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991B1 -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991B1
KR100554991B1 KR1020030063934A KR20030063934A KR100554991B1 KR 100554991 B1 KR100554991 B1 KR 100554991B1 KR 1020030063934 A KR1020030063934 A KR 1020030063934A KR 20030063934 A KR20030063934 A KR 20030063934A KR 100554991 B1 KR100554991 B1 KR 10055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scree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580A (ko
Inventor
다니구찌게이지
사사마사아끼
이또노리오
기따우라류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0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121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00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093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0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121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714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3525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휴대 전화기(1)는, 제1 케이스(2)와 제2 케이스(3)가 연결부(4)에 의해서 절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절첩된 상태에서 내면에 위치하는, 2D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제1 표시부(5)와 외측에 위치하는 2D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한, 2D 및 3D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였을 때 또는 개방한 상태에서, 제1 표시부(5)에 원하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
휴대 전화, 케이스, 3D 이미지, 대기 화면

Description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ELECTRONICS WITH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에서의 외관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 도 5,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화면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 각 키가 조작되었을 때, 혹은 알람 통지나 전화 또는 메일 착신 시간 등의 상태가 입력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1)에서의 화면 표시와 동작을 표 형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a∼도 10f는 휴대 전화기(1)의 제1 표시부(5)에서의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 12 및 13은 제2,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화면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액정의 픽셀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3D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3D 표시를 위한 재배열을 설명하는 픽셀 레이아웃의 도면.
도 17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일부분의 상세한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2D/3D 전환 가능한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휴대 전화기
2 : 제1 케이스
3 : 제2 케이스
4 : 힌지
5 : 제1 표시부
6 : 제1 스피커
7 : 입력 버튼군
8 : 기능 버튼군
9 : 전원 버튼
21 : 카메라부
40 : 제어부
41 : 화상 처리부
42 : 제1 메모리
43 : 제1 표시 드라이버부
44 : 제2 표시 드라이버부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D(2차원) 및 3D(3차원)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널 컴퓨터라 함),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 및 데스크탑 등의 정보 기기, 나아가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기기의 고 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 3D 표시 기능을 구비한 3D 표시를 갖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 2D/3D 표시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2514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2D/3D 표시의 전환은, 표시체인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2D 표시부와 3D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통상, 휴대 전화기에서 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 대기 화면이라고 불리는 화면이 디폴트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대기 화면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또는 웹 사이트나 메일 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이 대기 화면은 키 조작 등을 행하여, 표시체의 표시를 대기 화면으로부터, 필요한 조작 화면 또는 필요한 설정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3D 표시 기능을 구비한 3D 표시를 갖는 휴대 전화에서, 대기 화면으로서 3D 표시에 의한 화면을 채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 14∼도 19에 기초하여, 2D 표시와 3D 표시의 전환이 가능한 3D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표준 타입의 액정 디바이스(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화소(픽셀)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LCD는, 컬러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며, R, G, 및 B에 의해서 도시되는 적, 녹 및 청의 픽셀로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픽셀은, 적, 녹 및 청의 픽셀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열 Co10∼열 Co15로서 배치된다. 픽셀의 가장 왼쪽의 열 Co10은 액정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가장 왼쪽의 스트립을 표시하고, 그에 이웃하는 오른쪽의 열 Co11은 이미지의 다음의 열을 표시하게 되며, 이하도 마찬가지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는, 3D 입체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3D 디스플레이는, 표시하여야 할 화상 내용에 따라서, 백 라이트(102)로부터의 광을 조절하기 위한 공간 광 변조기로서 작용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편광판을 포함)(101)를 구비한다. 시차 광학계는, 뷰잉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와 협조하여 동작한다. 도 15는 시차 광학계로서 시차 배리어(103)를 구비하는 전면 시차 배리어 타입의 3D 자동 입체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차 배리어(103)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또한 가로방향으로는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있고, 각 슬릿은 개개의 색의 픽셀 열의 한쌍의 중심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슬릿(104)은 청 픽셀의 열(105)과 녹 픽셀의 열(106)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및 우측 뷰잉 윈도우가 올바른 배치에 확실하게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의 이미지 데이터는, 도 16에 도시하는 방법으로, 도 15에 도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에 공급된다. 도 16에서, 좌측 이미지의 가장 좌측의 스트립의 색 이미지 데이터는, 적, 녹 및 청 픽셀 열인 픽셀열 Co10 좌측에 의해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우측눈용 뷰의 가장 좌측 스트립의 색 데이터는 픽셀의 열 Co10 우측에 의해서 표시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배치에 의해서, 좌측 및 우측의 뷰의 이미지 데이터가 적절한 좌측 및 우측 뷰잉 윈도우로 확실하게 전송된다. 이 배치는 또한, 3개의 픽셀 색 R, G, B가 전부, 각 뷰스트립을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하는 레이아웃에 비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레이아웃에서, 가장 좌측 열의 적 및 청 픽셀은, 좌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가장 좌측 열의 녹 픽셀은 우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우측 열에서, 적 및 청 픽셀은 우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녹 픽셀은 좌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도 14∼도 16에 도시한 타입의 표준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GB 픽셀의 열 사이에서 녹 컴포넌트를 「교환」하면서, 좌측 및 우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인터레이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연한 것이지만, 디스플레이의 설정에 따라서는, 녹 콤포넌트 이외에 적 또는 청 콤포넌트가 교환되어도 된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20)상에 직렬 형태로 공급된다. 픽셀의 스크린에서의 배치를 정의하는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버스(121)상에 공급된다. 데이터 버스(120)는 메모리(VRAM: Video Random Access Memory)(122, 123) 등의 RAM(도 17에 2개 도시함)의 수개의 뱅크의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어드레스 버스(121)는 메모리 관리 시스템(124)에 접속된다. 이 메모리 관리 시스템(124)은 스크린 어드레스를 메모리(122, 123)의 어드레스 입력에 공급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메모리(122, 123)의 출력 포트는 래치 회로(130)를 통하여 비디오 컨트롤러(126)의 선입 선출(FIFO) 레지스터(124)와 접속된다. 메모리(122, 123) 및 레지스터(125)는, 개개의 픽셀 데이터가 메모리(122, 123)로부터 교대로 판독되어 올바른 순서로 표시 메모리(VRAM)(127)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표시용 메모리(127)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드라이버 회로 사이에서, 재배열된 표시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는 표시용 메모리이다.
도 18은 더욱 상세히 래치 회로(13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래치 회로(130)는 메모리(122)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래치(140)와, 메모리(123)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래치(141)를 구비한다. 래치(140, 141)의 각 각은, 각각의 메모리로부터의 R, G, B 데이터를 래치하는 8개를 1그룹으로 하여 배치되는 24개의 1비트 래치를 구비한다. 래치(140, 141)의 입력 포트는 타이밍 생성기(128)의 출력 포트와 접속되어, 타이밍 생성기(128)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래치 인에이블(latch enable) 신호 L을 1개의 입력 포트로 통합하여 받아들인다.
래치 회로(130)는 또한, 레지스터(125)와 래치 회로(140) 또는 래치 회로(141)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R, G, B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한 3개의 스위칭 회로(142, 143, 144)를 구비한다. 스위칭 회로(142, 143, 144)는 각각 8개의 개별의 스위칭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각 스위칭 엘리먼트는 복수의 제어 입력을 통합하여 받아들인다. 스위칭 회로(142, 143, 144)의 입력 포트는 타이밍 생성기(128)의 출력 포트와 접속되며, 타이밍 생성기(128)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제어 입력인 스위칭 신호 SW를 1개의 입력 포트로 통합하여 받아들인다. 타이밍 생성기(128)는 기입 인에이블 신호 F를 레지스터(125)로 공급하는 출력 포트를 더 갖는다. 여기서, G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위칭 회로(143)의, 래치 회로(140, 141)를 전환하는 곳이, 다른 스위칭 회로(142, 144)와는 다른 것에 주의하여야한다.
표시 데이터가 메모리(122, 123)의 출력 포트로 사용 가능한 경우,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은 하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래치(140, 131)는 표시 데이터를 래치한다.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이 로우 상태로 되돌아간 바로 뒤에, 스위칭 신호 SW는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다음으로, 스위칭 회로(142, 143, 144)가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래치(140)와 레지스터(125)가 접속되어, 래치(140)의 R, G, B 데이터가 레지스터(125)로 출력된다. 그 다음으로, 기입 인에이블 신호 F 가 레지스터(125)로 공급되어, 래치(140)로부터의 RGB 데이터가 레지스터(125)에 기입된다. 또한 그 다음으로, 기입 인에이블 신호 F는, 다음의 기입 인에이블 신호까지 데이터가 추가로 레지스터(125)로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 불가로 된다.
다음으로, 스위칭 신호 SW가 로우 레벨이 되어 스위칭 회로(142, 143, 144)가 래치(141)와 레지스터(125)를 접속하여, 래치(141)의 R, G, B 데이터가 레지스터(125)로 출력된다. 또한 기입 인에이블 신호 F가 발생하여, 래치(141)로부터의 데이터가 레지스터(125)로 기입된다. 이 때, 동시에 레지스터(125)에 기입되고 있는 데이터는 표시용 메모리(127)에 기입된다. 다음의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이 하이 상태가 되어,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는 메모리(122, 123)로부터 교대로 레지스터(125)에 기입된다. 표시용 메모리(127)에도, 레지스터(125)로부터 기입되고 있는 데이터가 순차 기입되며, 한 화면분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가 표시용 메모리(127)에 기입될 때까지, 반복된다.
관찰자의 양쪽눈에 대하여 표시되어야 할 2D 데이터 또는 모노스코프의 데이터를 표시용 메모리(127)에 기입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다. 이 경우, 시차 배리어(3)에 의한 시차 광학계는 제거된다. 모노스코프의 픽셀 데이터를 도 17에 도시하는 표시용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하여 기억함으로써 표시용 메모리(127)에의 기입이 실행된다. 3D 표시 모드에서, 좌측눈용 이미지 및 우측눈용 이미지 각각은,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수평 공간 해상도의 절반의 해상도를 갖는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2D 또는 모노스코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2D 이미지와 대비하여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가로방향 해상도의 2배의 해상도를 갖게 된다.
그런데, 시차 광학계에 있어, 그 형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도 19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기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 디바이스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시차 광학계는, 예를 들면 상기의 동작을 위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2D/3D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LCD)(150)와 패턴화 위상차판(141)을 사용하고 있다.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는 여기서는 전면을 3D, 2D로 전환하기 위한 베타 전극으로 하고 있다. 패턴화 위상차판(151)은, 액정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2매의 편광판 중 한쪽 편광판을 치환한 것이다. 도 19에서 도 15와 실질적으로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시차 배리어(103a)를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배면, 즉 백 라이트(102)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전면측에 배치해도 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 3D 이미지를 표시할 때는,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내부의 액정 분자는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패턴화 위상차판(151)에 대한 광의 편광 특성에 의해, 패턴화 위상차판(151)의 패턴에 따라, 도 15에 도시하는 시차 배리어(103)의 슬릿(104)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 2D 이미지 를 표시할 때는,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액정 분자의 회전이 해제되어, 패턴화 위상차판(151)은 패턴의 유무에 관계없이 패턴화 위상차판(151)에 대한 입력광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슬릿의 형성이 해소된다. 이에 의해 2D 이미지의 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또는, 일본 특개평5-122733호 공보 또는 일본 특개평7-236174호 공보 등의 기재와 같이, 2D/3D 표시 전환용으로서 한쌍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 패턴으로서 상기 시차 배리어(103)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표시 가능한 것으로 하여, 이 표시를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도 15와 같이 고정적인 시차 광학계를 구비한 3D 자동 입체 디스플레이에서, 시차 배리어(103)를 부착한 상태에서, 표시되는 좌우의 영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이 디스플레이상에 실질적인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자신에게는 시차 광학계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2D 이미지로 표시할 때에도, 사용자가 표시를 볼 때에는 이 시차 광학계의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표시 디바이스이면, 2D 이미지의 표시에서 시차의 영향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표시 디바이스가 도 19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2D 이미지의 표시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시차 광학계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 의 디바이스 구조가 되어, 좌우의 시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시차 광학계의 일 구성 요소인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의 동작을 전환함과 아울러, 표시용 메모리(127)에 입력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3D 화면은,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3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좌측눈용의 표시 데이터와 우측눈용의 표시 데이터가 비디오 컨트롤러(126)에 입력되어, 비디오 컨트롤러(126)에서 재배열되어 3D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를 3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또는 웹 사이트나 메일 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알람의 시각 표시나 전화 착신 화면 또는 메일 착신 화면과 같이, 문자 표시를 주체로 하는 표시 화면에서는, 3D 이미지로는 문자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화 착신이나 메일 착신과 같이 문자수를 많이 표시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3D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보다 2D 이미지로 표시하는 쪽이 보기 쉽고, 내용을 신속하게 판별하기 쉽다.
또한, 이러한 3D 형태의 표시는, 특정한 방향에서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표시를 계속 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3D 입체 표시는, 흔들리는 차량의 내부 등에서 표시를 보기 어려운 경우, 또는 3D 이미지를 장시간 계속하여 보면 피로해지는 경우나, 본질적으로 3D 이미지의 입체를 머릿속에서 구성할 수 없는 사람이 있으므로, 2D 이미지로 표시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또한, 2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입체감이 있는 표시, 즉 3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으면 사용자에게 강한 효과를 주어 즐거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인 접이식(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멀티 표시화가 진행되어,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주표시체(메인 표시체) 외에, 절첩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의 외측에 면하여 배치된 부표시체(서브 표시체)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3D 이미지와 내용이 보기 쉬운 2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이미지로 화면이 표시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알람 시각 통지 또는 전화 착신이나 메일 착신 등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3D 화면으로부터 내용이 보기 쉬운 2D 화면 표시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표시 가능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키 조작이나 미리 설정한 타이머 시간 등 에 의해 3D 이미지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D 이미지로 화면이 표시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3D 화면의 표시 시에, 키 조작에 의해 3D 이외의 화면의 표시로 전환하고, 또한 해당 키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키 조작과 동시에 키 입력을 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표시체에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부표시체는 종전과 같은 2D 이미지밖에 표시할 수 없는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3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 기기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즉, 전자 기기는, 2D(2차원) 이미지와 3D(3차원)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자 기기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검지부에서 상태 변화를 검지했을 때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3D 이미지로부터 2D 이미지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 기기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 즉, 전자 기기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3D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표시부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강제 표시 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 기기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 즉, 전자 기기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용 키 입력부와, 표시부에 3D 이미지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조작용 키 입력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에 의한 키 입력에 대하여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고, 그 밖의 키에 의한 키 입력에 대하여,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3D 이미지의 화면을 2D 이미지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2D/3D 표시 전환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 기기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 즉, 전자 기기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선택에 따라서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서의 2D 이미지와 시차 광학계를 수반하는 3D 이미지와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표시 전환부와, 표시 전환 부(40)에 의한 전환의 지시에 대응하여, 공통의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와 3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 기기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 즉, 전자 기기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이고,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 내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 외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와,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표시부에서의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와 제2 표시부에서의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를 전환 하는 전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고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크램쉘 타입의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는 제1 케이스(2)와 제2 케이스(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2)과 제2 케이스(3)는 힌지(4)를 통하여 연결되고, 힌지(4)를 축으로 하여 각변위 가능하게 움직임으로써, 휴대 전화기(1)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의 제1 케이스(2)는 제1 표시부(5)를 구비한다. 제1 표시부(5)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일때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표시부(5)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 디바이스이며, 후술하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를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제1 표시부(5)의 상부에는 통화 시에 사용하는 제1 스피커(6)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제2 케이스(3)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버튼군(7)은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등으로 구성된다. 기능 버튼군(8)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설정이나 기능 전환을 행하기 위한 버튼군이고, 전원의 ON/OFF 전환을 행하는 전원 버튼(9), 후술하는 카메라 기능의 제1 셔터 버튼(10), 메일 기능과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는 메일/가이던스용 버튼(11), 통화 개시와 스피커 수화(受話)를 행하는 개시/스피커 수화 버튼(12), 및 기능 선택 화면에서의 상하 좌우 선택 및 결정을 행하는 4 방향 버튼 및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멀티 가이드 버튼(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케이스(3)의 하부에는 조작 마이크(14)가 구비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의 제2 케이스(3)의 배치 구성으로서는, 힌지(4), 기능 버튼군(8), 입력 버튼군(7), 및 송화(送話) 마이크(14)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휴대 전화기(1)를 절첩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2)의 배면에는, 힌지(4)측부터 순서대로, 카메라부(21)와 라이트부(22)가 나란히 배치되고, 이어서 제2 표시부(20),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군(24)이 배치된다.
제2 표시부(20)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었을때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표시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으로 실현된다. 제2 표시부(20)는, 후술하는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를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촬영 화상이나 시각 정보, 전파 강도 및 메일 수신 표시 등의 캐릭터 화상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들 화상을 제2 표시부(20)로 표시할 때,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로부터 제2 표시부(20)로 전송되어 오는 이미지 데이터는, 제2 표시부(20)에서, 표시했을 때에 힌지(4) 방향이 위로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표시된다. 제2 표시부(20)는, 힌지(4) 방향이 위로 되도록 화상 표시를 행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를 절첩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 힌지(4)를 위로 향하여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닫은 상태에서도 제2 케이스(3)의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거나 닫을때마다, 휴대 전화기(1)의 방향을 바꾸거나 옮겨 쥐거나 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2 표시부(20)로 표시되는 화상에는 촬영 화상도 포함되며, 촬영 화상을 보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기(1)의 방향을 바꾸거나 옮겨 쥐거나 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카메라부(21)는, 촬상 렌즈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와 RGB의 3색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다. 카메라부(21)는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촬상 렌즈에 입사된 빛을 컬러 필터를 통해서 RGB의 3색광으로 하고, RGB의 3색광을 각각 상기 촬상 소자로 변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1)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었을때 외측이며, 힌지(4)와 제2 표시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여 촬영할 때에는 제2 케이스(3)를 잡고 촬영한다.
라이트부(22)는, 카메라부(21)로 촬상할 때의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크세논관을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최근에는 RGB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동시 발광시켜, 백색광을 발광시켜 보조 광원으로 이용하는 것도 있다.
제2 셔터 버튼(23)은, 제1 케이스(2)의 배면 중앙에 배치되며, 도 2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제2 표시부(2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 제2 셔터 버튼(23)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에서 간단히 셔터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여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2 셔터 버튼(23)의 양 옆에는 제2 표시부(20)를 이용하여 각종 설정이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2 조작 버튼군(24A, 24B)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조작 버튼군(24A, 24B)은, 제2 표시부(20)와 연동하여, 각종 기능 설정, 어드레스 북의 표시나 검색 및 메일의 확인이나 표시나 발신을 조작할 수 있다. 또, 촬영 시의 줌 조작이나 복수의 촬상 화상의 앞으로 보내기나 뒤로 보내기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의 배면에는 안테나부(25)와, 상하 이동 가능한 헬리칼부(26)와, 배터리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도시되지 않음)와, 착신음을 울리는 제2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케이스(2)는 힌지(4)를 통하여 제2 케이스(3)와 기구적으로 접속되지만, 힌지(4) 내에는 제1 케이스(2)와 제2 케이스(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소성 기반(基盤)이 조립되어 있다.
도 3에 휴대 전화기(1)의 내부 회로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40)는, 휴대 전화기(1)를 구성하는 각 부위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 수단, 셔터 버튼 제어 수단, 백 라이트 제어 수단, 라이트 제어 수단 및 표시 제어 수단에 해당한다.
카메라부(21) 및 화상 처리부(41)는,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로서 출력하며, 촬상 수단에 해당한다.
화상 처리부(41)는, 증폭부,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 및 신호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증폭부는, 카메라부(21)로부터 입력된 RGB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A/D 변환부에 출력한다. A/D 변환부는, 증폭부에서 변환된 RGB에 대응한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는, A/D 변환부에서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화소의 보간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제어부(4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를 실시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출력한다. 제1 메모리(42)는, 신호 처리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예를 들면, 오래된 이미지 데이터는 소거하거나, 또는 가장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오래된 이미지 데이터 상에 덧씌우기함으로써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제어부(40)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 및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제1 메모리(42)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 및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에 전송한다.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 및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는,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에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서,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의 각 화소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제1 백 라이트(45) 및 제2 백 라이트(46)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어,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에 광을 쏘여 휘도를 증가시킨다. 제1 백 라이트(45) 및 제2 백 라이트(46)의 점등, 소등의 제어, 및 휘도 조정 등의 제어는 제어부(40)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1 조작 버튼군(47)은 상술한 제2 케이스(3)의 입력 버튼군(7)과 기능 버튼군(8)으로 구성된다. 제2 조작 버튼군(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메모리(42)에 연속적으로 전송되어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보존을 희망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에 보존할 때, 제1 셔터 버튼(10) 또는 제2 셔터 버튼(23)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그리고, 제1 셔터 버튼(10) 및 제2 셔터 버튼(23)은, 그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한다는 취지의 지시 신호를 제어부(40)에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제1 셔터 버튼(10) 또는/및 제2 셔터 버튼(23)으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에 보존한다. 여기서, 제2 메모리(48)는, 제1 메모리(42)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때 사용되는 메모리이다.
개폐 검출부(49)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며, 검출 수단에 해당한다. 힌지(4)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검출 결과인 휴대 전화기(1)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가 개폐 검출부(49)로부 터 제어부(40)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개폐 검출부(49)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안테나부(25)는, 무선 전파를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할 때,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무선부(50)는, 수신 시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부(25)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고, 수신 시에는 통신 제어부(51)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무선부(50) 및 통신 제어부(51)를 통하여 수신한 상대편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제3 메모리(52)에 기억된다.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에 일시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개폐 검출부(49)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환한다. 개폐 검출부(49)에 의해서,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지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에 출력하여, 제2 표시부(20)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한편, 개폐 검출부(49)에 의해서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지 않은(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출력하여, 제1 표시부(5)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카메라부(21)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었을때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의 촬영자 이외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촬영자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라부(21)를 사용자와 반대측에 있는 피사체측를 향하여 촬영한다. 이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가 개방되어 있는 것, 즉 절첩되 어 있지 않은 것을 개폐 검출부(49)가 검출하며, 카메라부(21)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제1 표시부(5)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촬영자인 사용자는 제1 표시부(5)를 촬영 시의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자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촬영할 때는, 촬영자는 휴대 전화기(1)를 절첩된 상태에서 카메라부(21)를 사용자측으로 향하여 촬영한다. 이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 것이 개폐 검출부(49)에 의해서 검출되어, 카메라부(21)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제2 표시부(20)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촬영자인 사용자는 제2 표시부(20)를 촬영시의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이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표시부(5)는,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제2 표시부(20)는 2D 이미지만 표시되는 통상의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제1 표시부(5)에 접속되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는,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메모리(122, 123) 및 비디오 컨트롤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부(21)로 찍은 화상을 제1 표시부(5)를 파인더로서 사용하면서 찍을 때는, 제1 표시부(5)는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가 키 조작 등에 의해 촬상 모드로 설정될 때는, 제1 표시부(5)는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설정된다.
카메라부(21)로 촬상되는 화상은, 통상 3D 이미지용으로 특별히 변환할 때까지는 좌측눈용의 이미지 및 우측눈용의 이미지로 구별되지는 않고, 2D의 이미지로 생성된다. 따라서, 제1 표시부(5)에 있어서, 2D/3D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가 2D 이미지용으로 전환됨와 아울러, 카메라부(21)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가 제1 메모리(42)로부터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 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의 표시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된다. 이에 의해, 셔터를 조작할 때까지는, 카메라부(21)로 촬상되는 화상은 2D 표시로 파인더로서 제1 표시부(5)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에 한하지 않고, 제1 표시부(5)에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특히 주된 표시체인 제1 표시부(5)는 사이즈도 크고, 또한 고정밀 액정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1 표시부(5)를 이러한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하면 보다 아름다운 2D 이미지의 표시를 즐길 수 있다.
제1 표시부(5)에서의 3D 이미지의 표시는, 예를 들면 웹 사이트나 메일로부터 3D 이미지 데이터의 콘텐츠로서 송부되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로 수신되는 경우에, 그와 같은 콘텐츠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콘텐츠는, 애니메이션이나 풍경 사진이나, 기타 2D 이미지로부터 3D 이미지로의 표시가 적절한 것, 또는 3D 이미지쪽이 보다 즐길 수 있는 것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신되는 데이터는 표시 디바이스의 특성상,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로서는 좌측눈용 및 우측눈용으로 각각 분할된 이미지 데이터인 것이 필요하다. 또는, 휴대 전화기(1)에 3D 변환 기능을 내장시킴으로써, 휴대 전화기(1) 자신에게 비치된 카메라부(21)로 촬영한 영상을 좌측눈용 및 우측눈용으로 각각 분할된 3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휴대 전화기로부터 3D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받아, 이것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대기 화면은, 통상,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로서의 미사용 시에 표시되도록 디폴트 화면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화면이다. 대기 화면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또는 웹 사이트나 메일 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은,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에서, 3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표시 드라이버(43) 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에 입력되고, 비디오 컨트롤러(126)에서 재배열됨으로써 3D 형태로 표시된다. 3D 이미지로의 표시는, 비트맵에 의한 사진이나 회화, 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데 적합하고, 즐길 수 있는 화면으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 입력된 키에 의해 서로 다른 화면의 제어를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본건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제어부(40)와 임의의 메모리부에 의해 3D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가 구성되어, 이 계수부에 의해 3D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계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웹 사이트가 메 일로부터 수신한 3D 이미지 데이터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보는 경우나, 휴대 전화기(1)에 구비되는 카메라부(21)로 찍은 영상을 3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경우나, 미리 촬영한 화상을 기록한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재생하여 보는 경우 등도 마찬가지이다.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은, 통상 디폴트 화면으로서 설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또는 웹 사이트나 메일 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디폴트 화면으로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설정되어 있을때, 제1 표시부(5)는 3D 표시 모드에서, 3D 대기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가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다(S20).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3D 이미지 데이터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어,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이 표시되고 있다(S21).
여기서 어떠한 키가 조작되어 제어부(40)에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S22에서 YES), 제어부(40)는 그 키가 어떤 키인지를 판단한다. 조작된 키가 전원 키이고(S43에서 YES), 그 조작이 길게 눌린 경우(S44에서 YES), 전원을 OFF하도록 제어한다(S45).
한편, 조작된 키가 전원 키이고(S43에서 YES), 그 조작이 길게 눌린 경우에는(S44에서 NO),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3). 그와 동시에, 제3 메모리(52)로부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고(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된 키가, 전원 키이거나, 후에 설명하는 숫자 키, 「#」키 또는 「*」키, 전화 키, 메일 키, 및 카메라 키 중 어느 키도 아닌 다른 키인 경우(S46∼S49 전부에서 NO),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기능 선택 화면에서의 상하 좌우 선택 및 결정을 행하는 4 방향 버튼 및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멀티 가이드 버튼(13) 등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3). 또한, 그와 동시에, 제3 메모리(52)로부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고(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단계 S25에서 전환되어 표시되는 2D 이미지 데이터로서는, 경고 표시이어도 되고, 미리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어도 된다.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전환되는 상기의 키는, 대기 상태에서 조작되더라도 본래의 기능이 즉시 유효가 되지는 않는 키이고, 이들 키를 조작함으로써, 제1 표시부(5)의 표시를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으로부터 비교적 장시간 표시되어도 보기쉬운 2D 화면으로 수시로 강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즉시 키 입력 동작이 필요한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우선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함과 아울러,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 후, 화면에 필요한, 조작된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2D 표시 모드로 표시되는 화면은, 특히 코드화된 문자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태가 좋으며, 또한 보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조작된 키가 전원 키가 아니고(S43에서 NO) 숫자 키이면(S46에서 YES), 제어부(40)는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여 숫자 키의 입력을 접수한다(S51). 또한, 조작된 키가 「#」키 또는 「*」키이면(S47에서 YES), 제어부(40)는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여 「#」키 또는 「*」키의 입력을 접수한다(S51). 그리고, 각각 입력한 키를 제1 표시부(5)에 표시시킨다(S53).
또한, 조작된 키가 전화 키이면(S48에서 YES), 제어부(40)는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고 전화의 발신 처리를 행하며(S54), 제1 표시부(5)에 발신 화면을 표시시킨다(S53).
또한, 조작된 키가 메일 키이면(S49에서 YES), 제어부(40)는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여 메일 키에 대응한 처리인 메일 키 처리를 행하고(S56), 제1 표시부(5)에 메일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S57).
또한, 조작된 키가 카메라 키이면(S50에서 YES), 제어부(40)는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여 카메라 촬영 모드를 기동하고(S58), 제1 표시부(5)에 카메라 촬영 화면을 표시시킨다(S59).
제어부(40)는, 상술한 단계 S51, S52, S54, S56, S58에서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할 때는, 동시에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하여 원활히 2D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람 시간이 되었 을 때, 혹은 전화 또는 메일의 착신이 있었을 때에도,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하여, 2D 이미지로 알람 혹은 전화 또는 메일 착신을 표시하도록 하면 보기 쉽고 편리하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키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S22에서 NO), 전술한 3D 이미지의 표시시에 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에서 미리 타이머 설정된 시간이 되면(S34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3). 그것과 동시에, 제3 메모리(52)로부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고(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또한, 미리 타이머 설정된 시간이 아니고(S34에서 NO), 알람 설정 시각이 될지, 혹은 전화 또는 메일이 착신하면(S26에서 YES),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3D 화면 표시를 클리어하여, 알람인 경우는 알람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고,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인 경우는 착신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판독한다(S27). 그리고,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함으로써, 제1 표시부(5)에서, 알람 화면 혹은 전화 또는 메일 착신 화면이 2D 이미지로 표시된다(S28).
또한, 알람 시각에서도, 전화 또는 메일 착신도 아닌 경우에는(S26에서 NO),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에서의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를 계속한다(S21).
도 6은, 각 키가 조작되었을 때, 혹은 키 조작 이외의 알람 통지나 전화 또 는 메일 착신 등의 상태가 입력되었을 때의, 휴대 전화기(1)에서의 화면 표시와 동작을 표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는, 전원 키가 오래 눌려진 경우에는 전원이 OFF로 되는 동작을 행하고, 짧게 눌려진 경우에는 2D 화면이 표시된다. 이하, 도 6에서는, 각 키에 대하여, 상술한 흐름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조작 후의 화면 표시의 변화 및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D 화면 전환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화면을 다시 제3 메모리(52)로부터 판독하도록 하였지만,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로의 변환은, 3D 이미지의 좌측눈용 이미지 또는 우측눈용 이미지의 한쪽을 이용하여, 이것에 사이즈 정합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화상 처리부(41)에서,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의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D 이미지 데이터는,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과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이 수평으로 배열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다. 여기서, 화상 처리부(41)는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을 가로방향으로 1 화소로 이루어지는 좁은 종이 형상의 블록 Ll, L2, L3으로 분할하여,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도 마찬가지로 블록 R1, R2, R3으로 분할한다. 2D 이미지 데이터는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도 7에서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2배로 확대하여 작성된다. 확대 방법으로서는, 각 좁은 종이 형상의 블록을 단순하게 복사하는 방법(L1'= L1 등)이나, 주위의 화소의 값을 이용한 보간에 의한 방법(L1'=(L1+L2)/2 등)이 있다. 또한, 보간에 의한 방법으로서는 단순한 평균값이 아니고, 3탭 이상의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보간하여도 된다.
상기에서는, 화상 처리부(41)가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로부터 상기와 같이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3D 이미지 데이터 내의 시차가 적은 배경 부분 등은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과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의 각각을 이용하여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해도 된다. 이 경우의 2D 이미지 데이터의 작성 방법의 구체예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8은, 화상 처리부(41)에서의,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의 다른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D 이미지 데이터는,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과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부(41)는,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을 횡방향으로 좁은 종이 형상으로 분할하여 블록 l1, l2, l3로 하고,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를 횡방향으로 좁은 종이 형상으로 분할하여 블록 r1, r2, r3로 한다. 예를 들면,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 중에서, 도 8에서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해당하는 블록 l1, l2이 시차가 있는 전경 영역에서, 블록 l3이 거의 시차가 없는 배경 영역으로 한다. 그 경우, 우선, 화상 처리부(41)는, 블록 l1, l2을 수평 방향으로 2배로 확대하여 2D 이미지 데이터의 전 경 영역을 작성한다. 확대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블록 l3와 블록 r3를 그대로 복사하여 2D 이미지 데이터의 배경 영역을 작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차가 적은 부분의 수평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l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r로부터 상기와 같이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7이나 도 8에 도시된 방법으로 작성한 2D 이미지 데이터에 필터를 걸어도 된다. 그것은, 보간 처리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앨리어싱이 발생하거나, 보간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불선명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경우에는, 2D 이미지 데이터의 전경 영역(l1, l1, l2, l2 부분)과 배경 영역(l3, r3 부분)에 대하여, 각각 따로따로 필터를 걸어도 되며, 필터 자체도 전경 영역과 배경 영역에서 성질이 다른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전경 영역에는 엣지강조인 샤프니스(鮮銳化) 필터를 걸고, 배경 영역에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때에,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의 화면을 표시할 수가 있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기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임의의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1 표시부(5)에서의 화면의 표시를 2D 이미지로부터 3D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술한 동작과는 반대로,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3D 표시 모드로 전환됨와 아울러,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3D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가 판독됨으로써, 제1 표시부(5)에서 3D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도 9는 2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3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동작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상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이미 설명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2D 이미지 표시의 화면이 제1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어 제어부(40)에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S22에서 YES), 제어부(40)는 그 키가 어떤 키인지를 판단한다. 조작된 키가, 예를 들면 3D 이미지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3D 키(도시되지 않음)이면(S61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2D 표시 모드로부터 3D 표시 모드로 전환(S62)함과 아울러, 제3 메모리(52)로부터 3D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로 판독하여(S63),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함으로써,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64).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3D 이미지로의 표시를, 키 조작에 의해,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차의 영향이 전혀 없는 2D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의 표시 상태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간단히 원래의 3D 이미지의 표시로 복귀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임팩트 를 주어 즐거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도 10f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제1 표시부(5)에서의 표시의 전환에 있어서의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3D 이미지에 의한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2D 이미지에 의한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2D 이미지에 의한 알람 시각 통지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d는 타이머 시간 경과후에, 강제적으로 전환된 2D 이미지에 의한 대기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e는 메일 착신 시의 2D 이미지에 의한 메일 착신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f는 전화 착신 시의 2D 이미지에 의한 전화 착신 화면 표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때에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을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으로 할 때는, 3D 이미지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또는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의 한쪽을 이용하여, 이것을 2D 이미지로 표시한다.
또한, 도 10c∼도 10f에 도시하는 2D 이미지에 의한 표시 화면은 보기 쉽고 코드화된 문자 등을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전화 착신 시나 메일 착신 시에 표시하는 화면의 내용은 문자가 주체이고, 표시하는 문자 수도 많다. 그 때문에, 착신 화면에 허용되는 만큼의 문자수로 표시하면 내용이 신속하고 적확하게 전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착신 화면은 문자가 보기 쉬운 2D 이미지 표시가 적합하다. 또한, 알람 시각을 통지하는 화면도, 도 10c에서는 설정한 알람 시각의 표 시를 2D 이미지로 이해하기 쉽게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알람 시각시, 소리나 빛이나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진동을 병용하여 알람 시각을 통지해도 된다. 또한, 전화 착신시나 메일 착신시에도 마찬가지로, 소리나 빛이나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진동으로 착신을 나타냄과 아울러, 착신 내용을 2D 이미지의 문자로 표시하면 이해하기 쉽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자 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이고, 현재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실제로 3D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접는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케이스가 1개이더라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표시부(5)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5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 시차 광학계를 형성한 채로, 좌우의 눈으로 관찰되는 시차를 동일하게 하도록 표시 데이터를 바꾸는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에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 나아가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기기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서, 3D 이미지 화면을 장시간 계속하여 보는것이 곤란한 경우에, 대기 상태에서, 키 중, 숫자 키, # 및 * 키, 전화 키, 메일 키, 및 카메라 키 이외의, 본래의 기능이 즉시 유효하게 되지 않는 키 조작에 의해, 3D 이미지 표시를 즉시 2D 이미지 표시의 화면 표시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와 같이, 숫자 키, # 키 또는 * 키, 전화 키, 메일 키, 또는 카메라 키 등의 키 조작에서는, 2D 화면에서 즉시 해당 키의 처리를 행하여, 낭비가 없는 키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 이미지에서의 화면 표시와 2D 이미지에서의 화면 표시로,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의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면, 3D 이미지와 2D 이미지가 전환될때,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키 입력, 혹은 미리 설정된 또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시간, 혹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알람 시각 등의 설정 시간에,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되어, 사용자는 보기 쉬운 2D 이미지 화면으로 표시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의 외관 및 내부 회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3D 이미지 표시는, 어떤 한 방향으로부터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흔들리는 탈것의 내부에서 표시가 보기 어려운 경우나, 장시간 보면 피곤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천적으로 3D를 입체적으로 볼 수 없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때에는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D 이미지 표시로부터 입체감이 있는 표시인 3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할 수 있으면, 사용자에게 임팩트를 주어 즐거운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동작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가 첨부되고,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동작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는, 단계 S21에서 대기 화면을 포함하는 3D 이미지 표시의 화면이 제1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키(도 1에 도시된 키군(7, 8) 등)가 조작되어 제어부(40)에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S22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3). 그와 동시에, 제3 메모리(52)로부 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고(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든 키 중에서 어떤 키 조작이라도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강제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3D 이미지에서의 표시가 보기 어렵게 되었을 때 등,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때는, 조작하는 키를 선택할 필요가 없고, 어느 키이더라도 조작하면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당연한 것이지만,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임의의 선택된 키가 조작된 경우에만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한편, 키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S22에서 NO), 전술한 3D 이미지의 표시시에 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에서 미리 타이머 설정된 시간이 되면(S34에서 YES),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동작과 같이,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3). 그와 동시에, 제3 메모리(52)로부터 2D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상술한 바와 같이, 3D 이미지로의 표시는, 소정의 시간 또는 키 조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에서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소정 시간에서의 자동 전환은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전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만이 나타나며, 모드 전환은 키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 되는 타이머 시간은, 디폴트로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키 조작 등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시간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표시부(5)로 표시하는 콘텐츠 등에 미리 최대의 허용 시간 정보가 포함되고, 3D 이미지의 표시시에 이 허용 시간 정보를 판독하여 설정 시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미리 타이머 설정된 시간이 아니더라도(S34에서 NO), 알람 설정 시각이 되거나, 혹은 전화 또는 메일이 착신되면(S26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하고(S60), 알람인 경우는 알람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판독하며,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인 경우는 착신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판독한다(S27). 그리고,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포함하는 알람 내용 또는 착신 내용을 사용자가 시간이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제1 표시부(5)에서, 알람 화면 혹은 전화 또는 메일 착신 화면을 2D 이미지로 표시시킨다(S28).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제1 표시부(5)에서의 표시의 전환에 있어서의 표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10a∼도 10f에 도시한 구체예와 마찬가지이다.
3D 화면은,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3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표시 드라이버(43) 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에 입력되어, 비디 오 컨트롤러(126)에서 재배열됨으로써 3D 형태로 표시된다. 3D 이미지로의 표시는, 비트맵에 의한 사진이나 회화, 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고, 즐길 수 있는 화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D 화면은, 제1 표시부(5)를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전환하여, 상술한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작성 방법으로 작성된 2D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컨트롤러(126) 및 표시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함으로써 표시된다. 여기서, 제1 표시부(5)는, 도 19에 명시되도록,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는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액정 분자의 회전이 해제되고, 패턴화 위상차판(151)은 패턴의 유무에 관계없이 패턴화 위상차판(151)에 대한 입력광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슬릿의 형성이 해소되게 된다.
즉, 2D 이미지의 표시가 선택되었을 때는, 표시되는 영역은 시차 광학계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디바이스 구조가 되어, 좌우의 시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표시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3D 이미지의 표시에 관한 3D 이미지 데이터를 2D 이미지의 표시에 관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공통인 이미지 데이터로 하였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2D 이미지의 표시에 관한 2D 이미지 데이터를 3D 이미지의 표시에 관한 3D 이미지 데이터와 공통인 이미지 데이터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가, 카메라부(21)로 찍은 화상을 3D 이미지로 표시시키기 위해서, 2D인 카메라 화상으로부터 좌측눈용 이 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변환 기능을 내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내장된 3D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2D 이미지의 표시를 3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때, 2D 표시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공통되는 이미지 데이터로 하여, 그 2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3D 표시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5)를 도 19에 도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로 하여, 2D/3D 전환용의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와 패턴화 위상차판(15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한쌍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표시 패턴으로서 시차 배리어의 슬릿으로서 실질 동작하는 패턴 자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3D/2D의 전환은 상기 패턴의 표시의 온·오프에 의해서 행한다.
특히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정 디바이스의 전극 형성과는 관계없이, 한쌍의 편광판을 패턴화 위상차판으로서 별도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차 배리어의 슬릿을 용이하게, 또한 보다 정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표시체의 고정밀화(고정밀한 2D 이미지의 표시)에 대응하여 3D 이미지에서의 고정밀화를 실현하여, 더욱 임팩트가 있는 즐거운 표시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자 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 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로, 현재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실제로 3D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케이스가 1개이더라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에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 나아가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기기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가 이러한 구성이고, 2D 표시시에는 시차 광학계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흔들리는 차량의 내부 등에서 3D 표시를 보기 어려운 경우나, 3D 표시를 장시간 계속 보면 피곤해지는 경우나, 본질적으로 3D의 입체를 머리속에서 구성할 수 없는 사람이 사용자인 경우 등, 2D 이미지로 표시를 전환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에, 제1 표시부(5)에 보기 쉬운 2D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공통의 데이터로 함으로써, 간단히 즐거운 3D 이미지 표시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1)의 외관 및 내부 회로 구성 역시,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동작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도,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첨부하고,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알람 시각 통지나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 시에, 3D 이미지의 화면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화면 표시로 전환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는, 단계 S21에서 대기 화면을 포함하는 3D 이미지 표시의 화면이 제1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을때에, 알람 설정 시각이 되거나, 혹은 전화 또는 메일이 착신되면(S70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S23), 알람인 경우는 알람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판독하고,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인 경우는 착신 화면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판독한다(S27). 그리고,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는 것으로, 제1 표시부(5)에서, 알람 화면 혹은 전화 또는 메 일 착신 화면이 2D 이미지로 표시된다(S28).
한편, 알람 시각에서도, 전화 또는 메일 착신이 아닌 경우에(S70에서 NO),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어 제어부(40)에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S71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2D 표시 모드로부터 3D 표시 모드로 전환(S60)함과 아울러, 제3 메모리(52)로부터 3D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로 판독하여(S24)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함으로써,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로 화면을 표시시킨다(S25). 상술한 바와 같이, 3D 화면은 소정의 방향에서 표시를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길게 표시를 계속 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상기의 키 조작은 이러한 경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람 통지나 전화 또는 메일의 착신이 없더라도, 어떠한 키 입력으로, 3D 이미지의 화면 표시를 2D 이미지의 화면 표시로 강제적으로 전환함으로써, 보기 쉬운 2D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어떠한 키의 조작도 없는 경우에는(S71에서 NO),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에서의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를 계속한다(S21).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의 제1 표시부(5)에서의 표시의 전환에 있어서의 표시의 구체예에 대해서도 역시,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10a∼도 10f에 도시한 구체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1)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자 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 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로, 현재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실제로 3D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도 또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케이스가 1개이더라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표시부(5)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5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 시차 광학계를 형성한 채로, 좌우의 눈으로 관찰되는 시차를 동일하게 하도록 표시 데이터를 바꾸어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에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 데스크탑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 나아가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기기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가 이러한 구성이고,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 등의 3D 화면 표시중에 알람 통지 혹은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 등에 의해, 3D 이미지 표시를 2D 이미지의 알람 통지 화면 혹은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 화면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내용이 보기 쉬운 표시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1)의 외관 및 내부 회로 구성 역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의, 케이스의 절첩 또는 개방 동작에 수반하는 대기 화면의 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있어서는, 스타트 시점에서, 휴대 전화기(1)의 케이스가 개방한 상태에 있고, 제1 표시부(5)는 3D 표시 모드로, 또한 표시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3D의 대기 화면용 3D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어,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1 표시부(5)에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휴대 전화기(1)가 접히면, 개폐 검출부(49)가 절첩된 것을 검출하여(S80에서 YES), 화상 처리부(41)에서 3D 이미지 데이터가 2D 이미지 표시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고(S82), 제어부(40)는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2 드라이버부(44)에 입력한다. 이에 의해, 제2 표시부(20)에서는 2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S83).
단계 S82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2D 이미지 데이터로의 변환은, 상술한 도 7 또는 도 8을 이용하여 설명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 대 전화기(1)는, 접었을 때와 개방하였을 때에,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의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가 있어,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다.
휴대 전화기(1)가 재차 열렸을 때는(S84에서 YES), 제1 표시부(5)가 3D 표시 모드로 대기 화면으로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설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개폐 검출부(49)에서 열린것을 검출하면,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40)는,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S85),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함으로써, 제1 표시부(5)에 3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S86).
또, 휴대 전화기(1)는 제1 표시부(4)에서의 대기 화면의 표시를 3D 이미지로부터 2D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가 닫히지 았고, 대기 화면의 전환 키에 해당하는 키가 조작되는(S80에서 NO, 또한 S81에서 YES) 등에 의해서, 제1 표시부(5)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을 3D 이미지로부터 2D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대기 화면의 전환 키에 해당하는 키가 조작되어 제어부(40)에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S81에서 YES),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를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87). 그와 함께, 제3 메모리(52)로부터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용의 2D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판독하여(S88),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5)에서 2D 이미지로 대기 화면을 표시시킨다(S89).
또한, 도 13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전술한 대기 화면의 전환 키에 해당하는 키 또는 다른 임의의 키 조작에 의해, 제1 표시부(5)에서의 대기 화면의 표시를 2D 이미지로부터 3D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술한 동작과는 반대로,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3D 표시 모드로 전환됨과 아울러,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용의 3D 이미지 데이터가 판독되는 것에 의해, 제1 표시부(5)로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은,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3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좌측눈용의 이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의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표시 드라이버(43) 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에 입력되어, 비디오 컨트롤러(126)에서 재배열되어 3D 형태로 표시된다. 3D 이미지로의 표시는, 비트맵에 의한 사진이나 회화, 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여, 즐길 수 있는 화면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여 제1 표시부(5)에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를 접을 때, 제2 표시부(20)는 2D 이미지밖에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는, 접은 전후의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의 표시 내용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때는, 상술된 바와 같이 3D 이미지의 좌측눈용의 이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의 이미지 데이터 중 한쪽을 이용하여, 이것을 2D 이미지로 표시한다. 이 전환 표시에서의 표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이용하여 먼저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는, 휴대 전화기(1)가 접혔을때, 개폐 검출부(49)에서 절첩된 것을 검출하고, 제어부(40)는 제3 메모리(52)에 기억되어 있는 2D 이미지 전용의 대기 화면을 다시 한번 판독하여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에 입력하여, 제2 표시부(20)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내용은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 전화기(1)를 접을때의 대기 화면, 즉 제2 표시부(20)에서의 표시는 2D 이미지이기 때문에 보기 쉬워, 코드화된 문자 등을 포함하는 표시 내용으로 할 때에 적합하다.
또한, 제1 표시부(5)에서의 대기 화면으로서 3D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1)를 때 접은 상태에서 개방할 때, 개방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40)는 표시를 위한 데이터 구조를 변화하여 취급할 필요가 있다. 즉, 제1 표시부(5)를 3D 표시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표시 데이터를 좌측눈용의 3D 이미지 데이터 및 우측눈용의 3D 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열렸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비트맵에 의한 사진이나 회화, 또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여, 즐길 수 있는 화면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기(1)에서는,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가 다른 표시체이지만, 제1 표시부(5)의 2D 표시 모드와 3D 표시 모드의 전환과, 휴대 전화기(1)가 접혔을때의 동작에 대응한, 제어부(4)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취급에 의해,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에 의한 대기 화면 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5)에서 3D 표시 모드로부터 2D 표시 모드, 또는 2D 표시 모드로부터 3D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3D 이미지의 좌측눈용 이미지 데이터와 우측눈용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이것을 2D 이미지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자 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로, 현재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실제로 3D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또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케이스가 1개이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의 표시의 전환을 키 조작으로 행함으로써, 제1 표시부(5)에서 3D 이미지에 의거한 대기 화면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키 조작에 의한 표시의 전환은, 예를 들면, 1개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제1 표시부(5)에의 표시와 제2 표시부(20)에의 표시를 상호 전환하거나, 또한 2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한쪽 버튼을 누르면 제1 표시부(5)로, 다른쪽 버튼을 누르면 제2 표시부(20)로 표시를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표시부(5)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5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 시차 광학계를 형성한 상태로, 좌우의 눈으로 관찰되는 시차를 동일하게 하도록 표시 데이터를 바꾸는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자 기기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등이고,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촬상부와 화상 보존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의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절첩된 상태에서 내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절첩된 상태에서 외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구비한, 2D 및 3D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형의 전자 기기이고, 상술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전자 기기를 개방하였을 때 또는 전자 기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표시부(5)에 원하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첩되었을 때와 개방하였을 때에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와 3D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는 효과도 있 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3D 이미지가 좌측눈용의 이미지와 우측눈용의 이미지 등의 2개 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3D 이미지는 상기 2개 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n(n≥2의 정수)개 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3D 이미지가 2개 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2D 이미지에 대하여, n개 시점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3D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변환을 행하여 3D 이미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한 n개 시점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3D 이미지를, 도트 단위로, 시점이 인접하는 순으로, 해당 시점의 이미지가 순서대로 인접하여 나란히 나열되도록 재배열하여 표시를 행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는, 디스플레이면의 정면을 마주 향하는 측에서, 해당 디스플레이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또한 디스플레이면에 대하여 수평인 라인상에, 사람의 눈의 간격으로 n개 시점의 이미지를 각각 관찰할 수 있도록 시점 배리어를 구성한다.
휴대 전화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관찰자는 인접하는 2개 시점의 이미지의 조가 각각 우측눈과 좌측눈에 입사되도록, 상기 라인상에서 양눈을 라인에 따라서 움직이면, n개 시점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3D 이미지를 입체시할 수 있다.
또한, n개 시점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3D 이미지로부터 2D 이미지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2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3D 이미지 데이터보다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와 같이, 3D 이미지를 구성하는 n개 시점 의 이미지로부터 1개의 시점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수평 방향으로 n 배로 확대하여 2D 이미지를 작성하면 된다.
또한, 이 때, 시차가 (거의) 없는 부분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2시점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와 같이, n개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의 각각의 그 시차가 (거의) 없는 부분부터 작성해도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한 설명이 아닌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3D 이미지와 2D 이미지가 전환될때, 3D 이미지와 2D 이미지를 전환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2D(2차원) 이미지와 3D(3차원)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기 상태 변화를 검지했을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3D 이미지로부터 2D 이미지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입력부로 설정된 알람 통지 시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3D 이미지의 화면으로부터 2D 이미지의 알람 통지 화면으로 전환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전파를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무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화의 착신 또는 메일의 착신을 검출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3D 이미지의 화면으로부터 2D 이미지의 전화 착신 화면 또는 메일 착신 화면으로 전환하는 전자 기기.
  4.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3D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어 있는 3D 이미지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인 전자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3D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서의, 상기 키 입력부에서의 키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어 있는 3D 이미지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인 전자 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계수부를 갖고,
    상기 시간 계수부는, 상기 표시부에서의 3D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계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3D 이미지가 소정 시간 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어 있는 3D 이미지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인 전자 기기.
  10.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용 키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에 3D 이미지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조작용 키 입력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에 의한 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고, 그 밖의 키에 의한 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3D 이미지의 화면을 2D 이미지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2D/3D 표시 전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는 상기 3D 이미지의 화면의 표시용 데이터와, 상기 2D 이미지의 화면의 표시용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인 전자 기기.
  12.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선택에 의해서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서의 2D 이미지와 시차 광학계를 수반하는 3D 이미지와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표시 전환부와,
    상기 표시 전환부에 의한 전환의 지시에 따라, 공통의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와 3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데이터는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2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1개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전자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데이터는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2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의 각각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추출된, 그 선택적으로 추출된 상기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전자 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데이터는 2D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3D 이미지의 표시용 데이터는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시점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2D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전자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용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와 패턴화 위상차판으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
  19.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 내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 외면에 위치하는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절첩 또는 개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에서의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와, 상기 제2 표시부에서의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 표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와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전자 기기의 개방 동작과,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의 설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기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가 표시하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과, 상기 제2 표시부가 표시하는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내용인 전자 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가 표시하는 2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는, 상기 제1 표시부가 표시하는 3D 이미지의 대기 화면의 표시 데이터가 2D 이미지용으로 변환된 것인 전자 기기.
KR1020030063934A 2002-09-17 2003-09-16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0554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0027 2002-09-17
JPJP-P-2002-00270026 2002-09-17
JPJP-P-2002-00270025 2002-09-17
JPJP-P-2002-00270027 2002-09-17
JPJP-P-2002-00270028 2002-09-17
JP2002270026A JP2004112175A (ja) 2002-09-17 2002-09-17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2270028A JP2004109330A (ja) 2002-09-17 2002-09-17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2270025A JP2004112174A (ja) 2002-09-17 2002-09-17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
JPJP-P-2002-00277149 2002-09-24
JP2002277149A JP3973525B2 (ja) 2002-09-24 2002-09-24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580A KR20040025580A (ko) 2004-03-24
KR100554991B1 true KR100554991B1 (ko) 2006-02-24

Family

ID=3198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934A KR100554991B1 (ko) 2002-09-17 2003-09-16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68747B2 (ko)
EP (1) EP1403759A3 (ko)
KR (1) KR100554991B1 (ko)
CN (1) CN12705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466992B1 (en)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27271B1 (en) 2001-10-18 2006-10-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29512B1 (en) 2003-02-08 2012-07-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41128B1 (en) 2003-04-03 2012-08-1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159561B2 (en) * 2003-10-10 2012-04-17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feature extraction device
US8121635B1 (en) 2003-11-22 2012-02-21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3888354B2 (ja) * 2004-01-16 2007-02-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モード切換動作プログラム
US8041348B1 (en) 2004-03-23 2011-10-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367258B2 (ja) * 2004-06-18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装置及び端末装置
CN1989716B (zh) 2004-07-28 2010-05-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影像显示装置及影像显示系统
US20060030370A1 (en) * 2004-08-05 2006-02-09 Mobile (R&D) Ltd. Custom idle screen for a mobile device
EP1800464A1 (en) * 2004-09-27 2007-06-27 Agere System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ereoscopic imagemaking capability
EP1667471B1 (en) 2004-12-02 2008-02-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hree dimensional display
US20060142053A1 (en) * 2004-12-15 2006-06-2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orporating a lens in a clam shaped housing
US20060168545A1 (en) * 2005-01-25 2006-07-2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idle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8208954B1 (en) 2005-04-08 2012-06-2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KR100709423B1 (ko) * 2005-04-12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47958B1 (ko) * 2005-06-15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006173A (ja) * 2005-06-24 2007-01-11 Fujitsu Ltd 電子装置、画面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49523B1 (ko) * 2005-06-30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0913173B1 (ko) 2005-07-05 2009-08-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3d 그래픽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8279221B2 (en) 2005-08-05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3D graphics processor and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894535B2 (en) * 2005-08-23 2011-0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or playing multicasted video signals in multiple display formats
US8049678B2 (en) * 2005-09-09 2011-11-01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WO2007036816A2 (en) 2005-09-28 2007-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2d/3d switchable display device
PL1967017T3 (pl) * 2005-12-20 2020-06-01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kopowe urządzenie wyświetlające
KR101210887B1 (ko) * 2005-12-22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A2534045A1 (en) * 2006-01-26 2007-07-26 Keith Bushfield System for loca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JP4654925B2 (ja) * 2006-01-31 2011-03-2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2007295547A (ja) * 2006-03-31 2007-11-08 Nik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US8358273B2 (en) *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CN100514183C (zh) * 2006-05-29 2009-07-15 晶荧光学科技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
JP5055570B2 (ja) * 2006-08-08 2012-10-24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画像記憶装置
US8295455B2 (en) * 2006-08-21 2012-10-23 Via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processor having integrated phone functionality
JP4669482B2 (ja) * 2006-09-29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並びに電子機器
EP2076830A4 (en) * 2006-10-27 2013-07-17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MOVEMENT WITHIN A THREE-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US8108782B2 (en) * 2006-11-09 2012-01-31 Motorola Mobility, Inc. Display managem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US7589629B2 (en) 2007-02-28 2009-09-15 Apple Inc. Event recorder for portable media device
US7890089B1 (en) 2007-05-03 2011-02-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559983B1 (en) 2007-05-03 2013-10-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GB0718607D0 (en) * 2007-05-16 2007-10-31 Seereal Technologies Sa Holograms
US8218211B2 (en) 2007-05-16 2012-07-10 Seereal Technologies S.A. Holographic display with a variable beam deflection
JP4720785B2 (ja) * 2007-05-21 2011-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76273B1 (en)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GB0720484D0 (en) * 2007-10-19 2007-11-28 Seereal Technologies Sa Cells
EP2180666A4 (en) * 2007-10-24 2012-04-04 Nec Corp MOBILE TERMINAL DEVICE AND ITS EVENT NOTIFICATION METHOD
US8639214B1 (en)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72935B1 (en) 2007-10-29 2013-06-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5304172B2 (ja) * 2007-12-04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US8744720B1 (en) 2007-12-27 2014-06-03 Iwao Fujisaki Inter-vehicle middle point maintaining implementer
KR101024191B1 (ko) * 2008-01-24 2011-03-22 손대업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JP2009246625A (ja) * 2008-03-31 2009-10-22 Fujifilm Corp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46828B1 (ko) * 2008-06-10 201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2307B1 (en) 2008-07-02 2013-05-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06849A1 (en) * 2008-12-28 2009-04-23 Hengning Wu Portable Computer
US20100186234A1 (en) 2009-01-28 2010-07-29 Yehuda Binder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JP4915457B2 (ja) * 2009-04-03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89725A1 (en) * 2009-05-14 2010-11-18 Levine Robert A Apparatus for holding an image display device for viewing multi-dimensional images
CN102197655B (zh) * 2009-06-10 2014-03-12 Lg电子株式会社 暂停模式中的立体图像再现方法及使用该方法的立体图像再现装置
JP2011101229A (ja) * 2009-11-06 2011-05-1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出力装置、および送信装置
EP2430838A4 (en) 2009-06-16 2017-03-15 LG Electronics Inc. 3d display device and selective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KR20100135032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의 3차원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JP5276536B2 (ja) * 2009-07-16 2013-08-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5438412B2 (ja) * 2009-07-22 2014-03-1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ゲーム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44424A (ko) * 2009-10-23 201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4388B1 (ko) * 2009-12-07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218644B2 (en) 2009-12-17 2015-12-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2D video display based on 3D video input
US8605006B2 (en) 2009-12-23 2013-12-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for display
JP5457465B2 (ja) * 2009-12-28 2014-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と方法、送信装置と方法、及び受信装置と方法
US9106925B2 (en) * 2010-01-11 2015-08-11 Ubiquity Holdings, Inc. WEAV video compression system
JP5898842B2 (ja) 2010-01-14 2016-04-06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ゲーム装置
EP2355526A3 (en)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TW201128420A (en) * 2010-02-12 2011-08-16 Kuo-Ching Chiang Visual image searching method
JP5488056B2 (ja) * 2010-03-03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07151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체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8908015B2 (en) 2010-03-24 2014-12-09 Appcessor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US9237366B2 (en) 2010-04-16 2016-01-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3D television program materials
WO2011148226A1 (en) * 2010-05-25 2011-12-01 Nokia Coproration A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displaying volumetric images
CN102263966A (zh) * 2010-05-28 2011-11-30 宏碁股份有限公司 三维影像显示器、显示系统及其显示参数调整方法
US8384770B2 (en) 2010-06-02 2013-02-26 Nintendo Co., Ltd.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709497B1 (ko) * 2010-07-29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16151B1 (ko) * 2010-07-30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8534B1 (ko) * 2010-07-30 2016-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20044416A1 (en) * 2010-08-18 2012-02-23 Motiondrive Ag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r single-use cameras
US8670065B2 (en) 2010-08-18 2014-03-11 DigiDays, AG Methods and systems for cameras with a disposable housing
KR101633336B1 (ko) * 2010-10-01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62131B2 (ja) 2010-10-29 2014-04-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20120062589A (ko) * 2010-12-06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6021296B2 (ja) 2010-12-16 2016-11-09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2693060B (zh) * 2011-03-22 2015-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状态切换的方法、装置及终端
JP5058354B1 (ja) * 2011-04-1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316338B (zh) * 2011-05-16 2013-11-06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2d-3d显示模式切换的方法和相应的显示设备
CN102316340B (zh) * 2011-05-16 2013-10-09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2d-3d显示模式切换的方法和相应的显示设备
JP2013016116A (ja) * 2011-07-06 2013-01-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72865B1 (ko) * 2012-03-0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0067535B2 (en) * 2012-09-28 2018-09-04 Apple Inc. Multiple-element light-bending structures for minimizing display borders
CN104182136A (zh) * 2013-05-23 2014-12-03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学图像查看界面的显示与切换方法及其界面
KR101383381B1 (ko) * 2013-07-22 2014-04-17 주식회사 팬택 3d 객체 처리 장치
KR102168671B1 (ko) * 2014-09-24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9460690B (zh) * 2017-09-01 2022-10-14 虹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模式识别的方法和装置
TWI678912B (zh) * 2018-12-19 2019-12-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2188181B (zh) * 2019-07-02 2023-07-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设备、立体图像处理电路及其同步信号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3381A (ja) * 1986-06-11 1987-12-19 Toshiba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CA2069976A1 (en) * 1991-05-31 1992-12-01 Shin-Ichi Nakazawa Retrieval system for graphic information
JPH05122733A (ja)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JPH07236174A (ja) 1994-02-22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JP3091629B2 (ja) 1994-04-12 2000-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GB2296400A (en) * 1994-12-16 1996-06-26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having a high resolution 2D mode
JP2951264B2 (ja) * 1995-05-24 1999-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JP3229824B2 (ja) * 1995-11-15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3679506B2 (ja) * 1996-06-03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H1074267A (ja) 1996-07-03 1998-03-17 Canon Inc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452472B2 (ja) 1996-09-12 2003-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ララックスバリヤおよびディスプレイ
GB2321815A (en) *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JPH10221646A (ja) 1997-02-10 1998-08-21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H10221637A (ja) 1997-02-10 1998-08-21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H10239641A (ja) 1997-02-27 1998-09-11 Sharp Corp 偏光眼鏡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WO1998052176A1 (fr) * 1997-05-09 1998-11-19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Dispositif de base de donnees pour cartes, dispositif d'affichar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cartes comportant et utilisant efficacement les donnees de hauteur
JP3443293B2 (ja) 1997-08-29 2003-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11164328A (ja) 1997-11-27 1999-06-18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JP3646969B2 (ja) * 1998-05-25 2005-05-11 富士通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
JP4149037B2 (ja) * 1998-06-04 2008-09-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システム
JP2000102038A (ja) 1998-09-18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US6859219B1 (en) * 1999-10-08 2005-02-22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JP2001136247A (ja)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TW496043B (en) * 2000-01-27 2002-07-21 Kyocera Corp Portable wireless equipment
JP2001251403A (ja) 2000-03-07 2001-09-14 Sony Corp 電話装置
JP2001258051A (ja) 2000-03-14 2001-09-21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1330713A (ja) 2000-05-22 2001-11-30 Namco Ltd フィルター、および、電子機器
JP3554257B2 (ja) 2000-07-31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3685746B2 (ja) 2000-10-18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及び発呼方法
JP2002171189A (ja)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2002372929A (ja) 2001-06-13 2002-12-26 Namco Ltd 両面表示ディスプレイおよび電子機器
US6755533B2 (en) * 2001-11-29 2004-06-29 Palm, Inc. Moveable display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creation
JP2003259395A (ja) 2002-03-06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表示方法及び立体表示装置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659206B1 (ko) * 2002-08-20 2006-12-19 가즈나리 에라 입체 화상을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4573496B2 (ja) 2002-09-13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機器
JP3973525B2 (ja) * 2002-09-24 2007-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580A (ko) 2004-03-24
CN1496177A (zh) 2004-05-12
CN1270567C (zh) 2006-08-16
EP1403759A3 (en) 2007-04-04
US7268747B2 (en) 2007-09-11
EP1403759A2 (en) 2004-03-31
US20040223049A1 (en)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991B1 (ko)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3973525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EP1387582B1 (en) Portable device displaying an image provided by photographing
AU20042424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3967251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0252186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5821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5331751B2 (ja) 携帯電話機
JP2004109330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5151162A (ja) 撮像装置
JP4093832B2 (ja) 携帯機器
JP3935812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KR20040004161A (ko) 입체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정보 기기
JP2007081592A (ja) 携帯電話機
JP2005077936A (ja) 電子機器
JP2005039400A (ja) 電子機器
JP2004112175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4231804B2 (ja) 携帯端末
JP2004112174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
JP2005323188A (ja) 携帯電話機
JP4205141B2 (ja) 携帯機器
JP4156653B2 (ja) 携帯機器
JP2004129029A (ja) 携帯機器
JP200603337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