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92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926A
KR20080011926A KR1020060072677A KR20060072677A KR20080011926A KR 20080011926 A KR20080011926 A KR 20080011926A KR 1020060072677 A KR1020060072677 A KR 1020060072677A KR 20060072677 A KR20060072677 A KR 20060072677A KR 20080011926 A KR20080011926 A KR 2008001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unit
dischar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차덕순
전진영
윤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926A/ko
Priority to US11/765,030 priority patent/US20080031670A1/en
Priority to EP07111987A priority patent/EP1887434A3/en
Priority to CN2007101360818A priority patent/CN101118396B/zh
Publication of KR2008001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using electrost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3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 B65H9/106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using rotary driven elements as part acting on the art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2Modifying characteristics of surface of parts in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301/5322Generating electrostatic charge at sai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9Single-function copy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9Conveying means details, e.g.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배지부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하여 흡착하고 상기 흡착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안내하는 급지정전벨트와, 상기 급지정전벨트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유닛을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이에 의하여, 화상형성과정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과정 중 발생한 소음을 나타낸 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는 도4의 급지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b는 도4의 배지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0 : 급지유닛
110 : 급지정전벨트 121 : 급지구동롤러
123, 125 : 급지아이들롤러 130 : 흡착유지부재
200 : 배지유닛 210 : 배지정전벨트
221 : 배지구동롤러 223 : 배지아이들롤러
300 : 전압공급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의 이송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장치에 결합되어 호스트장치에서 인가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호스트장치에서 생성 또는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용지에 가시화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수단 등을 마련하여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가시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을 전자사진방식이라 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부(10)와, 용지적재부(10)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40)와, 화상형성부(40)에서 도포된 현상제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표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50)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60)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싱(70)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형성과정을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용지적재부(10)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11)에 의해 급지된다. 그리고 다수의 이송롤러(13, 14)가 용지를 화상형성부(40)로 안내한다. 화상형성부(4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배지롤러(61, 63)에 의해 외부로 배지된다.
그런데, 종래 화상형성장치(1)는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이송되는 중에 용지가 케이싱(70) 내의 지지프레임과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형성과정에서 용지가 지나가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시간에 따라 측정한 데이터이다. 용지이송경로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획하여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도3의 데이터와 함께 살펴보면, 먼저 도3에서 처음으로 발생되는 소음(ㄱ)은 용지가 급지되기 전 각 구성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다. 구동부(미도시)의 소음은 모터, 기어 등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다.
높은 크기로 측정된 두 번째 소음(ㄴ)은 녹업플레이트(10a)를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발생된다. 세 번째 소음(ㄷ)은 용지가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되는 순간 픽업롤러(11) 표면과 용지선단의 마찰에 의한 접촉소음이다. 그리고, 연속해서 발생되는 네 번째 소음(ㄹ)은 용지의 후단이 픽업롤러(11)에 마찰되면서 발생된다(도2의 a구간).
다섯 번째 소음(ㅁ)은 픽업롤러(11)를 빠져나온 용지선단이 이송롤러(14)에 진입하면서 소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용지선단이 화상형성부(20)로 진입하여 화상이 형성될 때 용지후단이 이송롤러(14)를 경유하면서 소음(ㅂ)이 발생한다(도2의 b구간). 그리고, 화상형성부(20)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의 후단이 정렬롤러(50)를 경유하며 소음(ㅅ)이 발생하고, 용지후단이 배지되며 배지롤러(63)를 치면서 용지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o)이 발생한다(도2의 e구간).
그리고, 용지가 외부로 배지되면서 용지후단이 배지부(60)를 치면서 발생되 는 진동에 의한 소음(ㅈ)이 발생된다(도2의 g구간).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과정 중에 끊임없이 소음이 발생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동작 중에서는 50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과정 중에 발생되는 용지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배지부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하여 흡착하고 상기 흡착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안내하는 급지정전벨트와, 상기 급지정전벨트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지정전벨트와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정전기력을 발생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급지정전벨트를 안내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포 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급지정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상기 급지정전벨트 표면에 대한 흡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흡착유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 중 곡률이 변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급지정전벨트와 1mm~1.5mm 범위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지부 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하여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용지가 외부로 배지되도록 이송 안내하는 배지정전벨트와, 상기 배지정전벨트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배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지정전벨트와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정전기력을 발생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배지정전벨트를 안내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배지정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상기 급지정전벨트 표면에 대한 흡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흡착유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배지부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안내하는 급지유닛과, 상기 급지부 측의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되는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흡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급지유닛이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를 이송하는 경우,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급지유닛의 정전기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 용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용지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에 곡률이 변동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지부측의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외부로 배지되도록 상기 용지를 안내하는 흡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용지를 급지하는 단계와; 상기 급지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외부로 배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도1과 동일한 인용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이송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10)와, 용지적재부(10)에 적재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고 화상형성부(40)로 이송하는 급지유닛(100)과, 급지유닛(100)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40)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유닛(200)과, 급지유닛(100)과 배지유닛(20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300)을 포함한다.
용지적재부(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10a)와, 녹업플레이트(10a)를 급지유닛(100)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0b)는 급지유닛(10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력의 크기와 용지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급지유닛(100)과 녹업플레이트(10a)와의 거리(d1, 도5a 참조)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10b)는 정전기력이 용지에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 녹업플레이트(10a)가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정전기력의 크기는 후술할 전압공급부(300)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와 비례하므로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전압공급부(300)에서 급지유닛(100)으로 공급하는 전압이 1KV일 경우 녹업플레이트(10a)에 적재된 용지와 급지유닛(100)과의 거리(d1)는 1mm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지적재부(10)의 일측에는 상면에 적재된 용지가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될 때 접지를 위해 접지부(15, 도5a 참조)가 마련된다.
급지유닛(100)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력을 통해 용지적재부(10)의 용지를 표면에 흡착하고 흡착된 용지를 화상형성부(40)로 안내하는 급지정전벨트(110)와, 소정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급지구동롤러(121)와, 급지구동롤러(121)에 의해 회전하며 급지정전벨트(110)를 구동시키는 급지아이들롤러(123, 235)와, 케이싱(71)의 일측에 마련되어 급지정전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가 급지정전벨트(110)에 대한 흡착을 유지하도록 용지를 안내하는 흡착유지부재(130)를 포함한다.
급지정전벨트(110)는 소정의 폭을 갖는 벨트로 마련되어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적재부(10)의 용지를 흡착한다. 급지정전벨트(110)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한다. 급지정전벨트(110)는 전하의 이동에 의해 표면이 대전되며 정전기가 발생된다. 급지정전벨트(110)는 전압공급부(300)에 의해 직접 전압을 공급 받아 표면이 대전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키거나, 전압을 공급받은 롤러(121, 123, 125)와 접촉하며 표면이 대전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급지정전벨트(110)가 대전되어 정전기가 발생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급지정전벨트(110)는 종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서 토너이미지를 전사할 때 사용되는 이미지전사벨트(Image transfer belt)가 사용되거나 용지를 이송할 때 사용하는 용지이송벨트(paper transfer belt)가 사용될 수 있다.
급지구동롤러(121)는 소정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급지구동롤러(121)는 급지정전벨트(110)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이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급지정전벨트(110)를 구동시킨다. 급지구동롤러(121)는 도전성재질로 마련되어 전압공급부(30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급지정전벨트(110)를 대전시킬 수 있다.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급지정전벨트(11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급지구동롤러(121)의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한다.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도전성재질로 마련된다.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전압공급부(30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급지정전벨트(110)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에 정전기력을 발생시킨다.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급지정전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씩 마련되며,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된다. 이는 급지정전벨트(110)를 계속 대전시켜 표면에 발생된 정전기력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에 흡착된 용지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급지정전벨트(110)가 각 화상형성장치(1) 고유의 급지 이송경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지아이들롤러(123, 125)의 직경도 급지정전벨트(110)의 곡률형상이 이송경로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각각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적재부(10)로부터 화상형성부(40)로의 이송경로 곡률이 급격하게 변하는 곳일 경우 다수개의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를 마련하여 급지정전벨트(110)의 곡률을 유연하게 마련하는 것이 안정적인 용지이송을 위해 바람직하다.
흡착유지부재(130)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용지적재부(10)로부터 급지정전벨트(110)에 흡착되어 화상형성부(40)로 이송되는 경로상의 케이싱(71) 측에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용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곡률이 있는 곳을 경유할 때, 곡률의 접선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즉, 용지가 급지정전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급지아이들롤러(123) 사이를 경유한 경우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급지아이들롤러(123)의 접선방향(x방향)으로 나아가려 한다. 이 때, 급지정전벨트(110)가 용지에 부여하는 정전기력의 줄어들어 용지가 급지정전벨트(10) 표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흡착유지부재(130)는 곡률이 변하는 이송경로에서 용지가 이탈될 수 있는 접선방향에 마련되어 급지정전벨트(110)로부터 이탈된 용지선단이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에 다시 흡착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특히, 흡착유지부재(130)는 급지정전벨트(110)와 소정범위 내에 마련되어 급지정전벨트(110)로부터 이탈된 용지선단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좁힌다. 이에 의 해 용지선단이 이송롤러(123)을 빠져나올 때 용지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흡착유지부재(130)와 급지정전벨트(110)와의 거리(d2)는 용지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0.2mm의 두께를 갖는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 흡착유지부재(130)와 급지정전벨트(110)와의 거리는 1.5~2mm 정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5mm 이하의 경우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신뢰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2mm 이상의 경우 용지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용지가 급지정전벨트(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흡착유지부재(130)는 이송경로의 곡률이 변하는 곳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곡률변경부분이 다수인 경우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흡착유지부재(1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급지유닛(100)과 같이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를 이송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지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와 같이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에도 흡착유지부재(130)는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착유지부재(130)는 각 이송롤러(13, 14)와 소정범위 내에 마련되어 이송롤러(13, 14) 사이를 이탈하는 용지를 이송롤러(13, 14)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이송경로의 곡률이 변하는 곳에 마련되어 용지를 안내하여 본체프레임(71) 벽면에 부딪쳐 용지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지정전벨트(110) 일측에는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의 전하를 제거하여 용지를 흡착시키던 정전기력을 제거하는 정전기제거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정전기제거부재(미도시)는 급지정전벨트(110)와 접하게 마련된 침형태로 마련되거나, 급지아이들롤러(123, 125) 중 어느 하나가 급지정전벨트(110)와 접촉회전하며 전하를 제거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40)는 급지유닛(100)에 의해 이송되어온 용지에 선택적으로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22)와, 감광체(22)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LSU(30)와, 감광체(22)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23)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25)와, 용지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22)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현상제를 용지표면으로 전사하는 전사롤러(41)를 포함한다. 정착부(50)는 화상형성부(40)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에 압력을 가하는 프레싱롤러(51)와,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53)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40)와 정착부(5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급지유닛(100)을 통해 화상형성부(40)로 진입한 용지는 안내프레임(73)을 따라 이동되며 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안내프레임(73)은 안정적인 화상형성을 위해 수평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유닛(200)은 화상형성부(40)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한다. 배지유닛(200)은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부(50)를 경유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표면에 흡착하여 배지부(60, 도1 참조)로 이송하는 배지정전벨트(210)와, 배지정전벨트(210)를 구동하는 배지구동롤러(221)와, 배지정전벨트(210)에 대 한 용지의 흡착상태를 유지시키는 흡착유지부재(230)를 포함한다.
배지구동롤러(221)와 배지아이들롤러(221a, 223)은 배지정전벨트(210)가 용지의 배지경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호 배치된다. 여기서, 배지정전벨트(210)와 배지구동롤러(221), 흡착유지부재(230)의 구성과 기능은 급지유닛(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흡착유지부재(230)는 배지부(60) 측에 마련되어 배지정전벨트(210)에 의해 배지부(60)로 이송되어온 용지가 배지정전벨트(210)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즉, 흡착유지부재(230)는 배지부(60)에 별도의 이송롤러 없이 용지 자체의 강성에 의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용지를 안내한다. 이 때, 흡착유지부재(230)는 배지정전벨트(210)와의 간격을 소정범위내로 하여 용지를 충분히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공급부(300)는 급지유닛(100)과 배지유닛(200)이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를 이송할 수 있도록 전압을 공급한다. 전압공급부(300)는 급지유닛(100)과 배지유닛(200)에 정전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정전벨트(110, 210) 또는 롤러(121, 123, 125, 221, 221a, 223) 중 어느 하나로 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압공급부(300)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직류, 교류, 그리고 직류와 교류가 함께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압공급부(300)는 급지유닛(100)과 배지유닛(200)의 전압공급을 위해 별도로 마련되거나 화상형성부(40)에 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압공급부(미도시)와 일체로 마련할 수 있다. 전압공급부(300)는 용지의 두께와 녹업플레이트(10a)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형성과정을 도 4내지 5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로부터 출력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미도시)가 급지구동롤러(121)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전압공급부(300)가 급지유닛(100)으로 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급지구동롤러(121)와 급지아이들롤러(123, 125)는 전압을 공급받아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을 대전시켜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용지적재부(10)에 적재된 최상위 용지는 급지정전벨트(110)로부터 발생된 정전기력에 의해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에 흡착된다. 급지정전벨트(110)는 용지를 흡착한 채 회전하며 용지를 이송한다.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에 흡착된 용지는 제1아이들롤러(123) 사이를 경유하며 흡착상태를 유지하고 곡률부분(b영역)에서는 흡착유지부재(130)의 안내에 의해 흡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표면에 흡착되어 이송되던 용지선단이 제2아이들롤러(125)로 진입하면 정전기제거부재(미도시)에 의해 급지정전벨트(110)의 정전기가 제거되어 용지는 급지정전벨트(110)로부터 이탈되며 감광체(22)와 전사롤러(41) 사이로 진입한다. 감광체(22)와 전사롤러(41)로 진입된 용지는 가이드프레임(73)을 따라 이동하며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부(50)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이 때, 전압공급부(300)는 배지유닛(300)으로 전압을 공급하고, 배지정전벨트(210)는 정전기가 발생한다. 정착부(50)를 경유한 용지는 배지유닛(200)의 정전기력에 의해 배지정전벨트(210) 표면에 흡착된다. 흡착된 용지는 배지정전벨 트(210)를 따라 이동하고, 배지아이들롤러(63)를 경유할 때 배지정전벨트(210)로부터 정전기가 제거되어 배지정전벨트(210)로부터 이탈되고 흡착유지부재(230)의 안내에 의해 용지 자체의 강성에 의해 외부로 배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의 픽업이 급지유닛(100)의 정전기력에 의해 일어나므로 종래 솔레노이드의 작동소음과 픽업롤러에 의한 마찰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픽업된 용지가 급지정전벨트(110) 표면을 따라 흡착되어 이동하므로 프레임과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용지이송경로의 곡률이 변화하는 영역에는 흡착유지부재가 마련되어 용지의 흡착상태를 유지하고, 용지의 후단이 진동될 수 있는 공간을 좁힘으로 인해 종래 용지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던 진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용지의 배지시에도 용지가 배지정전벨트(210)에 흡착되어 이동하므로 용지가 배지롤러와 접촉시 발생되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과정 중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미세한 소음 외에 용지의 끌림과 충격, 진동에 의한 소음은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흑백 화상형성장치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용지가 소정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화상이 형성되는 여타 종류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과정 중 발생하는 소음 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배지부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하여 흡착하고 상기 흡착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안내하는 급지정전벨트와, 상기 급지정전벨트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정전벨트와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정전기력을 발생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급지정전벨트를 안내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급지정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상기 급지정전벨트 표면에 대한 흡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흡착유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의 이송경로 중 곡률이 변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급지정전벨트와 1mm~1.5mm 범위 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부 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하여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용지가 외부로 배지되도록 이송 안내하는 배지정전벨트와, 상기 배지정전벨트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정전벨트와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정전기력을 발생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소정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배지정전벨트를 안내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배지정전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상기 급지정전벨트 표면에 대한 흡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흡착유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배지부를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안내하는 급지유닛과, 상기 급지부 측의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되는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흡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유닛이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를 이송하는 경우,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급지유닛의 정전기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 용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용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적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의 용지이송경로에 곡률이 변동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지부재는 상기 용지이송경로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부측의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외부로 배지되도록 상기 용지를 안내하는 흡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용지를 급지하는 단계와;
    상기 급지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에 정전기력을 부여하여 외부로 배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
KR1020060072677A 2006-08-01 2006-08-01 화상형성장치 KR20080011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77A KR20080011926A (ko) 2006-08-01 2006-08-01 화상형성장치
US11/765,030 US20080031670A1 (en) 2006-08-01 2007-06-19 Image forming apparatus
EP07111987A EP1887434A3 (en) 2006-08-01 2007-07-06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ransport belt
CN2007101360818A CN101118396B (zh) 2006-08-01 2007-07-16 成像设备及成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77A KR20080011926A (ko) 2006-08-01 2006-08-0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26A true KR20080011926A (ko) 2008-02-11

Family

ID=3862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677A KR20080011926A (ko) 2006-08-01 2006-08-0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31670A1 (ko)
EP (1) EP1887434A3 (ko)
KR (1) KR20080011926A (ko)
CN (1) CN1011183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702B2 (en) * 2008-03-12 2013-04-02 Yahoo! Inc. System, method, and/or apparatus for reordering search results
US9135328B2 (en) * 2008-04-30 2015-09-15 Yahoo! Inc. Ranking documents through contextual shortcuts
US20100287129A1 (en) * 2009-05-07 2010-11-11 Yahoo!, Inc., a Delaware corporation System, method, or apparatus relating to categorizing or selecting potential search results
JP2018040944A (ja) * 2016-09-07 2018-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印刷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775A (ja) * 1984-07-30 1986-02-21 Fuji Xerox Co Ltd 転写装置
JPH066454B2 (ja) * 1986-06-03 1994-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吸着搬送装置
JPH04104179A (ja) * 1990-08-23 1992-04-06 Brother Ind Ltd 湿式電子写真装置
JP3159727B2 (ja) * 1990-10-11 2001-04-2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980928A (ja) * 1995-07-07 1997-03-28 Ricoh Co Ltd 転写装置
JP2002211777A (ja) * 2001-01-10 2002-07-31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99098B2 (ja) * 2002-05-31 2008-06-1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WO2004048239A1 (en) * 2002-11-26 2004-06-10 Ricoh Company, Ltd. Stably operable image-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paper conveying and ejecting mechanism
JP2004217414A (ja) * 2003-01-17 2004-08-05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563650B2 (ja) * 2003-01-28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56425B2 (ja) * 2003-05-20 2008-03-05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用自動原稿搬送装置、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043016B2 (en) * 2005-10-20 2011-10-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8396A (zh) 2008-02-06
EP1887434A2 (en) 2008-02-13
EP1887434A3 (en) 2010-09-01
CN101118396B (zh) 2010-09-08
US20080031670A1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8964B2 (ja) 画像形成装置
US8424865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0037047A (ja) シート材給送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9524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203308A1 (en) Sheet feed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05807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11926A (ko) 화상형성장치
US83029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98197B2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534122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42596A (ja) 画像形成装置
JP5429634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65412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1971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4617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41728Y2 (ja) 排紙装置
JP2011042428A (ja) シート材分離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122813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4047004A (ja) シート分離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983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22814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176224A (ja) 給紙カセット
JP2018063375A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H05232824A (ja) 画像記録装置
JPH09240865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