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015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015B1
KR100561015B1 KR1020027003487A KR20027003487A KR100561015B1 KR 100561015 B1 KR100561015 B1 KR 100561015B1 KR 1020027003487 A KR1020027003487 A KR 1020027003487A KR 20027003487 A KR20027003487 A KR 20027003487A KR 100561015 B1 KR100561015 B1 KR 10056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rface plate
back plate
hanger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873A (ko
Inventor
와타베마사토
이토히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67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61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7497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3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Abstract

도어 본체를 승강장측에 면하는 표면판(11)과, 승강로측에 면하는 이면판(12)과, 표면판(11)과 이면판(12)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13)로 구성하고, 화재 발생시의 고온 조건하에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한 구속력을 소실(消失)할 수 있는 결합 부재(15)에 상기 이면판을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해 결합하도록 한다. 이 결합 부재(15)에 의해서, 빌딩 화재 발생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탈락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승강로 내에 연기나 화염의 침입을 방지한다.
엘리베이터 도어, 승강로, 보강 부재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DOOR AT ELEVATOR LANDING}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도어 행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열에 의한 도어의 변형을 적게 하고, 승강로 내로의 연기나 화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다른 층으로의 번짐을 방지하도록 한 도어 행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카(car)로의 승강구가 되는 승강장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는 통상은 닫혀 있어, 승강장측과 카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로측 사이를 차단하고 있고, 카의 랜딩시에 카측의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된다.
카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로는 건물의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도달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승강로 내에는 가버너 로프가 매달려 있거나 카와는 역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평형추가 배치되어 있어 승강로벽과 카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바와 같은 경우에 승강로가 상하 방향으로 굴뚝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에 승강장 도어를 금속제 등의 내화재로 구성하여, 화재가 승강로 내에 간단하게는 진입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빌딩 화재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가 연기나 화염의 통로가 되고, 위층으로 번져 화재의 피해를 한층 크게 하는 경우가 있다. 승강로에 연기나 화염이 침입하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있는 승강장 도어가 열을 받아 크게 변형해 떨어져 나가 승강구가 연기의 도입로가 되기 때문이다.
도 11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있어서, 열에 의해 크게 변형한 승강장 도어를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부호 1은 도어 프레임으로서, 벽(2)에 고정되어 있다. 3은 승강장 도어이다. 승강장 도어(3)의 도면에서 좌측이 승강로이고, 우측이 승강장이다. 부호 4는 벽(3)의 출입구 상변부에 고정된 헤더 케이스, 5는 플로어(6)에 고정된 문턱이다. 행거 롤러(7)는 승강장 도어(3)의 상단부에 장착된 행거(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헤더 케이스(4)에는 상기 행거 롤러(7)가 롤링 가능하게 록킹하는 행거 레일(9)이 장착되어 있고, 행거 롤러(7)가 행거 레일(9)을 롤링하면서 승강장 도어(3)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3)의 하단부에는 문턱(5)의 안내 홈을 슬라이딩하는 가이드슈(guide shoe)(1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3)의 도어 본체는 의장면을 구성하는 표면판(11)과, 이면판(12)과, 이들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승강장 도어(3)는 열을 받으면,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하도록 점차 변형하기 시작하여, 더욱 열에 노출되면, 행거 레일(9)이나 문턱(5)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기에 이르고, 개구한 승강구에서 화염이나 연기가 승강로에 침입하여, 다른 층으로 번질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는 대책으로는 이면판(12)과 표면판(11) 및 보강 부재(13)와의 접합부에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긴 구멍을 이용함으로써, 이면판(12)과 표면판(11) 및 보강 부재(13) 사이의 열에 의한 연신의 차를 흡수하는 것에 의해 변형량을 억제하고, 승강장 도어(3)의 탈락의 방지를 도모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승강장 도어에서는 이면판(12)과, 표면판(11) 및 보강 부재 사이의 상하 방향의 연신의 차를 흡수할 수는 있어도, 도어 깊이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는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변형은 억제한다고 해도 도어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기에는 불충분했다.
또 승강장 도어(3)의 도어 행거 장치는 구조상, 모든 구성 부품을 내화성 재료로 조립하는 것은 곤란하여,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헤더 케이스(1)의 안쪽의 행거 롤러에는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의 쾌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적어도 외주면에 플라스틱제 등의 완충재가 채용되고 있다.
완충재 자체는 난연성의 플라스틱 재료 등의 채용에 의해서, 용이하게는 용융하는 일이 없지만 예상을 넘는 특수한 케이스의 경우는 화재시의 고열에 의해 녹아 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용융한 완충재 재료가 고열을 띤 상태로 낙하하고, 만일 그 일부가 승강장 도어(3)로부터 승강로에 침입해 버린 경우, 그 부근의 승강로 내에 윤활유 등이 존재할 경우에는 녹은 완충제 재료에 인화하여 2차적인 화재를 발생시켜 버리는 일도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면판과 표면판 및 보강 부재 사이에 열팽창차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들 부재에는 전방향에 구속이 없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고, 승강장 도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로 내에 연기나 화염의 침입을 방지하고, 이로써 화재의 번짐을 방지하는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가열되어 행거 롤러의 완충재가 만일 녹아 나와 버렸다고 해도, 승강로측으로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의 번짐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행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승강장측에 면하는 표면판과, 승강로측에 면하는 이면판과, 상기 표면판과 이면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본체와, 상기 이면판을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해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고온 조건하에서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한 구속력을 소실(消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의 화재에 의해 직접 고열에 노출되는 표면판이나 보강 부재와, 이면판과의 사이에는 열에 의한 연신의 차가 커지면, 도어 본체가 변형되려고 하지만, 고온에 의해 결합 부재가 파단하거나 용융하거나 하여 구속력을 소실하기 때문에, 표면판과 보강 부재는 특정 방향으로 구속되는 일이 없이 뻗은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도어 본체의 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도어 본체의 일단부측을 결합하는 강철재료제의 스틸 리벳과, 도어 본체의 잔여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 부재로서 이용되는 저융점 또는 저강도의 알루미늄 재료제의 알루미늄 리벳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스틸 리벳은 알루미늄 리벳이 어긋나도 표면판이나 보강판을 보유 지지하고, 이들 부재의 탈락을 저지한다.
또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이면판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리벳 구멍보다도 작은 머리를 갖는 리벳과, 이 리벳의 머리와 이면판 사이에 끼워지는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와셔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 볼트와, 이 볼트와 쌍을 이루는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너트를 이용하여도 좋다.
제 2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에 면하는 전면과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측에 면하는 배면을 갖는 도어를 승강장 출입구에 현가하는 도어 행거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는 단편(短片)과, 상기 도어의 배면을 따라 세워 올려지도록 장편(長片)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 자형의 행거 부재와, 상기 행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외주면에 완충재를 갖는 복수개의 행거 롤러와, 이들 복수개의 행거 롤러를 안내하도록 승강장의 출입구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지지된 가이드 레일과, 고온 조건하에서 녹아 나온 해당 완충재 재료가 상기 행거 부재를 타고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재 침입 억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화재 발생시의 열을 받아, 행거 롤러의 완충재 재료가 만일 녹아 나왔다고 해도, 완충재 침입 억제 수단이 승강장 도어의 전면측의 승강장 쪽으로 흘러가게 하여, 배면측의 승강로로의 유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녹아 나온 재료에 인화하는 것에 의한 2차적인 연소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본체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도어 본체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행거 장치의 상부 배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우측면도.
도 6a는 도 6a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어 행거 장치의 상부 배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우측면도.
도 7a는 도 5a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좌측면도.
도 8a는 도 5에 나타낸 심(shim)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우측면도.
도 9a는 도 5에 나타낸 커버 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0a는 도 5에 나타낸 도어 행거 장치의 주요부 배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우측면도.
도 11은 화재 발생시에 변형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화재 발생시에 변형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도어 본체(1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어 본체(10)의 단면도이다. 이 도어 본체(10)는 표면판(11), 이면판(12), 보강 부재(13)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2 종류의 리벳(14, 15)을 이용해 결합되어 있다. 표면판(11)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 면하는 화장면을 구성하는 부재로써, 도어 본체(10)를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에 장착하면, 이면판(13)은 승강로측에 면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14)(도 1에서 속이 빈 ○으로 나타냄)은 표면판(11), 이면판(12), 보강 부재(13)와 같은 금속제의 판부재를 체결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철재를 재료로 하는 스틸 리벳이 이용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틸 리벳(14)은 도어 본체(10)의 상단부측의 결합 자리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리벳(15)(도 1에서는 ●으로 나타냄)은 스틸 리벳(14)보다도 융점이 낮고, 전단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계 재료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리벳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고온에 노출되면 용융하고, 또 일정 한도 이상의 전단 응력이 가해지면, 파단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본체(10)에서는 표면판(11)과 보강 부재(13)가 이면판(12)과 알루미늄 리벳(15)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건물 내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알루미늄 리벳(15) 중 적어도 1 개는 표면판(11), 보강 부재(13)와 이면판(12) 간의 구속을 없애도록 기능한다. 즉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어 본체(10)의 표면판(11)이나 보강 부재(13)는 화염이나 고열에 직접 노출되지만, 이면판(12)의 쪽은 표면판(11)에 차폐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판(11)이나 보강 부재(13)는 가열된 연신이 큰데 비하여, 이면판은 연신의 정도가 작다. 이 때문에, 표면판(11) 및 보강 부재(13)와, 이면판(12)에서는 열에 의한 연신의 차가 현저하게 된다. 이 연신의 차에 의해서, 알루미늄 리벳(15)에는 전단 응력이 작용하고, 이 전단 응력은 열팽창의 차가 커짐에 따라 증대한다. 그리고 다수의 알루미늄 리벳(15) 중, 전단 응력이 일정한 한계를 넘어간 것이나, 열에 녹아 나와서 강도가 약해진 것부터 파단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속력을 소실한 알루미늄 리벳(15)이 점차 증가해 가면, 표면판(11)과 보강 부재(13)에는 이면판(12)에 의한 구속이 없어져 가고, 표면판(11)과 보강 부재(13)는 특정 방향으로 구속되는 일이 없이 연신된 상태(표면판(11)이 젖혀지는 일이 없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도어 본체(10)의 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 본체(10)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알루미늄 리벳(15)이 어긋나는 것만으로, 행거 레일이나 문턱에서 도어 본체(10)가 어긋나 탈락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곳에서 화염이나 연기가 승강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어 본체(10)의 상단부는 통상의 스틸 리벳(14)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리벳(15)이 모두 어긋나도 재료차에 의한 강도, 용융 온도의 차이에 의해 표면판(11)과 보강판(13)은 스틸 리벳(14)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할 우려는 없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본체(1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알루미늄 리벳(15) 대신에, 스틸 리벳(16)과 수지 또는 고무제 와셔(17)를 조합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 이면판(12)의 리벳 구멍(18) 지름은 스틸 리벳(16)의 머리 부분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스틸 리벳(16)의 머리 부분과 이면판(12) 사이에 와셔(17)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의 고온 조건하에서는 와셔(17)가 녹아 탈락하기 때문에, 스틸 리벳(14)은 구속력을 잃으므로, 표면판(11)과 보강 부재(13)는 특정 방향으로 구속되는 일이 없이 연신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도어 본체(10)의 전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알루미늄 리벳(15) 대신에, 볼트(19)와 수지제 또는 고무제 너트(20)를 조합한 실시예이다. 이 너트(20)는 고온 조건하에서는 녹아 버리기 때문에,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19)에 의한 구속이 없어지기 때문에, 도어 본체(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행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행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5a는 승강로측으로부터 승강장 도어를 보았을 때의 도어 행거 장치의 상부 배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우측면도이다.
이들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승강구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도어 프레임 등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헤더 케이스(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헤더 케이스(31)에 의해서, 그 배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보유 지지하도록 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32)이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32)은 행거 부재(34)에 의해 현가된 승강장 도어(3)를 안내한다.
승강장 도어(3)는 2 매로 쌍을 이루고 있고, 도 5a에는 2 매의 승강장 도어(3)로서 승강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 승강장 도어(3)는 1 매의 경우도 있고, 또 2 매의 도어가 일부 서로 중첩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해 개폐되는 것도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승강장 도어(3)에도 적용된다. 승강장 도어(3)의 상단부에는 행거 부재(34)가 장착되어 있다. 행거 부재(34)의 상세를, 도 6a의 상부 배면도 및 도 6b의 그 우측면도에 나타내고 있지만, 행거 부재(34)의 구성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헤더 케이스(31), 가이드 레일(32), 승강장 도어(3) 외에, 행거 부재(34)의 구성을 주로 나타내고,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그 밖의 가이드 부재(40), 심 부재(42), 커버(44)(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함) 등은 생략하여 나타낸다.
행거 부재(34)는 단편(34a)과 이에 직각인 장편(34b)으로 되는 대략 L 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스트라이프상의 형재(形材)이다. 이 행거 부재(34)는 그 단편(34)이 장편(34b)으로부터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단편(34a)은 승강장 도어(3)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고 있고, 승강장 도어(3)의 상단면(3a)에 고착되어 있다. 한편, 장편(34b)은 도어(3)의 배면(이하 승강로측에 면하고 있는 쪽을 배면(背面), 승강장측에 면하고 있는 쪽을 전면(前面)이라 한다)과 일면(一面)이 되도록 단편(34a)으로부터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행거 부재(34)의 횡폭 길이는 승강장 도어(3)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2 매의 승강장 도어(3)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는 2 매의 좌우 양 행거 부재(34, 34)의 인접한 종단 모서리(34c, 34d)는 서로 접하고 있고, 그 사이에는 거의 갭이 형성되는 일은 없다.
또 행거 부재(34)의 장편(34b)의 하부에는 노치(35)가 형성되어 있어, 그 노치(35) 부분의 공간을 이용하여, 행거 부재(34)의 단편(34a)을 승강장 도어(3)의 상면(3a)에 체결 고정할 때에 볼트(36) 등의 고정구를 체결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행거 부재(34)의 전면측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행거 롤러(3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행거 롤러(37)는 도어(3)의 개폐에 따라 가이드 레일(32)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롤링한다. 이 행거 롤러(37))는 도어(3)의 원활한 개폐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 자체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나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재(38)로 형성되어 있거나, 금속을 코어로 해서 그 주위에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완충재(38)가 피착된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행거 부재(34)에는 행거 롤러(37)가 가이드 레일(3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 레일(32)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롤링하는 한 쌍의 보조 롤러(39)가 병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행거 부재(34)의 길이 방향의 횡폭 치수를 승강장 도어(3)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했으므로, 예를 들면 2 매의 승강장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2 매의 행거 부재(34, 34)의 인접한 단부 모서리(34c, 34d) 사이에는 거의 갭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행거 부재(34)는 그 단편(34a)이 장편(34b)으로부터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승강장 도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설령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행거 롤러(37)의 완충재(38) 재료가, 만일 녹아 나왔다고 해도, 완충재(38)가 녹은 재료는 단편(34a)을 타고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인 승강장측을 향해 흐르므로, 녹은 완충재(38) 재료가 인화 등의 우려가 있는 반대측의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행거 부재(34)의 횡폭 치수를 승강장 도어(3)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폭넓게 형성하도록 대책을 마련했으므로, 녹은 완충재(38) 재료가 행거 부재(34)의 좌우 양단을 돌아들어 마찬가지로 반대측의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침입 억제 수단으로서 행거 부재(34)의 길이 방향의 횡폭 치수를 승강장 도어(3)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하고, 그 단편(34a)을 장편(34b)으로부터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행거 부재(34)를 승강장 도어(3)에 고정함으로써, 완충재(38)가 녹은 재료가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행거 부재(34)와, 이하 설명하는 여러 가지 침입 억제 수단을 조합시킴으로써, 완충재(38)가 녹은 재료가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침입 억제 수단을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침입 억제 수단은 행거 부재(34)의 좌우 양단 하부의 L 자형 코너부에 장착되는 L 자형 캡 부재(40)로 이루어지고, 이 캡 부재(40)에 의해 각각 양 코너부를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7a는 행거 부재(34)의 한쪽의 단부를 확대해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b는 그 좌측면도이다.
행거 부재(34)의 단편(34a)의 단부 모서리와 장편(34b)의 단부 모서리가 대략 L 자형을 이루는 코너부에는 단편(34a)과 장편(34b)에 캡 부재(40)의 대략 직각인 2변을 맞닿게 하여, 당금(當金)(41)을 이용하여 용접 등에 의해 갭이 생기지 않도록 고착되어 있다. 단, 이 캡 부재(40)는 단편(34a)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폭으로서, 그 높이 치수는 캡 부재(40)가 가이드 레일(32)에 간섭하지 않도록, 행거 부재(34)의 단편(34a)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2)에 달하지 않을 때까지의 높이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행거 부재(34)의 길이 방향의 좌우 양단 하부의 코너부를 캡 부재(40)로서 닫는 것에 의해서, 행거 부재(34)의 바닥부를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을 향해 개방된 홈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가령 행거 롤러(37)의 완충재(38) 재료가 녹아 나와 버려, 행거 부재(34)의 장편(34b)의 전면측을 타고 단편(34a) 상에 모였다고 해도, 행거 부재(34)의 양단 코너부는 캡 부재(40)에 의해 폐쇄되고 있으므로, 옆으로 새는 것이 방지되고, 녹아 나온 완충재(38) 재료가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 3 침입 억제 수단을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침입 억제 수단은 행거 부재(34)의 단편(34a)과 승강장 도어(3)의 상면(3a) 사이에 끼워지고, 행거 부재(34)를 받는 심 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심 부재(42)는 제 2 침입 억제 수단인 캡 부재(40)와 함께 이용해도 좋고, 단독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8a는 심 부재(42)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b는 그 우측면도이다.
심 부재(42)는 저면부(42a)와 배면벽(42c)이 단면 L 자형을 이루는 가로로 긴 금속 박판으로 되고, 심 부재(42)의 전체의 횡방향 길이는 승강장 도어(3)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이고, 또 저면부(42a)의 폭은 승강장 도어(3)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이다. 평탄한 저면(23a)의 일부에 장착용 노치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심 부재(4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저면부(42a)와 배면벽(42c)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는 배면벽(42c)과 동일한 높이 치수로 저면부(42a)로부터 세워 올려지고 있는 측벽부(42d)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42d)의 높이 치수는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2)에 달하지 않을 때까지의 높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심 부재(42)는 저면부(42a) 상에 행거 부재(34)의 단편(34a)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노치부(42b)를 통해서 볼트(6) 등의 고정구에 의해서 행거 부재(34)와 함께 승강장 도어(3) 상에 고정함으로써, 행거 부재(34)의 단편(34a)과 승강장 도어(3)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끼워진 심 부재(42)는 행거 부재(34)의 하부를 3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서,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에 개방되어 있는 받침 접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로 녹아 나온 행거 롤러(37)의 완충재(38) 재료는 행거 부재(34)의 장편(34b)을 타고 떨어져 심 부재(34)에 받아내어 개방하고 있는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의 쪽으로 흐르므로, 그 측벽부(42d)에 의해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다음에, 제 4 침입 억제 수단을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침입 억제 수단은 녹아 나온 완충재(38) 재료가 행거 부재(34)에 형성한 노치부(35)로부터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9에 나타낸 커버 부재(44)로 노치부(35)를 폐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a는 커버 부재(44)의 배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커버 부재(44)는 평판부(44b)와, 평판부(44b)에 이어져 하강 구배로 경사한 경사부(44c)와, 경사부(44c)에 이어지는 수직부(44d)와, 경사부(44c)와 수직부(24d)의 양단에서 세워 올려지고 있는 측판부(44e)로부터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속 박판 부재이다. 평판부(44b)에는 나사 장착용의 긴 구멍(24a)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44)의 횡폭은 행거 부재(34)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부(35)의 내부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이고, 경사부(44c)에서 수직부(44d)까지 수직 높이 치수는 노치(35) 높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이다. 또, 평판부(44b)에서 수직부(44d)까지 수직 거리는 승강장 도어(3)의 폭 치수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 부재(44)는 도 5에 있어서, 행거 부재(34)가 승강장 도어(3)에 볼트(36)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후에, 노치부(35)를 폐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된다. 즉, 커버 부재(44)의 경사부(44c)를 행거 부재(34)의 배면측(승강로측)으로부터 노치부(35)에 넣어, 커버 부재(44)의 수직부(44d)의 선단을 행거 부재(34)의 단편(21a)과 접촉하도록 하고, 그 상태대로 긴 구멍(44a)에 나사 등을 삽입시켜, 커버(24)의 평판부(24b)를 행거 부재(34)의 장편(34b)에 고정한다. 그렇게 하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35)는 커버 부재(44)의 경사부(44c)와 수직부(44d)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 3 침입 억제 수단인 심 부재(4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벽면(42c)에 간섭하지 않도록, 벽면(42c)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커버 부재(44)의 측판(44e)이 절결되어 있다.
화재 발생시에 행거 롤러(37)의 완충재(38) 재료가 만일 열에 의해 녹아 나와 행거 부재(34)의 장편(34b)을 타고 흘러 떨어지면, 그 녹은 재료의 일부가 행거 부재(34)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부(35)로부터 승강로측에 유출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치부(35)를 폐쇄하는 커버 부재(44)를 설치함으로써, 녹은 완충재(38) 재료는 커버 부재(44)의 경사부(44c)를 타고 행거 부재(21)의 단편(21a)이나 심부재(23)로 받아 내어지거나, 혹은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으로 흘러 떨어져,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 5 침입 억제 수단을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 침입 억제 수단은 승강장 도어(3)가 닫혔을 때의 행거 롤러(37)의 하방 위치의 가이드 레일(32)에, 승강장 도어(3)의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측으로 향해 하강 구배로 경사지는 홈통 부재(46)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도 5 또는 도 6과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배면도이고, 도 10b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에서는 홈통 부재(46)의 구성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홈통 부재(46)와 함께 헤더 케이스(31), 가이드 레일(32), 승강장 도어(3), 행거 부재(34)를 주로 나타내고, 그 밖의 다른 부재 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홈통 부재(46)를 중심부측으로 향해 하강 구배로 경사시켜 설치했으므로, 행거 롤러(37)의 완충재(38) 재료가 만일 열로 녹아 나왔다고 해도, 그 가이드 레일(32)의 면을 타고 흘러 떨어진 완충재(8) 재료는 홈통 부재(46)에 의해 받아 내어지고, 승강장 도어(3) 상면(3a)의 중심부 부근에 흘러 떨어져 행거 부재(34)의 단편(34a)이나 심 부재(23)로 받아 내어지거나, 혹은 승강장 도어(3)의 전면측으로 흘러 떨어진다.
따라서 녹아 나온 완충재(38)가 행거 부재(34)의 좌우 양단측 방향으로 녹아 나와 승강로측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승강장측에 면하는 표면판과, 승강로측에 면하는 이면판과, 상기 표면판과 이면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본체와, 상기 이면판을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해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화재 발생시의 고온 조건하에서 파단되어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한 구속력이 소실(消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도어 본체의 일단부측을 결합하는 강철재료제(製)의 스틸 리벳과, 도어 본체의 잔여 부분을 결합하고 상기 결합 부재로서 이용하는 저융점 또는 저강도의 알루미늄 재료제의 알루미늄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2. 삭제
  3.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승강장측에 면하는 표면판과, 승강로측에 면하는 이면판과, 상기 표면판과 이면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본체와, 상기 이면판을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해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화재 발생시의 고온 조건하에서 파단되어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한 구속력이 소실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이면판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리벳 구멍보다도 작은 머리를 갖는 리벳과, 이 리벳의 머리와 이면판 사이에 끼워지는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4.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승강장측에 면하는 표면판과, 승강로측에 면하는 이면판과, 상기 표면판과 이면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본체와, 상기 이면판을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해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화재 발생시의 고온 조건하에서 파단되어 상기 표면판 또는 보강 부재에 대한 구속력이 소실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볼트와, 이 볼트와 쌍을 이루는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7003487A 2000-07-17 2001-07-17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56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5696 2000-07-17
JP2000215696A JP4666727B2 (ja) 2000-07-17 2000-07-17 エレベータ扉
JP2001016142A JP4674974B2 (ja) 2001-01-24 2001-01-24 エレベータ乗場の扉装置
JPJP-P-2001-00016142 2001-01-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27A Division KR100524283B1 (ko) 2000-07-17 2001-07-17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도어 행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73A KR20020035873A (ko) 2002-05-15
KR100561015B1 true KR100561015B1 (ko) 2006-03-16

Family

ID=26596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27A KR100524283B1 (ko) 2000-07-17 2001-07-17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도어 행거 장치
KR1020027003487A KR100561015B1 (ko) 2000-07-17 2001-07-17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27A KR100524283B1 (ko) 2000-07-17 2001-07-17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도어 행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88592B2 (ko)
KR (2) KR100524283B1 (ko)
TW (1) TW491809B (ko)
WO (1) WO2002006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0756U1 (de) * 2003-01-17 2003-12-11 Meiller Aufzugtüren GmbH Türblatt einer Aufzugtür, insbesondere einer Aufzugschachttür
US8006805B2 (en) * 2003-02-24 2011-08-30 The Peelle Company Ltd. Astragal construction
US20040206581A1 (en) * 2003-04-16 2004-10-21 Baumann Matthew D. Sill shield
US8230982B2 (en) * 2003-12-30 2012-07-31 Friedman Harold S Elevator cab design
AT501745B1 (de) * 2005-08-01 2006-11-15 Knorr Bremse Gmbh Türblatt
US20070151199A1 (en) * 2005-12-16 2007-07-05 Rounda Enterprises, Llc Joist nois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ITBG20060012U1 (it) * 2006-04-21 2007-10-22 Sematic Italia Spa Pannello perfezionato per porte di ascensori
WO2008137021A2 (en) * 2007-05-03 2008-11-13 Charles Michaels Donald Reinforced elevator door guide
JP2011502910A (ja) * 2007-11-01 2011-01-2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ドアの振動および騒音絶縁装置
US8640426B2 (en) * 2008-10-06 2014-02-04 Otis Elevator Company Thermal barriers of elevator door roller and rail
CN102171128B (zh) * 2008-10-06 2014-03-12 奥蒂斯电梯公司 从轮毂到轮箍的膨胀型热障
ES2351910B1 (es) * 2010-09-15 2011-08-19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cierre de plataformas móviles.
CN103402904B (zh) * 2011-02-28 2016-01-06 思迈特迪克公司 用于升降机的升降台门或轿厢门及其安装方法
EP3210927B1 (en) * 2014-10-20 2020-09-16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CN104310181A (zh) * 2014-10-29 2015-01-28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用双面门板结构
JP6049839B1 (ja) * 2015-11-06 2016-12-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場ドア、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CN109403820B (zh) * 2018-12-22 2020-05-12 宁波新万泰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消防门装置
CN110261299A (zh) * 2019-08-01 2019-09-20 广州市机电高级技工学校(广州市机电技师学院、广州市机电高级职业技术培训学院) 一种电梯门摩擦系数测量装置
JP7149916B2 (ja) * 2019-09-27 2022-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IT202000004324U1 (it) * 2020-07-20 2022-01-20 Wittur Holding Gmbh Anta per ascensore e impianto elevato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505A (en) * 1916-08-22 Pike boob os shuttek
US1315659A (en) * 1919-09-09 Itke-doob
US982303A (en) * 1907-02-11 1911-01-24 Saino Fire Door And Shutter Company Fire door and shutter.
US1146960A (en) * 1912-01-25 1915-07-20 Saino Fire Door & Shutter Co Fire door or shutter.
US1204074A (en) * 1915-06-08 1916-11-07 Felix L Saino Fire door or shutter.
US1395766A (en) * 1920-05-17 1921-11-01 Richards Wilcox Mfg Co Fire-door
US1377298A (en) * 1920-06-08 1921-05-10 William H Wheeler Fireproof door
US1451353A (en) * 1920-08-21 1923-04-10 Herman C Waldman Fire door
US1724052A (en) * 1928-06-13 1929-08-13 Luther S Swearengin Fire-door construction
US3425162A (en) * 1966-05-04 1969-02-04 Williamsburg Steel Products Co Door hanger and track construction
US3451095A (en) * 1967-07-17 1969-06-24 Eagle Picher Ind Inc Cushioned roller
US3981102A (en) * 1974-07-22 1976-09-21 Dover Corporation Warp resistant fire door
JPS5475834A (en) 1977-11-30 1979-06-18 Hitachi Ltd Door
CA1189671A (en) * 1983-06-20 1985-07-02 Joseph M. Minialoff Pressure relief wall assembly
JPS6183769A (ja) 1984-09-28 1986-04-28 岡部株式会社 高架橋等スラブの型枠移動式工法
JPS6183769U (ko) * 1984-11-07 1986-06-03
JPH0742066B2 (ja) * 1988-02-01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扉
US4987638A (en) * 1988-05-05 1991-01-29 Nickolas Ribaudo Sliding door assembly
JP2502180B2 (ja) * 1990-10-01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JPH0742066A (ja) 1993-07-30 1995-02-10 Sando Iron Works Co Ltd 布帛の連続洗浄装置
JP2000302361A (ja) * 1999-04-12 2000-10-31 Inventio Ag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ZA200004312B (en) * 1999-09-08 2001-04-17 Inventio Ag Lift door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5708A1 (en) 2006-04-13
TW491809B (en) 2002-06-21
US20020139621A1 (en) 2002-10-03
KR20040096632A (ko) 2004-11-16
US7143870B2 (en) 2006-12-05
US6988592B2 (en) 2006-01-24
WO2002006149A1 (fr) 2002-01-24
KR100524283B1 (ko) 2005-10-28
KR20020035873A (ko)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01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381621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666727B2 (ja) エレベータ扉
US5706913A (en) Guide assembly for an elevator door
KR10093127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KR100921713B1 (ko)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0686662B1 (ko) 화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3908215B2 (ja) スライド式ドアの上方移動制限構造
JP4674974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扉装置
US10773928B2 (en) Elevator landing door leaf
JP5937256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KR200395153Y1 (ko)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WO2020016955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JP7209737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側ドア装置
JPH04197990A (ja) エレベータ乗場出入口装置
KR200473200Y1 (ko) 승강기 안전도어
KR19990047826A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밀림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