1 KR 100565158B1 KR 1020037014130 A KR1020037014130 A KR 1020037014130A KR 20037014130 A KR20037014130 A KR 20037014130A KR 100565158 B1 KR100565158 B1 KR 10056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lightning
elevator
weather
contro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115A (ko
Inventor
마츠오카히로아키
구로카와슈지
마부치모토히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가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1)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의 낙뢰 검출 장치(15a)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다. 건물 근처에서 낙뢰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피난층(8)으로 카(1)를 피난시키는 제어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상, 정보, 낙뢰, 풍속, 강우, 강설, 피난층, 승객, 안전.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낙뢰, 강풍 및 폭우 또는 폭설과 같은 기상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는, 카(car)가 건물 내에 설치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직접적으로 기후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건물에 낙뢰가 발생한 경우, 이 때의 낙뢰 전류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통해서 흐르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기 시스템이 파괴되며, 카 내에 한 명 이상의 승객이 갖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건물이 강풍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카도 동시에 흔들리게 되고, 카 내에 갖힌 승객이 불안을 느낄 수도 있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낙뢰 감지기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및 이와 같은 낙뢰의 접근 중에 가장 인접한 층에 카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 내에 갖히게 되는 사고를 회피할 수 있었다. 또한 강풍 감지기로 강풍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이 강풍의 세기에 따라서 감속 운전, 중간층 대기 운전 또는 정지 운전과 같은 제어 운전을 실시하여 강풍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였다.
최근에 들어와서, 다양해진 고객들의 요구에 의해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개발되었다. 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는 카가 외측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이다. 카가 올라가면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야외의 경치를 전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 자체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기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낙뢰가 카를 직접적으로 때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위태롭게 되고, 이와 같은 직접적인 낙뢰에 의해서 장비가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강풍이 불고 있을 때는, 카가 현저하게 흔들리게 되고,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꼬이거나 카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다량의 비나 눈이 카에 직접 내리는 경우에, 그 상태로 통상 운전을 계속하기에는 너무나 위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와는 달리, 카 자체가 이와 같은 기상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기상의 변화를 고려한 제어 운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옥외에 노출된 카가 직접 낙뢰당할 가능성 또는 카가 강풍에 의한 영향을 직접 받게되는 위험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의 변화에 따라 카에 미치는 형향을 고려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카가 외부에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 이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기상과 관련된 정보가 검출되며, 이와 같은 기상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상 변화에 따라 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은, 예를 들어,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 이후, 이와 같은 낙뢰가 카 부근에서 발생할 것 같은 경우에,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특정 층으로 카가 대피하도록 실시되는 운전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와 같은 제어 운전에 의해서,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낙뢰 검출 수단과,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 낙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낙뢰의 접근 상황에 따라서 주의 또는 경고를 표시하여 운전을 계속하고,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 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낙뢰의 가능성을 초래할 것 같은 낙뢰의 접근이 검출되는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대피시키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카에 대한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을 회피하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풍속 검출 수단과, 이 풍속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제 1 풍속 수준 이상이거나 제 2 풍속 수준 이하인 경우에 이 카의 운전 속도를 소정 속도까지 감속시켜서 운전을 계속하고, 이 풍속이 제 2 풍속 수준 이상인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 1 풍속 수준 이상의 풍속 또는 제 2 풍속 수준 이하의 풍속이 검출된 경우에, 감속 운전이 실시된다. 이런 방식으로, 강풍이 불고 있을 때의 카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운전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풍속 수준 이상의 풍속이 검출되는 경우에, 카는 대피층으로 대피하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강풍에 의해서 카에 미치는 영향을 회피하고,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강우 또는 강설량 을 검출하기 위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과, 이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제 1 수준 이상인 경우에 특정 층을 기준 층으로 정의하는 복귀 운전을 행하고, 이 강우 또는 강설량이 제 2 수준 이상에 도달하여 피트부(pit portion)가 침수되는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소정량 이상임이 검출된 경우에, 대피층을 기준층(reference floor)으로 규정하는 복귀 운전이 실시된다. 이런 방식으로 카가 강우에 노출되는 일을 회피하면서 카를 대기 상태로 둘 수 있게 된다. 또한 피트부(pit portion)가 침수되는 강우 또는 강설량에 도달한 경우에, 카를 대피층으로 대피시키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폭우 또는 폭설 중에 침수에 따른 피트부에로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 풍속, 강우 또는 강설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 이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 풍속 또는 강우 또는 강설량과 같은 다양한 기상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이 실행된다. 따라서 현재의 기상 환경에 따른 안전 운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카의 피난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낙뢰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강풍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강우 또는 강설량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우선 순위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카를, 2는 권상기 를, 4는 균형추를, 5는 카 제어 장치를, 6은 카 내의 표시 장치를, 7은 카 내의 어나운스 장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1)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1)는 건물의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상승·하강한다. 또한 승객 하차 층 중의 특정 층을 피난층(8)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피난층(8)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최상층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난층(8)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있으며, 직접적인 낙뢰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서비스 층으로 존재한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건물의 최상층 보다 더 높은 곳에 설치된 기계실(10) 내에 권상기(2)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CPU(주 마이크로 컴퓨터 장치)(110), 입출력 장치(111) 및 우선 순위 테이블(112)을 포함하고 있다.
CPU(110)는 전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있다. 상기 CPU(110)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에 따라서 프로그램 내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서 승객 하차 층으로부터 호출이 발생한 경우에, CPU(110)는 인버터(모터 구동 장치)(12)를 통해서 권상기(2)를 구동하고, 이상과 같은 호출이 발생한 층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
입출력 장치(111)는 다양한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시한다. 감시실(13)의 표시 장치(14)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상기 입출력 장치(1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 지진 감지기(16), 화재 감지기(17)가 상기 입출력 장치(111)에 접속되어 있다.
우선 순위 테이블(112)은 각각의 제어 운전의 우선 순위가 규정된 테이블이다. 상기 우선 순위 테이블(1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기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낙뢰 검출 장치(15a), 강풍 검출 장치(15b) 및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낙뢰 검출 장치(15a)는, 예를 들어 낙뢰 검지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낙뢰 검출 장치(15a)가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이 때의 낙뢰의 접근 거리에 따라서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 또는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강풍 검출 장치(15b)는, 예를 들어 풍속계를 포함하고 있다. 강풍 검출 장치(15b)가 카(1)의 엘리베이터 주변에서 풍속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풍속의 수준에 따라서 제 1 강풍 수준 신호(S3) 또는 제 2 강풍 수준 신호(S4)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예를 들어 강우계 또는 강설계를 포함하고 있다. 눈은 히터(heater)에 의해서 물로 변환시킨 후에 적설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한다.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이 검출 장치가 제 1 수준 이상의 적설량 또는 강우량을 검출한 경우에 강설 또는 강우 운전 수준 신호(S5)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또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이 검출 장치가 강우량 또는 적설량이 도 2에 나타낸 피트부(9)(pit portion)가 침수되는 제 1 수 준 이상임을 검출한 경우에 침수 수준 신호(S6)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또한 지진 감지기(16)는 건물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감지하고, 지진 감지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화재 감지기(17)는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를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원거리 낙뢰 단계와 근거리 낙뢰 단계로 구성되는 2 단계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원거리 낙뢰는 뇌운(thunder cloud)이 15 km 내지 30 km 범위 내에서 발생하고, 30 분 내지 60 분의 범위 안에 근처로 접근하는 낙뢰를 가리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근거리 낙뢰는 뇌운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고, 10 분 내지 20 분의 범위 안에서 낙뢰가 발생할 수 있는 낙뢰를 가리키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낙뢰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에 의해서 뇌운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에,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낙뢰의 접근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A11). 보다 상세하게는, 뇌운 접근 범위 및 공기 중의 자계 강도가 낙뢰 검출 장치(15a)에 설정되어 있다.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설정값 과 실제 검출된 값을 비교하고, 현재의 낙뢰 상태가 원거리 낙뢰인지 근거리 낙뢰인지를 판별한다.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를 출력한다.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A12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감시실(13)에 설치된 표시 장치(14) 상에 낙뢰 주의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경고 버저(buzzer) 또는 음성 메시지를 발(發)한다(단계 A13). 이런 방식으로, 낙뢰의 접근을 제어 운전과 관련된 사람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낙뢰 주의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은 "낙뢰 제어 운전 1"이라고 지칭한다.
반면에,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가 낙뢰 검출 장치(15a)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입력되는 경우에는(단계 A12의 "Yes"), 건물 주변에서 낙뢰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 내의 한 명 이상의 승객에게 표시 장치(6) 또는 어나운스 장치(7)를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될 것임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엘리베이터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단계 A14). 이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의 주행 상태를 점검한다(단계 A15). 이후 카(1)가 정지한 경우에(단계 A15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가 낙뢰의 직격 가능성이 가장 낮은 하차층(landing floor), 즉 피난층(8)에 정지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A16). 카(1)가 피난층(8)에 정지해 있는 경우(단계 A16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피난층(8)에서의 운전을 중지하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A18).
또한 카(1)가 피난층(8) 이외의 다른 층에 정지한 경우(단계 A16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목적지 호출을 취소하고, 카(1)를 안전한 피난층(8)으로 이동시키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A19). 이 때,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1) 내에 아직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또한 카(1)가 주행중인 경우(단계 A15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가 피난층(8) 방향으로 운행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A17). 카(1)가 피난층(8) 방향으로 주행 중인 경우(단계 A17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현재의 층에서부터 피난층(8)까지의 층으로부터의 호출을 취소하고, 카(1)를 피난층(8)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1) 내에 아직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소정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 장치는 카(1)의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중지한다(단계 A21).
또한 카(1)가 피난층(8)의 반대 방향으로 주행 중인 경우(단계 A17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제 1 목적층에 도착한 이후에 도어를 개방하고, 카(1) 내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그후 제어 장치는 호출을 취소하고, 피난층(8)으로의 복귀를 위한 운전을 실시한다. 피난층(8)으로 복귀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중지한다(단계 A20).
이와 같은 복귀 운전 중에 카(1) 내에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여전히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다시 한번 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될 것임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피난층(8)으로 복귀하여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카의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낙뢰 경고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을 "낙뢰 제어 운전 2"라고 지칭한다.
카(1)가 피난층(8)에서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도 낙뢰의 상태는 상기 "낙뢰 제어 운전 2"에 의해서 감시된다. 예를 들어, 뇌운이 멀리 가 버리는 등의 경우에,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 또는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가 해제되는 경우(단계 A23의 "Yes"), 소정 시간 동안 아무 것도 감지되지 않으면(단계 A23의 "No"),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A24).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이 검출되는 경우에, 건물 주변에 낙뢰의 가능성이 없고 뇌운이 접근하기만 하는 (원거리에서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제어 운전에 관련된 사람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재촉한다. 반면에, 건물 주변에 낙뢰의 가능성이 있는 (근거리에서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직접 적인 낙뢰의 가능성이 가장 낮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옥외에 노출된 카(1)를 이동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낙뢰의 접근 중에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낙뢰에 의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풍속 검출 장치(15b)를 사용하여 풍속을 검출하고, 이 풍속의 값에 따라서 2 단계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이 운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강풍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상승·하강 중인 카(1) 부근에서의 풍속(wind speed)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다(단계 B11). 상기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A (m/s) 이하이면(단계 B12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정격 속도 a (m/min)에서 통상 운전을 실시한다(단계 B13). 이 정격 속도 "a"는, 예를 들어 360 m/min이다.
여기에서 상기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A (m/s) 이상인 경우(단계 B12의 "Yes"),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강풍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몇 단계의 강풍 검출 수준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단계의 강풍 검출 수준이 설정되어 있다. 풍속이 A (m/s) 이상이거나 B (m/s) 이하인 경우(단계 B14의 "No"),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제 1 강풍 수준 신호(S3)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풍속이 B (m/s)인 경우(단계 B14의 "Yes"),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제 2 강풍 수준 신호(S4)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풍속 A는 15 m/s이고, 풍속 B는 20 m/s이다.
강풍 수준 신호(S3)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입력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정격 속도 "a" (m/min)를 소정 속도 b (m/min)로 감속하고, 운전을 계속한다(단계 B15). 속도 "b"는, 예를 들어 정격 속도 "a"의 1/2이며, 구체적으로는 180 m/min이다. 이 경우에, 제 1 강풍 수준 신호(S3)가 검출된 경우에, 카(1)가 정지하게 되면, 다음의 호출에 응답해서 운전을 실시할 때 상기 속도 "b"로 현재의 속도를 변경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강풍 수준 신호(S3)가 검출된 경우에, 카(1)가 운전 중이면, 카는 제 1 강풍 수준 신호(S3)를 입력하기 전의 정격 속도 "a"를 유지하면서 현재의 목적 층까지 주행한다. 그리고 카가 목적 층에 도달한 후에, 다음 호출이 행해졌을 때 및 다음 호출이 행해진 이후에는 속도 "b"로 현재의 속도를 전환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제 1 강풍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을 "강풍 제어 운전 1"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풍속 B 이상이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제 2 강풍 수준 신호(S4)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입력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강풍에 의한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단계 B16). 이 경우에, 제 2 강풍 수준 신호(S4)가 입력되는 경우, 카(1)가 서비스 층으로 복귀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승객들에게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카의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카(1)를 피난층(8)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카(1)가 피난층(8)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카(1) 내에 승객들이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피난층으로 복귀하고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6)나 어나운스 장치(7) 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한다. 승객이 카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정지한다(단계 B17). 제 2 강풍 수준에서 실시되는 이와 같은 제어 운전을 "강풍 제어 운전 2"라고 지칭한다.
"강풍 제어 운전 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중지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강풍 검출 장치(15b)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한다(단계 B18). 이어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 분) 이내에 풍속이 B 이하로 감소된 이후에, 제 2 강풍 수준 신호(S4)RK 해제되면(단계 B19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피난층(8)에서 카(1)의 운전을 속도 "b"로 재개시한다(단계 B20). 이 경우에, 풍속이 계속 A 이상이거나 B 이하인 경우(단계 B21에서 B22로의 "No"), 그대로의 속도 "b"로 운전이 계속된다.
한편, 풍속이 B 이상인 경우(단계 B22의 "Yes"), 처리는 단계 B16으로 되돌 아가고, "강풍 제어 운전 2"에서와 같이 피난층(8)에 도달하기 위한 운전이 재실시된다. 또한 상기 단계 B21에서, A 이상의 풍속이 소정 시간 이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정격 속도 "a"에서의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B23).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풍속 수준이 임의의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통상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감속하여 운전이 계속되므로, 운행 중인 카(1)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승객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카(1)가 옥외로 노출되거나, 로프(3), 균형추(4) 등이 강풍에 흔들릴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장비에 로프가 꼬이는 것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검출된 풍속이 상기 풍속 수준 이상의 수준인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강풍에 의한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은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사용하여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하고, 이 강우 또는 강설량에 따라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이 운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강우 또는 강설량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진행 중에 있어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 내에 설치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한다(단계 C11). 상술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예를 들어 강우 또는 강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계 또는 강설계를 포함한다. 눈은 히터에 의해서 물로 변환시키고, 이후에 적설량은 강우량으로 환산된다.
강우 또는 강설량이 소정의 제 1 수준(예를 들어 10 mm/h)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단계 C11의 "Yes"),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로부터 강우 또는 강설 운전 수준 신호(S5)가 출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상기 강우 또는 강설 운전 수준 신호(S5)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의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vi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이 기준 층으로 규정되는 복귀 운전(안전 복귀 운전(home landing operation))으로 현재의 운전을 전환한다(단계 C12). 이와 같은 강우 또는 강설량에 따라 실시되는 복귀 운전은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이라 지칭한다.
상기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에 있어서, 카(1)는 피난층(8)에서 대기하게 된다. 카 또는 복귀층에서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호출에 응답하여 통상 운전을 실시하고, 카는 이 운전이 종료된 이후에 피난층(8)에서 다시 대기하게 된다. 카 또는 복귀층으로부터 호출이 없은 경우에, 카(1)는 피난층(8)에서 그대로 대기하고, 강우(rainfall)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 중이라고 하더라도,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의 감시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소정의 시 간(예를 들어 10 분) 내에 강우 또는 강설량이 상기 제 1 수준 이상인 경우가 재검출되는 경우(단계 C13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을 연장한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제 1 수준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이 검출되지 않으면(단계 C13의 "Yes"),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C14).
또한 폭우 또는 폭설이 내려서, 피트부(pit portion)(9)가 침수되는 제 2 수준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단계 C15의 "Yes"), 침수 수준 신호(S6)가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된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승객을 가장 가까운 층으로 내려 놓도록 제어되고, 피난층(8)으로 대피하고, 그리고 나서 운전 정지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C16).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소정량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량이 검출되는 경우에, 피난층(8)이 기준 층으로 규정되는 운전이 실시된다. 카 또는 복귀층으로부터의 호출이 없는 경우에, 카는 피난층(8)에서 대기하게 되고, 이 때 카(1)는 강우(rainfall)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상기 피트부가 침수되는 양에 도달하는 경우에, 승객을 내리게 하고, 카(1)는 피난층(8)으로 대피하게 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침수에 의한 장비의 손상이 방지된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각각의 낙뢰 검출 장치(15a), 풍속 검출 장치(15b),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가 사용되는 제어 운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현재의 기상 환경에 적합한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상 예측 이외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지진 감지기(16) 및 화재 감지기(17)를 설치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 풍속 검출 장치(15b),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 및 지진 감지기(16) 및 화재 감지기(17)를 사용한 다양한 기상 정보 및 지진이나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낙뢰 검출 장치(15a)를 사용하는 제어 운전으로서는, "낙뢰 제어 운전 1"(이 때의 운전은 제어 운전에 관련된 사람에게 낙뢰 경고가 통지된 이후에도 계속된다) 및 "낙뢰 제어 운전 2"(이 때의 운전은 카(1)가 피난층(8)으로 대피한 이후에 정지된다)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풍속 검출 장치(15b)를 사용하는 제어 운전으로서는, "강풍 제어 운전 1"(이 때의 운전은 감속 이후에도 계속된다) 및 "강풍 제어 운전 2"(이 때의 운전은 카(1)가 피난층(8)으로 대피한 이후에 정지된다)으로 예시하였다. 더욱이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사용한 제어 운전은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이 때의 안전 복귀 운전은 피난층을 기준층으로 규정하여 실시된다)으로 예시하였다.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이들 제어 운전과는 달리, 지진 감지기(16)를 사용하는 "지진 제어 운전"과 화재 감지기(17)를 사용하는 "화재 제어 운전"이 있다. 이 들 제어 운전의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 테이블(112) 내에 저장되어 있다. 도 6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우선 순위 테이블(112)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순위는 "지진 제어 운전", "화재 제어 운전", "낙뢰 제어 운전 2", "강풍 제어 운전 2" 및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의 순서대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낙뢰 제어 운전 1" 및 "강풍 제어 운전 1"은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없는 제어 운전이다. 이들 두 개의 제어 운전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제어 운전들에 대해 동일한 시간에 실행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표시하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도면에서, "○"는 동시 실행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는 동시 실행이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우선 순위 테이블(112)에 있어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최상위 우선 순위가 "지진 제어 운전"에 할당된다. "지진 제어 운전"에 있어서,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사용은 금지된다(즉 모든 호출이 취소된다). 또한 지진 감지기(16)에 의해서 검출된 지진 수준에 따라서 카(1) 내에 타고 있는 한 명 이상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 자리에서의 비상 정지나 가장 가까운 층에서의 정지 등이 실시된다. 이어서 "화재 제어 운전"이 실행된다. "화재 제어 운전"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7)로 화재가 검출된 경우에, 카(1) 내에 타고 있는 승객들을 대피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층으로 복귀하기 위한 운전이 실시된다.
"낙뢰 제어 운전 2" 및 "강풍 제어 운전 2"는 낙뢰 또는 강풍으로 인한 영향이 가장 적은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키기 위한 운전이다. 따라서 이 운전 의 우선 순위는 승객(들)을 구조하거나 내리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인 "지진 제어 운전" 또는 "화재 제어 운전"에 뒤처진다.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은 카(1)가 강우에 노출되지 않는 피난층(8)을 기준층으로 하는 통상 운전(service)이 실시되는 운전이다. 따라서 이 운전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다.
또한 "낙뢰 제어 운전 1" 및 "강풍 제어 운전 1"은 자체 운전을 계속하기 위해서 다른 제어 운전이 실행될 때 동시에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상 및 지진 또는 화재 제어 운전과 관련된 제어 운전은 이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조합되어 실행된다. 이런 방식으로 카(1)가 옥외로 노출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안전한 운전이 달성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낙뢰, 강풍 및 강우 또는 강설과 같은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는 각각 전용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기상 예측 서비스를 위해서 낙뢰, 강풍, 및 강우 또는 강설과 같은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특정 서버(server)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 획득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서 상술한 특정 서버에 접근(access)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말(terminal) 장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정보는 건물 주변에서의 기상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물 주변에서의 기상 정보를 건물 내에 설치된 전용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획득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7)

  1. 건물의 외측에 카(car)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낙뢰의 접근을 포함하는 기상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고, 상기 낙뢰의 접근 상황에 따라서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는 주의 경보를 표시하여 운전을 계속하고,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는 상기 카를 대피층(refuge floor)으로 대피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는 별개로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지진 감지 수단과,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고, 상기 지진 감지 수단 및 상기 화재 감지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각각의 정보 항목에 기초하여 지진 시 및 화재 시에 제어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지진 및 화재 시의 제어 운전을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제어 운전보다도 우선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037014130A 2002-03-13 2003-03-12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565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9271A JP4107856B2 (ja) 2002-03-13 2002-03-13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JP-P-2002-00069271 2002-03-13
PCT/JP2003/002940 WO2003076323A1 (fr) 2002-03-13 2003-03-12 Dispositif de gestion d'un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115A KR20030092115A (ko) 2003-12-03
KR100565158B1 true KR100565158B1 (ko) 2006-03-30

Family

ID=2780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130A KR100565158B1 (ko) 2002-03-13 2003-03-12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107856B2 (ko)
KR (1) KR100565158B1 (ko)
CN (1) CN1294064C (ko)
MY (1) MY138499A (ko)
TW (1) TW590974B (ko)
WO (1) WO2003076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065B1 (ko) * 2004-01-31 2011-10-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06100750A1 (ja) 2005-03-22 2006-09-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揺すり検知装置
JP2007169029A (ja) * 2005-12-26 2007-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2070050A (zh) * 2010-11-17 2011-05-25 侯英翔 智能语音电梯
JP5725258B2 (ja) * 2012-05-08 2015-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4073906A (ja) * 2012-10-05 2014-04-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903055B2 (ja) * 2013-02-07 2016-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CN104050376B (zh) * 2014-06-23 2017-05-17 海南电力技术研究院 一种基于实测雷击数据的输电线路引雷宽度计算方法
JP6100317B2 (ja) * 2015-06-10 2017-03-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6144823A (zh) * 2016-08-24 2016-11-23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型悬崖观光电梯
EP3415622A1 (en) * 2017-06-14 2018-12-19 Evonik Degussa GmbH Method for production of fine chemicals using a corynebacterium secreting modified alpha-1,6-glucosidases
KR101895907B1 (ko) * 2017-09-07 2018-09-07 주식회사 현무 무선 수위 제어 시스템
JP6930956B2 (ja) * 2018-10-25 2021-09-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及び風力発電設備の運用方法
CN109946547A (zh) * 2019-04-15 2019-06-28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电梯控制柜电磁兼容抗扰度试验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0817635A (zh) * 2019-11-19 2020-02-21 亚洲富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自定义设定的电梯测试系统
JP7184838B2 (ja) * 2020-03-12 2022-12-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11649138B2 (en) * 2020-05-01 2023-05-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hoistway wind speed
IL279900B (en) * 2020-12-31 2022-04-01 Topaz Daniel Lifting, lifting elevator and method of supervision
CN117602515B (zh) * 2023-11-29 2024-05-10 安徽建工集团建筑机械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075A (en) * 1980-01-18 1981-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Driving device in case of disaster of elevator
JPS60190777U (ja) * 1984-05-28 1985-12-17 フジテツク株式会社 エレベ−タの監視装置
JPS61174072A (ja) * 1985-01-29 1986-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屋外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H0720804B2 (ja) * 1985-10-18 1995-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展望用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H08119552A (ja) * 1994-10-27 1996-05-1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流水時制御装置
JP2000095450A (ja) * 1998-09-25 2000-04-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2060145A (ja) * 2000-08-16 2002-02-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4642999B2 (ja) * 2000-12-28 2011-03-02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WO2014192728A1 (ja) * 2013-05-27 2014-12-04 昭和電工株式会社 触媒粒子、担持型触媒粒子、およびこれら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8499A (en) 2009-06-30
WO2003076323A1 (fr) 2003-09-18
KR20030092115A (ko) 2003-12-03
JP4107856B2 (ja) 2008-06-25
CN1294064C (zh) 2007-01-10
JP2003267636A (ja) 2003-09-25
CN1509251A (zh) 2004-06-30
TW200304895A (en) 2003-10-16
TW590974B (en)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15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US7594564B2 (en) Elevator system
US7926620B2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5660594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50146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方法
JP545683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44227B2 (ja) エレベ−タの地震時管制運転方法
JP6553233B1 (ja) 群管理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および群管理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91954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417271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JP6584448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1121694A (ja) エレベータの音声アナウンス制御装置
US20190168997A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for occupant evacuation
US20220063957A1 (en) Elevator smoke and fire detection system
SG193706A1 (en) Control apparatus of elevator
JP200235628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JPS6044228B2 (ja) 走行中におけるエレベ−タの地震時管制運転方法
JP4642999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2019094214A (ja) 居住者避難エレベータ用安全性検査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12141840B (zh) 轿顶人员防碰撞装置
JP7449501B1 (ja) エレベータ
JP7485220B2 (ja)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406729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引上げ装置
JP2022016918A (ja) 昇降機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