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33B1 - 조명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33B1
KR102309133B1 KR1020190086011A KR20190086011A KR102309133B1 KR 102309133 B1 KR102309133 B1 KR 102309133B1 KR 1020190086011 A KR1020190086011 A KR 1020190086011A KR 20190086011 A KR20190086011 A KR 20190086011A KR 102309133 B1 KR102309133 B1 KR 10230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ing
fastening
b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231A (ko
Inventor
윤대근
윤지후
Original Assignee
윤대근
윤지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근, 윤지후 filed Critical 윤대근
Priority to KR102019008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6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light-emitting or ornament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에 조명부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대상체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부가 상기 대상체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체결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되는 상기 조명부를 고정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오링부가 체결되면, 상부에는 대상체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명부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착 장치{APPARATUS FOR MOUNTING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각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건강 관리, 주인과의 관계증진 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산책을 수행해야 한다.
반려동물의 동반 산책시, 반려동물 및 주변의 행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반려동물에 착용하고, 움직임을 일정 반경 이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목줄이 출시되고 있다. 상용화된 반려동물용 목줄은 반려동물의 목 부위나 가슴 부위 등을 감싸는 착용밴드와, 착용밴드와 연결되며 주인이 잡고 이끌 수 있도록 하는 핸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반려동물용 목줄은 핸들러를 잡은 주인은 당기거나 놓는 동작을 통해 반려동물이 원하는 방향으로 착용밴드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그 이동을 조정하거나, 제지할 수 있다.
직장인들의 경우, 주로 저녁시간 이후에 반려동물과 산책을 하게 되는데, 어두운 시간 산책을 진행 할 경우, 길이 잘 보이지 않고, 길에 버려져 있는 이물질들을 반려동물이 먹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어두운 시간에 산책을 해야하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별도의 조명을 들고 산책을 했다. 한 손에는 반려동물 리드줄을 잡아야하고, 한 손에는 조명을 들어야하기 때문에, 반려동물과 산책 시 발생하는 위급상황을 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6777호(2018.1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려견 자동리드줄에 조명부를 장착할 수 있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각자 보유하고 있는 리드줄과 조명부를 연결할 수 있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에 조명부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대상체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부가 상기 대상체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체결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되는 상기 조명부를 고정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오링부가 체결되면, 상부에는 대상체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명부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대상체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되, 하면에 조명부가 접촉되는 상기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대상체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부; 제2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바디부와 접촉되어 체결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되, 하면에 조명부가 접촉되는 상기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절곡부의 상단에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측을 향해 개방된 결합홀이 형성된 제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절곡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복수의 상기 제1 체결리브가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측을 향해 개방된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리브와 상기 제2 체결리브가 교차하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막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 및 상기 걸림부에 상기 오링부가 삽입 고정되는 조명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견 자동리드줄에 조명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각자 보유하고 있는 리드줄과 조명부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체결막대의 분해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가 조명부를 대상체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가 조명부를 대상체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가 조명부를 대상체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가 조명부를 대상체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20), 체결막대(30)의 분해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부(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1)가 조명부(3)를 대상체(2)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장착 장치(1)는 대상체(2)에 조명부(3)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체(2)를 반려견 자동리드줄(2)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명 장착 장치(1)는 반려견 보호자가 보유하고 있는 반려견 리드줄(2)과 조명부(3)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유하고 있는 반려견 리드줄(2)에 조명부(3)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격이 비싼 조명부(3)가 일체로 형성된 리드줄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도 어두운 밤에도 반려견과 안전한 산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1)는 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20), 체결막대(30) 및 오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착 장치(1)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체결됨으로써, 체결된 상태의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상부에 대상체 삽입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된 상태의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하부에 오링부(40)가 연결됨으로써 조명부 삽입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은 제1 절곡부(11), 제1 체결리브(12), 제1 바디부(13), 제1 연장부(14) 및 날개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11)는 제1 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대상체(2)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 장착 장치(1)가 장착될 반려견 리드줄(2)의 파지부 부분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제1 절곡부(11)는 반원의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부(11)는 반려견 리드줄(2)의 파지부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리브(12)는 제1 절곡부(11)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리브(12)는 제1 절곡부(11)의 상단에서 제2 절곡부(21)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부(11)가 이루고 있는 원형 형태를 유지하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리브(12)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체결리브(12)는 제1 절곡부(11)의 상단에서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리브(12)에는 결합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21)은 제1 체결리브(12)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3)는 제1 절곡부(11)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3)는 후술할 제2 바디부(23)와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3)에는 돌기(23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4)는 제1 바디부(1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4)의 하면은 조명부(3)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제1 접촉면(141)일 수 있다. 제1 접촉면(141)은 조명부(3)의 외측 둘레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4)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링부(40)에 의해 제1 연장부(14)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탄성 변형되어, 조명부(3)와 보다 밀착될 수 있다.
날개부(15)는 제1 연장부(14)에서 외측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5)는 내측에 오링부(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날개부(15)와 제1 연장부(14)의 외측면 사이에 오링부(40)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5)에는 오링부(40)의 파지부(41)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제1 프레임(10)과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20)은 제2 절곡부(21), 제2 체결리브(22), 제2 바디부(23), 제2 연장부(24) 및 걸림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곡부(21)는 제2 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대상체(2)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 장착 장치(1)가 장착될 반려견 리드줄(2)의 파지부 부분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제2 절곡부(21)는 반원의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2 절곡부(21)는 반려견 리드줄(2)의 파지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곡부(21)는 제1 절곡부(11)와 함께 대상체 삽입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곡부(11)와 제2 절곡부(21)가 원의 형상을 형성하고, 내측에 원형의 대상체 삽입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리브(22)는 제2 절곡부(21)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리브(22)는 제2 절곡부(21)의 상단에서 제1 절곡부(11)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절곡부(21)가 이루고 있는 원형 형태를 유지하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리브(22)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체결리브(22)는 제2 절곡부(21)의 상단에서 세 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리브(22)는 복수의 제1 체결리브(12)가 이격된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리브(22)에는 고정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21)은 제2 체결리브(22)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3)는 제2 절곡부(21)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3)는 제1 바디부(13)와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3)에는 제1 바디부(13)에 형성된 삽입홀(131)에 삽입되는 돌기(23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231)가 삽입홀(131)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바디부(13)와 제2 바디부(23)가 체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4)는 제2 바디부(2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4)의 하면은 조명부(3)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제2 접촉면(241)일 수 있다. 제2 접촉면(241)은 조명부(3)의 외측 둘레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24)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링부(40)에 의해 제2 연장부(24)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탄성 변형되어, 조명부(3)와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4)와 제2 연장부(24)가 조명부(3)를 양 측에서 고정할 수 있다.
걸림부(25)는 제2 연장부(24)에서 외측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5)는 내측에 오링부(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걸림부(25)와 제2 연장부(24)의 외측면 사이에 오링부(40)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25)는 날개부(15)보다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날개부(15)와 제1 연장부(14) 사이의 거리보다 걸림부(25)와 제2 연장부(24) 사이의 거리가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오링부(40)가 보다 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25)의 양 측에는 홈부(26)가 형성되어, 걸림부(25)에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링부(40)를 걸림부(25)에 거는 과정에서, 걸림부(25)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부(25)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체결막대(30)는 결합홀(121)과 고정홀(221)에 삽입되어 제1 체결리브(12)와 제2 체결리브(22)를 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리브(12)와 제2 체결리브(22)가 교차하며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는 결합홀(121)과 고정홀(221)을 체결막대(30)가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제1 체결리브(12)와 제2 체결리브(22)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오링부(4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 측은 날개부(15)에 걸리고, 타 측은 걸림부(25)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오링부(40)의 파지부(41)가 날개부(15)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오링부(40)가 날개부(15)와 걸림부(25) 내측에 삽입되면, 제1 연장부(14), 제2 연장부(24) 및 오링부(40) 내부에 조명부 삽입공간(S2)이 형성되고, 조명부 삽입공간(S2)에 조명부(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4), 제2 연장부(24), 오링부(40)의 탄성력에 의해 조명부(3)가 이탈하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1000)가 조명부를 대상체(2)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명 장착 장치(1000)는 체결부(1100), 연장부(1200), 조명 체결부(1300), 오링위치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견 리드줄(2) 중에는 배변봉투와 같인 소모품을 체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홈을 이용하여 조명부(3)를 반려견 리드줄(2)에 장착할 수 있는 조명 장착 장치(1000)이다.
체결부(1100)는 반려견 리드줄(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1100)는 'ㅜ'형상으로 형성되어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1200)는 체결부(11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체결부(1300)는 연장부(1200)의 양 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조명 체결부(1300)는 제1 고정부(1310) 및 제2 고정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310) 및 제2 고정부(1320)는 하방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10) 및 제2 고정부(132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1 연장부(1200) 및 제2 연장부(12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310) 및 제2 고정부(1320)에는 제1 오링위치부(1410) 및 제2 오링위치부(142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링위치부(1410) 및 제2 오링위치부(142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날개부(15) 및 걸림부(25)에 대응되는 형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오링위치부(1410) 및 제2 오링위치부(1420)에 오링부(40)가 삽입 고정되도록 위치되어, 제1 고정부(1310) 및 제2 고정부(1320)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310), 제2 고정부(1320) 및 오링부(40)에 의해 대상체 삽입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2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2000)가 조명부(3)를 대상체(2)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 장착 장치(2000)는 체결부(2100), 연장부(2200) 및 조명 체결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00)는 반려견 리드줄(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2100)는 'ㅜ'형상으로 형성되어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200)는 체결부(21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체결부(2300)는 연장부(22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원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 단이 연결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조명부(3)가 내측 둘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조명 체결부(2300)는 반원 이상의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에 삽입된 조명부(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3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착 장치(3000)가 조명부(3)를 대상체(2)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 장착 장치(3000)는 체결부(3100), 연장부(3200) 및 조명 체결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00)는 반려견 리드줄(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3100)는 'ㅜ'형상으로 형성되어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3200)는 체결부(31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체결부(3300)는 연장부(32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원형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 단이 연결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조명부(3)가 내측 둘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조명 체결부(3300)는 반원 이상의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에 삽입된 조명부(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명 체결부(3300)의 양 단에는 오링 또는 고무밴드와 같은 체결부(3100)재가 연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체결부(3300)에 삽입된 조명부(3)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명 장착 장치 2: 반려견 리드줄, 대상체
3: 조명부 10: 제1 프레임
11: 제1 절곡부 12: 제1 체결리브
121: 결합홀 13: 제1 바디부
131: 삽입홀 14: 제1 연장부
141: 제1 접촉면 15: 날개부
20: 제2 프레임 21: 제2 절곡부
22: 제2 체결리브 221: 고정홀
23: 제2 바디부 231: 돌기
24: 제2 연장부 241: 제2 접촉면
25: 걸림부 26: 홈부
30: 체결막대 40: 오링부
41: 파지부 1000, 2000, 3000: 조명 장착 장치
1100, 2100, 3100: 체결부 1200, 2200, 3200: 연장부
1300, 2300, 3300: 조명체결부 1310: 제1 고정부
1320: 제2 고정부 3310: 체결홀
S1: 대상체 삽입공간 S2: 조명부 삽입공간

Claims (6)

  1. 대상체에 조명부를 장착하기 위한 조명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대상체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부가 상기 대상체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체결되고, 하부에는 조명부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되는 상기 조명부를 고정하는 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오링부가 체결되면,
    상부에는 대상체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명부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대상체 둘레의 일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되, 하면에 조명부가 접촉되는 상기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대상체 둘레의 타 측 일부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부;
    제2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바디부와 접촉되어 체결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되, 하면에 조명부가 접촉되는 상기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절곡부의 상단에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측을 향해 개방된 결합홀이 형성된 제1 체결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절곡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복수의 상기 제1 체결리브가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측을 향해 개방된 고정홀이 형성된 제2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리브와 상기 제2 체결리브가 교차하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막대;를 포함하는 조명 장착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 및 상기 걸림부에 상기 오링부가 삽입 고정되는 조명 장착 장치.
KR1020190086011A 2019-07-16 2019-07-16 조명 장착 장치 KR102309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11A KR102309133B1 (ko) 2019-07-16 2019-07-16 조명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11A KR102309133B1 (ko) 2019-07-16 2019-07-16 조명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31A KR20210009231A (ko) 2021-01-26
KR102309133B1 true KR102309133B1 (ko) 2021-10-08

Family

ID=7431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11A KR102309133B1 (ko) 2019-07-16 2019-07-16 조명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11-15 (주)대안기술단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101A (ja) 2001-04-18 2002-10-25 Takaaki Uchigawa 懐中電灯、及び懐中電灯付き携帯用紐リール装置
JP2003508067A (ja) * 1999-09-10 2003-03-04 ザ リアル ボス エルエルシー 懐中電灯を引き込み式の犬用ひもに取り外し可能に取り付ける装置
KR200345898Y1 (ko) * 2004-01-07 2004-03-25 유용환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US6837599B2 (en) 2003-06-05 2005-01-04 Shih Sanyo Enterprise Co., Ltd. Flashlight served as warning light of bicycle
KR200450658Y1 (ko) 2008-09-10 2010-10-20 지엘레페주식회사 형광등 고정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749U (ja) * 2012-10-23 2013-01-10 学 棚谷 自転車用ライト固定クランプ部品
KR101906777B1 (ko) 2018-06-27 2018-10-10 이영희 반려견용 리드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067A (ja) * 1999-09-10 2003-03-04 ザ リアル ボス エルエルシー 懐中電灯を引き込み式の犬用ひもに取り外し可能に取り付ける装置
JP2002313101A (ja) 2001-04-18 2002-10-25 Takaaki Uchigawa 懐中電灯、及び懐中電灯付き携帯用紐リール装置
US6837599B2 (en) 2003-06-05 2005-01-04 Shih Sanyo Enterprise Co., Ltd. Flashlight served as warning light of bicycle
KR200345898Y1 (ko) * 2004-01-07 2004-03-25 유용환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KR200450658Y1 (ko) 2008-09-10 2010-10-20 지엘레페주식회사 형광등 고정용 클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0749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41B1 (ko) 2023-08-03 2023-11-15 (주)대안기술단 가슴에 착용하는 다기능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31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713A (en) Retractable leash
US20110139091A1 (en) Protective collar for an animal
US20110180015A1 (en) Chew-proof leash and collar
KR101155276B1 (ko) 애완동물용 목줄
US20010015179A1 (en) Retaining and guiding configuration
US20170142936A1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et Leash and Pet Collar
KR102309133B1 (ko) 조명 장착 장치
US20110308480A1 (en) Leash for pets
US11470819B2 (en) Clip for pet waste bags
US20120304942A1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et Leash and a Pet Collar
US5803017A (en) Animal leash
US20150164042A1 (en) Portable pet tether
KR200473948Y1 (ko) 애완동물 목줄의 완충장치
KR200488558Y1 (ko) 반려 동물 안전 리드 줄
EP1981332B1 (en) Animal leads
KR200479260Y1 (ko) 모기 퇴치용 팔찌 겸용 목걸이
US20090145372A1 (en) Adjustable pet leash
US20180199548A1 (en) Break Away Animal Collar
KR101296139B1 (ko) 반려동물의 목줄
US20180014511A1 (en) Animal rig
KR20110010194U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KR102259978B1 (ko) 애완동물용 자석버클 가이드벨트
KR20220080345A (ko) 애완동물용 목걸이
US9066499B2 (en) Adjustable collar
GB2451915A (en) Animal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