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98Y1 -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 Google Patents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98Y1
KR200345898Y1 KR20-2004-0000324U KR20040000324U KR200345898Y1 KR 200345898 Y1 KR200345898 Y1 KR 200345898Y1 KR 20040000324 U KR20040000324 U KR 20040000324U KR 200345898 Y1 KR200345898 Y1 KR 200345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og
leash
wind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환
Original Assignee
유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환 filed Critical 유용환
Priority to KR20-2004-0000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 등 개를 데리고 다니면서 관리하기 위해 개를 묶어두는 개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가 활동함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자유 자재로 줄의 길이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권선 개줄에 있어서, 손으로 항상 홀딩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보조 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몸체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로 개줄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구멍을 형성한 손잡이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이 슬릿홀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 나가도록 된 권선 개줄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통 후방과 손잡이 구멍 사이에 절결 장공을 형성한 몸체;
상기 몸체의 장공을 통해 걸어 고정된 고정부와, 그 하부로 연장된 밴드의 상부 일정 위치에 부착된 고리와, 하부 말단부에 형성된 훅크형 록커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로써, 상기 실시예의 고정부와 밴드가 분리된 구성으로 분리단 각각에 암,수버클체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Winding wire having accessary hook for dog.}
본 고안은 애완견 등 개를 데리고 다니면서 관리하기 위해 개를 묶어두는 개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가 활동함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자유 자재로 줄의 길이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권선 개줄에 있어서, 손으로 항상 홀딩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보조 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줄은 개의 목을 두르는 목걸이와, 이 목걸이와 걸고리로 연결하여 사람이 일정거리를 두고 견인하게 한 개줄 및 이를 부여잡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개의 활동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개줄의 길이를 길게도 하고 짧게도 하면서 관리를 편리하게 한 것(실용신안등록 1989-0005501호)이 제공 된 바 있다.
이를 살펴보면 몸체(10)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11)로 개줄(20)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손잡이 공(12)을 형성한 손잡이(13)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14)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14)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을 당겨서 몸체 안으로 권취 시키거나 밖으로 풀려 나가도록 된다.
그러나 이는 개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변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효과가 매우 좋으나 항상 권선장치(1)의 손잡이(13)를 부여잡고 있어야 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한 손은 항시 권선장치(1)를 부여잡고 있어서, 사용자의 행동 양식에 제약을 주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예컨대 두 손을 다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과, 추위에 두 손을 호주머니에 넣어야 하는 상황 등을 불가능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무를 볼 때 잠시 개를 지주 등에 고정시켜 놓을 때도 이 권선 장치는 제약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 한 것으로, 손잡이에 보조 걸이를 부착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걸거나 허리띠에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권선 개줄을 사용함에 있어 편리성을 양호하게 한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몸체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로 개줄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구멍을 형성한 손잡이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이 슬릿홀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 나가도록 된 권선 개줄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을 전방 상부에 형성하고, 내통 후방과 손잡이 구멍 사이의 저부에 구멍을 갖는 홀 플랜지를 형성한 몸체;
상기 몸체의 홀 플랜지의 구멍을 통해 걸어진 오링을 일단에 갖고, 타단에 고리를 구비한 고정부와, 그 하부로 연장된 밴드의 말단부에 형성된 훅크형 록커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로써, 상기 실 시예의 고정부와 밴드가 분리된 구성으로 분리단 각각에 암,수버클체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권선 개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권선 개줄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개줄 분리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권선 개줄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몸체(10)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11)로 개줄(20)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구멍(12)을 형성한 손잡이(13)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14)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14)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이 슬릿홀(11)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 나가도록 된 권선 개줄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11)을 전방 상부에 형성하고, 내통 후방과 손잡이(13) 구멍(12) 사이의 저부에 구멍(31)을 갖는 홀 플랜지(30)를 형성한 몸체(10A);
상기 몸체(10A)의 홀 플랜지(30)의 구멍(31)을 통해 걸어진 오링(41A)을 일단에 갖고, 타단에 고리(41B)를 구비한 고정부(41)와, 그 하부로 연장된 밴드(42)의 말단부에 형성된 훅크형 록커(44)를 구비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개줄 분리 사시도로써, 상기 실 시예의 고정부(41)와 밴드(42)가 분리된 구성으로 분리단 각각에 암,수버클체(43A,43B)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41)와 밴드(42)의 착탈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링과 훅크형 록커 등 주지의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11)로 개의 움직임과 버튼(14)의 조작에 따라 개줄(20)이 출몰 자유롭게 하여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이 슬릿홀(11)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 나가도록 작용된다. 이때 도 3a에서와 같이, 손잡이(13)의 구멍(12)을 통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데, 환형 밴드(42)의 구멍(42H)에 손목을 끼운 상태로 함에 따라 손잡이(13)를 놓치거나 경우에 따라서 양손을 사용 할 때에도 손목에 밴드(42)가 걸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에 편리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도 2 및 도 3a와 같은 환형 밴드(42)의 구멍(42H)으로 손목이나 팔을 넣어서 양손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타의 지형 지물을 이용하여 개를 묶어 둘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밴드(42)를 이용하여 묶어 둘 곳에 두르고 록커(44)를 이용하여 고정부(41)의 고리(43)에 걸어 둠으로써 양손을 편리하게 사용하거나 잠시 다른 용무를 보기 위해 개를 한 장소에 묶어 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의 실시 예와 그 작용이 같다.
다만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부(41)와 밴드(42)가 분리된 구성으로 분리단 각각에 암,수버클체 (43A,43B)로써 탈착 가능하게 되어 본 고안의 주요 부분을 떼어서 출몰되는 개줄로써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손잡이에 보조 걸이를 부착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걸거나 허리띠에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권선 개줄을 사용함에 있어 편리성을 가지게 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장소에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부 밴드는 불필요 할 때에는 버클을 해제하여 둘 수도 있다.

Claims (2)

  1. 몸체(10) 내부에 개줄이 권회 장착된 내통이 축설되어 전방 슬릿홀(11)로 개줄(20)이 출몰 자유롭게 구성되며, 후방에는 구멍(12)을 형성한 손잡이(13)와, 그 상부에 조작 버튼(14)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14)을 누름에 따라 개가 활동하는 범위만큼 개줄이 슬릿홀(11)을 통해 감겨 들어가거나 풀려 나가도록 된 권선 개줄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11)을 전방 상부에 형성하고, 내통 후방과 손잡이(13) 구멍(12) 사이의 저부에 구멍(31)을 갖는 홀 플랜지(30)를 형성한 몸체(10A);
    상기 몸체(10A)의 홀 플랜지(30)의 구멍(31)을 통해 걸어진 오링(41A)을 일단에 갖고, 타단에 고리(41B)를 구비한 고정부(41)와, 그 하부로 연장된 밴드(42)의 말단부에 형성된 훅크형 록커(44)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41)와 밴드(42)가 분리된 구성으로 분리단 각각에 암,수버클체(43A,43B)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KR20-2004-0000324U 2004-01-07 2004-01-07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KR200345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324U KR200345898Y1 (ko) 2004-01-07 2004-01-07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324U KR200345898Y1 (ko) 2004-01-07 2004-01-07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98Y1 true KR200345898Y1 (ko) 2004-03-25

Family

ID=4934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324U KR200345898Y1 (ko) 2004-01-07 2004-01-07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67Y1 (ko) 2017-06-12 2018-11-27 김대웅 멀티 타입 개줄
KR20210009231A (ko) * 2019-07-16 2021-01-26 윤대근 조명 장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67Y1 (ko) 2017-06-12 2018-11-27 김대웅 멀티 타입 개줄
KR20210009231A (ko) * 2019-07-16 2021-01-26 윤대근 조명 장착 장치
KR102309133B1 (ko) * 2019-07-16 2021-10-08 윤대근 조명 장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7531A1 (en) Bag dispenser
US20080000432A1 (en) Glove with mounted retractable pet leash
KR200345898Y1 (ko) 보조걸이를 갖는 권선 개줄.
JP4182141B1 (ja) リード繰り出し装置
US6467654B1 (en) Personal hygenic cleansing lotion and dispenser
US6725595B1 (en) Portable rod and reel device utilizing trigger-actuated line release and braking mechanism
CA2236956A1 (en) Hand grip for animal leash
JP3129047U (ja) 杖の握り部カバー
KR200383085Y1 (ko) 애완용 개목걸이
JP3120212U (ja) 手に持つ輪っか部分を2ヶ所に設け、用途によって長さを使い分けられるようにした犬用のダブル輪っかリード
JPS5912919Y2 (ja) 手袋係着具
JP2005261329A (ja) 釣用タオル
USD441420S1 (en) Bait fish fishing rod
JP5051913B2 (ja) 動物用首輪
JP3141296U (ja) 手袋
JPS5929484Y2 (ja) 釣糸案内環装着装置
JP4286608B2 (ja) ペットのコート
JP3079505U (ja) 釣り竿保持具
JP3010152U (ja) つり竿用の釣針保持装置
JP3103759U (ja) ボール付腰用サポーター
JP3123888U (ja) ペット用の携帯トイレ装置
JP2022043560A (ja) ツインステッキ
JP3128715U (ja) 収納式リードと首輪を一体化して便利にした首輪
KR200182023Y1 (ko) 넥타이고정구가 부착된 넥타이
JP4812111B2 (ja) 釣り竿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