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069B1 -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069B1
KR100557069B1 KR1020037007116A KR20037007116A KR100557069B1 KR 100557069 B1 KR100557069 B1 KR 100557069B1 KR 1020037007116 A KR1020037007116 A KR 1020037007116A KR 20037007116 A KR20037007116 A KR 20037007116A KR 100557069 B1 KR100557069 B1 KR 10055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suction
suction muffler
tub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795A (ko
Inventor
마사히코 오사카
히데토시 니시하라
토시히코 오타
아키히코 쿠보타
마나부 모테기
히로키 아와시마
타케시 코지마
카즈히토 노구치
이치로 키타
마사히로 카쿠타니
Original Assignee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냉장고, 쇼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에서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실내에서 생긴 압력맥동을 흡입 머플러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감쇠함으로써 저소음의 밀폐형 압축기의 제공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고, 이 구성에 따르면, 머플러 커버(20)는 평판형의 간단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성형시의 변형이 적어져서 머플러 본체(19)와 충분히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머플러 본체(19)와 머플러 커버(20)의 결합부로부터 압력맥동이 거의 누설되지 않고, 흡입 머플러(18)가 갖는 소음감쇠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밀폐형 압축기, 압축실, 압력맥동, 흡입 머플러, 머플러 본체, 머플러 커버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HERMETIC COMPRESSOR AND FREEZ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냉동공조장치의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의 밀폐형 압축기에는 효율향상, 저 소음화, 고 신뢰성의 기술이 요구되는 동시에 이것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로는 USP5,971,720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를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헤드에 부착되는 흡입 머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1은 밀폐용기이다. 2는 압축요소이며, 밀폐용기(1) 내에 수용되어 있다. 3은 전동요소이며, 압축요소(2)에 결합되어 있다. 4는 실린더이며, 압축요소(2)의 압축실(5)을 구성한다. 6은 피스톤이며, 실린더(4) 내를 왕복운동 한다. 7은 밸브 플레이트이며, 실린더(4)의 일단을 밀봉한다. 8은 실린더 헤드이며, 밸브 플레이트(7)를 실린더(4)에 고정하는 동시에 흡입 머플러(도 13에는 도시생략)를 밸브 플레이트(7)에 고정한다. 10은 흡입관이다. 11은 냉동기유(refrigerator oil)이며, 밀폐용기(1)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12는 압축실(5) 및 흡입밸브(도시생략)에서 발생된 소음을 감쇠하는 소음감쇠수단으로서의 흡입 머플러이다.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향상의 관점에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재로서는 냉매가스 분위기 및 고온 하에서라는 사용환경을 고려하면 PBT나 PPS 재료가 좋다.
흡입 머플러(12)는 머플러 본체(13)와 머플러 커버(9)로 이루어져 있다. 머플러 본체(13)와 머플러 커버(9)는 용착이나 끼워 맞춤(fitting) 등에 의해 결합되며, 머플러 공간(14)을 형성한다. 15는 입구관이며, 일단은 밀폐용기(1) 내로 개구하고 타단은 머플러 공간(14)으로 개구한다. 16은 출구관이며, 일단은 밸브 플레이트(7)측으로 개구하고 타단은 머플러 공간(14)으로 개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냉동사이클(도시생략)로부터 압축기로 되돌아간 냉매가스는 흡입관(10)을 통해 밀폐용기(1) 내로 일단 개방된다. 그 후, 냉매가스는 흡입 머플러(12), 밸브 플레이트(7)를 통과하여 압축실(5)로 유입된다. 여기서, 전동요소(3)의 회전운동에 따라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6)에 의해서 압축된 후 냉동사이클로 보내진다.
이때, 피스톤(6)의 왕복운동이나 흡입밸브의 개폐운동에 의해서 압축실(5) 내에서 냉매가스의 압력 맥동이 발생한다. 이 압축실(5) 내에서 발생된 압력 맥동 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관(16)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14)으로 일단 개방되고, 그 후 입구관(15)을 통해서 밀폐용기(1)로 개방됨으로써 감쇠되어 저소음으로 방사되게 된다.
또한, 다른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로는 US. PAT. 5,496,156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 16은 다른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18은 밀폐용기이다. 19는 압축요소이며, 밀폐용기(18) 내에 수용되어 있다. 20은 전동요소이며, 압축요소(19)에 결합되어 있다. 21은 실린더이며, 압축요소(19)의 압축실(22)을 구성한다. 23은 피스톤이며, 실린더(21) 내를 왕복운동 한다. 24는 밸브 플레이트이며, 실린더(21)의 일단을 밀봉한다. 25는 흡입밸브이며, 밸브 플레이트(24)와 실린더(21)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26은 실린더 헤드이며, 밸브 플레이트(24)를 실린더(21)에 고정하는 동시에 흡입 머플러(27)를 밸브 플레이트(24)에 고정한다. 28은 흡입관이다. 29는 냉동기유이고 밀폐용기(18)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27)는 흡입 머플러 본체(30)와 흡입 머플러 커버(31)로 이루어져 있다. 흡입 머플러 본체(30)와 흡입 머플러 커버(31)는 용착이나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머플러 공간(32)을 형성한다. 33은 입구부이며, 밀폐용기(18)와 머플러 공간(32)을 유체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34은 출구관이고 일단은 밸브 플레이트(24)측으로 개구하고 타단은 머플러 공간(32)으로 개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냉동사이클(도시생략)로부터 밀폐형 압축기로 되돌아간 냉매가스는 밀폐용기(18) 내로 일단 개방된다. 그 후, 냉매가스는 흡입 머플러(27), 밸브 플레이트(24)를 통 과하여 압축실(22)로 유입된다. 여기서, 전동요소(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23)에 의해서 압축된 후 냉동사이클로 보내진다.
이때, 압축실(22)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관(34)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32)으로 일단 개방되고, 그 후 입구부(33)를 통해서 밀폐용기(18)로 개방됨으로써 감쇠되어 저소음으로 방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은 흡입 머플러(12)의 측벽면을 머플러 본체(13) 및 머플러 커버(9) 각각이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작에 요하는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게 되는 동시에, 성형시의 변형이 커져서 머플러 본체(13) 및 머플러 커버(9)의 결합이 불충분하여 누설을 발생시키므로 충분한 소음감쇠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머플러 커버를 단일 벽면만의 간단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함과 동시에 변형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머플러 본체 및 머플러 커버의 결합이 충분히 밀착될 수 있어서 염가로 저소음의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 입구관(15)의 머플러 공간(14)측 개구부와 출구관(16)의 머플러 공간(14)측 개구부, 혹은 입구부(33)의 머플러 공간(32)측 개구부와 출구관(34)의 머플러 공간(32)측 개구부를 근접시켜 유체적인 저항을 작게 하 는 것은 고 효율화를 꾀하기 위해 유효한 수단이기는 하나, 압축실(5) 및 압축실(22)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에 대해서도 유체적인 저항은 동일하게 작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소음감쇠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구관의 머플러 공간측 개구부와 출구관의 머플러 공간측 개구부 사이에 유체적인 저항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을 감쇠할 수 있는 저소음의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은, 압축실(5) 및 압축실(22)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음원으로서 입구관(15) 혹은 입구부(33)의 밀폐용기(1 및 18)측 개구부로부터 개방될 뿐만 아니라, 흡입 머플러(12) 및 흡입 머플러(27)의 벽면을 진동시켜 새로운 소음원(sound source)을 만든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머플러의 벽면과 입구관 및 출구관을 일체로 함으로써 흡입 머플러의 벽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벽면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저소음의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은, 입구관(15)의 밀폐용기(1)측 개구부에 용적을 갖도록 하는 것은 고 효율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유효한 수단이기는 하나, 흡입 머플러(12)를 형성하는 벽면과는 전혀 다른 벽면을 이용하여 입구관(15)의 밀폐용기(1)측 개구부의 용적을 형성하는 것은 흡입 머플러(12)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여 제작에 요하는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흡입 머플러(27)를 형성하는 벽면상에 있는 입구부(33)의 밀폐용기(18)측 개구부에 충분한 용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간적인 한계가 있고, 고 효율화를 꾀하기 위해 입구부(33)의 밀폐용기(18)측 개구부의 용적을 크게 하면 머플러 공간(32)은 작아져 버리므로 충분한 소음감쇠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머플러의 벽면과 다른 벽면에 의해 밀폐용기측 개구부의 용적을 형성함으로써, 흡입 머플러의 용적을 줄이지 않고도 밀폐용기측 개구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흡입 머플러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저소음 고효율인 염가의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구관 내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함으로써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신뢰성이 높은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에 적용함으로써 환경면에서도 안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탄화수소계 냉매에 적용함으로써 환경면에서도 안전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밀폐형 압축기를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서 높은 신뢰성 및 환경면에서도 안전한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 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배설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며,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머플러 커버는 상기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벽면만에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머플러 커버를 단일 벽면만의 간단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하는 동시에 변형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머플러 본체 및 상기 머플러 커버의 결합을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머플러의 소음감쇠효과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을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머플러 본체에 어떠한 변경도 가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공명공간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하는 동시에 공명공간에 상응하는 주파수의 소음을 감쇠한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적어도 1개의 벽면은 흡입 머플러의 내벽면에 따르는 것으로 한 것이며, 공명공간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공명공간에 상응하는 주파수의 압력 맥동성분 감쇠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배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며, 상기 흡 입 머플러는 일단이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상기 입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와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 사이에 차폐벽을 구비한 것이며,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을 상기 출구관에서 상기 입구관으로 직접 전파시키지 않으며, 상기 차폐벽에 의한 반사를 거침으로써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폐벽이 흡입 머플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차폐벽과 흡입 머플러의 결합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폐벽이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머플러 본체에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상기 차폐벽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하는 동시에,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어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폐벽의 하단부는 입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과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혹은 보다 상기 차폐벽의 상단부측의 위치에 있는 것이며, 상기 입구관에서 상기 출구관으로 흐르는 냉매가스의 경로는 상기 입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가까운 것인데 대하여, 압축 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을 수반하는 상기 출구관에서 상기 입구관으로 흐르는 냉매가스의 경로는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상이어서, 상기 압축실 내에서 발생한 압력 맥동만에 대해서 유체적인 저항이 됨으로써, 효율을 저해하지 않고 상기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에 대하여 큰 감쇠를 얻을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배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 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관과 상기 출구관은 상기 벽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흡입 머플러의 벽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벽면진동을 억제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가 흡입 머플러 내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머플러 공간이 단독으로 가지는 낮은 차수(low-order)의 공명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출구관이 흡입 머플러의 밀폐용기 측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흡입 머플러의 밀폐용기 측벽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음으로 나타나기 쉬운 밀폐용기측의 벽면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 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배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입구관으로 개구하는 도입부와, 일단이 상기 도입부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상기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입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의 벽면과 다른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도입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는 상기 도입부 벽면에 의해 상기 흡입관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갖는 것으로, 상기 머플러 공간을 줄이지 않고도 상기 도입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스를 저온으로 상기 흡입 머플러로 유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흡입 머플러의 형상을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입부는 거의 직사각형의 밀폐용기측 개구부와 거의 직방체의 내부공간을 갖는 것으로, 머플러 공간을 줄이지 않고도 상기 도입부의 용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스를 보다 많이, 또한 저온으로 흡입 머플러로 유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흡입 머플러의 형상을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냉동기유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와, 일단이 상기 냉동기유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의 출구관 내로 개구하는 모세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내부직경을 갖는 관의 연속체로 이루어진 출구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출구관 내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의 내경을 상기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관의 내경보다 작게 한 것으로,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에서 압축요소측 개구부로 향하는 냉매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관 내의 냉매가스의 유속보다 상기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과 상기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관의 접속위치를 모세관의 상기 출구관 개구 위치와 거의 동일하거나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로 한 것으로, 상기 모세관의 상기 출구관 개구 위치 부근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에 사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로 한 것이며,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 환경 하에서도 상술한 모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화수소계 냉매에 사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로 한 것이며, 탄화수 소계 냉매환경 하에서도 상술한 모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이고, 상기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의 어떠한 운전상황하에서도 상술한 모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정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2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머플러 커버의 상면도,
도 6은 실시예 3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4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8a는 실시예 5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흡입 머플러의 측면도,
도 9는 실시예 5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배면도,
도 10은 실시예 6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 6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로서 R134a냉매를 이용한 냉동/냉장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6을 포함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탄화수소계 냉매로서 R600a냉매를 이용한 냉동/냉장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6을 포함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 내에 부착되는 흡입 머플러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다른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형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2, 3에 있어서, 35는 밀폐용기이다. 36은 압축요소이고 밀폐용기(35) 내에 수용되어 있다. 37은 전동요소이고 압축요소(36)에 결합되어 있다. 38은 실린더이고 압축요소(36)의 압축실(39)을 구성한다. 40은 피스톤이고 실린더(38) 내를 왕복운동 한다. 41은 밸브 플레이트이고 실린더(38)의 일단을 밀봉한다. 42는 흡입밸브이고 밸브 플레이트(41)와 실린더(38) 사이에 개재된다. 43은 실린더 헤드이고 밸브 플레이트(41)를 실린더(38)에 고정하는 동시에 흡입 머플러(44)를 밸브 플레이트(41)에 고정한다. 45는 흡입관이다. 46은 냉동기유이고 밀폐용기(35)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44)는 압축실(39)이나 흡입밸브(42)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쇠하는 수단으로서의 소음감쇠장치이다.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향상의 관점에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재로는 냉매가스분위기 및 고온 하에서라는 사용환경을 고려하면 PBT나 PPS의 재료인 것이 좋다.
47은 머플러 본체, 48은 머플러 커버이고, 통상 초음파용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용착 결합시킴으로써 흡입 머플러(44)를 형성한다. 머플러 커버(48)는 평판형으로 간단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머플러 공간(49)을 형성하는 상측벽면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50은 입구관이고 일단이 밀폐용기(35)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44) 내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4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1은 출구관이고 일단이 흡입 머플러(44)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측으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4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냉동사이클(도시생략)로부터 밀폐형 압축기로 되돌아간 냉매가스는 흡입관(45)을 통하여 밀폐용기(35) 내로 일단 개방된다. 그 후, 냉매가스는 흡입 머플러(44), 밸브 플레이트(41)를 통과하여 압축실(39)로 유입된다. 여기서, 전동요소(37)의 회전운동에 따라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40)에 의해서 압축된 후 냉동사이클로 보내진다.
이때, 피스톤(40)의 왕복운동이나 흡입밸브(42)의 개폐운동에 의해서 압축실(39) 내에서 냉매가스의 압력 맥동이 생긴다. 압축실(39)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관(51)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49)으로 일단 개방된다. 여기서, 머플러 커버(48)는 평판형의 간단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두께가 균일하므로 수축이나 왜곡에 의한 변형이 적어진다. 따라서, 머플러 본체(47)와의 결합이 성형시의 변형이 큰 경우에 비하여 용착성이 좋아지며 양호한 밀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머플러 본체(47)와 머플러 커버(48)의 결합부에서 압력 맥동이 거의 누설이 되지 않으며, 흡입 머플러(44)가 갖는 소음감쇠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출구관(51)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49)으로 개방된 압력 맥동을 충분히 감쇠한 후 입구관(50)을 통해서 밀폐용기(35)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하게 된다.
또한, 머플러 커버(48)를 평판형의 간단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금형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 중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머플러 커버(48)의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용착에 요하는 수용지그(receiving jig)의 형상도 머플러 커버(48)의 형상과 동일하게 간단한 형태를 취하므로 지그용 금형 비용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그 머플러 커버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흡입 머플러를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밀폐형 압축기와는 흡입 머플러가 다를 뿐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 4, 5에 있어서, 52는 흡입 머플러이고 머플러 본체(53)와 머플러 커버(54)로 이루어지며,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머플러 공간(55)을 형성한다.
56은 원통형 공명공간 벽이고, 머플러 본체(53)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머플러 커버(5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명공간(57)을 형성한다. 58은 입구관이고 일단이 밀폐용기(35)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52) 내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5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9는 출구관이고, 일단이 흡입 머플러(52)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측으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5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실(39)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고, 출 구관(59)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55)으로 일단 개방되며, 공명공간(57)에 상응한 주파수의 압력맥동 성분을 집중적으로 저감한 후, 입구관(58)을 통해서 밀폐용기(35)로 개방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35) 내의 공간은 R134a의 냉매 환경 하에서는 약500Hz의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R600a 냉매 환경 하에서는 약500~630Hz의 공명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주파수에서의 소음감쇠가 충분하지 않으면 밀폐형 압축기로서 매우 고 소음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공명공간(57)의 공명주파수를 이들 주파수에 합치시킴으로써, 압력 맥동 내에 포함되는 이들 주파수성분을 공명공간(57)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35) 내의 공간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하여 밀폐형 압축기로서의 소음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공명공간(57)의 용적에 따라서 압력 맥동의 흡수량이 정해지기 때문에, 머플러 본체(53)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공명공간 벽(56)을 형성하는 것은 유효한 소음감쇠수단이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흡입 머플러를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밀폐형 압축기와는 흡입 머플러가 다를 뿐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60은 흡입 머플러이고, 머플러 본체(61)와 머플러 커버(62)로 이루어지며,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머플러 공간(63)을 형성한다. 64는 차폐벽이고, 차폐벽(64)의 상단부측에서 머플러 커버(62)에 일체로 형성 되어 있으며, 입구관(65)의 흡입 머플러(60)측 개구부 중심과 출구관(66)의 흡입 머플러(60)측 개구부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차폐벽(64)의 상단부측에 차폐벽(64)의 하단부가 있다.
입구관(65)은 일단이 밀폐용기(35)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60) 내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출구관(66)은 일단이 흡입 머플러(60)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측으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냉매가스는 피스톤(4O)의 왕복운동에 따라 생긴 흡인력에 의해서 입구관(65)의 흡입 머플러(60)측 개구부에서 출구관(66)의 흡입 머플러(60)측 개구부로 향해서 대략 직선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차폐벽(64)과 관계없이 원활하게 압축실(39)로 유입될 수 있어서 효율의 유지가 도모되게 된다. 한편, 압축실(39)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관(66)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63)으로 방사형으로 개방된다. 이때, 압력 맥동은, 머플러 공간(63)에서 보아서 출구가 되는 입구관(65)으로 향하는 압력맥동을 차폐벽(64)에 의해서 직접 방사하지 않고 반사함으로써,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실(39)에서 발생하는 압력 맥동은 운전주파수와 같은 저주파 성분에서부터 5kHz이상의 고주파성분까지 폭넓게 포함하며, 특히 2k∼4kHz의 고주파성분은 그 맥동레벨이 크다. 맥동레벨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입구관(65)이나 출구관(66) 의 내부직경을 작게 하는 등의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는 밀폐형 압축기로서의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인 효율을 감소시키게 되는 마이너스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주파성분은 전파경로의 길이에 따라서 잘 감쇠되기 때문에, 압축실(39)에서 발생한 압력 맥동에 대해서만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는 차폐벽(64)은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소음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차폐벽(64)을 머플러 커버(62)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음에 대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차폐벽(64)을 머플러 본체(61) 외에 별도결합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 결합수단을 설치하는데 요하는 비용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흡입 머플러를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밀폐형 압축기와는 흡입 머플러가 다를 뿐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 7에 있어서, 67은 흡입 머플러이고, 머플러 본체(68)와 머플러 커버(69)로 이루어지며,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머플러 공간(70)을 형성하고 있다.
71은 입구관이고, 일단이 밀폐용기(35) 내에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67) 내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68)의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72는 출구관이고, 일단이 흡입 머플러(67)의 머플러 공간(70)의 대략 중앙으로 개구 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측으로 개구하며, 머플러 본체(68)의 밀폐용기(35) 측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실(39)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고, 출구관(72)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70)으로 일단 개방된다. 이때, 압력 맥동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에 대하여 머플러 본체(68)의 벽면은 입구관(71) 및 출구관(72)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강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머플러 본체(68)의 벽면의 진동은 충분히 억제된다. 따라서, 벽면진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머플러 본체(68)의 전동요소(37)측의 벽면에 대하여 밀폐용기(35)측의 벽면의 진동은 밀폐형 압축기로서의 소음의 방사면인 밀폐용기(35)에 보다 가까운 것부터 소음으로서 나타나기 쉽우므로, 머플러 본체(68)의 밀폐용기(35) 측벽면의 강성을 높게 하는 것은 소음감쇠를 행하는 데 유효하다.
또한, 머플러 공간(70)의 대략 중앙에 출구관(72)의 일단을 개구함으로써, 머플러 공간(70)이 단독으로 갖는 낮은 차수의 공명진동, 즉 머플러 공간(70)의 대략 중앙을 진동의 배(antinode)로 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압력 진동의 이와 같은 진동에 상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저감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하게 된다.
(실시예 5)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8b는 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 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8, 9에 도시한 흡입 머플러를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밀폐형 압축기와는 흡입 머플러가 다를 뿐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 8a, 8b, 9에 있어서, 73은 흡입 머플러이고, 머플러 본체(74)와 머플러 커버(75)로 이루어지며,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머플러 공간(76)을 형성한다.
77은 도입부이고, 머플러 본체(74)에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일단이 밀폐용기(35)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입구관(78)으로 개구하며, 도입부(77)를 형성하는 벽면과 머플러 본체(74)를 형성하는 벽면은 배면(rear surface, 79)에서만 일치하고 나머지 다른 벽면은 상이하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부(77)의 밀폐용기(35)측 개구부(80)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갖는 동시에 대략 직방체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흡입관(45)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갖고 있다.
입구관(78)은 일단이 도입부(77)에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73) 내로 개구하는 동시에, 머플러 본체(7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81은 출구관이고, 일단이 흡입 머플러(73)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로 개구하는 동시에, 머플러 본체(7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흡입관(45)으로부터 되돌아온 냉매가스는 도입부(77)를 통하여 입구관(78)에서 머플러 공간(76)으로 유입되어 출구관(81)을 통해서 압축실(39)로 보내진다. 이때, 중요한 것은 냉매가스를 보다 낮은 온도인체로 압축실(39)로 보냄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갖는 동시에 대략 직방체의 내부공간을 갖는 도입부(77)는 그 내부공간에 많은 냉매가스를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온도가 높은 밀폐용기(35)의 내부 분위기로부터 일시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냉매가스를 보다 낮은 온도 그대로 압축실(39)로 보낼 수 있다.
한편, 압축실(39)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은 냉매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관(81)을 통하여 머플러 공간(76)으로 일단 개방된다. 이때, 머플러 공간(76)의 용적에 따라서 압력 맥동의 감쇠량이 정해지므로 머플러 공간(76)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부(77)의 내부 공간을 대략 직방체로 하는 동시에 배면(79)에서만 흡입 머플러(73)와 도입부(77)의 벽면을 일치시킴으로써, 도입부(77)의 내부공간의 용적이 큰 상태 그대로 머플러 공간(76)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또한, 도입부(77)는 배면(79)을 머플러 본체(74)와 동일하게 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도입부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금형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흡입 머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 11에 있어서, 82는 모세관이고, 일단이 냉동기유(46)로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83)의 출구관(84)으로 개구한다. 흡입 머플러(83)는 머플러 본 체(85)와 머플러 커버(86)로 이루어지고, 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머플러 공간(87)을 형성한다.
머플러 본체(85)는 일단이 밀폐용기(35)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흡입 머플러 공간(87)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88)과, 일단이 흡입 머플러 공간(87)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압축요소(36)측으로 개구하는 출구관(84)을 구비하고 있다. 출구관(84)은 모세관(82)의 출구관(84)측 개구 위치와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출구관(84)의 흡입 머플러(83)측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84a)를 경계로 하여 출구관(84)의 압축요소 (36)측의 내부직경이 출구관(84)의 흡입 머플러 공간(87)측의 내부직경보다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입구관(88)은 머플러 본체(8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냉매가스는 입구관(88)으로부터 머플러 공간(87)으로 유입되어 출구관(84)을 통해서 압축실(39)로 보내진다. 이때, 출구관(84) 내의 냉매가스의 유속은 출구관(84)의 내부직경에 반비례하여 출구관(84)의 흡입 머플러 공간(87)측으로부터 압축요소(36)측을 향하여 커지기 때문에, 모세관(82)의 출구관(84)측 개구부에서 충분히 큰 유속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35) 내의 압력에 대하여 모세관(82)의 출구관(84)측 개구부 부근의 압력이 작아지므로 압력차가 발생하여, 밀폐용기(35) 내의 하부에 저장되어 있는 냉동기유(46)를 모세관(82)으로부터 출구관(84)을 통하여 압축실(39)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윤활을 도모하기 위해 출구관(84)에서의 냉매가스의 큰 유속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출구관(84)의 내부직경을 보다 작게 하는 방법이 얼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출구관(84)에서의 압력 손실이 커서 밀폐형 압축기의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출구관(84)의 흡입 머플러(83)측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를 경계로 하여 출구관(84)의 압축요소(36)측의 내부직경이 출구관(84)의 흡입 머플러(83)측의 내부직경보다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은, 출구관(84)에서의 냉매가스의 흐름을 점차로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냉매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밀폐형 압축기의 효율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윤활을 얻는데 충분한 양의 냉동기유(46)를 모세관(82)을 통하여 압축실(39)로 공급 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하고,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 혹은 탄화수소계 냉매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도시생략)이다. 이들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공조장치에 대하여 그 운전시의 소음을 확인한 결과를 도 12, 13에 나타낸다. 도 12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로서 R134a 냉매를 이용한 냉동/냉장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6을 포함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이고, 도 13은 탄화수소계 냉매로서 R600a 냉매를 이용한 냉동/냉장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6을 포함한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이다. 도 12, 13 모두 횡축은 3분의 1 옥타브 주파수를 나타내고 그 우단은 전체 음을 나타내며, 종축은 소음레벨이다. 도면 중, 흰 점을 연결한 것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을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소음은 검은 점으로 나타 내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어떤 냉매에 있어서도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에 비하여 높은 소음감쇠효과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로서 R134a 냉매를 이용한 경우에는 500Hz의 소음이, 도 13의 탄화수소계 냉매로서 R600a 냉매를 이용한 경우에는 500∼630Hz의 소음이 공명공간의 배치에 의하여 각각 2∼3[dB] 저감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6kHz∼4kHz의 소음에 대해서도 각 주파수대에서 효과 폭에 차이는 있으나, 차폐 벽을 설치한 것 및 벽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쇠할 수 있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플러 커버를 단일 벽면뿐인 간소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변형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머플러 본체 및 머플러 커버의 결합을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으며,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의 결합부로부터 압력 맥동이 거의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흡입 머플러가 갖는 소음감쇠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게 되어 보다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커버를 간단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금형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머플러 커버의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염가의 밀폐형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을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공명공간에 상응한 주파수의 압력 맥동 성분을 집중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 므로 보다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머플러 본체에 아무런 변경도 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공명공간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염가의 밀폐형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면은 흡입 머플러의 내벽면을 따르는 것으로 한 것이며, 공명공간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공명공간에 상응하는 주파수의 저감효과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와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 사이에 차폐벽을 구비한 것이며, 차폐벽에 의한 반사를 거침으로서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소음의 감쇠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폐벽을 흡입 머플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차폐벽과 흡입 머플러의 결합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차폐벽에 의한 반사를 거침으로써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는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폐벽을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머플러 본체에 아무런 변경도 가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차폐벽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차폐벽에 의한 반사를 거침으로써 압축실 내에서 생긴 압력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감쇠를 얻는 수 있어서 효 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폐벽의 하단부가 입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과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상, 혹은 보다 차폐벽의 상단부측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압축실 내에서 발생한 압력 맥동에 대해서만 유체적인 저항이 되도록 하여, 효율을 저해하지 않고도 차폐벽에 의한 반사를 거침으로써 압축실내에서 생긴 압력 맥동의 전파경로를 길게 할 수 있어서 큰 감쇠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 머플러의 벽면과 입구관과 출구관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흡입 머플러의 벽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압력 맥동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서도 벽면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가 흡입 머플러 내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머플러 공간이 단독으로 갖는 낮은 공명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구관이 흡입 머플러의 밀폐용기 측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흡입 머플러의 밀폐용기 측벽면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음으로 나타나기 쉬운 밀폐용기측의 벽면진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입부를 흡입 머플러의 벽면과 다른 벽면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도입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를 도입부 벽면에 의해 흡입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것으로, 머플러 공간을 줄이지 않고도 도입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 다. 따라서, 머플러 공간의 용적을 줄이기 않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냉매가스를 온도가 높은 밀폐용기 내 분위기로부터 일시적으로 격리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냉매가스를 저온 그대로 흡입 머플러로 유도할 수 있어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별도 도입부를 설치할 경우에 비하여 금형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입부를 대략 직사각형의 밀폐용기측 개구부와 대략 직방체의 내부공간을 갖는 것으로 한 것으로, 머플러 공간을 줄이지 않고도 도입부의 용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냉매가스를 저온으로 흡입 머플러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 머플러의 출구관을 적어도 2개의 다른 내부직경을 갖는 관의 연속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것으로, 출구관내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양호한 윤활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의 내부직경을 상기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관의 내부직경보다 작게 한 것으로,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로부터 압축요소측 개구부로 향하는 냉매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관 내의 냉매가스의 유속보다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의 냉매가스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동기유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보다 양호한 윤활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출구관의 압축요소측 관과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관의 접속위치를 모세관의 출구관 개구위치와 거의 동일거나, 혹은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로 한 것으로, 밀폐용기 내의 압력에 대하여 모세관의 출구관 개구위치 부근의 압력이 작아져서 압력 차가 발생하고, 양호한 윤활을 얻는 데 충분한 양의 냉동기유를 모세관을 통하여 압축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더욱 양호한 윤활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로 한 것으로,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 환경 하에서도 상술한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탄화수소계 냉매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로 한 것으로, 탄화수소계 냉매 환경 하에서도 상술한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를 냉장고, 쇼 케이스 등의 냉동/냉장장치나 공조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상술한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밀폐형 압축기에 기인한 소음을 줄여서 높은 신뢰성 및 환경면에서도 안전한 냉동/냉장장치나 공조 장치가 가능해진다.

Claims (22)

  1.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지는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에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 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머플러 커버는 상기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상측 벽면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공명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은 상기 머플러 공간 내에 원통형 공명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면은 흡입 머플러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구성되는 밀폐형 압축기.
  4.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 및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지는 흡입 머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상기 입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와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 사이에 차폐벽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흡입 머플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의 하단부는 상기 입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과 출구관의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상, 혹은 보다 차폐벽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밀폐형 압축기.
  8.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상기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관과 상기 출구관은 상기 벽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 내 공간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밀폐형 압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은, 상기 흡입 머플러의 밀폐용기 측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
  11. 삭제
  12. 삭제
  13.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냉동기유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와, 일단이 상기 냉동기유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의 출구관 내로 개구하는 모세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을 가지며, 상기 출구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은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며, 상기 출구관은 압축요소 측 관과 흡입 머플러 측 관인 2개의 관의 연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요소 측 관은 그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내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흡입 머플러 측 관은 상기 흡입 머플러 내 개구 단부 쪽으로 증가하는 내부 직경을 갖는 밀폐형 압축기.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관의 상기 압축요소측 관과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관의 접속위치는 상기 모세관의 상기 출구관 개구 위치와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인 밀폐형 압축기.
  1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제 13 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
  1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제 13 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냉매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
  18.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머플러 공간에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머플러 커버는, 상기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상측벽면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이 상기 머플러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공조장치.
  19.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상기 입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와 상기 출구관의 상기 흡입 머플러측 개구부 사이에 차폐벽을 구비한 구성의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공조장치.
  20.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된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머플러 본체와 머플러 커버로 이루어진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 본체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출구관과, 상기 머플러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측벽면을 제외한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관과 상기 출구관은 상기 벽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공조장치.
  21. 삭제
  22. 밀폐용기와, 전동요소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압축요소와,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냉동기유와, 상기 밀폐용기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 머플러와, 일단이 상기 냉동기유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의 출구관 내로 개구하는 모세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는 입구관과, 서로 다른 내부직경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관의 연속체로 이루어지는 출구관을 가지며, 상기 연속체의 일단은 상기 흡입 머플러 내로 개구하고 타단은 상기 압축요소로 개구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구비한 냉동공조장치.
KR1020037007116A 2000-11-27 2001-11-26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 KR100557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9012A JP3677447B2 (ja) 2000-11-27 2000-11-27 密閉型圧縮機
JPJP-P-2000-00359012 2000-11-27
PCT/JP2001/010279 WO2002042644A1 (fr) 2000-11-27 2001-11-26 Compresseur ferme et dispositifs de congelation et de conditionnement de l'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795A KR20030064795A (ko) 2003-08-02
KR100557069B1 true KR100557069B1 (ko) 2006-03-03

Family

ID=1883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116A KR100557069B1 (ko) 2000-11-27 2001-11-26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81032B2 (ko)
EP (1) EP1338795A4 (ko)
JP (1) JP3677447B2 (ko)
KR (1) KR100557069B1 (ko)
CN (3) CN100353057C (ko)
AU (1) AU2002224095A1 (ko)
BR (1) BR0115644A (ko)
MX (1) MXPA03004723A (ko)
WO (1) WO2002042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123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100972364B1 (ko) 2003-09-08 2010-07-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2005133707A (ja) * 2003-10-1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100593846B1 (ko) * 2004-09-01 2006-06-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JP4576944B2 (ja) * 2004-09-13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媒圧縮機
JP4734901B2 (ja) * 2004-11-22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圧縮機
JP4682596B2 (ja) * 2004-11-24 2011-05-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4752255B2 (ja) 2004-12-06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4735084B2 (ja) * 2005-07-06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KR100778485B1 (ko) 2006-04-26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관 결합형 머플러 및 그를 구비한 압축기
JP2011144719A (ja) * 2010-01-13 2011-07-28 Sanden Corp 圧縮機
KR20130124172A (ko) * 2010-05-24 2013-11-13 월풀 에쎄.아. 냉각 압축기용 흡입 장치
CN101955668A (zh) * 2010-09-30 2011-01-2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制作空调压缩机消音器的复合材料
JP5632334B2 (ja) 2011-06-10 2014-11-26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吸入マフラ
JP2013231429A (ja) * 2012-04-06 2013-11-14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
WO2014043444A1 (en) 2012-09-13 2014-03-2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assembly with directed suction
CN104641113A (zh) * 2012-09-26 2015-05-20 帝人制药株式会社 压缩机
CZ308291B6 (cs) * 2014-04-10 2020-04-22 Hanon Systems Tlumicí zařízení a způsob jeho výroby
GB2568285B (en) * 2017-11-10 2020-07-08 Aspen Pumps Ltd Pulsation damper
EP3730791B1 (en) * 2017-12-18 2022-07-27 Nitto Kohki Co., Ltd. Pump
US11236748B2 (en) 2019-03-29 2022-02-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directed suction
US11703042B2 (en) * 2019-03-29 2023-07-18 Panasonic Appliances Refrigeration Devices Singapore Suction muffler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US11767838B2 (en) 2019-06-14 2023-09-26 Copeland Lp Compressor having suction fitting
US11248605B1 (en) 2020-07-28 2022-02-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shell fitting
US11387593B2 (en) * 2020-08-05 2022-07-12 Lg Electronics Inc.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motor-operated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US11619228B2 (en) 2021-01-27 2023-04-0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directed s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4386A (ja) * 1983-04-05 1984-10-19 Copyer Co Ltd 電子複写機
JPH03258980A (ja) * 1990-03-06 1991-11-19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US5220811A (en) * 1990-11-13 1993-06-22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muffler tube
JPH05126045A (ja) * 1991-11-05 1993-05-21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圧縮機
KR200141490Y1 (ko) * 1993-04-24 1999-05-15 김광호 압축기의소음감쇠장치
US5496156A (en) * 1994-09-22 1996-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muffler
SG93793A1 (en) * 1996-05-02 2003-01-21 Matsushita Refrigeration Ind S Cylinder head-suction muffler assembly for hermetic compressor
US5733108A (en) * 1996-05-28 1998-03-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Hermetic refrigeration compressor
KR100222924B1 (ko) * 1996-07-12 2000-01-15 배길성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BR9604126A (pt) * 1996-08-21 1998-05-26 Brasil Compressores Sa Amortecedor de sucção para compressor hermético
KR19980027501U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JPH10169561A (ja) * 1996-12-06 1998-06-23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KR100207792B1 (ko) * 1997-02-24 1999-07-15 윤종용 밀폐형 압축기
KR100269951B1 (ko) * 1997-11-05 2000-10-16 배길성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JP2000130327A (ja) * 1998-10-23 2000-05-12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JP4232235B2 (ja) * 1998-10-23 2009-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フ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77447B2 (ja) 2005-08-03
CN100538071C (zh) 2009-09-09
AU2002224095A1 (en) 2002-06-03
CN101063443A (zh) 2007-10-31
WO2002042644A1 (fr) 2002-05-30
CN101063442A (zh) 2007-10-31
US20050100456A1 (en) 2005-05-12
EP1338795A1 (en) 2003-08-27
MXPA03004723A (es) 2005-01-25
BR0115644A (pt) 2004-07-06
CN1494636A (zh) 2004-05-05
EP1338795A4 (en) 2009-11-11
US7381032B2 (en) 2008-06-03
CN100353057C (zh) 2007-12-05
KR20030064795A (ko) 2003-08-02
JP2002161855A (ja) 2002-06-07
CN100538070C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069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공조장치
JP5411276B2 (ja) 密閉冷蔵圧縮機用の吸入装置
JP4769280B2 (ja) 往復動密閉圧縮機における吸込装置
JPS62271974A (ja) 冷凍コンプレツサ
JP2008540891A (ja) 冷却コンプレッサ用サクションマフラ
US5979597A (en) Suction silencer system for a refrigeration compressor
JP4101505B2 (ja) 密閉型圧縮機
US8858194B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a hermetic refrigeration compressor
JP4735718B2 (ja) 冷媒圧縮機
JP2003042064A (ja) 密閉型圧縮機
JP5120186B2 (ja) 密閉型圧縮機
JPH11311179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2004293464A (ja) 密閉型圧縮機
JP4407522B2 (ja) 密閉型圧縮機
JP4407523B2 (ja) 密閉型圧縮機
JP2843552B2 (ja) 圧縮機のマフラ装置
JP4475125B2 (ja) 密閉型圧縮機
JP4470747B2 (ja) 密閉型圧縮機
JP2001055976A (ja) 密閉型圧縮機
KR100497462B1 (ko) 왕복동식밀폐형압축기의흡입장치
KR100199967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JPH07208334A (ja) 密閉型圧縮機
KR200158618Y1 (ko) 왕복동형 압축기의 흡입부구조
JP2011196190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H11107916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