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41B1 -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41B1
KR100561441B1 KR1020040062514A KR20040062514A KR100561441B1 KR 100561441 B1 KR100561441 B1 KR 100561441B1 KR 1020040062514 A KR1020040062514 A KR 1020040062514A KR 20040062514 A KR20040062514 A KR 20040062514A KR 100561441 B1 KR100561441 B1 KR 10056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outer peripheral
peripheral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895A (ko
Inventor
임광택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41B1/ko
Priority to US11/146,066 priority patent/US7699306B2/en
Publication of KR2006001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4Pressing o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1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지픽업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와의 마찰에 의해 용지를 픽업하는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롤러보디와, 상기 롤러보디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주부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충돌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댐퍼(damp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picking-up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용지픽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용지 픽업 직전을, 도 2는 용지 픽업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를 구비한 용지픽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는 용지 픽업 직전을, 도 5는 용지 픽업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현상장치
115 ...감광매체 117 ...현상롤러
125 ...전사롤러 127 ...광주사장치
130 ...정착장치 140 ...용지정렬장치
150 ...용지픽업장치 153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60 ...마찰패드 170 ...픽업롤러
174 ...롤러하우징 176 ...완충편(緩衝片)
본 발명은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 픽업시의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수매의 용지를 수납하고 그 수납된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용지픽업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용지픽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용지 픽업 직전을, 도 2는 용지 픽업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픽업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미도시)에 힌지(14) 결합되며 용지(P)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2)와, 상기 녹업플레이트(12)를 상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18)과,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마련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12)의 위에 위치하는 픽업롤러(pick-up roller, 20)를 구비한다.
상기 픽업롤러(20)는, 상기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28)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P) 픽업을 위하여 보통 러버(rubber)로 된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대체로 반원형인 롤러보디(21)와, 상기 롤러보디(21)가 샤프트(28)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21)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롤러하우징(25)을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28)에는 픽업롤러(20)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 한 쌍의 캠(30)이 체결된다. 상기 캠(30)은 인쇄 대기 상태에서 녹업플레이트(12)의 양측을 눌러 용지(P)의 선단부를 픽업롤러(20)에서 이격되게 한다.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샤프트(28)의 회전에 의해 픽업롤러(20)와 캠(3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0)에 의해 아래로 눌려있던 녹업플레이트(12)는 상기 캠(30)이 치워지면서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힌지(14)에서 떨어져 있는 선단부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녹업플레이트(12)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가 회전하는 픽업롤러(20)의 롤러보디(21)에 접촉하고, 롤러보디(21) 외주부의 마찰층과의 마찰에 의해 픽업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 내부로 급지된다.
그런데, 상기 용지픽업장치(10)는 녹업플레이트(12)가 상승하면서 롤러하우징(25)의 외주부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음은 여러장을 연속 인쇄할 때에는 인쇄 종료시까지 연속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한다.
특히, 녹업플레이트(12)에 적재된 용지(P)가 적으면, 녹업플레이트(12)와 롤러하우징(25)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해주지 못하여 그 소음이 더욱 심해지고, 충돌시의 충격으로 인해 용지(P)가 레지스트레이션된 위치에서 벗어나 용지의 잼(jam) 이나 스큐(skew)의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업플레이트의 상승에 의해 픽업롤러와 녹업플레이트가 서로 충돌할 때, 충돌의 소음과 충격을 완화하여 주는 수단을 구비하는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용지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와의 마찰에 의해 용지를 픽업하는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롤러보디와, 상기 롤러보디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주부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충돌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댐퍼(damp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는 상기 롤러하우징과 일측 외주부에서 타측 외주부로 연장된 완충편(緩衝片)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의 일단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 성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하우징의 타측 외주부와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은 상기 롤러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의 마찰계수가 상기 롤러보디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니트와, 상기 인쇄유니트로 이송할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픽업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와의 마찰에 의해 용지를 픽업하는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롤러보디와, 상기 롤러보디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주부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충돌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댐퍼(damp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는 상기 롤러하우징과 일측 외주부에서 타측 외주부로 연장된 완충편(緩衝片)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의 일단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하우징의 타측 외주부와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편은 상기 롤러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의 마찰계수가 상기 롤러보디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를 구비한 용지픽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는 용지 픽업 직전을, 도 5는 용지 픽업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광(光) 주사에 의해 감광매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하고, 이를 다시 용지에 전사하고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소위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P)가 아래에서 위로 대략 C 자 형태의 이송경로를 따라 진행하며,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유니트인, 현상장치(110)와, 정착장치(130), 전사롤러(125), 및 광(光)주사장치(127)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될 용지(P)를 픽업(pick-up)하는 용지픽업장치(15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하우징(111)과, 그 내부에 광(光)주사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매체(115)와, 상기 감광매체(115)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13)와, 감광매체(115)에 잔존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폐토너 클리너(114)와,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117)와, 상기 현상롤러(117)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118), 및 상기 현상롤러(117)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1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1) 내부에는 토너를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교반기(121)가 마련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카트리지 형태로 되어 있어, 그 내부의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상기 전사롤러(125)는 상기 감광매체(115)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현상된 가시(可視)화상이 전사롤러(125)와 감광매체(11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되도록 상기 용지(P)를 상기 감광매체(115) 쪽으로 가압한다.
상기 정착장치(130)는, 히트롤러(131),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33)를 구비하여, 가시(可視)화상이 전사된 용지(P)가 히트롤러(131)와 가압롤러 (133)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압착에 의해 상기 가시화상이 용지(P)에 정착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픽업장치(150)에 의해 픽업된 용지(P)에 이송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용지(P)가 감광매체(115)에 도달하기에 앞서 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가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P)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장치(140)를 구비한다. 또한, 원하는 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135)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매체(115)는 상기 대전롤러(113)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주사장치(127)에서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그 외주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장치 하우징(111) 내부의 토너는 공급롤러(119) 및 현상롤러(117)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15)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매체(115)의 외주면에 가시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용지(P)는 용지픽업장치(150)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정렬장치(140)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상기 감광매체(115)와 전사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용지(P)의 감광매체(115) 대향면에 상기 감광매체(115) 외주면에 현상되었던 가시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용지(P)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장치(130)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35)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지급지장치(100, 도 3 참조)는 급지카세트(151, 도 3 참조)에 힌지(154)가 결합되고 인쇄될 용지(P)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knock-up plate, 153)와, 상기 급지카세트(151)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 위에 위치하며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165)와, 상기 샤프트(165)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픽업롤러(pick-up roller, 17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픽업롤러(170)와 접촉되도록 상기 픽업롤러(170)의 회전에 연계하여 녹업플레이트(15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녹업플레이트(153)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157)과, 픽업롤러(170)를 가운데 두고 샤프트(165)의 양측에 체결되어 상기 픽업롤러(170)와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캠(180)을 구비한다. 상기 캠(180)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인쇄 대기 상태일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53)의 양 측 선단부를 눌러 녹업플레이트(153)에 적재된 용지(P)와 픽업롤러(170)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이격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캠(180)이 샤프트(165)의 회전에 의해 픽업롤러(170)와 함께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53)의 양 측 선단부를 더이상 누르지 않게 되고, 따라서,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가 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픽업롤러(17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양 측 선단부에는 캠(180)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아이들롤러(156)가 마련된다.
픽업롤러(170)가 일회전할 때마다 용지(P)가 한 장씩 용지급지장치(14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상기 픽업롤러(170)는, 상기 샤프트(165)에 체결되어 회전하 는 대체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롤러보디(171)와, 상기 롤러보디(171)가 샤프트(165)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171)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174)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보디(171)의 외주부에는 일반적으로 러버(rubber)로 된 마찰층이 마련된다. 녹업플레이트(153)에 적재된 용지(P)는 상기 마찰층과의 마찰에 의해 끌려들어가면서 픽업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 앞에는 마찰패드(160, 도 3 참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픽업롤러(170)에 의해 복수 장의 용지(P)가 픽업되더라도 다른 용지들은 마찰패드(160)에 의해 진행이 저지되고, 녹업플레이트(153)에서 가장 위에 적재되었던 용지(P)만이 용지정렬장치(140, 도 3 참조)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비록 용지(P)가 개재되어 있어 간접적이긴 하나,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는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상승으로 픽업롤러(170)의 롤러보디(171) 및 롤러하우징(174)과 충돌한다. 상기 롤러하우징(174)과 녹업플레이트(153)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댐퍼(damper)로서, 상기 롤러하우징(174)의 외주부에는 완충편(緩衝片, 176)이 마련된다. 완충편(176)은 녹업플레이트(153)와 충돌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완충편(176)을 포함한 롤러하우징(174)은 플라스틱 수지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편(176)은 상기 롤러하우징(174)의 외주부를 따라 곡선으로 연장되며, 그 일단(176a)은 롤러하우징(174)의 일측 외주부와 연결되며, 타단(176b)은 롤러하우징(174)의 타측 외주부와 분리되어 있다.
샤프트(165)에 체결된 캠(180)의 회전으로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가 상승하면, 녹업플레이트(153)에 의해 올려지는 용지(P)가 롤러하우징(174)의 완충편 (176)에 충돌한다. 상기 충돌로 인해 완충편(176)은 롤러하우징(174)의 중심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며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종래에 비해 충돌로 인한 소음과 충격이 감소된다. 연이어 롤러보디(171)의 마찰층이 용지(P)와 접촉하여 용지(P)를 픽업하고, 완충편(176)은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된다. 픽업롤러(170)가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편(176)이 용지(P)를 끌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편(176)의 마찰계수는 롤러보디(171)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게 설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픽업롤러(270)를 구비하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지픽업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픽업롤러(3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270)는, 상기 샤프트(165)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대체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롤러보디(271)와, 상기 롤러보디(271)가 샤프트(165)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271)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274)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보디(271)의 외주부에는 일반적으로 러버(rubber)로 된 마찰층이 마련된다.
상기 롤러하우징(274)에는 녹업플레이트(153, 도 3 및 도 4 참조)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댐퍼(damper)로서, 상기 롤러하우징(274)의 외주부에 완충편(緩衝片, 276)을 구비한다. 완충편(276)은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와 충돌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완충편(276)을 포함한 롤러하우징(274)은 플라스틱 수지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편(276)의 일단(276a) 및 타단(276b)은 롤러하우징(274)의 일측 및 타측 외주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러하우징 (274)에는 완충편(276)과 다른 부분을 구분하는 슬롯(2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가 상승하면, 녹업플레이트(153)에 의해 올려지는 용지(P, 도 3 및 도 4 참조)가 롤러하우징(274)의 완충편(276)에 충돌한다. 상기 충돌로 인해 완충편(276)이 롤러하우징(274)의 중심방향으로 약간 휘어지고 슬롯(277)이 약간 일그러지며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종래에 비해 충돌로 인한 소음과 충격이 감소된다. 연이어 롤러보디(271)의 마찰층이 용지(P)와 접촉하여 용지(P)를 픽업하고, 완충편(276)은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된다. 픽업롤러(270)가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편(276)이 용지(P)를 끌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편(276)의 마찰계수는 롤러보디(271)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게 설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370)도,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270, 도 6 참조)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롤러보디(371)와, 상기 롤러보디(371)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374)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보디(371)의 외주부에는 마찰층이 마련된다.
상기 롤러하우징(374)에는 녹업플레이트(153, 도 3 및 도 4 참조)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댐퍼(damper)로서, 완충편(緩衝片, 376)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편(376)은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와 충돌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하우징(374)과 별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376a) 및 타단(376b)이 각각 롤러하우징(374)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에 본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롤러하우징(374)보다 완충 효과가 더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편(37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53)의 선단부가 상승하면, 녹업플레이트(153)에 의해 올려지는 용지(P, 도 3 및 도 4 참조)가 완충편(376)에 충돌한다. 상기 충돌로 인해 완충편(376)이 롤러하우징(374)의 중심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종래에 비해 충돌로 인한 소음과 충격이 감소된다. 연이어 롤러보디(371)의 마찰층이 용지(P)와 접촉하여 용지(P)를 픽업하고, 완충편(376)은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된다. 픽업롤러(370)가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편(376)이 용지(P)를 끌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편(376)의 마찰계수는 롤러보디(371)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게 설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녹업플레이트의 상승시 녹업플레이트와 픽업롤러의 충돌로 인한 소음 및 충격을 감소시켜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충돌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으며, 용지의 레지스트레이션된 위치 이탈로 인한 잼(jam) 또는 스큐(skew)도 방지된다.

Claims (12)

  1.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 위에서 회전 가 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용지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와의 마찰에 의해 용지를 픽업하는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롤러보디와, 상기 롤러보디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주부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충돌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댐퍼(damp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롤러하우징과 일측 외주부에서 타측 외주부로 연장된 완충편(緩衝片)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의 일단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하우징의 타측 외주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은 상기 롤러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마찰계수가 상기 롤러보디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픽업장치.
  7.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니트와, 상기 인쇄유니트로 이송할 용지를 픽업하는 용지픽업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픽업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용지와의 마찰에 의해 용지를 픽업하는 마찰층이 외주부에 마련된 롤러보디와, 상기 롤러보디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롤러보디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하우징의 외주부에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충돌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댐퍼(damp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롤러하우징과 일측 외주부에서 타측 외주부로 연장된 완충편(緩衝片)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의 일단은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하우징의 타측 외주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편은 상기 롤러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롤러하우징의 일측 외주부 및 타측 외주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마찰계수가 상기 롤러보디의 마찰층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62514A 2004-08-09 2004-08-09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6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14A KR100561441B1 (ko) 2004-08-09 2004-08-09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146,066 US7699306B2 (en) 2004-08-09 2005-06-07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514A KR100561441B1 (ko) 2004-08-09 2004-08-09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895A KR20060013895A (ko) 2006-02-14
KR100561441B1 true KR100561441B1 (ko) 2006-03-17

Family

ID=3579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514A KR100561441B1 (ko) 2004-08-09 2004-08-09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99306B2 (ko)
KR (1) KR100561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3085A1 (en) * 2018-07-25 2020-0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ckup roller rotated by driving force for moving knock-up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94B1 (ko) * 2007-07-20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276058B1 (ko) * 2007-12-18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8511671B2 (en) * 2010-06-28 2013-08-2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06291B2 (ja) * 2010-06-28 2014-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0182B2 (ja) * 2015-03-19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US10112789B2 (en) 2016-10-18 2018-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ct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0558B (en) * 1982-09-29 1987-02-04 Canon Kk Sheet feeding device
JPH0436124A (ja) 1990-05-30 1992-02-06 C I Kasei Co Ltd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被覆材
JPH072375A (ja) 1992-07-24 1995-01-06 Tec Corp 給紙装置
US5326184A (en) * 1992-10-26 1994-07-0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paper from a stack
JPH0867367A (ja) 1994-08-30 1996-03-12 Canon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98465A (ja) 1995-01-30 1996-08-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用給紙ロ−ラ
US5918873A (en) 1995-03-30 1999-07-0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which regulates tip end of sheet by first and second abutment means
JPH09175681A (ja) 1995-12-26 1997-07-08 Brother Ind Ltd 用紙搬送装置
JP3368151B2 (ja) 1996-03-2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3517558B2 (ja) * 1996-09-30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制御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50857A (ja) 1997-03-10 1998-09-22 Fuji Xerox Co Ltd 給紙ローラ
JP3743138B2 (ja) * 1997-10-15 2006-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H11301872A (ja) 1998-04-21 1999-11-02 Seiko Epson Corp 給紙装置
JP4180737B2 (ja) 1999-06-02 2008-11-12 株式会社東芝 滑り検出装置及び媒体取出装置
US6932529B2 (en) * 2002-08-13 2005-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s for accessing a separation pad in a printing device
MXPA05008727A (es) * 2003-03-10 2005-09-20 Diebold Inc Metodo y maquina bancaria automatizada surtidora de efectivo.
JP4270055B2 (ja) * 2004-07-22 2009-05-27 船井電機株式会社 給紙装置
JP4299751B2 (ja) * 2004-09-14 2009-07-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版供給装置
KR20070087712A (ko) * 2005-06-30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3085A1 (en) * 2018-07-25 2020-0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ckup roller rotated by driving force for moving knock-up plate
US11485593B2 (en) 2018-07-25 2022-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ckup roller rotated by driving force for moving knock-up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99306B2 (en) 2010-04-20
KR20060013895A (ko) 2006-02-14
US20060033258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60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848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04331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7699306B2 (en)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278792A1 (en) Paper transporting apparatus, paper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57432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246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11926A (ko) 화상형성장치
JP687850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081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29475B2 (ja) 画像形成装置
JP3679652B2 (ja) 自動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JP3741543B2 (ja) シート材検知装置
US20080152410A1 (en) Driven rotary unit for conveying a sheet,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80411B1 (ko)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19044B1 (ko) 픽업롤러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764674B2 (ja) 給紙装置
JP491361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29323B1 (ko) 용지 소음 감쇄 수단이 구비된 인쇄기의 급지장치
JP4120834B2 (ja) 画像形成装置
JP3905309B2 (ja) 記録材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JP3984699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4052A (ja) 分離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