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41B1 -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 Google Patents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41B1
KR102601741B1 KR1020230101586A KR20230101586A KR102601741B1 KR 102601741 B1 KR102601741 B1 KR 102601741B1 KR 1020230101586 A KR1020230101586 A KR 1020230101586A KR 20230101586 A KR20230101586 A KR 20230101586A KR 102601741 B1 KR102601741 B1 KR 10260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control unit
chest
wo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민수
Original Assignee
(주)대안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안기술단 filed Critical (주)대안기술단
Priority to KR102023010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for flas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에 관한 것으로, 랜턴몸체(120)에 구비되며, 다기능 랜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0a); 다기능 랜턴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102);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전기 기능의 마이크 및 스피커(103); 다기능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6);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라디오(110);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경보기(111);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시켜 앞을 비추는 LED램프(112); 및 사용자의 어깨와 허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랜턴몸체(120)를 가슴쪽 위치에 밀착시키도록 한 멜빵(150);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고, 특히 시설물의 안전진단 조사시 어두운 교량 내부, 터널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A multifunctional lantern worn on the ches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고, 특히 시설물의 안전진단 조사시 어두운 교량 내부, 터널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지하다시피 랜턴은 전방을 빚쳐주는 전등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LED램프가 다수를 차지한다.
종래 상기 렌턴은 손전등, 헤드렌턴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렌턴의 불빛이 가슴쪽에서 비추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렌턴 또는 손전등을 들고 길을 비추거나 확인할 곳을 비추기 때문에 양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 중 헤드렌턴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각종 서류(설계도면)를 보면서 메모를 할 경우 헤드렌턴에서 비추는 불빛의 각도와 메모하는 설계도면의 각도가 상호 맞지 않아서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즉, 사용자가 보아야 할 곳을 정확하게 비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은 필기구를 착탈시키는 기술이 없고, 마이크 및 스피커, 리디오, 경보기, 바이브레이터, GPS, 레이저거리측정기,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 초음파 해충퇴치기, 마스크 및 이어폰의 기술 들이 없기 때문에 렌턴을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없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78205호(2017. 07. 07)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7197호(2015. 01. 20)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191호(2011. 03. 15)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309133호(2021. 09. 29)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6-0003028호(2016. 09. 05)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에 제어부, 렌턴몸체, 멜빵 및 마스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고, 특히 시설물의 안전진단 조사시 어두운 교량 내부, 터널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 등산이나 낚시 및 그 밖의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종래 해드 렌턴의 경우 각도가 맞지 않아 잘 보이지 않았는데 본 발명은 가슴쪽에서 랜터 불빛이 비쳐지므로 설계도면이나 그 밖의 사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마이크 및 스피커로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라디오로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경보기가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바이브레이터가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가 실신 등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GPS가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0목적은 레이저거리측정기의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 등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가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고, 제12목적은 초음파 해충퇴치기가 각종 야외 활동(예: 낚시, 등산, 농어촌에서 작업 등)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3목적은 마스크가 위해가스 및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4목적은 이어폰을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5목적은 이로 인해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에 관한 것으로, 랜턴몸체; 랜턴몸체에 구비되며, 다기능 랜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 제어부에 연결되며,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전기 기능의 마이크 및 스피커; 제어부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제어부에 연결되며,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라디오; 제어부에 연결되며,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경보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시켜 앞을 비추는 LED램프; 및 랜턴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와 허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랜턴몸체를 가슴쪽 위치에 밀착시키도록 한 멜빵;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고, 특히 시설물의 안전진단 조사시 어두운 교량 내부, 터널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 등산이나 낚시 및 그 밖의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해드 렌턴의 경우 각도가 맞지 않아 잘 보이지 않았는데 본 발명은 가슴쪽에서 랜터 불빛이 비쳐지므로 설계도면이나 그 밖의 사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 및 스피커로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라디오로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기가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이브레이터가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가 실신 등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GPS가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저거리측정기의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 등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가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초음파 해충퇴치기가 각종 야외 활동(예: 낚시, 등산, 농어촌에서 작업 등)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스크가 위해가스 및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을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사용상태 사진.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랜턴몸체(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랜턴몸체(120)에는 선택적으로 필기구(125)를 끼웠다 뺄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클립(12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랜턴몸체(120)에 구비되며, 다기능 랜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0a)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102)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전기 기능의 마이크 및 스피커(10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6)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라디오(11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경보기(111)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시켜 앞을 비추는 LED램프(112)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랜턴몸체(12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와 허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랜턴몸체(120)를 가슴쪽 위치에 밀착시키도록 한 멜빵(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멜빵(150)은 어깨끈연결구(155)에 한 쌍의 어깨끈(156)이 연결되고, 상기 어깨끈연결구(155)의 하단에 위치한 사이드끈연결구(151)에는 한 쌍의 사이드끈(15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랜턴몸체(120)의 상단에는 어깨끈(156)이 연결되게 멜빵상부걸이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랜턴몸체(12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끈(152)이 연결되게 멜빵측면걸이홈(1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0a)에는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가 실신 등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한 바이브레이터(10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0a)에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GPS(10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0a)에는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 등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거리측정기(10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0a)에는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108)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0a)에는 각종 야외 활동(예: 낚시, 등산, 농어촌에서 작업 등)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키는 초음파 해충퇴치기(109)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멜빵(150)에 연결되며 위해가스 및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160)가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멜빵(150)에 연결되며 제어부(100a)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 이어폰(105)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의 블럭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의 사용 상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멜빵(150)을 렌턴몸체(120)에 연결하는 것으로 어깨끈연결구(155)에 이어진 양 어깨끈(156)을 렌턴몸체(120)의 멜빵상부걸이홈(121)에 연결하고, 사이드끈연결구(151)에 이어진 양 사이드끈(152)을 렌턴몸체(120)의 멜빵측면걸이홈(122)에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다기능 랜턴(100)을 도 3 과 같이 착용하게 되는데, 렌턴몸체(120)를 앞 가슴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멜빵(150)의 어깨끈(156)은 어깨에 걸치고, 멜빵(150)의 사이드끈(152)은 허리의 양 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깨끈(156)에 연결된 마스크(160)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60)는 위해가스 및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게 되어 만일 작업자가 맨홀 내부나 탱크 내부에 진입할 때 위해가스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깨끈(156)에는 이어폰(105)이 제어부(100a)와 연결되어 제어부(100a)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만일 위험 상황시 스피커나 경보기 외에 상기 이어폰(105)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바로 위험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랜턴몸체(120)에는 선택적으로 필기구(125)를 끼웠다 뺄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클립(123)이 구비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에서 설계도면을 필기구(125)를 통해 체크하고, 사용후에는 텐션클립(123)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온,오프스위치(102)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랜턴몸체(1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00a)가 다기능 랜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103)는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배터리(106)는 다기능 랜턴에 전원을 공급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라디오(110)는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만일 렌턴 사용자가 맨홀이나 탱크 내부에 갇히거나 산속에서 실종된 경우 상기 라이오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경보기(111)는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LED램프(112)는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시켜 앞을 비춰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바이브레이터(101)는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가 실신 등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GPS(104)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레이저거리측정기(107)는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 등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108)는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제어부(100a)에 연결된 초음파 해충퇴치기(109)는 각종 야외 활동(예: 낚시, 등산, 농어촌에서 작업 등)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의 사용상태 사진으로 실제 제품을 적용하여 사용한 결과 작업자들로부터 사용의 편리성 등 좋은 반응을 얻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렌턴 사용시 사용자의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랜턴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고정시킨 것이고, 특히 시설물의 안전진단 조사시 어두운 교량 내부, 터널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 등산이나 낚시 및 그 밖의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종래 해드 렌턴의 경우 각도가 맞지 않아 잘 보이지 않았는데 본 발명은 가슴쪽에서 랜터 불빛이 비쳐지므로 설계도면이나 그 밖의 사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마이크 및 스피커로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라디오로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경보기가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바이브레이터가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가 실신 등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한 것이고, GPS가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예: 작업자, 등산 및 낚시 등을 하다가 조난 당한 사람 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레이저거리측정기의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 등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가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고, 초음파 해충퇴치기가 각종 야외 활동(예: 낚시, 등산, 농어촌에서 작업 등)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마스크가 위해가스 및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어폰을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100a: 제어부
120: 렌턴몸체
150: 멜빵
160: 마스크

Claims (5)

  1.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100)에 관한 것으로,
    랜턴몸체(120);
    랜턴몸체(120)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필기구(125)를 끼웠다 뺄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클립(123);
    랜턴몸체(120)에 구비되며, 다기능 랜턴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0a);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102);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통화와 녹음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전기 기능의 마이크 및 스피커(103);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다기능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6);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 라디오(110);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위험상황시 본인 및 주변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산시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경보기(111);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시켜 앞을 비추는 LED램프(112);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실신으로 정신을 읽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켜 깨울 수 있도록 한 바이브레이터(101);
    제어부(100a)에 연결되며, 레이저 광선을 활용하여 맨홀이나 탱크 내부의 깊이 및 폭의 거리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거리측정기(107);
    랜턴몸체(12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와 허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랜턴몸체(120)를 가슴쪽 위치에 밀착시키도록 한 멜빵(150); 및
    상기 멜빵(150)에 연결되며, 제어부(100a)의 신호에 의해 귀에 끼워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 이어폰(105)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a)에는,
    작업자가 맨홀, 탱크 내부 및 그 밖의 각종 산업현장의 밀폐된 곳에 진입시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검출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이산화탄소농도 검출센서(108);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a)에는,
    야외 활동 시에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발산시켜 벌레를 퇴치시키는 초음파 해충퇴치기(109);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멜빵(150)에 연결되며,
    위해가스 및 먼지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16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5. 삭제
KR1020230101586A 2023-08-03 2023-08-03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KR10260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586A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08-03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586A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08-03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41B1 true KR102601741B1 (ko) 2023-11-15

Family

ID=8874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586A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08-03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4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657A (en) * 1999-04-05 2000-08-01 Kent; Christopher Bruce Hands-free flashlight assembly and harness therefor
KR101024191B1 (ko) 2008-01-24 2011-03-22 손대업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KR20130026118A (ko) * 2011-09-05 2013-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장비
KR20150007197A (ko) 2013-07-10 2015-01-20 가부시키가이샤 스노피크 머리 부분 전방 조명장치
KR20160003028A (ko) 2013-05-29 2016-01-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환원 촉매 및 화학 반응 장치
KR20170078205A (ko) 2015-12-29 2017-07-07 여진환 가슴에 부착하는 랜턴
KR101841287B1 (ko) * 2012-05-08 2018-03-22 주식회사 기가테라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KR20200073513A (ko) * 2018-12-14 2020-06-24 이성호 미아방지단말기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210075237A (ko) * 2019-12-12 2021-06-23 주식회사 헬티 스마트 안전조끼
KR102309133B1 (ko) 2019-07-16 2021-10-08 윤대근 조명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657A (en) * 1999-04-05 2000-08-01 Kent; Christopher Bruce Hands-free flashlight assembly and harness therefor
KR101024191B1 (ko) 2008-01-24 2011-03-22 손대업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KR20130026118A (ko) * 2011-09-05 2013-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장비
KR101841287B1 (ko) * 2012-05-08 2018-03-22 주식회사 기가테라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KR20160003028A (ko) 2013-05-29 2016-01-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환원 촉매 및 화학 반응 장치
KR20150007197A (ko) 2013-07-10 2015-01-20 가부시키가이샤 스노피크 머리 부분 전방 조명장치
KR20170078205A (ko) 2015-12-29 2017-07-07 여진환 가슴에 부착하는 랜턴
KR20200073513A (ko) * 2018-12-14 2020-06-24 이성호 미아방지단말기
KR102309133B1 (ko) 2019-07-16 2021-10-08 윤대근 조명 장착 장치
KR20210075237A (ko) * 2019-12-12 2021-06-23 주식회사 헬티 스마트 안전조끼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2502B2 (en)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KR101103516B1 (ko) 스마트 소방 헬멧
CA2886672C (en) Alarm enhancing protective cover for safety instruments with optional calibration chamber
KR101848276B1 (ko)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KR101418960B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WO2007005903A2 (en) Emergency hood and respirator device
US202101068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t test and monitoring for respiratory products
US20190114902A1 (en)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CN109637078A (zh) 一种智能穿戴设备的异常监控方法
KR102601741B1 (ko)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EP3047876A2 (en) Rescue terminal and system
KR101597779B1 (ko) 구난신호장치가 장착된 의류
CN102612464A (zh) 用于潜水员的救援无线电装置
CN104485996A (zh)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全向语音通信收发系统设计及应用方法
KR101990427B1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황사 마스크를 구비한 휴대용 먼지감지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경보 장치
JP2007329517A (ja) 携帯システム
US20190096216A1 (en) Personal distress alert system and method
JP2004313532A (ja) 携帯型防災具、防災システム及び携帯通話装置
KR20100043500A (ko) 경보 발생이 가능한 우산
KR101976726B1 (ko)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US20220001219A1 (en) SCBA Facemask Assembly with Accelerometer to Extend Battery Life of Electrical Components
KR20170083916A (ko) 음성인식기능을 활용한 청각장애인용 팔찌
JP2013147110A (ja) 水中通話装置
CN209965336U (zh) 一种多功能消防应急救援头盔
JP2002271881A (ja) 防護マスク用会話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