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00Y1 - 승강기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승강기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00Y1
KR200473200Y1 KR2020130000202U KR20130000202U KR200473200Y1 KR 200473200 Y1 KR200473200 Y1 KR 200473200Y1 KR 2020130000202 U KR2020130000202 U KR 2020130000202U KR 20130000202 U KR20130000202 U KR 20130000202U KR 200473200 Y1 KR200473200 Y1 KR 200473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or
elevator door
doo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락
Original Assignee
오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는, 한 쌍의 도어가 양쪽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승강기 도어와,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승강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제1 프레임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구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체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도어에 관한 것입니다.

Description

승강기 안전도어 {SAFE DOOR FOR ELEVATOR}
본 고안은 승강기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각층에 마련된 승강기 도어 및 승강기 내부에 마련된 승강기 도어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승강기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 도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에 의해 승강기 도어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승강기 안전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의 도어는 금속제로 제작되며,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 중에는 승강기 도어를 폐쇄하고, 원하는 층에 도달했을 때 승강기 도어를 개방하여 승강기 내부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 내부에 탑승자가 많거나 승강기 내부에 적재한 물건에 의해 상기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로 하중이 작용하거나, 건물의 각층의 승강장에 마련되는 승강기 도어는 승강장에서 승강기 내부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 도어는,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 또는 적재된 물건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 및 물건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각층에 설치되는 승강기 도어는, 승강장에 대기하는 대기자 또는 물건이 승강기가 이동하는 통로로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기 도어는, 측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승강기 도어에 좌굴현상이 발생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을 하는 승강기 도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승강기 도어가 승강기에서 이탈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관한 기술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5-023773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엘리베이터의 일측 도어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보강재를 복수개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지지력을 상승시켰으나, 복수개의 보강재를 설치해야 함으로 조립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중심부에는 보강재가 1개만 설치되어 2중으로 제작된 보강재 보다 강한 하중을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5-023773호 (1995.03.02)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승강기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기 통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지지력을 발생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에 의해 기존의 승강기 도어보다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하는 승강기 안전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승강기 도어의 전면에서 내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승강기 도어 자체지지력으로 1차적으로 지지하고, 그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승강기 도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승강기 도어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승강기 안전도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는, 한 쌍의 도어가 양쪽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승강기 도어와,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승강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제1 프레임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구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체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길이보다 작게 마련되며, 그 중심이 상기 제1 프레임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승강기 도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제1 프레임 내측면과 맞닿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 승강기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기 통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지지력을 발생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에 의해 기존의 승강기 도어보다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승강기 도어의 전면에서 내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승강기 도어 자체지지력으로 1차적으로 지지하고, 그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승강기 도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승강기 도어의 지지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안전도어의 체결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 및 제2 체결구의 체결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 및 제2 체결구의 체결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 및 제2 체결구의 체결 상세도.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고안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가 양쪽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승강기 도어(10)와,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20)과,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에는, 승강기 도어(10)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기 도어(10)는, 승강기의 양쪽으로 슬라이딩 구동가능하게 출입문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출입문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승강기 도어(10)에는, 제1 프레임(20)이 마련된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승강기 도어(10)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0)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승강기 도어(1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보강재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상기 제1 프레임(20)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0)에는, 제1 체결구(2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체결구(22)는, 상기 제1 프레임(20)의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체결구(22)는, 상기 제1 프레임(20)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용접 또는 상기 제1 프레임(20)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체결되게 된다.
<제1 실시예>
상기 제1 프레임(20) 내부에는, 제2 프레임(30)이 마련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은,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제1 프레임(20)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20)에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1 프레임(2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보강재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일차적으로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상기 제1 프레임(20)에 의해 지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30)에 의해 다시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이중으로 보강재를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에는, 제2 체결구(32)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2 프레임(30)의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2 프레임(30)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20)에 용접 또는 상기 제2 프레임(30)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의 외측면은,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면과 맞닿게 설치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의 외측면까지의 폭을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 폭에 맞도록 제작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의 외측면이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제작하여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고정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상기 제2 프레임(30)을 밀착시켜 고정하여, 상기 제1 프레임(20)의 단면을 증가시켜 상기 제1 프레임(20)이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좌굴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20)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레임(20)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그 중심이 상기 제1 프레임(20) 중심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이는,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하중이 집중되는 중심부분에만 상기 제2 프레임(30)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하중 하중지지력을 상승시켜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안전하게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 길이의 절반 크기로 제작하여 그 중심이 상기 제1 프레임(20)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보강재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프레임(30)을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10)를 제작하는 재료를 절감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지지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한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0)의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한다. 이는,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하중이 집중될 때, 일차적으로 상기 승강기 도어(10) 및 제1 프레임(20)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고, 그 이상의 하중이 발생하면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으로 좌굴이 발생하여 상기 제2 프레임(30)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상기 제2 프레임(30) 사이의 이격되는 공간은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발생되는 하중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그 이상의 하중이 발생할 때만 상기 제2 프레임(30)에 의해 하중을 지지함으로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과 동일한 구성 및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체결구(32)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1 프레임(20)과 동일하게 상기 제2 프레임(30)의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개구면이 상기 제1 프레임(20)을 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면과 상기 제2 체결구(32)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30)을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 및 제2 체결구(32)의 설치위치, 역할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 및(30) 제2 체결구(32)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과 동일한 구성 및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체결구(32)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1 프레임(20)과 동일하게 상기 제2 프레임(30)의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체결구(32)는,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개구면이 상기 승강기 도어(10)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30)의 외측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3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 및 제2 체결구(32)의 설치위치, 역할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레임(30) 및 제2 체결구(32)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술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승강기 도어(10)를 중심으로 작성하였으며, 상술한 내용의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는,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기 통로를 개폐하는 승강기 도어에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적용하여 상기 승강장에서 상기 승강기 통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안전도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상기 제1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 내측에 상기 제2 프레임(30)이 설치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승강기 안전도어가 설치된 승강기 내부에서 탑승자 또는 적재된 물건에 의해 상기 승강기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상기 승강기 도어(10)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면, 금속재질로 재작된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기 도어(10)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1 프레임(20)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일차적으로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함께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승강기 도어(10)의 지지력을 상기 승강기 도어에 설치된 상기 제1 프레임(20)에 의해 지지하중을 증가시켜 안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작용되는 하중 이상이 상기 승강기 도어(10)에 작용되면,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승강기 외부 방향으로 좌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기 도어(10)는, 상기 제2 프레임(30)에 맞닿게 된다. 즉, 상기 승강기 도어(10)와 제2 프레임(30)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완충작용이 작용하고, 이후 상기 제2 프레임(30)에 상기 승강기 도어(10)가 맞닿게 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제1 프레임(20) 및 제2 프레임(30)으로 구성된 2중 보강재 구조에 의해 기존의 승강기 도어에 비해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실용신안청등록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승강기 도어
20 : 제1 프레임 22 : 제1 체결구
30 : 제2 프레임 32 : 제2 체결구

Claims (4)

  1. 한 쌍의 도어가 양쪽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승강기 도어;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승강기 도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일측면이 개구된 장방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개구부가 상기 제1 프레임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구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길이보다 작게 마련되어, 그 중심이 상기 제1 프레임 중심에 위치하고, 개구된 단면의 개구면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제1 프레임 내측면과 맞닿게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승강기 도어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0202U 2013-01-09 2013-01-09 승강기 안전도어 KR200473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2U KR200473200Y1 (ko) 2013-01-09 2013-01-09 승강기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2U KR200473200Y1 (ko) 2013-01-09 2013-01-09 승강기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00Y1 true KR200473200Y1 (ko) 2014-06-19

Family

ID=5149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02U KR200473200Y1 (ko) 2013-01-09 2013-01-09 승강기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0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2A (ja) * 1996-07-11 1998-02-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1199660A (ja) 2000-01-12 2001-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の戸
JP2004182469A (ja) 2002-10-07 2004-07-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ドア装置
JP4821089B2 (ja) * 2001-08-17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2A (ja) * 1996-07-11 1998-02-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1199660A (ja) 2000-01-12 2001-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の戸
JP4821089B2 (ja) * 2001-08-17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戸
JP2004182469A (ja) 2002-10-07 2004-07-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ド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US11198589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rotective hoistway liner assembly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747682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JP6227153B2 (ja) 天井ユニットおよび天井ユニ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かご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KR200473200Y1 (ko) 승강기 안전도어
JP2014012562A (ja) 乗客コンベア
KR10088057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20110032201A (ko) 승강기 안전장치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IT201800020236A1 (it) Impianto elevatore
JP4674974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扉装置
JP6054482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
KR101352597B1 (ko)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JP6024605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200413170Y1 (ko) 클린룸 엘리베이터의 도어슈 차폐구조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JP5174417B2 (ja) 建物ボイド内組込型の立体駐車装置
KR101811535B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894841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용 손 끼임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