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058B1 -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058B1
KR101276058B1 KR1020070133528A KR20070133528A KR101276058B1 KR 101276058 B1 KR101276058 B1 KR 101276058B1 KR 1020070133528 A KR1020070133528 A KR 1020070133528A KR 20070133528 A KR20070133528 A KR 20070133528A KR 101276058 B1 KR101276058 B1 KR 10127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plate
section
cam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963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58B1/ko
Priority to US12/260,382 priority patent/US8262082B2/en
Publication of KR2009006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매체공급유닛은 카세트프레임과; 카세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픽업롤러에 의해 인쇄매체가 픽업 가능하도록 적재플레이트가 상향 가압되는 녹업 상태 및 적재플레이트가 픽업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녹다운 상태를 전환하고, 이 녹다운 상태에서 적재플레이트를 적어도 1회 상하로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MEDIUM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매체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현상제 또는 잉크에 의하여 인쇄매체 상에 가시 화상으로 형성하는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며 이 인쇄매체를 프린팅 작업 시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을 가진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은 복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적재된 인쇄매체 중 1매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한다. 프린팅 작업이 시작되면 픽업롤러가 회동하여 적재된 인쇄매체 중 최상위의 인쇄매체를 픽업하여 공급한다.
그런데 픽업롤러가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인쇄매체 사이의 정전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1매만이 픽업되지 않고 2매 이상의 인쇄매체가 한번에 픽 업되는 현상인 중송이 발생한다. 중송은 화상형성장치 내부에서 인쇄매체의 잼(jam)을 초래함으로써 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그 중에서 픽업롤러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적재플레이트 일측을 가압하는 캠(CAM)을 적용한 매체공급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매체공급유닛은 픽업롤러에 의해 최상위의 인쇄매체가 픽업되어 공급되면 캠이 회전하여 적재플레이트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인쇄매체의 공급 시 적재플레이트가 픽업롤러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중송은 적재된 인쇄매체 중에서 최상위 인쇄매체와 접하는 상위 2, 3매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러한 종래의 매체공급유닛은 인쇄매체 픽업 시에 인쇄매체가 중송되는 경우, 적재플레이트가 하향 가압되더라도 중송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인쇄매체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은, 카세트프레임과; 상기 카세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 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가 픽업 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향 가압되는 녹업 상태 및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녹다운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녹다운 상태에서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적어도 1회 상하로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는 상기 픽업롤러와 동축상의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서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시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접하는 외연을 따라서 형성된 요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구간은 복수의 요부 및 철부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부재의 외연에 상기 요철구간에 접하도록 형성된 평탄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시 상기 평탄구간이 상기 요철구간보다 먼저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는 상기 캠 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시 상기 평탄구간 및 요철구간에 가압되어 회전하는 베어링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적재 및 공급되는 상기한 구조의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의 픽업 시에 적재플레이트를 유동시켜, 픽업되는 인쇄매체의 후단부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인쇄매체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가 형성된 캠 부재를 적용하고 이 캠 부재의 회전 시 요철부가 적재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요철부를 캠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요철부에 가압되어 회전하는 베어링롤러를 적재플레이트에 적용함으로써,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1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매체공급유닛(10)을 상이한 위치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10)은 본체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되는 카세트프레임(100)과, 카세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200)와, 본체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며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300)와, 픽업롤러(300)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인쇄매체(M)의 픽업되어 공급되면 적재플레이트(200)를 픽업롤러(300)로부터 이격 및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가 적재플레이트(200)의 좌우측 중 일측에 대응하게 설치된 것으로 표현했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적재플레이트(200)가 안정적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는 적재플레이트(200) 좌우에 대칭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그 설치 형태는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재플레이트(200) 일측에 대응하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를 표현했음을 밝힌다.
카세트프레임(100)은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판상을 가진다. 카세트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인쇄매체를 보급 및 적재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미도시)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적재플레이트(200)는 판면 상에 인쇄매체가 적재되도록 카세트프레임(100)의 개방된 바닥면에 설치된다. 적재플레이트(200)는 그 후단이 카세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적재플레이트(200)의 배면과 카세트프레임(100) 사이에 탄성부재(210)가 개재됨으로써, 적재플레이트(200)의 선단은 픽업롤러(300)를 향해 상향 가압된다. 탄성부재(210)는 적재플레이트(200)를 가압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 구성이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 다.
적재플레이트(200)는 탄성부재(210)에 의해 픽업롤러(300)를 향해 가압되며, 판면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M) 중 최상위의 인쇄매체가 픽업롤러(300)에 의해 픽업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적재플레이트(200)가 이러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녹업(knock-up) 상태라고 한다. 녹업 상태에서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 적재량에 대응하여 적재플레이트(200)의 회동 높이는 상이할 수 있으며, 픽업롤러(300)에 의해 인쇄매체(M)가 픽업될 수 있는 위치에 적재플레이트(200)가 있는 상태이다.
적재플레이트(200)는 그 선단의 인쇄매체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일측, 예를 들면 적재플레이트(200)의 폭 방향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베어링롤러 지지부(220)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롤러 지지부(220)는 후술할 베어링롤러(5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가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되거나 또는 픽업되는 것에 간섭하지 않는다.
픽업롤러(300)는 카세트프레임(100)이 본체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되어 있을 때, 적재플레이트(200) 선단의 상측에 설치된다. 픽업롤러(300)는 적재플레이트(200)가 녹업 상태일 때,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 중 최상위의 인쇄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킨다. 자세하게는, 픽업롤러(300)는 회전에 의해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최상위 인쇄매체에 접촉하며, 이 인쇄매체에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픽업한다.
픽업롤러(300)는 적재플레이트(200)의 선단에 평행하게, 즉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310)에 결합된다. 샤프트(310)는 본체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이 샤프트(310)의 회전에 의해 픽업롤러(300) 및 후술할 캠 부재(510)가 연동하여 회전한다. 샤프트(3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체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된 모터(미도시) 및 동력전달기어(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다.
픽업롤러(300)는 그 외주연의 일부 영역이 샤프트(310)를 향해 함몰되며, 이 영역은 픽업롤러(300)의 회전 시 인쇄매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픽업롤러(300)는 그 외주연의 나머지 영역, 즉 상기 함몰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픽업부(320)를 가진다.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픽업롤러(300)는 픽업부(320)가 인쇄매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픽업롤러(300)가 회전하며, 픽업부(320)는 인쇄매체로 접근한다. 픽업부(320)가 인쇄매체에 접촉하고 픽업롤러(300)가 회전함에 따라서, 인쇄매체 및 픽업부(3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이 인쇄매체는 픽업된다. 픽업부(320)는 인쇄매체와의 접촉 시에 인쇄매체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러버(rubber)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을 포함한다.
아이들롤러(400)는 인쇄매체에 접촉 가능하게 픽업롤러(300)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며, 샤프트(310)에 아이들(idle)하게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아이들롤러(400)는 픽업롤러(300)가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에 이 인쇄매체에 대한 급송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픽업롤러(300)의 직경보다 소정 길이 작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아이들롤러(400)는 샤프트(310)에 대해 아이들(idle)하게 회전하여 인쇄매체와 접촉하며 이 인쇄매체의 이송을 안내함으로써, 픽업롤러(300)의 급송력에 의해 인쇄매체가 편향되게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는 적재플레이트(200)가 상술한 녹업 상태와 후술할 녹다운(knock-down) 상태를 전환하며, 상기 녹다운 상태에서 적재플레이트(200)를 적어도 1회 상하로 유동시킨다. 여기서 녹업 상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300)가 인쇄매체를 픽업할 수 있도록 적재플레이트(200)가 탄성부재(210)에 의해 상향 가압되는 상태이다. 녹다운 상태는 적재플레이트(200)가 픽업롤러(300)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이 때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에 의해 적재플레이트(200)가 유동한다.
프린팅 작업이 개시될 때 적재플레이트(200)는 녹업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픽업롤러(300)가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최상위 인쇄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면,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가 적재플레이트(200)를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키며, 적재플레이트(200)는 상하로 반복하여 유동한다. 이에 의하여 픽업롤러(300)에 픽업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후단에 진동이 가해지므로, 인쇄매체가 중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플레이트(200)가 유동하는 회수 및 그 유동 폭은 한정되지 않으며, 인쇄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는 샤프트(310) 일단에 결합되어 픽업롤러(3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CAM) 부재(510)와, 캠 부재(510)에 대응하게 적재플레이 트(200)에 설치되며 캠 부재(510)가 회전할 때에 그 외연 일측에 접하는 베어링롤러(520)를 포함한다.
캠 부재(510)는 베어링롤러(520)에 접하는 외연 일측에 평탄구간(511) 및 요철구간(5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캠 부재(510)의 회전 시 평탄구간(511)이 요철구간(513)보다 먼저 베어링롤러(520)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평탄구간(511)은 캠 부재(51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녹업 상태의 적재플레이트(200)를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킨다. 평탄구간(511)은 적재플레이트(200)가 녹업 상태일 때,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으로 진입하기 전에 이 베어링롤러(520)를 가압한다. 즉 적재플레이트(200)가 유동하기 전에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적재플레이트(200) 및 인쇄매체에 급격한 진동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구간(513)은 평탄구간(511)이 끝나는 위치에서부터 캠 부재(510)의 외연에 형성된다. 요철구간(513)은 오목한 영역인 요부와, 볼록한 영역인 철부가 교대로 복수 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요부 및 철부 사이의 간격과 그 배치 회수에 의하여 적재플레이트(200)의 유동 폭 및 유동 회수가 결정되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요철구간(513)이 라운드(round) 처리된 리플(ripple) 형상을 가지며, 이에 의하여 캠 부재(5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적재플레이트(200)가 용이하게 유동된다. 그러나 요철구간(513)의 형상은 베어링롤러(520)를 가압하여 적재플레이트(200)를 유동시키는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캠 부재(510)의 회전 시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에 접하는 동안 적재플레이트(200)는 유동한다. 그리고 이 요철구간(513)이 끝나면, 즉 베어링롤러(520)에 대해 캠 부재(51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적재플레이트(200)는 녹다운 상태에서 녹업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적재플레이트(200)는 탄성부재(210)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픽업롤러(300)가 인쇄매체를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베어링롤러(520)는 베어링롤러 지지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롤러(520)는 캠 부재(510), 자세하게는 평탄구간(511) 및 요철구간(513)에 가압됨으로써, 적재플레이트가 녹다운 상태로 전환되며, 이 적재플레이트(200)가 반복 유동되게 한다. 베어링롤러(520)가 설치됨으로써, 캠 부재(510)가 직접 적재플레이트(200)를 가압하는 것에 비하여 적재플레이트(200)의 녹업 및 녹다운 상태의 전환 및 반복 유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10)에서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의 작동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매체공급유닛(10)이 인쇄매체(M)를 공급할 때 적재플레이트 유동부(50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픽업롤러(300)가 대기중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부(320)는 적재플레이트(20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베어링롤러(520)는 캠 부재(51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로써 적재플레이트(200)는 탄성부재(210)에 의해 녹업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픽업롤러(300)가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M)를 픽업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샤프트(310)가 회전하며, 이에 연동하여 픽업롤러(300) 및 캠 부재(510)가 함께 회전한다. 픽업부(320)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최상위 인쇄매체(M)에 접촉하며, 픽업롤러(300)는 이 인쇄매체(M)를 픽업을 수행한다. 이 때 캠 부재(510)는 베어링롤러(520)와 이격되며 회전하므로, 적재플레이트(200)는 녹업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베어링롤러(520)가 평탄구간(511)에 접하며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300)가 인쇄매체(M1)를 픽업하며 회전하는 동안에, 이에 연동하여 캠 부재(510)가 회전한다. 그리고 캠 부재(510)의 평탄구간(511)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베어링롤러(520)를 하향 가압하면, 적재플레이트(200)는 녹다운 상태가 된다. 녹다운 상태에서는 픽업롤러(300)가 적재플레이트(200)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M2)가 픽업되기 곤란하므로, 이 인쇄매체(M2)가 픽업되는 인쇄매체(M1)와 함께 중송되는 것을 방해한다.
도 6은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의 요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의 철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510)의 회전에 따라서 베어링롤 러(520)는 요철구간(513)의 요부 및 철부에 교대로 접촉한다. 이로써 적재플레이트(200)는 상하로 유동하며, 픽업되는 인쇄매체(M1)의 후단에 진동을 가하게 되어 중송을 방지한다.
여기서 D1은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의 요부에 있을 때 픽업롤러(300) 및 적재플레이트(200) 사이의 거리이다(도 6 참조). 그리고 D2는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의 철부에 있을 때 픽업롤러(300) 및 적재플레이트(200) 사이의 거리이다(도 7 참조). D1은 D2보다 그 간격이 크다.
D1과 D2의 값이 상이함에 의하여 적재플레이트(200)가 유동하는 것으로, D1과 D2 사이의 차는 요철구간(513)에서 요부와 철부 사이의 높이의 차에 대응한다.
이렇게 베어링롤러(520)가 요철구간(513)에 접하여 통과하는 동안 적재플레이트(200)는 상하로 유동하며 중송을 방지한다. 인쇄매체(M1)의 픽업 및 이송이 끝나고 캠 부재(510)에 의한 베어링롤러(520)의 가압이 해제되면, 적재플레이트(200)는 녹업 상태가 되며 다음 프린팅 작업 시 픽업롤러(300)에 의해 인쇄매체가 픽업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캠 부재(510)에 의해 적재플레이트(200)를 녹업 상태로부터 녹다운 상태로 전환하고, 녹다운 상태의 적재플레이트(200)를 반복 유동시킨다. 이로써 인쇄매체(M1)가 픽업될 때 다른 인쇄매체(M2)가 중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프레 임(20)과, 인쇄매체(M)가 적재 및 공급되는 매체공급유닛(30)과, 매체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40)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유닛(40)은 정전잠상 및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담지체(41)와, 상담지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43)과, 상담지체(4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45)과, 상담지체(41)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전사유닛(47)을 포함한다. 또한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M)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미정착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유닛(40)의 구성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유닛(40)은 인쇄매체(M) 상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매체공급유닛(30)은 인쇄매체(M)가 적재되며, 이 적재된 인쇄매체(M)를 1매씩 화상형성유닛(40)으로 공급한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매체공급유닛(30)에 인쇄매체(M)를 적재할 수 있도록, 이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카세트프레임(31)은 본체프레임(2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또한 매체공급유닛(30)은 픽업롤러(33) 및 적재플레이트 유동부(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매체공급유닛(3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1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담지체(41)는 인쇄매체(M)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개체가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담지체(41)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주사유닛(43)으로부터의 빔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41)에 현상유닛(45)으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면, 상담지체(41)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광주사유닛(43)은 복수 상담지체(41) 각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광주사유닛(43)은 최종 형성하고자 하는 컬러 화상의 이미지 정보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이에 기초하여 각 상담지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45)은 각 현상제 색상별로 마련된 복수의 상담지체(41)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각 상담지체(41) 상에는 상이한 색상의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전사유닛(47)은 인쇄매체(M)를 이송하여 복수의 상담지체(4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각 상담지체(41)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 상에 중첩 전사되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체공급유닛을 상이한 위치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매체공급유닛이 인쇄매체를 공급할 때에 적재플레이트 유동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체공급유닛 100 : 카세트프레임
200 : 적재플레이트 210 : 탄성부재
220 : 베어링롤러 지지부 300 : 픽업롤러
310 : 샤프트 320 : 픽업부
400 : 아이들롤러 500 : 적재플레이트 유동부
510 : 캠 부재 511 : 평탄구간
513 : 요철구간 520 : 베어링롤러

Claims (19)

  1.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에 있어서,
    카세트프레임과;
    녹업 상태 및 녹다운 상태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세트프레임에 결합되며, 판면 상에 복수의 인쇄매체가 지지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 중 최상위의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도록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다운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로부터 이격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일 때에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가 픽업되면, 상기 픽업된 최상위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상기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소정 회수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는, 상기 픽업롤러와 연동하도록 상기 픽업롤러의 샤프트에 결합된 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부재는 외연이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에 가압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구간과;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은 상기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외연을 따라서 상호 번갈아서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반복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구간 및 상기 복수의 함몰구간에 대해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이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유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다운 상태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을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보다 선행 접촉하여 가압하게 연장된 평탄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은, 상기 캠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설치된 베어링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상기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매체공급유닛은,
    판면 상에 복수의 인쇄매체를 지지하며, 녹업 상태 및 녹다운 상태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 중 최상위의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도록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다운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로부터 이격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일 때에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가 픽업되면, 상기 픽업된 최상위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상기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소정 회수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픽업롤러의 샤프트에 대해, 상기 픽업롤러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에 가압 접촉 가능한 외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구간과;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은 상기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외연을 따라서 상호 번갈아서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반복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구간 및 상기 복수의 함몰구간에 대해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이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유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다운 상태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을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보다 선행 접촉하여 가압하게 연장된 평탄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상기 일 영역은, 상기 캠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설치된 베어링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세트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는 상기 카세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에 있어서,
    카세트프레임과;
    상기 카세트프레임에 결합되며 판면 상에 복수의 인쇄매체가 지지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픽업롤러가 상기 판면 상에 지지된 상기 복수의 인쇄매체 중 최상위의 상기 인쇄매체를 접촉 및 픽업하도록 허용하는 녹업 상태 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로부터 이격되는 녹다운 상태에 위치 가능한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일 때에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상기 최상위 인쇄매체가 픽업되면, 상기 픽업된 최상위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상기 녹다운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소정 회수 유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 유동부는 상기 픽업롤러와 연동하게 상기 픽업롤러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결합된 베어링롤러에 가압 접촉 가능한 외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베어링 롤러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구간과;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베어링롤러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유동은 상기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외연을 따라서 상호 번갈아서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롤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반복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구간 및 상기 복수의 함몰구간에 대해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외연은,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이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유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다운 상태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어링롤러를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함몰구간보다 선행 접촉하여 가압하게 연장된 평탄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프레임 및 상기 적재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녹업 상태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탄성 바이어스를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공급유닛.
KR1020070133528A 2007-12-18 2007-12-18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127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28A KR101276058B1 (ko) 2007-12-18 2007-12-18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260,382 US8262082B2 (en) 2007-12-18 2008-10-29 Medium suppl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28A KR101276058B1 (ko) 2007-12-18 2007-12-18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63A KR20090065963A (ko) 2009-06-23
KR101276058B1 true KR101276058B1 (ko) 2013-06-14

Family

ID=4075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528A KR101276058B1 (ko) 2007-12-18 2007-12-18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2082B2 (ko)
KR (1) KR1012760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846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Inc 用紙給送装置
KR20070087712A (ko) * 2005-06-30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486A (en) 1997-09-18 1999-03-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plit capacitor array for digital-to-analog signal conversion
KR100285252B1 (ko) 1998-12-30 2001-04-02 윤종용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EP1348568A3 (en) * 2002-03-29 2003-12-03 Seiko Epson Corporation Sheet feeder and record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3913120B2 (ja) * 2002-06-18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4289240B2 (ja) * 2004-07-09 2009-07-01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KR100561441B1 (ko) * 2004-08-09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831323B1 (ko) * 2004-10-02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565084B1 (ko) * 2004-10-1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급지대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JP4006432B2 (ja) * 2004-11-12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846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Inc 用紙給送装置
KR20070087712A (ko) * 2005-06-30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53890A1 (en) 2009-06-18
KR20090065963A (ko) 2009-06-23
US8262082B2 (en)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2831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81135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feeding device thereof
JP6181567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45075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85431B2 (en) Sheet feed cassette
US8608153B2 (en)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US7699306B2 (en)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85782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출장치
US7543814B2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US20080199241A1 (en)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76058B1 (ko)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201001585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device thereof
US20210155426A1 (en) Sheet stora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430521B (zh) 图像形成装置
JP7324614B2 (ja) 固定部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2726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07847B2 (ja) 給紙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0956B2 (ja) 画像形成装置
US89139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116477B2 (en) Fixing unit with a pressure releas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301072B2 (en) Guide roller unit, gui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063359A (ko)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402598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00156031A1 (en)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4800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