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191B1 -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191B1
KR101024191B1 KR1020080115580A KR20080115580A KR101024191B1 KR 101024191 B1 KR101024191 B1 KR 101024191B1 KR 1020080115580 A KR1020080115580 A KR 1020080115580A KR 20080115580 A KR20080115580 A KR 20080115580A KR 101024191 B1 KR101024191 B1 KR 10102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lighting device
hat
groov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088A (ko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손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업 filed Critical 손대업
Priority to CA271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CA2712942C/en
Priority to PCT/KR2009/000383 priority patent/WO2009093874A2/en
Priority to EP09704838.3A priority patent/EP2235438B1/en
Priority to CN200980102843XA priority patent/CN101952652B/zh
Priority to JP2010544232A priority patent/JP5431366B2/ja
Priority to US12/864,661 priority patent/US8562170B2/en
Priority to AU2009206863A priority patent/AU2009206863B2/en
Priority to CN201210204371.2A priority patent/CN102777847B/zh
Publication of KR2009008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91B1/ko
Priority to HK11107428.4A priority patent/HK1153526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21V21/0885Clips; Clam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1/244Means for mount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4Hea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복수개의 제2램프(22)가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23)가 부착되며, 내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중앙에 가이드홈(20)이 형성되며, 외면에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된 케이스(2)와; 전면에 제1램프(2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에 결합된 서브몸체(4)와; 상기 제1램프(2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점등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램프가 형성된 서브몸체를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램프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사거리 및 조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서브몸체는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조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하며, 서브몸체가 케이스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주머니 등에 고정시켜 전방을 조사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자, 챙, 부착, 클립, 조명, 회전

Description

모자부착형 조명장치{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본 발명은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중에는 태양광선을 피하여 얼굴을 보호하고, 흐르는 땀을 예방하고자 모자를 착용한다.
상기 모자의 챙에 발광수단을 장착할 경우 양 손이 자유로우므로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고, 눈과 동일한 방향을 조사할 수 있어 시야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모자의 챙에 착용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12151호에 게시된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출원한 바 있으며, 해당 고안은 미국특허 7,118,241 및 7,163,309 그리고 캐나다 특허 2,533,295 를 득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은, 케이스(22)가 몸체를 이루되, 이 케이스(22)의 전방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램프(24)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2)의 일측에는 스위치 수단(26)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2)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면측에는 그 일측단이 상기 케이스(22)와 일체결합되어 자체탄성을 갖는 클립(28)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전방측에 설치된 램프가 단일의 스위치 수단에 의하여 모두 동시에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제한이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램프의 조사거리 또는 조사량을 조절하거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배낭이나 주머니에 휴대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스위치가 온상태가 될 경우 전체 램프가 모두 점등되게 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램프가 모두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사방향을 바꾸고 싶을 때, 특히 눈 아래를 볼때에는 반드시 머리를 숙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원거리를 조사하는 경우보다 근거리를 조사하는 경우에는 램프의 조사량이 적어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종래 기술은 그러한 조사량의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0312151호의 개량발명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램프 중 일부의 램프는 전후진 또는 상하 동작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상기 독립된 램프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상하로 조사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상기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램프의 조사량도 변화할 수 있게 하는 편의성이 향상된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일부의 램프는 타 램프에 비하여 보다 강한 조사량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할 램프의 조합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게 해주면서 배터리도 절약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점등수단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실수로 전원스위치가 켜지게 되더라도 배터리가 쉽게 소진되지 않도록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 점등수단이 구비된 램프에 독립된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주 배터리가 소진됨과 무관하게 계속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일부의 램프의 각도가 직각이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가슴 주머니 등에 조명장치를 고정시켜 전방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복수개의 제2램프가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가 부착되며, 내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중앙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외면에 장착용 클립이 형성된 케이스와; 전면에 제1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서브몸체와; 상기 서브몸체의 전진시 제1램프가 켜지고, 후진시 꺼지도록 형성된 점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램프가 형성된 서브몸체를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램프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사거리 및 조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서브몸체는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조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하며, 서브몸체가 케이스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주머니나 벨트 등에 고정시켜 전방을 조사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으로는 구조신호로 점멸시킬 수 있고, 보행자의 발 아래로 빛을 조사하면서 보행을 도와주는 복합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1램프의 점등수단이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배터리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A)는,
전면에 복수개의 제2램프(22)가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23)가 부착되며, 내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중앙에 가이드홈(20)이 형성되며, 외면에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된 케이스(2)와;
전면에 제1램프(2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에 결합되어 전후진 및 회전작동되는 서브몸체(4)와;
상기 제1램프(2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점등수단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는 상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면에서 이격되어 상면과 평행되게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내측을 향해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0)의 양측으로 제2램프(22)가 각기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며, 외면 일측에는 전원스위치(2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0)은 케이스(2)의 중앙을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가이드홈(20)의 내측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202)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상기 가이드홈(20)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홈(20)의 상부에는 케이스(2)의 상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덮개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몸체(4)는, 전면에 제1램프(24)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20)에 삽입된 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몸체(4)의 전진작동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동작을 의미하며, 후진작동은 인입되는 동작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상기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의 일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0)의 측면에 레일홈(202)이 형성되고, 서브몸체(4)에는 돌기(45)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레일홈(202)에 돌기(45)가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서브몸체(4)가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가 되도록 케이스(2)의 상/하면이 각각 연장되는 덮개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상기 레일홈(202)는 측면이 아닌 상기 덮개면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기(45)는 서브몸체(4)의 상/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공지의 다양한 전/후진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서브몸체(4)가 회전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서브몸체(4)의 전진시 제1램프(24)가 켜지고, 후진시 꺼지도록 한다.
상기 점등수단의 일 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홈(202)의 전방에 설치된 제 1접점(205)과 상기 서브몸체(4)의 돌기(45)의 외주에 형성된 제 2접점(20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서브몸체(4)가 전진시 제 2접점(206)과 제 1접점(205)이 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제1램프(24)가 켜지게 되며, 서브몸체(4)의 후진시 제 1 및 제 2접점(205,206)의 분리에 의해 제1램프(24)가 꺼지게 된다.
이와 상반되게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서브몸체(4)의 전진시 제1램프(24)가 꺼지고, 후진시 켜지도록 설정될수도 있다. 즉, 제 1접점(205)이 레일홈(202)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서브몸체(4)의 후진시 제 1 및 제 2접점(205,206)이 접촉됨으로써 제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또는 서브몸체(4) 및 가이드홈(20)의 후방에 접점들이 대응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몸체(4)에는 회전부(27)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7)에 의해 회전될 수 있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서브몸체(4)가 전진 또는 후진된 채 제1램프(24)가 켜진 상태에서 서브몸체(4)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하방에 대해 조사시킬 수 있어 근거리의 사물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7)의 일 예로는 서브몸체(4)의 후방에 형성된 제 1치차(271)와, 상기 제 1치차(271)에 치합되는 제 2치차(27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서브몸체(4)에는 전진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7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7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치차(272)의 양측면에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20)의 전방 양측면에 요홈(2024)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요홈(2024)은 레일홈(202)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제 2치차(272)의 양측면에 형성된 축봉의 단부에 매설된 강구(2721)와,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매설된 스프링(272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서브몸체(4)를 전진시키면 제 2치차(272)가 동반하여 전진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요홈(2024)에 삽입됨으로써 전진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720)에 있어서의 요홈(2024)을 가이드홈(20)의 후방 양측면에 추가로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브몸체(4)가 후진된 상태에서도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수단(2720)에 있어서의 돌출부재와 요홈(2024)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제 2치차(272)의 양측면과 레일홈(202)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27)에는 상기 서브몸체(4)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램프(24)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밝기조절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몸체(4)를 하방으로 회전시킬수록 밝기가 약하고, 상방으로 회전시킬수록 밝기가 강해지도록 한다.
즉, 하방은 근거리 조사용이므로 밝기를 약화시켜도 되고, 상방은 원거리 조사용이므로 밝기의 세기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근거리를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밝기조절수단은 통상의 조명등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다만, 상기 밝기조절은 회전부(27)가다접점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제 2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램프(24)는 제2램프(22)보다 밝은 고휘도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상황에 따라 램프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가 소진될 경우를 대비해서 상기 서브몸체(4)에는 보조배터리가 더 내장되거나, 보조스위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2) 내에 제1램프(24)를 위한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더 내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소진에 의해 제2램프(22)가 켜지지 않을 경우에도 보조배터리에 의해 서브몸체(4)의 제1램프(24)는 발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케이스(2)의 가이드홈(20) 내에 서브몸체(4)를 삽입하여, 돌기(45)를 레일홈(202)에 끼워 결합한다.
이후, 케이스(2) 내에 배터리를 내장한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의 조명장치(A)를 장착용 클립(26)을 이용하여 모자의 챙에 결합시킨다.
이후, 전원스위치(23)를 켜면 제2램프(22)가 켜지게 되나 제1램프(24)는 꺼져있다.
제1램프(24)를 켜기 위해 서브몸체(4)를 전진시키면 제 1 및 제 2접점(205,206)이 접촉됨으로써 제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몸체(4)를 후진시켰을 때 제1램프(24)가 켜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온/오프작동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사용자가 서브몸체(4)를 회전시켜 적절한 조사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서브몸체(4)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램프(24)의 밝기가 약해지고,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밝기는 강해지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그 반대가 되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밝기가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주머니에 휴대 중 전원스위치(23)가 켜지게 되더라도 제2램프(22)는 켜지나 제1램프(24)는 꺼져 있으므로 배터리의 소진이 지연될 수 있으며, 대개 배터리가 완전 소진되기 전에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완전 소진을 방지할 수 있어 조명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서브몸체(4)를 위한 보조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제2램프(22)의 밝기가 다소 저하되더라도 제1램프(24)의 성능은 온전히 유지된 상태이므로 조명기능은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2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점등수단을 나타낸 확대도면으로써, 도 6은 서브몸체가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서브몸체가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서브몸체가 하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서브몸체가 수직되게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점등수단은,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전극판(500)에 형성된 양극단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와, 상기 서브몸체(4)에 형성되며 상기 양극단 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와 접촉되는 음극판(71) 및 제 1 내지 제 3양극판(72~74)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극단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는 서브몸체(4)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배터리에 연결된 메인전극판(500)으로부터 켄틸레버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판(71) 및 제 1 내지 제 3양극판(72~74)은 띠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음극판(71)은 서브몸체(4)의 후방에 가장 길게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양극판(72~74)은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특히, 음극판(71)은 양극단자(51)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양극판(72~74)은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몸체(4)가 인출되었을때 상기 음극판(71)과 양극단자(51)가 접촉되고, 제 1양극판(72)과 제 1음극단자(52)가 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역으로, 상기 서브몸체(4)가 후진하면, 상기 음극판(71)과 양극단자(51) 및 제 1양극판(72)과 제 1음극단자(52)가 분리되어 단전됨으로써 제1램프(24)가 꺼지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브몸체(4) 후방의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탄성돌출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홈은 회전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서브몸체(4)의 후단에 다수로 형 성된 제 1 내지 제 3홈(4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출부(50)는 상기 고정홈(40) 및 제 1 내지 제 3홈(41~43)에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서브몸체(4)의 후단에는 호형의 곡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홈(41)은 서브몸체(4)의 후방측 상부 수평면에 형성되되, 제 2 및 제 3음극단자(53,5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8 참조).
상기 제 1홈(41)의 전방에는 서브몸체(4)가 후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돌출부(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40)이 다수로 형성된다(도 8 참조).
상기 고정홈(40)은 상기 양극단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홈(42)은 서브몸체(4)의 상부 수평면과 후단 곡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형성되며, 특히 제 1 및 제 3음극단자(52,5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제 3홈(43)은 후단 곡면부의 정중앙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2음극단자(52,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돌출부(50)는 상기 양극단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의 끝단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시켰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돌출부(50) 및 홈(40~43)은 가이드홈(20) 내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서브몸체(4)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브몸체(4)를 후진시키면 고정홈(40) 내에 상기 양극단자(51) 및 제 1 내지 제 3음극단자(52~54)의 탄성돌출부(50)가 삽입되어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때는 제 1램프(24)는 오프된 상태이다.
이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브몸체(4)를 전진시켜 제 1홈(41)에 제 2 및 제 3음극단자(53,54)의 탄성돌출부(50)가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양극단자(51)가 음극판(71)에 접촉되고, 제 1음극단자(52)가 제 1양극판(72)에 접촉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제 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몸체(4)를 하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제 2홈(42)에 제 1음극단자(52) 및 제 3음극단자(54)의 탄성돌출부(5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회전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양극단자(51)는 여전히 음극판(71)에 접촉되고, 제 2음극단자(53)가 제 2양극판(73)에 접촉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제 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이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몸체(4)를 더 회전시켜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면, 제 3홈(43)에 제 1음극단자(52) 및 제 2음극단자(53)의 탄성돌출부(50)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양극단자(51)는 여전히 음극판(71)에 접촉되고, 제 3음극단자(54)가 제 3양극판(74)에 접촉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제 1램프(24)가 켜지게 된다.
물론, 상기 서브몸체(4)에 형성되는 홈의 갯수 및 설정 각도는 필요에 따라 변경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제 2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서브몸체(4)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램프(24) 밝기의 강약이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밝기의 강약은 이른바 다접점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몸체(4)에 복수개의 단자 및 극판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복수개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계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가 상기 각 접점마다 전류의 양을 다르게 인가시키도록 하면, 상기 서브몸체(4)의 회동에 의해 어느 접점이 연결되느냐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서브몸체(4)가 수평상태로 인출되었을때가 가장 밝은 세기로 제 1램프(24)가 발광된다.
도 7과 같이, 서브몸체(4)가 경사지게 회전되었을때 보다 약한 세기로 제 1램프(24)가 발광된다.
도 8과 같이, 서브몸체(4)가 수직으로 회전되었을때 가장 약한 세기로 제 1램프(24)가 발광된다.
물론 이러한 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밝기의 조절단계는 자유로이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3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의 배터리커버를 분리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A3)는,
제2램프(42a)가 장착된 고정발광부(5a)가 전방에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25a)가 형성되며, 후방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장착용 클립(26a)이 형성된 케이스(2a)와;
전방에 제1램프(41a)가 장착되고, 케이스(2a)에 형성된 가이드홈(3a)에 결합되어 전,후진작동에 의해 온/오프되고, 회전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서브몸체(4a)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스위치(25a)는 케이스(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발광부(5a)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및 제2램프(41a,42a)는 LED가 사용되며, 밝기가 다를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몸체(4a)는, 일측에 회전부가 형성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스(2a)에 형성된 가이드홈(3a)과, 상기 가이드홈(3a)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서브몸체(4a)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0a)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a)은 시작부위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30a)와, 상기 수 평부(30a)에 연결되며 호형으로 만곡진 굴곡부(36a)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0a)의 일단에는 돌기(40a)가 걸리도록 하부에 요홈(35a)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a)에는 각도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40a)와 접촉되는 다수의 돌턱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턱의 갯수를 3개로 설정하였으며, 설명의 편의상 제 1 내지 제 3돌턱(31a~33a)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돌턱(31a)은 상기 요홈(35a)에서부터 인출되어 수평부(30a)를 타고 수평으로 전진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부(30a)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돌턱(32a)은 돌기(40a)가 하방으로 45°가량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굴곡부(36a)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 3돌턱(33a)은 굴곡부(36a)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90°로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굴곡부(36a)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서브몸체(4a)의 외면에는 다수의 환형요철(42a)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여 인입 및 회전조작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서브몸체(4a)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톱끝을 끼우기 용이하도록 호형의 조작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자에 장착용 클립(26a)을 끼워 본 발명 물품을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엄지손톱을 서브몸체(4a)의 조작홈(43a)에 끼운 후 밀어 전진시킬 수 있고, 서브몸체(4a)의 환형요철(42a)을 파지한 채 회전시킴으로써 각도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본 제 3실시예(A3)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A1)에서처럼 상기 서브몸체(4a) 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램프(41a)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밝기조절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밝기조절수단의 작동예는 서브몸체(4a)를 하방으로 회전시킬수록 밝기가 약하고, 상방으로 회전시킬수록 밝기가 강해지도록 한다.
즉, 하방은 근거리 조사용이므로 밝기를 약화시켜도 되고, 상방은 원거리 조사용이므로 밝기의 세기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근거리를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밝기의 조절이 상기한 방식과 상반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몸체(4a)에 형성된 밝기조절수단 및 점등수단의 상세한 예는 상기 제 2실시예(A2)의 설명을 통해 이미 기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해보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케이스(2a)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22a)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22a)를 덮되 개폐해서 배터리 교환은 할 수 있되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커버(23a)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22a)는 배터리(b)에 접촉되는 +,- 접지단자(미도시)가 내측의 상,하부에 형성되고, 양측에 커버(23a)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공(221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23a)는 배터리 수용부(22a)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판상이며, 전 단 양측에 상기 결합장공(221a)에 삽입되는 단턱(233a)을 갖는 일정 길이의 리드부(232a)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리드부(232a)의 단턱(233a)이 결합장공(221a)에 삽입되어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케이스(2a)와 결합되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3a)를 후방으로 빼내어 결합장공(221a)의 길이만큼 후진시킨 후 단턱(233a)을 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시켜 배터리(b)를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23a)는 하방으로 회전시킬 때 그 끝단이 내장된 배터리(b)의 전단을 눌러주게 되어 배터리(b)의 후단이 상부로 들리도록 함으로써 배터리(b)를 손가락으로 협지하기 쉬어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해보면, 상기 케이스(2a)에는 배터리 수용부(22a)의 전단에 통하며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의 돌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3a)의 전단 중앙부에는 상기 돌출부(21a)로 삽입되는 반원턱(234a)을 형성함으로써 커버(23a)의 후단을 하방으로 회전시켰을때 상기 반원턱(234a)도 동반 회전되어 배터리(b)의 전단을 누르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4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배면 분해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의 배터리커버를 결합시킨 후 온/오프 작동시키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 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A4)는,
서브몸체(4b)가 힌지결합되는 결합부(23b)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x)가 형성되며, 상부 외면에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된 케이스(2b)와;
단수 또는 다수의 제1램프(41b)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23b)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서브몸체(4b)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x)는, 상부가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22b)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22b)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온/오프기능을 수행하는 배터리 커버(23b)로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해보면, 상기 서브몸체(4b)는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23b)에 형성된 힌지축핀(22b)에 후방 측면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서브몸체(4b)는, 외측면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기(43b)가 형성되고, 상부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에 마찰접촉되는 돌출된 터미널(44b)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44b)은 만곡지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배선이 지나갈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 외면의 중간에는 서브몸체(4b)가 45°의 회전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평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돌기(232b)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가이드돌기(232b)가 상기 터미널(44b)의 외면 및 평면부와 마찰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브몸체(4b)를 회전시키면 터미널(44b)이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 가이드돌기(232b)에 마찰접촉되면서 회전되는데, 이때 발생된 마찰력으로 서브몸체(4b)가 헐거워지지 않으면서 적정한 힘으로 회전될 수 있고 평면부와 결합부(23b)의 내면의 접촉에 의해 45°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돌기(232b)에 의해 박판형태의 결합부(23b)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고, 상기 서브몸체(4b)의 터미널(44b)과 접촉시 접촉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마찰을 줄여줄 수 있으며, 마모에 의한 수명단축으로 연장시켜줄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232b)가 없는 경우 서브몸체(4b)의 터미널(44b)이 직접 케이스(2b)의 결합부(23b) 내면에 접촉되고, 잦은 회전조작에 의해 결합부(23b)의 내면이 파여지고 터미널(44b)의 외면이 마모되면 서브몸체(4b)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수명이 다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돌기(232b)를 더 형성시킴으로써 가이드돌기(232b)가 마모될때까지의 수명과, 케이스(2b)의 결합부(23b) 내면이 마모될때까지 수명을 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수명이 배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서브몸체(4b)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직선홈(42b)이 형성되어 있어 시야의 확보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해보면, 상기 배터리 수용부(22b)는 원형이며,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체결홈(221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21b)과 통하며 수직으로 파여 형성된 끼움홈(222b)이 형성되며, 하부에 - 접지단자(223b)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 접지단자(224b)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23b)는 내면 중앙에 배터리의 +극에 접촉되는 접지부재(5b)가 설치되고, 상기 접지부재(5b)는 다수의 접지다리(52b)와, 상기 + 접지단자(224b)에 접촉되는 통전단자(54b)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홈(222b)에 끼워지는 돌출단턱(232b)이 이격 형성되고, 호형의 끼움환턱(233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단턱(232b)이 배터리 수용부(22b)의 끼움홈(222b)에 삽입된 후 배터리 커버(23b)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여 돌출단턱(232b) 및 끼움환턱(233b)이 체결홈(221b)을 타고 회전됨으로써 잠김상태가 된다.
상기 돌출단턱(232b) 및 끼움홈(222b)은 180°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2개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접지부재(5b)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중앙돌기축(234b)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축(234b)의 일측에 보조돌기축(235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접지부재(5b)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돌기축(234b)이 끼워지는 중심공(55b)과, 상기 중심공(55b)의 일측에 상기 보조돌기축(235b)에 끼워지는 보조끼움공(56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재(5b)의 중심공(55b)에 중앙돌기축(234b)을 끼우고, 보조끼움공(56b)에 보조돌기축(235b)을 끼우면, 접지부재(5b)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외면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36b)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236b)는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채꼴형상이며, 상부로 도드라져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23b)의 외경보다 더 돌출 형성됨으로써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였다(도 16 참조).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236b)와 대향되는 위치에 파지돌기(237b)를 더 형성시켜 사용자가 엄지를 손잡이(236b)에 걸고, 검지를 파지돌기(237b)에 걸어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배터리 커버의 결합 및 전원의 온/오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배터리 수용부(22b)에 배터리 커버(23b)를 덮어 삽입한다(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때를 0°라고 가정한다). 이때, 돌출단턱(232b)이 끼움홈(222b)에 삽입된다.
이후, 배터리 커버(23b)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잠김상태가 된다(도 17 참조). 즉, 배터리 커버(23b)의 돌출단턱(232b) 및 끼움환턱(233b)이 배터리 수용부(22b)의 체결홈(221b)을 타고 회전됨으로써 잠김상태가 된다.
이후,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3b)를 시계방향으로 45°더 회전시키면 통전단자(54b)가 + 접지단자(224b)에 접촉되어 통전됨으로써 전원이 온(on)상태가 된다.
즉, 최초 배터리 커버(23b)를 결합시킨 후 전원의 온(on)상태가 될때까지 약 135°정도 회전시키면 된다.
이후, 배터리 커버(23b)를 반시계 방향으로 -45°역회전 시키면 통전단자(54b)와 + 접지단자(224b)의 접촉이 분리됨으로써 전원이 오프(off)되고, 동시에 잠김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스위치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배터리 커버(23b)가 스위치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고, 경량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점등수단을 나타낸 확대도면으로써, 도 6은 서브몸체가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서브몸체가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서브몸체가 하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서브몸체가 수직되게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의 배터리커버를 분리하는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사시도이 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에 대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모자부착형 조명장치의 배터리커버를 결합시킨 후 온/오프 작동시키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4 : 서브몸체
20 : 가이드홈 22 : 제2램프
23 : 전원스위치 24 : 제1램프
26 : 클립 27 : 회전부
45 : 돌기 50 : 탄성돌출부
51 : 양극단자 52 : 제 1음극단자
53 : 제 2음극단자 54 : 제 3음극단자
71 : 음극판 72 : 제 1양극판
73 : 제 2양극판 74 : 제 3양극판
202 : 레일홈 205 : 제 1접점
206 : 제 2접점

Claims (32)

  1. 전면에 복수개의 제2램프(22)가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23)가 부착되며, 내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전면 중앙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0)이 형성되며,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면에서 이격되어 상면과 평행되게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된 케이스(2);
    전면에 제1램프(2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에 결합된 서브몸체(4)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몸체(4)는 일측에 회전부(27)가 형성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2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점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는, 외면에 형성된 돌기(45)가 상기 가이드홈(20)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202)에 결합되어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레일홈(202)에 설치된 제 1접점(205)과, 상기 서브몸체(4)에 형성된 제 2접점(20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 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7)는 상기 서브몸체(4)의 후방에 형성된 제 1치차(271)와, 상기 제 1치차(271)에 치합되는 제 2치차(2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7)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밝기조절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조절수단은 다접점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에는 보조배터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 및 한개 또는 복수개의 음극단자와,
    상기 서브몸체(4)에 형성된 음극판 및 한개 또는 복수개의 양극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에는 전진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7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720)은, 제 2치차(272)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홈(20)의 전방 양측면에 형성된 요홈(20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7)는 서브몸체(4) 후방의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탄성돌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의 후방의 홈은 고정홈(40) 및 제 1 내지 제 3홈(41~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돌출부(50)는 상기 고정홈(40) 및 제 1 내지 제 3홈(41~4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홈(41)은 서브몸체(4)의 후방측 상부 수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40)은 상기 제 1홈(41)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2홈(42)은 서브몸체(4)의 상부 수평면과 후단 곡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 3홈(43)은 서브몸체(4)의 후단 곡면부의 정중앙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6. 제2램프(42a)가 장착된 고정발광부(5a)가 전방에 형성되고, 외면에 전원스위치(25a)가 형성되며, 후방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격되어 탄성을 갖는 장착용 클립(26a)이 형성된 케이스(2a)와;
    제1램프(41a)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2a)에 형성된 가이드홈(3a)에 결합되어 전,후진작동에 의해 온/오프되고, 회전되는 서브몸체(4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a)는, 일측에 회전부가 형성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스(2a)에 형성된 가이드홈(3a)과, 상기 가이드홈(3a)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돌기(4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a)은, 시작부위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30a)와, 상기 수평부(30a)에 연결되며 호형으로 만곡진 굴곡부(36a)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0a)의 일단에는 돌기(40a)가 걸리도록 하부에 요홈(35a)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a)에는 각도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40a)와 접촉되는 다수의 돌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돌턱은, 제 1 내지 제 3돌턱(31a~33a)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돌턱(31a)은 요홈(35a)에서부터 인출되어 수평부(30a)를 타고 수평으로 전진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부(30a)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돌턱(32a)은 돌기(40a)가 하방으로 45°가량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굴곡부(36a)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 3돌턱(33a)은 굴곡부(36a)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90°로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굴곡부(36a)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a)는 회전각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밝기조절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케이스(2a)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22a)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22a)를 덮되 개폐해서 배터리 교환은 할 수 있되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커버(2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22a)는, 배터리(b)에 접촉되는 +,- 접지단자가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고, 양측에 커버(23a)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공(221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a)에는 배터리 수용부(22a)의 전단에 통하며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의 돌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3a)의 전단 양측에는 단턱(233a)을 갖는 일정 길이의 리드부(232a)가 형성되고, 전단 중앙부에는 상기 돌출부(21a)로 삽입되는 반원턱(234a)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커버(23a)의 후단을 상방으로 회전시켰을때 상기 반원턱(234a)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터리(b)를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5. 서브몸체(4b)가 힌지결합되는 결합부(23b)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x)가 형성되며, 상부 외면에 장착용 클립(26)이 형성된 케이스(2b)와;
    단수 또는 다수의 제1램프(41b)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23b)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서브몸체(4b)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x)는, 상부가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22b)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22b)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온/오프기능을 수행하는 배터리 커버(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22b)는 원형이며,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체결홈(221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21b)과 통하며 수직으로 파여 형성된 끼움홈(222b)이 형성되며, 하부에 - 접지단자(223b)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 접지단자(224b)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내면 중앙에는 배터리의 +극에 접촉되는 접지부재(5b)가 설치되고, 상기 접지부재(5b)는 다수의 접지다리(52b)와, 상기 + 접지단자(224b)에 접촉되는 통전단자(54b)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홈(222b)에 끼워지는 돌출단턱(23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54b)는, 상기 배터리 커버(23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때 상기 + 접지단자(224b)에 접촉되어 통전됨으로써 제1램프(41b)가 온(on)작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23b)를 역회전 시키면 + 접지단자(224b)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잠김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1램프(41b)가 오프(off)작동되도록 설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내면 중앙에는 중앙돌기축(234b)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축(234b)의 일측에 보조돌기축(235b)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지부재(5b)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돌기축(234b)이 끼워지는 중심공(55b)과, 상기 중심공(55b)의 일측에 상기 보조돌기축(235b)에 끼워지는 보조끼움공(56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23b)의 외면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36b) 및 파지돌기(237b)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손잡이(236b)는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채꼴형상이며, 상부로 도드라져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23b)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b)는, 외측면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기(43b)가 형성되고, 상부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에 마찰접촉되는 터미널(44b)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터미널(44b)은 만곡지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배선이 지나갈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의 중간에는 상기 서브몸체(4b)의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b)의 결합부(23b)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돌기(232b)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가이드돌기(232b)가 상기 터미널(44b)과 마찰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몸체(4b)의 하부면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직선홈(42b)이 형성되어 있어 시야의 확보가 용이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KR1020080115580A 2008-01-24 2008-11-20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KR10102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383 WO2009093874A2 (en) 2008-01-24 2009-01-23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EP09704838.3A EP2235438B1 (en) 2008-01-24 2009-01-23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CN200980102843XA CN101952652B (zh) 2008-01-24 2009-01-23 待连接到帽子的发光器
JP2010544232A JP5431366B2 (ja) 2008-01-24 2009-01-23 帽子取付型発光具
CA2712942A CA2712942C (en) 2008-01-24 2009-01-23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US12/864,661 US8562170B2 (en) 2008-01-24 2009-01-23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AU2009206863A AU2009206863B2 (en) 2008-01-24 2009-01-23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CN201210204371.2A CN102777847B (zh) 2008-01-24 2009-01-23 待连接到帽子的发光器
HK11107428.4A HK1153526A1 (en) 2008-01-24 2011-07-18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630 2008-01-24
KR1020080007630 2008-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88A KR20090082088A (ko) 2009-07-29
KR101024191B1 true KR101024191B1 (ko) 2011-03-22

Family

ID=4089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580A KR101024191B1 (ko) 2008-01-24 2008-11-20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002437B2 (ko)
EP (1) EP2235438B1 (ko)
JP (1) JP5431366B2 (ko)
KR (1) KR101024191B1 (ko)
CN (2) CN101952652B (ko)
AU (1) AU2009206863B2 (ko)
CA (1) CA2712942C (ko)
HK (1) HK1153526A1 (ko)
WO (1) WO2009093874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74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조명장치
KR20190088954A (ko) 2019-07-22 2019-07-2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조명장치
KR200490855Y1 (ko) * 2018-09-06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모 조명장치
USD917608S1 (en) 2019-06-18 2021-04-27 V.P. Gabriel, Inc. Visor device attachment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11-15 (주)대안기술단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292B2 (en) 2005-05-17 2016-12-27 Michael Waters Power modules and headgear
KR101024191B1 (ko) * 2008-01-24 2011-03-22 손대업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JP2009179897A (ja) * 2008-01-30 2009-08-13 Ssc:Kk つば付帽子装着用ライト
US8783892B2 (en) * 2008-10-16 2014-07-22 Chuan Cheng Hat Co., Ltd. Hat with solar system
CA2753717C (en) 2009-02-27 2016-07-12 Michael Waters Lighted hat
CA2797973A1 (en) 2010-04-30 2011-11-03 Michael Waters Hands free lighting devices
KR200459577Y1 (ko) * 2010-08-30 2012-04-04 용 목 박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
US20120182726A1 (en) * 2011-01-12 2012-07-19 Grace King Clip-on led lamp with solar panel for baseball cap
US8813268B1 (en) 2011-09-05 2014-08-26 Outdoor Cap Company, Inc. Lighted headwear with recessed light source and lens
US9568173B2 (en) 2011-12-23 2017-02-14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526287B2 (en) 2011-12-23 2016-12-27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609902B2 (en) 2011-12-23 2017-04-04 Michael Waters Headgear having a camera device
US9074739B2 (en) 2012-01-06 2015-07-07 Pelican Products, Inc. Flashligh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US8721104B2 (en) * 2012-03-19 2014-05-13 Chuan Cheng Hat Co., Ltd. Hat with angle adjustable solar powered lamp
US10159294B2 (en) 2012-12-19 2018-12-25 Michael Waters Lighted solar hat
US9717633B2 (en) 2013-03-15 2017-08-01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US20140270685A1 (en) * 2013-03-15 2014-09-18 Cam McLean LETKE Personal recording, illuminating, an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US9629435B2 (en) * 2013-06-26 2017-04-25 Antonio Anderson Combination hair wrap, sleep mask, and reading light
US20150113708A1 (en) * 2013-10-30 2015-04-30 Benjamin L. HILL Brim cover
US9366419B2 (en) * 2014-04-01 2016-06-14 John Osborn Self-contained, portable utility light and method
USD770143S1 (en) 2014-05-23 2016-11-01 Michael Waters Beanie with means for illumination
USD780967S1 (en) * 2015-10-06 2017-03-07 Glowzi, Llc Light for video conferencing
US10779597B2 (en) 2015-10-23 2020-09-22 Volmer Enterprises, Inc. Brim clip with communication device
US10104928B2 (en) 2015-10-23 2018-10-23 Volmer Enterprises, Inc. Headwear accessory mounting clip and system
US10980304B2 (en) 2015-10-23 2021-04-20 Volmer Enterprises, Inc. Brim clip with dual lighting systems
US9596926B1 (en) 2015-10-23 2017-03-21 Volmer Enterprises, Inc. Headwear accessory mounting clip
CN106678701A (zh) * 2015-11-09 2017-05-17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照明装置
JP6227695B2 (ja) * 2016-04-04 2017-11-08 株式会社アスカカンパニー ヘッドライト
USD809174S1 (en) * 2016-06-08 2018-01-30 Qinghui Liang Solar powered umbrella lamp
US10492554B2 (en) * 2016-12-22 2019-12-03 Robin Sears Wearable device
KR101850240B1 (ko) * 2017-01-13 2018-04-19 송관호 발광가능한 모자
USD920635S1 (en) * 2018-04-30 2021-06-01 Web Objective Capital Headwear with camera
USD875979S1 (en) 2018-10-10 2020-02-18 Navajo Manufacturing Company, Inc. Cap light
US10465887B1 (en) 2018-10-10 2019-11-05 Navajo Manufacturing Company, Inc. Cap light
GB2582791B (en) * 2019-04-03 2023-01-25 Deacon Geoffrey An illumination device
US10791783B1 (en) 2019-05-16 2020-10-06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1306906B1 (en) * 2020-07-30 2022-04-19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Inc. Hand mounted light
US11287117B2 (en) * 2020-08-03 2022-03-29 First-Light Usa, Llc Frame with clip and locking wire
TWI768456B (zh) * 2020-09-02 2022-06-2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微調機構及使用微調機構之點焊裝置
KR102287290B1 (ko) * 2021-02-08 2021-08-06 정재혁 모자창 거치형 헤드랜턴
KR102412448B1 (ko) * 2022-01-24 2022-07-08 김응호 의료용 헤드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51Y1 (ko) * 2003-01-22 2003-05-09 주식회사 나스켐 클립형 발광기
KR200347751Y1 (ko) * 2004-01-27 2004-04-17 (주)배스트캡 랜턴 착탈용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427A (en) * 1916-05-09 1916-09-05 Thomas C Arnold Light attachment for eye shades or shields.
US2524881A (en) * 1948-05-24 1950-10-10 Chambers Harvey Frederick Combined clasp and lighting implement
US3032647A (en) * 1959-01-22 1962-05-01 Wansky Morris Harold Cap or hat light
US4215389A (en) * 1977-12-12 1980-07-29 Colangelo Fernando M Battery operated light
US4406040A (en) * 1978-11-27 1983-09-27 Cannone Robert P Illumination devices
US4298913A (en) * 1979-11-21 1981-11-03 Lozar Michael J Illuminating apparatus
JPS58124429U (ja) * 1982-02-16 1983-08-24 ヤマト製帽株式会社 帽子つば部に取付ける照明具
GB2183021B (en) * 1985-11-13 1989-11-15 Junichi Nishizawa Lock system
JPH07504350A (ja) * 1992-12-29 1995-05-18 ダイナレイザ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ゴルフスィング等の欠点を判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357409A (en) * 1993-03-12 1994-10-18 Glatt Terry L Illuminated safety helmet
US5460346A (en) * 1993-10-05 1995-10-24 Hirsch; Nathan Article holder
US5485358A (en) * 1994-05-18 1996-01-16 Chien; Tseng L. Universal L.E.D. safety light for head-wear
USD376469S (en) * 1994-06-27 1996-12-17 Dynalaser Technology Inc. Visor accessory
JP3149331B2 (ja) * 1995-01-30 2001-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画像データ処理装置
US5541816A (en) * 1995-06-07 1996-07-30 Miserendino; Nicholas G. Clip light source
USD374731S (en) * 1995-06-29 1996-10-15 Knightlite (UK) Ltd Helmet safety light
US5661798A (en) * 1996-03-13 1997-08-26 E. Lead Electronic Co., Ltd. Back clip structure of a mobile phone
US5911494A (en) * 1996-03-13 1999-06-15 Lary; Banning G. Cap with removable halide light
US5741060A (en) * 1996-08-28 1998-04-21 Johnson; Thomas R. Baseball cap light
KR100282715B1 (ko) 1996-12-06 2001-02-15 정몽규 자동차 해충 퇴치장치
GB2330404A (en) * 1997-10-17 1999-04-21 Alliance Ind Co Limite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wo engageable lighting means
JP3050089U (ja) * 1997-12-22 1998-06-30 鈴木 純一 ライト付き帽子
KR20000000085U (ko) 1998-06-02 2000-01-15 이영희 자동차 진행 방향 표시 장치
US6168286B1 (en) * 1998-08-03 2001-01-02 Paul J. Duffy Brim mounted novelty light for sports caps
US6015217A (en) * 1999-02-02 2000-01-18 Colangelo; David W. Uniform epaulet-coupled emergency flashlight
US6206543B1 (en) * 1999-11-12 2001-03-27 David Vincent Henry Flashlight holder assembly
JP3078987U (ja) * 2001-01-18 2001-07-27 吉福 陳 頭部装着型ナイトランプの構造
US6733150B1 (en) * 2001-04-20 2004-05-11 Edward B. Hanley Headgear with forward illumination
US6719437B2 (en) * 2001-04-25 2004-04-13 Banning Lary Head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6957905B1 (en) * 2001-10-03 2005-10-25 Led Pipe, Inc. Solid state light source
US6612695B2 (en) * 2001-11-07 2003-09-02 Michael Waters Lighted reading glasses
FR2833139A1 (fr) 2001-12-07 2003-06-13 Stm Internat Dispositif portatif eloignant les moustiques et utilisation
JP2003272402A (ja) 2002-03-18 2003-09-26 Hasegawa Denki Kogyo Kk 携帯式照明装置
US6619813B1 (en) * 2002-03-19 2003-09-16 Ip Holdings, Inc. Multi-purpose LED light
JP2003316496A (ja) * 2002-04-23 2003-11-07 Nec Saitama Ltd キー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及び制御回路
US20030201874A1 (en) * 2002-04-24 2003-10-30 Chih-Hsien Wu Shrew-expelling device with illuminating function
US6644829B1 (en) * 2002-05-02 2003-11-11 Optronics, Inc. Rotatable light device and method
US6634031B1 (en) * 2002-06-17 2003-10-21 Thomas P. Schlapkohl Cap mounted light
US6719417B2 (en) * 2002-07-30 2004-04-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ontainer assembly
EP1403759A3 (en) * 2002-09-17 2007-04-04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quipment with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functions
US20040130889A1 (en) * 2002-09-19 2004-07-08 Kinsman William E. Hands free magnification eyewear
US7427149B2 (en) * 2003-01-22 2008-09-23 Dae Up Sohn Clip type light detachably coupled with cap
US7281826B2 (en) * 2003-01-24 2007-10-16 Gem Optical Co., Ltd. Headband with magnifying lens and detachable light
US6721962B1 (en) * 2003-02-19 2004-04-20 Michael Polaire Hat with brim light
JP2004311188A (ja) * 2003-04-07 2004-11-04 Abc Twenty One:Kk 照明具
US7000841B2 (en) * 2003-05-16 2006-02-21 Angel Lighting Llc Lighting apparatus for mounting on hat brim
US20050128737A1 (en) * 2003-12-09 2005-06-16 Francis Pare' Caplight
USD507065S1 (en) * 2004-04-24 2005-07-05 Dae-Up Son Clip-type illuminating lamp
HK1064872A2 (en) * 2004-07-06 2005-01-14 John Mfg Ltd Hand multiple-function focus lamp.
KR200375257Y1 (ko) 2004-11-18 2005-02-07 (주) 사일릭스엘이디 모자에 탈. 부착되는 일체형 엘이디 발광장치
KR200376166Y1 (ko) 2004-11-19 2005-03-09 이영관 골프 볼마크 클립
JP2006185755A (ja) * 2004-12-28 2006-07-13 Pentel Corp クリップ型ledライト
US20060198245A1 (en) * 2005-03-02 2006-09-07 Cheung William S Electronic insect repelling device
US7178933B1 (en) * 2005-09-23 2007-02-20 Louis Chuang Illumining device
KR101024191B1 (ko) * 2008-01-24 2011-03-22 손대업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KR20200000085U (ko)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51Y1 (ko) * 2003-01-22 2003-05-09 주식회사 나스켐 클립형 발광기
KR200347751Y1 (ko) * 2004-01-27 2004-04-17 (주)배스트캡 랜턴 착탈용 모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74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조명장치
KR200490855Y1 (ko) * 2018-09-06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모 조명장치
USD917608S1 (en) 2019-06-18 2021-04-27 V.P. Gabriel, Inc. Visor device attachment
KR20190088954A (ko) 2019-07-22 2019-07-2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조명장치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11-15 (주)대안기술단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0185A (ja) 2011-03-31
EP2235438A4 (en) 2013-04-24
AU2009206863B2 (en) 2011-04-07
EP2235438B1 (en) 2017-04-12
WO2009093874A3 (en) 2009-10-29
CN102777847B (zh) 2014-11-05
JP5431366B2 (ja) 2014-03-05
CN101952652B (zh) 2013-12-11
US20090190333A1 (en) 2009-07-30
CA2712942C (en) 2013-11-12
WO2009093874A2 (en) 2009-07-30
CA2712942A1 (en) 2009-07-30
US8562170B2 (en) 2013-10-22
KR20090082088A (ko) 2009-07-29
CN102777847A (zh) 2012-11-14
AU2009206863A1 (en) 2009-07-30
US8002437B2 (en) 2011-08-23
US20100309655A1 (en) 2010-12-09
CN101952652A (zh) 2011-01-19
HK1153526A1 (en) 2012-03-30
EP2235438A2 (en)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191B1 (ko)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US7926988B2 (en) Pocket flashlight
US8201961B2 (en) Rotatable headlamp
US20140085876A1 (en) Handheld work light including adjustable light focusing or scattering mechanism
US20240027058A1 (en) Headlamp with detachable light assembly
JP2013518392A (ja) 折りたたみ式スポットライト
JP2006190625A (ja) 携帯電灯
US7182490B2 (en) Structure of illumination apparatus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CN213664038U (zh) 一种照明伞具
US20100027252A1 (en) Decorative Object Connectable to a Connected Object
KR101193214B1 (ko) 촛점 조절 가능한 후레쉬
JP6785566B2 (ja) 照明器具
KR101613352B1 (ko) 휴대용 랜턴
CN209960254U (zh) 一种便捷式维修灯
CN213361968U (zh) 一种挂颈式灯
KR101850240B1 (ko) 발광가능한 모자
CN210069690U (zh) 一种维修灯
KR101453512B1 (ko) 발광이 가능한 옷핀
JP2006210030A (ja) ヘッドランプ
JP5779429B2 (ja) 発光器
CN209916601U (zh) 一种抓痒器
KR20050083502A (ko) 발광찌
KR19990083741A (ko) 낚시용손목전등
KR101410307B1 (ko) 핸드헬드 발광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