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130Y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130Y1
KR200463130Y1 KR2020120003884U KR20120003884U KR200463130Y1 KR 200463130 Y1 KR200463130 Y1 KR 200463130Y1 KR 2020120003884 U KR2020120003884 U KR 2020120003884U KR 20120003884 U KR20120003884 U KR 20120003884U KR 200463130 Y1 KR200463130 Y1 KR 200463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lamp
fixing memb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학 한
Original Assignee
종 학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학 한 filed Critical 종 학 한
Priority to KR2020120003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21V21/0885Clips; Clam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램프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를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빛을 비추어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재의 결착구에 형성되는 결착홈을 케이스의 회동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동구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착구에 서로 마주보게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케이스와 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6)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램프(30)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The portable illuminating system where the angle control is possible}
본 고안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램프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를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빛을 비추어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의 결착구에 형성되는 결착홈을 케이스의 회동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동구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착구에 서로 마주보게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케이스와 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밤낚시를 하는 경우,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우거나 낚인 물고기에서 낚시바늘을 빼내는 등의 작업에는 조명등을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하여 왔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은 고무밴드 및 끈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의복이나 장신구등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등은 부피가 비대하고 무거워 신체의복이나 장신구등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쉽게 흘러내려 사용하기가 불편하며, 조명등을 사물에 고정하는 연결체가 고무밴드나 끈으로 구비되어 있어 쉽게 풀리거나 미끄러져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야간낚시의 경우 조명등을 낚시대 꽂이 및 낚시대와 같이 표면이 미끄러운 물체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 고무밴드 및 끈등은 미끄러운 낚시대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다시 낚시대에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조명등과 고정부재를 결합한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2087호 "클립을 갖는 손전등"에서는 손전등(110)의 외측벽에 자석연결구(111)가 설치되고, 클립(120)에 축(121)으로 축설치된 안내간(122)에 자석연결구(123)이 설치되어서 손전등(110)이 클립(120)의 안내간(122)에 자력으로 착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손전등과 클립이 쉽게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손전등 및 클립의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특히, 대각선으로 각도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방향으로 빛을 집중할 시 클립의 착탈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9577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에서는 지지대(205)의 상하회전축(202)(202')에 오링(212)(212')을 좌우에 끼우고 회동부(208)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211)(211')를 상하회전축의 오링(212)(212')끼움이 된것에 회동부(208)와 접하게 되며 클립부(201)와 지지대(205) 하부에는 관통구(204)(204')를 통해 체결나사(203)(203')가 클립부(201)의 체결공(207)(207')으로 나사가 조임된 후 회동부(208) 배면에 있는 돌출부(209)에 오링(210)을 끼우고 본체(214)와 회동부(208)를 접하게 한다음 관통구(215)를 통하여 체결나사(213)로 결합하여 상,하 360°회전을 하는 각도 조절이 될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대각선으로 각도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방향으로 빛을 집중할 시 클립의 착탈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2087호 "클립을 갖는 손전등" 특허문헌 2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9577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램프장치"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램프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를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빛을 비추어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의 결착구에 형성되는 결착홈을 케이스의 회동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동구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착구에 서로 마주보게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케이스와 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6)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램프(30)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서 상기 케이스(20)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2)를 갖고, 상기 지지바(242)의 끝단에 형성되는 볼 형상의 회동구(244)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50)는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케이스(20)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이 형성되는 결착구(5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결착구(56)에 형성되는 결착홈(562)은 상기 케이스(20)의 회동구(24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상기 회동구(244)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결착구(56)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개홈(5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6)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램프(30)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20)는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제어부(40)가 설치되도록 설치홀(222)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2)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224)를 갖는 상부 케이스(22)와; 상기 상부 케이스(22)의 하측에 결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2)를 갖고, 상기 지지바(242)의 끝단에 형성되는 볼 형상의 회동구(244)를 갖는 하부 케이스(2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50)는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a)이 형성되는 결착구(56a)를 갖는 지지부(52)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부(5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52)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되,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b)이 형성되는 결착구(56b)를 갖는 클립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램프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를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빛을 비추어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결착구에 형성되는 결착홈을 케이스의 회동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동구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착구에 서로 마주보게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케이스와 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5c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1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6)을 갖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케이스(20)의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램프(30)와, 케이스(20)에 설치되어 램프(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2)와 하부 케이스(24)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22)는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제어부(40)가 설치되도록 설치홀(222)이 형성되고, 후방에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224)를 갖는다.
하부 케이스(24)는 상부 케이스(22)의 하측에 결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2)를 갖고, 지지바(242)의 끝단에 형성되는 볼 형상의 회동구(244)를 갖는다.
한편, 케이스(20)는 전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램프(30)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창(28)이 설치되어 진다.
램프(30)는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10)에서는 효율이 좋고, 가벼우며 제품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이 길고, 다양한 색상표현가능한 엘이디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40)는 램프(30)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케이스(22)의 설치홀(222)에 설치되어 램프(30)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를 한번 누르면 램프(30)의 전원은 온 상태로 되고, 한번 더 누르면 오프 상태로 되는 것으로,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램프(30)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고정부재(50)는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케이스(20)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이 형성되는 결착구(56)를 갖는다. 이때, 결착구(56)에 형성되는 결착홈(562)은 케이스(20)의 회동구(24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회동구(24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진다.
한편, 고정부재(50)의 결착구(56)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개홈(56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50)는 지지부(52)와 클립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52)는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a)이 형성되는 결착구(56a)를 갖는다. 이때, 결착구(56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도록 절개홈(564a)이 형성되어 진다.
클립부(54)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지지부(5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52)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되,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b)이 형성되는 결착구(56b)를 갖는다. 이때, 결착구(56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개되도록 절개홈(564b)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지지부(52)와 클립부(54)의 결착구(56a, 56b)에 형성되는 절개홈(564a, 564b)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고정부재(50)에 결합되는 케이스(20)가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지지부(52)와 클립부(52)의 결착구(56a, 56b)에 형성되는 결착홈(562a, 562b)는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케이스(20)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모자 및 의복 등에 간단히 착탈하여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램프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를 상?하?좌?우 대각선과 같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빛을 비추어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결착구에 형성되는 결착홈을 케이스의 회동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동구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착구에 서로 마주보게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과도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케이스와 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하고, 다양한 각도로 회동가능하여 원하는 곳에 빛을 비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정부재(50)와 수직으로 결합된 케이스(20)는 수평으로 360°회동이 가능하고(도 5a), 수직으로 회동시 고정부재(50)의 결착구(56)에 형성되는 절개홈(564)을 통해 수직으로 회동이 가능하며(도 5b), 대각선으로 회동시 고정부재(50)의 결착구(56)를 중심으로 회동(도 5c)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20 : 케이스 22 : 상부 케이스
24 : 하부 케이스 26 : 수용공간
30 : 램프 40 : 제어부
50 : 고정부재 52 : 지지부
54 : 클립부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6)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6)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을 통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램프(30)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20)는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제어부(40)가 설치되도록 설치홀(222)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2)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224)를 갖는 상부 케이스(22)와;
    상기 상부 케이스(22)의 하측에 결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2)를 갖고, 상기 지지바(242)의 끝단에 형성되는 볼 형상의 회동구(244)를 갖는 하부 케이스(2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50)는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a)이 형성되는 결착구(56a)를 갖는 지지부(52)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부(5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52)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되, 상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24)의 회동구(244)가 결착되도록 결착홈(562b)이 형성되는 결착구(56b)를 갖는 클립부(54)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의 지지부(52) 및 클립부(54)의 결착구(56a, 56b)에 형성되는 결착홈(562a, 562b)은 상기 케이스(20)의 회동구(24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상기 회동구(244)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지지부(52) 및 클립부(54)의 결착구(56a, 56b)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절개홈(564a, 56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3884U 2012-05-10 2012-05-1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KR200463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84U KR200463130Y1 (ko) 2012-05-10 2012-05-1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84U KR200463130Y1 (ko) 2012-05-10 2012-05-1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130Y1 true KR200463130Y1 (ko) 2012-10-18

Family

ID=4756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884U KR200463130Y1 (ko) 2012-05-10 2012-05-1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1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214B1 (ko) * 2015-11-30 2016-11-11 이현우 다용도 발광장치
KR20200082264A (ko) 2018-12-28 2020-07-08 유성옥 모션감지센서를 탑재한 휴대용 캡 랜턴 및 제어방법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150Y1 (ko) * 2003-04-30 2003-08-06 한태운 휴대용 조명등
JP2004311188A (ja) * 2003-04-07 2004-11-04 Abc Twenty One:Kk 照明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188A (ja) * 2003-04-07 2004-11-04 Abc Twenty One:Kk 照明具
KR200322150Y1 (ko) * 2003-04-30 2003-08-06 한태운 휴대용 조명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214B1 (ko) * 2015-11-30 2016-11-11 이현우 다용도 발광장치
KR20200082264A (ko) 2018-12-28 2020-07-08 유성옥 모션감지센서를 탑재한 휴대용 캡 랜턴 및 제어방법
KR102334007B1 (ko) * 2018-12-28 2021-12-01 유성옥 모션감지센서를 탑재한 휴대용 캡 랜턴 및 제어방법
KR102215638B1 (ko) 2020-09-28 2021-02-15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살균 장치
KR102320696B1 (ko) * 2020-09-28 2021-11-02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WO2022065695A1 (ko) * 2020-09-28 2022-03-31 (주)내일엔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7056B2 (en) Helmet light
US8474995B2 (en) Clip light
US7699485B1 (en) Illumination device mountable to a clothing object
US20100289433A1 (en) Clip light
US8157401B2 (en) LED rechargeable headlamp
US8714769B2 (en) Light system
US8201961B2 (en) Rotatable headlamp
KR101719271B1 (ko)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US10907776B1 (en) Flexible, customizable, and wearable flashlight
US11541955B2 (en) Multi-functional lighting device integrated with bicycle
KR20046313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US8444285B2 (en) Clip light
KR100905912B1 (ko) 휴대용 전등
KR200412315Y1 (ko) 탈착 가능한 후레쉬
KR101061058B1 (ko) 휴대용 후레쉬
KR20150122459A (ko) 휴대용 랜턴
KR20180003523U (ko) 길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고정장치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KR20180006210A (ko) 회전형 발광장치
KR200322150Y1 (ko) 휴대용 조명등
KR101343239B1 (ko) 모자 부착용 조명장치
CN207527331U (zh) 一种可折叠式头灯
CN211925441U (zh) 便携式工作灯
KR200346311Y1 (ko) 소형 후라쉬가 탈. 부착되는 모자
JP2017123224A (ja) 首かけライト
KR20150142579A (ko) 거치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