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11B1 - 휴대용 랜턴 - Google Patents

휴대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11B1
KR101605611B1 KR1020140048738A KR20140048738A KR101605611B1 KR 101605611 B1 KR101605611 B1 KR 101605611B1 KR 1020140048738 A KR1020140048738 A KR 1020140048738A KR 20140048738 A KR20140048738 A KR 20140048738A KR 101605611 B1 KR101605611 B1 KR 10160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unit
power supply
rot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459A (ko
Inventor
송태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6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와, 하부가 상기 전원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부재가 구비된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제작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랜턴{PORTABLE LANTERN}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발광부재가 구비된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제작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랜턴은 배터리(battery)를 전원으로 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등이다.
상기 랜턴의 종류로서는 사각형의 건전지가 내장되고,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가정용 또는 야간 이동시 이용되는 것과, 캠프 등의 경우에 텐트 내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또한, 최근 다양한 레저 활동에 적합하도록 여러 종류의 랜턴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특히, 야간 산행, 낚시 또는 자전거 하이킹의 경우 머리 부분에 착용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랜턴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랜턴은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선방향으로 보내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랜턴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부재가 구비된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제작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예컨대, 본 발명을 책상이나 선반 등의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부의 하면에는 전원부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한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어 예컨대, 본 발명을 실내(예:텐트)의 천장에 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와, 하부가 상기 전원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상부하우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홈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매개로 상기 회전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에 형성되는 회전각 제어돌기와, 상기 힌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각 제어돌기와 탄성결합되는 복수의 회전각 제어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용 홈과, 상기 고리용 홈에 끼워져 좌우로 회전되는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서 개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제2회전기어:가 구비되는 링크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기어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상측은 상기 링크기어의 상부 개구 내측에 지지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관통공의 하부 개구에 끼워지는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볼트 고정부와, 상기 볼트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이 상기 링크기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볼트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기어의 하부에 돌출되며, 한 쌍의 회전통공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회전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회전통공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전원부의 하부에서 하향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기어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플랜지의 내부에 끼워지되, 상기 한 쌍의 회전통공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관통공 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는, 미사용시 상기 전원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리 고정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부재가 구비된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제작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예컨대, 본 발명을 책상이나 선반 등의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부의 하면에는 전원부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한 회전 손잡이가 구비되어 예컨대, 본 발명을 실내(예:텐트)의 천장에 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조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조명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원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디밍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텐션바아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터치스위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디밍브라켓, 텐션바아, 터치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및 분해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원부 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꺽여지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회전손잡이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조명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광부재가 온/오프되고, 발광부재가 온인 상태에서 밝기가 조절되는 제1특징과,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꺽여질 수 있는 제2특징 및 조명부가 꺽여진 상태에서 예컨대, 본 발명이 텐트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3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은 전원부(100)와 조명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00)의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교체식 배터리일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충전기(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채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배터리 하우징(101)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00)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온(ON)/오프(OFF)되는 메인스위치(110)가 구비되는데, 후술할 터치부의 스위치버튼(211)과 디밍부의 디밍스위치(241)는 메인스위치(110)가 온(ON)인 상태에서만 활성화된다.
즉, 본 발명에서 메인스위치(110)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후술할 스위치버튼(211)과 디밍스위치(241)의 조작 및 작동은 무의미하다.
한편, 상기 조명부(200)는 터치부와 디밍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가 렌즈부(201)를 상하로 가압하는(누르는)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여기서터치부가 활성화되는 것은 발광부재(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디밍부는 터치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렌즈부(201)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디밍스위치(241)가 회전되어 발광부재(20)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200)는 상부하우징(202)과 커넥터부재(203)와 렌즈부(201)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하우징(202)은 상부가 개구된 함 형상의 부재이며, 이러한 상부하우징(202)의 내부에는 후술할 터치스위치 기판(212), 텐션바아(213)가 수용되며, 렌즈부(201)의 내부에는 발광부재(예:LED)가 수용된다.
상기 발광부재(20)는 전원이 인가되면, 렌즈부(201)를 통해 빛을 외부로 조사하며, 발광부재(20)에는 발광부재(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커넥터부재(203)도 발광부재(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부재(203)와 방열판(21)은 예컨대, 금속재질(알루미늄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201)와 커넥터부재(203)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밀폐링(3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밀폐링(30)은 커넥터부재(203)와 렌즈부(20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치부는 도 3에 도시된 복원스프링(214), 터치스위치 기판(212)을 포함하는데, 상기 복원스프링(214)은 일측(하측)이 상부하우징(202)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압돌기(215)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215)의 외주에는 상기 가압돌기(215)에 끼워진 복원스프링(214)의 일측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별도의 고정플랜지(2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터치스위치 기판(212)은 메인스위치(110)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전원을 스위치버튼(211)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발광부재(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스위치 기판(212)의 하면에는 배터리에서 발광부재(20)로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버튼(21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위치버튼(211)은 사용자가 후술할 렌즈부(201)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발생되면, 상기 가압돌기(215)의 상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딸깍"소리와 함께 온/오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버튼(211)의 하면은 복원스프링(214)의 타측(상측)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214)의 타측은 스위치버튼(211)에 끼워진다.
즉, 상기 복원스프링(214)은 가압돌기(215)와 스위치버튼(211)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감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부(201)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이 후술할 디밍스위치(241)와 텐션바아(213)를 통해 전달되어 터치스위치 기판(212)이 하향이동되면서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상기 외력이 소멸되면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어 터치스위치 기판(212)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밍부는 상술한 터치부가 온인 상태, 즉, 스위치버튼(211)이 온인 상태에서 발광부재(20)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의 부재이며, 이러한 디밍부는 디밍스위치(241)와 디밍기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디밍스위치(241)는 도 5 내지 도 6 및 도 8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터치스위치 기판(212)의 상면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디밍스위치(241)는 배터리에서 터치스위치 기판(212)으로 입력되는 전원에 대한 저항을 조절하여 발광부재(20)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식 스위치이다.
상기와 같은 디밍스위치(241)에는 구동홈(242)이 형성되며, 이 구동홈(242)의 내부에는 회전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전부는 구동홈(242)의 내부에서 좌우로 회전되면서 상기 저항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홈(242)에는 디밍기어부(25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51)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발광부재(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까지만 회전이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밍기어부(2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도 11에 도시된 텐션바아(213)와 디밍브라켓(252)을 포함하고, 상술한 결합돌기(251)는 디밍브라켓(252)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텐션바아(213)는 터치스위치 기판(212)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예컨대, 텐션바아(213)는 볼트를 매개로 터치스위치 기판(21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브라켓(252)은 상부에 렌즈부(20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플랜지(253)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렌즈부(201)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디밍브라켓(252)도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251)도 렌즈부(201)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어 결합돌기(251)에 의해 회전부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텐션바아(213)의 상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 후크(204)와 높이유지바아(20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는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각도조절 후크(204)의 단부는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디밍브라켓(25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각도조절 홈(254)과 결합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는 탄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각도조절 홈(254)을 따라 이동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렌즈부(201)를 좌우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디밍브라켓(252)이 회전되므로 텐션바아(213)는 상부하우징(202)의 내부에서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와 각도조절 홈(254)의 안정적인 결합 및 좌우회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와 각도조절 홈(254)은 복수의 지점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바아(213)와 디밍브라켓(25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각도조절 후크(204)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각도조절 홈(254)은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디밍부가 180도의 회전반경을 갖도록 제작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 홈(254)은 연속된 10개로 구성되어 렌즈부(201)가 18도씩 회전되어 발광부재(20)의 밝기를 10단계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 및 구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유지바아(20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바아(213)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높이유지바아(205)는 디밍브라켓(252)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디밍브라켓(252)의 하면에는 높이유지바아(205)와의 결합을 위한 레일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2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브라켓(252)의 하면에서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되,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밍브라켓(252)이 원형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높이유지바아(205)는 렌즈부(201)의 좌우회전시 레일부(255)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높이유지바아(205)는 디밍브라켓(252)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각도조절 후크(204)가 상기 각도조절 홈(254)에서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높이유지바아(205)는 디밍브라켓(252)이 텐션바아(213)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 디밍브라켓(252)에는 각도조절 홀(256)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각도조절 홀(256)에는 상술한 커넥터부재(203)의 각도조절 바아(206)가 관통된다.
상기와 같은 각도조절 바아(206)는 디밍브라켓(252)이 좌우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렌즈부(201)를 좌우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되어 디밍스위치(24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바아(206)의 상부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20)와 방열판(21)이 고정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재(203)는 텐션바아(213)와 디밍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어 텐션바아(213)와 결합되는 터치스위치 기판(212)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터치스위치 기판(212)과 디밍브라켓(252)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발광부재(20)까지 전선을 매개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유입통공(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꺽여지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회전손잡이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20)과, 이 하부하우징(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121)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배터리와 배터리 하우징(101)이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하우징(12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포트(1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포트(123)에는 충전기(10)가 연결되어 발광부재(20)가 충전기(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부재(20)를 작동시키거나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포트(123)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시 먼지나 이물질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러버부재(12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홈(125)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홈(125)은 상부하우징(20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0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힌지브라켓(121)은 하부하우징(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힌지브라켓(121)은 하부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브라켓(121)과 하부하우징(120) 사이에는 회전홈(125)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회전홈(125)으로는 힌지(40)를 매개로 조명부(200)의 회전시 돌출부(207)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202)은 힌지브라켓(121)에 힌지(4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터치스위치 기판(212)과 텐션바아(213)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힌지(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회전각 제어홈(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브라켓(121)에는 회전각 제어돌기(126)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각 제어돌기(126)는 상기 복수의 회전각 제어홈(41)과 탄성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조명부(200)가 전원부(100)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121)에는 전원부(100)의 메인스위치(110)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111)이 위치될 수 있는데, 힌지브라켓(121)에 메인스위치(110)의 버튼(111)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 메인스위치(110)를 조작하려면, 조명부(200)를 전원부(100)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시켜 메인스위치(110)의 버튼(111)을 노출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미사용시, 다시 말하면, 조명부(200)를 전원부(100)에 대하여 회전시키지 아니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메인스위치(110)로의 접근이 차단되어 의도하지 않게 메인스위치(110)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제어홈(41)은 조명부(200)가 전원부(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90도)까지 기설정된 각도(예:22.5도)만큼 단계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상기 회전각 제어홈(4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계로 꺽여질 수 있도록 5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각 제어돌기(126)의 후방에는 슬롯(12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롯(127)은 회전각 제어돌기(126)가 복수의 회전각 제어홈(41)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 제어홈에서 이웃한 회전각 제어홈으로 이동시 회전각 제어돌기(126)가 슬롯(127) 측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명부(200)를 전원부(100)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시킬 때 탄성에 의해 조작감이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200)가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자석(M1, M2)을 채택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자석(M1)은 상부하우징(202)의 하부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자석(M2)은 힌지브라켓(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미사용시 또는 조명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자석(M1, M2)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전원부(100)의 하부에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 손잡이(147)가 구비되어 발광부재(20)에서 발산되는 빛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의 전원부 하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0)의 하면에는 개구된 고리용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용 홈(130)에는 후술할 손잡이부(140)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고리용 홈(130)의 바닥면 중앙에는 볼트 고정부(131)가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 고정부(131)의 외측에는 상기 고리용 홈(130)의 바닥면에서 개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부(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용 홈(130)의 개구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132)의 하면에는 제1회전기어(133)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링크기어(141), 탄발스프링(142), 스프링 브라켓(143) 및 덮개(150)가 포함된다.
상기 링크기어(141)에는 상술한 고리용 홈(130)의 내부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돌출부(145)가 구비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5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52)의 상부 개구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용 홈(13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트 고정부(131)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145)의 하부에는 상술한 지지부(132)의 제1회전기어(133)와 치합되는 제2회전기어(146)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회전기어(146)는 제1회전기어(133)와 치합된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탄발스프링(142)은 링크기어(141)에 형성된 관통공(152)의 하부 개구로 삽입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탄발스프링(142)의 상측은 링크기어(141)의 상부 개구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스프링 브라켓(14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탄발스프링(142)은 제2회전기어(146)가 제1회전기어(133)에 치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시 탄성력이 증감된다.
상기와 같은 탄발스프링(142)의 탄성력은 제2회전기어(146)의 기어산이 제1회전기어의 기어홈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발스프링(142)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시 제2회전기어(146)의 기어산이 제1회전기어(133)의 기어홈에서 이웃한 기어홈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회전기어(146)의 기어산이 제1회전기어(133)의 기어홈에 경쾌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탄발스프링(142)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147)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 "딸깍"소리와 함께 조작감이 증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브라켓(143)은 도 5와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151)을 매개로 볼트 고정부(131)에 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브라켓(143)은 관통공(152)의 하부 개구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브라켓(143)의 상측과 상기 탄발스프링(142)이 고정된 링크기어(141)의 상부 개구 내측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유격은 제2회전기어(146)가 고정된 제1회전기어(133)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이다.
한편, 상기 링크기어(141)의 하부에는 회전플랜지(148)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플랜지(148)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통공(149)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통공(149)의 외측에는 회전 손잡이(147)가 끼워져 결합되며, 내측에는 덮개(15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147)는 사용자가 링크기어(141)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147)가 사용자의 조작시 안정적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플랜지(148)와 2곳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사용시에는 상기 전원부(100)의 하면을 향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100)의 하면에는 회전 손잡이(147)가 수용될 수 있는 고리 고정홈(1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 고정홈(102)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1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고리 고정홈(102)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 손잡이(147)를 전원부(100)의 하면에 대하여 하향 회전시키기 용이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랜지(148)의 내측에 끼워지는 덮개(150)는 관통공(152)과 스프링 브라켓(143)의 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볼트부재(1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하부하우징(120)을 움켜쥔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200)를 전원부(100)에 대해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명부(200)가 전원부(100)에 대해 일측으로 회전되면, 힌지브라켓(121)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힌지브라켓(121)에 설치된 메인스위치(110)를 손가락으로 눌러 온(ON)으로 전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조명부(200)를 초기상태, 즉, 원위치로 회전시키며, 상기와 같이 조명부(200)가 원위치 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자석부재(M1, M2)는 서로 자력이 작용되어 "찰칵"하는 소리와 함께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렌즈부(201)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스위치버튼을 온(ON)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스위치버튼(211)이 온이 되면, 발광부재(20)로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조사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스위치(110)와 스위치버튼(211)이 모두 온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광부재(20)의 밝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조명부(200)를 잡고 일측으로 회전시켜 디밍스위치(241)를 조작한다.
이후, 발광부재(20)가 적당한 밝기로 조절되면, 사용자는 조명부(200)를 잡고 조명이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을 실내(예:텐트 등)의 상부에 매다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147)를 전원부(100)의 하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 손잡이(147)를 실내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수단(예:줄 등)에 연결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147)를 고정수단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회전 손잡이(147)에는 후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리용 홈(130)에 손잡이부(140) 대신 삼각대(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삼각대가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을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삼각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조명부(200)를 전원부(100)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삼각대에는 본 발명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마련되어 본 발명이 삼각대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충전기 20-발광부재
21-방열판 30-밀폐링
40-힌지 41-회전각 제어홈
100-전원부 101-배터리 하우징
102-고리 고정홈 103-손가락 삽입홈
110-메인스위치 111-버튼
120-하부하우징 121-힌지브라켓
122-배터리 수용부 123-전원공급포트
124-러버부재 125-회전홈
126-회전각 제어돌기 127-슬롯
130-고리용 홈 131-볼트 고정부
132-지지부 133-제1회전기어
140-손잡이부 141-링크기어
142-탄발스프링 143-스프링브라켓
144-덮개 145-돌출부
146-제2회전기어 147-회전 손잡이
148-회전플랜지 149-회전통공
150-덮개 151-볼트부재
152-관통공
200-조명부 201-렌즈부
202-상부하우징 203-커넥터부재
204-각도조절 후크 205-높이유지바아
206-각도조절바아 207-돌출부
210-터치부 211-스위치버튼
212-터치스위치 기판 213-텐션바아
214-복원스프링 215-가압돌기
216-고정플랜지
240-디밍부 241-디밍스위치
242-구동홈
250-디밍기어부
251-결합돌기 252-디밍브라켓
253-결합플랜지 254-각도조절 홈
255-레일부 256-각도조절 홀

Claims (12)

  1.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와, 하부가 상기 전원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전원부에 대하여 일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방향이 조절되며,
    상기 전원부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이 포함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홈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매개로 상기 회전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에 형성되는 회전각 제어돌기와,
    상기 힌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각 제어돌기와 탄성결합되는 복수의 회전각 제어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용 홈과,
    상기 고리용 홈에 끼워져 좌우로 회전되는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서 개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제2회전기어:가 구비되는 링크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어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상측은 상기 링크기어의 상부 개구 내측에 지지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탄발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관통공의 하부 개구에 끼워지는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고리용 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볼트 고정부와,
    상기 볼트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이 상기 링크기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볼트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어의 하부에 돌출되며, 한 쌍의 회전통공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회전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회전통공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전원부의 하부에서 하향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기어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랜지의 내부에 끼워지되, 상기 한 쌍의 회전통공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관통공 하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미사용시 상기 전원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리 고정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KR1020140048738A 2014-04-23 2014-04-23 휴대용 랜턴 KR10160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38A KR101605611B1 (ko) 2014-04-23 2014-04-23 휴대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38A KR101605611B1 (ko) 2014-04-23 2014-04-23 휴대용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59A KR20150122459A (ko) 2015-11-02
KR101605611B1 true KR101605611B1 (ko) 2016-03-22

Family

ID=5459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738A KR101605611B1 (ko) 2014-04-23 2014-04-23 휴대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1219A (zh) * 2017-10-30 2018-01-26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角度的双头防水壁灯
CN108613032B (zh) * 2018-03-31 2020-11-06 利辛县力信电力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行程提醒灯
KR102391165B1 (ko) * 2021-08-11 2022-04-28 주식회사 수광산업 레저용 휴대형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293Y1 (ko) 2000-11-10 2001-04-16 이용상 다기능 손전등
CN202580684U (zh) * 2012-05-09 2012-12-05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工作灯
CN202746961U (zh) * 2012-06-21 2013-02-20 东莞乐域塑胶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夹子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293Y1 (ko) 2000-11-10 2001-04-16 이용상 다기능 손전등
CN202580684U (zh) * 2012-05-09 2012-12-05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工作灯
CN202746961U (zh) * 2012-06-21 2013-02-20 东莞乐域塑胶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夹子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59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170B2 (en) Light emitter to be attached to caps
US7967468B2 (en) Adjustable lighting device
US7125139B2 (en) Flashlight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JP4368694B2 (ja) 旋回可能な光学系を備える懐中電燈
US20240027058A1 (en) Headlamp with detachable light assembly
KR101613352B1 (ko) 휴대용 랜턴
US8641226B2 (en) Flashlight lamp rotation structure
US10955120B2 (en) Lamp having radially disposed light emitting members that rotate about an axis that is non-parallel to a transmission axis
KR20140136390A (ko) 휴대용 랜턴
KR20180121233A (ko) 스마트 조명 장치
JP2015519697A (ja) 一体型のクランプハンドルを備えたランタン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KR20046313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KR20180006210A (ko) 회전형 발광장치
KR101097491B1 (ko) 휴대용 조명등
CN210107108U (zh) 一种多功能照明灯
KR101377968B1 (ko) 조명장치
KR101594126B1 (ko) 휴대용 랜턴
TWI392828B (zh) 燈具及其控制方法
JP6227695B2 (ja) ヘッドライト
KR101299992B1 (ko) 랜턴이나 실내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후방조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0361636Y1 (ko) 디스플레이용 조명장치
JP2022070162A (ja) 撮影機材用ランプ
TWM629510U (zh) 裝飾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